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9021B1 - 포도 화수 정형기 - Google Patents

포도 화수 정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021B1
KR102239021B1 KR1020200054292A KR20200054292A KR102239021B1 KR 102239021 B1 KR102239021 B1 KR 102239021B1 KR 1020200054292 A KR1020200054292 A KR 1020200054292A KR 20200054292 A KR20200054292 A KR 20200054292A KR 102239021 B1 KR102239021 B1 KR 102239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grape
pair
flower
flower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일
Original Assignee
전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일 filed Critical 전상일
Priority to KR1020200054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0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2Cultivation of hops or vines
    • A01G17/023Machines for priming and/or preliminary pruning of vines, i.e. removing shoots and/or bu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Other tools for pruning, branching or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1Manual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runing hoo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도 재배시 화수의 정형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포도 화수 정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포도 화수 정형기는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집게부(110a,110b)와 상기 집게부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탄성이격력을 부여하는 탄성손잡이부(120)를 가진 핀셋 형태의 몸체(100)와, 상기 집게부를 합치시킬 경우 원형을 이루면서 포도의 화수 줄기(A)를 감싸도록 각 집게부에 형성된 반구형의 커팅홈(130a,130b)과, 화수 줄기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커팅홈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하는 커팅날(140)과, 재배할 화수(B)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일측의 집게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길이측정용 눈금(1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포도 화수 정형기{Apparatus for arranging the grapes flower buds of grapes}
본 발명은 포도 재배시 화수의 정형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포도 화수 정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도 재배시 포도의 과다결실을 방지하여 균일하고 상품성이 높은 고품질의 포도를 생산할 수 있도록 일부 화수를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포도 화수 정형작업을 필수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포도 화수 정형작업은 무수히 많은 화수들 중 매 화수마다 포도로 키울 일부분만 남기고 나머지를 제거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화수가 연약하고 부드러워 지경(화수 줄기에 붙은 작은 꽃송이)하나하나를 제거하는데는 많은 시간과 작업의 섬세함이 요구되므로 대다수의 포도농가에서 작고 뾰족한 원예용 가위나 맨손으로 작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맨손으로 작업할 경우 손가락이 거칠어지고 상처가 생기는 등 무리가 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현재까지 포도화수를 다듬는 도구들이 몇종류가 공개된 바 있으나 실용성이 거의 없거나 떨어져 상기 도구들을 사용하는 포도농가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42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화수 줄기의 손상 없이 화수의 정형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포도 화수 정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포도 화수 정형기는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집게부와, 상기 한 쌍의 집게부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탄성이격력을 부여하는 탄성손잡이부를 가진 핀셋 형태의 몸체; 상기 한 쌍의 집게부를 합치시킬 경우, 원형을 이루면서 포도의 화수 줄기를 감싸도록 각 집게부에 형성된 반구형의 커팅홈; 화수 줄기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커팅홈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커팅날; 및 재배할 화수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집게부 중 일측의 집게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길이측정용 눈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집게부는 절곡된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팅홈은 절곡된 단부에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일측의 집게부의 내측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의 집게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길이측정용 눈금의 위치를 알려주는 지시부재가 상기 일측의 집게부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지시부재는 엄지손가락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위치고정용 돌기가 형성된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상단을 연결하며 상기 일측의 집게부의 상단에 지지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집게부 중 타측의 집게부의 외측면에는 손가락걸이용 고리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타측의 집게부에는 상기 손가락걸이용 고리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걸이용 고리에는 상기 관통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돌기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포도의 화수 줄기를 감싸도록 집게부에 반구형의 커팅홈이 형성된 핀셋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조가 단순하고 소형이며 경량이어서 작업자가 손에 쥐고 매우 편리하게 화수정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하게 구입하여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팅홈의 하단을 따라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커팅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화수 줄기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집게부에 길이측정용 눈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재배할 화수의 길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화수 작업의 속도 및 정밀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도 화수 정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도 화수 정형기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도 화수 정형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몸체의 집게부에 지시부재와 손가락걸이용 고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사시도.
도 5는 도 4의 집게부 횡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도 화수 정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도 화수 정형기의 사용상태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도 화수 정형기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도 화수 정형기는 작업자가 손으로 간편하게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핀셋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100)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00)는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집게부(110a,110b)와 상기 집게부(110a,110b)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탄성 이격력을 제공하는 탄성손잡이부(120)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몸체(100)는 강도와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하고 내부식성과 탄성력을 가진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감안 할 때, 상기 몸체(100)는 구조가 단순하고 소형의 경량체이므로 작업자가 손에 쥐고 사용하기 매우 편리하다.
한편, 상기 집게부(110a,110b)는 작업자가 몸체(100)를 손으로 쥐었을 때 작업자의 몸쪽을 향하는 일측의 집게부(110a)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타측의 집게부(110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의 집게부(110a)와 타측의 집게부(110b)에는 각각 반구형의 커팅홈(130a,130b)이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몸체(100)를 손으로 움켜쥐고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집게부(110a,110b)들을 오므리게 되면 집게부(110a,110b)들이 합치되며, 상기 집게부(110a,110b)를 따라 상기 커팅홈(130a,130b)들도 원형을 이루며 합치된다.
상기 커팅홈(130a,130b)의 상단과 하단에는 화수의 제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커팅날(140)이 형성된다.
상기 커팅날(140)은 화수 정형 작업시 커팅날(140)에 화수 줄기(A)가 베이면서 화수 줄기(A)가 잘리거나 상처를 입게 되는 손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커팅홈(130a,130b)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포도 화수 정형기는 작업자가 몸체(100)를 손으로 쥐고 상기 커팅홈(130a,130b)들 사이에 포도의 화수 줄기(A)를 위치시킨 다음 집게부(110a,110b)를 오므리게 되면 커팅홈(130a,130b)들이 합치되면서 상기 화수 줄기(A)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쥐고 있던 몸체(100)를 화수 줄기(A)를 따라 위아래로 이동시키게 되면, 커팅홈(130a,130b)의 커팅날(140)에 의하여 화수 줄기(A)로부터 화수들이 제거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작업자가 화수 줄기(A)의 단부에 재배할 화수(B)만을 남겨 놓고 나머지 화수들을 모두 제거하면 화수의 정형이 완료된다.
아울러, 작업자를 향하는 상기 일측의 집게부(110a)의 외측면에는 재배할 화수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길이측정용 눈금(150)이 형성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화수 정형시 상기 길이측정용 눈금(150)을 이용하여 재배할 화수(B)의 길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길이측정용 눈금(150)을 이용하여 화수 줄기(A)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거리(L) 만큼의 재배할 화수(B)만 남겨 놓고 상부의 나머지 화수들을 모두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다 자란 포도 송이의 크기와 모양을 결정할 화수의 길이가 매우 중요하므로 포도 송이의 크기에 따라 3cm, 3.5cm, 4cm 등으로 미세하게 다른 길이로 정형을 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길이측정용 눈금(150)을 이용하면 포도 송이의 크기에 따라 미세하게 변화하는 화수 정형 길이를 확인하면서 화수정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길이측정용 눈금(150)은 작업자를 향하는 일측의 집게부(110a)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재배할 화수(B)의 길이 측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손목과 어깨와 팔의 무리 없이 편안한 자세에서 재배할 화수(B) 길이 측정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재배할 화수(B)의 길이 측정작업과 이에 기반한 화수의 제거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전체적인 화수 정형 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집게부(110a,110b)는 절곡된 단부(111)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팅홈(130a,130b)이 절곡된 단부(111)에 형성되면, 화수 줄기(A)와 탄성손잡이부(120)가 집게부(110a,110b) 단부의 절곡된 각도만큼 경사지게 되므로 작업자의 손목, 팔, 어깨 등이 과도하게 꺽이지 않게 되면서 편안한 자세로 화수 정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몸체의 집게부에 지시부재와 손가락걸이용 고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집게부 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의 집게부(110a)에는 길이측정용 눈금(150)의 위치를 알려주는 지시부재(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시부재(200)는 일측의 집게부(110a)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부(210)와, 상기 일측의 집게부(110a)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부(220)와, 상기 전면부(210)와 후면부(220)의 상단을 연결하며 상기 일측의 집게부(110a)의 상단에 지지되는 연결부(230)를 통해 일측의 집게부(110a)를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상기 일측의 집게부(110a)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일측의 집게부(110a)의 내측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홈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220)에는 상기 홈부(112)에 끼워지는 위치고정용 돌기(2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시부재(200)는 상기 홈부(112)와 위치고정용 돌기(221)를 통해 상기 일측의 집게부(110a)로부터의 이탈됨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일측의 집게부(110a)에 지시부재(200)가 구비되면, 상기 위치고정용 돌기(221)가 특정 위치의 홈부(112)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지시부재(200)의 전단이 가리키는 눈금을 기준으로 화수 줄기(A)의 하단으로부터 재배할 화수(B)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미세하게 표시된 주변의 눈금들로 인한 혼동없이 보다 쉽고 빠르게 재배할 화수(B)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홈부(112)의 간격이 품종에 따른 재배할 화수(B) 길이 차이에 해당하도록 형성되면, 품종에 따라 위치고정용 돌기(221)가 끼워지는 홈부(112)의 위치를 단계적으로 달리해 가면서 지시부재(200)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면부(210)에는 엄지손가락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안착부(2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211)는 단면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동심원 형태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11)는 화수 정형 작업시 폭이 좁은 일측의 집게부(110a)를 지속적으로 누르는 엄지손가락에 수반되는 고통을 경감시킬 뿐만 아니라, 엄지손가락을 밀고 당기면서 이루어지는 상기 지시부재(200)에 대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력 부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다.
한편, 상기 타측의 집게부(110b)의 외측면에는 손가락걸이용 고리(30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별 손의 크기 또는 전후로 이동하는 지시부재(2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손가락걸이용 고리(3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타측의 집게부(110b)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공(113)이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걸이용 고리(300)에는 상기 관통공(1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돌기(31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손가락걸이용 고리(300)를 이용하여 크기가 작고 두께가 얇은 핀셋 형태의 몸체(100)를 마치 연필 쥐듯이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되므로 몸체(100)를 손에서 떨어뜨리지 않고 안정된 자세로 화수 정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몸체 110a,110b...집게부
111...단부 112...홈부
113...관통공 120...탄성손잡이부
130a,130b...커팅홈 140...커팅날
150...길이측정용 눈금 200...지시부재
210...전면부 211...안착부
220...후면부 221...위치고정용 돌기
230...연결부 300...손가락걸이용 고리
310...탄성돌기 A...화수 줄기

Claims (4)

  1.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집게부와, 상기 한 쌍의 집게부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탄성이격력을 부여하는 탄성손잡이부를 가진 핀셋 형태의 몸체;
    상기 한 쌍의 집게부를 합치시킬 경우, 원형을 이루면서 포도의 화수 줄기를 감싸도록 각 집게부에 형성된 반구형의 커팅홈;
    화수 줄기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커팅홈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커팅날; 및
    재배할 화수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집게부 중 일측의 집게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길이측정용 눈금;을 포함하되,
    상기 일측의 집게부의 내측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의 집게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면서 상기 길이측정용 눈금의 위치를 알려주는 지시부재가 상기 일측의 집게부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지시부재는 엄지손가락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위치고정용 돌기가 형성된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상단을 연결하며 상기 일측의 집게부의 상단에 지지되는 연결부를 구비한
    포도 화수 정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는 절곡된 단부를 가지며, 상기 커팅홈은 절곡된 단부에 형성된
    포도 화수 정형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 중 타측의 집게부의 외측면에는 손가락걸이용 고리가 결합되며,
    상기 타측의 집게부에는 상기 손가락걸이용 고리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걸이용 고리에는 상기 관통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돌기가 형성된
    포도 화수 정형기.
KR1020200054292A 2020-05-07 2020-05-07 포도 화수 정형기 Active KR102239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292A KR102239021B1 (ko) 2020-05-07 2020-05-07 포도 화수 정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292A KR102239021B1 (ko) 2020-05-07 2020-05-07 포도 화수 정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021B1 true KR102239021B1 (ko) 2021-04-12

Family

ID=7543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292A Active KR102239021B1 (ko) 2020-05-07 2020-05-07 포도 화수 정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0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420Y1 (ko) 1999-12-07 2000-06-1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포도 화방손질 및 적심용 손톱칼
KR200307270Y1 (ko) * 2002-12-27 2003-03-15 주식회사 영도금속상사 절단용 핀셋
JP2007075014A (ja) * 2005-09-14 2007-03-29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花穂整形器
JP2011152608A (ja) * 2010-01-27 2011-08-1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分類作業用ピンセット
KR20120025835A (ko) * 2010-09-08 2012-03-16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포도 화수정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420Y1 (ko) 1999-12-07 2000-06-1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포도 화방손질 및 적심용 손톱칼
KR200307270Y1 (ko) * 2002-12-27 2003-03-15 주식회사 영도금속상사 절단용 핀셋
JP2007075014A (ja) * 2005-09-14 2007-03-29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花穂整形器
JP2011152608A (ja) * 2010-01-27 2011-08-1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分類作業用ピンセット
KR20120025835A (ko) * 2010-09-08 2012-03-16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포도 화수정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9521B2 (en) Hair cutting apparatus
KR101182176B1 (ko) 포도 화수정리기
US10317641B2 (en) Multi-hole center-fed fiber optic stripping apparatus
US20120073593A1 (en) Hair debraider
US4768528A (en) Finger guide precision haircutting tool
US4348808A (en) Harvesting tool
KR102239021B1 (ko) 포도 화수 정형기
US7231925B1 (en) Hair pick
US4040186A (en) Orthodontic plier-type tool
US3521396A (en) Multipurpose handtool for fishermen
US5884953A (en) Gripping device
US3894548A (en) Hair comb and cutting guide
TWM450197U (zh) 農作物採取器結構
CN218456978U (zh) 一种木槿花去雄工具
CN211079315U (zh) 一种led芯片dbr蒸镀下片工具
JPH0511975Y2 (ko)
JPH0210917Y2 (ko)
CN210610356U (zh) 一种桑树叶快速割取装置
JP3097149U (ja) オクラ鋏
CN212436820U (zh) 一种用于去除荞麦雄蕊的镊子
JPH038223Y2 (ko)
JP4351464B2 (ja) レザーホルダー
CN208132751U (zh) 一种花盆搬运钳夹
KR20100049313A (ko) 가지 비틀기
KR101975987B1 (ko) 화훼용 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