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5063B1 - 청금석 또는 남동석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청금석 또는 남동석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063B1
KR102235063B1 KR1020190137761A KR20190137761A KR102235063B1 KR 102235063 B1 KR102235063 B1 KR 102235063B1 KR 1020190137761 A KR1020190137761 A KR 1020190137761A KR 20190137761 A KR20190137761 A KR 20190137761A KR 102235063 B1 KR102235063 B1 KR 102235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 light
powder
cosmetic composition
lapis lazuli
bloc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750A (ko
Inventor
김윤규
박명례
임효선
곽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생명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생명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생명과학연구소
Publication of KR2020010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0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금석 또는 남동석 분말을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금석 또는 남동석 분말을 함유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블루 라이트 영역대의 빛을 반사시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청금석 또는 남동석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using Lapis lazuli or Azulite powder for Blue Light Interception}
본 발명은 청금석 또는 남동석 분말을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빛'이라고 말하는 것은 각종 전자파 중에서도,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영역대인 가시광선(380 ~ 780nm)을 의미한다. 그 중 블루 라이트(Blue light)는 380 ~ 500nm 파장의 빛으로 사람이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즉, 망막까지 도달하는 빛 중에서 가장 파장이 짧고 강한 에너지를 갖고 있는 빛을 의미한다.
자외선 이외의 다른 파장의 빛(예컨대 가시광선)이 인간의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으나, 최근 블루 라이트가 피부에 미치는 유해성에 대해 조사되고 있다. 발표된 논문(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80, No. 22, Issue of June 3, pp.21061-21066, 2005 "Blue Light Induces Mitochondrial DNA Damage and Free Radical Production in Epithelial Cell")에 따르면, 블루 라이트가 상피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손상시키고 활성산소(ROS)를 생성하여, 세포 기능장애, 세포 노화 및 종양 발생을 야기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그 외의 논문(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10) 130, 259 ~ 269 "Blue-Light Irradiation Regulates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Human Skin Cells")에서는 412 ~ 453nm 파장의 빛이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s)와 피부유래 내피세포(Skin-derived endothelial cell)의 증식 및 분화를 규제한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그 외의 또 다른 논문(PLoS One. 2013 Sep 17;8(9)e73678 "Violet Light Down-Regulates the Expression of Specific Differentiation Markers through Rhodopsin in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에서는 블루 라이트 영역대 중에서 바이올렛 라이트(410nm)가 피부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s)에서 발현되는 광수용체 중 로돕신의 mRNA를 과발현시켜, CREB(cAMP responsive elementbinding protein)의 인산화를 감소시키고, 특정 각질 세포의 분화 마커인 Keratin-10(K10)과 Keratin-1(K1)의 mRNA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게 되어, 인간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s)의 분화를 감소시키며,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을 지연시키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블루 라이트는 상기 보고된 피부에의 영향 이외에도, 수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 (Melatonin)의 분비량을 억제하고, 각성을 유도하는 세로토닌(Serotonin)의 분비량을 증가시켜 수면장애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망막까지 곧바로 도달하여 멜라닌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피부가 칙칙해지고, 기미가 생기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블루 라이트는 현대인들의 필수품인 스마트폰, 노트북, 모니터 등의 LED 디스플레이 및 LED 조명에 특히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 사회의 생활환경에서는 불가피하게 접촉할 수밖에 없다. 이에 이를 차단하고자 하는 시도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여러 시도 중 청금석 및 남동석 분말의 블루 라이트 차단 효과에 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와 관련하여 발표된 논문(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80, No. 22, Issue of June 3, pp.21061-21066, 2005 "Blue Light Induces Mitochondrial DNA Damage and Free Radical Production in Epithelial Cell")에 따르면, 블루 라이트가 상피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손상시키고 활성산소(ROS)를 생성하여, 세포 기능장애, 세포 노화 및 종양 발생을 야기한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블루 라이트를 차단하는 화장품의 소재로, 천연 재료를 활용하여 피부에 적용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실질적으로 블루 라이트 차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청금석 혹은 남동석 분말이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블루 라이트 차단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최초로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지원하는 광역협력권산업 육성사업(Encouragement Program for The Industries of Economic Cooperation Region)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청금석 및 남동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Blue light)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분말을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는 청금석 및 남동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Blue light)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청금석”은 황산염 및 염화물이 함유된 텍토 규산염 광물(tectosilicate mineral)이다. 다이아몬드와 같은 결정구조를 가지는 등축정계의 결정형을 가지며, 모스 경도는 5.0 ∼ 5.5, 비중은 2.4이다. 청금석은 진한 파란색에서 군청색, 담청색을 보이며, 이는 청금석에 포함된 황 성분에 의한 것이다. 육안으로 관찰하면 반투명 혹은 불투명한 유리광택을 가지고, 가열하면 녹색으로 변하며, 더 가열하여 결정이 녹으면 무색의 유리가 된다.
반면, 청금석의 블루 라이트 차단 기능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었으며, 본 발명자에 의해 규명되었다.
상기 청금석은 분말의 입자가 10nm ~ 100μm인 것일 수 있으며, 전체 화장료 중량 대비 0.01 ~ 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남동석”은 주요 구리광석의 하나이다. 이의 이름은 아랍어의 ‘청색’을 의미하는 azure에서 기원되었으며, 비중은 3.83 정도이며, 모스 경도 3.5 ~ 4.0 범위에 오는 비교적 무른 광물에 속한다. 또한, 남동석은 오래전부터 청색의 안료로 사용해왔으며, 고대 이집트에서 눈가의 화장을 하는데 이 남동석을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다. 남동석은 청색을 낸다는 이유로 이 돌은 마운틴 블루(Mountain blue)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반면, 남동석의 블루 라이트 차단 기능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었으며, 본 발명자에 의해 규명되었다.
상기 청금석은 분말의 입자가 10nm ~ 100μm인 것일 수 있으며, 전체 화장료 중량 대비 0.01 ~ 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분말”은 가루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말은 상기 광물을 분쇄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블루 라이트”는 청색광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파장이 380 ~ 500nm 영역의 가시광선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청금석 및 남동석 분말의 블루 라이트 반사율을 측정하고, 상기 분말의 인체 피부 위에서의 블루 라이트 반사율을 측정하여, 블루 라이트를 차단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분말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의 블루 라이트 반사율을 측정하여 효과적으로 블루 라이트를 차단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빛 투과율을 대조를 통해 본 발명의 분말이 기존에 알려진 옥 분말보다 더 효과적으로 블루 라이트를 차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써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용어,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화 제형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상기 가용화 제형으로는 유연화장수 등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 포함 클렌징, 오일, 앰플,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저자극성 화장료 피부 보호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세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크림, 에센스, 스트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개선을 위한 기능성 성분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 개선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개선, 피부 탄력 개선, 안면 처짐 개선,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윤기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다크써클 개선 및 피부 각질 개선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을 위한 기능성 성분이 추가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어, “기능성”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분말을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분말”, “블루 라이트” 및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하여 피부의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이 블루 라이트 차단 효과가 있는 특성상,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피부에 도포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매일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해도 좋고, 1일당 투여 횟수는 1회 또는 2 ~ 3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가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다른 물질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는 피부 주름이 발생하였거나 피부 탄력이 감소한,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금석 또는 남동석 분말을 함유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블루 라이트 영역대의 빛을 반사시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청금석 분말의 블루 라이트 반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남동석 분말의 블루 라이트 반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청금석 및 남동석 분말의 인체 피부 위에서의 블루 라이트 반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청금석 분말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분말 함유별 블루 라이트 반사율을 나타내느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남동석 분말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분말 함유별 블루 라이트 반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옥 분말과 본 발명의 청금석 분말의 300 내지 500nm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청금석 및 남동석 분말의 반사율 측정
본 발명의 청금석 및 남동석 분말의 블루 라이트 반사율(Reflectance, %R)을 측정하기 위하여, 색차계(colormate)를 통해 반사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청금석 분말이 블루 라이트 영역대 (380 ~ 500nm)의 반사율이 특이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남동석 분말도 상기 블루 라이트 영역대의 반사율이 특이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청금석 및 남동석 분말이 블루 라이트 영역대의 빛을 특이적으로 높게 차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인체 피부에서의 반사율 측정
청금석 분말과 남동석 분말의 인체 피부 위에서의 블루 라이트 반사율을 측정하기 위해, 인체 피부 위에서의 블루 라이트 차단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분말을 1mg/cm²씩 도포하고, 분말이 도포된 인체 피부 위에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로 블루 라이트 영액대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도 3).
그 결과,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청금석 분말과 남동석 분말을 도포한 군에서, 도포하지 않은 군에 비해 블루 라이트 반사율이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청금석 및 남동석 분말이 인체 피부 위에서도 블루 라이트 영역대의 빛을 높게 차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청금석 또는 남동석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3-1: 청금석 또는 남동석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청금석 또는 남동석 분말이 블루 라이트 차단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는바,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블루 라이트 차단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과 같이, 본 발명의 청금석 또는 남동석 분말을 전체 중량 기준 각각 0%, 0.05%, 0.25% 및 1% 함유하도록 하여 제형화하였으며, 분말을 넣지 않은 군을 대조군1, 청금석 분말이 0.05%, 0.25% 및 1% 함유된 군을 각각 실험군1, 실험군2 및 실험군3으로 명명하였으며, 남동석 분말이 0.05%, 0.25% 및 1% 함유된 군을 각각 실험군4, 실험군5 및 실험군6으로 명명하였다(표 1).
성분명(INCI명) 중량%
대조군1 실험군1 실험군2 실험군3 실험군4 실험군5 실험군6
Cyclomethicone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Glycerin 5.00 5.00 5.00 5.00 5.00 5.00 5.00
Butylene Glycol 5.00 5.00 5.00 5.00 5.00 5.00 5.00
Glycereth-26 3.00 3.00 3.00 3.00 3.00 3.00 3.00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3.00 3.00 3.00 3.00 3.00 3.00 3.00
Squalane 2.00 2.00 2.00 2.00 2.00 2.00 2.00
XanthanGum 0.10 0.10 0.10 0.10 0.10 0.10 0.10
SodiumHyaluronate 0.10 0.10 0.10 0.10 0.10 0.10 0.10
Hydroxyacetophenone 0.50 0.50 0.50 0.50 0.50 0.50 0.50
1,2-Hexanediol 0.50 0.50 0.50 0.50 0.50 0.50 0.50
Lapis Lazuli(청금석) - 0.05 0.25 1.00 - - -
Azurite(남동석) - - - - 0.05 0.25 1.00
Water 60.80 60.75 60.55 59.80 60.75 60.55 59.80
합계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실시예 3-2: 청금석 또는 남동석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반사율 측정
상기 실시예 3-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블루 라이트 차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의 블루 라이트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반사율 측정 방법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그 결과,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대조군 1과 비교하여 청금석 분말이 함유된 실험군1 내지 3에서 높은 블루 라이트 반사율을 확인하였으며, 청금석 분말의 함량이 많을수록 블루 라이트 반사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대조군 1과 비교하여, 남동석 분말이 함유된 실험군4 내지 6에서 높은 블루 라이트 반사율을 확인하였으며, 남동석 분말의 함량이 많을수록 블루 라이트 반사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청금석 및 남동석 분말이 함유된 화장료가 효과적으로 블루 라이트를 차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옥 분말과의 투과도 비교
본 발명의 청금석 분말의 차단율과 종래에 알려진 옥 분말의 블루 라이트 차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두 분말의 블루 라이트 투과도를 비교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금석 분말 및 옥 분말을 0.001%의 물에 분산하여 블루 라이트를 포함하는 300 ~ 500 nm 영역의 투과도(%T)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청금석 분말이 옥 분말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의 블루 라이트를 포함하는 가시광선 영역대의 투과율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옥 분말보다 본 발명의 청금석 분말이 보다 효과적으로 블루 라이트를 차단하는 것을 확인하여,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청금석(Lapis lazuli) 및 남동석(Azuli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장이 380 내지 500nm 영역의 가시광선인 블루 라이트(Blue light)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분말은 입자의 입경이 1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금석 분말은 전체 화장료 중량 대비 0.01 내지 5.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남동석 분말은 전체 화장료 중량 대비 0.01 내지 5.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세럼, 에멀젼, 에센스, 파우더,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마스크팩, 시트팩, 수면팩, 워시오프팩, 필오프팩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개선을 위한 기능성 성분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 방법.
KR1020190137761A 2019-03-08 2019-10-31 청금석 또는 남동석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235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129 2019-03-08
KR20190027129 2019-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750A KR20200107750A (ko) 2020-09-16
KR102235063B1 true KR102235063B1 (ko) 2021-04-02

Family

ID=7266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761A Active KR102235063B1 (ko) 2019-03-08 2019-10-31 청금석 또는 남동석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0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943B1 (ko) * 2005-09-22 2013-11-14 뷜가리 빠르펭 에스아 보석에서 유래하는 광물성 농축물을 기초로 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943B1 (ko) * 2005-09-22 2013-11-14 뷜가리 빠르펭 에스아 보석에서 유래하는 광물성 농축물을 기초로 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alytical Methods, Vol.6, pp.1488-1500, 20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750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9750C (en) Skin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339096B1 (ko) 과색소침착 피부용 피부 미백 조성물
US10172768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jade powder for blocking blue light
KR20080055984A (ko) 인산화당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KR102022368B1 (ko) 주름 개선 및 리프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08234A (ko)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CN105377230B (zh) 改善老化皮肤的外观的方法
KR20130088912A (ko) 텐저레틴 및 egcg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2940590A (zh) 护肤组合物及应用其的纸巾
KR102192026B1 (ko) 천연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9512A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2798B1 (ko) 자외선 유도된 지질 과산화를 감소시키는 상승작용 조성물, 제형 및 방법
KR100787783B1 (ko)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5292A (ko) 덩굴차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지페노사이드를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발모제 조성물
KR102235063B1 (ko) 청금석 또는 남동석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8078B1 (ko) 산삼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20210093498A (ko) 타나카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61738B1 (ko) 진센노사이드 알에이치2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777587B1 (ko) 유해 가시광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7737A (ko) 피부 미백,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703532B1 (ko) 디하이드로에보디아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8081A (ko) 아토피 등 극건성 피부의 보습과 진정, 피부장벽강화 효과를 지니는 흰민들레 태좌 배양 추출물 함유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5695B1 (ko) 진센노사이드 알지3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CN107157789A (zh) 隔离有害射线用化妆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