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40154B1 -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154B1
KR102240154B1 KR1020170115060A KR20170115060A KR102240154B1 KR 102240154 B1 KR102240154 B1 KR 102240154B1 KR 1020170115060 A KR1020170115060 A KR 1020170115060A KR 20170115060 A KR20170115060 A KR 20170115060A KR 102240154 B1 KR102240154 B1 KR 102240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glass plate
glass support
coupled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070A (ko
Inventor
강흥섭
Original Assignee
강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흥섭 filed Critical 강흥섭
Priority to KR1020170115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1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15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2Easels, stands or shelves, e.g. castor-shelves, supporting mean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는, 제1유리판을 지지하여 이동시키는 다수의 롤러가 전면에 형성되며 격자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주동롤러로 이루어진 제3이송유닛이 형성된 전측 유리지지부; 제2유리판을 부상시키도록 고압 에어를 토출하는 노즐이 다수 형성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주동롤러로 이루어진 제4이송유닛이 형성되는 후측 유리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유리판 또는 간봉이 부착된 유리판을 동시에 적어도 2장 이상을 가압조립부로 이송시킬 수 있어 다수개의 복층유리 조립체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어 생산 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Dual dual layer glass manufacturing equipment}
개시되는 내용은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장의 유리판 사이에 간봉이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복층 유리를 제조하도록 유리판을 여러장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비교적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경제력 향상에 따른 생활환경의 고급화 및 그 제조기술의 발전 등에 의해 복층유리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즉, 대형빌딩은 물론이고 소규모의 상점과 개인주택에 이르기까지 소음에서 벗어나 좀더 안락한 주거환경을 추구하려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따라 복층유리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복층유리는 두 장 이상의 유리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한 것으로, 단층유리와 비교하여 실내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외부온도의 저하에도 불구하고 내측 유리의 표면온도는 저하되지 않아 이슬 맺힘 현상이 억제된다.
그리고 방음성능이 우수하여 실내외 사이의 소음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복층유리는 간봉처리된 유리판과 처리가 되지않은 유리판을 접합시켜 형성된다.
복층유리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한장의 유리판을 이송하여 세척공정과 검사공정 후 압착기로 공급하게 된다.
이후 검사공정에서 간봉을 부착시킨 간봉 유리판을 압착기로 공급한 후 압착시키면서 가스를 주입하여 복층유리 조립체를 완성하게 된다.
종래에는 유리판을 한장씩 공급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복층유리 조립체의 제조 능률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한국실용신안공보 제1995-03262호
개시되는 내용은 유리판 또는 간봉이 부착된 유리판을 동시에 적어도 2장 이상을 가압조립부로 이송시킬 수 있어 다수개의 복층유리 조립체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어 생산 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복층 유리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제1유리판을 지지하여 이동시키는 다수의 롤러가 전면에 형성되며 격자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주동롤러로 이루어진 제3이송유닛이 형성된 전측 유리지지부; 제2유리판을 부상시키도록 고압 에어를 토출하는 노즐이 다수 형성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주동롤러로 이루어진 제4이송유닛이 형성되는 후측 유리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전측 유리지지부에 제1유리판이 안착된 상태에서 롤러 구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고, 후측 유리지지부에 제2유리판이 안착된 상태에서 에어 부상 및 롤러 구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장의 유리판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판 또는 간봉이 부착된 유리판을 동시에 적어도 2장 이상을 가압조립부로 이송시킬 수 있어 다수개의 복층유리 조립체를 동시에 생산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 생산 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를 위에서 내려다 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의 배면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의 '간격조절부'를 확대한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층 유리 제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층 유리 제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를 위에서 내려다 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의 배면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의 '간격조절부'를 확대한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층 유리 제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층 유리 제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실시예가 적용되는 복층 유리 제조장치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복층 유리 제조장치는, 적재부(100), 세척부(200), 검사부(300),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400), 가압조립부(500), 인출부(60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적재부(100)는, 유리판(G1,G2)을 수직하게 세워서 이동하도록 하부에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진 제1이송유닛(110)이 형성되고, 유리판(G1,G2)을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제1지지판(120)이 포함되고, 제1지지판(120)의 전면에는 유리판(G1,G2)을 굴려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롤러(122)가 형성된다.
이후 적재부(100)에 있던 유리판(G1,G2)은 세척부(200)로 이송된다.
세척부(200)는 적재부(100)에서 이송된 유리판(G1,G2)을 세척하는 브러시부재(미도시)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공급부와, 건조 공기를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부(미도시)로 구성된다.
브러시부재는 외접되게 2개의 원형 브러시가 형성되고, 각 원형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포함되어 2개의 원형 브러시 사이를 유리판이 통과되면서 앞뒤면이 세척될 수 있다.
아울러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고압의 세척수가 분사되어 물 세척이 병행된다.
브러시부재는 2개의 원형 브러시가 한쌍으로 이루되 이들 한쌍의 원형 브러시가 3쌍으로 연속 배치되어 구성된다.
브러시부재의 중간마다 2개의 롤러가 외접하게 배치되고 2개의 롤러 중 어느 하나는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유리판을 이송시키게 된다.
검사부(300)는, 제1유리판(G1)을 지지하여 이동시키는 다수의 롤러가 전면에 형성되며 격자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주동롤러로 이루어진 이송유닛이 형성된 제1유리이송부(301)와; 제2유리판(G2)을 부상시키도록 고압 에어를 토출하는 노즐이 다수 형성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진 이송유닛이 형성되는 후측 유리지지부(302)로 구성된다.
이하 실시예에 따르는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400)는, 검사를 마친 제1,2유리판(G1)(G2)이 전측과 후측에서 각기 동시에 이송되도록 전측 유리지지부(410)와 후측 유리지지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측 유리지지부(410)는 제1유리판(G1)을 지지하여 이동시키는 다수의 롤러(412)가 전면에 형성되며 격자형으로 빔부재를 연결하여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전측 유리지지부(410)의 하부에는 다수의 주동롤러와, 다수의 주동롤러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구동원로 이루어진 제3이송유닛(413)이 형성되어, 제1유리판(G1)을 지지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구동원은 주로 전동모터가 바람직하다.
후측 유리지지부(42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육면체로 된 판상부와, 상기 판상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제2유리판(G2)을 부상시키도록 고압 에어를 토출하는 노즐이 다수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판상부의 하부에는 제2유리판(G2)을 이동시키는 다수의 주동롤러로 이루어진 제4이송유닛(42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전측 유리지지부(410)와 후측 유리지지부(420)의 하단부가 결합되며 하부에 레일부재(441)가 형성된 프레임(442)이 구비된다.
그리고 프레임(442)의 레일부재(441)가 결합되어 슬라이드되도록 상부에 레일(443)이 형성되고,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444)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전측 유리지지부(410)와 후측 유리지지부(420)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바(5)가 형성된다.
연결바(5)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양단부가 개구된 파이프(52)와, 상기 파이프(52)의 양단부에 각기 나사 결합되며 전측 유리지지부(410) 또는 후측 유리지지부(420)에 고정되는 제1,2너클(51,53)로 구성된다.
따라서 파이프(52)를 회전시키면 제1,2너클(51,53)이 각기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고, 이렇게 연결바(5)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전측 유리지지부(410)와 후측 유리지지부(420)의 이격된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442)을 이동시켜 전후로 구동시켜 제1,2유리판(G1,G2)이 교대로 가압조립부(500)로 이송되도록 하는 간격조절부(440)가 포함된다.
간격조절부(440)는 전측 유리지지부(410) 및 후측 유리지지부(420)를 동시에 전후로 약 250~300mm 간격을 움직일 수 있어 가압조립부(500)의 유리판 진입 위치와 일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간격조절부(44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444)의 중심부에 형성된 모터(446)와; 모터(446)의 축에 결합되며 다수의 기어가 연결되며 양방향으로 형성된 주동축(452)을 갖는 기어박스(45)와; 상기 주동축(452)과 커플러(453)로 연결되며 양측으로 베이스(444)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으로 결합되는 구동축(455)과; 양측 구동축(455)의 단부에 형성되는 피니언기어(445)와, 베이스(444)의 일측에 상기 구동축(455)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피니언기어(445)가 치차 결합되는 랙기어(4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모터(446)가 구동되면 기어박스(45)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양측의 주동축(452)이 회전된다.
양측의 주동축(452)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주동축(452)의 회전동력은 커플러(453)를 통해 구동축(455)으로 전달되어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축(455)이 회전되면 피니언기어(445)가 회전되고, 피니언기어(445)가 랙기어(447)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축(455)이 장착된 프레임(442)이 레일(443)을 타고 이동하게 되고, 프레임(442)에 장착된 전측 유리지지부(410)와 후측 유리지지부(420)도 동반하여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측 유리지지부(420)의 후면 일측과 베이스를 연결하여 지지력을 발휘하는 서포터(7)가 더 포함된다.
서포터(7)는 하단이 베이스(444)에 축핀(74)으로 힌지 결합되고, 상단은 후측 유리지지부(420)의 후면 상부 또는 중간 부위에 축핀(74)으로 힌지 결합되어 후측 유리지지부(420)의 기울기 조정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서포터(7)는 양단이 개구되고 중공을 갖는 관체(71)와, 관체(71)의 양단부에 피스톤로드(72)가 출몰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각 피스톤로드(72)의 단부에는 축핀(74)이 결합되도록 링(73)이 형성되고, 서포터(7)의 관체(71) 내부에는 유압 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이 형성된다.
서포터(7)의 관체(71)에 유압이 충진된 경우에는 유압의 증가 혹은 감소에 따라 피스톤로드(72)가 인출 또는 인입됨으로써 후측 유리지지부(42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 유리지지부(42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육면체로 된 판상부의 하부 내측에 에어챔버(82)가 형성되고, 후면에 에어콤프레셔(8)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판상부의 전면에 에어챔버(82)와 통하도록 하여 다수의 에어노즐(83)이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에어노즐(83)로부터 고압의 에어가 분사됨으로써 제2유리판(G2)이 부상하여 이격될 수 있다.
아울러 에어노즐(83)을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분사되는 에어압력에 의해 제2유리판(G2)을 부상시킴과 동시에 전방으로 밀어내는 추진력이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후측 유리지지부(420)에 진입된 제2유리판(G2)은 에어노즐(83)의 고압 에어 분사에 의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부상된 후 전방으로 추진되어 이동될 수 있으며, 하부의 제4이송유닛(424)의 구동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온 작동시키고, 가압조립부(500)에 정확하게 유리판(G1,G2)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적절한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모터(446)가 구동되면 기어박스(45)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양측의 주동축(452)이 회전된다.
양측의 주동축(452)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주동축(452)의 회전동력은 커플러(453)를 통해 구동축(455)으로 전달되어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축(455)이 회전되면 피니언기어(445)가 회전되고, 피니언기어(445)가 랙기어(447)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축(455)이 장착된 프레임(442)이 레일(443)을 타고 이동하게 되고, 프레임(442)에 장착된 전측 유리지지부(410)와 후측 유리지지부(420)도 동반하여 이동될 수 있으므로 가압조립부(500)에 정확하게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후 전측 유리지지부(410)로 제1유리판(G1)이 이송될 수 있고, 후측 유리지지부(420)으로 제2유리판(G2)이 이송될 수 있다.
이들 제1유리판(G1) 또는 제2유리판(G2)은 동시에 이송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시간차이를 두고 이송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방식을 통해 복수의 유리판이 연속적으로 대량 이송될 수 있어 후공정인 가압조립부(500)에서 최종 조립작업이 더욱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5 : 연결바 51,53 : 제1,2너클
7 : 서포터 45 : 기어박스
71 : 관체 72 : 피스톤로드
73 : 링 74 : 축핀
400 : 공급부 410 : 전측 유리지지부
420 : 후측 유리지지부 440 : 간격조절부
442 : 프레임 444 : 베이스
445 : 피니언기어 446 : 모터
447 : 랙기어

Claims (6)

  1. 복층 유리 제조장치에 적용되어 유리판을 이송하는 것에 있어서,
    제1유리판을 지지하여 이동시키는 다수의 롤러가 전면에 형성되며 격자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주동롤러로 이루어진 제3이송유닛이 형성된 전측 유리지지부;
    제2유리판을 부상시키도록 고압 에어를 토출하는 노즐이 다수 형성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주동롤러로 이루어진 제4이송유닛이 형성되는 후측 유리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측 유리지지부와 후측 유리지지부의 하단부가 결합되며 하부에 레일부재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레일부재가 결합되어 슬라이드되도록 상부에 레일이 형성되고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켜 전후로 구동시켜 제1,2유리판이 교대로 가압조립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간격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에 형성된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다수의 기어가 연결되며 양방향으로 형성된 주동축을 갖는 기어박스;
    상기 주동축과 커플러로 연결되며 양측으로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으로 결합되는 구동축;
    상기 양측 구동축의 단부에 형성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상기 구동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피니언기어가 치차 결합되는 랙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유리지지부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부와,
    상기 판상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챔버와, 판상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에어콤프레셔를 포함하고,
    상기 판상부의 전면에 에어챔버와 통하도록 하여 다수의 에어노즐이 형성된것으로,
    다수의 에어노즐로부터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어 제2유리판이 부상되어 이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유리지지부와 후측 유리지지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바가 포함되고,
    상기 연결바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양단부가 개구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양단부에 각기 나사 결합되며 전측 유리지지부 또는 후측 유리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2너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유리지지부의 후면 일측과 베이스를 연결하여 지지력을 발휘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하단이 베이스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은 후측 유리지지부의 후면 상부 또는 중간 부위에 축핀으로 힌지 결합되어 후측 유리지지부의 기울기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양단이 개구되고 중공을 갖는 관체;
    상기 관체의 양단부에 출몰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피스톤로드;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축핀이 결합되는 링;
    상기 관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탄성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
KR1020170115060A 2017-09-08 2017-09-08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2240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060A KR102240154B1 (ko) 2017-09-08 2017-09-08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060A KR102240154B1 (ko) 2017-09-08 2017-09-08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070A KR20190028070A (ko) 2019-03-18
KR102240154B1 true KR102240154B1 (ko) 2021-04-14

Family

ID=6594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060A Expired - Fee Related KR102240154B1 (ko) 2017-09-08 2017-09-08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0115A (zh) * 2019-10-11 2020-09-04 中建材轻工业自动化研究所有限公司 一种气浮翻转设备
CN111137683A (zh) * 2020-02-25 2020-05-12 信义玻璃(营口)有限公司 玻璃翻面装置及多层镀膜中空玻璃生产线
CN111807056B (zh) * 2020-08-12 2025-06-20 润尔泰(江苏)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中空玻璃移载装置
CN112429532A (zh) * 2020-11-23 2021-03-02 白银一刀钢化玻璃有限公司 一种玻璃输送架
KR102485468B1 (ko) * 2021-02-09 2023-01-06 주식회사 지원오토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
KR102797574B1 (ko) * 2023-03-20 2025-04-17 이건화 복층유리 제조용 에어플로팅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65291B1 (es) 1993-07-30 1995-10-01 Prodesfarma Sa "nitrato esteres de 1-ariloxi-3-alquilamino-2-propanoles, utilizacion y composicion farmaceutica correspondiente"
KR100411581B1 (ko) * 2001-02-16 2003-12-24 주식회사 이강테크 복층유리 제조시스템
KR101117392B1 (ko) * 2009-10-14 2012-03-08 문형윤 복층유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070A (ko)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154B1 (ko)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
CN202011382U (zh) 清洗、擦干一体化洗车线设备
KR102324664B1 (ko) 듀얼 프레스를 이용한 복층유리 제조장치
CN108704873A (zh) 一种电力设备带电绝缘清理装置
CN207213494U (zh) 一种新型管道清洗装置
CN113175580B (zh) 一种连接在输油管道外的加热装置
KR20030074013A (ko) 이중 판유리 제조 장치
CN111977947A (zh) 一种钢化玻璃的成型钢化方法及成型钢化设备
CN109779164B (zh) 一种建筑防水层施工装置
CN104959290B (zh) 自动吹水装置
KR20190000686U (ko) 복층 유리 제조에 적용되는 유리판 검사장치
CN206536674U (zh) 一种真空玻璃生产线辅助设备
CN117401894B (zh) 一种钢化玻璃生产用冷却系统
CN112481827B (zh) 一种保暖喷胶棉及其喷胶装置
CN107018587A (zh) 电热毯加工设备及工艺
CN116252371A (zh) 一种竹木复合板生产系统
CN111549964A (zh) 一种吊顶
CN112917341B (zh) 一种实木复合板生产加工工艺
CN206759752U (zh) 电热毯加工设备
CN215858908U (zh) 一种涂装设备
CN107379152A (zh) 一种打钉及抛光除尘装置
CN208702034U (zh) 一种稳定性高的楼面补漏装置
CN105890317A (zh) 一种汽车配件烘干装置
CN106002533A (zh) 一种玻璃的磨边转向清洗装置
CN106180030B (zh) 一种电力设备带电绝缘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