KR102242528B1 - 핸드 드립식 여과 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 Google Patents
핸드 드립식 여과 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2528B1 KR102242528B1 KR1020190054079A KR20190054079A KR102242528B1 KR 102242528 B1 KR102242528 B1 KR 102242528B1 KR 1020190054079 A KR1020190054079 A KR 1020190054079A KR 20190054079 A KR20190054079 A KR 20190054079A KR 102242528 B1 KR102242528 B1 KR 1022425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ffee
- trickle
- discharger
- dropper
-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75—Hot water outlets for drip coffee makers
- A47J31/4478—Spreader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커피를 추출하면, 제1투수망을 거치면서 최소의 수두를 갖게 되고 제2투수망에 의하여 균등하게 된 다수(多數)의 물줄기가 얇고 평편한 기둥 모양으로 쌓인 원두 조각 더미에 가분하게 동시다발적으로 투수됨으로써 균질한 맛의 커피를 일관성 있게 추출할 수 있으며, 또 여과식 추출법의 독보적 장점으로서 추출변수나 물 붓는 방식을 조절함으로써 취향에 따라 의도한 대로 커피의 향미 중 어느 특색을 두드러지게 부각시키는 특색화를 더 효율적으로 증진시키면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방류기(10)와 세류기(20) 및 적하기(30)의 바닥이 평판 모양인 제1투수망(12)과 제2투수망(22) 및 제3투수망(32)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도 2의 a), 또 안정적 방류를 위하여 제1투수망(12)의 홀의 크기를 더 크게 만든 제1투수망A(12A)도 함께 도시하였다(도 2의 b).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한 잔이나 한꺼번에 복수(N=2 또는 3) 잔의 용량을 추출할 경우 각 용량에 맞는 크기의 방류기, 세류기 및 적하기를 조별(組別)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류기용 칸막이(40)가 복수(N) 잔용의 방류기(10)에 삽입되는 모습과 함께 이 방류기가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일 경우 한 잔용부터 (N-1) 잔용의 용도별 칸막이 받침부(42)와 칸막이 본체부(44)의 크기가 표시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세류기 및 적하기용 칸막이(40)가 복수(N) 잔용의 세류기 또는 적하기에 삽입되는 모습과 함께 이 세류기 및 적하기가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일 경우 한 잔용부터 (N-1) 잔용의 용도별 칸막이 받침부(42)와 칸막이 본체부(44)의 크기가 표시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의 바람직한 대안으로서 세(N=3) 잔용의 방류기(10)와 세류기(20) 및 적하기(30)에 한 잔용 칸막이(40-1)들 또는 두 잔용 칸막이(40-2)들을 각기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에 여과막과 깔때기를 추가하여 커피를 추출 후에 여과하고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침출식 추출 방법에서 커피 용기[Pot] 또는 다관으로 전용(轉用)되는 적하기(30)에 마개(70)를 접속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깔때기에는 N 잔용 및 k(k=1, 2, …, (N-1)) 잔용의 가대가 설치되어 있다.
도 9는 종래의 드립퍼에 담긴 원두 조각 더미 내의 비(非)수직적이고 서로 합류(合流)되는 물줄기 흐름으로 인하여 커피 액이 혼탁하게 추출되는 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종래 드립퍼에서 추출 시간 경과에 따른 원두 조각 더미 내부 온도 변화의 일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12 : 제1투수망; 12A : (제1투수망(12) 대신의) 대체용 제1투수망A
20 : 세류기
22: 제2투수망
30 : 적하기
32 : 제3투수망
40 : 칸막이; 40-1 : 1잔용 칸막이; 40-2 : 2잔용 칸막이
42 : 칸막이 받침부 또는 처마부
44 : 칸막이 본체부
50 : 여과막
60 : 깔때기
70 : 제3투수망 차폐용 마개; 70-N : N잔용 마개; 70-k : k잔용 마개
Claims (9)
- 삭제
- 삭제
- 복수(N)잔 분량의 커피 추출을 위한 핸드 드립식 여과 방법의 커피 추출용 기구로서,
커피를 추출할 물이 통과되는 통로이고, 평면의 바닥은 동일한 크기의 홀들을 격자무늬로 갖는 제1투수망(12)으로 형성되는 N잔용 방류기(10);
상기 방류기 하단에 설치되며, 방류기에서 방수된 물줄기가 가는 물줄기로 균등하게 조성되어 방수되기 위하여 상기 제1투수망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홀들을 격자무늬로 갖는 평면의 제2투수망(22)이 형성되는 N잔용 세류기(20);
상기 세류기 하단에 설치되며, 세류기에서 방수된 가는 물줄기가 그 안에 수용된 커피 원두 조각 더미를 투수하면서 균질의 커피 향미를 추출하기 위하여 제2투수망과 동일한 형태와 크기의 홀들을 격자무늬를 갖는 제3투수망(32)이 형성되는 N잔용 적하기(30);및
상기 방류기(10), 세류기(20) 및 적하기(3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각각 한잔용부터 (N-1)잔용으로 교체 사용되기 위해 그 크기를 달리하면서 방류기의 칸막이 받침부(42) 또는 세류기의 칸막이 받침부(42) 또는 적하기의 칸막이 받침부(42)가 부착되고, 상기 방류기, 세류기 및 적하기는 각각 그 상하단이 모두 개방된 칸막이 본체부(44)를 각각 포함하며, 각각 (N-1)개씩으로 포함되는 N잔용 칸막이(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드립식 여과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잔용 방류기(10), 세류기(20) 및 적하기(30)가 원통형이며, 각각의 기본 한 잔용 칸막이 받침부의 횡단면 지름이 r 1 크기인 경우, 방류기의 칸막이 받침부(42)와 세류기 및 적하기의 칸막이 받침부(42)는 외경이 모두 가장 큰 잔 수인 N의 개수에 해당하는 분량 용도의 방류기, 세류기 및 적하기의 지름인, r N = r 1* 크기로 동일하며, 용도별 각 i = 1, 2 …, (N-1) 잔용 칸막이 본체부(44)의 지름과 방류기의 칸막이 받침부(42) 또는 세류기 및 적하기의 칸막이 받침부(42)의 내경은 각각 r i = r 1*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드립식 여과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잔용 방류기(10), 세류기(20) 및 적하기(30)가 직육면체이며, 각각의 기본 한 잔용 칸막이 받침부의 횡단면 변의 길이가 l 1(가로)와 l 1(세로) 크기인 경우, 상기 N잔용 방류기의 칸막이 받침부(42)와 세류기 및 적하기의 칸막이 받침부(42)는 모두 외변(外邊)이 가장 큰 잔수인 N의 개수에 해당하는 분량 용도의 방류기, 세류기 및 적하기의 변의 길이인 l N (가로) = *l 1(가로) 와 l N (세로) = *l 1(가로) 이며, 상기 칸막이 본체부(44) 횡단면의 변(邊)과 칸막이 받침부(42)의 내변(內邊)은 용도별 각 i = 1, 2, …, (N-1) 잔에 대하여 그 길이가 각각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드립식 여과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l i (가로) = l 1(가로)*;
l i (세로) = l 1(세로)* - 제3항에 있어서,
한 잔용 방류기, 적하기 및 세류기의 횡단면 면적이 A1인 경우, 한 잔부터 (N-1) 잔에 적합한 N잔용 칸막이 본체부 횡단면의 면적(A i ; i = 1, 2, ..., (N-1))은 각각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드립식 여과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A i = A1*i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수망, 제2투수망 및 제3투수망의 홀 갯수가 N잔용인 경우에는 한 잔용 제1투수망, 제2투수망 및 제3투수망의 홀 갯수의 N배 만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드립식 여과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기(30)의 하단에 커피 추출 후 커피 찌꺼기의 여과를 위해 설치되는 종이 또는 융 소재의 여과막(50);및
상기 여과막을 받치면서 추출된 커피 액을 수집하기 위한 깔때기(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드립식 여과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기(30)의 하단(下端)에 제3투수망(32)을 차폐할 수 있는 상향 마개(Upward stopper)를 접속시켜 커피나 차의 배출을 적절한 추출시간 동안 차단하여 침출식(浸出式) 커피 추출이 가능한 프렌치프레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드립식 여과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4079A KR102242528B1 (ko) | 2019-05-09 | 2019-05-09 | 핸드 드립식 여과 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4079A KR102242528B1 (ko) | 2019-05-09 | 2019-05-09 | 핸드 드립식 여과 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8399A KR20190058399A (ko) | 2019-05-29 |
KR102242528B1 true KR102242528B1 (ko) | 2021-04-30 |
Family
ID=66672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4079A Active KR102242528B1 (ko) | 2019-05-09 | 2019-05-09 | 핸드 드립식 여과 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252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5066B1 (ko) * | 2020-01-25 | 2021-04-26 | 박지윤 |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추출 방법 |
KR102675786B1 (ko) * | 2022-04-21 | 2024-06-18 | 권혁창 | 세라믹 도기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으로 커피맛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드립커피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4740B1 (ko) * | 2013-04-29 | 2014-10-27 | 상운 남 | 분기관을 구비한 드립 커피 제조기 |
KR101651519B1 (ko) | 2014-12-09 | 2016-08-29 | 류경훈 | 휴대용 드립 커피 추출기 |
KR101804326B1 (ko) | 2016-05-17 | 2017-12-04 | 김영래 |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
-
2019
- 2019-05-09 KR KR1020190054079A patent/KR102242528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8399A (ko) | 2019-05-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69901928T2 (de) | Teebrühgerät | |
US5461968A (en) | Brewing pot | |
US5168794A (en) | Apparatus for brewing coffee | |
EP2367741B1 (en) | Capsule,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capsule | |
US6276262B1 (en) | System and method of Chinese tea brewing | |
US4867880A (en) | Brewing device | |
US11412881B2 (en) | Device for making coffee | |
US20170360251A1 (en) | Pour over beverage system | |
KR102242528B1 (ko) | 핸드 드립식 여과 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 |
KR20130004487U (ko) |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 |
EP1082044A1 (de) | Vorrichtung zum brühen von getränken | |
US1351410A (en) | Coffee-pot | |
US1345947A (en) | Art of making coffee and apparatus therefor | |
CN107136935B (zh) | 排放装置以及包括该排放装置的冲泡器和饮品制作机 | |
CN110074673A (zh) | 一种咖啡冲泡台 | |
US1905350A (en) | Drip coffee maker | |
US20210235917A1 (en) | Beverage preparation devices, apparatus and methods | |
NO340230B1 (en) | Filter device and pot with filter device | |
GB2575486A (en) | Drip filter head and method | |
CN207071044U (zh) | 冲泡饮料的过滤装置 | |
KR20210007134A (ko) | 커피 연속 추출장치 | |
CH695438A5 (de) | Vorrichtung zum Brühen von Getränken in Tassen- oder Kannenportionen. | |
KR20120002920U (ko) | 커피 핸드 드립용 보조기구 | |
KR101464987B1 (ko) | 더치 커피 추출장치 | |
DE20001994U1 (de) | Heißgetränkezubereiter mit Reinigungsvorrichtu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6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8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2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8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