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8193B1 -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 Google Patents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193B1
KR102238193B1 KR1020200014001A KR20200014001A KR102238193B1 KR 102238193 B1 KR102238193 B1 KR 102238193B1 KR 1020200014001 A KR1020200014001 A KR 1020200014001A KR 20200014001 A KR20200014001 A KR 20200014001A KR 102238193 B1 KR102238193 B1 KR 102238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pecific
user terminal
construction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0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상
차효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엑스
Priority to KR1020200014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193B1/en
Priority to KR1020210043668A priority patent/KR1024248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19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i) 건축물의 동, 호, 층, 및 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특정되는 상기 건축물 내 개별 공간들에 관한 정보인 공간 정보들, (ii) 상기 개별 공간들에서의 부위별 공종 정보들, 및 (iii) 상기 공종 정보들에 대응되는 액티비티 정보들이 획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촬영되는 실사영상 상의 특정 공간 정보 내의 특정 부위에 대한 증강 현실 정보 요청이 획득되면,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특정 개별 공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개별 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공종 정보들 및 상기 액티비티 정보들 중, 상기 실사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부위에 대한 특정 공종 정보들 및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을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며, 상기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된 상기 특정 공종 정보들 및 상기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에 대한 선택 메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선택 메뉴들을 렌더링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 메뉴들을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A method for managing at least som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the method comprising: (a) (i) an individual space within the building specified by at least one of a building's building, arc, floor, and room Spac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the space, (ii) public type information for each part in the individual spaces, and (iii)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ublic type information ar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When a request for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for a specific area in specific spatial information on the live-action image captured by is obtained,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hecks a specific individual space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The step of doing; And (b)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mong the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the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ividual space, writes specific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part corresponding to the live-action image. Classified according to a set category, and transmits selection menus for the specific public type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et category to the user terminal, thereby causing the user terminal to render the selection menus, and the A method including, and a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using the same, supporting selection menus to display an augmented reality screen by overlapping the live image.

Description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A method of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a server using it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사 정보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a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using the same.

건축물은 동, 호, 층, 실 등 고유의 세부 공간으로 구분되며, 건설 공사를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서 각 세부 공간마다 설계도서와 시방서에 따라 수많은 공법이 순차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Buildings are divided into unique sub-spaces such as buildings, houses, floors, and rooms, and numerous construction methods must be applied sequentially in each sub-space according to the design documents and specifications in order to properly perform the construction work.

이러한 시공 과정에서, 시공 사진, 시공 동영상뿐만 아니라 각종 검측 서류와 품질 관리 문서가 각 공종 단계별로 작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서들에는 체크리스트, 품질관리대장, 시험성적서, 자재승인서, 설계변경대장, 공사일지, 감리일지, 건축법규, 건축관련 각종 인증기준, 건축물 유지관리 점검표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onstruction process, not only construction photos and construction videos, but also various inspection documents and quality control documents should be prepared for each construction stage. Such documents may include checklists, quality control registers, test reports, material approval certificates, design change registers, construction diaries, supervision diaries, building codes, various certification standards related to construction, and building maintenance checklists.

그런데, 위와 같이 건축법 및 건설기술진흥법 등에 따라 각 공종 단계별로 수많은 문서들이 대량으로 작성되면, 실제 건설 현장에서 해당 문서들을 휴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when a large number of documents are written in a large amount by each construction type according to the Building Law and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Law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arry the documents in an actual construction site.

그에 따라, 특정 시공이 이루어진 부위에 대해 검측을 진행할 때, 과거의 공종 진행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설계 도면을 조회하거나 기타 다른 문서를 즉각적으로 조회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Accordingly, when the inspection is performed on a specific construction site, it is very difficult to search design drawings or other documents immediately in order to grasp the progress of the past construction type.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종이 문서들을 전자 문서로 변환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조회하는 방안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건설 현장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건설 현장을 통합관리 하는 방법이 한국등록특허 10-1829169에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a method of converting paper documents into electronic documents and searching them through a portable terminal has been used. For example, a method of integrated management of a construction site using a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29169.

하지만, 위와 같은 방안에는, 건설현장의 복잡한 구조 등으로 인해 적절한 자료를 용이하게 조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in the above sche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asily search for appropriate data due to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construction site.

가령, 대단지 아파트 건설 현장의 경우에, 수천개의 세부 공간에 대응되는 수많은 공사 관련 전자 문서가 존재하게 되는데, 대량의 전자 문서들 중 특정 전자 문서를 손쉽게 조회 및 수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partment construction site in a large complex, there are numerous construction-related electronic documents corresponding to thousands of detailed spaces, but there is still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asily search and modify a specific electronic document among a large number of electronic documents.

따라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mprovement metho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RKR 10-182916910-1829169 B1B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ll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등을 참조하여 복잡한 건설 현장에서의 개별 공간에 관한 공간 정보, 공종 정보, 액티비티 정보들을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spaces in a complex construction site in augmented reality by referr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에 대한 기존 설계 정보와 실제 시공 정보를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in augmented reality so that existing design information for a building and actual construction information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시공이 이루어진 특정 부위를 검측하고 검측 결과를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a specific area where construction has been made and to display the detection result in augmented reality.

또한, 본 발명은 건설 현장 또는 유지관리 대상 건축물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증강현실을 통해 공정 지시 정보가 공유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to be shared through augmented reality regardless of the distance from the construction site or the building to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이루어진 공정에 관한 정보를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물이 완공된 후에도 건축물의 유지 관리가 원활하도록 도모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of the building even after the building is completed by allowing the information on the existing process to be easily search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o realize the characterist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i) 건축물의 동, 호, 층, 및 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특정되는 상기 건축물 내 개별 공간들에 관한 정보인 공간 정보들, (ii) 상기 개별 공간들에서의 부위별 공종 정보들, 및 (iii) 상기 공종 정보들에 대응되는 액티비티 정보들이 획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촬영되는 실사영상 상의 특정 공간 정보 내의 특정 부위에 대한 증강 현실 정보 요청이 획득되면,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특정 개별 공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개별 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공종 정보들 및 상기 액티비티 정보들 중, 상기 실사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부위에 대한 특정 공종 정보들 및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을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며, 상기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된 상기 특정 공종 정보들 및 상기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에 대한 선택 메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선택 메뉴들을 렌더링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 메뉴들을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managing at least som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a) (i) at least one of a building, a building, a floor, a floor, and a room In a state in which spatial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spaces in the building specified by, (ii) work type information for each part in the individual spaces, and (iii)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ork type information, are acquired. , When a request for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for a specific area in specific spatial information on the live-action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is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refers to the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and the user terminal Identifying a specific individual space in which it is located; And (b)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mong the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the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ividual space, writes specific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part corresponding to the live-action image. Classified according to a set category, and transmits selection menus for the specific public type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et category to the user terminal, thereby causing the user terminal to render the selection menus, and the Disclosed is a method comprising: supporting selection menus to display an augmented reality screen by overlapping the live image.

일례로서, (c)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 메뉴들 중 상기 특정 공종 정보들 및 상기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특정 선택 메뉴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선택 메뉴에 대응되는 특정 공종 정보들 및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특정 설계 정보와 특정 시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특정 설계 정보와 상기 특정 시공 정보를 렌더링하여 상기 특정 설계 정보와 상기 특정 시공 정보를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c) when a selection signal for a specific selection menu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among the selection menus is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specific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lection menu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causes the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 step of rendering the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to be superimposed on the live-action image to display an augmented reality screen.

일례로서, 상기 선택 메뉴들 중 상기 특정 부위를 검측하기 위한 검측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상기 실사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특정 부위에 대한 신규 검측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특정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기준값을 확인하며, 상기 신규 검측 정보와 상기 기준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기준값과 상기 신규 검측 정보를 렌더링하도록 하여 상기 기준값과 상기 신규 검측 정보를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when a detection menu for detecting the specific part is selected among the selection menus,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 analyzes the live-acti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art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Generates new detec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region, checks a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by referring to the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new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value to the user terminal to cause the user terminal to And rendering the new detection information so that the reference value and the new detection information are superimposed on the real image to display an augmented reality screen.

일례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GPS 정보 및 증강현실 마커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in the step (a),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obtains the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GPS information and an augmented reality marker for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is disclosed.

일례로서, 상기 카테고리에는 적어도 문서 정보, 도면 정보, 이미지 정보 및 검측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a method is disclosed, wherein the category includes at least document information, drawing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detection information.

일례로서, (d) 상기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정 모니터링 요청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촬영된 상기 실사영상을 모니터링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실사영상을 상기 모니터링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고, (ii) 상기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실사영상의 임의의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대한 공정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모니터링 단말이 상기 공정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공정 지시 정보에 대응되는 마크업을 렌더링하도록 하고, 상기 마크업을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d)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 when a process monitoring request is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live-action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o a monitoring terminal, or Allows the user terminal to transmit the live-action image to the monitoring terminal, and (ii) transmits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region among the arbitrary regions of the live-action image obtained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or Allows a monitoring terminal to transmit the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causes the user terminal to render a markup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and displays an augmented reality screen by superimposing the markup on the live image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assisting to do so is disclosed.

일례로서, 상기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상기 실사영상의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상기 공정 지시에 대응되는 공정 지시 음성 정보가 추가로 획득되면, 상기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마크업을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공정 지시 음성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when process instruction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instruction for the specific area of the live-action image is additionally obtained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auses the user terminal to perform the markup. Disclosed is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instruction audio information is output while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screen superimposed on an image.

일례로서, 상기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액티비티 정보들 각각의 상기 공간 정보들 및 상기 공종 정보들 각각을 참조하여 단위 공간, 단위 공종 및 단위 시간으로 이루어진 단위 큐브 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공사 정보 구조체들을 생성하고, 상기 공간 정보들을 3차원 축의 제1 축상에 나열한 공간 축, 상기 공종 정보들을 상기 3차원 축의 제2 축상에 나열한 공종 축, 및 상기 시간 정보들을 상기 3차원 축의 제3 축상에 나열한 시간 축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공사 정보 게시 공간의 특정 구역에 상기 공사 정보 구조체들을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하여 상기 3차원 공사 정보 게시 공간에 3차원 공사 정보 큐브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3차원 공사 정보 큐브를 통해 상기 공간 정보들, 상기 공종 정보들 및 상기 액티비티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unit cube cell consisting of a unit space, a unit construction type, and a unit time by referring to each of the spatial information and the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ctivity information A spatial axis in which the spatial information is arranged on a first axis of the 3D axis, a co-type axis in which the spatial information is arranged on a second axis of the 3D axis, and a time in which the time information is arranged on a third axis of the 3D axis By arranging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s in a specific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information posting space consisting of axes and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information cube in the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information posting space, the user terminal causes the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information Disclosed is a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the spatial information, the public type information, and the activity information through a cube.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관리하기 위한 공사 정보 관리 서버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1) (i) 건축물의 동, 호, 층, 및 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특정되는 상기 건축물 내 개별 공간들에 관한 정보인 공간 정보들, (ii) 상기 개별 공간들에서의 부위별 공종 정보들, 및 (iii) 상기 공종 정보들에 대응되는 액티비티 정보들이 획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촬영되는 실사영상 상의 특정 공간 정보 내의 특정 부위에 대한 증강 현실 정보 요청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특정 개별 공간을 확인하는 프로세스; 및 (2) 상기 특정 개별 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공종 정보들 및 상기 액티비티 정보들 중, 상기 실사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부위에 대한 특정 공종 정보들 및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을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며, 상기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된 상기 특정 공종 정보들 및 상기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에 대한 선택 메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선택 메뉴들을 렌더링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 메뉴들을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at least som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comprising: at least one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execute the instructions, wherein the processor includes: (1) (i) in individual spaces within the building specified by at least one of a building, a floor, a floor, and a room. Spac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related to, (ii) public type information for each part in the individual spaces, and (iii)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ublic type information is acquired from the user terminal by the user terminal. A process of checking a specific individual space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when a request for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obtained for a specific area in the specific spatial information on the live-action image; And (2) among the public type information and the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ividual space, specific public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part corresponding to the live image are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set category, By transmitting the selection menus for the specific contribution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et category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renders the selection menus, and the selection menus are displayed on the live image. A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s disclosed that executes the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 process of supporting overlapping and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screen.

일례로서, (3)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 메뉴들 중 상기 특정 공종 정보들 및 상기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특정 선택 메뉴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선택 메뉴에 대응되는 특정 공종 정보들 및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특정 설계 정보와 특정 시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특정 설계 정보와 상기 특정 시공 정보를 렌더링하여 상기 특정 설계 정보와 상기 특정 시공 정보를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3) when the processor obtains a selection signal for a specific selection menu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specific contribution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among the selection menus from the user terminal, the specific selection By transmitting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specific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menu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renders the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A process for supporting the display of an augmented reality screen by superimposing the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on the live image is disclosed.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 메뉴들 중 상기 특정 부위를 검측하기 위한 검측 메뉴가 선택되면, (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상기 실사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특정 부위에 대한 신규 검측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특정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기준값을 확인하며, 상기 신규 검측 정보와 상기 기준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기준값과 상기 신규 검측 정보를 렌더링하도록 하여 상기 기준값과 상기 신규 검측 정보를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processor, when a detection menu for detecting the specific region among the selection menus is selected, (i) analyzes the live-acti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acquir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It generates new detection information for, and checks a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art by referring to the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new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value to the user terminal to cause the user terminal to generate the reference value and the new Disclosed is a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which supports to display an augmented reality screen by superimposing the reference value and the new detection information on the live image by rendering detection information.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1) 프로세스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GPS 정보 및 증강현실 마커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processor, in the process (1),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GPS information and an augmented reality marker for the user terminal to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The server is started.

일례로서, 상기 카테고리에는 적어도 문서 정보, 도면 정보, 이미지 정보 및 검측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a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s disclosed, wherein the category includes at least document information, drawing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detection information.

일례로서, (4) 상기 프로세서가, (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정 모니터링 요청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촬영된 상기 실사영상을 모니터링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실사영상을 상기 모니터링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고, (ii) 상기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실사영상의 임의의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대한 공정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모니터링 단말이 상기 공정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공정 지시 정보에 대응되는 마크업을 렌더링하도록 하고, 상기 마크업을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4) the processor, (i) when a process monitoring request is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live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monitoring terminal, or the user terminal Allows the user to transmit the live image to the monitoring terminal, and (ii) transmit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region among the arbitrary regions of the live image obtained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or the monitoring terminal Transmitting the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causing the user terminal to render a markup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and supporting the display of an augmented reality screen by superimposing the markup on the live image A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further comprising a process is disclosed.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상기 실사영상의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상기 공정 지시에 대응되는 공정 지시 음성 정보가 추가로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마크업을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공정 지시 음성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when the process instruction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instruction for the specific region of the live image is additionally obtained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the processor causes the user terminal to superimpose the markup on the live image. Thus, a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s disclosed,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the process instruction voice information while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screen.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티비티 정보들 각각의 상기 공간 정보들 및 상기 공종 정보들 각각을 참조하여 단위 공간, 단위 공종 및 단위 시간으로 이루어진 단위 큐브 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공사 정보 구조체들을 생성하고, 상기 공간 정보들을 3차원 축의 제1 축상에 나열한 공간 축, 상기 공종 정보들을 상기 3차원 축의 제2 축상에 나열한 공종 축, 및 상기 시간 정보들을 상기 3차원 축의 제3 축상에 나열한 시간 축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공사 정보 게시 공간의 특정 구역에 상기 공사 정보 구조체들을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하여 상기 3차원 공사 정보 게시 공간에 3차원 공사 정보 큐브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3차원 공사 정보 큐브를 통해 상기 공간 정보들, 상기 공종 정보들 및 상기 액티비티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the processor generates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s including at least one unit cube cell consisting of a unit space, a unit type of work, and a unit time by referring to the spatial information and the work typ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ctivity information, and , A spatial axis in which the spatial information is arranged on a first axis of the 3D axis, a co-type axis in which the public type information is arranged on a second axis of the 3D axis, and a time axis in which the time information is arranged on a third axis of the 3D axis. By arranging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s in a specific area of the 3D construction information posting space to generate a 3D construction information cube in the 3D construction information posting space, the user terminal can use the 3D construction information cube. A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s disclosed that displays the spatial information, the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the activity information.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In addition to th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등을 참조하여 복잡한 건설 현장에서의 개별 공간에 관한 공간 정보, 공종 정보, 액티비티 정보들을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isplaying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spaces in a complex construction site in augmented reality by referr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에 대한 기존 설계 정보와 실제 시공 정보를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isplaying in augmented reality so that existing design information for a building and actual construction information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시공이 이루어진 특정 부위를 검측하고 검측 결과를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etecting a specific area where construction has been made and displaying the detection result in augmented reality.

또한, 본 발명은 건설 현장 또는 유지관리 대상 건축물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증강현실을 통해 공정 지시 정보가 공유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to be shared through augmented reality regardless of the distance from the construction site or the building to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이루어진 공정에 관한 정보를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물이 완공된 후에도 건축물의 유지 관리가 원활하도록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maintenance of the building even after the building is completed by allowing the information on the existing process to be easily search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발명적 작업이 이루어짐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관리하기 위한 공사 정보 관리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모니터링 단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큐브 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사 정보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간 정보들을 3차원 축의 제1 축상에 나열한 공간 축, 공종 정보들을 3차원 축의 제2 축상에 나열한 공종 축, 및 시간 정보들을 3차원 축의 제3 축상에 나열한 시간 축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공사 정보 게시 공간의 특정 구역에 공사 정보 구조체들을 어레인지먼트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사영상에 특정 공종 정보들 및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이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규 검측 정보와 기준값이 실사영상에 중첩되어 증강현실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정 지시 정보에 대응되는 마크업이 실사영상에 중첩되어 증강현실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to be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som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ereinafter, "ordinary technician") Other drawings can be obtained based on these drawings without any further work being done.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 user terminal, and a monitoring terminal for managing at least som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at least one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cube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patial axis in which spatial information is arranged on a first axis of a three-dimensional axis, a co-kind axis in which co-ordinate information is arranged on a second axis of a three-dimensional axis, and time information on a third axis of the three-dimensional ax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chematically shows the arrangement of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s in a specific area of the 3D construction information posting space consisting of the listed time axes,
4A to 4C schematically illustrate a state in which specific service information and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are superimposed and displayed on a liv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an augmented reality screen is displayed by superimposing new detection information and a reference value on a liv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augmented reality screen displayed by superimposing a markup corresponding to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on a liv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order to clarify the objects, technical solution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것의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Further, throughou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d "comprises" and variations thereof are not intended to exclude other technical features, additions, components or steps.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ear, in part, from this description, and in part from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amples and drawings below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embodiments indicated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ppropriate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rang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enabl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관리하기 위한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및 모니터링 단말(1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을 참조하면,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는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관리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111)와 메모리(111)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에 대응하여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a user terminal 120, and a monitoring terminal 130 for managing at least som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is a memory 111 and a memory 111 for storing instructions for managing at least som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It may include a processor 112 that performs an operation of managing at least some of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 response to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구체적으로,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는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is typically a computing device (e.g., a computer processor, memory, storage, input device and output device, a device that may include components of other existing computing devices; routers, switches, etc.) Using a combination of the sam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electronic information storage systems such as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and storage area networks (SAN)) and computer software (i.e., instructions that cause the computing device to function in a specific way). It may be to achieve the desired system performance.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of the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a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 micro processing unit (MPU)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cache memory, and a data bus.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ng system and a software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a specific purpose.

그러나, 컴퓨팅 장치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미디엄, 프로세서 및 메모리가 통합된 형태인 integrated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it is not excluded that the computing device includes an integrated processor in which a medium, a processor, and a memory are integrate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사용자 단말(120)은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관리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121)와 메모리(121)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에 대응하여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122)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120 is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 response to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21 and the memory 121 storing instructions for managing at least some of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Thus, it may include a processor 122 that performs an operation to manage at least some of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20)은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user terminal 120 is typically a computing device (e.g., a computer processor, memory, storage, input device and output device, a device that may include components of other existing computing devices; electronic devices such as routers, switches, etc.) Communication device; desired system using a combination of electronic information storage systems such as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and storage area networks (SAN)) and computer software (i.e., instructions that cause the computing device to function in a specific way) It may be to achieve performance.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of the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a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 micro processing unit (MPU)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cache memory, and a data bus.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ng system and a software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a specific purpose.

그러나, 컴퓨팅 장치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미디엄, 프로세서 및 메모리가 통합된 형태인 integrated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it is not excluded that the computing device includes an integrated processor in which a medium, a processor, and a memory are integrate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모니터링 단말(130)은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131)와 메모리(131)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에 대응하여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132)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nitoring terminal 130 is based on augmented reality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 response to the memory 131 for storing instructions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31. It may include a processor 132 that performs an operation of managing at least some of them.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단말(130)은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nitoring terminal 130 is typically a computing device (e.g., a device that may include components of a computer processor, memory, storage, input and output devices, and other existing computing devices; electronic devices such as routers, switches, etc. Communication device; desired system using a combination of electronic information storage systems such as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and storage area networks (SAN)) and computer software (i.e., instructions that cause the computing device to function in a specific way) It may be to achieve performance.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of the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a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 micro processing unit (MPU)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cache memory, and a data bus.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ng system and a software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a specific purpose.

그러나, 컴퓨팅 장치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미디엄, 프로세서 및 메모리가 통합된 형태인 integrated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it is not excluded that the computing device includes an integrated processor in which a medium, a processor, and a memory are integrate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및 모니터링 단말(130)을 이용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managing at least som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using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the user terminal 120, and the monitoring terminal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참고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또는 핸드 헬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증강현실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해당 장치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augmented reality screen is displayed through a head mounted display or a handheld displa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rresponding devices, and an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screen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treatment can be performed.

먼저, 건축물의 동, 호, 층, 및 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특정되는 건축물 내 개별 공간들에 관한 정보인 공간 정보들, 개별 공간들에서의 부위별 공종 정보들, 및 공종 정보들에 대응되는 액티비티 정보들이 획득될 수 있다.First, spatial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individual spaces within the building specified by at least one of the building's building, arc, floor, and room, construction information for each part in the individual spaces,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ctivity information can be obtained.

이때, 개별 공간들에서의 부위별 공종 정보들에는, 기초공사, 가설공사, 골조공사, 조적공사, 석공사, 타일공사, 미장공사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위에서 예로 든 공사들로 공종 정보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건설 현장에서 건축물에 적용될 수 있는 공종은 얼마든지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the type of work for each part in individual spaces may include information on foundation work, temporary construction work, frame work, masonry work, masonry work, tile work, plaster work, and the like. However, the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any number of construction types that can be applied to buildings at the construction site may be included.

또한, 공종 정보들에 대응되는 액티비티 정보들은, 공종별 구체적인 공사 현황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specific construction status for each construction type.

예를 들어, 특정 공간에서의 타일공사에 관한 액티비티 정보에는, 2020년 1월 5일부터 2020년 1월 19일까지 특정 공간에 대해 이루어진 타일공사에 관한 작업 현황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ctivity information regarding tile construction in a specific space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work status of tile construction performed on a specific space from January 5, 2020 to January 19, 2020.

다른 예로, 특정 공간에서의 타일공사에 관한 액티비티 정보에는, 타일공사 작업이 완료된 특정 공간에 대해 특정 감리자에 의해 2020년 1월 20일에 수행된 검측에 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activity information regarding tile construction in a specific space may also include information on the inspection performed on January 20, 2020 by a specific supervisor for a specific space where the tile construction work has been completed.

즉, 액티비티 정보들은, 건축물의 완공 전 공사 정보뿐만 아니라 완공 이후의 유지관리 정보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공간에 대해 시간별/공종별로 이루어진 특정 행위에 관한 정보들을 얼마든지 포함할 수 있다. 가령, 기술 정보, 검사 정보, 결함 정보, 사진 정보, 동영상 정보, 원가 정보, 안전 정보, 설계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각종 계약서, 계약 내역 등이 액티비티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That is, the activity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construction information before completion of the building, but also maintenance information after completion, and may include any number of information on specific actions performed by time/type of construction for a specific space. For examp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echnical information, inspection information, defect information, photo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cost information, safety information, desig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In addition, various contracts and contract details may be included in the activity information.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는, 액티비티 정보들 각각의 공간 정보들, 공종 정보들 및 시간 정보들 각각을 참조하여 단위 공간, 단위 공종 및 단위 시간으로 이루어진 단위 큐브 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공사 정보 구조체들(201, 202, 203, 204)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큐브 셀은 공사 정보 구조체가 생성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2,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a unit consisting of a unit space, a unit type of work, and a unit time by referring to each of the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ctivity information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s 201, 202, 203, and 204 including at least one cube cell may be generated. Here, the cube cell may mean a minimum unit for generating a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

이러한 공사 정보 구조체는 도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공간 정보들, 공종 정보들 및 액티비티 정보들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can be seen through FIG. 2,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 may have various shapes according to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일례로, 지상 5층에 대해 특정 기간동안 이루어진 배근 공사에 관한 공사 정보 구조체가 사각 막대의 형상을 가질 때, 지상 6층 및 7층에 대해 특정 기간동안 이루어진 배근 공사에 관한 공사 정보 구조체는 지상 5층에 관한 공사 정보 구조체보다 2 배의 너비를 가지는 사각 막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 for the reinforcement work made for a specific period for 5 stories above the ground has a shape of a square bar,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 for the reinforcement work made for the 6th and 7th floor above the ground for a specific period is 5 above the ground. It may have a shape of a square bar having twice the width of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 for the floor.

그리고,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는, 공간 정보들을 3차원 축의 제1 축상에 나열한 공간 축, 공종 정보들을 3차원 축의 제2 축상에 나열한 공종 축, 및 시간 정보들을 3차원 축의 제3 축상에 나열한 시간 축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공사 정보 게시 공간의 특정 구역에 공사 정보 구조체들을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하여 공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3차원 공사 정보 큐브(200)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20)로 하여금 3차원 공사 정보 큐브(200)를 통해 공간 정보들, 공종 정보들 및 액티비티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And,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the spatial axis in which the spatial information is arranged on the first axis of the three-dimensional axis, the construction type axis in which the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is arranged on the second axis of the three-dimensional axis, and the time information on the third axis of the three-dimensional axis. By creating a 3D construction information cube 200 in a construction information database by arran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s in a specific area of the 3D construction information posting space consisting of the listed time axis, the user terminal 120 can perform 3D construction. Spatial information, public type inform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information cube 200.

이때, 공사 정보 구조체들은, 공간 정보, 공종 정보 및 액티비티 정보에 따라 각각 어레인지먼트 되는 구역이 달라질 수 있는데, 도 3에서는 복수의 공사 정보 구조체들이 어레인지먼트 됨으로써 하나의 3차원 공사 정보 큐브(200)가 생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At this time,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s may have different areas to be arranged according to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In FIG. 3, a plurality of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s are arranged to generate one 3D construction information cube 200. It shows the appearance.

일례로, 2020년 1월 5일부터 2020년 1월 12일까지 105동 401호의 각 부위에 대해 이루어진 특정 공사 정보에 대해서, 3차원 공사 정보 큐브(200) 상에서 특정 큐브의 색상 및 특정 큐브의 위치를 이용하여, 특정 공간에 대해 특정 기간에 이루어진 특정 공사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For example, for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made for each part of Building 105 Room 401 from January 5, 2020 to January 12, 2020, the color of the specific cube and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cube on the 3D construction information cube 200 Using, it is possible to display information on a specific construction performed in a specific period for a specific space.

한편, 위와 같이 공간 정보들, 공종 정보들 및 액티비티 정보들이 획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20)에 의해 촬영되는 실사영상 상의 특정 공간 정보 내의 특정 부위에 대한 증강 현실 정보 요청이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획득되면,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가,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고 있는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는 특정 개별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spatial information, public type inform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are obtained as above, a request for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for a specific area within specific spatial information on the live-action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120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120. When obtained from,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may check a specific individual space in which the user terminal 120 is located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user terminal 120 is located.

여기서,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GPS 정보 및 증강현실 마커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고 있는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Here,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user terminal 120 is located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GPS information and an augmented reality marker for the user terminal 120.

이때, GPS 정보에 의해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경우,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별도의 마커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간편함이 있다. 또한, 마커는 간단한 알고리즘으로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GPS 정보 및 증강현실 마커 중 하나만을 이용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적절히 병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0 is acquired through GPS information, there is a convenience in that there is no need to go through a process of generating a separate marker for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0.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arker can be recognized quickly and accurately even with a simple algorithm. Therefore, it is not limited to using only one of the GPS information and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but it may be advantageous to use them properly.

일례로, 지하실과 같이 GPS 정보 수신이 원활하지 않은 장소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경우, 증강현실 마커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GPS 정보와 증강현실 마커를 병용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20)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construction is performed in a place where GPS information is not received smoothly, such as a basement,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may be used alone, or the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0 may be obtained by using the GPS information and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together. I can.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120)의 방향 센서,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등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lens of the user terminal is directed may be obtained by a direction sensor, a gravity sensor, a geomagnetic sensor, or the like of the user terminal 120.

그리고, 사용자 단말(120)이 위치하는 특정 개별 공간이 확인되면,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가, 특정 개별 공간에 대응되는 공종 정보들 및 액티비티 정보들 중, 실사영상에 대응되는 특정 부위에 대한 특정 공종 정보들 및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을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며,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된 특정 공종 정보들 및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에 대한 선택 메뉴들을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20)로 하여금 선택 메뉴들을 렌더링하도록 하고 선택 메뉴들을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individual space in which the user terminal 120 is located is identified,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among the work type inform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ividual space, for a specific part corresponding to the live image. The user terminal 120 classifies specific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category, and transmits selection menus for specific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et category to the user terminal 120. ) To render the selection menus and to display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by superimposing the selection menus on the live image.

이때, 카테고리에는 적어도 문서 정보, 도면 정보, 이미지 정보 및 검측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tegory may include at least document information, drawing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detection information.

일례로, 도 4a는, 사용자가 장착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주변 환경, 가령 철근 배근 작업 현장에 대한 실사영상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실사영상 상의 특정 부위에 대한 특정 공종 정보들 및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이 도면, 갤러리, 문서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된 채, 실사영상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As an example, FIG. 4A shows specific work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activities for a specific part on the live image in a state in which a live image of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for example, a rebar reinforcement work site, is output through a head mounted display mounted by the user. The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categories such as drawings, galleries, and documents, and is displayed overlaid on a live image.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종별 감리 일지와 같은 문서들은 문서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특정 부위에 대한 감리 사진은 갤러리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특정 부위에 대한 도면들은 도면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Specifically, documents such as a supervision journal for each work type may be classified into a document category, supervision photos for a specific region may be classified as a gallery category, and drawings for a specific region may be classified as a drawing category.

한편, 도 4a와 같이 공사 진행 중에 특정 개별 공간에 대응되는 공종 정보들 및 액티비티 정보들을 증강현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반면에, 공사가 완공된 이후에도 유지관리 등의 이유로 특정 개별 공간에 대응되는 공종 정보들 및 액티비티 정보들을 증강현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ile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ndividual space can be checked through augmented reality during construction as shown in FIG. 4A,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ndividual space for reasons such as maintenance even after construction is completed. Field and activity information can be checked through augmented reality.

일례로, 도 4b는, 사용자의 태블릿 PC를 통해 사용자 주변 환경, 가령 완공된 아파트 거실에 대한 실사영상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실사영상에 나타나는 특정 부위에 대한 특정 공종 정보들 및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이 소정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그에 대한 선택 메뉴들이 실사영상에 중첩되어 증강현실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As an example, FIG. 4B shows specific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for a specific part appearing in the live image in a state in which a live image of a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a completed apartment living room, is output through the user's tablet PC. It is classified into categories of and the selection menus for it are superimposed on the live-action image and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b에서는, 아파트 거실에 대응되는 도면으로 분류된 공사 정보들이 32개, 아파트 거실에 대응되는 문서로 분류된 공사 정보들이 115개, 아파트 거실에 대응되는 사진으로 분류된 공사 정보들이 20개인 것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FIG. 4B, 32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ed as a drawing corresponding to an apartment living room, 115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ed as a document corresponding to an apartment living room,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ed as a picture corresponding to an apartment living room You can see the display as there are 20.

그리고 도 4b와 같이 도면, 갤러리, 문서, 검사, 안전 등의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특정 선택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선택 메뉴에 대응되는 하위 정보들이 도 4c와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 situation in which selection menus such as drawings, galleries, documents, inspections, safety, etc.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4B,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selection menu, sub-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menu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4C.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증강현실 환경을 통해 도면, 갤러리 문서 등의 선택 메뉴 중에서 문서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가 위치한 아파트 거실에 대응되는 세부 문서들, 가령, 사진대지, 체크리스트, 감리일지 등이 문서 메뉴에 대응되는 하위 정보들로서 실사영상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Specifically, when a user selects a document menu from a selection menu such as a drawing or a gallery document through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detailed documents corresponding to the living room of the apartme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such as a photo mount, a checklist, and a supervision journal Etc. are displayed as sub-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ocument menu, which is superimposed on the live image.

또한, 기존에 획득된 특정 개별 공간에 대응되는 공사 정보를 조회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문서 작성 메뉴 등을 선택하여 특정 개별 공간에 대응되는 새로운 공사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querying the previously acquired constru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ividual space, but it is also possible to update new constru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ividual space by selecting a document creation menu or the like.

예를 들어, 아파트 거실의 특정 부위에 누수로 인한 하자가 발생한 경우에, 기존에 저장된 공사 정보를 조회하여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제로 하자 보수가 완료된 경우, 특정 부위에 대해 하자 보수가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새로운 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defect occurs due to water leakage in a specific part of an apartment living room, a range in which leakage may occur may be specified by querying the previously stored construction information. Accordingly, when the defect repair is actually completed, new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defect repair has been performed for a specific part may be updated.

이에 따라, 완공 전에는 공사의 진행이 설계도서에 따라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수시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완공 후에는 특정 개별 공간마다 누적된 설계 정보, 검측 정보 등을 바탕으로 정확한 하자 보수 공사 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before completion, it is possible to check from time to time whether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is accurat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sign document, and after completion, accurate defect repair work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accumulated design information and inspection information for each specific individual space. do.

한편,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선택 메뉴들 중 특정 공종 정보들 및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특정 선택 메뉴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가, 특정 선택 메뉴에 대응되는 특정 공종 정보들 및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특정 설계 정보와 특정 시공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하여금 특정 설계 정보와 특정 시공 정보를 렌더링하여 특정 설계 정보와 특정 시공 정보를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selection signal for a specific selection menu corresponding to any one of specific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among selection menus is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specific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20 to cause the user terminal 120 to render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Thus,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display of an augmented reality screen by superimposing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on a live image.

일례로, 특정 개별 공간에 대해 5m 길이의 보일러 온수관 10개를 시공하는 것으로 처음에 설계한 반면에, 실제로는 현장 상황에 맞춰 5m 길이의 보일러 온수관 8개 및 3m 길이의 보일러 온수관 3개가 시공된 상황을 상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ile it was initially designed to construct 10 5m long boiler hot water pipes for a specific individual space, in reality, 8 5m long boiler hot water pipes and 3 3m long boiler hot water pipes according to the site situation. The construction situation can be assumed.

이와 같은 경우,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20)로 하여금 (i) 특정 설계 정보로서 5m 길이의 보일러 온수관 10개가 시공될 계획을 나타내는 정보, (ii) 특정 시공 정보로서 5m 길이의 보일러 온수관 8개 및 3m 길이의 보일러 온수관 3개가 실제로 시공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각각을 특정 개별 공간에 대한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such a case,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allows the user terminal 120 to (i) provide information indicating a plan to construct 10 boiler hot water pipes with a length of 5 m as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ii) 5 m as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display of an augmented reality screen by superimposing each of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8 boiler hot water pipes of length and 3 boiler hot water pipes of 3 m length were actually constructed on a live-action image for a specific individual space.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사 현장에서 설계 상의 정보와 실제 시공 결과간 수시로 발생할 수 있는 정보 불일치를 증강 현실 화면을 통해 용이하게 비교 분석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ompare and analyze information inconsistency between the design information and the actual construction result at the construction site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또한, 선택 메뉴들 중 특정 부위를 검측하기 위한 검측 또는 검사 메뉴가 선택되면,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가, (i)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획득되는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실사영상을 분석하여 특정 부위에 대한 신규 검측 정보를 생성하고, 특정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기준값을 확인하며, 신규 검측 정보와 기준값을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하여금 기준값과 신규 검측 정보를 렌더링하도록 하여 기준값과 신규 검측 정보를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detection or inspection menu for detecting a specific part of the selection menu is selected,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i) analyzes the live-acti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art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It creates new detec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area, checks a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rea by referring to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new detection information and reference value to the user terminal 120 to cause the user terminal 120 to determine the reference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By rendering the new detection information, the reference value and the new detection information may be superimposed on the live image to support the display of an augmented reality screen.

일례로,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철근의 배근 간격을 검측하기 위해 검측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획득되는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철근 배근 실사영상을 분석하여 특정 부위에 대한 신규 검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신규 검측 정보에는, 획득된 실사영상에 대응되는 철근 배근 간격에 관한 실측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ure 5, when the user selects the detection menu to detect the reinforcement spacing of the reinforcement,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or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It is possible to generate new detec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area by analyzing the live reinforcement reinforcement image. In this case, the new det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ctual measurement information on the reinforcement reinforcement spacing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actual image.

그리고,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는, 특정 부위에 대한 특정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기준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기준값에는 배근 간격에 관한 설계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may check a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ite by referring to specific design information for a specific site. At this time, the reference value may include design information about the reinforcement interval.

그리고,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는, 철근 배근 간격에 관한 실측 정보 및 설계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하여금 실측 정보 및 설계상 정보 각각을 실사영상에 함께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장에서 설계상 정보와 실측 정보를 즉각적으로 손쉽게 비교 분석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transmits the actual measurement information and design information about the reinforcement spacing to the user terminal 120 to allow the user terminal 120 to share the actual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desig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actual image. It can be superimposed to display an augmented reality screen. Through this, the user can immediately and easily compare and analyze the design information and the actual measurement information in the field.

한편,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공정 모니터링 요청이 획득되면,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 단말(120)에 의해 촬영된 실사영상을 모니터링 단말(13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120)로 하여금 실사영상을 모니터링 단말(130)로 직접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rocess monitoring request is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transfers the live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120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to the monitoring terminal 130.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120 may directly transmit a live image to the monitoring terminal 130.

그리고,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는, 모니터링 단말(130)로부터 획득되는 실사영상의 임의의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대한 공정 지시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하거나, 모니터링 단말(130)이 공정 지시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직접 전송하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120)로 하여금 공정 지시 정보에 대응되는 마크업(600)을 렌더링하도록 하고, 마크업(600)을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transmits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area among arbitrary areas of the live-action image acquired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130 to the user terminal 120, or the monitoring terminal 130 performs the process. The instruction information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20, the user terminal 120 renders the markup 600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and the markup 600 is superimposed on the live image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It can support to display the screen.

일례로,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가령 현장 작업자가 철근 배근 공정에 대해 현장기사, 기술자 또는 감리자 등으로부터 구체적인 지시를 받고자 할 경우, 철근 배근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실사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 단말(120)에서 모니터링 단말(130)로 직접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120)에서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를 통해 모니터링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6, when a user, for example, a field worker, wants to receive specific instructions from a field engineer, technician, or supervisor about the rebar reinforcement process, the user by photographing a live image showing the reinforcement reinforcement It may be transmitted directly from the terminal 120 to the monitoring terminal 130, or from the user terminal 120 to the monitoring terminal 130 through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그리고, 모니터링 단말(130)을 이용하는 지시자, 가령 현장기사 등은 작업자의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획득된 실사영상 상에서의 특정 영역에 대해 사용자 단말(120)로 공정 지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indicator using the monitoring terminal 130, for example, a field engineer, etc., may transmit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20 for a specific area on the live-action imag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of the worker.

이때, 공정 지시 정보에는, 부적합한 시공 상태에 대한 보완 작업 이행 지시, 작업 순서에 관한 지시, 공사 현장 특정 구역 민원에 대한 대응 지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n instruction to perform a supplementary work for an inappropriate construction condition, an instruction on a work order, a response instruction to a civil complaint in a specific area of a construction site, and the like.

그리고, 공정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120)로 하여금 공정 지시 정보에 대응되는 마크업(600), 가령, 핀 모양의 표식을 렌더링하도록 하고, 해당 마크업(600)을 철근 배근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작업자와 지시자가 같은 공간에 함께 있지 않더라도 실시간으로 정확한 작업지시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 management server causes the user terminal 120 to render a markup 600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 pin-shaped mark, and superimposes the markup 600 on the live reinforcement image. Thus, by supporting the display of an augmented reality screen,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accurate work orders in real time even if the operator and the indicator are not together in the same space.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 6에서 핀 모양의 마크업(600)이 렌더링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마크업의 모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살표 또는 동그라미, 체크 표시 등 다양한 모양으로 렌더링 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마크업(600)은 공정 지시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in-shaped markup 600 is shown to be rendered in FIG. 6, but the shape of the markup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rende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rrows, circles, and check marks. In addition, the markup 600 may include charac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instruction.

또한, 모니터링 단말(130)로부터 실사영상의 특정 영역에 대한 공정 지시에 대응되는 공정 지시 음성 정보가 추가로 획득되면, 공사 정보 관리 서버(110)가, 사용자 단말(120)로 하여금 마크업(600)을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면서 공정 지시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process instruction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instruction for a specific area of the live-action image is additionally acquired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130,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10 causes the user terminal 120 to make the markup 600 ) May be superimposed on the live-action image to display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nd output process instruction voice information.

이에 따라, 공정 작업자는 관리자에 의해 설명되는 공정 지시에 의해 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작업자가 진행하는 공정을 실시간으로 관리 감독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공정 불량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공정 작업자가 설계된 시공 표준에 따라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cess operator can proceed with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process instruction explained by the manager, and the manager can manage and supervise the process conducted by the worker in real time, thereby preventing process defects, etc. In addition, it can enable process workers to proceed with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designed construction standard.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all modifications that are equally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 would say.

Claims (16)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i) 건축물의 동, 호, 층, 및 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특정되는 상기 건축물 내 개별 공간들에 관한 정보인 공간 정보들, (ii) 상기 개별 공간들에서의 부위별 공종 정보들, 및 (iii) 상기 공종 정보들에 대응되는 액티비티 정보들이 획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촬영되는 실사영상 상의 특정 공간 정보 내의 특정 부위에 대한 증강 현실 정보 요청이 획득되면,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특정 개별 공간을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개별 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공종 정보들 및 상기 액티비티 정보들 중, 상기 실사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부위에 대한 특정 공종 정보들 및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을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며, 상기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된 상기 특정 공종 정보들 및 상기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에 대한 선택 메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선택 메뉴들을 렌더링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 메뉴들을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 메뉴들 중 상기 특정 공종 정보들 및 상기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특정 선택 메뉴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선택 메뉴에 대응되는 특정 공종 정보들 및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특정 설계 정보와 특정 시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특정 설계 정보와 상기 특정 시공 정보를 렌더링하여 상기 특정 설계 정보와 상기 특정 시공 정보를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d) 상기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정 모니터링 요청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촬영된 상기 실사영상을 모니터링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실사영상을 상기 모니터링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고, (ii) 상기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실사영상의 임의의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대한 공정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모니터링 단말이 상기 공정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공정 지시 정보에 대응되는 마크업을 렌더링하도록 하고, 상기 마크업을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선택 메뉴들 중 상기 특정 부위를 검측하기 위한 검측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상기 실사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특정 부위에 대한 실측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 검측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특정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시공 계획 정보를 나타내는 기준값을 확인하며,
상기 특정 부위에 대한 상기 실측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신규 검측 정보와 상기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상기 시공 계획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기준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기준값과 상기 신규 검측 정보를 렌더링하도록 하여 상기 기준값과 상기 신규 검측 정보를 상기 실사영상에 함께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In a method for managing at least som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a) (i) Spatial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individual spaces within the building specified by at least one of the building's wing, arc, floor, and room, (ii) Construction information for each part in the individual spaces And (iii) when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ublic type information is obtained, when a request for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for a specific region in specific spatial information on the live-action image photographed by the user terminal is obtained from a user terminal, Checking, by a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 specific individual space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by referring to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b)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presets specific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part corresponding to the live-action image among the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the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ividual space. Classified according to a category, and transmits selection menus for the specific public type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et category to the user terminal, thereby causing the user terminal to render the selection menus, and the selection Supporting menus to display an augmented reality screen by overlapping the live image;
(c) When a selection signal for a specific selection menu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specific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among the selection menus is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he specific selection By transmitting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specific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menu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renders the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Supporting to display an augmented reality screen by superimposing the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on the live-action image; And
(d)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 when a process monitoring request is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live-action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monitoring terminal, or the user terminal Allows the user to transmit the live image to the monitoring terminal, and (ii) transmit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region among the arbitrary regions of the live image obtained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or the monitoring terminal Transmitting the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causing the user terminal to render a markup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and supporting the display of an augmented reality screen by superimposing the markup on the live image step;
Including,
When a detection menu for detecting the specific region among the selection menus is selected,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 analyzes the live-acti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acquired from the user terminal, Generates new detection information including actual measurement information for, and checks a reference value indicating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art by referring to the specific design information,
The new det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actual measurement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region and the reference value indicating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o allow the user terminal to transmit the reference value and the new detection information.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support the display of an augmented reality screen by superimposing the reference value and the new detection information on the real image by render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GPS 정보 및 증강현실 마커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a),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obtains the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GPS information and an augmented reality marker for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에는 적어도 문서 정보, 도면 정보, 이미지 정보 및 검측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ategory includes at least document information, drawing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detection inform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상기 실사영상의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상기 공정 지시에 대응되는 공정 지시 음성 정보가 추가로 획득되면, 상기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마크업을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공정 지시 음성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process instruction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instruction for the specific area of the live-action image is additionally obtained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auses the user terminal to superimpose the markup on the live-action image. And outputting the process instruction voice information while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액티비티 정보들 각각의 상기 공간 정보들, 상기 공종 정보들 및 시간 정보들 각각을 참조하여 단위 공간, 단위 공종 및 단위 시간으로 이루어진 단위 큐브 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공사 정보 구조체들을 생성하고, 상기 공간 정보들을 3차원 축의 제1 축상에 나열한 공간 축, 상기 공종 정보들을 상기 3차원 축의 제2 축상에 나열한 공종 축, 및 상기 시간 정보들을 상기 3차원 축의 제3 축상에 나열한 시간 축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공사 정보 게시 공간의 특정 구역에 상기 공사 정보 구조체들을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하여 공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3차원 공사 정보 큐브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3차원 공사 정보 큐브를 통해 상기 공간 정보들, 상기 공종 정보들 및 상기 액티비티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ncludes at least one unit cube cell consisting of a unit space, a unit type of construction, and a unit time by referring to each of the spatial information, the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ctivity information. A spatial axis in which structures are created, and the spatial information is arranged on a first axis of the 3D axis, a co-type axis in which the co-type information is arranged on a second axis of the 3D axis, and the time information is arranged on a third axis of the 3D axis. By arranging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s in a specific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information posting space consisting of a time axis and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information cube in a construction information database, the user terminal allows the user terminal to use the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information cube. And displaying the spatial information, the public type information, and the activity information.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관리하기 위한 공사 정보 관리 서버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1) (i) 건축물의 동, 호, 층, 및 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특정되는 상기 건축물 내 개별 공간들에 관한 정보인 공간 정보들, (ii) 상기 개별 공간들에서의 부위별 공종 정보들, 및 (iii) 상기 공종 정보들에 대응되는 액티비티 정보들이 획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촬영되는 실사영상 상의 특정 공간 정보 내의 특정 부위에 대한 증강 현실 정보 요청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특정 개별 공간을 확인하는 프로세스; (2) 상기 특정 개별 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공종 정보들 및 상기 액티비티 정보들 중, 상기 실사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부위에 대한 특정 공종 정보들 및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을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며, 상기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된 상기 특정 공종 정보들 및 상기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에 대한 선택 메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선택 메뉴들을 렌더링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 메뉴들을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3)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 메뉴들 중 상기 특정 공종 정보들 및 상기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특정 선택 메뉴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선택 메뉴에 대응되는 특정 공종 정보들 및 특정 액티비티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특정 설계 정보와 특정 시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특정 설계 정보와 상기 특정 시공 정보를 렌더링하여 상기 특정 설계 정보와 상기 특정 시공 정보를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4) 상기 프로세서가, (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정 모니터링 요청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촬영된 상기 실사영상을 모니터링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실사영상을 상기 모니터링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고, (ii) 상기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실사영상의 임의의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대한 공정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모니터링 단말이 상기 공정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공정 지시 정보에 대응되는 마크업을 렌더링하도록 하고, 상기 마크업을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를 수행하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3) 프로세스에서,
상기 선택 메뉴들 중 상기 특정 부위를 검측하기 위한 검측 메뉴가 선택되면, (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상기 실사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특정 부위에 대한 실측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 검측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특정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시공 계획 정보를 나타내는 기준값을 확인하며,
상기 특정 부위에 대한 상기 실측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신규 검측 정보와 상기 특정 부위에 대응되는 상기 시공 계획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기준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기준값과 상기 신규 검측 정보를 렌더링하도록 하여 상기 기준값과 상기 신규 검측 정보를 상기 실사영상에 함께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정보 관리 서버.
In a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at least som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At least one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execute the instructions,
The processor may include (1) (i) spatial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individual spaces within the building specified by at least one of a building, a building, a floor, a floor, and a room, (ii) in the individual spaces. Request for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for a specific area in specific spatial information on the live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while the public type information for each area and (iii)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ublic type information are acquired When the user terminal is obtained, a process of checking a specific individual space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by referring to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2) Among the public type information and the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ividual space, specific public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part corresponding to the live image are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set category, and the By transmitting the selection menus for the specific public type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set category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renders the selection menus, and the selection menus are superimposed on the live image. A process of supporting to display an augmented reality screen; (3) When the processor obtains a selection signal for a specific selection menu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specific service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among the selection menus from the user terminal, the processor responds to the specific selection menu The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specific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activity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renders the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to render the specific design information. A process of supporting the display of an augmented reality screen by superimposing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construction information on the live-action image; And (4) the processor, (i) when a process monitoring request is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live-action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monitoring terminal, or causes the user terminal to The live-action image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terminal, and (ii)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region among the arbitrary regions of the live-action image obtained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or the monitoring terminal performs the process. Transmitting instru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causing the user terminal to render a markup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instruction information, and supporting the display of an augmented reality screen by superimposing the markup on the live image;
Execute the instructions to perform,
The processor,
In the above (3) process,
When a detection menu for detecting the specific region among the selection menus is selected, (i) a new image including actual measurement information on the specific region by analyzing the live im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Generates detection information, and checks a reference value indicating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art by referring to the specific design information,
The new det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actual measurement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region and the reference value indicating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o allow the user terminal to transmit the reference value and the new detection information. A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o support the display of an augmented reality screen by superimposing the reference value and the new detection information on the real image by render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1) 프로세스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GPS 정보 및 증강현실 마커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정보 관리 서버.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In the above (1) process,
A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GPS information and an augmented reality marker for the user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에는 적어도 문서 정보, 도면 정보, 이미지 정보 및 검측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정보 관리 서버.
The method of claim 9,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ategory includes at least document information, drawing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detection information.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니터링 단말로부터 상기 실사영상의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상기 공정 지시에 대응되는 공정 지시 음성 정보가 추가로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마크업을 상기 실사영상에 중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공정 지시 음성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정보 관리 서버.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When process instruction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instruction for the specific region of the live image is additionally obtained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the user terminal superimposes the markup on the live image to display an augmented reality screen.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o output the process instruction voice inform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티비티 정보들 각각의 상기 공간 정보들 및 상기 공종 정보들 각각을 참조하여 단위 공간, 단위 공종 및 단위 시간으로 이루어진 단위 큐브 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공사 정보 구조체들을 생성하고, 상기 공간 정보들을 3차원 축의 제1 축상에 나열한 공간 축, 상기 공종 정보들을 상기 3차원 축의 제2 축상에 나열한 공종 축, 및 상기 시간 정보들을 상기 3차원 축의 제3 축상에 나열한 시간 축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공사 정보 게시 공간의 특정 구역에 상기 공사 정보 구조체들을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하여 상기 3차원 공사 정보 게시 공간에 3차원 공사 정보 큐브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3차원 공사 정보 큐브를 통해 상기 공간 정보들, 상기 공종 정보들 및 상기 액티비티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정보 관리 서버.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A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unit cube cell consisting of a unit space, a unit construction type, and a unit time is generated by referring to the spatial information and the construction typ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ctivity information, and the spatial information is 3D A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information posting space consisting of a spatial axis arranged on the first axis of the axis, a construction type axis arranged on the second axis of the three-dimensional axis, and a time axis arranged on the third axis of the three-dimensional axis. By arranging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s in a specific area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information cube in the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information posting space, the user terminal allows the spatial information and the construction type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information cube.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information and the activity information.
KR1020200014001A 2020-02-05 2020-02-05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Active KR1022381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001A KR102238193B1 (en) 2020-02-05 2020-02-05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1020210043668A KR102424894B1 (en) 2020-02-05 2021-04-02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001A KR102238193B1 (en) 2020-02-05 2020-02-05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668A Division KR102424894B1 (en) 2020-02-05 2021-04-02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193B1 true KR102238193B1 (en) 2021-04-09

Family

ID=754442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001A Active KR102238193B1 (en) 2020-02-05 2020-02-05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1020210043668A Active KR102424894B1 (en) 2020-02-05 2021-04-02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668A Active KR102424894B1 (en) 2020-02-05 2021-04-02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38193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45037A (en) * 2022-01-07 2022-05-06 中广核工程有限公司 Construction object display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20168028A (en)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대성이엔씨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struction supervision,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2538056B1 (en) * 2021-12-14 2023-05-30 주식회사 넥스텝스튜디오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661762B1 (en) * 2022-12-23 2024-05-02 국립공원공단 Park management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US12105503B2 (en) 2020-07-20 2024-10-01 Hyosung P&M Co., Ltd. System for monitoring industrial equipment through IoT sensors and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046B1 (en) * 2023-09-19 2024-05-13 주식회사 이안 Construction performance registration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5723A (en) * 2013-12-10 2015-06-22 Kddi株式会社 Video instruction method, system, terminal, and program capable of superimposing instruction image on photographing moving image
KR101829169B1 (en) 2017-06-02 2018-02-19 신태용 Integrated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application, To do this Architectural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application stored in media
KR101830121B1 (en) * 2017-05-22 2018-03-30 주식회사 씨엠엑스건축사사무소 Method for providing check and supervision of construction 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user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934315B1 (en) * 2018-05-23 2019-01-02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One-stop system for construction maintenance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based Augmented Reality
KR20200002472A (en)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에스엔에스파트너즈 Work breakdown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5723A (en) * 2013-12-10 2015-06-22 Kddi株式会社 Video instruction method, system, terminal, and program capable of superimposing instruction image on photographing moving image
KR101830121B1 (en) * 2017-05-22 2018-03-30 주식회사 씨엠엑스건축사사무소 Method for providing check and supervision of construction 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user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829169B1 (en) 2017-06-02 2018-02-19 신태용 Integrated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application, To do this Architectural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application stored in media
KR101934315B1 (en) * 2018-05-23 2019-01-02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One-stop system for construction maintenance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based Augmented Reality
KR20200002472A (en)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에스엔에스파트너즈 Work breakdown structur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05503B2 (en) 2020-07-20 2024-10-01 Hyosung P&M Co., Ltd. System for monitoring industrial equipment through IoT sensors and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KR20220168028A (en)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대성이엔씨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struction supervision,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2634088B1 (en) * 2021-06-15 2024-02-06 주식회사 대성이엔씨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struction supervision,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2538056B1 (en) * 2021-12-14 2023-05-30 주식회사 넥스텝스튜디오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CN114445037A (en) * 2022-01-07 2022-05-06 中广核工程有限公司 Construction object display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661762B1 (en) * 2022-12-23 2024-05-02 국립공원공단 Park management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894B1 (en) 2022-07-27
KR20210100039A (en)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8193B1 (en)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Dai et al. Comparison of image-based and time-of-flight-based technologies for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JP6180647B2 (en) Indoor map con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cloud points
CN101842813A (en) Handling raster image 3D objects
CN107767108A (en) L OD work bag
CN109813219B (en)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reinforcement information for existing structur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KR20210081971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supervision using tower crane
JP2007243509A (en) Image processing device
EP4229552B1 (en) Generating measurements of physical structures and environments through automated analysis of sensor data
TW578056B (en)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the monitoring process on building construction
De Fino et al. Remote diagnosis and control of the heritage Architecture by photorealistic digital environments and models
JP5498880B2 (en) Simulation apparatus, simulation method, and program
KR102011713B1 (en) Continuous structure defec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7168995B2 (en) Asbestos 3D map generation system
KR102216377B1 (en) Method and computing device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in 3d virtual space
US202403706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remote visualization for installing overhead fiber networks
US202403709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remote visualization for performing micro-trenching
US202403705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remote visualization for directional boring
US10508913B2 (en) Environment recording system us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KR20150047727A (en) Automatic rebar placing inspection system
Hong et al. The use of CCTV in the emergency response: A 3D GIS perspective
Liu et al. System development of an augmented reality on-site BIM viewer based on the integration of SLAM and BLE indoor positioning
Lee et al. AR (augmented reality) based 3D workspace modeling for quality assessment using as-built on-site condition in remodeling construction project
CN114090147A (en) Data processing method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platform
KR102625537B1 (en) Platform for safety diagnosis through 3d model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0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4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0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12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40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