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6161B1 -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161B1
KR102236161B1 KR1020200105281A KR20200105281A KR102236161B1 KR 102236161 B1 KR102236161 B1 KR 102236161B1 KR 1020200105281 A KR1020200105281 A KR 1020200105281A KR 20200105281 A KR20200105281 A KR 20200105281A KR 102236161 B1 KR102236161 B1 KR 102236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box
unit
elevating
conveyor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의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네오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네오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00105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16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65B25/04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 B65B25/046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in crates or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2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일박스에 기설정된 중량만큼 다수개의 선별과일을 과일박스에 투입시 선별과일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별과일이 담겨지는 다수개의 과일박스를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렬되게 이송하는 박스컨베이어유닛(100);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을 통해 이송된 다수개의 과일박스 중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제일 앞쪽의 과일박스를 상측으로 승강시켜 일정각도로 기울릴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슬로프유닛(200);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과일박스에 담겨지는 선별과일을 이송하는 과일컨베이어유닛(400); 상기 과일컨베이어유닛(400)을 통해 이송된 선별과일이 상기 승하강슬로프유닛(200)을 통해 상측방향으로 이동된 과일박스의 내측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과일가이드투입유닛(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CONVEYOR MOVING TYPE SORTING FRUIT S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일박스에 기설정된 중량만큼 다수개의 선별과일을 과일박스에 투입시 선별과일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확된 배, 사과, 대추와 같은 과일은 다양한 품질과 크기의 것 등이 섞여 있기 때문에 수확한 다음 선별하여 출하 또는 저장한다. 과일의 선별방법으로는 사람이 직접선별하는 인력 선별법과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선별하는 기계 선별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별된 과일은 포장라인으로 옮겨진 다음 작업자들이 일일이 저울에 정해진 량 만큼의 과일을 달아 빈 빅스에 담은 후 포장하여야만 유통시장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선별과정과 포장과정을 개별적으로 행할 경우에는 시간이 많이 걸려 능률이 떨어지고, 정량만큼 저울로 달아 포장하는 과정을 인위적으로 하게 되면 인건비 손실이 많아서 과일이나 농산물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대단위 농장에서는 작업능률을 높이고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서 상기 과일 선별과정과 정량에 따른 포장과정을 하나의 자동 라인으로 개발하여 그동안 실시하고 있다.
많은 종류의 과일선별장치들에서는 크기별로 분류된 과일을 컨베어이방식의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과일상자에 담겨지도록 이루어지는데, 선별과일이 과일상자에 낙하되어 담겨지는 과정에서 과일상자의 바닥에 선별과일이 일차적으로 쌓이고, 그 상측에 선별과일이 계속적으로 낙하되어 쌓이게 된다.
이때, 선별과일의 낙하시 과일상호간의 충격에 의해 과일이 손상되어 제품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일선별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9374호의 과일이나 농산물 선별기의 박스포장을 위한 정량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과일박스에 기설정된 중량만큼 다수개의 선별과일을 과일박스에 투입시 선별과일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과일박스의 크기에 따라 과일박스의 전방이나 후방을 선택적으로 기울릴 수 있도록 하여 낙하되는 과일과 과일박스에 쌓이게 되는 과일간 상호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별과일이 담겨지는 다수개의 과일박스를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렬되게 이송하는 박스컨베이어유닛(100);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을 통해 이송된 다수개의 과일박스 중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제일 앞쪽의 과일박스를 상측으로 승강시켜 일정각도로 기울릴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슬로프유닛(200);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과일박스에 담겨지는 선별과일을 이송하는 과일컨베이어유닛(400); 상기 과일컨베이어유닛(400)을 통해 이송된 선별과일이 상기 승하강슬로프유닛(200)을 통해 상측방향으로 이동된 과일박스의 내측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과일가이드투입유닛(5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하강슬로프유닛(200)은,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부재(210)와, 상기 승강실린더부재(210)의 신축로드(211)에 연결되어 상기 신축로드(211)의 신축시 상기 과일박스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부재(220)와, 상기 승하강부재(220)에 장착되는 전방기울림실린더(230)와, 상기 전방기울림실린더(230)의 로드 선단에 장착되어 과일박스의 하부 일측을 들어올려 기울릴 수 있도록 하는 기울림편(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하강부재(220)는 상기 신축로드(211)에 장착되는 마운팅플레이트(221)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1)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1)에 연결되는 조인트봉(222)를 매개로 설치되되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의 측벽부(110)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거치편(2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의 내측에 설치된 설치프레임(251)에 연결브라켓(252)을 매개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후방기울림실린더(250)와, 상기 후방기울림실린더(250)의 로드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과일박스의 후방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후방승강편(2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에는, 제일 앞쪽의 과일박스가 상기 승하강슬로프유닛(200)에 의해 상측으로 승강되는 경우, 상기 제일 앞쪽의 과일박스 후방에 위치하는 인접과일박스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제한유닛(300)이 설치되되 상기 이동제한유닛(300)은 상기 설치프레임(251)에 마운팅브라켓(311)을 매개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직립실린더부재(310)와, 상기 직립실린더부재(310)의 로드 선단에 장착되는 이동제한편(320)으로 구성되고, 상기 과일가이드투입유닛(500)은, 상기 과일컨베이어유닛(400)으로부터 이송되어 낙하된 선별과일이 상기 과일박스의 내측으로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호퍼(510)와, 상기 가이드호퍼(51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실린더부재(520)와, 상기 구동실린더부재(520)의 로드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호퍼(5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가이드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530)는 상기 가이드호퍼(510)에 장착회전편(541)을 매개로 장착되는 장착골격구(540)과, 상기 장착골격구(540)에 분리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이드완충판(5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과일컨베이어유닛을 통해 이송되는 선별과일을 빈 과일박스에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어 선별과일의 박스포장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과일박스의 크기에 따라 과일박스의 전방이나 후방을 선택적을 기울릴 수 있어 낙하되는 과일과 과일박스에 쌓이게 되는 과일간 상호 충돌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기울림실린더에 의해 과일박스가 기울려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컨베이어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슬로프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슬로프유닛의 전방기울림실린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벽부에 승강제한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가이드투입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이드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이드부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기울림실린더에 의해 과일박스가 기울려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컨베이어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슬로프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슬로프유닛의 전방기울림실린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벽부에 승강제한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가이드투입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이드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가이드부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는 다수개의 과일박스가 일렬되게 이송되는 박스컨베이어유닛(100)과,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을 통해 이송되는 과일박스 중 앞쪽의 과일박스를 상측으로 승강시켜 일정각도 기울릴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슬로프유닛(200)과, 상기 과일박스에 담겨지는 선별과일을 이용하는 과일컨베이어유닛(400)과, 상기 선별과일이 과일박스의 내측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과일가이드투입유닛(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는 과일박스에 기설정된 중량만큼 선별과일을 과일박스에 효과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 선별과일의 투입시 손상을 최소화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은 선별과일이 담겨지는 다수개의 과일박스를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렬되게 이송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은 폭방향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측벽부(110)와, 상기 측벽부(110)를 상호 연결한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보강프레임(120)과, 상기 과일박스(10)를 이송하기 위한 안착이송밸트(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착이송밸트(130)는 한 쌍이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의 폭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 양측에 연결되는 구동휠부(131)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휠부(131)에는 별도의 구동모터구(미도시)가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에는 상기 과일박스가 상기 승하강슬로프유닛(200)의 위치에 도달함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센서(140)가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에는 상기 안착이송밸트(130)에서 상기 과일박스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선별과일의 투입이 완료된 상기 과일박스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무빙밸트(15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무빙밸트(150)는 한 쌍이 상기 측벽부(110)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 양측에 연결되는 회전휠부재(151)를 통해 무한궤도로 회전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휠부재(151)는 별도의 모터부재(미도시)가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승하강슬로프유닛(200)은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을 통해 이송된 다수개의 과일박스 중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제일 앞쪽의 과일박스를 상측으로 승강시켜 일정각도록 기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과일박스(10)가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의 안착이송밸트(130)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감지센서(140)에서 상기 과일박스(10)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안착이송밸트(130)의 구동이 일시정지되면서 상기 승하강슬로프유닛(200)에 의해 제일 앞쪽의 과일박스를 상측으로 원활히 승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승하강슬로프유닛(200)은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부재(210)와, 상기 승강실린더부재(210)의 신축로드(211)에 연결되어 상기 신축로드(211)의 신축시 상기 과일박스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부재(220)와, 상기 승하강부재(220)에 장착되는 전방기울림실린더(230)와, 상기 전방기울림실린더(230)의 로드선단에 장착되어 과일박스의 하부 일측을 들어올려 기울릴 수 있도록 하는 기울림편(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실린더부재(210)는 상기 측벽부(110) 사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부재(220)에 상기 신축로드(211)가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부재(220)는 상기 신축로드(211)에 장착되는 마운팅플레이트(221)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1)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1)에 연결되는 조인트봉(222)를 매개로 설치되되 상기 측벽부(110)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거치편(223)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거치편(223)은 상기 승강실린더부재(210)의 구동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측벽부(110)와 안착이송밸트(1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과일박스(10)를 들어올리게 된다.
즉, 상기 승강실린더부재(210)의 신축로드(211)가 상측방향으로 신장되면 상기 승하강부재(220)의 마운팅플레이트(221)가 승강되어 상기 거치편(223)이 상기 안착이송밸트(130)의 상측에 안착된 상기 과일박스(10)의 폭방향 양측 하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과일박스(10)를 후술되는 상기 과일가이드투입유닛(500)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기울림실린더(230)는 상기 승하강부재(220)의 마운팅플레이트(221)에 연결되게 장착되는 장착부(23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부(231)의 상측에는 상기 거치편(223)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과일박스(1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편(232)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승하강슬로프유닛(2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승강실린더부재(2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거치편(223)과 장착부(231)가 상기 안착이송밸트(130)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과일박스(10)의 하부를 들어올려 상기 과일가이드투입유닛(500)방향으로 승강시키게 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과일박스에 기 설정된 중량이 작은 경우, 일 예로써 5kg 중량으로 설정된 과일박스의 경우 상기 전방기울림실린더(2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기울림편(240)이 상기 과일박스(10)의 전방을 들어올려 일정각도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의 내측에 설치된 설치프레임(251)에 연결브라켓(252)을 매개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후방기울림실린더(250)와, 상기 후방기울림실린더(250)의 로드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과일박스의 후방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후방승강편(2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과일박스에 기 설정된 중량이 큰 경우, 일 예로써 10kg 중량으로 설정된 과일박스의 경우 상기 과일박스를 상기 승하강부재(220)에 의해 승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후방기울림실린더(2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후방승강편(260)이 상기 과일박스의 후방을 들어올려 일정각도로 기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방기울림실린더(230)의 로드는 상기 과일박스의 전방을 기울릴 수 있도록 하는 신장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신장되어 상기 기울림편(240)이 상기 과일박스의 전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과일박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방기울림실린더(230)나 후방기울림실린더(250)를 구동하여 상기 과일박스의 전방이나 후방을 선택적으로 기울려 상기 과일박스로 낙하되는 선별과일이 기울려진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과일박스에 쌓여 있는 과일과 낙하되는 과일간의 상호충돌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에는 제일 앞쪽의 과일박스가 상기 승하강슬로프유닛(200)에 의해 상측으로 승강되는 경우, 제일 앞쪽의 과일박스 후방에 위치하는 인접과일박스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제한유닛(300)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이동제한유닛(300)은 상기 설치프레임(251)에 마운팅브라켓(311)을 매개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직립실린더부재(310)와, 상기 직립실린더부재(310)의 로드 선단에 장착되는 이동제한편(320)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일 앞쪽의 과일박스가 상기 승하강슬로프유닛(200)에 의해 승강되는 경우, 상기 직립실린더부재(310)가 구동하여 상기 이동제한편(320)이 인접과일박스(2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선별과일의 투입이 완료된 과일박스가 하강하여 상기 안착이송밸트(130)에서 무빙밸트(150)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직립실린더부재(3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제한편(320)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인접과일박스(20)가 상기 승하강슬로프유닛(200)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방기울림실린더(230)와 후방기울림실린더(250), 상기 직립실린더부재(310)는 상기 한 쌍의 안착이송밸트(130) 사이에서 로드가 승하강구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의 측벽부(110)에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1)의 승강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제한구(111)가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과일컨베이어유닛(400)은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으로부터 상측방향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과일박스에 담겨지는 선별과일을 이송하는 것으로, 상기 과일박스에 기 설정된 중량만큼의 선별과일이 상기 과일가이드투입유닛(50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과일컨베이어유닛(4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과일박스에 기 설정된 중량만큼의 선별과일을 선별할 수 있도록 별도의 선별유닛(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 과일컨베이어유닛(400)의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과일가이드투입유닛(500)이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과일가이드투입유닛(500)은 상기 과일컨베이어유닛(400)을 통해 이송된 선별과일이 상기 승하강슬로프유닛(200)을 통해 상측방향으로 이동된 과일박스의 내측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과일가이드투입유닛(500)은 상기 과일컨베이어유닛(400)으로부터 이송되어 낙하된 선별과일이 상기 과일박스의 내측으로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호퍼(510)와, 상기 가이드호퍼(51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실린더부재(520)와, 상기 구동실린더부재(520)의 로드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호퍼(5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가이드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호퍼(5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되 상기 측벽부(110)에 설치되는 거치프레임(112)의 상단에 조인트편(511)을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중앙부 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완충편(5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실린더부재(520)는 상기 거치프레임(112)의 상단에 고정플레이트(521)를 매개로 설치되되 로드가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의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로드의 선단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530)에 마련된 조인트브라켓(54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530)는 상기 가이드호퍼(510)에 장착회전편(54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실린더부재(520)의 구동에 의한 상기 로드의 신축에 따라 회전되어 경사도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서의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530)는 상기 가이드호퍼(510)에 상기 장착회전편(541)을 매개로 장착되되 상기 조인트브라켓(542)이 설치된 장착골격구(540)와, 상기 장착골격구(540)에 분리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이드완충판(550)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구동실린더부재(5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완충판(550)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상기 과일컨베이어유닛(400)에서 상기 가이드호퍼(510)를 통과한 선별과일이 상기 가이드완충판(55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과일박스의 내측으로 굴러 이동됨으로써 선별과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호퍼(5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과일박스의 크기가 커 상기 가이드완충판(550)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완충판(550)을 상기 장착골격구(540)에서 분리하여 상기 가이드호퍼(510)를 통과한 선별과일이 상기 후방기울림실린더(250)에 의해 기울려진 과일박스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박스컨베이어유닛 110: 측벽부
120: 보강프레임 130: 안착이송밸트
140: 감지센서 150: 무빙밸트
200: 승하강슬로프유닛 210: 승강실린더유닛
220: 승하강부재 230: 전방기울림실린더
240: 기울림편 250: 후방기울림실린더
260: 후방승강편 300: 이동제한유닛
310: 직립실린더부재 320: 이동제한편
400: 과일컨베이어유닛 500: 과일가이드투입유닛
510: 가이드호퍼 520: 구동실린더부재
530: 슬라이딩가이드부 540: 장착골격구
550: 가이드완충판

Claims (4)

  1. 선별과일이 담겨지는 다수개의 과일박스를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렬되게 이송하는 박스컨베이어유닛(100);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을 통해 이송된 다수개의 과일박스 중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제일 앞쪽의 과일박스를 상측으로 승강시켜 일정각도로 기울일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슬로프유닛(200);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과일박스에 담겨지는 선별과일을 이송하는 과일컨베이어유닛(400); 상기 과일컨베이어유닛(400)을 통해 이송된 선별과일이 상기 승하강슬로프유닛(200)을 통해 상측방향으로 이동된 과일박스의 내측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과일가이드투입유닛(5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하강슬로프유닛(200)은,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부재(210)와, 상기 승강실린더부재(210)의 신축로드(211)에 연결되어 상기 신축로드(211)의 신축시 상기 과일박스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부재(220)와, 상기 승하강부재(220)에 장착되는 전방기울임실린더(230)와, 상기 전방기울임실린더(230)의 로드 선단에 장착되어 과일박스의 하부 일측을 들어올려 기울일 수 있도록 하는 기울임편(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하강부재(220)는 상기 신축로드(211)에 장착되는 마운팅플레이트(221)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1)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1)에 연결되는 조인트봉(222)를 매개로 설치되되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의 측벽부(110)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거치편(2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의 내측에 설치된 설치프레임(251)에 연결브라켓(252)을 매개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후방기울임실린더(250)와, 상기 후방기울임실린더(250)의 로드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과일박스의 후방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후방승강편(2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박스컨베이어유닛(100)에는, 제일 앞쪽의 과일박스가 상기 승하강슬로프유닛(200)에 의해 상측으로 승강되는 경우, 상기 제일 앞쪽의 과일박스 후방에 위치하는 인접과일박스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제한유닛(300)이 설치되되 상기 이동제한유닛(300)은 상기 설치프레임(251)에 마운팅브라켓(311)을 매개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직립실린더부재(310)와, 상기 직립실린더부재(310)의 로드 선단에 장착되는 이동제한편(320)으로 구성되고,
    상기 과일가이드투입유닛(500)은, 상기 과일컨베이어유닛(400)으로부터 이송되어 낙하된 선별과일이 상기 과일박스의 내측으로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호퍼(510)와, 상기 가이드호퍼(51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실린더부재(520)와, 상기 구동실린더부재(520)의 로드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호퍼(5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가이드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530)는 상기 가이드호퍼(510)에 장착회전편(541)을 매개로 장착되는 장착골격구(540)과, 상기 장착골격구(540)에 분리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이드완충판(5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05281A 2020-08-21 2020-08-21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 Active KR102236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281A KR102236161B1 (ko) 2020-08-21 2020-08-21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281A KR102236161B1 (ko) 2020-08-21 2020-08-21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161B1 true KR102236161B1 (ko) 2021-04-07

Family

ID=7546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281A Active KR102236161B1 (ko) 2020-08-21 2020-08-21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1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17028A1 (zh) * 2023-04-19 2024-10-24 淮北师范大学 一种甜瓜包装机
CN118937242A (zh) * 2024-07-02 2024-11-12 无锡迪特莱科技有限公司 一种水果内部品质在线快速检测装置
CN119821752A (zh) * 2025-03-20 2025-04-15 淄博文博轴承钢球有限公司 一种钢球自动计数包装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305A (ko) * 1998-08-28 2000-03-15 조문부 자동감귤계수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57852A (ko) * 2010-11-29 2012-06-07 한일이화주식회사 부품박스 적재대
KR101596929B1 (ko) * 2015-01-30 2016-02-23 최병훈 과일 선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305A (ko) * 1998-08-28 2000-03-15 조문부 자동감귤계수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57852A (ko) * 2010-11-29 2012-06-07 한일이화주식회사 부품박스 적재대
KR101596929B1 (ko) * 2015-01-30 2016-02-23 최병훈 과일 선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17028A1 (zh) * 2023-04-19 2024-10-24 淮北师范大学 一种甜瓜包装机
CN118937242A (zh) * 2024-07-02 2024-11-12 无锡迪特莱科技有限公司 一种水果内部品质在线快速检测装置
CN119821752A (zh) * 2025-03-20 2025-04-15 淄博文博轴承钢球有限公司 一种钢球自动计数包装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161B1 (ko)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
CN209953283U (zh) 往复式类椭球形果蔬分拣装箱系统
KR102074536B1 (ko) 색채 선별기
KR102156426B1 (ko) 구형 농작물용 선별포장기
KR101991293B1 (ko) 과일 선별용 과일 자동 적재 장치
CN113811497A (zh) 包括链斗式升降输送机的订单拣选系统和使用该系统的方法
US4965982A (en) Fruit bin filler
KR101596929B1 (ko) 과일 선별기
US6629592B2 (en) Sort bin for lumber pieces
US5797716A (en) Container contents unloading apparatus for unloading contents of a container and method of unloading same
KR102144948B1 (ko) 폐지 압축장치
JPS5882803A (ja) 自動梱包機
CN219173670U (zh) 一种物流货物自动拆垛机及拆垛传送系统
US7308781B2 (en) Combination bulk and tote loading harvesting apparatus and method
EP1437436B1 (en) A collection bin for a laundry
KR20230119151A (ko) 고구마 수확에 사용되고 낙하 기구를 구비한 맞춤형 집합 및 바스켓 적재 시스템 장치
KR20190004623A (ko) 과일 포장장치
KR102059422B1 (ko) 구형농산물 선별기
GB2418909A (en) Controlling material flow using chute of variable cross-section
GB2405853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KR20160046971A (ko) 콤바인용 곡물저장탱크 승강장치
KR101245648B1 (ko) 완충수단을 구비한 선별기
US20250008877A1 (en) Berry harvester filling system
GB2613441A (en) Material handling improvements
EP2080719B1 (en) Device for processing harvested crops at processing s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