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511B1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Google Patents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0511B1 KR102240511B1 KR1020170184480A KR20170184480A KR102240511B1 KR 102240511 B1 KR102240511 B1 KR 102240511B1 KR 1020170184480 A KR1020170184480 A KR 1020170184480A KR 20170184480 A KR20170184480 A KR 20170184480A KR 102240511 B1 KR102240511 B1 KR 1022405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ling
- middle case
- fuel cell
- case
- hollow fi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7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4382 pot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9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5518 polymer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75 Eboni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57 Nafi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7 Polyether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491 Polyphenyl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907903 Shor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01 polyether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7 re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352 storage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26—Humidifying
- H01M8/04149—Humidifying by diffusion, e.g. making use of membran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인 조립 구조에 의해 고온/고압/다습 환경 내에서 기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연료전지 막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막가습기는,
복수의 중공사막이 집적 형성되는 중공사막 모듈이 수용되는 미들 케이스; 상기 미들 케이스와 결합되는 캡 케이스;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단부에 형성된 포팅부; 상기 포팅부와 상기 미들 케이스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미들 케이스 내부 및 상기 미들 케이스와 상기 캡 케이스 사이를 동시에 밀봉하는 씰링부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capable of performing an airtight function in a high temperature / high pressure / high humidity environment by a mechanical assembly structure,
The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ddle case in which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s are integrally formed is accommodated; A cap case coupled to the middle case; A potting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otting part and an end portion of the middle case, and sealing the inside of the middle case and between the middle case and the cap case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료전지 막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계적인 조립 구조에 의해 고온/고압/다습 환경 내에서 기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연료전지 막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capable of performing an airtight function in a high temperature/high pressure/humidity environment by a mechanical assembly structure.
연료 전지란 수소와 산소를 결합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發電)형 전지이다. 연료 전지는 건전지나 축전지 등 일반 화학전지와 달리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는 한 계속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열손실이 없어 내연기관보다 효율이 2배가량 높다는 장점이 있다. A fuel cell is a power generation type cell that generates electricity by combining hydrogen and oxygen. Unlike general chemical cells such as dry cells and storage cells, fuel cell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inuously produce electricity as long as hydrogen and oxygen are supplied, and that their efficiency is twice as high as tha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because there is no heat loss.
또한, 수소와 산소의 결합에 의해 발생하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공해물질 배출이 낮다. 따라서, 연료 전지는 환경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 증가에 따른 자원 고갈에 대한 걱정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In addition, since chemical energy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hydrogen and oxygen is directly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emission of pollutants is low. Therefore, the fuel cell is not only environmentally friendly, but also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worry of resource depletion due to an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이러한 연료 전지는 사용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크게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인산형 연료 전지(PAFC), 용융 탄산염형 연료 전지(MCFC),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SOFC), 및 알칼리형 연료 전지(AFC)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lyte used, these fuel cells are largely a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PEMFC), a phosphoric acid fuel cell (PAFC), a 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 and a solid oxide fuel cell ( SOFC), and alkaline fuel cells (AFC).
이들 각각의 연료 전지는 근본적으로 동일한 원리에 의해 작동하지만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 운전 온도, 촉매, 전해질 등이 서로 다르다. 이 가운데서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는 다른 연료 전지에 비해 저온에서 동작한다는 점, 및 출력밀도가 커서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소규모 거치형 발전장비뿐만 아니라 수송 시스템에서도 가장 유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Each of these fuel cells basically operates on the same principle, but differs in the type of fuel used, operating temperature, catalyst, electrolyte, etc. Among them, the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is known to be the most promising not only for small-scale stationary power generation equipment but also for transportation systems because it operates at a lower temperature than other fuel cells and can be miniaturized due to its high power density.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막-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의 고분자 전해질 막(Polymer Electrolyte Membrane 또는 Proton Exchange Membrane: PEM)에 일정량 이상의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함수율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고분자 전해질 막이 건조되면 발전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이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is to supply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to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or Proton Exchange Membrane: PEM) of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MEA). By doing this, the moisture content is maintained. This is because, whe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dried,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rapidly decreases.
고분자 전해질 막을 가습하는 방법으로는, 1) 내압용기에 물을 채운 후 대상 기체를 확산기(diffuser)로 통과시켜 수분을 공급하는 버블러(bubbler) 가습 방식, 2) 연료 전지 반응에 필요한 공급 수분량을 계산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가스 유동관에 직접 수분을 공급하는 직접 분사(direct injection) 방식, 및 3) 고분자 분리막을 이용하여 가스의 유동층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 막 방식 등이 있다. As a method of humidify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 a bubbler humidification method in which water is filled in an internal pressure vessel and then the target gas is passed through a diffuser to supply moisture, and 2)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for the fuel cell reaction is determined. There are a direct injection method in which moisture is directly supplied to the gas flow pipe through a solenoid valve by calculation, and a humidification membrane method in which moisture is supplied to a fluidized bed of gas using a polymer separator.
이들 중에서도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수증기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막을 이용하여 수증기를 고분자 전해질 막에 공급되는 가스에 제공함으로써 고분자 전해질 막을 가습하는 가습막 방식이 가습기를 경량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Among these, the humidification membrane method of humidify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by providing water vapor to the gas supplied to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by using a membrane that selectively permeates only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is advantageous in that the humidifier can be made lighter and smaller.
가습 막 방식에 사용되는 선택적 투과막은 모듈을 형성할 경우 단위 체적당 투과 면적이 큰 중공사막이 바람직하다. 즉, 중공사막을 이용하여 막가습기를 제조할 경우 접촉 표면적이 넓은 중공사막의 고집적화가 가능하여 소용량으로도 연료 전지의 가습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고, 저가 소재의 사용이 가능하며, 연료 전지에서 고온으로 배출되는 미반응 가스에 포함된 수분과 열을 회수하여 가습기를 통해 재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The selective permeable membrane used in the humidification membrane method is preferably a hollow fiber membrane having a large permeable area per unit volume when forming a module. In other words, when manufacturing a membrane humidifier using a hollow fiber membrane, high integra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with a large contact surface area is possible, so that the humidification of the fuel cell can be sufficiently achieved even with a small capacity, and the use of inexpensive materials is possible, and at a high temperature in a fuel cell.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use moisture and heat contained in the discharged unreacted gas through a humidifier.
한편, 일반적인 연료전지 막가습기는, 하우징부 내부에 중공사막이 수용되고, 포팅부에 의해 중공사막은 하우징부 내벽에 접착된다. 중공사막은 스택의 원하는 출력 값에 따라 특정한 가닥의 수가 하우징부 내에 수용되며 포팅부에 의해 하우징부에 접착 및 고정된다. 연료전지 막가습기에는 블로워로부터 유입된 고온의 공기와 스택으로부터 유입된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입된다. 포팅부는 열팽창, 열수축률이 커서 하우징부와 포팅부 사이의 빈틈이 생기게 되고, 이를 통해 공기가 누출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부와 포팅부 사이에는 실란트가 도포된다.Meanwhile, in a typical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 hollow fiber membrane is accommodated in a housing part,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adhered to an inner wall of the housing part by a potting part.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art according to the desired output value of the stack, and is adhered and fixed to the housing part by the potting part. The high-temperature air introduced from the blower and the high-temperature and high-humidity air introduced from the stack are introduced into the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The potting portion has a high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and heat contraction, so that a gap between the housing portion and the potting portion is created, through which air leaks. To prevent this, a sealant is applied between the housing part and the potting part.
공기가 누출될 경우, 블로워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연료전지 막가습기에서 누출되어 스택에 유입된 공기의 양이 작아지기 때문에 실제 스택에서 원하는 유입량보다 더 많은 양을 블로워에서 부가적으로 공급해주어야 하므로 블로워의 전력량이 커지고, 이는 시스템 전력 손실로 이어진다. 따라서, 최대한 누출이 없도록 하는 것이 전체적인 전력 효율 측면에서 유리하다.When air leaks, the air introduced from the blower leaks out of the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nd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stack decreases.Therefore, the blower must additionally supply a larger amount than the desired inflow amount from the actual stack. The amount of power increases, which leads to system power loss.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overall power efficiency to prevent leakage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기계적인 조립 구조에 의해 고온/고압/다습 환경 내에서 기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연료전지 막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capable of performing an airtight function in a high temperature/high pressure/humidity environment by a mechanical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막가습기는,A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복수의 중공사막이 수용되는 미들 케이스; 상기 미들 케이스와 결합되는 캡 케이스; 상기 복수의 중공사막 단부에 형성된 포팅부; 상기 포팅부와 상기 미들 케이스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미들 케이스 내부 및 상기 미들 케이스와 상기 캡 케이스 사이를 동시에 밀봉하는 씰링부재를 포함한다.A middle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s are accommodated; A cap case coupled to the middle case; A potting part formed 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s; It is disposed between the potting portion and the end of the middle case, and includes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the inside of the middle case and between the middle case and the cap case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막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캡 케이스의 내벽에 접촉하며 상기 미들 케이스의 단부에 장착되는 제1 씰링부와, 상기 제1 씰링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포팅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member comprises a first sealing part that contacts an inner wall of the cap case and is mounted on an end of the middle case, and is formed inside the first sealing part. And a second sealing part formed to surround the potting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막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씰링부는, 상기 캡 케이스의 내벽에 접촉하면서 상기 미들 케이스의 단부에 장착되며 ㄷ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씰링 바디와, 상기 제1 씰링 바디의 일측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씰링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된 제1 씰링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aling portion is mounted on an end of the middle case whil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ap case, the first sealing body formed in a c shape, and the first sealing It may include a first sealing leg extending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body and formed to contact the second sealing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막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씰링부는, 상기 제1 씰링 레그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씰링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확장 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aling part is extended inwardly from an end of the first sealing leg, and is extended upwardly from the end thereof to surround the second sealing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 le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막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씰링부는, 상기 제1 씰링 바디의 타측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캡 케이스의 내벽 및 상기 미들 케이스의 단부와 접촉하는 제2 씰링 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aling part extends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sealing body and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cap case and the end of the middle case. It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le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막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씰링부는, 상기 포팅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 씰링 바디와, 상기 제1 씰링 바디에 삽입되는 씰링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ealing part may include a second sealing body formed to surround the potting part, and a sealing arm inserted into the first sealing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막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씰링부는 연질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씰링부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aling part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and the second sealing part may be made of a hard material.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embodiments according to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는, A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including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기계적인 조립 구조에 의해 고온/고압/다습 환경 내에서 기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Due to the mechanical assembly structure, it can perform the airtight function in a high temperature/high pressure/high humidity environment.
또한, 화학적인 기밀 방식이 아닌 기계적인 기밀 방식이므로, 종래의 화학적인 기밀 방식에 필요한 폴리우레탄/실런트 도포 및 경화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 단축, 작업효율 향상 및 대량생산 체제 구축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it is a mechanical airtight method rather than a chemical airtight method, it is possible to omit the polyurethane/sealant coating and curing process required for the conventional chemical airtight method, reducing working time,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establishing a mass production system. Do.
또한, 막가습기 내부에 배치되는 단위 카트리지 불량 발생시, 재작업성이 양호하여 부품 스크랩 비율을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defective unit cartridge disposed inside the membrane humidifier occurs, the reworkability is good, so that the parts scrap ratio can be lowered.
또한, 막가습기를 분해(볼트 해체)하여 해당 불량 카트리지만 교체하여 재조립하면 되므로 재작업성 및 부품의 재활용 면에서 유리하다.In addition, since the membrane humidifier needs to be disassembled (bolt dismantled) and reassembled by replacing only the defective cartridg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reworkability and recycling of part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막가습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막가습기가 도시된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씰링부재가 연료전지 막가습기를 밀봉하는 상태가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씰링부재가 연료전지 막가습기를 밀봉하는 상태가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씰링부재가 연료전지 막가습기를 밀봉하는 상태가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5의 씰링부재가 포팅부에 끼워지는 과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의 씰링부재가 포팅부에 끼워진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는 도 6의 씰링부재가 포팅부에 끼워지는 과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는 도 6의 씰링부재가 포팅부에 끼워진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illustrating a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of FIG. 4 seals the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10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of FIG. 5 seals the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11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of FIG. 6 seals the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ealing member of FIG. 5 is fitted into the potting part.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of FIG. 5 is fitted into the potting part.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ealing member of FIG. 6 is fitted into the potting part.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of FIG. 6 is fitted into the potting part.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and to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since various transformat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막가습기를 설명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include' or'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Hereinafter, a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막가습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막가습기는, 미들 케이스(110), 캡 케이스(120), 포팅부(130), 그리고 씰링부재(200)를 포함한다.1 and 2 are views illustrating a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미들 케이스(110)는 캡 케이스(120)와 결합하여 막가습기의 외형을 형성한다. 미들 케이스(110)와 캡 케이스(120)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경질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들 케이스(110)와 캡 케이스(120)는, 도 1과 같이, 폭 방향 단면 형상이 원형이거나 또는, 도 2와 같이, 폭 방향 단면 형상이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다각형은 사각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오각형, 육각형 등일 수 있으며, 상기 다각형은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형은 타원형일 수도 있다. 미들 케이스(110)의 양단에는 각각 제2 유체가 공급되는 제2 유체 유입구(112)와 제2 유체가 배출되는 제2 유체 유출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The
미들 케이스(110) 내부에는 복수의 중공사막들이 수용된 중공사막 모듈이 배치된다. 중공사막 모듈은 복수의 중공사막들이 집적된 중공사막 다발이거나 중공사막들이 수용된 복수의 중공사막 카트리지(C)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중공사막 모듈이 중공사막 카트리지(C)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중공사막 모듈이 중공사막 다발을 포함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s are accommodated is disposed inside the
캡 케이스(120)는 미들 케이스(110)의 각 양단에 결합된다. 각각의 캡 케이스(120)에는 유체 출입구(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 하나는 제1 유체 유입구가 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1 유체 유출구가 된다. 일측 캡 케이스(120)의 유체 출입구(121)로 유입된 제1 유체는 중공사막 카트리지(C) 내부에 수용된 중공사막의 내부 관로를 통과한 후, 타측 캡 케이스(120)의 유체 출입구(121)로 빠져나가게 된다. 중공사막은, 예를 들어 나피온(Nafion) 재질,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재질, 폴리페닐설폰(polyphenylsulfone) 재질의 중공사막이 될 수 있다. The
중공사막 모듈이 복수의 중공사막 카트리지(C)를 포함하는 경우, 중공사막 카트리지(C)의 일측에는 제2 유체 유입구(112)를 통해 막가습기로 유입된 제2 유체가 중공사막 카트리지(C)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제1 메쉬부(M)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중공사막 카트리지(C) 내부에서 수분 교환을 수행한 제2 유체가 중공사막 카트리지(C)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제2 메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 cartridges (C), the second fluid flowing into the membrane humidifier through the second
중공사막 카트리지(C) 또는 중공사막 다발의 양단부에는 중공사막들을 결속하면서 중공사막들의 사이의 공극을 메우는 포팅부(130)가 형성된다. 이로써, 중공사막 모듈의 양단부는 포팅부(130)에 막히어 그 내부에는 제2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포팅부(130)의 재질은 공지된 바에 따른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Pottin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막가습기가 도시된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씰링부재(200)는 제1 씰링부(210)와 제2 씰링부(220)를 포함한다. 씰링부재(200)는 포팅부(130)와 미들 케이스(110)의 단부(111) 사이에 배치되어, 미들 케이스(110)의 내부 및 미들 케이스(110)와 캡 케이스(120) 사이를 동시에 밀봉한다.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sealing
제1 씰링부(210)는 실리콘, 연질 고무 등 경도가 작은 연질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2 씰링부(220)는 플라스틱, 금속류, 경질 고무 등 경도가 큰 경질 재료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경도의 대소 기준은 ASTM D2240(ShoreA) 70도를 기준으로 한다. 즉, 70도 이상이면 경질 재료이고, 70도 미만이면 연질 재료이다. The
씰링부재(200)는 연질의 제1 씰링부(210)가 경질의 제2 씰링부(22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특유한 기계적인 조립 구조에 의해 고온/고압/다습 환경 내에서 기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aling
제1 씰링부(210)는 캡 케이스의 내벽(122)에 접촉하며 미들 케이스의 단부(111)에 장착된다. 제2 씰링부(220)는 제1 씰링부(210)의 내측에 형성되며, 포팅부(13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The
연질의 제1 씰링부(210)는 조립 과정에서 경질의 제2 씰링부(220)에 의해 압축되면서 캡 케이스의 내벽(122)을 가압하게 되어 카트리지(C)와 캡 케이스(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과 미들 케이스(110) 내부의 공간을 기밀하게 밀봉시킨다. 또한, 캡 케이스(120) 및 미들 케이스(110)의 내외부 공간을 기밀하게 밀봉시킨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조립 과정에서 경질의 제2 씰링부(220)는 포팅부(130)를 가압하여 카트리지(C)와 캡 케이스(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과 미들 케이스(110) 내부의 공간을 기밀하게 밀봉시킨다. 실시예에 따라 캡 케이스(120)의 내벽에는 결합 돌기(1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돌기(123)는 막가습기 조립시, 캡 케이스(120)와 씰링부재(200) 사이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The first
씰링부재(200)는 포팅부(130)의 재질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서는 후술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가 도시되어 있다.The sealing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다양한 형태의 씰링부재(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Hereinafter, various types of sealin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씰링부재는, 제1 씰링 바디(211)와 제1 씰링 레그(212)를 포함하는 제1 씰링부(210)와, 제2 씰링 바디(221)와 씰링 아암(222)를 포함하는 제2 씰링부(220)로 이루어진다.4, the seal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제1 씰링 바디(211)는 캡 케이스(120)의 내벽에 접촉하면서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씰링 레그(212)는 제1 씰링 바디(211)의 일측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씰링부(220)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도 9 참조)The
막가습기 조립 과정에서, 제1 씰링 바디(211)는 제2 씰링부(220)에 의해 압축되면서 캡 케이스의 내벽(122) 을 가압하고, 제1 씰링 레그(212)는 제2 씰링부(220)에 의해 압축되면서 미들 케이스(110)의 단부(111)를 가압하여, 카트리지(C)와 캡 케이스(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과 미들 케이스(110) 내부의 공간을 기밀하게 밀봉시킨다.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membrane humidifier, the
제2 씰링 바디(221)와 씰링 아암(222)은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씰링 아암(222)은 제1 씰링 바디(211)를 가압하고, 제2 씰링 바디(221)는 제1 씰링 레그(212)를 가압한다.The
이러한 제1 실시예의 씰링부재는, 포팅부(130)가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에 유용하다. 제1 실시예의 씰링부재는, 막가습기 조립 과정에서 제2 씰링 바디(221)가 연질의 포팅부(130)에 끼워질 때, 포팅부(130)를 내측으로 압축시키면서 끼워진다. 제2 씰링 바디(221)와 포팅부(130)는 연질 재료의 포팅부(130)가 원위치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기밀하게 밀봉된다. 동시에 제2 씰링 바디(221)는 제1 씰링 레그(212)를 가압하고, 제1 씰링 레그(212)는 제2 씰링 바디(221)에 의해 압축되면서 미들 케이스(110)의 단부(111)를 가압하여, 카트리지(C)와 캡 케이스(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과 미들 케이스(110) 내부의 공간을 기밀하게 밀봉시킨다. (도 12 및 도 13 참조) 이때, 씰링부재와 포팅부(130)의 용이한 조립 및 씰링부재의 압축을 위해, 제2 씰링 바디(221)의 저면과 측면이 이루는 각(O)은 90도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The sealing member of this first embodiment is useful when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씰링부재는, 제1 씰링 바디(211)와 제1 씰링 레그(212)와 제2 씰링 레그(213)를 포함하는 제1 씰링부(210)와, 제2 씰링 바디(221)와 씰링 아암(222)를 포함하는 제2 씰링부(2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씰링 바디(211), 제1 씰링 레그(212), 제2 씰링 바디(221), 씰링 아암(222)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5, the sealing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제1 씰링 레그(212)는 제1 씰링 바디(211)의 일측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씰링 레그(213)는 제1 씰링 바디(211)의 타측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씰링 레그(212)와 제2 씰링 레그(213) 사이에는 미들 케이스(110)의 단부(111)가 끼워진다. 이때, 미들 케이스(110)의 단부(111)는 제2 씰링 레그(213)가 삽입될 수 있는 단차가 형성된다. (도 10 참조)The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의 씰링부재는, 미들 케이스(110)의 단부(111)가 제1 씰링 레그(212)와 제2 씰링 레그(213) 사이에 끼워지므로 씰링부재(200)와 미들 케이스(110)의 결합력을 더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sealing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씰링부재는, 제1 씰링 바디(211)와 제1 씰링 레그(212)와 제2 씰링 레그(213)와 확장 레그(214)를 포함하는 제1 씰링부(210)와, 제2 씰링 바디(221)와 씰링 아암(222)를 포함하는 제2 씰링부(2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씰링 바디(211), 제1 씰링 레그(212), 제2 씰링 레그(213), 제2 씰링 바디(221), 씰링 아암(222)은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6, the sealing member of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확장 레그(214)는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1 씰링 레그(212)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씰링부(220)(구체적으로, 제2 씰링 바디(221))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도 11 참조)The
이러한 제3 실시예의 씰링부재는, 포팅부(130)가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에 유용하다. 막가습기 조립 과정에서 제3 실시예의 씰링부재가 경질의 포팅부(130)에 끼워질 때, 포팅부(130)에 의해 연질의 확장 레그(214)가 압축되면서 끼워진다. 씰링부재와 포팅부는 연질의 확장 레그(214)가 원위치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기밀하게 밀봉된다. 동시에 제2 씰링 바디(221)는 제1 씰링 레그(212)를 가압하고, 제1 씰링 레그(212)는 제2 씰링 바디(221)에 의해 압축되면서 미들 케이스(110)의 단부(111)를 가압하여, 카트리지(C)와 캡 케이스(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과 미들 케이스(110) 내부의 공간을 기밀하게 밀봉시킨다. (도 14 및 도 15 참조) 이때, 씰링부재와 포팅부(130)의 용이한 조립 및 씰링부재의 압축을 위해, 제2 씰링 바디(221)의 저면과 측면이 이루는 각(O)은 90도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The sealing member of this third embodiment is useful when the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씰링부재는, 포팅부(130)가 연질의 재료인 경우에 유용하고, 제3 실시예의 씰링부재는, 포팅부(130)가 경질의 재료인 경우에 유용하다.The sealing member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s useful when the
이러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씰링부재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의 링 형태로 이루어져서 포팅부(130)와 미들 케이스의 단부(111) 사이에 배치된다. 도 7 및 도 8은 제3 실시예의 씰링부재를 예시한 것이며, 제1 및 제2 실시예의 씰링부재는 이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으므로, 도면 예시는 생략한다.The sealing members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re formed in a ring shape of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as shown in FIGS. 7 and 8, and are disposed between the pott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는, 기계적인 조립 구조에 의해 고온/고압/다습 환경 내에서 기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including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hermetic function in a high temperature/high pressure/high humidity environment by a mechanical assembly structure.
또한, 화학적인 기밀 방식이 아닌 기계적인 기밀 방식이므로, 종래의 화학적인 기밀 방식에 필요한 폴리우레탄/실런트 도포 및 경화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 단축, 작업효율 향상 및 대량생산 체제 구축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it is a mechanical airtight method rather than a chemical airtight method, it is possible to omit the polyurethane/sealant coating and curing process required for the conventional chemical airtight method, reducing working time,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establishing a mass production system. Do.
또한, 막가습기 내부에 배치되는 단위 카트리지 불량 발생시, 재작업성이 양호하여 부품 스크랩 비율을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defective unit cartridge disposed inside the membrane humidifier occurs, the reworkability is good, so that the parts scrap ratio can be lowered.
또한, 막가습기를 분해(볼트 해체)하여 해당 불량 카트리지만 교체하여 재조립하면 되므로 재작업성 및 부품의 재활용 면에서 유리하다.In addition, since the membrane humidifier needs to be disassembled (bolt dismantled) and reassembled by replacing only the defective cartridg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reworkability and recycling of parts.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like, and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미들 케이스 120 : 캡 케이스
130 : 포팅부 200 : 씰링부재110: middle case 120: cap case
130: potting part 200: sealing member
Claims (8)
상기 미들 케이스와 결합되는 캡 케이스;
상기 복수의 중공사막 단부에 형성된 포팅부; 및
상기 포팅부와 상기 미들 케이스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미들 케이스 내부 및 상기 미들 케이스와 상기 캡 케이스 사이를 동시에 밀봉하는 씰링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캡 케이스의 내벽에 접촉하며 상기 미들 케이스의 단부에 장착되는 제1 씰링부와,
상기 제1 씰링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포팅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씰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A middle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s are accommodated;
A cap case coupled to the middle case;
A potting part formed 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s;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otting part and the end of the middle case and sealing the inside of the middle case and between the middle case and the cap case at the same time
Including,
The sealing member,
A first sealing par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ap case and mounted on an end of the middle case,
A second sealing part formed inside the first sealing part and formed to surround the potting part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comprising a.
상기 캡 케이스의 내벽에 접촉하면서 상기 미들 케이스의 단부에 장착되며 ㄷ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씰링 바디와, 상기 제1 씰링 바디의 일측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씰링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된 제1 씰링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sealing part,
A first sealing body mounted on an end of the middle case and formed in a c shape whil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ap case, and a first sealing body extending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sealing body and formed to contact the second sealing part 1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comprising a sealing leg.
상기 제1 씰링 레그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씰링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확장 레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rst sealing part,
And an extension leg extending i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sealing leg and extending upwardly from the end thereof to surround the second sealing portion.
상기 제1 씰링 바디의 타측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캡 케이스의 내벽 및 상기 미들 케이스의 단부와 접촉하는 제2 씰링 레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rst sealing part,
And a second sealing leg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sealing body and contacting the inner wall of the cap case and the end of the middle case.
상기 제1 씰링 바디의 타측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캡 케이스의 내벽 및 상기 미들 케이스의 단부와 접촉하는 제2 씰링 레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rst sealing part,
And a second sealing leg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sealing body and contacting the inner wall of the cap case and the end of the middle case.
상기 포팅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 씰링 바디와, 상기 제1 씰링 바디에 삽입되는 씰링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econd sealing part,
And a second sealing body formed to surround the potting part, and a sealing arm inserted into the first sealing body.
상기 제1 씰링부는 연질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씰링부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The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wherein the first sealing part is made of a soft material, and the second sealing part is made of a hard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4480A KR102240511B1 (en) | 2017-12-29 | 2017-12-29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JP2020535046A JP6990312B2 (en) | 2017-12-29 | 2018-06-29 | Membrane humidifier for fuel cells |
CN201880084788.5A CN111566861B (en) | 2017-12-29 | 2018-06-29 | Membrane humidifier for fuel cell |
PCT/KR2018/007416 WO2019132141A1 (en) | 2017-12-29 | 2018-06-29 | Membrane humidifier for fuel cell |
EP18896418.3A EP3734731A4 (en) | 2017-12-29 | 2018-06-29 | MEMBRANE HUMIDIFIER FOR FUEL CELL |
US16/958,373 US11539060B2 (en) | 2017-12-29 | 2018-06-29 | Membrane humidifier for fuel cell |
KR1020210045849A KR102276309B1 (en) | 2017-12-29 | 2021-04-08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JP2021194717A JP7311575B2 (en) | 2017-12-29 | 2021-11-30 | Membrane humidifier for fuel ce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4480A KR102240511B1 (en) | 2017-12-29 | 2017-12-29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5849A Division KR102276309B1 (en) | 2017-12-29 | 2021-04-08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1736A KR20190081736A (en) | 2019-07-09 |
KR102240511B1 true KR102240511B1 (en) | 2021-04-14 |
Family
ID=6726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4480A Active KR102240511B1 (en) | 2017-12-29 | 2017-12-29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051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41308B1 (en) * | 2019-11-29 | 2024-12-10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Humidifier for Fuel Cell |
JP7357781B2 (en) * | 2019-11-29 | 2023-10-06 |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 Humidifier for fuel cells |
KR102728782B1 (en) * | 2019-11-29 | 2024-11-08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Humidifier System for Fuel Cell |
KR102800842B1 (en) * | 2019-11-29 | 2025-04-24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Humidifier for Fuel Cell |
KR102741342B1 (en) * | 2019-11-29 | 2024-12-10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Humidifier for Fuel Cell |
KR102709665B1 (en) * | 2019-11-29 | 2024-09-24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Cartridge of Humidifier for Fuel Cell and Humidifier for Fuel Cell and |
KR102704080B1 (en) | 2019-11-29 | 2024-09-05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Humidifier for Fuel Cell |
KR102546259B1 (en) | 2020-05-22 | 2023-06-21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Gasket assembly and fuel cell humidifier comprising it |
KR102577689B1 (en) * | 2020-05-22 | 2023-09-12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Gasket assembly and fuel cell humidifier comprising it |
KR20220057162A (en) | 2020-10-29 | 2022-05-09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Membrane humidifier |
KR20220057178A (en) | 2020-10-29 | 2022-05-09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Membrane humidification assembly and membrane humidif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
KR102498748B1 (en) * | 2020-11-13 | 2023-02-14 |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 Humidifier for vehicle |
KR20220082530A (en) | 2020-12-10 | 2022-06-17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Membrane humidifier |
KR20220089009A (en) | 2020-12-21 | 2022-06-28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Membrane humidifier |
EP4235879A4 (en) * | 2020-12-23 | 2024-10-02 | Kolon Industries, Inc. | Humidifier system for fuel cell |
KR102718842B1 (en) * | 2020-12-23 | 2024-10-18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Humidifier System for Fuel Cell |
US20230178766A1 (en) * | 2020-12-29 | 2023-06-08 | Kolon Industries,Inc. | Humidifier for fuel cell |
KR102718400B1 (en) * | 2020-12-31 | 2024-10-16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Humidifier for Fuel Cell |
CA3202604A1 (en) * | 2020-12-31 | 2022-07-07 | Kolon Industries, Inc. | Humidifier for fuel cell |
EP4258395A4 (en) * | 2021-01-08 | 2024-08-14 | Kolon Industries, Inc. | HUMIDIFIER FOR A FUEL CELL |
KR102755442B1 (en) * | 2021-01-28 | 2025-01-21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Fuel cell humidifier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it |
US20240063408A1 (en) * | 2021-01-29 | 2024-02-22 | Kolon Industries, Inc.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preventing damage of humidification membrane |
KR20220112451A (en) * | 2021-02-04 | 2022-08-11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Gasket assembly and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comprising it |
KR102755443B1 (en) * | 2021-02-04 | 2025-01-21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Gasket assembly and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comprising it |
KR102769069B1 (en) * | 2021-02-04 | 2025-02-18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Gasket assembly and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comprising it |
KR20220117604A (en) * | 2021-02-17 | 2022-08-24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Fuel cell humidifier |
JP7709554B2 (en) * | 2021-08-31 | 2025-07-16 |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KR102447975B1 (en) * | 2021-12-13 | 2022-09-27 | 주식회사 디에스필터 | Membrane humidifier for fuel cell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324214A (en) | 1997-04-08 | 1998-10-14 | Power X Limited | Synchronising arrangements |
CN1256840A (en) | 1997-04-14 | 2000-06-14 | 汤姆森消费电子有限公司 | System for processing and decoding MPEG compatible data and internet information |
KR100316710B1 (en) | 1999-06-01 | 2001-12-12 | 윤종용 |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ruction issuing in Out-of-Order for Parallel Processor |
JP3777893B2 (en) | 1999-08-05 | 2006-05-24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Liquid crystal display |
KR20010026696A (en) | 1999-09-08 | 2001-04-06 | 이중구 | Method for automatically measuring line of balance and apparatus thereof |
KR100394827B1 (en) | 1999-12-22 | 2003-08-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rogram and data down loading method for restating processor of mobile communication exchage system |
KR101278398B1 (en) | 2007-08-01 | 2013-06-24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Hollow Fiber Membra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101398779B1 (en) | 2007-12-03 | 2014-05-28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Fuel Cell Humidifier with Improved Cold Resistance |
KR20090128005A (en) | 2008-06-10 | 2009-12-15 | 주식회사 코오롱 | Humidification system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using same |
KR101675742B1 (en) * | 2011-09-28 | 2016-11-15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Humidifier for fuel cell |
-
2017
- 2017-12-29 KR KR1020170184480A patent/KR102240511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1736A (en) | 2019-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0511B1 (en)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
JP7311575B2 (en) | Membrane humidifier for fuel cell | |
KR102301480B1 (en) | A membrane humidifier for fuel cell | |
KR102265021B1 (en) | A membrane humidifier for fuel cell | |
KR102170523B1 (en)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
JP7639158B2 (en)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
JP7555464B2 (en) | Humidifier for fuel cells | |
US20240304838A1 (en)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
EP4266435A1 (en)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
KR102276309B1 (en)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
KR20210067368A (en) | Humidifier for Fuel Cell | |
KR102718400B1 (en) | Humidifier for Fuel Cell | |
US20240055627A1 (en)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same | |
JP7639157B2 (en)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
KR102793695B1 (en)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
KR102755444B1 (en)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
JP2024505489A (en) |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8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0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40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