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9365B1 -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365B1
KR102239365B1 KR1020170136781A KR20170136781A KR102239365B1 KR 102239365 B1 KR102239365 B1 KR 102239365B1 KR 1020170136781 A KR1020170136781 A KR 1020170136781A KR 20170136781 A KR20170136781 A KR 20170136781A KR 102239365 B1 KR102239365 B1 KR 10223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battery
voltage
state
proces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398A (ko
Inventor
이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136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365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S18867378T priority patent/ES3021212T3/es
Priority to PCT/KR2018/010005 priority patent/WO2019078477A1/ko
Priority to EP18867378.4A priority patent/EP3637120B1/en
Priority to CN201880031696.0A priority patent/CN110651194B/zh
Priority to JP2019561991A priority patent/JP6907449B2/ja
Priority to US16/610,204 priority patent/US11480615B2/en
Publication of KR20190044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3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7Software therefor, e.g. for battery testing using modelling or look-up t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2Measuring rate of 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2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using digital techniques or performing arithmetic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는 배터리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각각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 사이클 마다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류를 통해 미리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에 따른 제1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전압을 설정하고, 상기 배터리에 대응되는 등가 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에 따른 제2 충전 상태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기준으로 상기 배터리의 전압 영역을 제1 전압 영역과 제2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전압 영역과 상기 제2 전압 영역 각각에서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상기 제1 충전 상태와 상기 제2 충전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추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Apparatus for estimating state of charge of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충방전 사이클 별로 산출된 제1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와 등가 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된 제2 충전 상태를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배터리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배터리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배터리는 니켈 계열의 배터리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배터리를 사용 및 관리함에 있어서 중요한 파라미터들 중 하나는 충전 상태다. 충전 상태는,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된 때에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나타내는 최대 용량(maximum capacity)에 대한 현재의 용량의 상대적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로서, 0~1 또는 0%~100%로 표현될 수 있다.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추정하는 데에는 등가 회로 모델이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등가 회로 모델은, 배터리의 전기적인 동작 특성을 모사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다만, 배터리는 동작 상태에 따라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지는데, 배터리의 비선형적인 특성을 완벽하게 모사하도록 등가 회로 모델을 설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에 따라, 등가 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추정하는 경우, 충전 상태를 추정하고자 하는 대상 배터리의 동작 상태에 따라 특정 전압 영역에서 비선형성을 갖는 충전 상태가 추정됨으로써, 추정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의 정확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방전 사이클 별로 산출된 제1 충전 상태 간의 충전 상태 편차가 최소인 배터리 전압을 제1 기준 전압을 설정하고, 제1 기준 전압 이하의 배터리 전압 영역에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는 제1 충전 상태로 추정하고, 제1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배터리 전압 영역에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는 등가 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된 제2 충전 상태로 추정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는 배터리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각각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 사이클 마다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류를 통해 미리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에 따른 제1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전압을 설정하고, 상기 배터리에 대응되는 등가 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에 따른 제2 충전 상태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기준으로 상기 배터리의 전압 영역을 제1 전압 영역과 제2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전압 영역과 상기 제2 전압 영역 각각에서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상기 제1 충전 상태와 상기 제2 충전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추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 마다 상기 충방전 사이클 별로 상기 제1 충전 상태 간에 충전 상태 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충전 상태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상태 편차가 최소인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제1 기준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 영역 중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압 이하인 전압 영역을 상기 제1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압 영역 중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압를 초과하는 전압 영역을 상기 제2 전압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압 영역에서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상기 제1 충전 상태 중에서 최초 충방전 사이클에 산출된 제1 충전 상태로 추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전압 영역에서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상기 제2 충전 상태로 추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충전 상태에 따른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변화율을 산출하고, 상기 전압 변화율의 증감에 기초하여 제2 기준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압 변화율이 증가하다가 감소하거나,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제2 기준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 영역 중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압 이하인 전압 영역을 상기 제1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기준 전압를 초과하는 전압 영역을 상기 제2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초과하고 상기 제2 기준 전압 이하인 전압 영역을 상기 제1 전압 영역으로 더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가 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제2 충전 상태가 선형적으로 산출되는 전압 영역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는 제2 충전 상태로 추정하고, 제2 충전 상태가 비선형적으로 산출되는 전압 영역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는 충방전 실험을 통해 산출되는 제1 충전 상태로 추정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가 제1 기준 전압을 설정하는데 이용하는 "충방전 사이클별 개방 전압 및 제1 충전 상태 룩업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가 제2 충전 상태를 산출하는데 이용하는 "온도별 개방 전압 및 제1 충전 상태 룩업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충방전 사이클별 개방 전압 및 제1 충전 상태 룩업 테이블"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가 산출한 제2 충전 상태를 전압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가 제1 기준 전압, 제2 기준 전압, 제1 전압 영역 및 제2 전압 영역을 설정하고 제1 충전 상태 및 제2 충전 상태를 배터리의 충전 상태로 추정하는 과정과 관련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그러한 용어들에 의해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제어 유닛>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100)는 배터리(B)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1)에 포함되고, 배터리(B)와 연결되어 배터리(B)의 충전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100)는 센싱부(110), 메모리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B)는 충전 상태가 추정되는 최소 단위의 전지로서, 전기적으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 셀들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배터리(B)가 하나의 단위 셀만을 포함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상기 단위 셀은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하다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일 예시로서 파우치 타입으로 이루어진 리튬 폴리머 배터리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B)는 외부 단자를 통해 다양한 외부 장치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는, 일 예시로서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드론과 같은 무인 비행체, 전력 그리드에 포함된 대용량의 전력 저장 장치(ESS),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터리(B)는 상기 외부 장치에 탑재된 모듈화된 전지 팩에 포함된 단위 셀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B)의 외부 단자는 충전 장치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장치는 배터리(B)가 탑재되는 외부 장치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B)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10)는 프로세서(13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센싱부(110)는 프로세서(130)로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거나 프로세서(13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 가능하도록 프로세서(13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1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배터리(B)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과 배터리(B)로 흘러 들어가거나 흘러 나오는 전류를 반복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과 전류를 나타내는 측정 신호를 프로세서(13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10)는 배터리(B)의 전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전류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센싱부(110)는 배터리(B)의 전압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전압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10)는 배터리(B)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센싱부(110)로부터 측정 신호가 수신되면, 신호 처리를 통해 배터리(B)의 전압, 온도 및 전류 각각의 디지털 값을 결정하고 메모리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로서, 상기 프로세서(130)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기록, 소거, 갱신하며, 배터리(B)의 충전 상태 추정을 위해 마련된 복수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20)는 본 발명을 실시할 때 사용되는 미리 결정된 각종 파라미터들의 사전 설정 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가 제1 기준 전압을 설정하는데 이용하는 "충방전 사이클별 개방 전압 및 제1 충전 상태 룩업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가 제2 충전 상태를 산출하는데 이용하는 "온도별 개방 전압 및 제1 충전 상태 룩업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더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부(120)는 배터리(B)의 충방전 사이클 마다 측정된 배터리(B)의 전류를 통해 미리 산출된 배터리(B)의 전압에 따른 제1 충전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부(120)는 배터리(B)의 충방전 실험을 통해 충방전 사이클 마다 측정되는 배터리(B)의 충방전 전류 및 충방전 시간과 배터리(B)의 최대 용량을 이용하여 미리 산출된 제1 충전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부(120)는 제1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배터리(B)의 전압이 상호 맵핑된 "충방전 사이클 별 개방 전압-제1 충전 상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프로세서(130)가 배터리(B)의 제2 충전 상태를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온도별 개방 전압-충전 상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별 개방 전압-충전 상태 룩업 테이블"은 배터리(B)의 온도 별로 배터리(B)의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배터리(B)의 전압이 상호 맵핑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데이터를 기록, 소거, 갱신할 수 있다고 알려진 반도체 메모리 소자라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 예시로서, 상기 메모리부(120)는 DRAM, SDRAM, 플래쉬 메모리, ROM, EEPROM, 레지스터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상기 프로세서(130)의 제어 로직을 정의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플래쉬 메모리나 하드디스크와 같은 불활성 기억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프로세서(13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프로세서(130)와 일체로 통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센싱부(11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배터리(B)의 충방전 사이클 마다 측정된 배터리(B)의 전류를 통해 미리 산출된 배터리(B)의 전압에 따른 제1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30)는 배터리(B)에 대응되는 등가 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배터리(B)의 전압에 따른 제2 충전 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30)는 제1 기준 전압을 기준으로 배터리(B)의 전압 영역을 제1 전압 영역과 제2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1 전압 영역과 제2 전압 영역 각각에서의 배터리(B)의 충전 상태를 제1 충전 상태와 제2 충전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추정된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통신 단자(COM)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제어 로직들을 실행하기 위해 당업계에 알려진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제어 로직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합되고, 조합된 제어 로직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체계로 작성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포함된 프로세서(130)에 의해 접근이 가능한 것이라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 예시로서, 기록매체는 ROM, RAM, 레지스터,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광 데이터 기록장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코드 체계는 캐리어 신호로 변조되어 특정한 시점에 통신 캐리어에 포함될 수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에 분산되어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조합된 제어 로직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프로세서(130)가 배터리(B)의 제1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전압을 설정하고, 설정된 제1 기준 전압을 기준으로 제1 전압 영역과 제2 전압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충방전 사이클별 개방 전압 및 제1 충전 상태 룩업 테이블"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30)는 배터리(B)의 제1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B)의 제1 충전 상태는 배터리(B)의 충방전 실험을 통해 충방전 사이클 마다 측정되는 배터리(B)의 충방전 전류 및 충방전 시간과 배터리(B)의 최대 용량을 이용하여 미리 산출되어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B)의 제1 충전 상태는 대응되는 배터리(B)의 전압과 상호 맵핑되어 상기 메모리부(120)에 "충방전 사이클 별 개방 전압-제1 충전 상태 룩업 테이블"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충방전 사이클 별 개방 전압-제1 충전 상태 룩업 테이블"의 데이터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방전 사이클 별로 X축이 제1 충전 상태(SOC)이고, Y축이 개방 전압(OCV)인 OCV-SOC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130)는 배터리(B)의 전압 마다 충방전 사이클 별로 제1 충전 상태 간에 충전 상태 편차를 산출하고, 충전 상태 편차를 이용하여 제1 기준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30)는 배터리(B)의 전압 "3V"에 대해 충방전 사이클 별로 제1 충전 상태 간에 충전 상태 편차를 산출하는 경우, 1번째 내지 n번째 충방전 사이클 각각에서 배터리(B)의 전압 "3V"에 대응되는 배터리(B)의 제1 충전 상태 각각을 상기 메모리부(120)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130)는 1번째 충방전 사이클에서 배터리(B)의 전압 "3V"에 대응되는 배터리(B)의 제1 충전 상태를 기준으로 나머지 2번째 내지 n번째 충방전 사이클에서 배터리(B)의 전압 "3V"에 대응되는 배터리(B)의 제1 충전 상태들과의 편차를 충전 상태 편차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130)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충전 상태 편차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7103910275-pat00001
여기서, Dv는 배터리(B)의 전압 "V"에 대한 상기 충전 상태 편차이고, SOC1nV는 n번째 충방전 사이클에서 배터리(B)의 전압 "V"에 대응되는 배터리(B)의 제1 충전 상태이고, n은 충방전 사이클의 최종 횟수이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30)는 배터리(B)의 모든 전압 영역에 대해 배터리(B)의 전압 마다 충방전 사이클 별로 제1 충전 상태 간에 충전 상태 편차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130)는 배터리(B)의 전압 마다 산출된 충전 상태 편차들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이 산출된 배터리(B)의 전압을 제1 기준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30)는 설정된 제1 기준 전압을 기준으로 배터리(B)의 전압 영역을 제1 전압 영역과 제2 전압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는 배터리(B)의 전압 영역 중에서 제1 기준 전압 이하인 전압 영역을 제1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1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 영역을 제2 전압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30)는 배터리(B)의 전압 마다 산출된 충전 상태 편차들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이 배터리(B)의 전압 "3.6V"에서 산출되면, 배터리(B)의 전압 "3.6V"를 제1 기준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130)는 배터리(B)의 전압 영역 중에서 제1 기준 전압 "3.6V" 이하인 전압 영역을 제1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1 기준 전압 "3.6V"를 초과하는 전압 영역을 제2 전압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프로세서(130)가 배터리(B)의 제2 충전 상태를 산출하고, 제2 기준 전압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가 산출한 제2 충전 상태를 전압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30)는 등가 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배터리(B)의 전압에 따른 제2 충전 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는 배터리(B)의 전압 거동을, 개방 전압(open circuit voltage), 내부 저항, 및 저항-커패시터 병렬 회로가 직렬 연결된 등가 회로로 모델링하고, 이러한 등가 회로 모델의 인자들을 변수로 하는 선형 또는 비선형 함수와 전류 적산 방법을 이용하여 제2 충전 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
물론, 배터리(B)의 제2 충전 상태는 전류 적산법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도 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130)는 칼만 필터(Kalman Filter) 또는 확장 칼만 필터(Extended Kalman Filter)를 기반으로 상기 센싱부(110)로부터 수신되는 배터리(B)의 전압, 전류 및 온도의 측정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B)의 제2 충전 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태 귀환 필터 및 관측 귀환 필더를 이용하여 배터리(B)의 제2 충전 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B)의 제1 충전 상태는 충방전 실험을 통해 산출되어 상기 메모리부(120)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이고, 이에 반해, 배터리(B)의 제2 충전 상태는 현재 배터리(B)에 대한 측정 신호와 배터리(B)를 전기적으로 모사한 등가 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된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30)는 배터리(B)의 전압 영역 전체에 대해 제2 충전 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B)의 충전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B)의 전압 영역 전체에 걸쳐 X축이 제2 충전 상태(SOC)이고, Y축이 개방 전압(OCV)인 OCV-SOC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프로세서(130)가 제1 전압 영역과 제2 전압 영역 각각에서 배터리(B)의 충전 상태를 추정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가 제1 기준 전압, 제2 기준 전압, 제1 전압 영역 및 제2 전압 영역을 설정하고 제1 충전 상태 및 제2 충전 상태를 배터리의 충전 상태로 추정하는 과정과 관련된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30)는 제1 전압 영역에서의 배터리(B)의 충전 상태를 배터리(B)의 제1 충전 상태로 추정하고, 제2 전압 영역에서의 배터리(B)의 충전 상태를 배터리(B)의 제2 충전 상태로 추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30)는 제1 전압 영역에서 배터리(B)의 충전 상태를 충방전 실험을 통해 충방전 사이클 별로 산출된 배터리(B)의 제1 충전 상태 중에서 최초 즉, 1번째 충방전 사이클에 산출된 배터리(B)의 제1 충전 상태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30)는 제2 전압 영역에서 배터리(B)의 충전 상태를 등가 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산출된 배터리(B)의 제2 충전 상태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30)는 배터리(B)의 제2 충전 상태에 따른 배터리(B)의 전압 변화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변화율의 증감에 기초하여 제2 기준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는 배터리(B)의 제2 충전 상태에 대응되어 변화하는 배터리(B)의 전압 변화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전압 변화율이 양의 값에서 음의 값으로 변경되거나, 음의 값에서 양의 값으로 변화하는 배터리(B)의 전압을 제2 기준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B)의 전압 변화율이 음의 값에서 양의 값으로 변화하는 배터리(B)의 전압 "3.8V"를 제2 기준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제2 기준 전압이 설정되면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제1 전압 영역과 제2 전압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는 배터리(B)의 전압 영역 중에서 제1 기준 전압 이하인 전압 영역을 제1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1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 영역을 제2 전압 영역으로 설정한 후, 제2 기준 전압 이하이고 제1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 영역을 제1 전압 영역으로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30)는 배터리(B)의 전압 "3.6V"와 "3.8V"를 각각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으로 설정하면, 배터리(B)의 전압 영역 중에서 제1 기준 전압 "3.6V" 이하인 전압 영역을 제1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1 기준 전압 "3.6V"를 초과하는 전압 영역을 제2 전압 영역으로 설정한 후, 제2 기준 전압 "3.8V" 이하이고 제1 기준 전압 "3.6V"를 초과하는 전압 영역을 제1 기준 영역으로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130)는 제1 전압 영역(0V 내지 3.8V)에서 배터리(B)의 충전 상태를 충방전 실험을 통해 충방전 사이클 별로 산출된 배터리(B)의 제1 충전 상태 중에서 최초 즉, 1번째 충방전 사이클에 산출된 배터리(B)의 제1 충전 상태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30)는 제2 전압 영역(3.8V 초과)에서 배터리(B)의 충전 상태를 등가 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산출된 배터리(B)의 제2 충전 상태로 추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100)는 특정 전압 영역에서 충방전 사이클 별로 제1 충전 상태 간에 차이가 미미한 제1 충전 상태의 특성과 특정 전압 영역에서 비선형적으로 산출되는 제2 충전 상태의 특성을 이용하여 오차가 최소화된 충전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100)는 충방전 사이클 별 제1 충전 상태 중에서 1번째 충방전 사이클에서 산출된 제1 충전 상태와 다른 충방전 사이클에서 산출된 제1 충전 상태간의 차이가 미미한 전압 영역을 제1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여 제1 전압 영역에서의 배터리(B)의 충전 상태를 제1 충전 상태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100)는 제2 충전 상태가 비선형적으로 산출되는 전압 영역을 제외하고 선형적으로 산출되는 전압 영역을 제2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여 제2 전압 영역에서의 배터리(B)의 충전 상태를 제2 충전 상태로 추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 배터리 팩
B: 배터리
100: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110: 센싱부
120: 메모리부
130: 프로세서

Claims (10)

  1. 배터리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각각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복수의 충방전 사이클 마다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전류를 통해 상기 복수의 충방전 사이클에서 미리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에 따른 복수의 제1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전압을 설정하고,
    상기 배터리에 대응되는 등가 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에 따른 제2 충전 상태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기준으로 상기 배터리의 전압 영역을 제1 전압 영역과 제2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전압 영역과 상기 제2 전압 영역 각각에서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상기 제1 충전 상태와 상기 제2 충전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추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충방전 사이클에서 동일한 전압 마다 상기 복수의 제1 충전 상태 간의 충전 상태 편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복수의 충전 상태 편차 중 상기 충전 상태 편차가 최소인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제1 기준 전압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 영역 중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압 이하인 전압 영역을 상기 제1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압 영역 중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압를 초과하는 전압 영역을 상기 제2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압 영역에서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상기 제1 충전 상태 중에서 최초 충방전 사이클에 산출된 제1 충전 상태로 추정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전압 영역에서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상기 제2 충전 상태로 추정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충전 상태에 따른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변화율을 산출하고,
    상기 전압 변화율의 증감에 기초하여 제2 기준 전압을 설정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압 변화율 이 증가하다가 감소하거나,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제2 기준 전압으로 설정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 영역 중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압 이하인 전압 영역을 상기 제1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기준 전압를 초과하는 전압 영역을 상기 제2 전압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초과하고 상기 제2 기준 전압 이하인 전압 영역을 상기 제1 전압 영역으로 더 설정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10.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170136781A 2017-10-20 2017-10-20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Active KR102239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781A KR102239365B1 (ko) 2017-10-20 2017-10-20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PCT/KR2018/010005 WO2019078477A1 (ko) 2017-10-20 2018-08-29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EP18867378.4A EP3637120B1 (en) 2017-10-20 2018-08-29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 state of charge (soc) of a battery
CN201880031696.0A CN110651194B (zh) 2017-10-20 2018-08-29 用于估计电池的soc的装置和方法
ES18867378T ES3021212T3 (en) 2017-10-20 2018-08-29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 state of charge (soc) of a battery
JP2019561991A JP6907449B2 (ja) 2017-10-20 2018-08-29 バッテリー充電状態推定装置及び方法
US16/610,204 US11480615B2 (en) 2017-10-20 2018-08-29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SOC of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781A KR102239365B1 (ko) 2017-10-20 2017-10-20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398A KR20190044398A (ko) 2019-04-30
KR102239365B1 true KR102239365B1 (ko) 2021-04-09

Family

ID=6617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781A Active KR102239365B1 (ko) 2017-10-20 2017-10-20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80615B2 (ko)
EP (1) EP3637120B1 (ko)
JP (1) JP6907449B2 (ko)
KR (1) KR102239365B1 (ko)
CN (1) CN110651194B (ko)
ES (1) ES3021212T3 (ko)
WO (1) WO2019078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1977B1 (ko) * 2020-07-10 2025-01-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220101996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3484762B (zh) * 2021-07-16 2024-05-14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电池健康状态估算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0723A (ja) * 2013-03-26 2014-10-06 Gs Yuasa Corp 充電状態検出装置および充電状態検出方法
US20160259011A1 (en) 2013-10-14 2016-09-08 Lg Chem, Ltd. Apparatus for estimating state of secondary battery including blended positive electrode material and method thereof
JP2016186487A (ja) 2010-01-19 2016-10-27 株式会社Gsユアサ 二次電池の充電状態測定装置及び二次電池の充電状態測定方法
JP2017067788A (ja) * 2015-02-19 2017-04-0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池状態推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2110B2 (en) 2004-04-23 2008-06-03 Sony Corporation Method of charging secondary battery, method of calculating remaining capacity rate of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JP4086008B2 (ja) 2004-04-28 2008-05-14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の残容量率算出方法および電池パック
SG120181A1 (en) * 2004-08-18 2006-03-28 Gp Batteries Internat Ltd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SOC of a rechargeable battery
JP5252875B2 (ja) 2007-10-17 2013-07-31 株式会社マキタ 園芸バリカンとそれに用いるブレードアセンブリ
KR100892821B1 (ko) 2007-11-29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충전상태 산출방법
WO2009147789A1 (ja) 2008-06-06 2009-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回路設計システムおよび回路設計方法
US8264202B2 (en) * 2008-10-10 2012-09-11 Deeya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ate of charge of a battery using an open-circuit voltage
DE102009049589A1 (de) 2009-10-16 2011-04-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stimmung und/oder Vorhersage der maximalen Leistungsfähigkeit einer Batterie
CN102859381A (zh) * 2010-04-22 2013-01-02 埃纳德尔公司 电池充电状态的监视
JP5786324B2 (ja) 2010-11-17 2015-09-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制御装置
JP5318128B2 (ja) * 2011-01-18 2013-10-1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バッテリの充電率推定装置
JP5589909B2 (ja) 2011-03-14 2014-09-17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表示装置のイベント切替え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86470B1 (ko) * 2012-03-16 2015-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1675703B1 (ko) 2012-09-21 2016-11-11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충전 상태 연산 장치 및 충전 상태 연산 방법
US9846200B2 (en) 2012-09-26 2017-12-19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state estimation device and storage battery system
KR101983392B1 (ko) 2012-11-27 2019-05-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JP6033155B2 (ja) 2013-03-29 2016-11-3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池制御装置
CN106062579B (zh) 2014-03-03 2019-03-1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池状态估计装置以及电池状态估计方法
KR102314211B1 (ko) 2014-07-28 2021-10-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친환경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배터리 잔존 용량 추정방법
KR101655583B1 (ko) 2014-11-26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JP6490414B2 (ja) 2014-12-05 2019-03-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状態検出装置および二次電池状態検出方法
JP2016176780A (ja) 2015-03-19 2016-10-06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電池残量予測装置及びバッテリパック
CN106324508B (zh) 2015-07-02 2020-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电池健康状态的检测装置及方法
KR102032229B1 (ko) 2015-11-18 2019-10-16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배터리 수명 상태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74083B1 (ko) 2016-01-12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40880B1 (ko) 2016-04-11 2019-1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170136781A (ko) 2016-06-02 2017-12-12 오경환 화학 첨가물을 함유하지 않는 천연 부추 소시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6487A (ja) 2010-01-19 2016-10-27 株式会社Gsユアサ 二次電池の充電状態測定装置及び二次電池の充電状態測定方法
JP2014190723A (ja) * 2013-03-26 2014-10-06 Gs Yuasa Corp 充電状態検出装置および充電状態検出方法
US20160259011A1 (en) 2013-10-14 2016-09-08 Lg Chem, Ltd. Apparatus for estimating state of secondary battery including blended positive electrode material and method thereof
JP2017067788A (ja) * 2015-02-19 2017-04-0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池状態推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37120B1 (en) 2025-03-12
JP6907449B2 (ja) 2021-07-21
EP3637120A4 (en) 2020-06-03
US20210190865A1 (en) 2021-06-24
CN110651194B (zh) 2022-07-26
ES3021212T3 (en) 2025-05-26
WO2019078477A1 (ko) 2019-04-25
EP3637120A1 (en) 2020-04-15
CN110651194A (zh) 2020-01-03
US11480615B2 (en) 2022-10-25
JP2021500528A (ja) 2021-01-07
KR20190044398A (ko)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274B1 (ko)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1903225B1 (ko) 이차 전지의 퇴화도 추정 장치 및 방법
US10557892B2 (en) Energy storage device state estimation device and energy storage device state estimation method
KR102349235B1 (ko)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0546522B (zh) 用于估计电池余裕容量的装置
US11269013B2 (en) Method for estimating parameter of equivalent circuit model for battery,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KR102525147B1 (ko)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US20210199724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battery management method,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US20200127483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discharge
US20210249885A1 (en) Battery management device, battery management method, and battery pack
KR102203245B1 (ko) 배터리 soc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200097170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배터리 관리 방법 및 배터리팩
KR102256095B1 (ko) 배터리 팩
KR102239365B1 (ko)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CN110546523B (zh) 用于估计电池的电阻的装置和方法
KR102256100B1 (ko) 배터리 팩
KR102256099B1 (ko) 배터리 팩
KR102256598B1 (ko) 배터리 팩
KR20200025495A (ko) 이차 전지의 충전 시간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2255490B1 (ko) 배터리의 내부 저항을 최적화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07400B1 (ko) 온도 측정 회로 진단 장치
KR102646373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관리 방법 및 배터리 팩
KR20240025910A (ko) 배터리 soc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240061261A (ko) 배터리 soh 추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7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0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