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41091B1 - 명도가 개선된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명도가 개선된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091B1
KR102241091B1 KR1020190166236A KR20190166236A KR102241091B1 KR 102241091 B1 KR102241091 B1 KR 102241091B1 KR 1020190166236 A KR1020190166236 A KR 1020190166236A KR 20190166236 A KR20190166236 A KR 20190166236A KR 102241091 B1 KR102241091 B1 KR 102241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powder
precursor
sio
coba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진
이나리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66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0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발트 전구체와 알루미늄 전구체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코발트 전구체와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의 혼합용액에 염기성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염기성 물질이 혼합된 용액을 파라폴리페놀(PPL; Para-polyphenol) 재질의 수열반응기에 담아 완전 밀폐하는 단계와, 상기 파라폴리페놀(PPL)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오븐에 넣고, 210∼275℃의 온도에서 유지하여 수열반응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열반응에 의해 형성된 침전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해내고, 세척 및 건조하여 CoAl2O4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CoAl2O4 분말을 용매에 첨가하고, 표면개질제를 첨가하여 CoAl2O4 분말의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와, 상기 CoAl2O4 분말이 표면개질된 결과물에 SiO2 전구체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반응 결과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해내고, 세척 및 건조하여 SiO2가 코팅된 CoAl2O4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200℃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열반응이 가능한 파라폴리페놀(PPL; Para-polyphenol)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활용하여 열처리 과정 전에도 높은 순도의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Cobalt aluminum oxide)를 합성할 수 있고, CoAl2O4 분말에 SiO2가 코팅되게 함으로써 SiO2를 코팅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명암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명도가 개선된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balt aluminum oxide}
본 발명은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PTFE(테프론) 재질의 수열반응기는 합성온도를 200℃ 이상 올릴 수 없어 수열반응 이후 약 800℃ 이상의 고온에서 열처리 과정을 통하여 색상(b* 값)을 제어하여야 하는데, 그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수열반응이 가능한 파라폴리페놀(PPL; Para-polyphenol)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활용하여 열처리 과정 전에도 높은 순도의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Cobalt aluminum oxide)를 합성할 수 있고, CoAl2O4 분말에 SiO2가 코팅되게 함으로써 SiO2를 코팅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명암 조절이 가능할 수 있는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발트 산화물은 전이금속 산화물계 재료 중에서 각광받는 재료이다.
코발트 산화물 촉매에서, 코발트는 보통 실리카,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알루미나와 같은 담체 상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알루미나(알루미늄산화물)는 절연성, 내열성, 내마모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전기기기의 절연 부품이나 도가니, 배기가스용 부품 등의 내화물, 치과용 임플란트나 의료용 골 접합 부품 등의 슬라이딩 부품으로서 다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6638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PTFE(테프론) 재질의 수열반응기는 합성온도를 200℃ 이상 올릴 수 없어 수열반응 이후 약 800℃ 이상의 고온에서 열처리 과정을 통하여 색상(b* 값)을 제어하여야 하는데, 그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수열반응이 가능한 파라폴리페놀(PPL; Para-polyphenol)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활용하여 열처리 과정 전에도 높은 순도의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Cobalt aluminum oxide)를 합성할 수 있고, CoAl2O4 분말에 SiO2가 코팅되게 함으로써 SiO2를 코팅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명암 조절이 가능할 수 있는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코발트 전구체와 알루미늄 전구체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코발트 전구체와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의 혼합용액에 염기성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염기성 물질이 혼합된 용액을 파라폴리페놀(PPL; Para-polyphenol) 재질의 수열반응기에 담아 완전 밀폐하는 단계와, 상기 파라폴리페놀(PPL)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오븐에 넣고, 210∼275℃의 온도에서 유지하여 수열반응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열반응에 의해 형성된 침전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해내고, 세척 및 건조하여 CoAl2O4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CoAl2O4 분말을 용매에 첨가하고, 표면개질제를 첨가하여 CoAl2O4 분말의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와, 상기 CoAl2O4 분말이 표면개질된 결과물에 SiO2 전구체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반응 결과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해내고, 세척 및 건조하여 SiO2가 코팅된 CoAl2O4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Co와 Al의 몰비가 1:2-x(여기서, 0≤x<1)를 이루도록 상기 코발트 전구체와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의 함량을 조절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코발트 전구체는 CoCl2 수화물 및 Co(NO3)2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는 AlCl3 수화물 및 Al(NO3)3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기성 물질은 NaOH 및 KO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기성 물질을 혼합하여 pH가 9∼13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개질제는 NH4OH 및 NH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iO2 전구체는 TEOS(tetraethyl orthosilicate) 및 Na2Si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PTFE(테프론) 재질의 수열반응기는 합성온도를 200℃ 이상 올릴 수 없어 수열반응 이후 약 800℃ 이상의 고온에서 열처리 과정을 통하여 색상(b* 값)을 제어하여야 하는데, 그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수열반응이 가능한 파라폴리페놀(PPL; Para-polyphenol)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활용하여 열처리 과정 전에도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Cobalt aluminum oxide)를 합성할 수가 있고, AlO(OH) 결정상의 분포 비율은 낮으면서 CoAl2O4 결정상이 주로 분포하는 순도 높은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Cobalt aluminum oxide)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라폴리페놀(PPL; Para-polyphenol)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활용하여 고온(210∼275℃)에서 수열반응을 진행함으로써 색도(b*의 절대값)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CoAl2O4 분말에 SiO2가 코팅되게 함으로써 SiO2를 코팅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명암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라 제조된 CoAl2O4 분말의 X-선회절(XRD; X-ray diffraction)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CoAl2O4 분말의 X-선회절(XRD)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CoAl2O4 분말의 색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CoAl2O4 분말의 투과전자현미경(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도 5는 실험예 3에 따라 제조된 SiO2 코팅 CoAl2O4 분말(SiO2가 코팅된 CoAl2O4 분말)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이다.
도 6은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CoAl2O4 분말과 실험예 3에 따라 제조된 SiO2 코팅 CoAl2O4 분말(SiO2가 코팅된 CoAl2O4 분말)의 색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은, 코발트 전구체와 알루미늄 전구체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코발트 전구체와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의 혼합용액에 염기성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염기성 물질이 혼합된 용액을 파라폴리페놀(PPL; Para-polyphenol) 재질의 수열반응기에 담아 완전 밀폐하는 단계와, 상기 파라폴리페놀(PPL)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오븐에 넣고, 210∼275℃의 온도에서 유지하여 수열반응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열반응에 의해 형성된 침전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해내고, 세척 및 건조하여 CoAl2O4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CoAl2O4 분말을 용매에 첨가하고, 표면개질제를 첨가하여 CoAl2O4 분말의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와, 상기 CoAl2O4 분말이 표면개질된 결과물에 SiO2 전구체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반응 결과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해내고, 세척 및 건조하여 SiO2가 코팅된 CoAl2O4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o와 Al의 몰비가 1:2-x(여기서, 0≤x<1)를 이루도록 상기 코발트 전구체와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의 함량을 조절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코발트 전구체는 CoCl2 수화물 및 Co(NO3)2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는 AlCl3 수화물 및 Al(NO3)3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기성 물질은 NaOH 및 KO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기성 물질을 혼합하여 pH가 9∼13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개질제는 NH4OH 및 NH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iO2 전구체는 TEOS(tetraethyl orthosilicate) 및 Na2Si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액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코발트 전구체와 알루미늄 전구체를 혼합한다. 상기 코발트 전구체는 CoCl2 수화물 및 Co(NO3)2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는 AlCl3 수화물 및 Al(NO3)3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o와 Al의 몰비가 1:2-x(여기서, 0≤x<1)를 이루도록 상기 코발트 전구체와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의 함량을 조절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코발트 전구체와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의 혼합용액에 염기성 물질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한다. 상기 염기성 물질은 NaOH 및 KO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pH 9∼13 정도를 이루도록 상기 염기성 물질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은 100∼1500rp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1000rpm 정도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기성 물질이 혼합된 용액을 파라폴리페놀(PPL; Para-polyphenol) 재질의 수열반응기에 담아 완전 밀폐한다. 테프론은 최대 200℃ 정도의 온도까지 견딜 수 있어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수열반응을 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으나, 파라폴리페놀(PPL; Para-polyphenol)은 최대 280℃ 정도의 온도까지 견딜 수가 있다.
상기 파라폴리페놀(PPL)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오븐에 넣고, 210∼275℃의 온도에서 유지하여 수열반응시킨다. 상기 수열반응은 1∼48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6∼24시간 정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라폴리페놀(PPL; Para-polyphenol)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활용하여 열처리 과정 전에도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Cobalt aluminum oxide)를 합성할 수가 있고, AlO(OH) 결정상의 분포 비율은 낮으면서 CoAl2O4 결정상이 주로 분포하는 순도 높은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Cobalt aluminum oxide)를 합성할 수 있다. 기존 PTFE(테프론) 재질의 수열반응기는 합성온도를 200℃ 이상 올릴 수 없어 수열반응 이후 약 800℃ 이상의 고온에서 열처리 과정을 통하여 색상(b* 값)을 제어하여야 하는데, 그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수열반응이 가능한 파라폴리페놀(PPL; Para-polyphenol)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활용하여 열처리 과정 전에도 높은 순도의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Cobalt aluminum oxide)를 합성할 수 있다.
상기 수열반응에 의해 형성된 침전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해내고, 세척 및 건조한다. 선택적 분리는 원심분리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세척은 증류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40∼90℃ 정도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된 CoAl2O4 분말을 용매에 첨가하고, 표면개질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CoAl2O4 분말의 표면을 개질한다. 상기 교반은 10∼1000rp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800rpm 정도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개질제는 NH4OH 및 NH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액일 수 있다. 표면개질은 SiO2가 CoAl2O4 분말에 코팅이 잘 되게 하면서 균일하게 코팅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CoAl2O4 분말이 표면개질된 결과물에 SiO2 전구체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반응시킨다. 상기 교반은 10∼1000rp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800rpm 정도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iO2 전구체는 TEOS(tetraethyl orthosilicate) 및 Na2Si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응 결과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해내고, 세척 및 건조하여 SiO2가 코팅된 CoAl2O4 분말을 수득한다. 선택적 분리는 원심분리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세척은 증류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40∼90℃ 정도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O2가 코팅된 CoAl2O4 분말은 SiO2를 코팅하지 않은 CoAl2O4 분말에 비하여 색도 L* 값(명도)이 증가한다다. CoAl2O4 분말에 SiO2가 코팅되게 함으로써 SiO2를 코팅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명암 조절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다음에 제시하는 실험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코발트 전구체와 알루미늄 전구체를 혼합하였다. 상기 코발트 전구체는 CoCl2·6H2O를 사용하였다.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는 AlCl3·6H2O를 사용하였다. Co와 Al의 몰비가 1:2를 이루도록 상기 코발트 전구체와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의 함량을 조절하여 혼합하였다.
코발트 전구체와 알루미늄 전구체의 혼합용액에 KOH를 혼합하여 pH 12가 되게 하고, 상온(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은 850rpm 정도의 회전속도로 수행하였다.
상기 KOH가 혼합된 용액을 테프론(PTFE; 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수열반응기에 담아 완전 밀폐하고, 상기 테프론(PTFE)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건조 오븐에 넣은 후, 상기 건조 오븐에서 180℃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유지하여 수열반응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상기 수열반응 후에 상온(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수열반응된 결과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8,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해내고, 선택적으로 분리해낸 침전물을 증류수로 3회 세척하고, 8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하여 CoAl2O4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2>
코발트 전구체와 알루미늄 전구체를 혼합하였다. 상기 코발트 전구체는 Co(NO3)2·6H2O를 사용하였다.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는 Al(NO3)3·9H2O를 사용하였다. Co와 Al의 몰비가 1:2를 이루도록 상기 코발트 전구체와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의 함량을 조절하여 혼합하였다.
코발트 전구체와 알루미늄 전구체의 혼합용액에 NaOH를 혼합하여 pH 12가 되게 하고, 상온(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은 850rpm 정도의 회전속도로 수행하였다.
상기 NaOH가 혼합된 용액을 파라폴리페놀(PPL; Para-polyphenol) 재질의 수열반응기에 담아 완전 밀폐하고, 상기 파라폴리페놀(PPL)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건조 오븐에 넣은 후, 상기 건조 오븐에서 240℃의 온도에서 20시간 동안 유지하여 수열반응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상기 수열반응 후에 상온(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수열반응된 결과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8,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해내고, 선택적으로 분리해낸 침전물을 증류수로 3회 세척하고, 8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하여 CoAl2O4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3>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CoAl2O4 분말 0.2g을 증류수 50㎖와 에탄올 50㎖의 혼합액에 첨가하고, 여기에 NH4OH를 첨가한 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은 300rpm 정도의 회전속도로 수행하였다.
NH4OH 600㎕가 혼합된 결과물에 TEOS(tetraethyl orthosilicate) 400㎕를 첨가하고, 상온(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상기 교반은 300rpm 정도의 회전속도로 수행하였다.
반응 결과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8,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해내고, 선택적으로 분리해낸 침전물을 증류수로 3회 세척하고, 8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하여 SiO2가 코팅된 CoAl2O4 분말을 수득하였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라 제조된 CoAl2O4 분말의 X-선회절(XRD; X-ray diffraction)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CoAl2O4 분말의 X-선회절(XRD)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험예 1에 따라 제조된 CoAl2O4 분말은 AlO(OH) 결정상과 CoAl2O4 결정상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AlO(OH) 결정상이 주 피크(peak)를 이루는 것으로 판단하여 보건데 CoAl2O4 결정상보다는 AlO(OH) 결정상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CoAl2O4 분말은 CoAl2O4 결정상, AlO(OH) 결정상, Al3Co 결정상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CoAl2O4 결정상이 주 피크(peak)를 이루는 것으로 판단하여 보건데 CoAl2O4 결정상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1에서는 테프론(PTFE)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이용하여 180℃에서 수열반응을 시켜 CoAl2O4 분말을 수득하였는데 AlO(OH) 결정상이 주류를 이루었고, 실험예 2에서는 파라폴리페놀(PPL)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이용하여 240℃에서 수열반응을 시켜 CoAl2O4 분말을 수득하였는데 CoAl2O4 결정상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와 같이 240℃로 수열 합성온도를 높이면 AlOOH 결정상에서 CoAl2O4 결정상으로 상전이가 가능하여 수열반응에 의해 CoAl2O4 결정상이 보다 많이 생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 3은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CoAl2O4 분말의 색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CoAl2O4 분말의 색도 값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L* a* b*
실험예 1 78.03 7.81 -5.39
실험예 2 40.87 -12.33 -11.70
도 3 및 표 1을 참조하면, 파라폴리페놀(PPL)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이용하여 합성온도를 240℃까지 승온한 결과 색도(b*의 절대값)이 증가하였다.
도 4는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CoAl2O4 분말의 투과전자현미경(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고, 도 5는 실험예 3에 따라 제조된 SiO2 코팅 CoAl2O4 분말(SiO2가 코팅된 CoAl2O4 분말)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이다.
도 6은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CoAl2O4 분말과 실험예 3에 따라 제조된 SiO2 코팅 CoAl2O4 분말(SiO2가 코팅된 CoAl2O4 분말)의 색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CoAl2O4 분말과 실험예 3에 따라 제조된 SiO2 코팅 CoAl2O4 분말(SiO2가 코팅된 CoAl2O4 분말)의 색도 값을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L* a* b*
실험예 2 40.87 -12.33 -11.70
실험예 3 49.71 -13.45 -10.58
도 6 및 표 2를 참조하면, 실험예 3에 따라 CoAl2O4 분말에 SiO2를 코팅한 경우에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CoAl2O4 분말(SiO2를 코팅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색도 L* 값(명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Al2O4 분말에 SiO2가 코팅되게 함으로써 SiO2를 코팅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명암 조절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9)

  1. 코발트 전구체와 알루미늄 전구체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코발트 전구체와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의 혼합용액에 염기성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염기성 물질이 혼합된 용액을 파라폴리페놀(PPL; Para-polyphenol) 재질의 수열반응기에 담아 완전 밀폐하는 단계;
    상기 파라폴리페놀(PPL) 재질의 수열반응기를 오븐에 넣고, 210∼275℃의 온도에서 유지하여 수열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수열반응에 의해 형성된 침전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해내고, 세척 및 건조하여 CoAl2O4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CoAl2O4 분말을 용매에 첨가하고, 표면개질제를 첨가하여 CoAl2O4 분말의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
    상기 CoAl2O4 분말이 표면개질된 결과물에 SiO2 전구체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반응 결과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해내고, 세척 및 건조하여 SiO2가 코팅된 CoAl2O4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o와 Al의 몰비가 1:2-x(여기서, 0≤x<1)를 이루도록 상기 코발트 전구체와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의 함량을 조절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 전구체는 CoCl2 수화물 및 Co(NO3)2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는 AlCl3 수화물 및 Al(NO3)3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물질은 NaOH 및 KO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물질을 혼합하여 pH가 9∼13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제는 NH4OH 및 NH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iO2 전구체는 TEOS(tetraethyl orthosilicate) 및 Na2Si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KR1020190166236A 2019-12-13 2019-12-13 명도가 개선된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Active KR102241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236A KR102241091B1 (ko) 2019-12-13 2019-12-13 명도가 개선된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236A KR102241091B1 (ko) 2019-12-13 2019-12-13 명도가 개선된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091B1 true KR102241091B1 (ko) 2021-04-19

Family

ID=75718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236A Active KR102241091B1 (ko) 2019-12-13 2019-12-13 명도가 개선된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0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385B1 (ko) 1994-08-02 2003-05-16 임페리알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피엘씨 알루미나상의코발트촉매
KR20030059725A (ko) * 2002-01-04 2003-07-10 주식회사 엘지화학 α-알루미나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20040013384A (ko) * 2002-08-06 2004-02-14 삼성코닝 주식회사 결정성 금속산화물의 제조방법
KR101738332B1 (ko) * 2016-06-15 2017-05-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루미나 분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824871B1 (ko) * 2016-11-17 2018-02-02 한국세라믹기술원 흑색 안료 분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385B1 (ko) 1994-08-02 2003-05-16 임페리알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피엘씨 알루미나상의코발트촉매
KR20030059725A (ko) * 2002-01-04 2003-07-10 주식회사 엘지화학 α-알루미나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20040013384A (ko) * 2002-08-06 2004-02-14 삼성코닝 주식회사 결정성 금속산화물의 제조방법
KR101738332B1 (ko) * 2016-06-15 2017-05-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루미나 분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824871B1 (ko) * 2016-11-17 2018-02-02 한국세라믹기술원 흑색 안료 분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khimi et al. Dependence of boehmite thermal evolution on its atom bond lengths and crystallite size
US5152229A (en) Zinc sulfide or selenosulfide material
Zou et al. Yellow β-Bi2O3/BaCO3 complex pigments with impressive near infrared reflectance and excellent color performance
KR102241091B1 (ko) 명도가 개선된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Zheng et al. Hydrotherm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erovskite-type Ba2SbMO6 (M= In, Y, Nd) oxides
KR102352363B1 (ko) 코발트알루미늄옥사이드의 제조방법
KR20180070015A (ko) 써모크로믹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갖는 이산화바나듐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바나듐 박막의 제조방법
KR20040005662A (ko) Al 치환 적철광의 제조 방법
KR102401044B1 (ko) 세슘 납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입자의 제조방법
Uegaito et al. Effect of heat treatments on the luminescence properties of Zn2SiO4: Mn2+ phosphors prepared by glycothermal methods
KR101738332B1 (ko) 알루미나 분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316751B1 (ko) 침상형 황산마그네슘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2555604B1 (ko) 실리카 코팅 수산화구리 분말의 제조방법
KR101916905B1 (ko) 촉매 연속첨가를 이용해 입경제어와 고속합성이 가능한 실리카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실리카졸
JP5778264B2 (ja) 置換酸化ニオブスズ顔料
Park et al. Monitoring and analysis of the seed-directed growth of micro-sized hexapod coordination polymers
KR101848364B1 (ko) 형광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6753B1 (ko) 황산을 이용한 침상형 황산마그네슘화합물의 제조방법
EP1621519A1 (en) Alkaline - earth metal carbonate core coated with at least one Group IV transition metal compound
KR101990215B1 (ko) 균일하게 실리카 코팅된 자성 마이크로 입자의 합성 및 이의 올레핀 산화반응을 위한 불균일상 촉매로의 응용
CN112480922A (zh) 一种全色发光的单相荧光粉及其制备方法
Rahman et al. The formation of β-Sialon in the carbothermal reduction of digested rice husks
KR102451364B1 (ko) 산화마그네슘을 이용한 침상형 황산마그네슘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0232803B1 (ko) 발광성 티탄산 바륨의 제조 방법
KR20240129209A (ko) 복합 산화물 입자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필러, 필러 함유 슬러리 조성물, 그리고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