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5148B1 -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148B1
KR102235148B1 KR1020190168464A KR20190168464A KR102235148B1 KR 102235148 B1 KR102235148 B1 KR 102235148B1 KR 1020190168464 A KR1020190168464 A KR 1020190168464A KR 20190168464 A KR20190168464 A KR 20190168464A KR 102235148 B1 KR102235148 B1 KR 102235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uxiliary port
hole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철
유종완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이규철
유종완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철, 유종완, 김종석 filed Critical 이규철
Priority to KR1020190168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1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으로써,
상기 PHC 파일 상면에 베이스판을 설치하고, 이 베이스판의 중앙에 설치되는 연결판으로 이루어진 체결부; 상기 보조항의 상부 내측에 끼워져 보조항을 조립, 해체에 따른 인양 그리고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양부; 상기 보조항의 하단에 구비된 설치판의 양측에 상기 연결판이 끼워지는 가이드블록을 구비하고, 가이드 블록 사이에 연결판이 끼워지는 간격을 두고 고정블록과 지지판이 설치된 연결유닛; 상기 연결유닛의 설치판 상단에 전동부를 구비하고, 이 전동부와 연결되어 이동하는 결속핀이 상기 고정블록의 축공과 연결판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Description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및 그 방법{Multi-purpose automatic file construc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항을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PHC 파일에 연결하되, 자동으로 보조항과 PHC 파일이 결속되도록 하고, 보조항을 해체할 때에도 결속이 자동 해지되어 시공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도모하며, 나아가 전동부를 이용하여 보조항과 PHC 파일을 결속함으로써 일체화가 가능한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일 시공은 지면 아래로 파일을 시공할 때 천공 작업 후 파일을 자유낙하 방식으로 근입 시공하였으나, 자유 낙하로 인하여 파일 파손되고 파일의 건전도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조파일을 이용하여 PHC 파일을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국내공개특허 10-2019-0073627호의 보조파일 연결 및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은,
하부파일의 상면에 설치되고, 하기 제2고정블록에 대응되도록 상면에 다수의 제1고정블록이 구비된 제1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파일의 상측에 위치되는 보조파일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연결구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구는 상기 보조파일의 저면에 설치되고, 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된 돌출관이 상면에 구비되며, 저면에 다수의 제2고정블록이 구비된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끝단이 관통홀을 통해 상기 돌출관의 내외부로 출입하는 레버유닛과; 상기 돌출관 내에서 상하로 움직이고 상기 레버유닛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측면에 형성된 승강봉이 저면에 일체로 구비된 인양판과; 상기 인양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키가 끝단에 구비된 다수의 링크조립체;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링크 조립체의 동작에 어려움이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국내 등록특허 10-1766166호의 착탈식 보조항을 이용한 PHC 파일의 시공 방법은, 오거 장비를 이용하여 지반에 일정 깊이로 천공홀을 시공하는 단계와; PHC 파일의 강선너트에 고장력 볼트를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PHC 파일측 고장력 볼트에 착탈식 보조항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보조항을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조항과 PHC 파일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인양하는 단계와; 인양된 보조항과 PHC 파일을 천공홀에 근입시켜 놓는 단계와; PHC 파일이 지지지반에 관입되도록 보조항을 경타하는 항타 단계와; 보조항을 회전시켜 PHC 파일에서 보조항의 연결을 분리시킨 후 보조항을 인양하여 PHC 파일에서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여기에 보조항이 제거된 천공홀에 토사로 홀 되메우기를 하는 단계;를 거쳐서 시공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한 발명은, 보조항의 강관 본체 하단에 연결판을 접합하고, 이 연결판에 볼트 체결구가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와 PHC 파일 상면에 구비된 볼트를 맞춰, 볼트 헤드가 체결구에 끼워지도록 한 다음 보조항을 회전시켜 연결 조립 또는 해체하는 것이다. 그러나 연결 과정에서 볼트와 체결구를 맞추는 작업이 쉽지 않고, 보조항을 회전시키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볼트 헤드와 체결구 사이에 간격이 있어 보조항과 PHC 파일이 일체화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보조항과 PHC 파일이 이격 없이 완전히 일체화되도록 하고, 동시에 작업성 및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항의 하단에 구비되는 연결유닛에 가이드블록을 구비하여 PHC 파일 상단에 설치된 체결부가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한 위치에 끼워 맞춤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전동부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보조항과 PHC 파일을 결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며, 연결 작업 중 사고의 위험이 없는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보조항을 이용하여 PHC 파일을 시공하는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으로써, 상기 PHC 파일 상면에 베이스판을 설치하고, 이 베이스판의 중앙에 설치되는 연결판으로 이루어진 체결부; 상기 보조항의 상부 내측에 끼워져 보조항을 조립, 해체에 따른 인양 그리고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양부; 상기 보조항의 하단에 구비된 설치판의 양측에 상기 연결판이 끼워지는 가이드블록을 구비하고, 가이드 블록 사이에 연결판이 끼워지는 간격을 두고 고정블록과 지지판이 설치된 연결유닛; 상기 연결유닛의 설치판 상단에 전동부를 구비하고, 이 전동부와 연결되어 이동하는 결속핀이 상기 고정블록의 축공과 연결판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방법은,
오거 장비를 이용하여 지면을 천공하는 천공홀 시공단계; PHC 파일 상면에 체결부를 설치하고, 보조항 하단에는 체결부에 대응하는 연결유닛을 설치하며, 보조항의 상부 안쪽으로 인양부를 구비하는 시공 준비단계; 크레인으로 상기 보조항을 인양하여 PHC 파일 상부로 이동시키고, 보조항을 하강시켜 연결판이 가이드블록의 가이드면을 따라 끼워지도록 하는 끼움단계: 제어부가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전동부의 동작 신호를 출력하고, 이 전동부가 결속핀을 이동시켜 보조항의 연결유닛과 PHC 파일의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단계; 및 PHC 파일에 연결된 보조항을 인양하고, 상기 천공홀에 근입시킨 다음 경타하는 경타 단계; 그리고 제어부가 연결 해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동부를 동작시켜 결속핀을 복원시키는 해체 단계로 구성되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으로써, 보조항의 상부 내측에 인양부를 구비하여 보조항을 운반, 조립,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며, 하단에 설치된 연결유닛에 가이드블록을 구비하여 PHC 파일 상단에 구비되는 체결부가 정확한 위치에 조립되도록 함과 아울러 끼움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항에는 전동부와 이 전동부와 연결되는 결속핀을 구비하여 보조항과 PHC 파일을 자동으로 연결하고 연결 상태가 해지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에 결속핀이 삽입 또는 빠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 더하여 본 발명은 결속핀이 전동부의 힘으로 이동함으로써, 보조항과 PHC 파일을 이격없이 일체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시간을 단축하고 보보항 연결에 따른 작업자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시공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양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결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블록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시스템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시공 시스템의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시공 시스템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시공 시스템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블록도.
본 발명을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중복되거나 발명의 의미를 한정적으로 해석되게 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상에 비록 단수적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국어 사용에 있어서 단수/복수를 명확하게 구분 짓지 않고 사용되는 환경과 당해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용어 사용 환경에 비추어, 발명의 개념에 반하지 않고 해석상 모순되거나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었거나 기재될 수 있는 '포함한다', '갖는다', '구비한다',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구성요소 또는 그들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시공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양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결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블록의 요부확대 사시도를 도시한 거이다.
또한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시스템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시공 시스템의 일측면도이며, 도 7과 도 8은 본 발명 시공 시스템이 연결된 상태와 연결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은 토목 작업, 건축 구조물 시공 등 다양한 용도 및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자동으로 보조항과 PHC 파일을 연결 또는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오거 장비 등을 이용하여 지면을 천공하는 천공홀 시공단계와, PHC 파일 상면에 체결부를 설치하고, 보조항의 하단에는 체결부에 대응하는 연결유닛을 설치하며, 보조항의 상부 안쪽으로 인양부를 설치하는 준비단계와, 크레인으로 상기 보조항을 인양하여 PHC 파일 상부로 이동시키고, 보조항을 하강시켜 연결판이 가이드블록의 가이드면을 따라 끼워지도록 하는 끼움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끼움 단계 후 작업자 또는 별도로 마련된 컨트롤 타워에서 리모컨 등을 조작하면 제어부가 이를 수신하여 전동부 동작 신호를 출력하고, 전동부는 결속핀을 이동시켜 보조항의 연결유닛과 PHC 파일의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단계로 구성되며, PHC 파일에 연결된 보조항을 인양하고, 상기 천공홀에 근입시킨 다음 경타하는 항타 단계 그리고, 작업자 또는 컨트롤 타워로부터 수신된 해체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부를 동작시켜 결속핀을 복원시키는 해체 단계로 이루어지며, 작업자는 크레인을 가동하여 보조항을 인양하는 것으로 작업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시공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시공 시스템(10)은, 첨부된 도면과 같이, PHC 파일(20) 상면에 설치되는 체결부(40)와, 보조항(100)의 상부 내측에 끼워져 보조항(100)의 조립, 해체에 따른 인양 그리고 운반을 가능하게 하는 인양부(120)와, 상기 보조항의 하단에서 설치되는 연결유닛(140)과, 상기 연결유닛(140)의 설치판 상단에 전동부로 이루어진 동작부(160)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체결부(40)는, 상기 PHC 파일의 상면에 용접 또는 볼트 조임 방식 또는 다른 여러 방식으로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41)과, 이 베이스판(41)의 상면 중앙에 세워지는 연결판(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판(42)의 양측면은 상단에서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43)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가이드 블록(142)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하고, 연결판(42)에는 후술하는 결속핀(164)이 끼워지는 삽입공(4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삽입공(44)은 도면과 같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삽입공은 동작부(160)의 갯수에 더 2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42)은 전면 및 후면 각각에 베이스판(41)에서 설치된 보강리브(47)에 의해 지지되고, 이 베이스판(41)에는 연결판(42)을 중심으로 전후방 각각에 통기공(45)이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통기공(45)은 시공 시 공기가 빠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막음판(46)에 의해 덮어져 내부로 토사, 시멘트 밀크 또는 각종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막음판(46)은 일방향성 밸브와 같이 일부는 베이스판(41)에 접착 또는 고착된 상태로, 이 접착부위를 기준으로 시공 시 천공홀 내부의 공기가 빠질때는 공기압에 의해 들려지면서 공기가 빠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조항(100)은 상부에 인양부(120)가 구비되고, 하단에 상기 체결부(40)와 연결되는 연결유닛(140)이 설치되며, 이 연결유닛에 전동부(160)가 설치되는 것이다.
먼저 상기 인양부(120)는, 보조항(100)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끼워져 승강하는 플레이트(121)와, 이 플레이트(121)의 상면 중앙에 세워지는 승하강판(122)과,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통기공(45)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멍(124)이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플레이트(121)는 보조항의 내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 즉 원형판으로 구성되어 보조항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승하강판(122)에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걸이공(123)이 형성되어, 이 걸이공을 고리 등을 끼워 들어 올림으로써, 운반 및 조립,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구멍(124)의 상면에는 상기한 막음판(46)과 구멍을 개방 또는 막는 개폐판(125)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막음판과 개폐판은 고무재로 구성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 또는 볼트 또는 다른 여러 수단으로 일부분이 고정되는 것이다.
도면 부호 126은 보강리브로써, 상기 승하강판을 지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항(100)의 하부는 살을 두텁게 하여 보강하고 이 보강부(100a)의 하단 내측면에는 고무패킹(102)이 구비되어 시공 후 PHC 파일(20)에 밀착되어 일체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 보조항의 내부에는 상하부로 걸림턱(104)(106)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상부 걸림턱(104)은 보조항을 들어올렸을 때 인양부(120)의 플레이트(121)가 걸려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고, 하부 걸림턱(106)은 시공 후 상기 플레이트가 더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안착되는 걸림턱이다.
즉 본 발명의 인양부(120)는 상하부 걸림턱 사이에서 상하 이동하며, 상부 및 하부 걸림턱 사이에 간격을 두는 것은, 공간을 확보하여 승하강판에 걸리는 인양 와이어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유닛(140)은 보조항(100) 하단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 설치되는 설치판(141)과, 이 설치판(141)의 주연부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판(141)에 맞대어지는 하중분산부(147)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 하중분산부(147)는 하중을 분산시키며, 경타시 전달되는 하중을 베이스판 즉 PHC 파일에 전달하고, 아울러 상기 보조항(100)이 베이스판(141)에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설치판(141)의 양측 가장 자리에는 가이드블록(142)이 각각 설치되고, 이 가이드블록 안쪽면 다시 말해 서로 마주는 면에 경사진 가이드면(143)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가이드면(143)은 상기한 연결판(42)의 경사면(43)과 동일한 각도로 구성되어 연결판(42)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양측 가이드블록(142)의 안쪽으로 도면과 같이 고정블록(146)과 지지판(145)이 연결판(42)이 끼워질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고정블록과 지지판 각각에는 결속핀(164)이 끼워지는 축공(144)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연결판(42)은 지지판과 고정블록 사이에 끼워지고, 연결판의 양측 경사면(43)은 가이드블록의 가이드면(143)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속핀(164)이 이동하면 고정블록(142)의 축공(144)과 연결판(42)의 삽입공(44) 그리고 다시 지지판에 형성된 축공(144)을 관통하여 결속시키는 것이다.
도면 부호 150은 확인구멍이다, 작업자는 이 확인구멍을 통해 체결핀이 이동하여 체결이 이루어졌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한편, 구멍에 지레대를 끼워 연결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부(160)는 실린더(162)와, 이 실린더(162)에 연결되는 결속핀(164) 그리고, 리모컨(172)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더하여 본 발명은 통신부(166)와 제어부(168), 조작부(170) 그리고 표시부(174)가 추가적으로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62)는 전자석 또는 공압, 유압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터의 회전축에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고, 이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직선 운동을 하는 랙 기어를 구비하며, 이 랙 기어에 상기 결속핀(164)이 연결되어 이동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외에 다른 일반적인 전동부를 이용하는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속핀(164)은 "ㄷ" 형성으로, 설치판(141)에 형성된 장공(148)을 따라 이동하며, "ㄷ" 형태 중 상부는 실린더 등의 전동부(160)와 연결되고, 하부측 결속핀으로 전동부의 동작에 이동하는 것이다.
하나의 실시 예로 본 발명은 블루투스 또는 RF 통신과 같은 단거리 무선통신을 설치하고, 제어부(168)와 조작부(170) 그리고 표시부(17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72)는 터치 패널, PC 또는 별도로 설치되는 컨트롤 타워에서 조작할 수 있는 메인 PC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174)는 보조항과, PHC 파일이 연결되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보조항 내부에 카메라를 삽입하여 연결 및 연결해제 상태가 모니터에 중계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지지판(145)에 센서를 구비하고 결속핀(164)이 고정블록(15)과 연결판(42)을 관통하여 지지판의 센서까지 도달하면, 이 센서가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가 이를 수신하여 결속핀이 완전이 체결되었음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시공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 과정은 먼저 준비 단계이다.
오거 장비 등을 이용하여 지면을 천공하는 천공홀 시공단계와, PHC 파일(20) 상면에 체결부(40)를 설치하되, 용접 또는 여러 고정 방식으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보조항(100)의 하단에는 체결부(40)에 대응하는 연결유닛(140)과 전동부(160)를 설치하며, 보조항(100)의 상부 안쪽으로 인양부(12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인양부(120)는 하부 걸림턱(106)을 설치한 상태에서 인양부를 끼우고, 상부에 상부 걸림턱(104)을 설치하는 것이다.
다음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보조항(100)을 인양하여 PHC 파일 상부로 운반하도록 하되, 이때 인양부(120)의 걸이공(123)에는 인양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이다.
상기 보조항(100)을 하강시켜 가이드블록(142)의 가이드면(143) 사이에, 연결판(42)이 끼워지도록 하고, 연결판은 가이드면(143)을 따라 이동하며 고정블록(146)과 지지판(145) 사이에 끼워진다.
한편, 작업자는 확인구멍(150)에 지레대를 끼워 보조항의 위치를 조절하며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끼움 단계 후 작업자는 리모컨(172)을 조작하여 실린더(162)의 동작 신호를 출력하거나, 별도로 마련된 조작부(170)를 조작하여 전동부의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리모컨 또는 조작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68)는 상기 실린더(162)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실린더(162)의 피스톤이 이동하며 결속핀(164)이 고정블록(146)과 연결판(42) 그리고 지지판(145)으로 끼워지도록 하는 연결단계가 이루어진다.
다음 PHC 파일(20)에 연결된 보조항(100)을 다시 인양하고, 상기 천공홀에 근입시키고, 경타를 시행하는 경타 단계로 구성된다.
경타 작업 후 작업자는 리모컨(172) 또는 조작부(174)를 조작하여 연결 해제 신호가 출력되고, 제어부(168)가 이를 수신하여 실린더(162)를 동작시켜 결속핀(164)을 복원시키는 해체 단계와, 크레인 등을 가동하여 보조항(100)을 인양하는 것으로 작업을 마무리하는 마무리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시공방법은 하나의 실 예이다. 현장 환경에 따라서는 더 세분화되고, 새로운 과정은 더 추가될 수 있으며, 일부 과정이 바뀌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시공 시스템 20 : PHC 파일
40 : 체결부 42 : 연결판
100 : 보조항 120 : 인양부
140 : 연결유닛 142 : 가이드블록
143 : 가이드면 160 : 전동부
162 : 실린더

Claims (8)

  1. 보조항을 이용하여 PHC 파일을 시공하는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으로써,
    상기 PHC 파일 상면에 베이스판을 설치하고, 이 베이스판의 중앙에 설치되는 연결판으로 이루어진 체결부;
    상기 보조항의 상부 내측에 끼워지며, 보조항의 조립, 해체에 따른 인양 그리고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양부;
    상기 보조항의 하단에 설치판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판의 저면 양측에 가이드면을 따라 상기 연결판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블록이 구비되며, 이 가이드 블록의 안쪽으로 고정 블록과 지지판을 구비하여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판이 이들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는 연결유닛;
    상기 연결유닛의 설치판 상면에 위치하는 전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전동부와 연결되어 이동하는 결속핀이 상기 고정 블록의 축공과 연결판의 삽입공을 관통하는 것으로 PHC 파일과 보조항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연결판의 양측면이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의 안쪽에 형성된 가이드면은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으로 이루어져 연결판의 경사면이 가이드면을 따라 끼워지도록 하며,
    상기 연결판의 양측에 통기공이 형성되고 이 통기공의 상면에 막음판이 덮어지며,
    상기 막음판은 베이스판에 일부가 접착되어 이 접착부위를 기준으로 시공 시 천공홀 및 PHC 파일 내부의 공기가 빠질 때는 공기압에 의해 들려지면서 공기가 통기공으로 빠질 수 있도록 하고, 통기공에 덮어진 상태에서는 PHC 파일 내부로 토사, 시멘트 밀크 또는 각종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보조항 내부에 간격을 두고 상부 및 하부 걸림턱이 설치되고, 상기 인양부는 상부 및 하부 걸림턱 사이에서 상하 이동하되, 인양 시에는 상부 걸림턱에 걸려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고, 시공 전후에는 하부 걸림턱에 걸려 더 이상 내려가지 않으며, 인양부가 하부 걸림턱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보조항 내부로 인양 와이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고,
    상기 인양부는 보조항의 내경보다 작은 승하강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보조항 내부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승하강플레이트에 인양 와이어가 걸어지는 승하강판이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판 양측으로 시공시 보조항 내부의 공기가 빠지도록 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 덮어져 이물질이 보조항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일부만 접착되어 이 접착부위를 기준으로 들려지면서 공기가 빠질 수 있도록 하는 막음판이 갖추어진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유닛의 설치판에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하중분산부가 구비되고, 이 하중분산부의 양측으로 상기 가이드 블록이 위치하며,
    상기 전동부는 실린더로 구성되고, 이 실린더는 설치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이 실린더와 연결되어 이동하는 결속핀은 "ㄷ"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ㄷ" 형상의 상기 결속핀은 설치판에 형성된 장공을 따라 이동하며, "ㄷ" 형상 중 상부는 실린더와 연결되고, 하부측 결속핀이 연결유닛의 축공과 연결판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연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과 지지판은 적어도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배치되며, 상기 전동부는 고정블록과 지지판과 동일한 갯수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는 실린더 또는 모터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의 실린더는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되,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의 리모컨 또는 조작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실린더를 동작시켜 보조항과 PHC 파일을 연결 또는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항의 하부에 보강부를 구비하되, 이 보강부는 보조항의 두께보다 두텁게 형성되고, 내측 하단부에 파손을 방지하며, 기밀을 유지시키는 패킹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68464A 2019-12-17 2019-12-17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ctive KR102235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464A KR102235148B1 (ko) 2019-12-17 2019-12-17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464A KR102235148B1 (ko) 2019-12-17 2019-12-17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148B1 true KR102235148B1 (ko) 2021-04-05

Family

ID=7546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464A Active KR102235148B1 (ko) 2019-12-17 2019-12-17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858B1 (ko) * 2023-08-28 2024-04-03 주식회사 특허기술하림엔지니어링 파일 시공용 안전 보조항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0998A (ja) * 1999-04-08 2000-10-17 Nippon Steel Corp 鋼管杭の接合構造と接合方法
JP2002138462A (ja) * 2000-11-01 2002-05-14 Seiko Kogyo Kk 応力材建込み装置及び応力材の設置工法
KR200480999Y1 (ko) * 2014-09-26 2016-08-02 문형록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 및 인발용 커플러
KR101766166B1 (ko) * 2016-12-09 2017-08-10 권정희 착탈식 보조항을 이용한 phc 파일의 시공 방법
KR102016008B1 (ko) * 2019-04-15 2019-08-29 (주)케이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피에이치씨 파일 이음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0998A (ja) * 1999-04-08 2000-10-17 Nippon Steel Corp 鋼管杭の接合構造と接合方法
JP2002138462A (ja) * 2000-11-01 2002-05-14 Seiko Kogyo Kk 応力材建込み装置及び応力材の設置工法
KR200480999Y1 (ko) * 2014-09-26 2016-08-02 문형록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 및 인발용 커플러
KR101766166B1 (ko) * 2016-12-09 2017-08-10 권정희 착탈식 보조항을 이용한 phc 파일의 시공 방법
KR102016008B1 (ko) * 2019-04-15 2019-08-29 (주)케이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피에이치씨 파일 이음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858B1 (ko) * 2023-08-28 2024-04-03 주식회사 특허기술하림엔지니어링 파일 시공용 안전 보조항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1539B2 (en) Modular drilling rig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1628264B1 (ko)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20001663A (ko) 풍력 터빈의 탑 벽부를 리프팅하는 장치 및 풍력 터빈의 탑 벽부를 리프팅하는 방법
KR102029907B1 (ko) 시스템 동바리
KR102235148B1 (ko)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40423B1 (ko) 지하 콘크리트 수직구조물 시공방법
US103781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installation of caissons
US20120308308A1 (en) Foundation support installer
KR100538757B1 (ko) 굴삭기와 연계한 흄관 매설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662046B1 (en) Boom-mountable material handler
KR100954499B1 (ko) 콘크리트관 이송 간이 호크의 연결장치
KR101645013B1 (ko)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JP2009257070A (ja) ライナープレート及び深礎工法
KR102156813B1 (ko) 링크수단이 구비된 굴삭기
KR20190073627A (ko) 보조파일 연결 및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
KR20160003469A (ko) 복합 말뚝 연결 장치
KR20120134209A (ko) 관로 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공법
JP6346573B2 (ja) 吊り具
KR101162491B1 (ko) 맨홀 성형 장치
KR102295227B1 (ko) 유압식 단면 슬라이딩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의 합벽 시공방법
JP6940081B2 (ja) ロック構造、ロック構造を構築する方法、及び、ロック構造を撤去する方法
KR20140116695A (ko) 지중 압입장치가 구비된 지하구조물
AU2019216640B2 (en) Assist cylinder for negative angle drilling mast
US20170145754A1 (en) Drill basket
KR100930001B1 (ko) 상하수도 정비를 위한 토압 지지용 버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