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42517B1 -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517B1
KR102242517B1 KR1020190166977A KR20190166977A KR102242517B1 KR 102242517 B1 KR102242517 B1 KR 102242517B1 KR 1020190166977 A KR1020190166977 A KR 1020190166977A KR 20190166977 A KR20190166977 A KR 20190166977A KR 102242517 B1 KR102242517 B1 KR 102242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composite
rod
composite material
molding process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오영
정경석
고문성
Original Assignee
코오롱데크컴퍼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데크컴퍼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데크컴퍼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6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517B1/ko
Priority to PCT/KR2020/015533 priority patent/WO2021118069A1/en
Priority to US17/784,764 priority patent/US12109768B2/en
Priority to EP20899554.8A priority patent/EP4058275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5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29C70/541Positioning reinforcements in a mould, e.g. using clamping means for the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29C70/543Fixing the position or configuration of fibrous reinforcements before or during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08Handling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1Handling means, e.g. transfer means, feeding means
    • B29C51/262Clamping means for the sheets, e.g. clamp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29C70/56Tensioning reinforcements before or durin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복합재를 고정하고 이송 트레이에 놓여 성형 금형으로 이송되는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가 위치하는 배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 트레이에 놓이는 프레임부; 그리고 상기 배치공간에 위치하여 일측이 상기 프레임부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와 결합된 복수의 연결유닛; 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연결유닛은 각각 길이가 가변될 수 있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이동하고 축 회전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Thermoplastic composite grip for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복합재는 섬유에 수지를 함침(impregnation) 시켜 만든 것으로 섬유의 배열에 따라 그 섬유의 뛰어난 기계적 물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경량화 이슈가 대두되고 있는 항공기, 자동차 등의 분야에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열가소성 복합재를 이용하여 소정의 성형품을 형성하기 위해 기설정된 규격으로 재단된 열가소성 복합재를 금형에 배치한다. 금형은 열가소성 복합재를 가열하고 압축하여 소정의 모양으로 성형한다.
그러나 열가소성 복합재가 성형 시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해야 하나, 그러하지 못하여 성형 과정 중에 열가소성 복합재가 손상되고, 성형품의 성형성이 저하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3141호 (2018.07.24.)
본 발명은 열가소성 복합재가 안정적인 고정 상태에서 성형될 수 있도록 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는, 열가소성 복합재를 고정하고 이송 트레이에 놓여 성형 금형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가 위치하는 배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 트레이에 놓이는 프레임부; 그리고 상기 배치공간에 위치하여 일측이 상기 프레임부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와 결합된 복수의 연결유닛; 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연결유닛은 각각 길이가 가변될 수 있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이동하고 축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유닛은 각각,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회전 가능한 이동부;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와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를 연결하고 있는 탄성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에는 상기 배치공간의 둘레를 따라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롤러; 그리고 상기 롤러와 상기 탄성부재를 연결하는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상기 롤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일측이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타측으로 개방된 고정로드; 일측이 상기 고정로드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고정로드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동작로드; 및 상기 동작로드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가 연결될 수 있는 고정링;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로드의 타측 내부 둘레를 따라 내측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동작로드의 일측 외부 둘레를 따라 외측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가 서로 접하면서 상기 동작로드는 상기 고정로드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내측 플랜지에는 상기 동작로드의 외부 둘레와 접하여 구르는 내측 볼이 복수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외측 플랜지에는 상기 고정로드의 내부 둘레와 접하는 구르는 외측 볼이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고정로드; 상기 고정로드와 상기 탄성부재를 연결하는 동작로드; 및 상기 고정로드와 상기 동작로드를 연결하는 조인트;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로드는 상기 조인트에 의해 회전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를 상하 관통하는 볼트, 핀 및 카라비너(karabiner)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표면을 눌러 고정하는 집게 또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가장자리를 누르는 누름바; 및 상기 고정몸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누름바가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를 누르도록 상기 누름바를 가압하는 조절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상기 누름바의 일면과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와 점 접촉 또는 면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를 구획하는 관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관절부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는, 상기 프레임부를 구획하는 관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관절부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상기 연결유닛의 간격은 좁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유닛의 위치 이동, 길이 변화 및 축 회전으로 배치공간에 위치하는 다양한 형상의 열가소성 복합재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열가소성 복합재를 이용한 성형품의 성형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가소성 복합재의 특성에 따라 연결유닛의 위치를 선정함으로써 열가소성 복합재를 성형에 최적화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을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연결유닛을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도 3의 로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3의 로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3의 고정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도 3의 고정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3의 고정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관절부에 의해 구부러진 프레임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연결유닛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1)는 프레임부(11), 그리고 연결유닛(12)을 포함하며, 열가소성 복합재가 안정적인 고정 상태에서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 열가소성 복합재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에테르케토네케톤(Polyetherketoneketone; PEKK), 및 폴리에텔에텔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부(11)와 연결유닛(12)은 100℃ 내지 400℃를 견딜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프레임부(11)는 금속, 세라믹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프레임부(11)는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열가소성 복합재가 위치할 수 있는 배치공간(11a)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부(11)를 사각 틀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부(11)에는 홈 형태의 레일(111)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111)은 프레임부(11)의 내부에서 배치공간(11a)을 이루고 있는 프레임부(11)의 내부 둘레로 개방되어 있다. 이에 레일(111)은 배치공간(11a)과 연결되며 레일(111)에는 걸림턱(1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레일(111)은 프레임부(1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일(111)의 모양과 형성 위치는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연결유닛(12)은 배치공간(11a)에 복수 배치되어 열가소성 복합재(M)가 배치공간(11a)에 위치하도록 고정한다. 복수의 연결유닛(12)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서 열가소성 복합재(M)를 서로 당기면서 고정한다. 복수의 연결유닛(12)은 각각 이동부(121), 고정부(128) 및 탄성부재(129)를 포함한다. 연결유닛(12)의 개수는 배치공간(11a)에 위치하는 열가소성 복합재의 넓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동부(121)는, 롤러(121a), 그리고 로드(122a)를 포함하며 프레임부(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롤러(121a)는 한 쌍의 휠과 한 쌍의 휠을 연결하고 있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롤러(121a)는 레일(111)에 위치하며 레일(1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롤러(121a)의 휠은 걸림턱(112)에 걸려 있다. 이에 롤러(121a)는 레일(111)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한편, 프레임부(11)의 내부 둘레 일부분에는 롤러(121a)를 레일(111)에 삽입하고 인출하기 위한 출입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출입구는 걸림턱(112)의 생략으로 형성된다. 롤러(121a)의 이동으로 열가소성 복합재(M)의 형상에 따라 연결유닛(12)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로드(122a)는 일측이 롤러(121a)의 샤프트와 연결되어 타측이 프레임부(11)의 개방부를 통해 배치공간(11a)으로 노출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로드(122a)는 축 회전 가능하게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다. 로드(122a)의 타측은 탄성부재(129)와 연결되어 있다.
롤러(121a)의 이동과 로드(122a)의 회전으로 연결유닛(12)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열가소성 복합재(M)의 형상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로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로드(122b)는 고정로드(123b), 동작로드(125b) 및 고정링(125d)을 포함한다.
고정로드(123b)와 동작로드(125b)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고정로드(123b)의 일측은 롤러(121a)의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다. 고정로드(123b)의 타측은 레일(111)에서 배치공간(11a)으로 돌출되어 있다. 고정로드(123b)의 내부는 타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타측 내부 둘레에는 내측 플랜지(124a)가 형성되어 있다.
동작로드(125b)는 일측이 고정로드(123b)의 내부에 위치하며 타측은 고정로드(123b)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동작로드(125b)의 일측 외부 둘레에는 내측 플랜지(124a)와 마주하는 외측 플랜지(126a)가 형성되어 있다. 동작로드(125b)는 고정로드(123b)의 내부에 직선 운동과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동작로드(125b)가 직선 운동할 때 외측 플랜지(126a)가 내측 플랜지(124a)에 걸리게 되어 동작로드(125b)가 고정로드(123b)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고정링(125d)은 동작로드(125b)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탄성부재(129)와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링(125d)은 동작로드(125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동작로드(125b)와 고정링(125d)은 각각 개별적으로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로드(125b)가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그 회전력을 도모하기 위하여 고정로드(123b)의 내부 둘레와 마주하는 외측 플랜지(126a)의 둘레와 동작로드(125b)의 외부 둘레와 마주하는 내측 플랜지(124a)의 둘레에는 외측 볼(126c)과 내측 볼(124b)이 복수 배치되어 있다. 외측 볼(126c)이 고정로드(123b)의 내측 둘레를 따라 구르고, 내측 볼(124b)이 동작로드(125b)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르면서 마찰력이 저하되어 동작로드(125b)의 축 회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드(122b)의 회전과 길이 조절 그리고 롤러(121a)의 이동으로 연결유닛(12)은 프레임부(11)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열가소성 복합재(M)의 형상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로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로드(122c)는 고정로드(123c), 동작로드(125c) 및 조인트(127)를 포함한다. 동작로드(125c)에는 고정링(125e)이 연결되어 있다.
고정로드(123c)와 동작로드(125c)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고정로드(123c)와 동작로드(125c)는 조인트(127)로 연결되어 있다.
고정로드(123c)는 일측이 롤러(121a)의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이 프레임부(11)의 개방부를 통해 노출되어 배치공간(11a)에 위치하고 있다.
조인트(127)는 고정로드(123c)의 타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관절홈(127b)이 형성된 하우징(127a)과 동작로드(125c)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고 볼 형태로 형성되어 관절홈(127b)에 위치한 관절볼(127c)을 포함한다. 관절볼(127c)은 관절홈(127b)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동작로드(125c)는 조인트(127)에 의해 고정로드(123c)를 기준으로 상하,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고정로드(123c)의 자유로운 움직임으로 연결유닛(12)은 열가소성 복합재(M)의 형상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면 도 3을 다시 참고하면, 탄성부재(129)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탄성부재(129)를 코일 스프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탄성부재(129)는 이동부(121)와 고정부(128)를 연결하고 있다. 탄성부재(129)는 열가소성 복합재(M)의 형상과 위치에 따라 팽창할 수 있다. 탄성부재(129)의 스프링 상수는 열가소성 복합재(M)의 형상,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면 도 7을 참고하면, 고정부(128)는 고정몸체(128a), 누름바(128c) 및 조절부재(128d)를 포함하며 열가소성 복합재(M)의 가장자리를 잡아 고정한다.
고정몸체(128a)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탄성부재(129)와 연결되어 있다. 탄성부재(129)는 고정몸체(128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때 이동부(121) 또한 각 탄성부재(129)와 동일한 개수로 배열되어 있다.
고정몸체(128a)에는 열가소성 복합재(M)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삽입홈(128b)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128b)은 고정몸체(128a)의 내부에서 고정몸체(128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타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에 열가소성 복합재(M)는 고정몸체(128a)의 개방된 타측을 통해 삽입홈(128b)으로 삽입된다.
누름바(128c)는 삽입홈(128b)에 위치하여 고정몸체(128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누름바(128c)와 삽입홈(128b)의 일면 사이로 열가소성 복합재(M)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며 누름바(128c) 및 삽입홈(128b)의 일면과 면 접촉하게 된다. 누름바(128c)는 열가소성 복합재(M)를 눌러 삽입홈(128b)에서 열가소성 복합재(M)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한편, 누름바(128c)의 하면과 삽입홈(128b)의 일면에는 열가소성 복합재(M)의 접촉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요철부(128e)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128e)는 누름바(128c)와 고정몸체(128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조절부재(128d)는 볼트를 포함한다. 조절부재(128d)는 고정몸체(128a)의 상면에 체결되어 그 끝이 누름바(128c)와 연결되어 있다. 조절부재(128d)는 고정몸체(128a)에 체결될수록 누름바(128c)를 삽입홈(128b)의 일면 방향으로 누르게 되며 누름바(128c)는 열가소성 복합재(M)를 일면 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이에 열가소성 복합재(M)의 가장자리는 고정몸체(128a)의 내부에 고정된다. 조절부재(128d)는 고정몸체(128a)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열가소성 복합재(M)와 고정부(128)가 면 접촉하고 있으므로 열가소성 복합재(M)가 열에 의해 변형되어도 고정부(128)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28)는 도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29)와 연결되어 있고 열가소성 복합재(M)의 관통홀(MH)을 관통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고정부(128)와 열가소성 복합재(M)은 점 접촉한 상태로 결합된다.
또한, 고정부(128)는 도면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29)와 연결되어 있고 열가소성 복합재(M)의 관통홀(MH)에 걸리는 카라비너(karabin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고정부(128)와 열가소성 복합재(M)은 점 접촉한 상태로 결합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부(128)는 열가소성 복합재(M)의 관통홀(MH)을 관통하는 핀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28)는 열가소성 복합재의 표면을 눌러 고정하는 집게 또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128)와 열가소성 복합재(M)은 면 접촉과 점 접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열가소성 복합재(M)의 소재,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유닛(12)의 위치 이동, 길이 변화 및 축 회전으로 배치공간(11a)에 위치하는 다양한 형상의 열가소성 복합재를 성형에 최적으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열가소성 복합재를 이용한 성형품의 성형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관절부에 의해 구부러진 프레임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1a)는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의 프레임부(11)는 관절부(113)로 구획되어 있다. 프레임부(11)의 구획된 부분이 상하 중첩되어 있고, 중첩된 부분을 힌지핀(113a)이 관통하고 있다. 힌지핀(113a)은 레일(111)을 이동하는 롤러(121a)와 간섭되지 않게 프레임부(11)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관절부(113)에 의해 프레임부(11)는 구부러질 수 있다. 도면 도 10에서 프레임부(11)가 관절부(113)에 의해 X방향으로 구부러진 것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프레임부(11)는 관절부(113)의 배치에 따라 Z방향으로 구부러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11)가 구부러지는 방향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프레임부(11)가 구부러지면서 배치공간(11a)에 위치하는 열가소성 복합재(M)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연결유닛(12a, 12b)의 간격(G)이 가까워진다. 이때 마주하는 연결유닛(12a, 12b)의 간격(G)이 열가소성 복합재(M)가 완전히 펼쳐졌을 때의 폭(W) 보다 좁게 될 수 있다. 이에 열가소성 복합재(M)가 느슨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고 있는 연결유닛(12a, 12b)을 열가소성 복합재(M)에 결합이 용이 해진다.
만약, 마주하는 연결유닛(12a, 12b)의 간격(G)이 열가소성 복합재(M)의 폭(W) 보다 큰 경우 연결유닛(12a, 12b)을 열가소성 복합재(M)의 방향으로 당겨야 한다. 이때 탄성부재(129)를 늘려야 하므로 서로 마주하는 연결유닛(12a, 12b)을 열가소성 복합재(M)에 결합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프레임부(11)가 관절부(113)에 의해 구부러지고, 마주하는 연결유닛(12a, 12b)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면서 탄성부재(129)를 늘리지 않고 연결유닛(12a, 12b)을 열가소성 복합재(M)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열가소성 복합재(M)를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1a)에 결합이 간편하다.
마주하는 연결유닛(12a, 12b)이 열가소성 복합재(M)와 결합된 상태에서 구부러진 프레임부(11)를 펼치면 마주하는 연결유닛(12)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열가소성 복합재(M)를 당긴다. 이에 탄성부재(129)가 늘어나고 열가소성 복합재(M)는 마주하는 연결유닛(12)의 사이에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펼쳐진 프레임부(11)가 연결유닛(12)의 탄성력에 의해 구부러지지 않도록 프레임부(11)의 구획된 부분에는 클램프, 래칫 장치(ratchet gearing)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M: 열가소성 복합재 MH: 관통홀
1, 1a: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11: 프레임부 11a: 배치공간
111: 레일 112: 걸림턱
113: 관절부 113a: 힌지핀
12, 12a, 12b: 연결유닛 121: 이동부
121a: 롤러 122a, 122b, 122c: 로드
123b, 123c: 고정로드 124a: 내측 플랜지
124b: 내측 볼 125b, 125c: 동작로드
125d, 125e: 고정링 126a: 외측 플랜지
126c: 외측 볼 127: 조인트
127a: 하우징 127b: 관절홈
127c: 관절볼 128: 고정부
128a: 고정몸체 128b: 삽입홈
128c: 누름바 128d: 조절부재
128e: 요철부 129: 탄성부재

Claims (12)

  1. 열가소성 복합재를 고정하고 이송 트레이에 놓여 성형 금형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가 위치하는 배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치공간의 둘레를 따라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트레이에 놓이는 프레임부, 그리고
    상기 배치공간에서 상기 프레임부과 연결되어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를 고정하는 연결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유닛은 각각 일측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를 상기 프레임부의 방향으로 당겨 고정하고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연결유닛은 각,
    상기 프레임부의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와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를 연결하고 있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프레임부에는 상기 배치공간의 둘레를 따라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롤러; 그리고
    상기 롤러와 상기 탄성부재를 연결하는 로드;
    를 포함하는
    상기 로드는 상기 롤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로드는
    일측이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타측으로 개방된 고정로드,
    일측이 상기 고정로드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고정로드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동작로드 및
    상기 동작로드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가 연결된 고정링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로드의 타측 내부 둘레를 따라 내측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동작로드의 일측 외부 둘레를 따라 외측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가 서로 접하면서 상기 동작로드는 상기 고정로드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내측 플랜지에는 상기 동작로드의 외부 둘레와 접하여 구르는 내측 볼이 복수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외측 플랜지에는 상기 고정로드의 내부 둘레와 접하는 구르는 외측 볼이 복수 배치되어 있는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6. 제3항에서,
    상기 로드는,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고정로드;
    상기 고정로드와 상기 탄성부재를 연결하는 동작로드; 및
    상기 고정로드와 상기 동작로드를 연결하는 조인트;
    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로드는 상기 조인트에 의해 회전하여 구부러질 수 있는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7. 제2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를 상하 관통하는 볼트, 핀 및 카라비너(karabiner)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8. 제2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표면을 눌러 고정하는 집게 또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9. 제2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가장자리를 누르는 누름바; 및
    상기 고정몸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누름바가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를 누르도록 상기 누름바를 가압하는 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상기 누름바의 일면과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11. 제2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와 점 접촉 또는 면 접촉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프레임부를 구획하는 관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관절부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상기 연결유닛의 간격은 좁혀지는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KR1020190166977A 2019-12-13 2019-12-13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Active KR102242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977A KR102242517B1 (ko) 2019-12-13 2019-12-13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PCT/KR2020/015533 WO2021118069A1 (en) 2019-12-13 2020-11-06 Apparatus for fixing thermoplastic composite
US17/784,764 US12109768B2 (en) 2019-12-13 2020-11-06 Thermoplastic composite grip for manufacturing process
EP20899554.8A EP4058275A4 (en) 2019-12-13 2020-11-06 Apparatus for fixing thermoplastic compos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977A KR102242517B1 (ko) 2019-12-13 2019-12-13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517B1 true KR102242517B1 (ko) 2021-04-20

Family

ID=75742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977A Active KR102242517B1 (ko) 2019-12-13 2019-12-13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2109768B2 (ko)
EP (1) EP4058275A4 (ko)
KR (1) KR102242517B1 (ko)
WO (1) WO2021118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3812B1 (en) * 2022-08-16 2023-11-14 Rohr, Inc. Forming a preform into a shaped body
FR3157259A1 (fr) * 2023-12-21 2025-06-27 Latecoere Convoyeur à cadre segmenté équipé de plaquettes d’indexation d’estampage d’une pièce en matériau composite à matrice thermoplastique.
FR3157258A1 (fr) * 2023-12-21 2025-06-27 Latecoere Convoyeur avec cadre articulé pour l’estampage d’une pièce en composite à matrice thermoplastiqu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1346A (ja) * 1998-08-28 2000-03-07 Yokohama Rubber Co Ltd:The フレキシブルマンドレル
KR20040083653A (ko) * 2003-03-24 2004-10-06 (주)네스디스플레이 기판 홀더 및 이를 적용한 기판 클립핑장치
KR20140145668A (ko) * 2013-06-13 2014-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너 필름의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20180071860A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복합소재 이송용 그리퍼 장치
KR101883141B1 (ko) 2016-09-20 2018-07-30 주식회사동신유압 탄소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압축 성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9453A1 (de) * 2004-06-18 2006-06-08 Samsonite Corp., Denv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teiles, insbesondere Gepäckstückschale, aus selbstverstärktem thermoplastischen Material, Kunststoffteil, hergestellt aus selbstverstärktem thermoplastischen Material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teiles, insbesondere Gepäckstückschale
DE102012024060A1 (de) * 2012-12-07 2014-06-12 Daim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Vorformlings aus einem Faserhalbzeug
DE102015102691A1 (de) * 2015-02-25 2016-08-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Umformwerkzeug zur Herstellung eines thermisch geformten Bauteils
DE102015010434A1 (de) * 2015-08-11 2017-02-16 Daimler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Verbundbauteils
KR101770118B1 (ko) * 2015-11-17 2017-08-2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프리폼 성형장치 및 방법
KR102286766B1 (ko) * 2017-09-13 2021-08-0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복합소재 성형장치
EP3473397B1 (en) * 2017-10-23 2021-03-10 Aleda SA Assembly,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preformed shel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1346A (ja) * 1998-08-28 2000-03-07 Yokohama Rubber Co Ltd:The フレキシブルマンドレル
KR20040083653A (ko) * 2003-03-24 2004-10-06 (주)네스디스플레이 기판 홀더 및 이를 적용한 기판 클립핑장치
KR20140145668A (ko) * 2013-06-13 2014-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너 필름의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1883141B1 (ko) 2016-09-20 2018-07-30 주식회사동신유압 탄소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압축 성형 방법
KR20180071860A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복합소재 이송용 그리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8275A4 (en) 2024-03-27
WO2021118069A1 (en) 2021-06-17
US20230010052A1 (en) 2023-01-12
EP4058275A1 (en) 2022-09-21
US12109768B2 (en) 202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517B1 (ko)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공정 소재 고정 장치
KR101811318B1 (ko) 원터치 접이식 옷걸이
US9726220B2 (en) Thrust foil air bearing
US20060175489A1 (en) Device for locking an electric apparatus onto a supporting rail
JP6817440B2 (ja) コネクタ取外しツール
US11458359B2 (en) Chest expander
EP3425219A1 (en) Ball joint unit movable along guide groove
JP6324385B2 (ja) フランジ付モジュラー滑り軸受
JP4734283B2 (ja) 車両のチェック機能付きドアヒンジ
CN106896686A (zh) 一种动力传递装置以及感光元件和处理盒
WO2020215794A1 (zh) 一种开关组件及具有其的过滤器和干衣机
KR100924359B1 (ko) 토션파이프 제조장치
WO2005072914A2 (en) Attaching device for gutter-sectional strip
KR101542798B1 (ko)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EP323561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tiffness of output member during rotational and translational movements
EP2554354A1 (en) Mold centering system
KR101536910B1 (ko) 강재용 이송라인의 개폐장치
CN106460922B (zh) 直线轴承
KR101685483B1 (ko) 가변형 콘 성형용 금형
CN214564360U (zh) 滑动组件及可滑动设备
KR101972514B1 (ko) 스프링 제조장치
CN215181636U (zh) 弹性旋转手柄
KR101698034B1 (ko) 여닫이 도어용 경첩
US9045295B2 (en) Motor-driven aligning and forwarding device for apparatus for processing paper documents and the like, in particular bank cheques
JPH055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