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6078B1 -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078B1
KR102236078B1 KR1020200130435A KR20200130435A KR102236078B1 KR 102236078 B1 KR102236078 B1 KR 102236078B1 KR 1020200130435 A KR1020200130435 A KR 1020200130435A KR 20200130435 A KR20200130435 A KR 20200130435A KR 102236078 B1 KR102236078 B1 KR 102236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late module
bellows
smart phon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디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디아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디아이디
Priority to KR102020013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078B1/ko
Priority to KR1020200186100A priority patent/KR102437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07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는 상단에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모듈이 설치되며 유동 가능한 자바라부 및 일측면이 자바라부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타측면이 일측면으로부터 하부가 뾰족하게 굴절되어 일측면의 반대 위치에 위치하는 판모듈이 구비된 삽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Smart Phone Holder with Insert Typ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와 관련된 기술이다.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단말기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사용에 대한 증가와 함께, 그에 따른 부속 장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수요 증가에 비례하여 장치의 성능이 발전하고 있다.
특히, 많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전자기기를 과도하게 사용함에 따라, 목, 손목 등 특정 신체부위의 질환을 예방하는 장치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4-0000768호는 자바라식 전자기기 거치대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거치대는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잡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서 전자기기를 편안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각광받았다. 그러나, 전술 한 거치대 및 현재 개발된 대다수의 거치대는 집게형으로 책상 및 침대 등에 고정되는 타입이라, 집게가 집을 수 있는 곳이 없는 곳에는 적절하게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4-0000768호(공개일자: 2014.02.05.)
본 발명은 기존의 집게 타입의 거치대가 고정될 수 없는 위치 즉, 소파와 침대 등과 같은 가구에 있는 틈새에 끼워져 틈새가 있는 가구에 용이하게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는,
상단에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모듈이 설치되며 유동 가능한 자바라부 및
일측면이 자바라부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타측면이 일측면으로부터 하부가 뾰족하게 굴절되어 일측면의 반대 위치에 위치하는 판모듈이 구비된 삽입부를 포함하고,
판모듈은,
타면에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졌을 때, 자바라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홀을 포함할 수 있다.
판모듈은,
일측면과 타측면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 일측면과 타측면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삽입부는,
삽입부의 제1내측면에 일측면이 연결되고, 삽입부의 제2내측면에 타측면이 연결되는 탄성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모듈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V’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자바라부는,
하단에 형성된 제1연결모듈을 포함하고,
삽입부는,
상단에 제1연결모듈과 체결되는 제2연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는,
외측면에 도포된 우레탄 실리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파와 침대 등과 같은 틈새가 있는 가구에 고정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틈새에서 쉽게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다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삽입부에 대한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자바라부에 형성된 제1연결모듈과 삽입부에 형성된 제2연결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삽입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삽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삽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예시일 뿐이다. 이에, 본 발명의 청구 범위는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실시 예의 도면에 나타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부분이 있을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 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의 공통적인 특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 후, 각 실시예에 따른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1, 1-1, 1-2)는 소파(B)의 틈새(C)가 있는 가구에 고정되는 스마트폰 거치대이다. 이와 같은,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1, 1-1, 1-2)는 틈새(C)에 삽입되는 삽입부(20)가 뾰족하게 형성되고, 높은 마찰계수를 나타내며 틈새(C)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틈새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1, 1-1, 1-2)는 자바라부(10), 삽입부(20, 20-1, 20-2)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삽입부에 대한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자바라부에 형성된 제1연결모듈과 삽입부에 형성된 제2연결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자바라부(10)는 금속 가요성 파이프로 구성되어 유동이 가능하며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부재가 된다. 이와 같은 자바라부(10)는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따라 거치모듈(110)의 위치 및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바라부(10)의 상단에는 집게 타입의 거치모듈(110)이 설치되고 하단에는 볼트 타입의 제1연결모듈(1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바라부(10)는 제1연결모듈(101)과 체결되는 제2연결모듈(12)을 포함하는 삽입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삽입부(20)는 소파 및 침대 등에 있는 틈새(C)에 삽입되는 부재가 된다. 이러한 삽입부(20)는 판모듈(210)과 판모듈(210)에 개재되는 탄성체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20)는 판모듈(210)의 외측면에 도포된 우레탄 실리콘(203)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삽입부(20)는 자바라부(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자바라부(10)에서 분리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삽입부(20)는 일면에 형성된 홀 타입의 제2연결모듈(12)이 자바라부(10)에 형성된 제1연결모듈(101)과 연결되며 자바라부(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바라부(10)에 고정된 삽입부(20)의 판모듈(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제2연결모듈(12)의 일면과 연결되어, 타측면이 일측면의 반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판모듈(210)은 제2연결모듈(12)의 일면에 연결되어 구부러질 수 있다. 이때, 판모듈(210)의 타면에는 수용홀(211)이 형성되어, 판모듈(21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판모듈(210)은 제2연결모듈(12)의 상측에 있는 자바라부(10)의 일부를 수용하며 판모듈(2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간격이 짧아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모듈(210)은 틈새(C)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판모듈(210)은 일측면과 타측면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 일측면과 타측면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 즉, 측면도가‘V’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모듈(220)은 외력이 가해지면 수축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 상태로 복원되는 부재가 된다. 일례로, 탄성체모듈(22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V’형상으로 형성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 또는 원통형 형상의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체모듈(220)은 일측면이 판모듈의 제1내측면 즉, 왼쪽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타측면이 판모듈의 제2내측면 즉, 오른쪽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판모듈(2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모듈(220)은 판모듈(210)에 외력이 가해지면 수축하고,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며 판모듈(21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판모듈(210)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킨다.
아울러, 삽입부(20)는 외측면에 우레탄 실리콘(203)이 도포되어 틈새(C)에 삽입되었을 때, 틈새(C)에 높은 마찰계수를 나타내며 틈새(C)에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삽입부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삽입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삽입부(20)는 탄성력에 의해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판모듈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간격이 좁아지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판모듈이 다시 원래대로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20)는 틈새(C)에 삽입되어, 틈새(C)를 형성하는 제1모듈과 제2모듈 일례로, 제1쿠션과 제2쿠션의 가압력에 의해 일측면과 타측면이 가압 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20)는 제1쿠션과 제2쿠션을 벗어날 때, 판모듈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가해지던 압력이 제거되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삽입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삽입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삽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의 삽입부(20)와 제2실시예의 삽입부(20-1) 그리고 제3실시예의 삽입부(20-2)는 판모듈(210)의 타측면이 제2연결모듈(12-1)에 부착되었는지 아니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지에 대해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다.
이에, 제2실시예의 삽입부(20-1)와 제3실시예의 삽입부(20-2)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제1실시예의 삽입부(20)와 동일한 부분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기술한다.
도 6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삽입부(20-1)는 제2연결모듈(12-1)의 일측면에 판모듈의 일측면이 연결되고, 제2연결모듈(12-1)의 타측면에 판모듈의 타측면이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실시예의 삽입부(20-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상태에서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판모듈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간격이 좁아지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원래대로 복원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삽입부(20-2)는 판모듈연결모듈(300)의 일측면에 판모듈의 일측면이 연결되고, 판모듈연결모듈(300)의 타측면에 판모듈의 타측면이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실시예의 삽입부(20-2)는 판모듈연결모듈(300), 판모듈고정볼트(400)에 연결되는 판모듈(210) 및 판모듈(21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탄성체모듈(220)을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여기서, 판모듈연결모듈(300)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이 직사각형인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판모듈연결모듈(300)에는 복수 개의 연결모듈홀(30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 개의 연결모듈홀(301)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판모듈고정볼트(4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판모듈(210)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판모듈(210)은 일례로 가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측과 타측에는 복수 개의 수용홀(211)이 형성될 수 있고, 일면의 중심 그리고 타면의 중심에는 탄성체지지모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지지모듈(212)은 탄성체모듈(2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모듈(210)은 복수 개의 수용홀(211)을 통해 판모듈연결모듈(300)에 판모듈고정볼트(400)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지지모듈(212)은 판모듈(210)이 판모듈연결모듈(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부가 삽입된 탄성체모듈(220)이 뒤틀릴 때에도 탄성체모듈(22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의 삽입부(20-2)는 원래의 상태에서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판모듈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간격이 좁아지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원래대로 복원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 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1-1, 1-2: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10: 자바라부
101: 제1연결모듈 110: 거치모듈
12, 12-1: 제2연결모듈
20, 20-1, 20-2: 삽입부
210: 판모듈
211: 수용홀 220: 탄성체모듈
212: 탄성체지지모듈
300: 판모듈연결모듈 121: 연결모듈홀
400: 판모듈고정볼트
A: 스마트폰

Claims (7)

  1. 상단에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모듈(110)이 설치되며 유동 가능한 자바라부(10) 및
    일측면이 자바라부(10)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타측면이 일측면으로부터 하부가 뾰족하게 굴절되어 일측면의 반대 위치에 위치하는 판모듈(210)이 구비된 삽입부(20, 20-1, 20-2)를 포함하고,
    판모듈(210)은,
    타면에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졌을 때, 자바라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홀(211)을 포함하는,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판모듈(210)은,
    일측면과 타측면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 일측면과 타측면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삽입부(20, 20-1, 20-2)는,
    삽입부의 제1내측면에 일측면이 연결되고, 삽입부의 제2내측면에 타측면이 연결되는 탄성체모듈(220)을 포함하는,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탄성체모듈(22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V’형상으로 형성되는,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자바라부(10)는,
    하단에 형성된 제1연결모듈(101)을 포함하고,
    삽입부(20,20-1)는,
    상단에 제1연결모듈(101)과 체결되는 제2연결모듈(12, 12-1)을 포함하는,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삽입부(20, 20-1, 20-2)는,
    외측면에 도포된 우레탄 실리콘(203)을 더 포함하는,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200130435A 2020-10-08 2020-10-08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Expired - Fee Related KR102236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435A KR102236078B1 (ko) 2020-10-08 2020-10-08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200186100A KR102437615B1 (ko) 2020-10-08 2020-12-29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435A KR102236078B1 (ko) 2020-10-08 2020-10-08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100A Division KR102437615B1 (ko) 2020-10-08 2020-12-29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078B1 true KR102236078B1 (ko) 2021-04-05

Family

ID=754616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435A Expired - Fee Related KR102236078B1 (ko) 2020-10-08 2020-10-08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200186100A Active KR102437615B1 (ko) 2020-10-08 2020-12-29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100A Active KR102437615B1 (ko) 2020-10-08 2020-12-29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36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335A (ko) 2021-10-20 2023-04-27 이태현 휴대폰 공중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768U (ko) 2012-07-27 2014-02-05 조형섭 자바라식 전자기기 거치대
KR20190042430A (ko) * 2018-05-04 2019-04-24 김태봉 휴대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768U (ko) 2012-07-27 2014-02-05 조형섭 자바라식 전자기기 거치대
KR20190042430A (ko) * 2018-05-04 2019-04-24 김태봉 휴대단말기 거치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기통신회선 https://www.amazon.com/Universal-Bracket-Flexible-Samsung-Smartphone/dp/B077PYLQLC을 통해 공지된 발명 (2017.11.22.)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335A (ko) 2021-10-20 2023-04-27 이태현 휴대폰 공중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120A (ko) 2022-04-15
KR102437615B1 (ko) 202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L2023002020A1 (es) Modulo de resortes para muebles (divisional).
KR101891667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101875432B1 (ko)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US851455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mechanism
CN201571086U (zh) 便携式放置座
US8939422B2 (en) Support device
WO2021031800A1 (zh) 弹出式卡托、卡座组件、电子设备
KR102236078B1 (ko)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US8636257B2 (en) Support device
US8016252B2 (en) Display support
US7810768B2 (en) Support stan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261216A1 (en) Support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7986512B2 (en) Electronic device frame with support mechanism
US20140293184A1 (en) Display device
KR101753520B1 (ko) 스마트폰 거치대
US20220353357A1 (en) Electronic device
CN105739610A (zh) 一体机
US8059399B2 (en) Display device
TW202046846A (zh) 主機板模組與電子裝置
CN110822222B (zh) 扩充座
US7331554B2 (en) Eyeglasses clamping device
US11445055B1 (en) Holder for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CN204887125U (zh) 一种设有多个连接臂的手机支架
US20230356565A1 (en) Ventilation Device for Air Flowing Inside and Outside a Vehicle
CN111212169B (zh) 便携式终端用配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22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