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맥주 제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맥주가 제조되기 위한 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 어셈블리(1)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연결된 메인유로(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공간(S1)으로 맥주 제조에 필요한 물이나 각종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메인유로(2)에 연결되고 캡슐(C1)(C2)(C3)이 수용되는 디스펜서(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메인유로(2)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모듈(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맥주를 외부로 취출하는 맥주 취출기(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취출기(6)는 메인유로(2)에 연결된 맥주 취출유로(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의 맥주는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의 일부를 통과해 맥주 취출유로(61)로 유동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맥주 제조팩(12)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기(7)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맥주 제조기는 메인유로(2)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는 맥주가 제조되는 맥주 제조팩(12)이 수용되는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발효조 어셈블리(1)는 개구부(111)가 형성된 발효조(112)와; 개구부(111)를 개폐하는 발효조 덮개(114)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이 수용되는 공간(S1)은 발효조(11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형성된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 연결부(115)에는 메인유로(2)가 연결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발효조(112)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112)의 상부에 배치되어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에는 메인유로(2)와 연결되는 메인유로 연결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맥주 재료 및 완성된 맥주가 발효조(112)의 내벽에 뭍지 않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용기일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1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 안착되어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에서 맥주를 발효시킬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된 후, 발효조(11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내부에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는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1)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12)의 개구부(111)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12)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맥주 제조팩(12)이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12)의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12)와 발효조 덮개(114)에 의해 밀폐된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는 맥주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는 내부에 담겨있던 맥주가 취출되고 발효조(112)와 맥주 제조팩(12) 사이로 에어가 공급되면, 발효조(112) 내부의 에어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맥주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는 맥주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맥주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이고,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3)에 수용된 첨가제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디스펜서(3)를 포함하지 않고, 맥주 제조팩(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맥주 제조팩(12)에는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맥주 제조팩(12)에 첨가제를 직접 투입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간편하게 맥주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편의를 위해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디스펜서(3)와 맥주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맥주 제조팩(12) 내의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맥주는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통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에서 맥주 취출기(6)로 유동되어 맥주 취출기(6)로 취출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온도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맥주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압축기(131)와, 응축기(132)와, 팽창기구(133)와, 증발기(134)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13)를 포함할 수 있고, 응축기와 증발기 중 어느 하나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가열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응축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34)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냉각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증발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튜브는 발효조(112)와 단열벽(102, 도 3 및 도 4 참조)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고, 단열벽(102)에 의해 단열된 단열공간(S2) 내부를 냉각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를 가열시키는 히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14)는 라인 히터(Line Heater)로 구성될 수 있고,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길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히트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유로절환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사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압축기(131)의 흡입유로 및 압축기(131)의 토출유로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응축기(132)와 응축기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증발기(134)와 증발기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냉각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132)로 안내함과 증발기(134)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가열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증발기(134)로 안내함과 아울러 응축기(132)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일단이 급수모듈(5)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발효조 어셈블리(1)에 형성된 메인유로부(115)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메인유로(2)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유로(2)의 물은 디스펜서(3)로 유입되어 디스펜서(3)를 흐를 수 있다.
디스펜서(3)에는 맥주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모듈(5)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디스펜서(3)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부는 디스펜서(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캡슐 내에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이러한 캡슐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될 경우, 디스펜서(3)는 캡슐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디스펜서(3)는 캡슐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급수모듈(5)에서 메인유로(2)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첨가제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다수의 첨가제는 이스트와 홉과 향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 각각은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 각각은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의 재료 수용부와 디스펜서(3)의 캡슐 수용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된 상태에서 캡슐이 디스펜서(3)에 삽입되는 경우, 캡슐 수용부로 칭할 수 있으며, 재료가 캡슐에 담겨지지 않는 상태에서 디스펜서(3)에 직접 수용될 경우 재료 수용부로 칭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와 캡 슐 수용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펜서(3)에 캡슐 수용부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디스펜서(3)는 첨가제가 수용된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가 형성되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 입구유로에는 디스펜서 입구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 출구유로에는 물이나 에어가 디스펜서 출구유로를 통해 캡슐 수용부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는 서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는 그 각각의 디스펜서 입구유로 및 그 각각의 디스펜서 출구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디스펜서(3)에는 제1첨가제와, 제2첨가제와, 제3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첨가제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첨가제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첨가제는 향 첨가제일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제1첨가제가 수용된 제1캡슐(C1)이 수용되는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첨가제가 수용된 제2캡슐(C2)이 수용되는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첨가제가 수용된 제3캡슐(C3)이 수용되는 제3캡슐 수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캡슐 수용부(31)에는 제1캡슐 수용부(31)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가 연결될 수 있고, 제1캡슐 수용부(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에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를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3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에는 제1캡슐 수용부(31)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유체가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를 통해 제1캡슐 수용부(31)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1체크밸브(31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1캡슐 수용부(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제2캡슐 수용부(32)에는 제2캡슐 수용부(32)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2디스펜서 입구유로(321)가 연결될 수 있고, 제2캡슐 수용부(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에는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를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323)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에는 제2캡슐 수용부(32)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유체가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를 통해 제2캡슐 수용부(32)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2체크밸브(32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2캡슐 수용부(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제3캡슐 수용부(33)에는 제3캡슐 수용부(33)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3디스펜서 입구유로(331)가 연결될 수 있고, 제3캡슐 수용부(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가 연결될 수 있다.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에는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를 개폐하는 제3개폐밸브(333)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에는 제3캡슐 수용부(33)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유체가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를 통해 제3캡슐 수용부(33)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3체크밸브(33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3캡슐 수용부(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맥주 제조기가 디스펜서(3)를 포함할 경우, 물이나 공기 유동 방향으로 디스펜서(3) 이전에 위치하는 제1메인유로(2A)와, 물이나 공기 유동 방향으로 디스펜서(3) 이후에 위치하는 제2메인유로(2B)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제1메인유로(2A)와 제2메인유로(2B)를 잇고 물이나 공기가 디스펜서(3)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유로(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메인유로(2A)는 급수모듈(5)에 연결된 급수유로일 수 있고, 제2메인유로(2B)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연결된 발효조 어셈블리 연결유로일 수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 유로(2C)는 이러한 급수유로와 발효조 어셈블리 연결유로를 연결하면서 물이나 공기가 디스펜서(3)를 바이패스하게 구성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맥주 제조기가 디스펜서(3)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유로로 구성될 수 있고, 맥주 제조기가 디스펜서(3)를 포함할 경우, 제1메인유로(2A)와, 제2메인유로(2B)와, 바이패스유로(2C)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유로(2C)는 제1캡슐 수용부(31)의 유로와, 제2캡슐 수용부(32)의 유로와, 제3캡슐 수용부(33)의 유로 각각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유로(2C)에는 바이패스유로(2C)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메인유로(2A)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와,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와,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 및 바이패스유로(2C)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메인유로(21)는 급수모듈(5)에 연결된 공통관과, 공통관에서 분지되어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와,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와,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 및 바이패스유로(2C) 및 연결된 다수의 분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메인유로(2B)는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와,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와,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 및 바이패스유로(2C)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메인유로(2B)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연결된 공통관과,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와,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와,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 및 바이패스유로(2C)를 공통관과 연결하는 다수의 합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인유로(2A)로 급수된 물이나 공기는 바이패스 밸브(35)의 클로즈시 캡슐 수용부(31)(32)(33)을 통과하여 바이패스유로(2C)를 바이패스할 수 있고, 제2메인유로(2B)로 유동될 수 있다.
반대로, 제1메인유로(2A)로 급수된 물이나 공기는 개폐밸브(311)(321)(331)의 클로즈시, 바이패스유로(2C)를 통과하여 캡슐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할 수 있고, 제2메인유로(2B)로 유동될 수 있다.
급수모듈(5)은 물이 담겨지는 수조(51)와;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52)와;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에는 수조 출수유로(54)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펌프(52)는 수조 출수유로(54)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에는 급수펌프 출수유로(55)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히터(53)은 급수펌프 출수유로(55)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 출수유로(55)에는 급수펌프 출수유로(55)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몰드 히터일 수 있고, 그 내부에는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이 통과하는 히터 케이스와, 히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히터 케이스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발열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급수히터(53)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57: Thermistor)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히터(53)에는 온도가 높을 경우 회로가 차단되어 급수히터(53)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써멀 퓨즈(58; Thermal Fuse)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구동시, 수조(51)의 물은 수조 출수유로(54), 급수펌프(52), 급수펌프 출수유로(55)를 통해 급수히터(53)로 안내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안내된 물은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된 후 메인유로(2)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급수모듈(5)은 수조(51)와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포함하지 않고,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되거나 수도꼭지에 별도의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물을 메인유로(2)로 안내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급수모듈(5)은 수조(51)와 급수펌프(52)를 포함하지 않고,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되거나 수도꼭지에 별도의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물을 메인유로(2)로 안내하는 급수관과, 급수관에 설치된 급수히터(53)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맥주 취출기(6)는 메인유로(2)에 연결될 수 있다. 맥주 취출기(6)는 메인유로(2)에 연결되어 메인유로(2)의 맥주가 안내되는 맥주 취출유로(61)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취출기(6)는 맥주 취출유로(61)에 연결된 맥주 취출밸브(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취출유로(61)는 메인유로(2) 중 급수모듈(5)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맥주 취출유로(61)는 메인유로(2) 중 디스펜서(3)와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맥주 취출유로(61)는 제2메인유로(2B)에 연결될 수 잇다.
맥주 취출유로(61)에는 거품차단부(63, Anti-Foaming path)가 구비될 수 있고, 메인유로(2)에서 맥주 취출유로(61)로 유동된 맥주의 거품은 거품차단 패스를 통과하면서 최소화될 수 있다. 거품차단부(63)에는 거품이 걸러지는 메쉬(Mesh)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와,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630; Micro Switch, 도 5 참조)를 갖는 탭 밸브(Tap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연결된 가스 취출유로(71)와, 가스 취출유로(71)에 설치된 압력 센서(72)와, 가스 취출유로(71)에 가스 취출방향으로 압력 센서(72) 이후에 설치된 가스 취출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은 가스 취출밸브(73)를 통과한 가스가 통과하는 에어 필터(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취출유로(71)는 발효조 어셈블리(1) 특히, 발효조 덮개(114)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조 어셈블리(1)에는 가스 취출유로(71)가 연결되는 가스 취출유로 연결부(12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취출유로 연결부(121)는 발효조 덮개(114)에 구비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 내의 가스는 가스 취출유로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취출유로(71) 및 압력센서(72)로 유동될 수 있고, 압력 센서(72)는 맥주 제조팩(12) 내에서 가스 취출유로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취출유로(71)로 유출된 가스의 압력은 감지될 수 있다.
가스 취출밸브(73)는 에어 주입기(8)에 의해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에어가 주입될 때 온되어 오픈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맥주 제조팩(12)으로 에어를 주입하여 맥아와 물을 고르게 혼합하게 할 수 있고, 이때, 액상 맥아에서 발생된 기포는 맥주 제조팩(12)의 상부에서 가스 취출유로(71) 및 가스 취출밸브(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스 취출밸브(73)는 발효공정 도중의 발효도 감지를 위해 온되어 오픈된 후 다시 오프되어 클로즈될 수 있다.
압력 센서(72), 가스 취출밸브(73)와, 에어 필터(74)는 가스 취출유로(71)에 가스 배출방향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는 가스 취출유로(71)에 구비된 가스배출 릴리프밸브(75, Relief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 릴리프밸브(75)는 가스 취출유로(71) 중 가스 배출 방향으로 압력 센서(72) 이전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메인유로(2)에 연결되어 메인유로(2)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물 유동방향으로 디스펜서(3) 이전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메인유로(2)를 통해 디스펜서(3)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에어 주입구(8)는 제1메인유로(2A)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에서 메인유로(2)로 주입된 에어는 디스펜서(3)를 통과한 후 맥주 제조팩(12)로 주입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에서 메인유로(2)로 주입된 에어는 디스펜서(3)를 바이패스하여 맥주 제조팩(12)로 주입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메인유로(2)를 통해 캡슐 수용부(31)(32)(33)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고, 캡슐(C1)(C2)(C3) 또는 캡슐 수용부(31)(32)(33) 내의 잔수나 찌꺼기는 에어 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에어에 의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캡슐(C1)(C2)(C3) 및 캡슐 수용부(31)(32)(33)는 에어 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에어에 의해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메인유로(2)에 연결된 에어 주입유로(81)와, 에어 주입유로(81)로 에어를 펌핑하는 에어 주입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유로(81)는 물 유동방향으로 급수모듈(5)과 디스펜서(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유로(81)는 메인유로(2) 중 제1메인유로(2A)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메인유로(2)의 물이 에어 주입유로(81)를 통해 에어 주입펌프(82)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83)는 에어 주입방향으로 에어 주입펌프(82)의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에어 주입유로(81)에 연결되고 에어 주입방향으로 에어 주입펌프(82) 이전에 설치된 에어필터(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의 구동시, 외부의 공기는 에어필터(84)에 의해 먼지 등이 걸러질 수 있고, 에어필터(84)를 통과한 공기는 에어 주입펌프(82)에 의해 유동되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맥주 제조기는 메인유로(2)를 개폐하는 메인밸브(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맥주 취출유로(61)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91)과 발효조 어셈블리(1)에 형성된 메인유로 연결부(115)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제1연결부(91)과 제2연결부(92)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맥주 제조팩(12)으로 물을 급수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발효조 어셈블리(1)를 냉각하는 동안 클로즈되어 메인유로(2)를 클로즈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첨가제를 맥주 제조팩(12) 내부로 공급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클로즈되어 맥주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맥주 숙성 및 보관시 클로즈되어 맥주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맥주 취출기(6)에 의한 맥주 취출시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주는 메인밸브(9)를 통과하여 맥주 취출유로(61)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맥주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의 에어를 배기하는 에어 조절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는 외부의 에어를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반대로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는 에어펌프(152)와, 에어펌프(152)와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를 연결하는 에어 공급유로(154)와; 에어 공급유로(154)에 연결되어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밸브(156)를 포함한다.
맥주 제조기는 에어 공급유로(154)와 연결유로(10)의 연결부와 발효조 어셈블리(1) 사이에 연결된 에어 릴리프 밸브(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펌프(152)와 에어 공급유로(154)는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로 기능할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154)와 배기밸브(156)는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에어 배기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154)는 발효조(112)에 연결되어 발효조(112)와 맥주 제조팩(12) 사이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154)는 일단이 에어펌프(152)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발효조(112)에 연결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이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에어펌프(152)와 에어 공급유로(154)는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로 공급된 에어는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서 맥주 제조팩(12)을 가압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주는 에어에 의해 눌린 맥주 제조팩(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메인밸브(9)와 맥주 취출밸브(62)가 개방되면,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통과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에서 메인유로(2)로 유동된 맥주는 맥주 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맥주 제조가 완성되면, 맥주 제조팩(12)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외부로 꺼내지 않고,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주를 맥주 취출기(6)로 취출할 수 있다.
에어펌프(152)는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 소정 압력이 형성되게 에어를 공급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는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주 취출이 용이한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펌프(152)는 맥주 취출이 진행되는 동안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맥주 취출이 끝나면, 다음 번 맥주 취출를 위해 구동되었다가 정지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에 위치될 수 있고, 에어 공급유로(154) 중 발효조(112)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에어 공급유로(154)에 연결유로(157)로 연결될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154)는 연결유로(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4F)을 기준으로, 에어펌프(152)부터 연결부(154F)까지의 제1유로와, 연결부(154F)부터 출구단(154E)까지의 제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는 에어펌프(152)에서 펌핑된 에어를 제2유로로 안내하는 급기유로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로는 급기유로를 통과한 에어를 발효조(112)와 맥주 제조팩(12) 사이로 급기하거나, 발효조(112)와 맥주 제조팩(12) 사이에서 유출된 에어를 연결유로(157)로 안내하는 급기 및 배기 겸용 유로일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맥주 제조의 도중에 맥주 제조팩(12)이 팽창될 때,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급수모듈(5)에 의한 급수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에어주입기(8)에 의한 에어 주입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주 취출이 완료되면,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를 빼내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맥주 취출이 완료된 후, 맥주 제조팩(12)을 발효조(112)의 외부로 꺼낼 수 있는데, 발효조(112) 내부가 고압을 유지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배기밸브(156)는 맥주 제조팩(12)의 맥주 취출 완료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도면부호 16은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로서, 온도센서(16)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측정하여, 후술하는 컨트롤러(109, 도 3 참조)로 온도값을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맥주 제조기는 베이스(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맥주 제조기의 저면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그 상측에 위치하는 발효조 어셈블리(1), 압축기(131), 급수히터(53), 급수펌프(52), 수조(51) 등을 지지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맥주 취출밸브(62)에서 낙하된 맥주를 받아 보관할 수 있는 맥주 컨테이너(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컨테이너(101)는 베이스(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베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맥주 컨테이너(101)는 내부에 맥주 취출밸브(62)에서 낙하된 맥주가 수용되는 공간이 컨테이너 바디(101A)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컨테이너(101)는 컨테이너 바디(101A)의 상면에 배치되어 컨테이너 바디(101A) 내의 공간을 덮는 컨테이너 상판(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01A)는 베이스(100)의 앞부분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01A)는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컨테이너 상판(101B)에는 맥주가 컨테이너 바디(101A) 내부로 낙하되는 홀(101C)이 형성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에서 낙하된 맥주 중 맥주 용기(미도시) 주변으로 낙하된 맥주는 컨테이너 상판(101B)으로 낙하될 수 있고, 컨테이너 상판(101B)의 홀(101C)을 통해 맥주 컨테이너(101) 내부에 일시적으로 보관될 수 있고, 맥주 제조기 주변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로어 발효조(112A)과, 로어 발효조(112A)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개구부(111)가 형성된 어퍼 발효조(112B)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112)에는 맥주 제조팩(12)이 안착되는 시트부(116)가 구비될 수 있다. 시트부(116)는 개구부(111)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은 둘레부가 시트부(116)에 올려질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발효조(112)와 증발기(134)를 함께 둘러싸는 단열벽(102)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벽(102)는 단열성능이 높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발포폴리스티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벽(102)는 상부에 단열벽 개구부(103)가 형성되고 내부에 단열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단열벽(10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단열벽(102)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로어 단열벽(102A)과, 로어 단열벽(102A)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단열벽 개구부(103)가 형성된 어퍼 단열벽(102B)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단열벽(102A)와 어퍼 단열벽(102B)를 갖는 단열벽(102)는 발효조(112)의 둘레면과 하면을 둘러쌀 수 있다.
단열벽(102)의 단열벽 개구부(103)는 발효조(112)의 상부를 둘러쌀 수 있다. 단열벽(102)의 단열벽 개구부(103)는 발효조(112) 중 개구부(113)가 형성된 부분의 외면을 둘러쌀 수 있다.
단열벽(102)의 내면은 발효조(112)의 외면 보다 직경이 클 수 있고, 단열벽(102)의 내면(102C)과 발효조(112)의 외면(112C)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틈에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고, 단열벽(102)의 내면(102C)과 발효조(112)의 외면(112C) 사이의 공기는 발효조(112)를 단열시킬 수 있다. 단열벽(102)의 내면(102C)과 발효조(112)의 외면(112C) 사이의 틈은 증발기(134)가 수용되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발효조(112)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단열벽(102)은 하판부(102D)를 포함할 수 있고, 발효조(112)는 하판부(102D)의 상면(102E)에 안착될 수 있으며, 단열벽(102)는 발효조(112)를 지지할 수 있다.
단열벽(102)는 하판부(102D)의 저면(102F)이 베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된 단열벽 서포터(100A)에 올려질 수 있다.
단열벽(102)는 하판부(102D)에 에어 공급유로(154)가 관통되는 에어 공급유로 관통공(102G)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154)는 일부가 단열벽(102)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발효조(112)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조(112)에는 에어 공급유로(154)의 일부가 삽입되는 에어 공급유로 삽입공(112E)이 형성될 수 있고, 에어 공급유로(154)는 단열조(112)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출구단(154E)을 포함할 수 잇다. 에어 공급유로(154)의 출구단은 단열조(112)의 공간(S1)과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증발기(134)는 이러한 틈에 위치되게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증발튜브일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112C)과 단열벽(102)의 내면(102C) 각각에 접촉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단열벽(102)에 지지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단열벽(102)에 형성된 증발튜브 관통공(미도시)를 관통하여 단열벽(102)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튜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단열벽(102)의 둘레면와, 단열벽(102)의 상면을 둘러싸는 단열벽 커버(104)(105)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하나의 커버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커버의 결합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하면이 개방되고 단열벽(102)의 외둘레면을 둘러싸는 로어 단열벽 커버(104)와, 로어 단열벽 커버(104)의 상부에 배치되고 단열벽(102)의 상면를 덮는 어퍼 단열벽 커버(105)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단열벽 커버(104)는 하부가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다.
어퍼 단열벽 커버(105)는 하부가 로어 단열벽 커버(104)의 상단에 올려질 수 있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단열벽(102)을 보호할 수 있고, 맥주 제조기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단열벽(102)의 둘레면 전체를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고, 단열벽(102)의 둘레면 일부만을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수조(51)를 마주보는 면에 사이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134)의 연장튜브는 사이드 개구부를 통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의 연장튜브는 단열벽 커버(104)(105)의 사이드 개구부를 통과하여 도 4에 도시된 후술하는 수용공간(S5)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수조(51)는 베이스(100) 상측에 베이스(100)와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는 베이스(100)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와 베이스(100)의 사이에는 압축기(131)와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S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조(51)는 단열벽(102)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수조(51)를 베이스(100)와 이격되게 지지하는 수조 서포터(10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고, 수조(51)를 베이스(100) 상측에 베이스(100)와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하단이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고, 그 상부에 수조(51)가 올려질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복수개의 서포터부재가 전체적으로 중공 통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단열벽(102)을 마주보는 면에 사이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수조(51)는 아우터 수조(58)와, 아우터 수조(58)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S4)가 형성된 이너 수조(59)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수조(58)는 수조 서포터(106)의 상부에 올려질 수 있고, 그 하면이 베이스(100)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으며, 아우터 수조(58)와 베이스(100)의 사이에
압축기(131)와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S3)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수조(58)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일 수 있고, 그 내부에 위치하는 이너 수조(59)의 외둘레면과 하면을 둘러싸서 이너 수조(59)를 보호할 수 있다.
이너 수조(59)는 아우터 수조(58)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아우터 수조(58)에 지지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아우터 수조(58)의 상부에 배치되어 이너 수조(59)의 상부 외둘레면을 둘러싸는 수조 프로텍터(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 프로텍터(107)는 이너 수조(59)의 상부 외둘레면 전체 또는 일부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수조 프로텍터(107)는 복수개의 프로텍터 부재가 링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수조(51) 또는 수조 프로텍터(107)에 결합되어 수조(51)의 상면을 덮는 수조 리드(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 리드(108)는 일측이 수조(51) 또는 수조 프로텍터(10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수조 리드(108)는 수조(51) 또는 수조 프로텍터(107)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압축기(131)와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 중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100)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단열벽(101)와 수조(51)의 사이와, 단열벽(101) 중 적어도 하나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발효조 덮개(114)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맥주 제조기는 디스펜서(3)가 발효조 덮개(114)와 수조(51)의 사이 이외에 위치하는 경우 보다,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고, 디스펜서(3)가 발효조 덮개(114) 및 수조(5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아우터 수조(58)에 안착될 수 있고, 타측이 단열벽 커버(104)(105)에 안착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베이스(100)의 상측에 베이스(10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도 1에 도시된 캡슐(C1)(C2)(C3)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가 형성된 캡슐 수용바디(36)와, 캡슐 수용부를 덮는 리드 모듈(37)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좌측판과 우측판 중 수조(51)를 마주보는 일측판이 아우터 수조(58)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어 아우터 수조(58)에 지지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좌측판과 우측판 중 발효조 덮개(114)를 마주보는 타측판이 단열벽 커버(104)(105)에 안착될 수 있고, 단열벽 커버(104)(105)에 지지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를 덮는 리드(38)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38)은 캡슐 수용바디(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드(38)은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맥주 제조기의 대략 중앙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펜서(3)의 리드 모듈(37)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캡슐(C1)(C2)(C3)을 용이하게 장착, 분리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S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공간(S5)는 좌우 방향으로 단열벽(102)과 수조(51)의 사이이고 상하 방향으로 디스펜서(3)와 베이스(100)의 사이인 공간일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다수의 부품이 이러한 수용공간(S5)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맥주 제조기는 컴팩트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S5)에 수용된 다수의 부품은 단열벽(102)과 수조(51)와 베이스(100)와 디스펜서(3)와 응축기(132)와 후술하는 센터 커버(66)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에 설치되어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를 개폐하는 개폐밸브(313)(323)(3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수용바디(36)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개폐밸브(313)(323)(333)는 베이스(100)에 설치된 브래킷(64, 도3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
브래킷(64)는 단열벽(102)의 옆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고, 개폐밸브(313)(323)(333)는 브래킷(64)에 의해 단열벽(102)과 수조(51)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개폐밸브(313)(323)(333)는 좌우 방향으로 단열벽(102)과 수조(51)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디스펜서(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개폐밸브(313)(323)(333)의 전방을 가리는 센터 커버(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커버(6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단열벽 커버(104)와 수조 서포터(106) 사이를 막고, 상하 방향으로 디스펜서(3)와 베이스(100) 사이를 막게 배치될 수 있다. 센터 커버(66)는 그 배면이 응축기(132)를 전후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고, 다수의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3)는 그 앞부분이 센터 커버(66)의 상단에 올려질 수 있고, 디스펜서(3)는 센터 커버(66)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맥주 취출밸브(62)는 센터 커버(66)에 장착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는 센터 커버(66)에 전방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는 맥주 컨테이너(101)의 상측에 위치되게 센터 커버(66)에 장착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맥주 제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09)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메인 피시비(109C)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의 무선통신기기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소자는 와이파이모듈과 블루투스모듈 등과 같이, 리모컨이나 무선통신기기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무선통신소자는 메인피시비(100C) 또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에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기의 제조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로터리 놉(109A)과, 로터리 놉(109A)에 의해 스위칭되는 로터리 스위치(109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의 일측에는 로터리 놉(109A)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 놉 홀(106A)이 형성될 수 있다. 로터리 놉(109A)은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109B)는 메인 피시비(109C)에 설치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109D)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이나 무선통신기기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무선통신소자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기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9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엘시디, 엘이디, 오엘이디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D)는 디스플레이 소자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피시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피시비는 메인 피시비(109C)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커넥터를 통해 메인 피시비(109C)에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압력 센서(72)에 의해 맥주 제조팩(12)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고, 온도센서(16)에 의해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이렇게 감지된 압력나 온도를 이용하여 맥주의 발효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후술하는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인 시간과, 에어펌프(152)가 구동인 시간과, 맥주 제조가 완료된 후 메인밸브(9)가 온인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산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이렇게 적산된 시간에 따라, 맥주 제조 팩(12)에서 취출된 맥주의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이렇게 산출된 맥주의 취출량으로부터, 맥주의 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산출된 맥주의 잔량 정보로부터, 맥주 제조 팩(12) 내의 맥주가 모두 취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 팩(12) 내의 맥주가 모두 취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맥주 취출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디스플레이(109D)를 통해 맥주의 취출량, 맥주의 잔량이나 맥주 취출 완료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맥주 취출 밸브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맥주 취출밸브(62)는 도 1에 도시된 맥주 취출유로(61)와 연결된 밸브유로(611)가 형성된 밸브 바디(600)와; 밸브 바디(600)에 승강되게 배출되고 밸브유로(611)를 개폐하는 승강 밸브체(610)와; 승강 밸브체(6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동작시 승강 밸브체(610)를 승강시키는 회전 레버(620)와, 승강 밸브체(610)에 의해 스위칭되는 리미트 스위치(630)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취출밸브(62)는 밸브 바디(600)에 내장되어 승강 밸브체(610)를 하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밸브 스프링(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바디(600)는 도 2에 도시된 센터 커버(66)에 장착될 수 있다. 밸브유로(611)는 밸브 바디(60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 유로(612)와, 수평유로(612)의 선단에서 하측 바향으로 꺽이게 형성된 수직유로(6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맥주 취출유로(61)로 안내된 맥주는 수평유로(612)의 개방시 수평유로(612)와 수직유로(613)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수직유로(613)의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밸브 바디(600)는 내부에 수평유로(612)가 형성된 수평부와, 수평부에 직교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수직유로(613)가 형성된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밸브체(610)는 밸브유로(611) 특히 수직유로(613)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승강 밸브체(610)는 수평유로(612)를 막는 높이로 하강될 수 잇고, 수평유로(612)를 개방하는 높이로 상승될 수 있다. 승강 밸브체(610)는 상부가 밸브 바디(60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승강 밸브체(610)에는 그 상승시 리미트 스위치(630)를 접점시키는 조작돌기(614)가 돌출될 수 있다.
회전 레버(620)는 승강 밸브체(610)의 상부에 힌지(621) 연결될 수 있고, 승강 밸브체(6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눕혀질 수 있다.
회전 레버(620)가 수평하게 눕혀질 경우, 승강 밸브체(610)는 상승되어 수평유로(612)를 개방할 수 있고, 회전 레버(620)가 수직하게 세워질 경우, 승강 밸브체(610)는 하강되어 수평유로(612)를 폐쇄할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630)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러(109)와 연결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리미트 스위치(630)의 온,오프에 따라 맥주 제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밸브 스프링(640)는 밸브 바디(600)의 수직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 밸브체(610)를 하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가 제어 수순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으로 물을 급수할 때의 물 유동 및 발효조의 에어가 배출되는 유동이 도시된 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으로 에어을 주입할 때의 에어 유동 및 발효조의 에어가 배출되는 유동이 도시된 도이며,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맥주 제조팩에서 맥주가 취출 완료된 이후 발효조의 에어가 배출되는 유동이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의 맥주 제조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맥주 제조기는 그 내부의 유로를 세척 및 살균하는 세척 및 살균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 및 살균 코스는 맥주 제조 코스와 별도로 진행될 수 있다.
세척 및 살균 코스는 맥주 제조 코스의 실시 이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척 및 살균 코스는 맥주 제조 코스의 도중에,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후술하는 1차 발효단계나 2차 발효단계와 같이, 메인밸브(9)가 클로즈이고, 디스펜서(3)에 첨가제가 담겨있지 않은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세척 및 살균 코스는 디스펜서(3) 내부에 캡슐(C1)(C2)(C3)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고, 맥주 제조 코스는 디스펜서(3) 내부에 캡슐(C1)(C2)(C3)이 수용되고 발효조(112) 내부에 맥주 제조팩(12)가 수용된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세척 및 살균 코스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사용자는 컨트롤러(109)에 구비된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세척 및 살균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세척 및 살균 명령의 입력에 따라 맥주 제조기를 세척 및 살균 코스(S100)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맥주 취출밸브(62)를 개방 조작한 후,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세척 및 살균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취출밸브(62)의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이고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세척 및 살균 명령을 입력되었으면,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으며, 바이패스 밸브(35)와, 제1,2,3, 개폐밸브(313)(323)(333)를 온시킬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109)는 메인밸브(9)을 클로즈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의 온과, 제1,2,3, 개폐밸브(313)(323)(333)의 온시, 바이패스 밸브(35)와, 제1,2,3, 개폐밸브(313)(323)(333) 모두는 개방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히터(53)로 유동되어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즉, 온수)는 메인유로(2)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캡슐 수용부(33)로 유동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은 메인유로(2)와,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캡슐 수용부(33)를 통과한 후 맥주 취출유로(61)로 유동될 수 있고, 맥주 취출밸브(62)를 통해 출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맥주 제조기는 메인유로(2), 바이패스 밸브(35),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캡슐 수용부(33), 맥주 취출유로(61) 및 맥주 취출밸브(62)가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에 의해 세척 및 살균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세척 및 살균을 세척설정시간 실시할 수 있고, 세척설정시간 이후, 세척 및 살균 단계(S100)를 완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세척설정시간 경과 후,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으며, 바이패스 밸브(35)와, 제1,2,3, 개폐밸브(313)(323)(333) 모두를 오프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와, 제1,2,3, 개폐밸브(313)(323)(333)의 오프시, 바이패스 밸브(35)와, 제1,2,3, 개폐밸브(313)(323)(333) 모두는 클로즈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척 및 살균 단계(S100)가 완료되면, 맥주 취출밸브(62)를 클로즈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맥주 제조기는 맥주를 제조하는 맥주 제조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맥주 제조코스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맥주 제조 코스를 위해, 발효조 덮개(114)를 열고 맥주 제조팩(12)을 발효조(12) 내로 삽입하여 발효조(12)에 안착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발효조 덮개(114)를 닫을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12)와 발효조 덮개(114)에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때, 발효조(112)의 내부는 발효조 덮개(114)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맥주 제조팩(12)의 안착 전,후에 디스펜서(3)에 복수개의 캡슐(C1)(C2)(C3)를 삽입한 후 리드 모듈(37)로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을 덮을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러(109)에 구비된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맥주 제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 명령의 입력에 따라 맥주 제조기를 맥주 제조 코스로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 코스시, 맥주 제조팩(12)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단계(S200)를 개시할 수 있다. 급수단계(S200)은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아를 온수와 고르게 혼합(Mixing)하여 액상 맥아를 형성하는 액상 맥아 형성단계일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급수단계(S200)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온시킬 수 있으며, 메인밸브(9)를 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오프 상태인 메인밸브(9)를 온시켜 메인밸브(9)를 개방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급수단계(S200)시 제1개폐밸브(313)와, 제2개폐밸브(323)과, 제3개폐밸브(333)을 오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팩(12)으로 급수시 가스 배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09)는 배기밸브(156)를 온시켜 배기밸브(156)를 오픈 제어할 수 있다.
수조(51)의 물은 수조(51)에서 출수되어 급수펌프(52)를 통과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유동되어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은 메인 유로(2) 및 바이패스 밸브(35)를 통과할 수 있고, 메인밸브(9)를 통과하여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메인유로(2)를 통해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된 온수는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맥아와 혼합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아는 물과 혼합되어 점차 희석될 수 있다. 한편, 맥주 제조팩(12)으로 온수가 공급되므로,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맥아는 온수와 신속하고 고르게 혼합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은 상기와 같은 물의 유입시 점차 팽창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는 맥주 제조팩(12)이 팽창됨에 따라 일부가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된 공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으로 물이 유입되는 동안,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에 채워져있던 공기 중 일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은 발효조(112) 내부에서 터지거나 찢어지는 것 없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급수단계(S200)시 급수히터(53)는 물을 50℃ 내지 7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컨트롤러(109)는 써미스터(57: Thermistor)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급수히터(53)를 제어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급수단계(S200)를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수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될 때까지 실시할 수 있고,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수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되면, 급수단계(S200)을 완료할 수 있다. 급수단계(S200)의 완료시, 컨트롤러(109)는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 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오프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급수단계(S200)의 완료시 가스 배출밸브(73)을 오프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급수단계(S200)의 완료시,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맥주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급수단계(S200)의 도중에,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에어가 유입되게 제어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물을 1차 유입한 다음 중단하고, 이후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한 다음 중단하며, 최종적으로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온수를 2차 유입한 다음 중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1차 물 유입과, 에어 주입과, 2차 물 유입을 순차적으로 모두 완료한 후 급수단계(S200)를 완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급수단계(S200)의 일 예는 온수를 급수하는 온수급수과정만을 실시할 수 있다.
급수단계(S300)의 다른 예는 1차로 온수를 급수하는 1차 온수급수과정과,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과정과, 2차로 온수를 주입하는 2차 온수급수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급수단계(S200)의 일예로 급수단계(S200)가 온수급수과정만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온시킬 수 있으며, 메인밸브(9)를 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가스 배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배기밸브(156)을 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오프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가스 배출밸브(73)을 오프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배기밸브(156)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하, 급수단계(S200)의 다른 예로, 급수단계(S200)가 1차 온수급수과정과, 에어주입과정과, 2차 온수급수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온시킬 수 있으며, 메인밸브(9)를 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가스 배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배기밸브(156)을 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바이패스 밸브(35)와 메인밸브(9)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가스 배출밸브(73)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배기밸브(156)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차 온수급수과정시, 맥주 제조팩(12)의 내부에는 물이 유입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은 유입되는 물에 의해 팽창될 수 있으며,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맥주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에어주입과정의 개시시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킬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가 온인 동안, 에어 주입펌프(82)에 의해 펌핑된 에어는 에어 주입유로(81)를 통해 메인유로(2)로 유입될 수 있고, 메인밸브(9)를 통해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된 에어는 액상 맥아를 부딪혀 맥아와 온수가 보다 고르게 혼합(Mixing)되게 도울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으로 에어가 유입됨에 따라, 맥주 제조팩(12)은 팽창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맥주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압력 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면, 에어주입과정을 완료할 수 있고, 에어주입과정의 완료를 위해 에어 주입펌프(82)를 오프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에어주입과정의 완료시, 메인밸브(9)와 바이패스 밸브(35)와, 가스 배출밸브(73) 및 배기밸브(156)을 온 유지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2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다. 수조(51)의 물은 1차 온수급수과정과 같이, 맥주 제조팩(12)로 급수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에는 새로운 온수가 추가 급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2차 온수급수시, 맥주 제조팩(12)은 추가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더욱 팽창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에 잔존한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맥주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2차 온수급수과정의 도중에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유량에 따라 2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2차 온수급수과정의 도중에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유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되면, 2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로 판단하고,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하고, 메인밸브(9)와 바이패스 밸브(35)와 가스 취출밸브(73)을 오프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09)는 발효조(112) 내의 에어가 배기밸브(156)을 통해 배기되지 않도록 배기밸브(156)를 오프하여 클로즈 제어할 수 잇다.
한편, 맥주 제조기는 급수단계(S200)가 완료되면, 발효조(112)를 냉각시키는 발효조 냉각단계(S300)을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발효조(112)의 냉각을 위해 냉동사이클장치(13)의 압축기(131)과 팽창기구(133)을 제어할 수 있다.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132)에서 응축된 후 팽창기구(133)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팽창기구(133)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134)를 통과하면서 발효조(112)의 열을 빼앗고, 증발될 수 있다. 증발기(134)를 통과한 냉매는 압축기(131)로 흡입될 수 있다. 압축기(131)의 구동시 발효조(112)는 점차 냉각될 수 있고, 발효조(112) 내부에 수용된 맥주 제조팩(12)와, 맥주 제조팩(12)에 수용된 액상 맥아는 냉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효조(112)의 냉각시, 맥주 제조기는 맥주 제조팩(12)을 중온 예를 들면, 23℃ 내지 27℃로 냉각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발효조(112)에 설치된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압축기(131)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압축기 온 온도 초과이면 압축기(131)를 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압축기 오프 온도 이하이면 압축기(131)를 오프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발효조 냉각단계(S300)의 도중에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와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는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며, 발효조(112) 내부의 공기는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발효조 냉각단계(S300)가 개시된 후,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적어도 1회 압축기 오프 온도 이하이면, 맥주 제조팩(12) 내에 에어를 공급하여 액상 맥아를 믹싱하는 믹싱단계(S400)를 실시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믹싱단계(S400)의 도중에도,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압축기(131)을 온, 오프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압축기(131)의 온,오프 제어는 후술하는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가 완료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키고, 바이패스 밸브(35)와 메인밸브(9)와 가스 취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배기밸브(156)을 오픈 제어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가 온인 동안, 에어 주입펌프(82)에 의해 펌핑된 에어는 에어 주입유로(81)를 통해 메인유로(2)로 유입될 수 있고, 이후 메인유로(2)와 메인밸브(9)를 통해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된 에어는 액상 맥아를 부딪혀 맥아와 물이 보다 고르게 혼합되게 도울 수 있고, 액상 맥아에 부딪힌 에어는 액상 맥아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으로 에어가 주입되는 동안, 맥주 제조팩(12)는 맥주 제조팩(12) 내부로 주입된 에어에 의해 팽창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맥주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가 에어 공급유로(154) 및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됨에 따라, 맥주 제조팩(12)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고, 메인유로(2)의 에어는 신속하게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되어 액상 맥아와 혼합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에어 주입펌프(82)가 온되고 믹싱설정시간(예를 들면, 1시간) 동안 에어를 액상 맥아에 혼합할 수 있고, 에어 주입펌프(82)가 온되고 믹싱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에어 주입펌프(82)를 오프하고, 바이패스 밸브(35)와, 가스 취출밸브(73)을 오프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에어 주입펌프(82)의 오프시,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제어할 수 있다. 즉, 맥주 제조기는 믹싱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믹싱단계(S400)을 완료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믹싱단계(S400) 이후에,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를 실시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시, 제1캡슐(C1)의 첨가제와, 제2캡슐(C2)의 첨가제와, 제3캡슐(C3)의 첨가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1캡슐(C1)의 첨가제 투입과정(S500)과, 제2캡슐(C2)의 첨가제 투입과정(S600)과, 제3캡슐(C3)의 첨가제 투입과정(S700)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1캡슐(C1)의 첨가제 투입과정(S500)시, 급수펌프(52)와, 메인밸브(9)와 제1개폐밸브(313)과, 가스 배출밸브(73)을 제1첨가제 설정시간동안 온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펌프(52)를 통과한 후 급수히터(53)를 통과하고, 제1캡슐(C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캡슐(C1)으로 유입된 물은 제1캡슐(C1)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혼합되고, 제1캡슐(C1)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함께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를 통해 맥주 제조팩(12)로 투입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1첨가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급수펌프(52)와, 제1개폐밸브(313)를 오프할 수 있고, 제1캡슐(C1)의 첨가제 투입과정(S500)을 완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2캡슐(C2)의 첨가제 투입과정(S600)시, 급수펌프(52)와 제2개폐밸브(323)을 제2첨가제 설정시간동안 온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펌프(52)를 통과한 후 급수히터(53)를 통과하고, 제2캡슐(C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캡슐(C2)으로 유입된 물은 제2캡슐(C2)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혼합되고, 제2캡슐(C2)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함께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를 통해 맥주 제조팩(12)로 투입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2첨가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급수펌프(52)와, 제2개폐밸브(323)를 오프할 수 있고, 제2캡슐(C2)의 첨가제 투입과정(S600)을 완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3캡슐(C3)의 첨가제 투입과정(S700)시, 급수펌프(52)와 제3개폐밸브(333)을 제3첨가제 설정시간동안 온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펌프(52)를 통과한 후 급수히터(53)를 통과하고, 제3캡슐(C3)로 유입될 수 있다. 제3캡슐(C3)으로 유입된 물은 제3캡슐(C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혼합되고, 제3캡슐(C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함께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를 통해 맥주 제조팩(12)로 투입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제3첨가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급수펌프(52)와, 제3개폐밸브(333)를 오프할 수 있고, 제3캡슐(C3)의 첨가제 투입과정(S700)을 완료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가 모두 완료되면, 디스펜서(3) 내의 잔수를 제거하는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을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시,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키고, 제1개폐밸브(313), 제2개폐밸브(323), 제3개폐밸브(333)을 온시키고, 메인밸브(9)와, 가스 취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의 온시, 공기는 에어 주입유로(81)와 메인유로(2)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1캡슐수용부(31), 제2캡슐수용부(32) 및 제3캡슐 수용부(33)으로 공급되어, 제1캡슐수용부(31), 제2캡슐수용부(32) 및 제3캡슐 수용부(33)에 남아있는 잔수를 메인유로(2)로 불어낼 수 있고, 공기는 제1캡슐수용부(31), 제2캡슐수용부(32) 및 제3캡슐 수용부(33)에 이동된 잔수와 함께 맥주 제조팩(12)로 이동될 수 있다. 컨틀롤러(109)는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시, 배기밸브(156)을 오픈할 수 있다.
메인유로(2)에서 맥주 제조팩(12)으로 잔수 및 에어가 주입됨에 따라, 맥주 제조팩(12)은 더욱 팽창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맥주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가 에어 공급유로(154) 및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됨에 따라, 맥주 제조팩(12)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고, 메인유로(2)의 에어 및 잔수는 신속하게 맥주 제조팩(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잔수제거 설정시간동안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키고, 잔수제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에어 주입펌프(82)를 오프시킬 수 있고, 제1개폐밸브(313)와, 제2개폐밸브(323)와, 제3개폐밸브(333)와, 메인밸브(9)와, 가스 취출밸브(73)를 오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09)는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제어할 수 잇다.
맥주 제조기는 잔수제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을 완료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의 완료 이후에, 1차발효단계(S900)와 2차발효단계(S1000)를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발효단계시(S900), 압축기(131)를 1차발효 타겟온도로 제어할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1차발효설정온도범위를 유지하게 압축기(131)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발효단계(S900) 개시 후, 가스 취출밸브(73)를 주기적으로 온시켰다가 오프시키고, 가스 취출밸브(73)가 온인 동안에 압력 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압력 센서(72)에서 주기적으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제1발효설정압력를 초과하면, 1차발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1차 발효단계(S900)를 완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1차 발효단계(S900)의 완료 후, 2차 발효단계(S1000)를 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2차발효단계시(S1000), 압축기(131)를 2차발효 타겟온도로 제어할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2차발효설정온도범위를 유지하게 압축기(131)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2차발효단계(S1000) 개시 후, 가스 취출밸브(73)를 주기적으로 온시켰다가 오프시키고, 가스 취출밸브(73)가 온인 동안에 압력 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압력 센서(72)에서 주기적으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제2발효설정압력를 초과하면, 2차발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2차 발효단계(S1000)를 완료할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1차 발효단계(S900)과 2차 발효단계(S1000)이 모두 완료되면, 숙성단계(S1100)를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숙성단계시, 숙성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고, 이러한 숙성시간의 동안 맥주의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상한값과 설정숙성온도의 하한값 사이를 유지하게 압축기(131)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하한값 이하이면, 압축기(131)를 오프시킬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상한값 이상이면, 압축기(131)를 온시킬 수 있다.
맥주 제조기는 숙성시간이 경과되면, 맥주 제조가 모두 완료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디스플레이(109D) 등을 통해 맥주의 제조 완료를 표시할 수 잇고, 사용자는 맥주 취출밸브(62)를 조작하여 맥주를 취출할 수 있다.(S1200)
사용자가 맥주 취출밸브(6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리미트 스위치(630)는 접점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맥주 제조가 완료된 상태이므로, 메인밸브(9)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의 개방시, 맥주 제조팩(12) 내의 맥주는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압력에 의해 맥주 제조팩(12)에서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에서 맥주 취출유로(61)로 유동되어 맥주 취출밸브(62)로 취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맥주 취출밸브(62)를 통해 맥주를 일부 취출한 후 맥주 취출밸브(62)를 클로즈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리미트 스위치(630)는 접점 해제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메인밸브(9)를 ??쇄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가 취출되는 중이거나 맥주가 취출된 이후에,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에 따라 에어펌프(152)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이면, 에어펌프(152)를 온시킬 수 있다.
에어펌프(152)의 온시, 에어는 에어 공급유로(154)를 통해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로 공급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는 맥주 제조팩(12)의 맥주가 메인유로(2)로 상승될 수 있는 압력으로 맥주 제조팩(12)을 가압할 수 있다. 즉, 이후의 맥주 추가 취출시 맥주 제조팩(12)의 맥주가 원활하게 신속하게 취출될 수 있도록,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를 충분한 고압으로 형성해 두기 위함이다.
컨트롤러(109)는 에어펌프(152)의 온에 의해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면, 에어펌프(152)를 오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에어펌프(152)에 의한 에어의 공급시, 컨트롤러(109)는 배기밸브(156)는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맥주 취출밸브(62)를 통해 맥주를 적어도 1회 취출할 수 있고, 컨트롤러(109)는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인 시간과, 에어펌프(152)가 구동인 시간과, 맥주 제조가 완료된 후 메인밸브(9)가 온인 시간 등의 정보를 이용해 맥주 취출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취출이 완료이면, 배기밸브(156)를 오픈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맥주 취출이 완료이고, 맥주 취출밸브(62)가 클로즈이면, 배기배브(156)를 완료 설정시간 동안 온시켜 오픈한다.
배기밸브(156)의 오픈 제어시,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는 에어 공급유로(154)를 통해 배기밸브(156)로 배기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는 대기압과 같아 질 수 있다.
컨트롤러(109)는 배기밸브(156)를 온시킨 후, 완료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배기밸브(156)를 오프시켜 클로즈힌다.
사용자는 맥주 제조 및 맥주 취출이 완료된 맥주 제조팩(12)을 발효조(112)에서 꺼내기 위해 발효조 덮개(114)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효조 덮개(114)의 개방시, 발효조(112)의 내부가 대기압 보다 설정압 이상의 고압이면, 맥주 제조팩(12)은 이러한 압력 차에 의해 발효조(112)의 상부로 튀어 오를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발효조 덮개(114)를 개방하기 이전에,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가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되면, 발효조 덮개(114)를 열었을 때, 맥주 제조팩(12)은 상측으로 튀어 오르지 않고, 발효조(112)의 내부에 유지된다.
즉, 사용자는 안전하고 청결하게 기사용한 맥주 제조팩(12)을 발효조(112)에서 인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에어 공급유로(154')가 발효조 어셈블리(1)의 복수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에어 공급유로(154')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에어 공급유로(154')는 발효조(112)에 연결된 복수개의 발효조 연결유로(154A)(154B)와, 복수개의 발효조 연결유로(154A)(154B)가 연결된 공통유로(154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효조 연결유로(154A)(154B)는 발효조(112)의 상부에 연결된 어퍼 연결유로(154A)와, 발효조(112)의 하부에 연결된 로어 연결유로(154B)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연결유로(154A)는 로어 연결유로(154B)보다 개구부(111)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연결유로(157)는 공통유로(154C)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에어 공급유로(154')를 통한 에어의 주입시, 에어펌프(152)에 의해 펌핑된 공기가 발효조(112)의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로 분산 공급될 수 있다.
어퍼 연결유로(154A)를 통해 발효조(112)의 상부로 공급된 공기는 맥주 제조 팩(112)가 발효조(112)의 내측 상부에 밀착되지 않게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어퍼 연결유로(154A)와 로어 연결유로(154A)를 통해 공기가 발효조(112)의 내부의 상,하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발효조(112)의 내측 상부와 공기와 발효조(112)의 내측 하부의 공기는 어퍼 연결유로(154A)와 로어 연결유로(154A)를 통해 신속하게 배기밸브(156)로 유동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와 발효조(112) 사이의 고압은 신속하게 해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에어 주입기(8')는 메인유로(2) 중 디스펜서(3)와 메인밸브(9)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에어 주입구(8')의 연결 위치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이하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에어 주입유로(81')에는 에어를 펌핑하는 에어 주입펌프(82)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주입유로(81')에는 에어 주입유로(81')를 개폐하는 에어 주입 개폐밸브(83')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주입 개폐밸브(83')는 맥주 제조팩(12)로 에어 주입시에만 온되어 개방되고, 그 이외의 공정 동안에는 오프되어 클로즈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맥주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일단이 에어 공급유로(154)에 연결되고 타단이 메인유로(2)에 연결된 에어 주입유로(81")와, 에어 주입유로(81")에 설치된 에어 주입밸브(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유로(81") 및 에어 주입밸브(83") 이외의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3)와, 발효조 어셈블리(1), 메인유로 연결부(115) 등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에어 주입유로(81")의 일단(81a)은 연결유로(157)가 에어 공급유로(154)에 연결되는 연결부(154F)과 에어펌프(15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유로(81")의 타단(81b)은 메인유로(2) 중 급수모듈(5)과 디스펜서(3)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유로(81")에는 급수모듈(5)의 물이 에어 주입밸브(83")로 유동되는 것을 막고, 에어 주입밸브(83")를 통과한 에어가 메인유로(2)로 주입되게 하는 체크밸브(83)가 설치될 수 있다. 체크밸브(83)는 에어 주입방향으로 에어 주입밸브(83")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에어펌프(152)에서 펌핑되어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로 공급되는 에어를 단속하는 에어 공급 개폐밸브(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 개폐밸브(159)는 에어 주입유로(81")의 일단(81a)이 에어 공급유로(154)에 연결되는 지점과, 연결유로(157)가 에어 공급유로(154)에 연결되는 연결부(154F)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맥주 제조팩(12)으로 급수시, 배기밸브(156)가 오픈 제어될 수 있고, 에어 공급 개폐밸브(159) 및 에어 주입밸브(83")가 클로즈일 수 있다. 이 경우, 맥주 제조팩(12)은 메인 유로(2)에서 급수된 물에 의해 팽창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 중 일부는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맥주 제조팩(12)으로 에어 주입시, 에어펌프(152)가 구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 및 에어 주입밸브(83")가 오픈 제어될 수 있고, 에어 공급 개폐밸브(159)가 클로즈일 수 있다.
에어펌프(152)에서 펌핑된 에어는 에어 공급개폐밸브(159)에 막혀,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로 주입되지 못하고, 에어 주입밸브(83")를 통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메인유로(2)로 유동된 에어는 메인밸브(9)를 통과해 맥주 제조팩(12)으로 주입될 수 있다. 맥주 제조팩(12)으로 에어가 주입되면, 맥주 제조팩(12)은 메인 유로(2)에서 공급된 에어에 의해 팽창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 중 일부는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맥주 취출 완료시, 배기밸브(156)가 오픈 제어될 수 있고, 에어 공급 개폐밸브(159) 및 에어 주입밸브(83")가 클로즈일 수 있다. 이 경우, 맥주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될 수 있고, 발효조(112) 내부는 대기압과 같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에어펌프(152)를 이용하여 맥주 취출을 위한 에어를 발효조(112)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고, 맥주 제조팩(12)의 내부로 에어 주입을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맥주 제조팩(12)와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기재된 메인유로(2), 맥주 취출유로(61), 가스 취출유로(71), 에어 주입유로(81), 에어 공급유로(154) 및 연결유로(157) 등의 유로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호스나 튜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호스나 복수개의 튜브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조절밸브 등의 타 구성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2개의 호스나 튜브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