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236B1 - Plastic lamin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lastic molded product obtained therefrom - Google Patents
Plastic lamin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lastic molded product obtained therefro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3236B1 KR102233236B1 KR1020200029273A KR20200029273A KR102233236B1 KR 102233236 B1 KR102233236 B1 KR 102233236B1 KR 1020200029273 A KR1020200029273 A KR 1020200029273A KR 20200029273 A KR20200029273 A KR 20200029273A KR 102233236 B1 KR102233236 B1 KR 1022332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hard coating
- plastic laminate
- sheet
- thickn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650 laminated plas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5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3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3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UHESRSKEBRADOO-UHFFFAOYSA-N ethyl carbamate;prop-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OC(N)=O UHESRSKEBRADO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1123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Polymers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519 antifoul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6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KPUWHANPEXNPJT-UHFFFAOYSA-N disiloxane Chemical class [SiH3]O[SiH3] KPUWHANPEXNPJ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3373 anti-foul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668 complex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6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6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3
- 238000001723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description 27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QNODIIQQMGDSEF-UHFFFAOYSA-N (1-hydroxycyclohexyl)-phenylm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1(O)CCCCC1 QNODIIQQMGDSE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840 adhesiv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6223 adhesiv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089 Cyclic olefin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CERQOIWHTDAKMF-UHFFFAOYSA-N Methacr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48 UV Light-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92 cor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KCTAWXVAICEBSD-UHFFFAOYSA-N prop-2-enoyloxy prop-2-eneperoxoate Chemical compound C=CC(=O)OOOC(=O)C=C KCTAWXVAICEB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30185605 Bisphen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12266 Poly(ether sulfone) PE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IISBACLAFKSPIT-UHFFFAOYSA-N bisphenol A Chemical compound C=1C=C(O)C=CC=1C(C)(C)C1=CC=C(O)C=C1 IISBACLAFKSP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32 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38 cationic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48 polyfunctional cura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6 radical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56 thermo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DHKHKXVYLBGOIT-UHFFFAOYSA-N 1,1-Diethoxyethane Chemical compound CCOC(C)OCC DHKHKXVYLBGO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OWKCMXCCJGMRR-UHFFFAOYSA-N Aziridine Chemical compound C1CN1 NOWKCMXCCJGMR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OZDORDSKQWLSK-UHFFFAOYSA-N C1(=CC=CC=C1)C(C(=O)O)=O.C(C=O)(=O)OC1=CC=CC=C1 Chemical compound C1(=CC=CC=C1)C(C(=O)O)=O.C(C=O)(=O)OC1=CC=CC=C1 VOZDORDSKQWL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07 Urea-formaldehy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54 acetal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647 acryloyl group Chemical group O=C([*])C([H])=C([H])[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723 ali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44 aliphatic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80 alky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47 alk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80 amino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66 anti-fingerpri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WCCWEUUXYIKHB-UHFFFAOYSA-N benzophe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1=CC=CC=C1 RWCCWEUUXYIKH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65 benzophen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1 cellulos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050 ester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86 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RTZKZFJDLAIYFH-UHFFFAOYSA-N ether Substances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48 isocya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13 isocya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76 ket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1 light stabilis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DSHMPZPIAZGSV-UHFFFAOYSA-N mel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NC(N)=N1 JDSHMPZPIAZG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466 oxira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AUONHKJOIZSQGR-UHFFFAOYSA-N oxophosphane Chemical compound P=O AUONHKJOIZSQG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22 polyamid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68 polycarbonat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31 polycarbonat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06 polyester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3716 polyethyl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9719 polyimid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8 polyisocya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56 polyisocya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77 poly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0 polystyr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CTJRYGLPAFRMS-UHFFFAOYSA-N prop-2-enoic acid;1,3,5-triazine-2,4,6-triamine Chemical compound OC(=O)C=C.NC1=NC(N)=NC(N)=N1 QCTJRYGLPAFRM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YRHRIQCWCFGUEQ-UHFFFAOYSA-N thioxanthen-9-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3=CC=CC=C3SC2=C1 YRHRIQCWCFGU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67 vinyl 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0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fouling ag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라스틱 적층체, 이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전면이나 후면 커버 또는 전면 보호 필름으로 적용되는 글래스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플라스틱 소재의 커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tic laminate,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plastic molded body.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at can replace a glass material applied as a front or rear cover or a front protective film of a mobile device.
모바일 기기의 전면이나 후면 커버 또는 전면 보호 필름에는 외관, 치수 안정성 및 광학적 특성 면에서 장점을 갖는 글래스 소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글래스 소재의 전면이나 후면 커버 또는 전면 보호 필름은 외부 충격으로 인해 부서져 비산되기 쉽다. 또한, 최근 모바일 기기의 대면적화 경향에 따라 글래스 소재의 커버를 사용할 경우 경량화가 어렵고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Glass materials having advantages in appearance, dimensional stability, and optical properties are generally used for the front or rear cover or front protective film of a mobile device.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or rear cover or front protective film made of a glass material used in a mobile device is likely to be broken and scattered due to an external impact.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trend toward large-area mobile devices, when using a cover made of a glass material, it is difficult to reduce weight and increase cost.
이에 따라 글래스 소재를 대체하여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한 커버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 소재는 경량이면서 내충격성이 뛰어나고 부서지더라도 비산되지 않으며 원가가 낮은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a cover using a plastic material in place of the glass material. In particular, plastic materials are lightweight, have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re not scattered even if they are broken, and have low cost.
한편, 전면이나 후면 커버 또는 전면 보호 필름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모바일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이 요구되고, 이를 위해 플라스틱 기재층의 외부 노출면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여 표면 경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의 커버에는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되므로, 기기 내부에 배치되는 하드코팅층에 몰드 성형이나 인쇄가 유리한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된다.Meanwhile, the front or rear cover or the front protective film is required to protect the mobile devic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for this purpose, a hard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external exposed surface of the plastic substrate layer to improve surface hardness and durability. In addition, since various designs are applied to the cover of the mobile device, it is required to impart advantageous properties of mold molding or printing to the hard coating layer disposed inside the device.
특히 최근 모바일 기기는 다양한 규격 및 형태로 제작되어 글래스 소재를 적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으므로, 이들 모바일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두께, 기계적 및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In particular, since mobile device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tandards and shapes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glass materials, plastic materials having thickness, mechanical and optical properties applicable to these mobile devices are continuously being studied.
모바일 기기에 적용하기 위한 플라스틱 소재의 하드코팅 필름은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고온 환경에서 층간 열수축률 차이로 인해 컬이 발생하고 치수 안정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Despite the many advantages of the hard coating film made of plastic material for application to mobile devices, curling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in heat shrinkage between layers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and has low dimensional stability.
이에 본 발명자들이 연구한 결과, 하드코팅층이 구비된 플라스틱 필름을 대칭적인 적층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고온 환경에서 컬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또한, 적층체의 각 층별 두께와 성분 및 공정 조건을 조절하여 치수 안정성 뿐만 아니라, 그 외 방오성 및 인쇄성 등의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었다.Accordingly, as a result of research by the present inventors, by designing a plastic film with a hard coating layer in a symmetrical lamination structure, it wa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occurrence of curls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components, and process conditions of each layer of the laminate, properties such as dimensional stability as well as other antifouling properties and printability could be further improved.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기존의 하드코팅 필름의 낮은 치수 안정성을 개선하고 그 외 제반 특성을 향상시킨 플라스틱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를 이용하여, 종래의 모바일 기기의 전면이나 후면 커버 또는 전면 보호 필름으로 적용되는 글래스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고내구성을 가지면서 다기능 복합화에 따른 비용 절감이 가능한 플라스틱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stic laminate having improved low dimensional stability and other properties of a conventional hard coating fil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costs due to multifunctional composites while having high durability, which can replace the glass material applied as a front or rear cover or a front protective film of a conventional mobile device by using the plastic laminate. possible It is to provide a plastic molded body.
특히 본 발명의 과제는 최근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되는 모바일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두께, 기계적 및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적층체 및 이로부터 얻은 플라스틱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stic laminate having a thickness, mechanical and optical properties that can be applied to mobile devices manufactured to various standards in recent years, and a plastic molded article obtained therefrom.
상기 과제에 따라, 본 발명은 코어 기재층; 상기 코어 기재층의 일면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 1 기재층 및 제 1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제 1 시트; 및 상기 코어 기재층의 타면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 2 기재층 및 제 2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제 2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가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갖는, 플라스틱 적층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re substrate layer; A first sheet including a first substrate layer and a first hard coating layer sequenti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ore substrate layer; And a second sheet including a second base layer and a second hard coating layer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re base layer, wherei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are 1: 0.9 to 1: 1.1 It provides a plastic laminate having a thickness ratio.
상기 다른 과제에 따라, 본 발명은 제 1 기재층 상에 제 1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여 제 1 시트를 얻는 단계; 제 2 기재층 상에 제 2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여 제 2 시트를 얻는 단계; 코어 기재층의 일면 상에 상기 제 1 기재층이 대면하도록 상기 제 1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 기재층의 타면 상에 상기 제 2 기재층이 대면하도록 상기 제 2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가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갖는, 플라스틱 적층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above other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p of forming a first hard coating layer on a first base layer to obtain a first sheet; Forming a second hard coating layer on the second base layer to obtain a second sheet; Laminating the first sheet on one surface of the core base layer so that the first base layer faces; And laminating the second sheet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re base layer so that the second base layer faces, wherei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 to 1: 1.1. , I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stic laminate.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가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갖고, 상기 코어 기재층이 25㎛ 내지 1000㎛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이 10㎛ 내지 500㎛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이 3㎛ 내지 6㎛의 두께를 갖고 관능기가 6개 내지 10개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수지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가 140℃에서 2시간 방치 후 모서리에 0.3 mm 이내 높이의 컬(curl) 변화를 갖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 to 1: 1.1, the core base layer has a thickness of 25 μm to 1000 μm,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The second base layer has a thickness of 10 μm to 500 μm, the first hard coat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 layer have a thickness of 3 μm to 6 μm, and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resin having 6 to 10 functional groups, or A resin derived therefrom is included, and after the plastic laminate is left at 140° C. for 2 hours, it has a curl change of 0.3 mm or less in the corners.
상기 또 다른 과제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로부터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another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stic molded body molded from the plastic laminate.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적층체는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을 대칭적인 구조로 포함함으로써, 고온 환경에서도 컬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각 층별 두께와 성분 및 공정 조건이 조절되어 치수 안정성 뿐만 아니라, 그 외 방오성 및 인쇄성 등의 특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최근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되는 모바일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두께, 기계적 및 광학적 특성을 가져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The plastic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stic film on which a hard coating layer is form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so that the occurrence of curls can be minimized even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lastic laminate may further improve dimensional stability as well as other properties such as antifouling properties and printability by adjusting the thickness, components, and process conditions of each layer. In particular, the plastic laminate can be used in various ways because of its thickness, mechanical and optical properties applicable to mobile devices manufactured in various standards in recent years.
이에 따라,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로부터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체는 고내구성을 가지면서 다기능 복합화에 따른 비용 절감이 가능한 장점과 함께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므로, 종래의 글래스 소재를 대체하여 모바일 기기의 전면이나 후면 커버 또는 전면 보호 필름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lastic molded body molded from the plastic laminate has high durability and can reduce costs due to multifunctional composites. Since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with advantages, it can be usefully applied as a front or rear cover or a front protective film of a mobile device by replacing a conventional glass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플라스틱 적층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플라스틱 적층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stic lami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stic lamin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크기나 간격 등이 과장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내용은 도시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izes or intervals may be exaggerated and displayed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the illustration may be omitted for contents that ar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이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될 경우, 이들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갖거나 갖지 않는 경우가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each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disposed above or below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ases with or without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se components are included.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at a certain component "includes" another componen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another component unless otherwise spec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플라스틱 적층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stic lami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적층체는, 도 1을 참조하여, 코어 기재층(100); 상기 코어 기재층(100)의 일면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 1 기재층(210) 및 제 1 하드코팅층(310)을 포함하는 제 1 시트(10); 및 상기 코어 기재층(100)의 타면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 2 기재층(220) 및 제 2 하드코팅층(320)을 포함하는 제 2 시트(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트(10) 및 상기 제 2 시트(20)가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갖는다.Plastic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core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상기 코어 기재층(100)과 상기 제 1 시트(10) 사이에 배치된 제 1 접착층(410); 및 상기 코어 기재층(100)과 상기 제 2 시트(20) 사이에 배치된 제 2 접착층(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stic laminate may include a first
이하 각 구성 층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nstituent layer.
코어 기재층Core base layer
상기 코어 기재층은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의 중심에 위치하며, 전체 구조에 대한 지지체로 작용하고 성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The core base laye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lastic laminate, and serves as a support for the entire structure and imparts moldability.
상기 코어 기재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투명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re substrate layer may include a polymer resin, for example, a transparent polymer resin.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환형올레핀중합체(COP),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아미드(PA),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및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분자 수지, 또는 이들의 얼로이 수지(예를 들어 PC/PCT 얼로이 수지 또는 PET/PCT 얼로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re substrate layer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imide (PI), cyclic olefin polymer (COP),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ethersulfone (PES), polycarbonate (PC), polyether A polymer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er ketone (PEEK), polyphenylene sulfide (PPS), polyamide (PA),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and polypropylene (PP), or alloys thereof Resin (for example, PC/PCT alloy resin or PET/PCT alloy resin).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코어 기재층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또는 이들의 얼로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 기재층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성형성을 부여하고 컬을 억제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core substrate layer may include polycarbon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or an alloy resin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core substrate layer containing polycarbonate may be more advantageous in imparting moldability and suppressing curl.
상기 코어 기재층의 두께는 25㎛ 내지 1000㎛의 범위인 것이, 전체 구조에 대한 지지력 및 성형성을 갖추면서 컬을 억제하는데 유리하다.The thickness of the core substrate layer is in the range of 25 µm to 1000 µm, and it is advantageous to suppress curl while having support for the entire structure and moldability.
예를 들어, 상기 코어 기재층의 두께는 25㎛ 이상, 50㎛ 이상, 100㎛ 이상, 150㎛ 이상, 200㎛ 이상, 250㎛ 이상, 또는 30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기재층의 두께는 1000㎛ 이하, 700㎛ 이하, 600㎛ 이하, 500㎛ 이하, 450㎛ 이하, 300㎛ 이하, 250㎛ 이하, 또는 200㎛ 이하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core substrate layer may be 25 μm or more, 50 μm or more, 100 μm or more, 150 μm or more, 200 μm or more, 250 μm or more, or 300 μm or more.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core substrate layer may be 1000 µm or less, 700 µm or less, 600 µm or less, 500 µm or less, 450 µm or less, 300 µm or less, 250 µm or less, or 200 µm or less.
구체예로서, 상기 코어 기재층의 두께는 25㎛ 내지 500㎛, 50㎛ 내지 500㎛, 100㎛ 내지 500㎛, 또는 150㎛ 내지 500㎛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코어 기재층의 두께는 100㎛ 내지 1000㎛, 100㎛ 내지 600㎛, 150㎛ 내지 500㎛, 200㎛ 내지 450㎛, 200㎛ 내지 300㎛, 또는 300㎛ 내지 500㎛일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core substrate layer may be 25 µm to 500 µm, 50 µm to 500 µm, 100 µm to 500 µm, or 150 µm to 500 µm. In another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core substrate layer may be 100 µm to 1000 µm, 100 µm to 600 µm, 150 µm to 500 µm, 200 µm to 450 µm, 200 µm to 300 µm, or 300 µm to 500 µm. have.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1st sheet and 2nd sheet
상기 제 1 시트는 상기 코어 기재층의 일면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 1 기재층 및 제 1 하드코팅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시트는 상기 코어 기재층의 타면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 2 기재층 및 제 2 하드코팅층을 포함한다.The first sheet includes a first base layer and a first hard coating layer sequenti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ore base layer. In addition, the second sheet includes a second base layer and a second hard coating layer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re base layer.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은 각각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each serve to support the first hard coat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 layer.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는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갖는다. 상기 범위 내일 때, 상기 코어 기재층을 중심으로,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가 대칭적인 구조를 갖게 되어 컬 발생이 획기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는 1 : 0.99 내지 1 : 1.01의 두께비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 to 1: 1.1. When within the above range,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core substrate layer, so that the occurrence of curls can be drastically suppresse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may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9 to 1: 1.01.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는 세부적인 층 두께 면에서도 대칭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다.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may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in terms of detailed layer thickness.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은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갖고,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이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 to 1: 1.1, and the first substrate layer and the second substrate layer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 to 1: 1.1. I ca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은 1 : 0.99 내지 1 : 1.01의 두께비를 갖고,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이 1 : 0.99 내지 1 : 1.01의 두께비를 가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9 to 1: 1.01, and the first substrate layer and the second substrate layer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9 to 1: 1.01 I can have it.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의 두께는 각각 10㎛ 내지 500㎛ 범위인 것이, 하드코팅층을 잘 지지하면서 컬 억제에 보다 유리하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is in the range of 10 μm to 500 μm, respectively, which is more advantageous in suppressing curl while supporting the hard coat layer well.
예를 들어,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의 두께는 각각 10㎛ 이상, 25㎛ 이상, 50㎛ 이상, 75㎛ 이상, 100㎛ 이상, 150㎛ 이상, 또는 20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의 두께는 각각 500㎛ 이하, 400㎛ 이하, 300㎛ 이하, 200㎛ 이하 또는 150㎛ 이하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may be 10 μm or more, 25 μm or more, 50 μm or more, 75 μm or more, 100 μm or more, 150 μm or more, or 200 μm or mor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may be 500 μm or less, 400 μm or less, 300 μm or less, 200 μm or less, or 150 μm or less, respectively.
구체예로서,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의 두께는 10㎛ 내지 300㎛, 10㎛ 내지 200㎛, 75㎛ 내지 200㎛, 25㎛ 내지 500㎛, 또는 50㎛ 내지 500㎛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의 두께는 각각 10㎛ 내지 500㎛, 50㎛ 내지 300㎛, 100㎛ 내지 200㎛, 100㎛ 내지 150㎛, 또는 150㎛ 내지 200㎛일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may be 10 µm to 300 µm, 10 µm to 200 µm, 75 µm to 200 µm, 25 µm to 500 µm, or 50 µm to 500 µm have. As another specific example ,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is 10 µm to 500 µm, 50 µm to 300 µm, 100 µm to 200 µm, 100 µm to 150 µm, or 150 µm to 200 µm, respectively. Can be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각각 1㎛ 이상, 2㎛ 이상, 3㎛ 이상, 4㎛ 이상, 또는 5㎛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각각 50㎛ 이하, 30㎛ 이하, 20㎛ 이하, 10㎛ 이하, 8㎛ 이하, 7㎛ 이하, 또는 6㎛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각각 1㎛ 내지 50㎛, 1㎛ 내지 30㎛, 1㎛ 내지 20㎛, 1㎛ 내지 10㎛, 3㎛ 내지 10㎛ 또는 5㎛ 내지 1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3㎛ 내지 6㎛인 것이 컬 억제에 유리하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may be 1 μm or more, 2 μm or more, 3 μm or more, 4 μm or more, or 5 μm or mor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may be 50 μm or less, 30 μm or less, 20 μm or less, 10 μm or less, 8 μm or less, 7 μm or less, or 6 μm or less,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is 1 μm to 50 μm, 1 μm to 30 μm, 1 μm to 20 μm, 1 μm to 10 μm, 3 μm to 10 μm or 5 μm, respectively. It may be to 10㎛. 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is 3㎛ to 6㎛ is advantageous for curl suppression.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투명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may include a polymer resin, and specifically, a transparent polymer resin.
예를 들어,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환형올레핀중합체(COP),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아미드(PA),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및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분자 수지, 또는 이들의 얼로이 수지(예를 들어 PC/PCT 얼로이 수지 또는 PET/PCT 얼로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ar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imide (PI), cyclic olefin polymer (COP),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ethersulfone (PES), Polycarbonate (PC), polyetheretherketone (PEEK), polyphenylene sulfide (PPS), polyamide (PA),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and polypropylene (PP) Polymer resins, or alloy resins thereof (eg, PC/PCT alloy resin or PET/PCT alloy resin) may be included.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은 각각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또는 이들의 얼로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성형 후 안정성을 부여하고 컬을 억제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may each include polycarbon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or alloy resins thereof. . More specifically,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contain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may be more advantageous in imparting stability and suppressing curl after molding.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은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의 외곽에 배치되어 표면 경도, 방오성, 인쇄성 등을 향상시킨다.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are disposed outside the plastic laminate to improve surface hardness, antifouling property, and printability.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UV 경화성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표면 경도를 높여 높은 하드코팅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UV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may include a thermoplastic resin, a thermosetting resin, a UV curable resin, and the like, and preferably, a UV curable resin to increase the surface hardness to exhibit high hard coating properties. have.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페놀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and thermosetting resin include acrylic resin, urethane resin, epoxy resin, urethane acrylate resin, epoxy acrylate resin, cellulose resin, acetal resin, melamine resin, phenol resin, silicone resin , Polyester resin, polycarbonate resin, polyethylene resin, polystyrene resin, polyamide resin, polyimide resin, and mixtures thereof.
상기 UV 경화성 수지로는 UV 광 조사에 의해 가교 및 경화되는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로는 양이온 중합형과 라디칼 중합형의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를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 중합형 광중합성 프리폴리머의 예로는 에폭시계 수지나 비닐 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에폭시계 수지로는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노블라형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지방족 에폭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형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로는,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고, 가교 경화를 통해 3차원 망목 구조가 되는 아크릴계 프리폴리머(경질 프리폴리머)가 하드코팅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As the UV curable resin, a photopolymerizable prepolymer crosslinked and cured by UV light irradiation may be used, and examples of the photopolymerizable prepolymer include a cationic polymerization type and a radical polymerization type photopolymerizable prepolymer. Examples of the cationic polymerization type photopolymerizable prepolymer include an epoxy resin or a vinyl ester resin, and the epoxy resin includes a bisphenol type epoxy resin, a nobla type epoxy resin, an alicyclic epoxy resin, an aliphatic epoxy resin, and these And mixtures of. As the radical polymerization type photopolymerizable prepolymer, an acrylic prepolymer (hard prepolymer) having two or more acryloyl groups in one molecule and having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through crosslinking curing may be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hard coatability.
상기 아크릴계 프리폴리머의 예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폴리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컨대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를 (메트)아크릴산과의 반응을 통해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컨대 다가 카르복실산과 다카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양 말단에 수신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하거나, 또는 다가 카르복실산에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말단의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 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컨대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또는 노블락 에폭시 수지의 옥시란 고리와 (메트)아크릴산과의 반응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Examples of the acrylic prepolymer include urethane acrylate, polyester acrylate, epoxy acrylate, melamine acrylate, polyfluoroalkyl acrylate, silicone acrylate, and mixtures thereof. The urethane acrylate prepolymer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esterifying a polyurethane oligomer obtained by reaction of a polyether polyol or a polyester polyol with a polyisocyanate through reaction with (meth)acrylic acid. The polyester acrylate-based prepolymer is, for example, esterified with (meth)acrylic acid or the hydroxyl group of a polyester oligomer having receivers at both ends obtained by condensation of a polyhydric carboxylic acid and a polyhydric alcohol, or alkylene oxide to a polyhydric carboxylic acid. It can be obtained by esterifying the hydroxyl group at the end of the oligomer obtained by adding a seed with (meth)acrylic acid. The epoxy acrylate-based prepolymer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esterification of a relatively low molecular weight bisphenol type epoxy resin or an oxirane ring of a noblock epoxy resin with (meth)acrylic acid.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에 서로 다른 첨가제를 첨가하여 각각의 층에 요구되는 추가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하드코팅층은 방오제를 포함하여, 지문, 얼룩, 스크래치 등이 방지되고 표면 경도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은 레벨링제를 포함하여, 몰드 형성이나 인쇄를 용이하게 하는 프라이머층으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다.By adding different additives to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an additional function required for each layer may be imparted. For example,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may contain an antifouling agent to prevent fingerprints, stains, and scratches, and may have excellent surface hardness. In addition,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may include a leveling agent and may function as a primer layer to facilitate mold formation or printing.
예를 들어, 상기 방오제는 실리콘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변성아크릴기능성실록산, 플루오로폴리에테르 및 플루오로아크릴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레벨링제는 비실리콘아크릴화합물 및 플루오로아크릴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antifouling agen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e polyether acrylate, polyether-modified acrylic functional siloxane, fluoropolyether, and fluoroacrylic compound, and the leveling agent may be a non-silicone acrylic compound. And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luoroacrylic compounds.
상기 방오제 및 상기 레벨링제는 각각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3 중량%, 또는 0.01 중량% 내지 1 중량%의 함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The antifouling agent and the leveling agen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001% by weight to 3% by weight, or 0.01% by weight to 1%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respectively.
그 외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은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광개시제 등의 통상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may further include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antioxidants, light stabilizers, and photoinitiators.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은 관능기가 4개 내지 10개 또는 4개 내지 8개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수지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마모성 개선을 위해 유기 실리카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may include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resin having 4 to 10 or 4 to 8 functional groups or a resin derived therefrom, and improving wear resistance. Hazardous organic silica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이 3㎛ 내지 6㎛의 두께를 갖고 관능기가 6개 내지 10개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수지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수지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include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resin having a thickness of 3 μm to 6 μm and a functional group of 6 to 10 or a resin derived therefrom.
또한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은 모두 3D 성형성이 우수할 수 있다.In addition, both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may have excellent 3D moldability.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First adhesive layer and second adhesive layer
상기 제 1 접착층은 상기 코어 기재층과 상기 제 1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간의 접합력을 향상시키고 성형성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제 2 접착층은 상기 코어 기재층과 상기 제 2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간의 접합력을 향상시키고 성형성을 부여한다.The first adhesive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core substrate layer and the first sheet to improve bonding force therebetween and impart moldability. In addition,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core substrate layer and the second sheet to improve bonding force therebetween and impart moldability.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은 1 : 0.5 내지 1 : 1.5의 두께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상기 코어 기재층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보다 대칭적인 구조를 갖게 되어 컬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은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have a thickness ratio of 1:0.5 to 1:1.5. When it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core substrate layer has a more symmetrical structure toward both sides around the core substrate layer, so that the occurrence of curl may be suppresse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 to 1: 1.1.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의 두께는 1㎛ 내지 50㎛, 3㎛ 내지 30㎛, 5㎛ 내지 20㎛, 5㎛ 내지 15㎛, 7㎛ 내지 12㎛, 또는 8㎛ 내지 12㎛일 수 있다.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1 µm to 50 µm, 3 µm to 30 µm, 5 µm to 20 µm, 5 µm to 15 µm, 7 µm to 12 µm, or 8 µm to 12 µm. have.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은 5㎛ 내지 15㎛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 내일 때, 계면 접착력이 우수하면서 컬 억제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5 μm to 15 μm. When it is within the above thickness range, it may be more advantageous in suppressing curl while having excellent interfacial adhesion.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은 접착제 수지를 포함하고, 추가로 경화제 및/또는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include an adhesive resin, and may further include a curing agent and/or a photoinitiator.
상기 접착제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UV 광 조사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수지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이 UV 경화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 수지는 UV 광에 의해 황변되지 않고 UV 흡수제의 분산성이 양호한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알키드 수지, 아미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혹은 2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광학 특성, 내후성, 기재와의 밀착성 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제 수지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일 수 있다.The adhesive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a resin that can be cured by UV light irradiation, and accordingly,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prepared through UV curing. In addition, the adhesive resin may be a resin having good dispersibility of the UV absorber without being yellowed by UV light. For example, the adhesive resin includes polyester resin, acrylic resin, alkyd resin, amino resin, and the like. The adhesive resin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of copolymers or mixtures may be used. Among them, acrylic resins excellent in optical properties, weather resistance, adhesion to a substrate, and the like are preferable. In addition, the adhesive resin may be an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optical clear adhesive, OCA).
상기 경화제는 상기 접착제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UV 광에 의해 황변되지 않는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에폭시 경화제 및 아지리딘 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제는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 각각의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0.5 중량%, 0.3 내지 0.5 중량%, 0.3 내지 0.45 중량%, 또는 0.35 내지 0.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The cur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capable of curing the adhesive resin. Specifically, at least one typ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isocyanate curing agent, an epoxy curing agent, and an aziridine curing agent that are not yellowed by UV light. In addition, the curing agent may be included in 0.2 to 0.5% by weight, 0.3 to 0.5% by weight, 0.3 to 0.45% by weight, or 0.35 to 0.45%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상기 광개시제는 UV 경화에 필요하며, 예를 들어 벤조페논(benzophenone)계, 티옥산톤(thioxanthone)계, α-하이드록시 케톤(α-hydroxy ketone)계, 케톤(ketone)계,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계 및 아크릴 포스파인 옥사이드(acyl phosphine oxide)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 각각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The photoinitiator is required for UV curing, for example, benzophenone-based, thioxanthone-based, α-hydroxy ketone-based, ketone-based, phenyl glyoxylate (phenyl glyoxylate) and acrylic phosphine oxide (acyl phosphine oxide) may be selected from one or more type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photoinitiato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each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컬 변화 및 굴곡성Curl change and flexibility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고온에서 컬(curl) 변화가 매우 적다.The plastic laminate has very little change in curl at high temperatures.
예를 들어,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140℃에서 2시간 방치 후 모서리의 컬 변화가 3.0 mm 이내, 2.0 mm 이내, 1.0 mm 이내, 0.5 mm 이내, 또는 0.3 mm 이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140℃에서 2시간 방치 후 모서리에 0.3 mm 이내 높이의 컬 변화를 갖는다.For example, the plastic laminate may have a curl change of the edge within 3.0 mm, within 2.0 mm, within 1.0 mm, within 0.5 mm, or within 0.3 mm after being left at 140°C for 2 hours. Specifically, the plastic laminate has a change in curl of 0.3 mm or less in the corners after standing at 140° C. for 2 hours.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100℃에서 72시간 방치 후 모서리의 컬 변화가 3.0 mm 이내, 2.0 mm 이내, 1.0 mm 이내, 0.5 mm 이내, 또는 0.3 mm 이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stic laminate may have a curl change of the edge within 3.0 mm, within 2.0 mm, within 1.0 mm, within 0.5 mm, or within 0.3 mm after being left at 100°C for 72 hours.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맨드릴 시험기 등을 이용한 굴곡성(bending) 측정 시에 7R 이하, 6R 이하, 또는 5R 이하를 나타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R 내지 7R, 또는 3R 내지 6R을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stic laminate may exhibit 7R or less, 6R or less, or 5R or less, and specifically 1R to 7R, or 3R to 6R when measuring bending using a mandrel tester or the like.
적층 구조의 구현예Embodiment of the laminated structure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가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갖고, 상기 코어 기재층이 25㎛ 내지 1000㎛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이 10㎛ 내지 500㎛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이 3㎛ 내지 6㎛의 두께를 갖고 관능기가 6개 내지 10개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수지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가 140℃에서 2시간 방치 후 모서리에 0.3 mm 이내 높이의 컬(curl) 변화를 갖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 to 1: 1.1, the core base layer has a thickness of 25 μm to 1000 μm,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The second base layer has a thickness of 10 μm to 500 μm, the first hard coat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 layer have a thickness of 3 μm to 6 μm, and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resin having 6 to 10 functional groups, or A resin derived therefrom is included, and after the plastic laminate is left at 140° C. for 2 hours, it has a curl change of 0.3 mm or less in the corners.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상기 코어 기재층과 상기 제 1 시트 사이에 배치된 제 1 접착층; 및 상기 코어 기재층과 상기 제 2 시트 사이에 배치된 제 2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이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갖고,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이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갖고,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이 1 : 0.5 내지 1 : 1.5의 두께비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stic laminate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core substrate layer and the first sheet; And a second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core substrate layer and the second sheet, wherein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 to 1: 1.1, and the first substrate Th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may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 to 1: 1.1,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5 to 1: 1.5.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의 총 두께는 50㎛ 이상, 100㎛ 이상, 또는 150㎛ 이상일 수 있고, 또한 1000㎛ 이하, 500㎛ 이하, 300㎛ 이하, 또는 20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의 총 두께는 50㎛ 내지 1000㎛, 100㎛ 내지 1000㎛, 200㎛ 내지 1000㎛, 300㎛ 내지 1000㎛, 400㎛ 내지 1000㎛, 500㎛ 내지 900㎛, 500㎛ 내지 750㎛, 700㎛ 내지 900㎛, 또는 600㎛ 내지 900㎛일 수 있다. The total thickness of the plastic laminate may be 50 μm or more, 100 μm or more, or 150 μm or more, and may be 1000 μm or less, 500 μm or less, 300 μm or less, or 200 μm or less. Specifically, the total thickness of the plastic laminate is 50㎛ to 1000㎛, 100㎛ to 1000㎛, 200㎛ to 1000㎛, 300㎛ to 1000㎛, 400㎛ to 1000㎛, 500㎛ to 900㎛, 500㎛ to 750 It may be ㎛, 700㎛ to 900㎛, or 600㎛ to 900㎛.
그 외 구성층Other constituent layers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도 2에서 보듯이, 모바일 기기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 보호 필름 등으로 적용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일 면에 점착층(50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점착층에 사용되는 수지는 앞서 설명한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plastic laminate may further include an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상기 점착층(500)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이형지(600)가 더 합지될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의 재질로는 에폭시계, 에폭시-멜라민계, 아미노알키드계, 아크릴계, 멜라민계, 실리콘계, 불소계, 셀룰로오스계, 요소 수지계, 폴리올레핀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lastic laminate, a
광학적 특성Optical properties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전면 커버 또는 전면 보호 필름을 위한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The plastic laminate may have optical properties for a front cover or a front protective film.
예를 들어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광축 제어를 위해 고위상차를 갖거나 또는 위상차가 거의 없도록 조절되어 광학적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면 보호 필름 등으로 적용 시에 광학 방식의 지문 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면내 임의의 방향(폭 방향, 길이 방향 또는 그 외 임의의 방향)에 대한 배향각의 편차가 ±10˚ 이내, ±5˚ 이내, 또는 ±1˚ 이내일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전폭에 대한 배향각의 편차가 ±10˚ 이내, ±5˚ 이내, 또는 ±1˚ 이내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lastic laminate may have a high-order phase difference or almost no phase difference for controlling the optical axis to minimize optical interference, thereby enabling optical fingerprint recognition when applied as a front protective film or the like. Specifically, the plastic laminate may have a deviation of an orientation angle with respect to an in-plane direction (width direction, length direction, or any other direction) within ±10°, within ±5°, or within ±1°. As an example, the plastic laminate may have a deviation of the orient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full width within ±10°, within ±5°, or within ±1°.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면내 위상차(Re)가 300 nm 이하, 200 nm 이하, 또는 100 nm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상차가 없거나 최소화된 필름의 경우에는 전폭에 대한 배향각이 같거나 유사하기 때문에 배향각 고려 없이 광학 방식의 지문 인식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lastic laminate may have an in-plane retardation (Re) of 300 nm or less, 200 nm or less, or 100 nm or less. In the case of a film with no or minimized retarda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rient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entire width is the same or similar,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n optical fingerprint without considering the orientation angle.
이를 위해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광축이 제어된 고위상차 필름이나 위상차가 최소화된 필름을 기재층으로 구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이 전폭에 대하여 ±10˚ 이내, ±5˚ 이내, 또는 ±1˚ 이내의 배향각 편차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이 300 nm 이하, 200 nm 이하, 또는 100 nm 이하의 면내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plastic laminate may include a high-order retardation film with a controlled optical axis or a film with a minimized retardation as a base layer, for example,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are ±10 with respect to the full width. It can have an orientation angle deviation within ˚, within ±5˚, or within ±1˚. In additio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may have an in-plane retardation of 300 nm or less, 200 nm or less, or 100 nm or less.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 85% 이상 또는 90%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광선 투과율은 JIS K7361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stic laminate may have a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80% or more, 85% or more, or 90% or more. Such total light transmittance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a method such as JIS K7361.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색상 면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례로서 CIE 1931 xy 색도(chromaticity) 공간에 따른 x 및 y 값이 각각 0.2 내지 0.4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stic lamin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erms of color, but as an example, x and y values according to the CIE 1931 xy chromaticity space may be 0.2 to 0.4, respectively.
표면 특성Surface properties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우수한 표면 특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stic laminate may have excellent surface properties.
예를 들어,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표면에서의 연필 경도가 1H 이상, 2H 이상, 또는 3H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필 경도는 ASTM D3363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astic laminate may have a pencil hardness of 1H or more, 2H or more, or 3H or more on the surface. Such pencil hardness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a method such as ASTM D3363.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스틸울(steel wool) 마모 테스트에서 1.5 kg 하중으로 100 회 이상, 200 회 이상, 또는 300 회 이상 문질러도 표면의 코팅 등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스틸울 마모 테스트에서 1.0 kg 하중으로 1500 회 이상, 2000 회 이상, 또는 2500 회 이상 문질러도 표면의 코팅 등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plastic laminate is rubbed 100 or more, 200 or more, or 300 or more times with a 1.5 kg load in a steel wool abrasion test, the coating of the surface may not be damaged. In addition, even if the plastic laminate is rubbed 1500 or more, 2000 or more, or 2500 or more times with a 1.0 kg load in a steel wool wear test, the coating of the surface may not be damaged.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물에 대한 접촉각이 80˚ 내지 130˚, 구체적으로 80˚ 내지 115˚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촉각은 ASTM D5946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stic laminate may have a contact angle with respect to water of 80° to 130°, specifically 80° to 115°. Such a contact angle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a method such as ASTM D5946.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점착층 등에 의해 타 기판 상에 점착될 경우 크로스해치컷(cross hatch cut) 테스트에서 3B 등급 이상, 4B 등급 이상, 또는 5B 등급 이상의 부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크로스해치컷 테스트는 ASTM D3359 등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lastic laminate is adhered to other substrates by an adhesive layer or the like, it may have an adhesive strength of 3B grade or higher, 4B grade or higher, or 5B grade or higher in a cross hatch cut test. Such a cross hatch cut test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method such as ASTM D3359.
플라스틱 적층체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lastic laminate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제 1 기재층 상에 제 1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여 제 1 시트를 얻는 단계; 제 2 기재층 상에 제 2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여 제 2 시트를 얻는 단계; 코어 기재층의 일면 상에 상기 제 1 기재층이 대면하도록 상기 제 1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 및 코어 기재층의 타면 상에 상기 제 2 기재층이 대면하도록 상기 제 2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가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갖는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lastic laminate may include forming a first hard coating layer on a first substrate layer to obtain a first sheet; Forming a second hard coating layer on the second base layer to obtain a second sheet; Laminating the first sheet on one surface of the core base layer so that the first base layer faces; And laminating the second sheet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re base layer so that the second base layer faces, wherei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 to 1: 1.1.
이와 같이 제조된 플라스틱 적층체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가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갖고, 상기 코어 기재층이 25㎛ 내지 1000㎛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이 10㎛ 내지 500㎛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이 3㎛ 내지 6㎛의 두께를 갖고 관능기가 6개 내지 10개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수지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가 140℃에서 2시간 방치 후 모서리에 0.3 mm 이내 높이의 컬(curl) 변화를 갖는다.The plastic laminate thus produced has a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 to 1: 1.1, the core base layer has a thickness of 25 μm to 1000 μm,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The second base layer has a thickness of 10 μm to 500 μm, the first hard coat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 layer have a thickness of 3 μm to 6 μm, and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resin having 6 to 10 functional groups, or A resin derived therefrom is included, and after the plastic laminate is left at 140° C. for 2 hours, it has a curl change of 0.3 mm or less in the corners.
상기 코어 기재층의 일면 상에 제 1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 기재층의 타면 상에 제 2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Laminating a first sheet on one side of the core base layer and stacking a second sheet on the other side of the core base layer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 기재층의 일면 상에 제 1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 기재층의 타면 상에 제 2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대칭적인 구조를 형성하여 컬 발생을 억제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tep of stacking the first sheet on one side of the core base layer and the step of stacking the second sheet on the other side of the core base layer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to form a symmetrical structur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urls. It can be more advantageous.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코어 기재층의 일면 상에 제 1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 기재층의 타면 상에 제 2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코어 기재층의 일면 및 타면 상에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before the step of laminating a first sheet on one side of the core base layer and laminating a second sheet on the other side of the core base layer, one side of the core base layer And forming a first adhesiv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on the other surface, respectively.
이때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이 1 : 0.5 내지 1 : 1.5의 두께비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have a thickness ratio of 1:0.5 to 1:1.5.
플라스틱 적층체의 효과The effect of plastic laminat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적층체는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을 대칭적인 구조로 포함함으로써, 고온 환경에서도 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각 층별 두께와 성분 및 공정 조건이 조절되어 치수 안정성 뿐만 아니라, 그 외 방오성 및 인쇄성 등의 특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는 최근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되는 모바일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두께, 기계적 및 광학적 특성을 가져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astic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stic film on which a hard coating layer is form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curls even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lastic laminate may further improve not only dimensional stability but also other properties such as antifouling properties and printability by adjusting the thickness, components, and process conditions of each layer. In particular, the plastic laminate may be used in various ways because of its thickness, mechanical and optical properties applicable to mobile devices manufactured in various standards in recent years.
성형체Molded bod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로부터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체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stic molded article molded from the plastic laminate.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로부터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체는 고내구성을 가지면서 다기능 복합화에 따른 비용 절감이 가능한 장점과 함께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라스틱 성형체는 종래의 글래스 소재를 대체하여 모바일 기기의 전면 커버, 후면 커버 또는 전면 보호 필름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plastic molded body molded from the plastic laminate has high durability and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with the advantage of reducing cost due to multifunctional composite. Accordingly, the plastic molded body may be usefully applied as a front cover, a rear cover, or a front protective film of a mobile device by replacing a conventional glass material.
이와 같은 플라스틱 성형체는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로부터 가열성형(thermoforming) 등의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성형 공정 중에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의 층별 구성 및 조성에 의해 컬 발생 뿐만 아니라 에지(edge)의 곡면 부분에서 크랙 발생도 억제될 수 있다.Such a plastic molded body may be manufactured from the plastic laminate by a process such as thermoforming, and during this molding process, not only curls are generated due to the layer-by-layer composition and composition of the plastic laminate, but also the curved portion of the edge. The occurrence of cracks can also be suppressed.
이하, 실험예를 통해 플라스틱 적층체의 대칭적인 구조가 고온에서 컬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하기 실험예는 플라스틱 적층체의 대칭적인 구조와 고온에서 컬 발생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험예에 예시된 플라스틱 적층체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curls at a high temperature by the symmetrical structure of the plastic laminate will be examined through an experimental example. However,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are only examples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metrical structure of the plastic laminate and the occurrence of curls at high temperatur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plastic laminate exemplified in these experimental examples.
하기 실험예들에서 다른 언급이 없으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SKC사의 V7610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으로 I-component사 CCL 시리즈 제품을 사용하였다.In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unless otherwise stated,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was used as a V7610 product from SKC, and a CCL series product from I-component was used as a polycarbonate (PC) film.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1A. 필름 제작1A. Film production
PET 필름 또는 PC 필름을 단층의 다양한 두께로 준비하였다(샘플 1-1 내지 1-7). 또한, 상기 PET 필름 또는 PC 필름이 2장 적층된 필름을 제작하였다(샘플 1-9 및 1-11).PET films or PC films were prepared in various thicknesses of a single layer (Samples 1-1 to 1-7). In addition, a film in which two PET films or PC films were laminated was prepared (Samples 1-9 and 1-11).
또한, 상기 PET 필름 상에 하드코팅(HC) 수지 조성물을 약 15㎛ 두께로 코팅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하였다(샘플 1-8). 이때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타입 수지(MIRAMER PU620NT, Miwon사) 47.6 중량부, 경화제(Irgacure 184, Ciba사) 1.7 중량부, 및 용매(톨루엔) 50.7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메이어바 코터 등을 이용하여 기재층 표면에 코팅하고, 80℃에서 1분 건조 후, 400 mJ/cm2 조건으로 UV 경화시켰다.In addition, a hard coating (HC) resin composition was coated on the PET film to a thickness of about 15 μm to prepare a hard coating film (Sample 1-8). At this time, the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47.6 parts by weight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type resin (MIRAMER PU620NT, Miwon), 1.7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Irgacure 184, Ciba), and 50.7 parts by weight of a solvent (toluene). The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wa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using a Mayer bar coater, etc., dried at 80° C. for 1 minute, and then UV-cured under 400 mJ/cm 2 conditions.
또한, 이와 같이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 2장을 이들의 기재층이 서로 맞닿도록 적층하였다(샘플 1-10). 필름 적층 시에는, 맞닿는 면에 접착제를 약 5㎛ 두께로 도포하여 접착하였다. 접착제로는 UV 타입 아크릴레이트계 수지(TS-03, NCP Chem사)를 사용하였고, 메이어바 코터 등을 이용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라미네이터로 필름들을 적층한 후, 400 mJ/cm2 조건으로 UV 경화시켰다.In addition, two hard coat films prepared in this way were laminated so that their base layers contact each other (Samples 1-10). In the case of film lamination, an adhesive was applied to a thickness of about 5 μm on the abutting surface to adhere. UV-type acrylate resin (TS-03, NCP Chem) was used as an adhesive, and after applying the adhesive using a Mayer bar coater and laminating films with a laminator, UV curing under 400 mJ/cm 2 conditions Made it.
1B. 시험1B. exam
제조된 각 필름 샘플의 초기 컬을 측정하기 위해, 필름 바닥으로부터 네 모서리의 들뜬 높이 중 최대값을 측정하였다. 이후 필름을 100℃에서 72시간 열처리하고, 같은 방식으로 컬을 측정하였다. 상기 열처리 이후 측정된 컬 높이에서 초기 컬의 높이를 빼서 컬 변화를 산출하였다. In order to measure the initial curl of each prepared film sample, the maximum value of the raised heights of the four corners from the bottom of the film was measured. Thereafter, the film was heat-treated at 100° C. for 72 hours, and the curl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The curl change wa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initial curl height from the curl height measured after the heat treatment.
상기 샘플들의 구조 및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structur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sample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PET 또는 PC 단층 필름보다는 하드코팅 필름의 컬 변화가 더 컸다. 또한 하드코팅 필름 2장을 대칭적인 구조로 적층할 경우, PET 또는 PC 필름을 2장 적층한 경우에 비해서는 컬 변화가 컸으나, 단일 하드코팅 필름에 비해서는 컬 변화가 현저히 적었다.As shown in Table 1, the curl change of the hard coating film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PET or PC monolayer film. In addition, when two hard coating films were laminat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the curl change was larger than that of the case where two PET or PC films were laminated, but the curl change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a single hard coating film.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2A. 필름 제작2A. Film production
PET 필름 또는 PC 필름을 다양한 두께로 준비하였다. 상기 PET 필름 및/또는 PC 필름이 적층된 필름을 제작하였다(샘플 2-2, 2-4, 2-6 내지 2-10).PET film or PC film was prepared in various thicknesses. The PET film and/or the PC film was laminated to prepare a film (Samples 2-2, 2-4, 2-6 to 2-10).
또한, 상기 PET 필름 상에 하드코팅(HC) 수지 조성물을 약 15㎛ 두께로 코팅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하고, 이를 PET 필름 및/또는 PC 필름과 적층하였다(샘플 2-1, 2-3, 2-5). 이때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의 제조, 코팅 및 경화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In addition, a hard coating (HC) resin composition was coated on the PET film to a thickness of about 15 μm to prepare a hard coating film, which was laminated with a PET film and/or a PC film (Samples 2-1, 2-3, 2-5). At this time, the preparation, coating and curing conditions of the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were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필름 적층 시에는, 맞닿는 면에 접착제를 약 5㎛ 두께로 도포하여 접착하였으며, 접착제 종류, 도포 및 경화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When the film was laminated, an adhesive was applied to the abutting surface to a thickness of about 5 μm, and the adhesive type, application and curing conditions were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2B. 시험2B. exam
제조된 각 필름 샘플에 대해, 열처리 조건을 140℃ 및 2시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컬 변화를 측정하였다.For each of the prepared film samples, the curl chang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except that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were changed to 140°C and 2 hours.
상기 샘플들의 구조 및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The structure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sample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코어층을 중심으로 상/하의 층들이 대칭적인 구조일 때 컬 변화가 보다 적었다. 또한, PC 필름(코어층)의 두께가 380㎛일 때와, PET 필름(기재층)의 두께가 125㎛일 때, 컬 변화가 가장 적었다.As shown in Table 2, when the upper/lower layers around the core layer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the curl change is less.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PC film (core layer) was 380 µm and the thickness of the PET film (substrate layer) was 125 µm, the curl change was the least.
실험예 3Experimental Example 3
3A. 필름 제작3A. Film production
PET 필름 상에 하드코팅(HC) 수지 조성물을 약 15㎛ 두께로 코팅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하고, 이를 PC 필름 및 PET 필름과 적층하였다(샘플 3-1). 이때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의 제조, 코팅 및 경화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A hard coating (HC) resin composition was coated on a PET film to a thickness of about 15 μm to prepare a hard coating film, which was laminated with a PC film and a PET film (Sample 3-1). At this time, the preparation, coating and curing conditions of the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were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또한, PC 필름을 중심으로 양면에 하드코팅 필름을 각각 적층하였다(샘플 3-2 내지 3-5). 이때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희석해서 하드코팅 두께를 9㎛ 내지 15㎛ 범위에서 변화시켰다. In addition, hard coating films were each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PC film as the center (Samples 3-2 to 3-5). At this time, the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was diluted to change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in the range of 9 μm to 15 μm.
필름 적층 시에는, 맞닿는 면에 접착제를 약 5㎛ 두께로 도포하여 접착하였으며, 접착제 종류, 도포 및 경화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When the film was laminated, an adhesive was applied to the abutting surface to a thickness of about 5 μm, and the adhesive type, application and curing conditions were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3B. 시험3B. exam
제조된 각 필름 샘플에 대해, 열처리 조건을 140℃ 및 2시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컬 변화를 측정하였다.For each of the prepared film samples, the curl chang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except that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were changed to 140°C and 2 hours.
상기 샘플들의 구조 및 평가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The structur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samples are shown in Table 3 below.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코어층(PC 필름)을 중심으로 상/하에 하드코팅 필름이 적층될 경우 컬 변화가 적었다. 또한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작을수록 컬 변화가 보다 적었다.As shown in Table 3, when a hard coating film is stacked above and below the core layer (PC film), there is little change in curl. In addition, the smaller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the smaller the curl change.
실험예 4Experimental Example 4
4A. 필름 제작4A. Film production
PET 필름 상에 하드코팅(HC) 수지 조성물을 약 9㎛ 두께로 코팅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때 샘플 4-1 내지 4-3에는 각각 아래의 하드코팅(HC)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그 외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의 코팅 및 경화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A hard coating film was prepared by coating a hard coating (HC) resin composition to a thickness of about 9 μm on a PET film. At this time, in Samples 4-1 to 4-3, the following hard coating (HC) resin compositions were use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ating and curing conditions of the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were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 샘플 4-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타입 수지(고형분 100 중량%, MIRAMER PU620NT, Miwon사) 25.4 중량부, 경화제(Irgacure 184, Ciba사) 1.7 중량부, 및 용매(톨루엔) 50.2 중량부-Sample 4-1: urethane acrylate oligomer type resin (
- 샘플 4-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타입 수지(고형분 70 중량%, D7, Miwon사) 47.6 중량부, 경화제(Irgacure 184, Ciba사) 1.7 중량부, 및 용매(톨루엔) 50.7 중량부-Sample 4-2: Urethane acrylate oligomer type resin (solid content 70% by weight, D7, Miwon) 47.6 parts by weight, curing agent (Irgacure 184, Ciba company) 1.7 parts by weight, and solvent (toluene) 50.7 parts by weight
- 샘플 4-3: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타입 수지(고형분 100 중량%, D9, Miwon사) 25.4 중량부, 경화제(Irgacure 184, Ciba사) 1.7 중량부, 및 용매(톨루엔) 50.2 중량부-Sample 4-3: Urethane acrylate oligomer type resin (
PC 필름을 중심으로 양면에 하드코팅 필름을 각각 적층하였다. 필름 적층 시에는, 맞닿는 면에 접착제를 약 5㎛ 두께로 도포하여 접착하였으며, 접착제 종류, 도포 및 경화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Hard coating films were each laminated on both sides with the PC film as the center. In the case of film lamination, an adhesive was applied to the abutting surface to a thickness of about 5 μm, and the adhesive type, application and curing conditions were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4B. 시험4B. exam
제조된 각 필름 샘플에 대해, 열처리 조건을 140℃ 및 2시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컬 변화를 측정하였다.For each of the prepared film samples, the curl chang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except that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were changed to 140°C and 2 hours.
상기 샘플들의 구조 및 평가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The structur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samples are shown in Table 4 below.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하드코팅층의 조성에 따라 컬 변화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샘플 4-1에서 하드코팅층에 사용한 수지(MIRAMER PU620NT)는 관능기가 6개인 고경도 하드코팅용 올리고머이며, 샘플 4-2에서 하드코팅층에 사용한 수지(D7)는 관능기가 9개인 플렉시블 하드코팅용 올리고머로서, 일반적으로 하드코팅층에 사용되는 수지의 경도가 높으면 내마모성이 높으나 컬 및 크랙의 발생이 증가하고, 반대로 수지의 경도가 낮으면 내마모성은 낮으나 컬 및 크랙의 발생이 작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샘플 4-3에서 하드코팅층에 사용한 수지(D9)는 관능기가 6개인 플렉시블 하드코팅용 올리고머로서 유기 실리카를 도입하여 내마모 특성을 개선하면서 컬 및 크랙의 발생도 낮출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4,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l change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hard coating layer. Specifically, the resin (MIRAMER PU620NT) used for the hard coating layer in Sample 4-1 is an oligomer for high hardness hard coating with 6 functional groups, and the resin (D7) used for the hard coating layer in Sample 4-2 is a flexible hard coating layer having 9 functional groups. As a coating oligomer, when the hardness of the resin generally used in the hard coating layer is high, the abrasion resistance is high, but the occurrence of curls and cracks increases, whereas when the hardness of the resin is low, the abrasion resistance is low, but the occurrence of curls and cracks tends to decrease. . On the other hand, the resin (D9) used for the hard coating layer in Sample 4-3 was an oligomer for flexible hard coating having 6 functional groups. By introducing organic silica,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curls and cracks while improving abrasion resistance.
실험예 5Experimental Example 5
5A. 필름 제작5A. Film production
PET 필름 상에 하드코팅(HC) 수지 조성물을 약 9㎛ 두께로 코팅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때 상기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타입 수지(고형분 70 중량%, D7, Miwon사) 47.6 중량부, 경화제(Irgacure 184, Ciba사) 1.7 중량부, 및 용매(톨루엔) 50.7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의 코팅 및 경화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A hard coating (HC) resin composition was coated on the PET film to a thickness of about 9 μm to prepare a hard coating film. At this time, the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is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type resin (solid content 70% by weight, D7, Miwon) 47.6 parts by weight, a curing agent (Irgacure 184, Ciba) 1.7 parts by weight, and a solvent (toluene) 50.7 parts by weight by mixing Was manufactured. The coating and curing conditions of the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were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PC 필름을 중심으로 양면에 하드코팅 필름을 각각 적층하였다. 필름 적층 시에는, 맞닿는 면에 접착제를 5㎛ 내지 10㎛ 범위 내에서 두께를 달리 도포하여 접착하였으며, 그 외 접착제 종류, 도포 및 경화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Hard coating films were each laminated on both sides with the PC film as the center. In the case of film lamination, the adhesive was applied by applying different thicknesses within the range of 5 μm to 10 μm on the abutting surface, and other types of adhesives, application and curing conditions were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5B. 시험5B. exam
제조된 각 필름 샘플에 대해, 열처리 조건을 140℃ 및 2시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컬 변화를 측정하였다.For each of the prepared film samples, the curl chang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except that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were changed to 140°C and 2 hours.
상기 샘플들의 구조 및 평가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The structure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samples are shown in Table 5 below.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접착층의 두께에 따라 컬 변화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5,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l change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실험예 6Experimental Example 6
6A. 필름 제작6A. Film production
PET 필름 상에 하드코팅(HC) 수지 조성물을 6㎛ 내지 9㎛ 범위 내에서 두께를 달리 코팅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때 샘플 6-1 내지 6-3에는 각각 아래의 하드코팅(HC)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그 외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의 코팅 및 경화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A hard coating (HC) resin composition was coated on a PET film with different thicknesses within the range of 6 μm to 9 μm to prepare a hard coating film. At this time, the following hard coating (HC) resin compositions were used in Samples 6-1 to 6-3,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ating and curing conditions of the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were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 샘플 6-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타입 수지(고형분 70 중량%, D7, Miwon사) 47.6 중량부, 경화제(Irgacure 184, Ciba사) 1.7 중량부, 및 용매(톨루엔) 50.7 중량부-Sample 6-1: Urethane acrylate oligomer type resin (solid content 70% by weight, D7, Miwon) 47.6 parts by weight, curing agent (Irgacure 184, Ciba company) 1.7 parts by weight, and solvent (toluene) 50.7 parts by weight
- 샘플 6-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타입 수지(고형분 70 중량%, D7, Miwon사) 47.6 중량부, 경화제(Irgacure 184, Ciba사) 1.7 중량부, 및 용매(톨루엔) 56.8 중량부-Sample 6-2: Urethane acrylate oligomer type resin (solid content 70% by weight, D7, Miwon) 47.6 parts by weight, curing agent (Irgacure 184, Ciba company) 1.7 parts by weight, and solvent (toluene) 56.8 parts by weight
- 샘플 6-3: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타입 수지(고형분 70 중량%, D7, Miwon사) 47.6 중량부, 경화제(Irgacure 184, Ciba사) 1.7 중량부, 및 용매(톨루엔) 60.0 중량부-Sample 6-3: Urethane acrylate oligomer type resin (solid content 70% by weight, D7, Miwon) 47.6 parts by weight, curing agent (Irgacure 184, Ciba company) 1.7 parts by weight, and solvent (toluene) 60.0 parts by weight
PC 필름을 중심으로 양면에 하드코팅 필름을 각각 적층하였다. 필름 적층 시에는, 맞닿는 면에 접착제를 약 10㎛ 두께로 도포하여 접착하였으며, 접착제 종류, 도포 및 경화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Hard coating films were each laminated on both sides with the PC film as the center. When laminating the film, an adhesive was applied to the abutting surface to a thickness of about 10 μm, and the adhesive type, application and curing conditions were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6B. 시험6B. exam
제조된 각 필름 샘플에 대해, 열처리 조건을 140℃ 및 2시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컬 변화를 측정하였다.For each of the prepared film samples, the curl chang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except that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were changed to 140°C and 2 hours.
상기 샘플들의 구조 및 평가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The structur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samples are shown in Table 6 below.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하드코팅층의 두께에 따라 컬 변화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6,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l change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실험예 7Experimental Example 7
7A. 필름 제작7A. Film production
PET 필름 상에 하드코팅(HC) 수지 조성물을 6㎛ 두께로 코팅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때, 샘플 7-1 및 7-2의 전면/후면 하드코팅층은 각각 아래의 하드코팅(HC)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그 외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의 코팅 및 경화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A hard coating film was prepared by coating a hard coating (HC) resin composition to a thickness of 6 μm on the PET film. At this time, the hard coating (HC) resin composition below was used for the front/rear hard coating layers of Samples 7-1 and 7-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ating and curing conditions of the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were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 샘플 7-1의 전면/후면 하드코팅층: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타입 수지(고형분 70 중량%, D7, Miwon사) 47.6 중량부, 경화제(Irgacure 184, Ciba사) 1.7 중량부, 및 용매(톨루엔) 60.0 중량부-Front/rear hard coating layer of Sample 7-1: Urethane acrylate oligomer type resin (solid content 70% by weight, D7, Miwon) 47.6 parts by weight, hardener (Irgacure 184, Ciba) 1.7 parts by weight, and solvent (toluene) 60.0 parts by weight
- 샘플 7-2의 전면 하드코팅층: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타입 수지(고형분 70 중량%, D7, Miwon사) 47.6 중량부, 경화제(Irgacure 184, Ciba사) 1.7 중량부, 방오제(KY-1203, ShinEtsu사) 0.2 중량부 및 용매(톨루엔) 60.0 중량부-Front hard coating layer of Sample 7-2: Urethane acrylate oligomer type resin (solid content 70% by weight, D7, Miwon) 47.6 parts by weight, hardener (Irgacure 184, Ciba) 1.7 parts by weight, antifouling agent (KY-1203, ShinEtsu) 0.2 parts by weight and solvent (toluene) 60.0 parts by weight
- 샘플 7-2의 후면 하드코팅층: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타입 수지(고형분 70 중량%, D7, Miwon사) 47.6 중량부, 레벨링제(Flow-300 ; TEGO사) 1.7 중량부 및 용매(톨루엔) 60.0 중량부-Rear hard coating layer of Sample 7-2: Urethane acrylate oligomer type resin (solid content 70% by weight, D7, Miwon) 47.6 parts by weight, leveling agent (Flow-300; TEGO) 1.7 parts by weight and solvent (toluene) 60.0 Parts by weight
PC 필름을 중심으로 양면에 하드코팅 필름을 각각 적층하였다. 필름 적층 시에는, 맞닿는 면에 접착제를 약 10㎛ 두께로 도포하여 접착하였으며, 접착제 종류, 도포 및 경화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Hard coating films were each laminated on both sides with the PC film as the center. When laminating the film, an adhesive was applied to the abutting surface to a thickness of about 10 μm, and the adhesive type, application and curing conditions were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7B. 시험7B. exam
제조된 각 필름 샘플에 대해, 하드코팅층을 아래와 같이 평가하였다.For each prepared film sample, the hard coating layer was evaluated as follows.
- 전면 하드코팅층: 물에 대한 접촉각 측정-Front hard coating layer: Measurement of contact angle with water
- 후면 하드코팅층: 다인펜(dyne pen, Acrotest사)을 이용해 표면장력 측정-Back hard coating layer: Surface tension measurement using Dyne pen (Acrotest)
상기 샘플들의 구조 및 평가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The structure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samples are shown in Table 7 below.
상기 표 7에서 보듯이, 전면 하드코팅층에 방오제를 첨가하여 수 접촉각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에서 오염 방지나 내지문 특성이 발휘될 수 있다. 또한 후면 하드코팅층에 레벨링제를 첨가하여 표면장력이 증가하였고, 이 경우 내부에 데코레이션을 위한 몰드 형성이나 디자인 인쇄가 용이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7, the water contact angle was increased by adding an antifouling agent to the front hard coating layer, and thus, contamination prevention or anti-fingerprint properties may be exhibited on the entir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surface tension was increased by adding a leveling agent to the rear hard coating layer, and in this case, it may be easy to form a mold for decoration or print a design.
실험예 8Experimental Example 8
8A. 필름 제작8A. Film production
실험예 4에서 제작된 샘플 4-1과 실험예 7에서 제작된 샘플 7-1을 준비하였다.Sample 4-1 prepared in Experimental Example 4 and Sample 7-1 prepared in Experimental Example 7 were prepared.
8B. 시험8B. exam
준비된 샘플에 대해 가열성형(thermoforming)을 수행하면서 컬 발생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열성형장치(SHT-HTFC 001, 성호테크사)를 이용하여 아래 조건에서 성형 평가하였다.Curling was observed while performing thermoforming on the prepared sample. Specifically, molding was evaluat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using a heating molding apparatus (SHT-HTFC 001, Sungho Tech Co., Ltd.).
1) 성형온도: 140℃1) Molding temperature: 140℃
2) 성형시간: 예열(10초), 성형(15초), 냉각(60초)2) Molding time: preheating (10 seconds), molding (15 seconds), cooling (60 seconds)
3) 열포밍 지그: 크기(72.5mm x 155mm), 에지 곡률(4R)3) Heat forming jig: size (72.5mm x 155mm), edge curvature (4R)
상기 샘플들의 구조 및 평가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The structur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samples are shown in Table 8 below.
상기 표 8에서 보듯이, 샘플 7-1은 가열성형시 컬 발생이 없었다. 추가로, 샘플 7-1의 경우 가열성형 후에 하드코팅층에 크랙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샘플 4-1은 에지 부위의 하드코팅층에 크랙이 다수 발견되었다.As shown in Table 8, sample 7-1 did not cause curling during heat mold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Sample 7-1, no cracks were found in the hard coating layer after heat molding, but in Sample 4-1, a number of cracks were found in the hard coating layer at the edge portion.
실험예 9Experimental Example 9
9A. 필름 제작9A. Film production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다른 필름으로서 실험예 6에서 제작된 샘플 6-1 내지 6-3을 준비하였다.Samples 6-1 to 6-3 prepared in Experimental Example 6 were prepared as film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hard coating layers.
9B. 시험9B. exam
준비된 샘플에 대해서 맨드릴 시험기(Elcometer cylindrical mandrel tester; 모델명: K1506M201)를 이용하여 굴곡성(bending)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준비된 샘플에 대해 가열성형을 수행하면서 크랙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이때 가열성형 조건은 실험예 8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상기 샘플들의 하드코팅층의 두께 및 평가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For the prepared sample, bending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an Elcometer cylindrical mandrel tester (model name: K1506M201). In addition, it was observed whether cracks occurred while performing heat molding on the prepared sample. At this time, the heating molding condition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8. The thicknes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hard coating layer of the samples are shown in Table 9 below.
상기 표 9에서 보듯이, 하드코팅층의 두께에 따라 성형 특성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두께 6㎛의 하드코팅층을 갖는 샘플 6-3은 굴곡성이 가장 우수하였고 가열성형 시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다.As shown in Table 9, it was confirmed that the molding properties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In particular, Sample 6-3 having a hard co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6 μm was the most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no cracks occurred during heat molding.
실험예 10Experimental Example 10
10A. 필름 제작10A. Film production
PET 필름으로서 SKC사에서 제작한 다양한 두께(50㎛, 75㎛, 100㎛)의 제품(V7610)을 준비하고, PC 필름으로서 SKC HT&M사에서 제작한 다양한 두께(30㎛, 50㎛)의 제품을 준비하였다. As a PET film, products of various thicknesses (50㎛, 75㎛, 100㎛) manufactured by SKC (V7610) were prepared, and products of various thicknesses (30㎛, 50㎛) manufactured by SKC HT&M as a PC film were prepared. Ready.
PET 필름 상에 하드코팅(HC) 수지 조성물을 약 6㎛ 두께로 코팅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때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실험예 6에서 사용된 샘플 6-3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였고, 그 외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의 코팅 및 경화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A hard coating film was prepared by coating a hard coating (HC) resin composition to a thickness of about 6 μm on a PET film. At this time, the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of Sample 6-3 used in Experimental Example 6 was used as the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and the coating and curing conditions of the other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were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PC 필름을 중심으로 양면에 하드코팅 필름을 각각 적층하였다. 필름 적층 시에는, 맞닿는 면에 접착제를 약 10㎛ 두께로 도포하여 접착하였으며, 접착제 종류, 도포 및 경화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Hard coating films were each laminated on both sides with the PC film as the center. When laminating the film, an adhesive was applied to the abutting surface to a thickness of about 10 μm, and the adhesive type, application and curing conditions were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10B. 시험10B. exam
제조된 샘플에 대해 열처리 조건을 140℃ 및 2시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컬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샘플들의 구조 및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The curl chang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except that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for the prepared sample were changed to 140°C and 2 hours. The structure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samples are shown in Table 10 below.
상기 표 10에서 보듯이,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6㎛로 제작된 대칭적인 구조의 적층체(샘플 10-1 내지 10-6)들은, PET 필름 및 PC 필름의 두께가 100㎛ 이하로 제작되더라도, 고온에서 컬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As shown in Table 10, the laminates (Samples 10-1 to 10-6) of a symmetrical structur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is 6 μm,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PET film and the PC film is 100 μm or less, No curl change was observed at high temperatures.
실험예 11Experimental Example 11
11A. 필름 제작11A. Film production
PET 필름으로서 광축이 제어된 고위상차 PET 필름(TU08, SKC사) 및 위상차가 최소화된 PET 필름(TOF40, SKC사)을 다양한 두께(40㎛, 55㎛, 80㎛)로 준비하고, PC 필름으로서 SKC HT&M사에서 제작한 다양한 두께(30㎛, 50㎛)의 제품을 준비하였다.As a PET film, a high-order phase difference PET film with controlled optical axis (TU08, SKC) and a PET film with minimized phase difference (TOF40, SKC) were prepared in various thicknesses (40㎛, 55㎛, 80㎛), and as a PC film. Products of various thicknesses (30㎛, 50㎛) manufactured by SKC HT&M were prepared.
PET 필름 상에 하드코팅(HC) 수지 조성물을 약 6㎛ 두께로 코팅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때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실험예 6에서 사용된 샘플 6-3의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였고, 그 외 하드코팅 수지 조성물의 코팅 및 경화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A hard coating film was prepared by coating a hard coating (HC) resin composition to a thickness of about 6 μm on a PET film. At this time, the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of Sample 6-3 used in Experimental Example 6 was used as the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and the coating and curing conditions of the other hard coating resin composition were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이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PC 필름과의 적층체를 제작하거나 또는 단일 하드코팅 필름으로 남겨두었다. 필름 적층 시에는, 맞닿는 면에 접착제를 약 10㎛ 두께로 도포하여 접착하였으며, 접착제 종류, 도포 및 경화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Using this, a laminate with a PC film was prepared as follows or left as a single hard coating film. When laminating the film, an adhesive was applied to the abutting surface to a thickness of about 10 μm, and the adhesive type, application and curing conditions were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 샘플 11-1 내지 11-4: 광축이 제어된 고위상차 PET 필름을 이용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하고, PC 필름을 중심으로 양면에 하드코팅 필름을 각각 적층-Samples 11-1 to 11-4: A hard coating film was prepared using a PET film with a controlled optical axis, and a hard coating film was laminated on both sides with a PC film as the center.
- 샘플 11-5 및 11-6: 위상차가 최소화된 PET 필름을 이용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하고, PC 필름을 중심으로 양면에 하드코팅 필름을 각각 적층함-Samples 11-5 and 11-6: A hard coating film was prepared using a PET film with a minimized retardation, and a hard coating film was laminated on both sides with a PC film as the center.
- 샘플 11-7 및 11-8: 광축이 제어된 고위상차 PET 필름을 이용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Samples 11-7 and 11-8: Hard coating film was prepared using high-order PET film with controlled optical axis
- 샘플 11-9: 위상차가 최소화된 PET 필름을 이용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작-Sample 11-9: A hard coating film was produced using PET film with minimized retardation.
10B. 시험10B. exam
제조된 샘플에 대해 가열성형 방식을 통해 실험예 8과 동일하게 성형 평가를 진행하였다. 상기 샘플들의 구조 및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Molding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prepared sample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8 through a heat molding method. The structure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samples are shown in Table 11 below.
상기 표 11에서 보듯이,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6㎛로 제작된 대칭적인 구조의 적층체(샘플 11-1 내지 11-6)들은, PET 필름 및 PC 필름의 두께가 100㎛ 이하로 제작되더라도, 가열성형 시에 컬 발생 없이 양호한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들 적층체들은 광축이 제어되거나 위상차가 최소화된 PET 필름을 구비하여 광학적 간섭이 거의 없으므로 모바일 기기 등에서 광학 방식의 지문 인식과 같은 기능을 활용하는데 문제가 없다.As shown in Table 11, the symmetrical laminates (Samples 11-1 to 11-6)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is 6 μm,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PET film and the PC film is 100 μm or less, It can be seen that it is molded into a good shape without causing curls during heat molding. In particular, since these laminates have a PET film whose optical axis is controlled or phase difference is minimized, there is little optical interference, so there is no problem in utilizing functions such as optical fingerprint recognition in mobile devices.
한편, 단일 하드코팅 필름(샘플 11-7 내지 11-9)은 가열성형 시에 비틀림 컬이 발생하여 굴곡 성형 등이 필요한 모바일 기기의 전면 또는 후면 커버로의 적용이 어려울 수 있으나, 이러한 가열성형이 특별히 필요치 않거나 점착제에 의해 커버에 접합하는 전면 보호 필름으로는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single hard coating film (Samples 11-7 to 11-9) may be difficult to apply to the front or rear cover of mobile devices that require bending molding due to torsion curls occurring during heat molding. It may not be particularly necessary or may be applicable as a front protective film bonded to the cover with an adhesive.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적층체로부터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체는 고내구성을 가지면서 다기능 복합화에 따른 비용절감이 가능한 장점과 함께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므로, 종래의 글래스 소재를 대체하여 모바일 기기의 전면이나 후면 커버 또는 전면 보호 필름으로 적용될 수 있다.Since the plastic molded body molded from the plastic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high durability and can be used in various ways with the advantage of reducing costs due to multi-functional composites, it can replace the conventional glass material to cover the front or rear of the mobile device or It can be applied as a front protective film.
10: 제 1 시트, 20: 제 2 시트,
100: 코어 기재층, 210: 제 1 기재층,
220: 제 2 기재층, 310: 제 1 하드코팅층,
320: 제 2 하드코팅층, 410: 제 1 접착층,
420: 제 2 접착층, 500: 점착층,
600: 이형지.10: first sheet, 20: second sheet,
100: core substrate layer, 210: first substrate layer,
220: second base layer, 310: first hard coating layer,
320: second hard coating layer, 410: first adhesive layer,
420: second adhesive layer, 500: adhesive layer,
600: Hyungji Lee.
Claims (14)
상기 코어 기재층의 일면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 1 기재층 및 제 1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제 1 시트; 및
상기 코어 기재층의 타면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 2 기재층 및 제 2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제 2 시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적층체로서,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가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갖고, 상기 코어 기재층이 25㎛ 내지 100㎛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이 10㎛ 이상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이 전폭에 대하여 ±1˚ 이내의 배향각 편차 또는 100 nm 이하의 면내 위상차를 갖고,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이 3㎛ 내지 6㎛의 두께를 갖고 관능기가 6개 내지 10개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수지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의 총 두께가 200㎛ 이하이고,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가 140℃에서 2시간 방치 후 모서리에 0.3 mm 이내 높이의 컬(curl) 변화를 갖는, 플라스틱 적층체.
Core base layer;
A first sheet including a first substrate layer and a first hard coating layer sequenti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ore substrate layer; And
A plastic laminate comprising a second sheet including a second base layer and a second hard coating layer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re base layer,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 to 1: 1.1, the core base layer has a thickness of 25 µm to 100 µm, and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have 10 Has a thickness of µm or more, and the first and second base layers have an orientation angle deviation within ±1° or an in-plane retardation of 100 nm or less with respect to the full width, and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resin having a thickness of 3 μm to 6 μm and a functional group of 6 to 10 or a resin derived therefrom,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plastic laminate is 200 μm or less, and the plastic laminate is After standing at 140° C. for 2 hours, the plastic laminate has a change in the height of within 0.3 mm at the corners.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이 10㎛ 내지 100㎛의 두께를 갖는, 플라스틱 적층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stic laminate, wherei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have a thickness of 10 μm to 100 μm.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가 표면에서 3H 이상의 연필 경도 및 물에 대해 80˚ 내지 130˚의 접촉각을 갖는, 플라스틱 적층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stic laminate has a pencil hardness of 3H or more on the surface and a contact angle of 80˚ to 130˚ with respect to water, the plastic laminate.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이 유기 실리카를 더 포함하는, 플라스틱 적층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further comprises an organic silica, plastic laminate.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가
상기 코어 기재층과 상기 제 1 시트 사이에 배치된 제 1 접착층; 및
상기 코어 기재층과 상기 제 2 시트 사이에 배치된 제 2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이 1 : 0.5 내지 1 : 1.5의 두께비를 갖는, 플라스틱 적층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stic laminate
A first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core substrate layer and the first sheet;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core substrate layer and the second sheet,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ratio of 1: 0.5 to 1: 1.5, the plastic laminate.
상기 코어 기재층,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이 각각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또는 이들의 얼로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드코팅층이 방오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이 레벨링제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적층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re substrate layer, the first substrate layer, and the second substrate layer each contain polycarbon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or alloy resins thereof,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contains an antifouling agent,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contains a leveling agent.
상기 방오제가 실리콘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변성아크릴기능성실록산, 플루오로폴리에테르 및 플루오로아크릴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레벨링제가 비실리콘아크릴화합물 및 플루오로아크릴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플라스틱 적층체.
The method of claim 8,
The antifouling age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e polyether acrylate, polyether-modified acrylic functional siloxane, fluoropolyether, and fluoroacrylic compound,
The leveling age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on-silicone acrylic compounds and fluoroacrylic compounds, the plastic laminate.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가 상기 코어 기재층과 상기 제 1 시트 사이에 배치된 제 1 접착층; 및 상기 코어 기재층과 상기 제 2 시트 사이에 배치된 제 2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이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갖고,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이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갖고,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이 1 : 0.5 내지 1 : 1.5의 두께비를 갖고,
상기 제 1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이 5㎛ 내지 15㎛의 두께를 갖는, 플라스틱 적층체.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adhesive layer in which the plastic laminate is disposed between the core substrate layer and the first sheet; And a second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core substrate layer and the second sheet,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 to 1: 1.1,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 to 1: 1.1, the second 1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5 to 1: 1.5,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5㎛ to 15㎛, the plastic laminate.
제 2 기재층 상에 제 2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여 제 2 시트를 얻는 단계;
코어 기재층의 일면 상에 상기 제 1 기재층이 대면하도록 상기 제 1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 기재층의 타면 상에 상기 제 2 기재층이 대면하도록 상기 제 2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적층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가 1 : 0.9 내지 1 : 1.1의 두께비를 갖고, 상기 코어 기재층이 25㎛ 내지 100㎛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이 10㎛ 이상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1 기재층 및 상기 제 2 기재층이 전폭에 대하여 ±1˚ 이내의 배향각 편차 또는 100 nm 이하의 면내 위상차를 갖고, 상기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이 3㎛ 내지 6㎛의 두께를 갖고 관능기가 6개 내지 10개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수지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의 총 두께가 200㎛ 이하이고, 상기 플라스틱 적층체가 140℃에서 2시간 방치 후 모서리에 0.3 mm 이내 높이의 컬(curl) 변화를 갖는, 플라스틱 적층체의 제조방법.
Forming a first hard coating layer on the first base layer to obtain a first sheet;
Forming a second hard coating layer on the second base layer to obtain a second sheet;
Laminating the first sheet on one side of the core base layer so that the first base layer fac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stic laminate comprising the step of laminating the second sheet so that the second base layer faces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re base layer,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have a thickness ratio of 1: 0.9 to 1: 1.1, the core base layer has a thickness of 25 µm to 100 µm, and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have 10 Has a thickness of µm or more, and the first and second base layers have an orientation angle deviation within ±1° or an in-plane retardation of 100 nm or less with respect to the full width, and the first hard coating layer and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resin having a thickness of 3 μm to 6 μm and a functional group of 6 to 10 or a resin derived therefrom,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plastic laminate is 200 μm or less, and the plastic laminate is After standing at 140° C. for 2 hour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stic laminate having a change in curl of a height of 0.3 mm or less at the corners.
상기 코어 기재층의 일면 상에 제 1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 기재층의 타면 상에 제 2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를 동시에 수행하는, 플라스틱 적층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Laminating a first sheet on one side of the core base layer and stacking a second sheet on the other side of the core base layer at the same tim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stic laminate.
A plastic molded article molded from the plastic laminate of claim 1.
상기 플라스틱 성형체가 모바일 기기의 전면 커버, 후면 커버, 또는 전면 보호 필름으로 적용되는, 플라스틱 성형체.The method of claim 13,
The plastic molded body is applied as a front cover, a rear cover, or a front protective film of a mobile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9273A KR102233236B1 (en) | 2020-03-09 | 2020-03-09 | Plastic lamin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lastic molded product obtained therefrom |
CN202010360445.6A CN111844990B (en) | 2019-04-30 | 2020-04-30 | Plastic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plastic molded bod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9273A KR102233236B1 (en) | 2020-03-09 | 2020-03-09 | Plastic lamin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lastic molded product obtained therefro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33236B1 true KR102233236B1 (en) | 2021-03-29 |
Family
ID=7524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9273A Active KR102233236B1 (en) | 2019-04-30 | 2020-03-09 | Plastic lamin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lastic molded product obtained therefro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3236B1 (en)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40187A (en) * | 2010-01-08 | 2011-07-21 | Teijin Chem Ltd | Laminated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d film, and electronic component |
KR20130081576A (en) * | 2012-01-09 | 2013-07-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Transparent laminate, window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
JP2014152281A (en) * | 2013-02-12 | 2014-08-25 | Riken Technos Corp | Method for producing transparent resin laminate film |
KR20150038319A (en) * | 2012-08-01 | 2015-04-08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Anti-reflective hard coat and anti-reflective article |
KR20150093646A (en) * | 2012-12-07 | 2015-08-18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Laminated body |
KR20160065335A (en) * | 2014-11-28 | 2016-06-09 | 희성전자 주식회사 | Antifouling hard coating composition, Method for forming coating layer using the same and Seet having antifouling hard coating layer |
KR20170005755A (en) | 2015-07-06 | 2017-0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volving Glass Cover |
KR20190085996A (en) * | 2017-03-03 | 2019-07-19 |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 An optical film and a front plat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 image display device, a mirror including an image display function, a resistive film touch panel, and a capacitive touch panel |
KR20200006552A (en) * | 2017-05-10 | 2020-01-20 | 리껭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 Hard coat laminated film |
-
2020
- 2020-03-09 KR KR1020200029273A patent/KR10223323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40187A (en) * | 2010-01-08 | 2011-07-21 | Teijin Chem Ltd | Laminated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d film, and electronic component |
KR20130081576A (en) * | 2012-01-09 | 2013-07-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Transparent laminate, window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
KR20150038319A (en) * | 2012-08-01 | 2015-04-08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Anti-reflective hard coat and anti-reflective article |
KR20150093646A (en) * | 2012-12-07 | 2015-08-18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Laminated body |
JP2014152281A (en) * | 2013-02-12 | 2014-08-25 | Riken Technos Corp | Method for producing transparent resin laminate film |
KR20160065335A (en) * | 2014-11-28 | 2016-06-09 | 희성전자 주식회사 | Antifouling hard coating composition, Method for forming coating layer using the same and Seet having antifouling hard coating layer |
KR20170005755A (en) | 2015-07-06 | 2017-0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volving Glass Cover |
KR20190085996A (en) * | 2017-03-03 | 2019-07-19 |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 An optical film and a front plat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 image display device, a mirror including an image display function, a resistive film touch panel, and a capacitive touch panel |
KR20200006552A (en) * | 2017-05-10 | 2020-01-20 | 리껭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 Hard coat laminated fil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3237B1 (en) | Plastic lamin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lastic molded product obtained therefrom | |
EP2689929B1 (en) | Decorative sheet for three-dimensional mol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decorative molded article using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KR102215669B1 (en) | Hard coated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JP5539605B2 (en) | Active energy ray-curable coating agent and use thereof | |
EP2535383B1 (en) | Resin composite for forming hard coat layer | |
US9387610B2 (en) | Hard coating forming method | |
KR20190131140A (en) | Transfer film for in-mold mol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KR20170103644A (en) | Hard coating film | |
KR102008525B1 (en) | Hard coat film | |
TW201524785A (en) | High hardness film | |
KR102092873B1 (en) | Plastic lamin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lastic molded product obtained therefrom | |
KR102091556B1 (en) | Plastic lamin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lastic molded product obtained therefrom | |
CN111844992B (en) | Plastic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plastic molded body | |
KR102501158B1 (en) | Multi-layer PET sheet with excellent non-slip and antistatic performance and molded article thereby | |
KR20130018475A (en) | Laminate | |
KR102233236B1 (en) | Plastic lamin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lastic molded product obtained therefrom | |
KR102233234B1 (en) | Plastic lamin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lastic molded product obtained therefrom | |
JP6194361B6 (en) | Heat-resistant laminated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KR101335268B1 (en) | A optical transparent composite film for the use of display laminated with a protective film for proces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11844990B (en) | Plastic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plastic molded body | |
KR20250055641A (en) | Plastic film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JPWO2015029666A6 (en) | Heat-resistant laminated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CN113557138A (en) | Laminated film for molding | |
JP2016097550A (en) | Curved transparent resin laminate, display cover having the sam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20250055642A (en) | Plastic film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3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