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42471B1 -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471B1
KR102242471B1 KR1020150016339A KR20150016339A KR102242471B1 KR 102242471 B1 KR102242471 B1 KR 102242471B1 KR 1020150016339 A KR1020150016339 A KR 1020150016339A KR 20150016339 A KR20150016339 A KR 20150016339A KR 102242471 B1 KR102242471 B1 KR 102242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lighting
unit
cover
monitor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5302A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riority to KR1020150016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4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9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4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21V15/015Devices for covering joints between adjacent lighting devices; End cove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는: 게임기의 모니터에 부착되는 모니터고정부와, 빛을 발산하는 조명요소를 구비하여 상기 모니터고정부에 결합되는 조명부와, 조명부를 커버하면서 모니터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명커버부와, 상기 게임기의 이벤트 진행 상태에 따라 조명부의 조명 상태를 조절, 변경하는 발광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EVENT LIGHTING OF MONITOR FOR GAME MACHINE}
본 발명은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게임기용 모니터에 부착한 상태로 조명 상태를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에 의해 게임의 재미를 배가할 수 있는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에 설치되는 조명은 모니터 조명은 전방에 위치한 사람의 시각적 인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방을 밝게 비추는 한정된 기능만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모니터의 활용 범위가 가정용, 사무용 외에 게임, 전시 등의 산업용 으로 다양하게 확대됨에 따라, 각 용도에 맞추어 모니터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모니터 조명은 모니터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제조되거나, 모니터의 특정 디자인을 고려하여 홈부 등이 형성된 특정 위치에 특정한 형태로만 그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 조명을 분리,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그 작업이 번거롭고, 분리 및 교체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0228호(1999.01.15.공개, 발명의 명칭: 조명 장치가 설치된 모니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기용 모니터에 부착한 상태로 조명 상태를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에 의해 게임의 재미를 배가할 수 있으면서도, 그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다양한 사양의 모니터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는: 게임기의 모니터에 부착되는 모니터고정부; 빛을 발산하는 조명요소를 구비하여 상기 모니터고정부에 결합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모니터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명커버부; 및 상기 게임기의 이벤트 진행 상태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조명 상태를 조절, 변경하는 발광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고정부는, 상기 모니터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모니터에 결합되는 모니터결합부; 및 상기 모니터결합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조명커버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니터고정부는, 상기 모니터결합부의 두께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모니터결합부상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변형유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니터고정부는, 상기 모니터결합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모니터결합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휨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모니터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요소가 탑재되는 조명탑재부; 및 상기 조명탑재부와 연결되고, 상기 모니터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모니터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발광제어부를 이루는 전자부품이 탑재되는 부속탑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속탑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모니터의 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니터고정부의 후방 이동을 구속하도록 일측부가 상기 모니터고정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부속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커버부는,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부가 수용되는 오목한 조명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모니터고정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레일결합부; 및 상기 커버부의 개방단부를 커버하는 커버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에 의하면, 모니터와 별도로 제작된 후 모니터에 부착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모니터의 사용 환경 등에 따라 모니터에 선택적으로 탈부착시킬 수 있고, 다양한 사양의 모니터에 광범위하게 그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광제어부를 이용해 게임기의 이벤트 진행 상태에 따라 조명부의 조명 상태를 조절, 변경하는 것에 의해 게임의 재미를 배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에 의하면, 모니터에 조명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모니터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조명커버부의 형상과 조명부의 조명 상태에 따라 모니터의 디자인을 특화할 수 있으며, 조명커버부를 모니터고정부에 탈착시키는 것에 의해 디자인을 용이하게 변경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에 의하면, 모니터의 측면부에 그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측면부에 설치 시 전방, 후방, 측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부의 조명 상태를 가시할 수 있어 조명의 점등, 점멸, 변화 등에 따른 조명 효과를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를 일반적인 게임기용 모니터에 부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방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후방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를 일반적인 게임기용 모니터에 부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방측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후방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게임기(2)는 조작 버튼 등이 설치되는 게임기본체(3)와, 조작 버튼의 조작 상태, 게임기본체의 작동 상태 등에 연동하여 그 표시 상태가 변화되는 모니터(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1)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모니터(4)의 양측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측부와 우측부에 상하로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1)를 모니터(4)의 양측부에 설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1)에서 발산된 빛이 전방, 측방향, 후방을 포함한 전 방향을 향해 조명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조명장치(1)의 조명 상태를 전 방향에서 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1)를 모니터(4)의 양측부에 설치하면, 기존의 모니터용 조명장치가 모니터(4)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설치되어 전방에서만 또는 후방에서만 그 빛을 확인하게 되는 것과 비교해, 시인성(visibility)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4)의 이벤트조명장치(1)를 부착 시, 모니터(4)가 손상되지 않도록 모니터(4)를 커버하는 모니터케이스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1)는 모니터고정부(10), 조명부(20), 조명커버부(30), 발광제어부(40), 부속커버부(50)를 포함한다.
모니터고정부(10)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부재 등을 이용하여 모니터(4)에 부착, 결합되는 부재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고정부(10)는 모니터결합부(11), 가이드레일부(12), 변형유연부(13), 휨보강부(14)를 포함한다.
모니터결합부(11)는 체결부재나 접착부재 등에 의해 모니터(4)에 결합, 고정되는 부분으로, 모니터(4)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니터(4)의 측면부를 따라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결합부(11)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막대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그 일측부는 모니터(4)에 밀착될 수 있는 평면을 이루고, 그 타측부는 패널 형상을 가지는 조명부(20)의 조명탑재부(22)가 밀착될 수 있는 평면을 이루게 된다. 모니터결합부(11)상에는 체결부재, 조명부(20)의 부속탑재부(23) 등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관통홀부가 형성된다.
가이드레일부(12)는 조명커버부(30)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부분으로, 모니터결합부(11)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모니터결합부(11)의 전방부와 후방부상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레일부(12) 중 모니터결합부(11)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일측부는 그 단부가 후방을 향해 구부러지는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모니터고정부(10)의 전방부에는 후방을 향해 개방된 형상의 홈부가 형성된다. 가이드레일부(12) 중 모니터결합부(11)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타측부는 그 단부가 전방을 향해 구부러지는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모니터고정부(10)의 후방부에는 전방을 향해 개방된 형상의 홈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가이드레일부(12)에 의해 모니터고정부(10)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형성된 홈부상에, 조명커버부(30)의 레일결합부(34)를 하측으로부터 또는 상측으로부터 끼워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조명커버부(30)의 커버부(31)를 모니터결합부(11)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명조커버부(30)의 커버부(31)를 모니터결합부(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변형유연부(13)는 조명커버부(30)의 레일결합부(34)를 가이드레일부(12)의 홈부상에 억지끼움하여 슬라이딩 결합 시, 레일결합부(34)와 가이드레일부(12)가 무리하게 상호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는 요소이다. 변형유연부(13)는 모니터결합부(11) 중 가이드레일부(12)와 근접한 위치상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가이드레일부(12)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모니터결합부(11) 중 변형유연부(13)가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그 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조명커버부(30)와의 가압 접촉에 의해 가이드레일부(12)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가압력이 작용 시, 모니터결합부(11) 중 변형유연부(13)가 형성된 부분이 유연하게 구부러지면서, 모니터결합부(11)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위치한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12)간의 간격이 유연하게 신축 변형된다.
따라서, 변형유연부(13)에 의해 조명커버부(30)의 레일결합부(34)와 가이드레일부(12)가 무리하게 상호 압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명커버부(30)를 모니터고정부(10)에 보다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휨보강부(14)는 모니터결합부(11)의 휨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요소로, 모니터결합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모니터결합부(11)상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휨보강부(14)를 형성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가지는 모니터결합부(11)가 측방향으로, 즉 우측 또는 좌측으로 휘어지지 않고 직선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모니터결합부(11)의 휨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결합부(11)의 휨으로 인해 조명부(20)의 조명탑재부(22)가 휘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명부(20)는 빛을 발산하는 조명요소(21)를 구비하여 모니터고정부(10)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도 3,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부(20)는 조명요소(21), 조명탑재부(22), 부속탑재부(23)를 포함한다.
조명요소(21)는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이다. 조명요소(21)로는 CCFL(냉음극형광램프, Cold Cathode Flourescent Lamp), LED(발광다이오드, Light-Emitting Diode)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조명요소(21)는 서로 다른 점등 색상을 가지는 복수개가 조명탑재부(22)상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조명탑재부(22)는 복수개의 조명요소(21)가 탑재되는 부분으로, 복수개의 조명요소(21)가 결합될 수 있는 패널 형상을 가지고, 모니터결합부(11)의 평탄한 측면부상에 장착된다. 조명탑재부(22)는 복수개의 조명요소(21)를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속탑재부(23)는 제어부(40)를 구성하는 전자부품이 탑재되는 부분으로, 조명탑재부(22)와 일체로 연결된다. 부속탑재부(23)는 조명탑재부(22)를 모니터결합부(11)에 장착한 상태에서 모니터결합부(11)를 관통하여 모니터(4)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부속탑재부(23) 중 모니터결합부(11)와 접하는 일측부상에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부속탑재부(23)를 조명탑재부(22)와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제어부(4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전자부품은 조명요소(21)와 이격된 위치, 공간부상에 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요소(21)에서 발열되는 열기로 인해 제어부(40)를 이루는 전자부품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개의 조명요소(21)가 제어부(4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전자부품과의 간섭 없이 모니터결합부(11)의 전 면적에 걸쳐 자유롭게, 예를 들어 전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조명커버부(30)는 조명부(20)를 커버하면서 모니터고정부(10)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부재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커버부(30)는 커버부(31), 레일결합부(34), 커버마개부(35)를 포함한다.
커버부(31)는 조명부(20)의 조명요소(21) 및 조명탑재부(22)를 커버하는 부분으로, 조명요소(21)에서 발광되는 빛을 고르게 확산시킬 수 있는 광확산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커버부(31)는 빛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흩어져 퍼지게 되는 반투명한 PC(Poly 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31)는 측방향으로 오목하게 구부러진 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때, 커버부(31)의 내부에는 조명부(20)가 수용될 수 있는 조명수용공간부(3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상에는 커버부(31)는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3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31)는 가이드레일부(12)와 레일결합부(34)간의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모니터고정부(10)상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31)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1)의 용도, 기호,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재질과 단면 형상으로, 예를 들어,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 적용할 수 있다. 커버부(31)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1)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이므로, 이때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1)의 외형은 다양하게 변경 적용된다.
레일결합부(34)는 모니터고정부(10)의 가이드레일부(1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부분으로, 커버부(31)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커버부(31)의 전방부와 후방부상에 가이드레일부(12)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레일결합부(34) 중 커버부(31)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일측부는 그 단부가 전방을 향해 구부러지는 형상을 가지고, 가이드레일부(12) 중 전방부에 형성된 일측부의 홈부에 끼워진다. 또한, 레일결합부(34) 중 커버부(31)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타측부는 그 단부가 후방을 향해 구부러지는 형상을 가지고, 가이드레일부(12) 중 후방부에 형성된 타측부의 홈부에 끼워진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레일결합부(34)를, 가이드레일부(12)에 하측으로부터 또는 상측으로부터 끼워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조명커버부(30)의 커버부(31)를 모니터결합부(11)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명조커버부(30)의 커버부(31)를 모니터결합부(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부(31)를 모니터고정부(10)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 결합하는 과정에서, 커버부(31)가 조명요소(21), 조명탑재부(22)와 접촉,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부(31)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는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마개부(35)는 커버부(3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개방되게 형성된 개방단부(33)를 커버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레일부(12)에 레일결합부(34)를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커버부(31)를 모니터고정부(10)에 장착한 상태에서, 모니터고정부(10)의 상단부와 커버부(31)의 상단부 사이, 모니터고정부(10)의 하단부와 커버부(31)의 하단부 사이에는 개방부가 형성된다.
커버마개부(35)는, 커버부(31)를 모니터고정부(10)에 장착한 상태에서 모니터고정부(10)의 상단부와 커버부(31)의 상단부 사이, 모니터고정부(10)의 하단부와 커버부(31)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부(31)는 모니터고정부(10)의 하단부와 커버부(31)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커버마개부(35)상에는 모니터고정부(10)와 커버부(31)의 사이로 끼워질 수 있는 조립턱부가 형성되어, 조립턱부를 모니터고정부(10)와 커버부(31)의 사이에 끼우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그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조립턱부를 모니터고정부(10)와 커버부(31)의 사이로부터 빼내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그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제어부(40)는 모니터(4)가 설치되는 게임기(2)의 이벤트 진행 상태에 따라 조명부(20)의 조명 상태를 조절, 변경한다. 예를 들어, 게임기(2)에서 잭팟(jackpot)이 터지는 경우, 조명부(20)의 조명요소(21)가 평상 시보다 그 발광 상태가 화려하게 변화되도록 게임기(2)와 연동하여 조명부(20)의 조명 상태를 조절, 변경할 수 있다. 발광제어부(40)는 게임기(2)와 연동하여 조명부(20)의 조명 상태를 조절,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구비하여 부속탑재부(23)에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구현하는 발광제어부(40)의 구체적인 회로 구조, 이를 구현하는 전자부품 등에 대해서는 전자회로 분야의 공지기술을 따르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부속커버부(50)는 모니터(4)의 후방에 위치되는 부속탑재부(23) 및 이에 장착된 발광제어부(40)를 커버하도록 모니터(4)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속커버부(50)는 기판커버부(51), 모니터후면결합부(52), 상부조립부(53), 하부조립부(54), 스토퍼부(55)를 포함한다.
커버부(51)는 모니터(4)의 후방에 위치되는 부속탑재부(23)를 커버하는 부분으로, 패널 형상을 가지고 모니터(4) 및 부속탑재부(23)의 후방에 위치되고, 모니터(4)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모니터후면결합부(52)는 기판커버부(51)를 모니터(4)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기판커버부(51)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에 기판커버부(51)와 일체로 형성된다. 모니터후면결합부(52)는 기판커버부(5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돌출부와, 전방돌출부의 전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체결홀부가 형성된 수평연장부를 포함하여, 'ㄱ'자 종단면 형상을 가진다.
모니터후면결합부(52)가 상기와 같이 'ㄱ'자 종단면 형상을 가짐에 따라, 기판커버부(51)가 모니터(4)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니터(4)의 후면과 기판커버부(51)의 사이에 부속탑재부(23)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를 이용해 부속커버부(50)를 안정되게 모니터(4)의 후면부에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상부조립부(53)는 모니터(4)의 상면부와 접하는 부분으로, 기판커버부(51)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하부조립부(54)는 모니터(4)의 저면부와 접하는 부분으로, 기판커버부(51)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부조립부(53)와 하부조립부(54)는 부속탑재부(23)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커버하면서 모니터(4)측으로 연장되고, 모니터(4)의 상면부와 저면부에 각각 접하여 부속커버부(50)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스토퍼부(55)는 모니터고정부(10)의 후방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을 이루는 부분으로, 기판커버부(51)에서 모니터고정부(10)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토퍼부(55)는 기판커버부(51)를 기준으로 하여 모니터후면결합부(52)와 반대측에 형성된다. 모니터후면결합부(52)가 기판커버부(51)의 좌측부에 형성되면, 스토퍼부(55)는 기판커버부(51)의 우측부에 형성되고, 모니터후면결합부(52)가 기판커버부(51)의 우측부에 형성되면, 스토퍼부(55)는 기판커버부(51)의 좌측부에 형성된다.
부속커버부(50)를 모니터고정부(10)보다 먼저 모니터(4)에 설치한 경우, 모니터고정부(10)는 그 후단부를 접하도록 스토퍼부(55)에 위치시킴으로써 모니터(4)를 기준으로 하는 전후 방향 위치를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1)에 의하면, 모니터(4)와 별도로 제작된 후 모니터(4)에 부착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모니터(4)의 사용 환경 등에 따라 모니터(4)에 선택적으로 탈부착시킬 수 있고, 다양한 사양의 모니터(4)에 광범위하게 그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광제어부(40)를 이용해 게임기(2)의 이벤트 진행 상태에 따라 조명부(20)의 조명 상태를 조절, 변경하는 것에 의해 게임의 재미를 배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1)에 의하면, 모니터(4)에 조명부(2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모니터(4)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조명커버부(30)의 형상과 조명부(20)의 조명 상태에 따라 모니터(4)의 디자인을 특화할 수 있으며, 조명커버부(30)를 모니터고정부(10)에 탈착시키는 것에 의해 디자인을 용이하게 변경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1)에 의하면, 모니터(4)의 측면부에 그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측면부에 설치 시 전방, 후방, 측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부(20)의 조명 상태를 가시할 수 있어 조명의 점등, 점멸, 변화 등에 따른 조명 효과를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이벤트조명장치 2 : 게임기
3 : 게임기본체 4 : 모니터
10 : 모니터고정부 11 : 모니터결합부
12 : 가이드레일부 13 : 변형유연부
14 : 휨보강부 20 : 조명부
21 : 조명요소 22 : 조명탑재부
23 : 부속탑재부 30 : 조명커버부
31 : 커버부 32 : 조명수용공간부
33 : 개방단부 34 : 레일결합부
35 : 커버마개부 40 : 발광제어부
50 : 부속커버부 51 : 기판커버부
52 : 모니터후면결합부 53 : 상부조립부
54 : 하부조립부 55 : 스토퍼부

Claims (7)

  1. 게임기의 모니터에 부착되는 모니터고정부;
    빛을 발산하는 조명요소를 구비하여 상기 모니터고정부에 결합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모니터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명커버부; 및
    상기 게임기의 이벤트 진행 상태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조명 상태를 조절, 변경하는 발광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요소가 탑재되고, 상기 모니터고정부에 설치되는 조명탑재부; 및
    상기 조명탑재부 중 상기 모니터고정부와 접하는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제어부를 이루는 전자부품이 탑재되며, 상기 조명요소의 발열로 인해 상기 발광제어부를 구성하는 전자부품이 손상되지 않게 상기 조명탑재부를 상기 모니터고정부에 장착 시 상기 모니터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조명요소와 이격된 공간부 상에 배치되는 부속탑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고정부는,
    상기 모니터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모니터에 결합되는 모니터결합부;
    상기 모니터결합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조명커버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모니터결합부의 두께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모니터결합부상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변형유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게임기의 모니터에 부착되는 모니터고정부;
    빛을 발산하는 조명요소를 구비하여 상기 모니터고정부에 결합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모니터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명커버부; 및
    상기 게임기의 이벤트 진행 상태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조명 상태를 조절, 변경하는 발광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요소가 탑재되고, 상기 모니터고정부에 설치되는 조명탑재부; 및
    상기 조명탑재부 중 상기 모니터고정부와 접하는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제어부를 이루는 전자부품이 탑재되며, 상기 조명요소의 발열로 인해 상기 발광제어부를 구성하는 전자부품이 손상되지 않게 상기 조명탑재부를 상기 모니터고정부에 장착 시 상기 모니터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조명요소와 이격된 공간부 상에 배치되는 부속탑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고정부는,
    상기 모니터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모니터에 결합되는 모니터결합부;
    상기 모니터결합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조명커버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모니터결합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모니터결합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휨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탑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모니터의 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니터고정부의 후방 이동을 구속하도록 일측부가 상기 모니터고정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부속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커버부는,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부가 수용되는 오목한 조명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모니터고정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레일결합부; 및
    상기 커버부의 개방단부를 커버하는 커버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
KR1020150016339A 2015-02-02 2015-02-02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 Active KR102242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339A KR102242471B1 (ko) 2015-02-02 2015-02-02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339A KR102242471B1 (ko) 2015-02-02 2015-02-02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302A KR20160095302A (ko) 2016-08-11
KR102242471B1 true KR102242471B1 (ko) 2021-04-21

Family

ID=5671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339A Active KR102242471B1 (ko) 2015-02-02 2015-02-02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47102B2 (en) 2023-01-19 2024-11-19 Kortek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with decorative lighting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026Y1 (ko) * 2003-07-08 2003-10-04 서재홍 광고용 조명장치
KR100612622B1 (ko) * 2006-05-16 2006-08-14 주식회사 누리플랜 캡슐식 라인형 엘이디 조명등
JP2013191470A (ja) * 2012-03-14 2013-09-26 Kubota Denshi Kk Led照明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633U (ko) * 2009-02-23 2010-09-01 최해용 평면디스플레이용 사운드 램프장치.
KR102033765B1 (ko) * 2013-06-13 2019-10-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026Y1 (ko) * 2003-07-08 2003-10-04 서재홍 광고용 조명장치
KR100612622B1 (ko) * 2006-05-16 2006-08-14 주식회사 누리플랜 캡슐식 라인형 엘이디 조명등
JP2013191470A (ja) * 2012-03-14 2013-09-26 Kubota Denshi Kk Led照明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47102B2 (en) 2023-01-19 2024-11-19 Kortek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with decorative light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302A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5552B2 (en) Control panel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P2031112B1 (en) Clothes handling apparatus having button for control panel assembly
JP5060628B2 (ja) 電子機器
US20110317415A1 (en) Electronic device
US11895784B2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KR102242471B1 (ko) 게임기용 모니터의 이벤트조명장치
JP6104734B2 (ja)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ランタン
KR101049126B1 (ko) 컨트롤 패널의 엘이디 윈도우 구조
US20090010002A1 (en) Light-reflecting and light-shielding apparatus of computer panel
US20070153529A1 (en) Light-reflecting and light-shielding apparatus of computer panel
KR101726036B1 (ko) 단말기
US8931941B2 (en) Vehicular light-emitting diode light providing uniform wider illumination
KR20090126384A (ko) 상·하 양방향 조명용 엘이디 조명등
CN215597892U (zh) 箱体组件和冰箱
US20140340878A1 (en) Led illuminating showcase
KR20170018612A (ko) 엘이디 면조명 장치
KR20090092551A (ko) 버튼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세탁장치
KR100672407B1 (ko) 컨트롤 패널의 엘이디 윈도우 구조
JP7464908B2 (ja) 誘導灯
KR100909002B1 (ko) 인디케이터용 조명장치
CN214338250U (zh) 一种面板结构及电子设备
ITBO20090060U1 (it) Pulsante luminoso
CN210130026U (zh) 发光机壳
KR101647726B1 (ko) 스탠드
KR19980024443U (ko) 발광다이오드가 일체화된 푸쉬버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2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