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965B1 - 피부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 Google Patents
피부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8965B1 KR102238965B1 KR1020200091918A KR20200091918A KR102238965B1 KR 102238965 B1 KR102238965 B1 KR 102238965B1 KR 1020200091918 A KR1020200091918 A KR 1020200091918A KR 20200091918 A KR20200091918 A KR 20200091918A KR 102238965 B1 KR102238965 B1 KR 1022389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n
- weight
- treatment
- extract
- la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applying laser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90/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for specific us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 HSP 70의 발현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 세포증식 억제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 세포이동 억제활성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 억제활성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을 피부에 도포한 후, 레이저에 의한 피부 붉음증 임상실험을 진행한 결과이다.
성분명 | 중량%(w/w) | 성분명 | 중량%(w/w) |
분쇄된 양파피 | 8 | 황산마그네슘 | 0.012 |
글루코오스 | 0.5 | 황산망간 | 0.003 |
이스트추출물 | 0.5 | 황산아연 | 0.001 |
인산칼륨 | 0.25 | 황산구리 | 0.001 |
아세트산나트륨 | 0.12 | 정제수 | 90.493 |
시트르산암모늄 | 0.12 |
Claims (17)
-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50 내지 500ppm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피부 세포의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1) 건조 분쇄된 양파피 0.01 ~ 10 중량%, 글루코오스(glucose) 0.1 ~ 5 중량%, 이스트추출물(yeast extract) 0.1 ~ 2 중량%,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0.01 ~ 0.2 중량%,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0.01 ~ 0.5 중량%, 시트르산암모늄(Diammonium citrate) 0.01 ~ 0.5 중량%,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MgSO4) 0.001 ~ 0.01 중량%, 황산망간(manganese sulfate, MnSO4) 0.001 ~ 0.05 중량%, 황산아연(zinc sulfate, ZnSO4) 0.0001 ~ 0.01 중량%, 황산구리(copper sulfate, CuSO4) 0.0001 ~ 0.01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접종하여 상기 양파피를 발효하는 단계;
(3) 발효된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를 80 중량 % 에탄올 용매로 추출하여 알코올 용매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4) 수득한 에탄올 용매 추출물을 여과한 후, 건조하여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붉음증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제약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피부병변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사용되며, CO2 레이저, Nd-YAG 레이저, Er-YAG 레이저, Alexandrite 레이저, He-Ne 레이저, IPL(Intense Pulsed Light), 비침습적 레이저 또는 고주파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피부 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붉음증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제약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세포에서 HSP(Heat Shock Protein) 70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붉음증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제약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세포의 증식 또는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붉음증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제약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상기 배지를 90 ~ 121에서 15 ~ 30분간 살균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붉음증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제약 조성물.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유산균의 접종량은 접종 초기 균수가 105 ~ 106 cf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붉음증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제약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의 추출은 상기 80 중량%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12 ~ 72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붉음증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제약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에서 여과된 80 중량% 에탄올 용매 추출물을 40 ~ 80 온도에서 진공농축한 후, 진공건조(vaccum dry), 분무건조(spray dry) 또는 동결건조(freeze dry)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붉음증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제약 조성물.
-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50 내지 500ppm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80 중량% 에탄올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피부 세포의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1) 건조 분쇄된 양파피 0.01 ~ 10 중량%, 글루코오스(glucose) 0.1 ~ 5 중량%, 이스트추출물(yeast extract) 0.1 ~ 2 중량%,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0.01 ~ 0.2 중량%,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0.01 ~ 0.5 중량%, 시트르산암모늄(Diammonium citrate) 0.01 ~ 0.5 중량%,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MgSO4) 0.001 ~ 0.01 중량%, 황산망간(manganese sulfate, MnSO4) 0.001 ~ 0.05 중량%, 황산아연(zinc sulfate, ZnSO4) 0.0001 ~ 0.01 중량%, 황산구리(copper sulfate, CuSO4) 0.0001 ~ 0.01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접종하여 상기 양파피를 발효하는 단계;
(3) 발효된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를 80 중량 % 에탄올 용매로 추출하여 알코올 용매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4) 수득한 에탄올 용매 추출물을 여과한 후, 건조하여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붉음증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14항에 있어서,
유액, 화장수, 크림, 로션, 에센스, 팩, 젤 또는 미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붉음증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5항에 있어서,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xyvinylpolymer), 폴리솔베이트(polysorbate) 80, 경화 피마자오일(hydrogenated caster oil),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감초추출물(glycyrrhiza inflate extract) 및 레시틴(lecithi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붉음증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6항에 있어서,
양파피 발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세린(glycerin) 500 ~ 700 중량부;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900 ~ 1100 중량부;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1100 ~ 1300 중량부;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xyvinylpolymer) 50 ~ 70 중량부;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90 ~ 110 중량부; 경화 피마자오일(hydrogenated caster oil) 700 ~ 900 중량부;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90 ~ 110 중량부;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180 ~ 220 중량부;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500 ~ 700 중량부; 감초추출물(glycyrrhiza inflate extract) 10 ~ 30 중량부; 및 레시틴(lecithin) 10 ~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붉음증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1918A KR102238965B1 (ko) | 2020-07-23 | 2020-07-23 | 피부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1918A KR102238965B1 (ko) | 2020-07-23 | 2020-07-23 | 피부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6106A Division KR20160144946A (ko) | 2016-12-07 | 2016-12-07 | 피부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5432A KR20200095432A (ko) | 2020-08-14 |
KR102238965B1 true KR102238965B1 (ko) | 2021-04-12 |
Family
ID=7205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1918A Active KR102238965B1 (ko) | 2020-07-23 | 2020-07-23 | 피부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8965B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262167A1 (de) * | 2001-06-01 | 2002-12-04 | Cognis France S.A. | Kosmet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ein Extrakt von keimenden Pflanzen |
KR101069836B1 (ko) * | 2009-09-16 | 2011-10-04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양파로부터 퀘르세틴을 추출하는 방법 |
KR20120083767A (ko) * | 2011-01-18 | 2012-07-26 | 하홍열 | 양파피 착즙액, 추출물, 또는 분말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
KR101312965B1 (ko) * | 2011-05-20 | 2013-09-27 | 이상록 |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
KR101476004B1 (ko) * | 2012-11-29 | 2014-12-23 | 정성록 | 양파껍질과 비파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
2020
- 2020-07-23 KR KR1020200091918A patent/KR102238965B1/ko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공업화학 제22권 제2호 "양파껍질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에 관한 연구"(2011.04.)* |
중앙일보 기사 "나들이철 흉터·치료 제거 방법" (2014.04.2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5432A (ko) | 2020-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2047656A1 (fr) | Compositions pouvant retarder le vieillissement de la peau | |
KR102014602B1 (ko) | 기미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037030B1 (ko) | 피토실리카(Phytosilica)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JP4734093B2 (ja) | 化粧料 | |
JP2003081749A (ja) | 皮膚外用剤 | |
KR20220057360A (ko) | 히비스커스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 |
KR20190062034A (ko) | 차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039531B1 (ko) | 스트로브 잣나무피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 |
CN111743826A (zh) | 一种祛斑抗皱保湿乳液 | |
KR20160084825A (ko) |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 |
JP4769153B2 (ja) | 化粧料 | |
KR20160144946A (ko) | 피부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 |
KR102226179B1 (ko) |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 |
KR102238965B1 (ko) | 피부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 |
KR102257448B1 (ko) |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CN112716838A (zh) | 一种玫瑰精油修复紧致眼部精华液及其制备方法 | |
KR20010077652A (ko) |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20200080687A (ko) | 색소침착 방지 또는 피부재생 촉진을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67436B1 (ko) | 어린탱자, 어린녹차 및 비터오렌지꽃의 혼합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 |
KR20160082951A (ko) | 피부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 |
KR102678441B1 (ko) | 흑구기자, 한련초 및 황백의 복합 발효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861415B1 (ko)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항산화 및 피부 진정용 화장품 | |
KR102238966B1 (ko) |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 |
KR20190098603A (ko) | 미생물 발효물이 함유된 보습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007954A (ko) | 피부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72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120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1661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