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024B1 - 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3024B1 KR102233024B1 KR1020170093267A KR20170093267A KR102233024B1 KR 102233024 B1 KR102233024 B1 KR 102233024B1 KR 1020170093267 A KR1020170093267 A KR 1020170093267A KR 20170093267 A KR20170093267 A KR 20170093267A KR 102233024 B1 KR102233024 B1 KR 1022330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ase
- combiner
- motor
- sli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와, 모터부와 연동되어 케이스부에서 왕복 이동되는 슬라이더부와, 슬라이더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동력생성부와, 동력생성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동력전달부와, 동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차량 정보를 표시하고 케이스부에 내장되거나 케이스부에서 인출되는 컴바이너부와, 동력전달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동력전송부와, 동력전송부와 연결되고 케이스부를 커버하거나 케이스부에 삽입되는 수납커버부 및 슬라이더부와 연동되어 회전되고 케이스부에 내장된 컴바이너부를 커버하는 차단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case unit; a motor unit mounted on the case unit and providing driving force when power is applied; a slider unit interlocked with the motor unit to reciprocate in the case unit; and a slider A power generation unit that rotates in connection with the unit,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a combiner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o display vehicle information and is built into the case unit or drawn from the case unit, and power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transmission unit, a storage cover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covers the case or inserted into the case, and a blocking cover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lider unit and covers the combiner unit built in the case unit. Including wealth,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물 유입을 차단하고, 하나의 모터로 구동되어 비용을 절감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that blocks the inflow of contaminants and is driven by a single motor to reduce costs.
일반적으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바이너 또는 차량의 전면유리창에 다양한 차량 정보를 가상 이미지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차량 운전 중 전방을 계속 주시하면서 차량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general, the head-up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displays various vehicle information as a virtual image on a combiner or a windshield of a vehicle. Accordingly, the driver can check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while continuing to look ahead while driving the vehicle.
종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바이너가 외부에 노출되므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컴바이너가 이물질에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In the conventional head-up display device, since the combiner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biner may be contaminated with foreign substances even if the head-up display device is not us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60648호(2017.06.02.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게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blish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7-0060648 (published on June 2, 2017, title of the invention: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오염물 유입을 차단하고, 하나의 모터로 구동되어 비용을 절감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that blocks the inflow of contaminants and is driven by a single motor to reduce cost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와 연동되어 상기 케이스부에서 왕복 이동되는 슬라이더부; 상기 슬라이더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동력생성부; 상기 동력생성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차량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케이스부에 내장되거나 상기 케이스부에서 인출되는 컴바이너부; 상기 동력전달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동력전송부; 상기 동력전송부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부를 커버하거나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되는 수납커버부; 및 상기 슬라이더부와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케이스부에 내장된 상기 컴바이너부를 커버하는 차단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portion; A motor unit mounted on the case unit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when power is applied; A slider unit interlocked with the motor unit to reciprocate in the case unit; A power generation unit that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slider unit; A power transmission unit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power generation unit; A combiner unit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o display vehicle information, and to be embedded in the case unit or drawn out from the case unit; A power transmission unit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storage cover part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part and covering the case part or inserted into the case part; And a blocking cover part which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slider part and covers the combiner part built in the case part.
상기 케이스부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부를 안내하는 케이스측판부; 상기 케이스측판부를 연결하고, 상기 모터부가 장착되는 케이스연결부; 및 상기 케이스측판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납커버부와 상기 차단커버부를 안내하는 케이스내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e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pair, and the case side plate portion for guiding the slider portion; A cas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case side plate and on which the motor part is mounted; And a case inner plate portion protruding into the case side plate portion and guiding the storage cover portion and the blocking cover portion.
상기 모터부는 상기 케이스연결부에 장착되는 모터케이스부; 상기 모터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구동부; 상기 모터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모터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전달부; 및 상기 모터전달부와 맞물려 회전되고, 상기 케이스측판부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더부와 연결되는 모터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tor unit includes a motor case unit mounted on the case connection unit; A motor driving unit mounted on the motor case and driven when power is applied; A motor transmission unit mounted to be rotatable in the motor case unit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driving unit; And a motor operation unit that is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motor transmission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slider unit through the case side plate unit.
상기 모터전달부는 상기 모터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모터구동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1전달기어부; 및 상기 제1전달기어부와 연동되고, 상기 모터작동부와 맞물리는 제2전달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transmission gear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motor case unit and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motor drive unit; And a second transmission gear unit interlocked with the first transmission gear unit and engaged with the motor operation unit.
상기 모터작동부는 상기 케이스측판부를 관통하여 회전되는 작동축부; 상기 작동축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전달기어부와 맞물리는 작동센터기어부; 및 상기 작동축부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더부와 맞물리는 작동사이드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tor operation unit may include an operation shaft portion rotated through the case side plate portion; An operation center gear part mounted on the operation shaft part and engaged with the second transmission gear part; And an operating side gear portion mounted on an end portion of the operating shaft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slider portion.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이동몸체부;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부와 맞물리는 이동치열부;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에서 돌출되는 이동핀부가 관통되어 상기 이동몸체부의 직선 이동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이드부;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동력생성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몸체부의 이동시 상기 동력생성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이동유도부; 및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몸체부의 이동시 상기 차단커버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이동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der part includes a moving body part disposed outside the case part; A moving tooth row part formed on the moving body part and engaged with the motor part; At least one movement guide part formed in the moving body part and passing through a moving pin part protruding from the case part to induce 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body part; A movement induction part formed on the moving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on part, and inducing rot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part when the moving body part moves; And a movement guide part formed on the moving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blocking cover part to induce rotation of the blocking cover part when the moving body part is moved.
상기 이동유도부는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유도홀부;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유도홀부 보다 낮게 위치되는 제2유도홀부; 및 상기 제1유도홀부와 상기 제2유도홀부를 연결하는 제3유도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ement induction part includes a first induction hole formed in the movement body; A second guiding hole formed in the moving body portion and positioned lower than the first guiding hole portion; And a third induction hole connecting the first induction hole and the second induction hole.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안내홀부;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홀부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2안내홀부; 및 상기 제1안내홀부와 상기 제2안내홀부를 연결하는 제3안내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guide part includes a first guide hole formed in the moving body; A second guide hole formed in the moving body and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guide hole; And a third guide hole part connecting the first guide hole part and the second guide hole part.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이동몸체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몸체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이동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der unit further comprises a moving restoration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ase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oving body unit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moving body unit.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고, 상기 케이스부에서 인출되는 상기 컴바이너부에 걸려 상기 컴바이너부의 틸팅을 유도하는 이동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der part is formed in the moving body part, penetrates the case part, and is caught by the combiner part drawn out from the case part, and a moving pressurizing part for inducing tilting of the combiner part.
상기 동력생성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생성몸체부; 상기 생성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맞물리는 생성치열부; 상기 생성몸체부에서 연장되는 생성연장부; 및 상기 생성연장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유도부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유도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생성연장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생성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generating unit includes a generating body rotatably mounted to the case unit; A generating tooth row part formed on the generating body part and engag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part; A generation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generation body part; And a generation pin part formed in the generation extension part and inserted into the movement guide part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generation extension part while being moved along the movement guide part.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동력생성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전달기어부; 상기 전달기어부와 연결되는 전달막대부; 상기 전달막대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달링크부; 상기 전달링크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컴바이너부와 연결되는 전달지지부; 및 상기 전달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에 형성되는 컴바이너안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컴바이너안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전달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ase unit, the transmission gear unit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power generation unit; A transmission rod portion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gear portion; A transmission link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transmission rod portion; A transfer support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transfer link part and connected to the combiner part; And a transfer pin part formed in the transfer support part, inserted into the combiner guide part formed in the case part, and moved along the combiner guide part.
상기 컴바이너부는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컴바이너표시부; 상기 컴바이너표시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달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컴바이너지지부; 및 상기 컴바이너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달지지부에 형성되는 전달연결부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컴바이너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biner unit may include a combiner display unit that displays vehicle information; A combiner support unit mounted on the combiner display unit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transfer support unit; And a combiner guide part formed in the combiner support part and movable by inserting a transfer connection part formed in the transfer support part.
상기 컴바이너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컴바이너지지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컴바이너지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컴바이너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biner unit further comprises a combiner restoration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ase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mbiner support unit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combiner support unit.
상기 컴바이너부는 상기 컴바이너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부에 걸려 가압되는 컴바이너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biner portion is formed on the combiner support portion, the combiner pressing portion to be pressed against the slide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동력전송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전송기어부; 상기 전송기어부와 연결되는 전송막대부; 및 상기 전송막대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납커버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전송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ase unit, the transmission gear unit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transmission rod portion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gear portion; And a transmission link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transmission rod portion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torage cover portion.
상기 수납커버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 개방된 영역을 커버하거나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되는 수납덮개부; 상기 수납덮개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와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수납유지부; 및 상기 수납덮개부에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송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수납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rage cover part covers an upper open area of the case part or a storage cover part inserted into the case part; A storage holding part formed on the storage cover part and maintaining a connection state with the case part; And a receiving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receiving cov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part,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case part.
상기 수납커버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수납덮개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수납덮개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납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rage cover portion is coupled to the case portion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torage cover portion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storage cove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상기 차단커버부는 상기 컴바이너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컴바이너부를 커버하는 차단덮개부; 상기 차단덮개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차단다리부; 및 상기 차단다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부와 연동되어 상기 차단다리부를 회전시키는 차단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ing cover part is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combiner part to cover the combiner part; A blocking leg portion coupled to the blocking cover portion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case portion; And a blocking pin part formed on the blocking leg part and interlocking with the slider part to rotate the blocking leg part.
상기 차단커버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차단다리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차단덮개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차단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ing cover portion is coupled to the case portion at one e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leg portion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blocking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바이너부가 케이스부에 내장되고 필요에 따라 케이스부의 외부로 노출되되, 수납커버부와 차단커버부가 케이스부의 개구된 영역을 개폐하여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In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er unit is embedded in the case unit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unit as necessary, but the storage cover unit and the blocking cover unit open and close the open area of the case unit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터부의 구동으로 슬라이더부가 이동되면, 슬라이더부와 연동되는 차단커버부가 회전되어 슬라이더부의 이동경로에서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ider part is moved by driving of the motor part, the blocking cover part interlocking with the slider part is rotated and may be disposed so as to deviate from the moving path of the slider par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터부의 구동으로 슬라이더부가 이동되면, 슬라이더부와 연동되어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컴바이너부가 상승하고, 수납커버부가 케이스부에 삽입될 수 있다.In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ider unit is moved by driving of the motor unit, power is transmitted by interlocking with the slider unit, so that the combiner unit may rise and the storage cover unit may be inserted into the case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력 전달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케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모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슬라이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력생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력전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컴바이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력전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납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단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컴바이너부가 내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컴바이너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슬라이더부의 이동에 따른 차단커버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슬라이더부의 이동에 따른 동력생성부의 동력 전달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슬라이더부의 이동으로 컴바이너부가 중간지점까지 상승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슬라이더부의 이동으로 컴바이너부가 최고점까지 상승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슬라이더부의 이동으로 컴바이너부가 틸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ase par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tor uni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lider uni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wer generation uni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biner uni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in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orage cover par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locking cover par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mbiner unit is embedded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mbiner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blocking cover par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slider par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wer transmission process of a power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slider unit in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mbiner unit is raised to an intermediate point due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unit in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mbiner unit is raised to the highest point due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unit in FIG. 16.
1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mbiner unit is tilt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unit in FIG. 17.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력 전달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케이스부(10)와, 모터부(20)와, 슬라이더부(30)와, 동력생성부(40)와, 동력전달부(50)와, 컴바이너부(60)와, 동력전송부(70)와, 수납커버부(80)와, 차단커버부(90)를 포함한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in the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head-up
케이스부(10)는 미도시한 하우징에 내장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모터부(20)는 케이스부(10)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력을 제공한다. 슬라이더부(30)는 모터부(20)와 연동되어 케이스부(10)에서 왕복 이동된다. 일 예로, 모터부(20)의 구동방향에 따라 슬라이더부(30)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The
동력생성부(40)는 슬라이더부(30)와 연동되어 회전된다. 동력전달부(50)는 동력생성부(40)와 맞물려 회전된다. 컴바이너부(60)는 동력전달부(50)와 연결되어 차량 정보를 표시하고, 케이스부(10)에 내장되거나 케이스부(10)에서 인출된다. The
일 예로, 초기에 컴바이너부(60)는 케이스부(10)에 내장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모터부(20)의 구동으로 슬라이더부(30)가 전진하면 동력생성부(40)가 회전된다. 그리고, 동력생성부(40)와 맞물린 동력전달부(50)가 회전되면 컴바이너부(60)가 케이스부(10)의 외부로 인출된다.For example, the
동력전송부(70)는 동력전달부(50)와 맞물려 회전되고, 수납커버부(80)는 동력전송부(70)와 연결되어 케이스부(10)를 커버하거나 케이스부(10)에 삽입된다. 그리고, 차단커버부(90)는 슬라이더부(30)와 연동되어 회전되고, 케이스부(10)에 내장된 컴바이너부(60)를 커버한다.The
일 예로, 초기에 차단커버부(90)는 수납커버부(80)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컴바이너부(60)를 커버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모터부(20)의 구동으로 슬라이더부(30)가 전진하면, 차단커버부(90)가 회전되어 컴바이너부(60)의 이동경로에서 벗어난 지점에 위치된다.For example, the blocking
그리고, 초기에 수납커버부(80)는 케이스부(10)의 상측을 커버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모터부(20)의 구동으로 슬라이더부(30)가 전진하면 동력생성부(40)가 회전된다. 그리고, 동력생성부(40)와 맞물린 동력전달부(50)가 회전되면 동력전달부(50)와 맞물린 동력전송부(70)가 회전되면서 수납커버부(80)가 케이스부(10)에 삽입된다. And, initially, the
한편, 슬라이더부(30)가 전진 이동될 때, 차단커버부(90)의 회전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지고, 차단커버부(90)가 회전된 후 수납커버부(80)와 컴바이너부(60)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케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0)는 케이스측판부(11)와, 케이스연결부(12)와, 케이스내판부(13)를 포함한다.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ase par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3, a
케이스측판부(11)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슬라이더부(30)를 안내한다. The case
케이스연결부(12)는 케이스측판부(11)를 연결한다. 이러한 케이스연결부(12)에는 모터부(20)가 장착된다. 일 예로, 케이스연결부(12)는 케이스측판부(11)의 후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The
케이스내판부(13)는 케이스측판부(11)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수납커버부(80)를 안내한다. 일 예로, 케이스내판부(13)의 상부에는 수납커버부(80)를 안내하는 케이스이동홀부(15)가 형성되고, 케이스내판부(13)의 상하로 수납커버부(80)의 삽입을 안내하는 케이스삽입홀부(16)가 형성될 수 있다.The cas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모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20)는 모터케이스부(21)와, 모터구동부(22)와, 모터전달부(23)와, 모터작동부(24)를 포함한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tor uni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the
모터케이스부(21)는 케이스연결부(12)에 장착되고, 모터구동부(22)는 모터케이스부(21)에 장착된다. 모터구동부(22)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된다. 일 예로, 모터구동부(22)는 모터케이스부(21)에 장착되는 구동전동부(221)와, 구동전동부(221)가 구동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웜기어 형상을 갖는 구동축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모터전달부(23)는 모터케이스부(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모터구동부(22)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모터전달부(23)는 제1전달기어부(231)와 제전달기어부(232)를 포함한다. 제1전달기어부(231)는 모터케이스부(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모터구동부(22)와 맞물려 회전된다. 일 예로, 제1전달기어부(231)는 구동축부(222)와 맞물려 회전되는 웜휠기어가 될 수 있다. The
제2전달기어부(232)는 제1전달기어부(231)와 연동되고, 모터작동부(24)와 맞물린다. 일 예로, 제1전달기어부(231)와 제2전달기어부(232)는 별물로써 두 형상은 스파이럴(spiral) 형상의 클로(Claw)로 연결되고, 일종의 클로 커플링 클러치(claw coupling clutch)로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토크 리미터를 통해서 모터가 정해진 변위보다 많이 회전하여 구동기구가 정지되고 역방향 토크가 커지더라도 모터쪽의 파손이나 기어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모터작동부(24)는 모터전달부(23)와 맞물려 회전되고, 케이스측판부(11)를 관통하여 슬라이더부(30)와 연결된다. 모터작동부(24)는 작동축부(241)와, 작동센터기어부(242)와, 작동사이드기어부(243)를 포함한다.The
작동축부(241)는 케이스측판부(11)를 관통한다. 일 예로, 작동축부(241)는 모터전달부(23)의 상방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케이스측판부(11)를 관통할 수 있다. 작동축부(241)는 모터케이스부(21)를 관통할 수 있다. 작동축부(241)에 장착되는 토션스프링은 작동축부(241)를 회전 중심으로 모터전달부(23)를 구동축부(222)의 웜기어와 항시 접촉되도록 유지시켜 백래쉬(backlash)를 줄일 수 있다.The operating
작동센터기어부(242)는 작동축부(241)에 장착되고, 제2전달기어부(232)와 맞물린다. 일 예로, 제2전달기어부(232)는 평기어 형상을 할 수 있다.The operation
작동사이드기어부(243)는 작동축부(241)의 단부에 장착되고, 슬라이더부(30)와 맞물린다. 일 예로, 작동사이드기어부(243)는 평기어 형상을 하고, 케이스측판부(11)를 관통하는 작동축부(241)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케이스측판부(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operatin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슬라이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부(30)는 이동몸체부(31)와, 이동치열부(32)와, 이동가이드부(33)와, 이동유도부(34)와, 이동안내부(35)를 포함한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lider uni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the
이동몸체부(31)는 케이스부(10)의 외측에 배치된다. 일 예로, 이동몸체부(31)는 케이스측판부(11)의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moving
이동치열부(32)는 이동몸체부(31)에 형성되고, 모터부(20)와 맞물린다. 일 예로 이동치열부(32)는 이동몸체부(31)의 상측에 형성되고 랙기어 형상을 하여 작동사이드기어부(243)와 맞물릴 수 있다.The moving
하나 이상의 이동가이드부(33)는 이동몸체부(31)에 형성되고, 케이스부(10)에서 돌출되는 이동핀부(112)가 관통되어 이동몸체부(31)의 직선 이동을 유도한다. 일 예로, 이동가이드부(33)는 이동몸체부(31)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이동몸체부(31)가 비스듬히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이동유도부(34)는 이동몸체부(31)에 형성되어 동력생성부(40)와 연결되고, 이동몸체부(31)의 이동시 동력생성부(40)의 회전을 유도한다. 이러한 이동유도부(34)는 제1유도홀부(341)와, 제2유도홀부(342)와, 제3유도홀부(343)를 포함한다.The
제1유도홀부(341)와 제2유도홀부(342)는 이동몸체부(31)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제2유도홀부(342)는 제1유도홀부(341) 보다 낮게 위치된다. 제3유도홀부(343)는 제1유도홀부(341)와 제2유도홀부(342)를 연결한다. 일 예로, 제1유도홀부(341)는 이동몸체부(31)의 하부 전단부에 형성되고, 제2유도홀부(342)는 이동몸체부의 하부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도홀부(342)와 제2유도홀부(342)는 이동가이드부(33)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유도홀부(343)는 제1유도홀부(341)와 제2유도홀부(342)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이때, 동력생성부(40)는 제3유도홀부(343)를 통과하면서 회전될 수 있다. 즉, 동력생성부(40)는 슬라이더부(30)의 진행방향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1유도홀부(341)와 제2유도홀부(342)에서는 홀드 상태를 유지하고, 제3유도홀부(343)를 통과하면서 회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동안내부(35)는 이동몸체부(31)에 형성되어 차단커버부(90)와 연결되고, 이동몸체부(31)의 이동시 차단커버부(90)의 회전을 유도한다. 이러한 이동안내부(35)는 제1안내홀부(351)와, 제2안내홀부(352)와, 제3안내홀부(353)를 포함한다.The
제1안내홀부(351)와 제2안내홀부(352)는 이동몸체부(31)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제2안내홀부(352)는 제1안내홀부(351) 보다 높게 위치된다. 제3안내홀부(353)는 제1안내홀부(351)와 제2안내홀부(352)를 연결한다. 일 예로, 제1안내홀부(351)는 이동몸체부(31)의 상부 전단부에 형성되고, 제2안내홀부(352)는 이동몸체부의 상부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안내홀부(352)와 제2안내홀부(352)는 이동가이드부(33)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안내홀부(353)는 제1안내홀부(351)와 제2안내홀부(352)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이때, 차단커버부(90)는 제3안내홀부(353)를 통과하면서 회전될 수 있다. 즉, 차단커버부(90)는 슬라이더부(30)의 진행방향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1안내홀부(351)와 제2안내홀부(352)에서는 홀드 상태를 유지하고, 제3안내홀부(353)에서 회전되어 컴바이너부(60)의 이동 경로에서 벗어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부(30)의 작동 과정에서 차단커버부(90)가 컴바이너부(60)의 이동 경로에서 벗어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안내홀부(351) 보다 제2안내홀부(352)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lock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부(30)는 이동복원부(36)와 이동가압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동복원부(36)는 케이스부(1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이동몸체부(31)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이동몸체부(31)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이동복원부(36)는 케이스측판부(11)에 장착되고, 이동몸체부(31)가 전진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이동복원부(36)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몸체부(31)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The moving
이동가압부(37)는 이동몸체부(31)에 형성되어 케이스부(10)를 관통하고, 케이스부(10)에서 인출되는 컴바이너부(60)에 걸려 컴바이너부(60)의 틸팅을 유도한다. 일 예로, 이동가압부(37)는 이동몸체부(31)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측판홀부(111)를 따라 이동되면서 이동몸체부(31)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동가압부(37)는 전진 완료 시점에서 상승 완료된 컴바이너부(6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동가압부(37)가 컴바이너부(60)와 접촉되면, 컴바이너부(60)가 회전되면서 설계된 각도로 컴바이어부(60)가 배치될 수 있다.The movin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력생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생성부(40)는 생성몸체부(41)와, 생성치열부(42)와, 생성연장부(43)와, 생성핀부(44)를 포함한다.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wer generation uni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6, the
생성몸체부(41)는 케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생성몸체부(41)는 부채꼴 형상을 하며, 꼭지점 부분이 케이스측판부(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generating
생성치열부(42)는 생성몸체부(41)에 형성된다. 일 예로, 생성치열부(42)는 생성몸체부(41)에서 호의 길이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동력전달부(50)와 맞물릴 수 있다.The generated
생성연장부(43)는 생성몸체부(41)에서 연장된다. 일 예로, 생성연장부(43)는 생성몸체부(41)의 꼭지점에서 이동유도부(34)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생성연장부(43)는 이동몸체부(3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생성핀부(44)는 생성연장부(43)에 형성되고, 이동유도부(34)에 삽입되어 이동유도부(34)를 따라 이동되면서 생성연장부(43)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생성핀부(44)는 초기에 제1유도홀부(341)에 삽입되고, 이동몸체부(31)의 전진시 제3유도홀부(343)를 따라 이동되면서 생성연장부(43)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력전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50)는 전달기어부(51)와, 전달막대부(52)와, 전달링크부(53)와, 전달지지부(54)와, 전달핀부(55)를 포함한다.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7, the
전달기어부(51)는 케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동력생성부(40)와 맞물려 회전된다. 일 예로, 전달기어부(51)는 케이스측판부(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생성치열부(42)와 맞물릴 수 있다.The
전달막대부(52)는 전달기어부(51)와 연결되고, 전달링크부(53)는 전달막대부(52)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일 예로, 전달막대부(52)는 전달기어부(51)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전달지지부(54)는 전달링크부(53)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컴바이너부(60)와 연결된다. 일 예로,전달지지부(54)는 삼각형 형상을 하되, 상단부가 컴바이너부(6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하단부가 전달링크부(53)의 하단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전달핀부(55)는 전달지지부(54)에 형성되고, 케이스부(10)에 형성되는 컴바이너안내부(14)에 삽입되어 컴바이너안내부(14)를 따라 이동된다. 일 예로, 전달핀부(55)는 전달지지부(54)에 2개가 형성되고, 케이스측판부(11)의 내측에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컴바이너안내부(14)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컴바이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바이너부(60)는 컴바이너표시부(61)와, 컴바이너지지부(62)와, 컴바이너가이드부(63)를 포함한다.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biner uni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8, a
컴바이너표시부(61)는 차량 정보를 표시한다. 일 예로, 컴바이너표시부(61)는 초기에 케이스측판부(11) 사이에 배치되고, 상측은 차단커버부(9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The
컴바이너지지부(62)는 컴바이너표시부(61)에 장착되고, 전달지지부(54)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컴바이너지지부(62)는 컴바이너표시부(61)의 하단부에 결합되되, 상단부가 전달지지부(54)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컴바이너가이드부(63)는 컴바이너지지부(62)에 형성되고, 전달지지부(54)에 형성되는 전달연결부(56)가 삽입되어 이동된다. 일 예로, 컴바이너가이드부(63)는 컴바이너지지부(62)의 중앙에서 좌우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전달연결부(56)는 전달지지부(54)의 측단부에서 돌출되어 컴바이너가이드부(63)에 삽입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바이너부(60)는 컴바이너복원부(64)와 컴바이너가압부(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컴바이너복원부(64)는 케이스부(1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컴바이너지지부(62)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컴바이너지지부(62)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컴바이너복원부(64)는 케이스연결부(12)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컴바이너지지부(62)의 하단부에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The
컴바이너가압부(65)는 컴바이너지지부(62)에 형성되고, 슬라이더부(30)에 걸려 가압된다. 일 예로, 이동가압부(37)가 전진 완료된 시점에서 컴바이너가압부(65)를 가압하면, 컴바이너지지부(62)는 전달지지부(54)에서 회전되어 컴바이너표시부(61)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컴바이너가이드부(63)의 길이와 형상을 변경하여 컴바이너표시부(6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력전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동력전송부(70)는 전송기어부(71)와, 전송막대부(72)와, 전송링크부(73)를 포함한다.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in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9, the
전송기어부(71)는 케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동력전달부(50)와 맞물려 회전된다. 일 예로, 전송기어부(71)는 케이스측판부(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전달기어부(51)와 맞물릴 수 있다.The
전송막대부(72)는 전송기어부(71)와 연결되고, 전송링크부(73)는 전송막대부(72)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일 예로, 전송막대부(72)는 전송기어부(7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송링크부(73)의 단부는 수납커버부(80)와 연결될 수 있다.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납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수납커버부(80)는 수납덮개부(81)와, 수납유지부(82)와, 수납연결부(83)를 포함한다.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orage cover par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3 to 10, a
수납덮개부(81)는 케이스부(10)의 상측 개방된 영역을 커버하거나 케이스부(10)에 삽입된다. 일 예로, 수납덮개부(81)는 한 쌍의 케이스내판부(13) 사이에 배치되고, 이동몸체부(31)의 전방 이동시 케이스내판부(13)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The
수납유지부(82)는 수납덮개부(81)에 형성되고, 케이스부(10)와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일 예로, 수납유지부(82)는 수납덮개부(81)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케이스내판부(13)에 형성되는 케이스이동홀부(15)에 삽입될 수 있다. 수납유지부(82)는 좌우로 길이를 갖는 케이스이동홀부(15)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케이스이동홀부(15)의 단부는 하방으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수납연결부(83)는 수납덮개부(81)에 형성되고, 동력전송부(7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케이스부(1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일 예로, 수납연결부(83)는 전송링크부(73)의 단부와 핀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고, 케이스삽입홀부(16)에 삽입될 수 있다. 수납연결부(83)는 전송링크부(73)와 연동되면서 케이스삽입홀부(16)를 따라 이동되어 수납덮개부(81)를 케이스내판부(13) 사이로 안내할 수 있다.The receiv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커버부(80)는 수납복원부(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복원부(84)는 케이스부(1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수납덮개부(81)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수납덮개부(81)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수납복원부(84)는 케이스내판부(13)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수납덮개부(81)가 케이스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단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커버부(90)는 차단덮개부(91)와, 차단다리부(92)와, 차단핀부(93)를 포함한다.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locking cover par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11, a blocking
차단덮개부(91)는 컴바이너부(60)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컴바이너부(60)를 커버한다. 일 예로, 컴바이너부(60)가 케이스부(10)에 내장된 상태에서 차단덮개부(91)는 수납덮개부(81)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컴바이너부(6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locking
차단다리부(92)는 차단덮개부(91)에 결합되고 케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차단다리부(92)는 차단덮개부(91)의 양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케이스측판부(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blocking
차단핀부(93)는 차단다리부(92)에 형성되고, 슬라이더부(30)와 연동되어 차단다리부(92)를 회전시킨다. 일 예로, 차단핀부(93)는 차단다리부(92)의 하단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이동안내부(35)에 삽입될 수 있다.The block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커버부(90)는 차단복원부(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복원부(94)는 케이스부(1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차단다리부(92)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차단덮개부(91)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차단복원부(94)는 케이스측판부(11)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차단덮개부(91)가 슬라이더부(30)의 이동경로 상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슬라이더부(30)의 이동경로에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blocking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컴바이너부가 내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컴바이너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모터부(20)에 전원이 인가되기 전 초기 상태에서는 미도시한 하우징을 제외한 부분이 수납커버부(80)와 차단커버부(90)에 커버되어 케이스부(10)에 내장된 컴바이너부(60) 및 부품들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부(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슬라이더부(30)가 전진하여 동력을 제공하고, 제공된 동력에 의해 컴바이너부(60)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차량 정보를 제공한다. 케이스부(10)에는 슬라이더부(30)의 초기 상태 및 전진 완료된 상태에서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되고, 센서가 슬라이더부(30)의 위치를 감지하면 모터부(20)의 구동이 중지될 수 있다.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mbiner unit is embedded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ombination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the neck is exposed to the outside. 12 and 13, in an initial state before power is applied to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슬라이더부의 이동에 따른 차단커버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모터부(20)의 구동으로 슬라이더부(30)가 전진함에 따라 차단커버부(90)에 형성되는 차단핀부(93)가 이동안내부(35)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차단핀부(93)가 제1안내홀부(351) 보다 높은 위치인 제2안내홀부(352)에 배치됨에 따라 차단다리부(92)가 회전되어 차단덮개부(91)가 컴바이너부(60)의 이동경로에서 벗어날 수 있다.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blocking cover uni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slider uni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4, as th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슬라이더부의 이동에 따른 동력생성부의 동력 전달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슬라이더부의 이동으로 컴바이너부가 중간지점까지 상승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슬라이더부의 이동으로 컴바이너부가 최고점까지 상승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슬라이더부의 이동으로 컴바이너부가 틸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process of a power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slider unit in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head-up displa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biner unit is raised to an intermediate point due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unit in the device. FIG.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mbiner unit is raised to the highest point due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unit in FIG. 16, and FIG. 18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mbiner unit is tilt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unit in FIG. 17.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슬라이더부(30)가 전진함에 따라 동력생성부(40)가 이동유도부(34)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동력생성부(40)와 맞물린 동력전달부(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전달부(50)와 맞물린 동력전송부(7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15 to 18, when the
동력전달부(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동력전달부(50)와 연결된 컴바이너부(60)가 컴바이너안내부(14)를 따라 상승하여 케이스부(10)에서 인출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50)와 맞물린 동력전송부(7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동력전송부(70)와 연결된 수납커버부(80)가 하강하여 케이스부(10)에 수납된다.When the
한편, 컴바이너부(60)가 고점에 도달된 상태에서 슬라이더부(30)가 추가로 이동되면, 슬라이더부(30)에 형성되는 이동가압부(37)가 컴바이너가압부(65)를 밀어 컴바이너표시부(61)의 틸팅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컴바이너부(60)가 케이스부(10)에 내장되고 필요에 따라 케이스부(10)의 외부로 노출되되, 수납커버부(80)와 차단커버부(90)가 케이스부(10)의 개구된 영역을 개폐하여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In the head-u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모터부(20)의 구동으로 슬라이더부(30)가 이동되면, 슬라이더부(30)와 연동되는 차단커버부(90)가 회전되어 슬라이더부(30)의 이동경로에서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head-u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모터부(20)의 구동으로 슬라이더부(30)가 이동되면, 슬라이더부(30)와 연동되어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컴바이너부(60)가 상승하고, 수납커버부(80)가 케이스부(10)에 삽입될 수 있다.In the head-up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illustrativ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케이스부 11 : 케이스측판부
12 : 케이스연결부 13 : 케이스내판부
20 : 모터부 21 : 모터케이스부
22 : 모터구동부 23 : 모터전달부
24 : 모터작동부 30 : 슬라이더부
31 : 이동몸체부 32 : 이동치열부
33 : 이동가이드부 34 : 이동유도부
35 : 이동안내부 36 : 이동복원부
37 : 이동가압부 40 : 동력생성부
41 : 생성몸체부 42 : 생성치열부
43 : 생성연장부 44 : 생성핀부
50 : 동력전달부 51 : 전달기어부
52 : 전달막대부 53 : 전달링크부
54 : 전달지지부 55 : 전달핀부
56 : 전달연결부 60 : 컴바이너부
61 : 컴바이너표시부 62 : 컴바이너지지부
63 : 컴바이너가이드부 64 : 컴바이너복원부
70 : 동력전송부 71 : 전송기어부
72 : 전송막대부 73 : 전송링크부
80 : 수납커버부 81 : 수납덮개부
82 : 수납유지부 83 : 수납연결부
84 : 수납복원부 90 : 차단커버부
91 : 차단덮개부 92 : 차단다리부
93 : 차단핀부 94 : 차단복원부10: case portion 11: case side plate portion
12: case connection part 13: case inner plate part
20: motor part 21: motor case part
22: motor drive unit 23: motor transmission unit
24: motor operating part 30: slider part
31: moving body part 32: moving teeth part
33: movement guide unit 34: movement guide unit
35: movement information unit 36: movement restoration unit
37: moving pressurizing unit 40: power generating unit
41: generating body 42: generating tooth row
43: generation extension part 44: generation pin part
50: power transmission unit 51: transmission gear unit
52: transmission rod portion 53: transmission link portion
54: transmission support portion 55: transmission pin portion
56: transmission connection part 60: combiner part
61: combiner display 62: combiner support
63: combiner guide unit 64: combiner restoration unit
70: power transmission unit 71: transmission gear unit
72: transmission bar portion 73: transmission link portion
80: storage cover part 81: storage cover part
82: storage and holding unit 83: storage connection
84: storage restoration part 90: blocking cover part
91: blocking cover portion 92: blocking leg portion
93: blocking pin unit 94: blocking restoration unit
Claims (20)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와 연동되어 상기 케이스부에서 왕복 이동되는 슬라이더부;
상기 슬라이더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동력생성부;
상기 동력생성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차량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케이스부에 내장되거나 상기 케이스부에서 인출되는 컴바이너부;
상기 동력전달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동력전송부;
상기 동력전송부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부를 커버하거나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되는 수납커버부; 및
상기 슬라이더부와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케이스부에 내장된 상기 컴바이너부를 커버하는 차단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ase part;
A motor unit mounted on the case unit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when power is applied;
A slider unit interlocked with the motor unit to reciprocate in the case unit;
A power generation unit that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slider unit;
A power transmission unit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power generation unit;
A combiner unit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o display vehicle information, and to be embedded in the case unit or drawn out from the case unit;
A power transmission unit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storage cover part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part and covering the case part or inserted into the case part; And
And a blocking cover unit that is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slider unit and covers the combiner unit embedded in the case unit.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부를 안내하는 케이스측판부;
상기 케이스측판부를 연결하고, 상기 모터부가 장착되는 케이스연결부; 및
상기 케이스측판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납커버부와 상기 차단커버부를 안내하는 케이스내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se portion
A case side plate portion disposed so as to face the pair and guiding the slider portion;
A cas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case side plate and on which the motor part is mounted; And
And a case inner plate portion protruding into the case side plate portion and guiding the storage cover portion and the blocking cover portion.
상기 케이스연결부에 장착되는 모터케이스부;
상기 모터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구동부;
상기 모터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모터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전달부; 및
상기 모터전달부와 맞물려 회전되고, 상기 케이스측판부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더부와 연결되는 모터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tor unit
A motor case part mounted on the case connection part;
A motor driving unit mounted on the motor case and driven when power is applied;
A motor transmission unit mounted to be rotatable in the motor case unit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driving unit; And
And a motor operating unit that is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motor transmission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slider unit through the case side plate unit.
상기 모터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모터구동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1전달기어부; 및
상기 제1전달기어부와 연동되고, 상기 모터작동부와 맞물리는 제2전달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otor transmission unit
A first transmission gear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motor case unit and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motor driving unit; And
And a second transmission gear unit interlocked with the first transmission gear unit and engaged with the motor operation unit.
상기 케이스측판부를 관통하여 회전되는 작동축부;
상기 작동축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전달기어부와 맞물리는 작동센터기어부; 및
상기 작동축부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더부와 맞물리는 작동사이드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tor operation unit
An operation shaft portion rotated through the case side plate portion;
An operation center gear part mounted on the operation shaft part and engaged with the second transmission gear part; And
And an operating side gear portion mounted on an end portion of the operating shaft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slider portion.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이동몸체부;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부와 맞물리는 이동치열부;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에서 돌출되는 이동핀부가 관통되어 상기 이동몸체부의 직선 이동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이드부;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동력생성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몸체부의 이동시 상기 동력생성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이동유도부; 및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몸체부의 이동시 상기 차단커버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이동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lider unit
A moving body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case portion;
A moving tooth row part formed on the moving body part and engaged with the motor part;
At least one movement guide part formed in the movable body part and passing through a movable pin part protruding from the case part to induce a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part;
A movement inducing unit formed on the moving body and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ng unit, and for inducing rotation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when the moving body unit is moved; And
And a movement guide part formed on the moving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blocking cover part, and inducing rotation of the blocking cover part when the moving body part is moved.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유도홀부;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유도홀부 보다 낮게 위치되는 제2유도홀부; 및
상기 제1유도홀부와 상기 제2유도홀부를 연결하는 제3유도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ovement inducing unit
A first induction hole formed in the moving body;
A second guiding hole formed in the moving body portion and positioned lower than the first guiding hole portion; And
And a third induction hole connecting the first induction hole and the second induction hole.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안내홀부;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홀부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2안내홀부; 및
상기 제1안내홀부와 상기 제2안내홀부를 연결하는 제3안내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ovement guide
A first guide hole formed in the moving body;
A second guide hole formed in the moving body and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guide hole; And
And a third guide hole connecting the first guide hole and the second guide hole.
상기 케이스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이동몸체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몸체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이동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lider unit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moving restoring part connected to the case part with one end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oving body part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moving body part.
상기 이동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고, 상기 케이스부에서 인출되는 상기 컴바이너부에 걸려 상기 컴바이너부의 틸팅을 유도하는 이동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lider unit
A head-up display for a vehicle comprising: a moving pressing unit formed on the moving body to penetrate the case unit, and hooked to the combiner unit drawn out from the case unit to induce tilting of the combiner unit Device.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생성몸체부;
상기 생성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맞물리는 생성치열부;
상기 생성몸체부에서 연장되는 생성연장부; 및
상기 생성연장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유도부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유도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생성연장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생성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ower generation unit
A generating body portion rotatably mounted to the case portion;
A generating tooth row part formed on the generating body part and engag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part;
A generation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generation body part; And
And a generation pin part formed in the generation extension part and inserted into the movement guide part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generation extension part while being moved along the movement guide part.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동력생성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전달기어부;
상기 전달기어부와 연결되는 전달막대부;
상기 전달막대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달링크부;
상기 전달링크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컴바이너부와 연결되는 전달지지부; 및
상기 전달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에 형성되는 컴바이너안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컴바이너안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전달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transmission gear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case unit and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power generation unit;
A transmission rod portion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gear portion;
A transmission link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transmission rod portion;
A transfer support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transfer link part and connected to the combiner part; And
And a transfer pin part formed in the transfer support part, inserted into the combiner guide part formed in the case part, and moved along the combiner guide part.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컴바이너표시부;
상기 컴바이너표시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달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컴바이너지지부; 및
상기 컴바이너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달지지부에 형성되는 전달연결부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컴바이너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mbiner unit
A combiner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ehicle information;
A combiner support unit mounted on the combiner display unit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transfer support unit; And
And a combiner guide part formed in the combiner support part and movable by inserting a transfer connection part formed in the transfer support part.
상기 케이스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컴바이너지지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컴바이너지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컴바이너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mbiner unit
And a combiner restoration part connected to the case part with one end part and the other end part connected to the combiner support part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combiner support part.
상기 컴바이너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부에 걸려 가압되는 컴바이너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mbiner unit
And a combiner pressing unit formed on the combiner support unit and configured to be pressed by the slider unit.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전송기어부;
상기 전송기어부와 연결되는 전송막대부; 및
상기 전송막대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납커버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전송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transmission gear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case unit and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transmission rod portion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gear portion; And
And a transmission link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transmission rod part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torage cover part.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 개방된 영역을 커버하거나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되는 수납덮개부;
상기 수납덮개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와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수납유지부; 및
상기 수납덮개부에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송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수납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orage cover part
A storage cover part that covers an upper open area of the case part or is inserted into the case part;
A storage holding part formed on the storage cover part and maintaining a connection state with the case part; And
And a storage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storage cov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part, and moved up and down along the case part.
상기 케이스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수납덮개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수납덮개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납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torage cover part
And a storage restoration part coupled to the case part with one end part and the other end part connected to the storage cover part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storage cover part.
상기 컴바이너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컴바이너부를 커버하는 차단덮개부;
상기 차단덮개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차단다리부; 및
상기 차단다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부와 연동되어 상기 차단다리부를 회전시키는 차단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locking cover part
A blocking cover part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combiner part to cover the combiner part;
A blocking leg portion coupled to the blocking cover portion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case portion; And
And a blocking pin part formed on the blocking leg part and interlocking with the slider part to rotate the blocking leg part.
상기 케이스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차단다리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차단덮개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차단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blocking cover part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blocking restoration uni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ase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locking leg unit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blocking cover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3267A KR102233024B1 (en) | 2017-07-24 | 2017-07-24 | 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3267A KR102233024B1 (en) | 2017-07-24 | 2017-07-24 | 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0963A KR20190010963A (en) | 2019-02-01 |
KR102233024B1 true KR102233024B1 (en) | 2021-03-29 |
Family
ID=6536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3267A Active KR102233024B1 (en) | 2017-07-24 | 2017-07-24 | 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3024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54711A (en) | 2011-06-08 | 2012-12-27 | Nifco Inc | Cover link structure |
JP2014226961A (en) | 2013-05-20 | 2014-12-08 | ミネベア株式会社 | Display device |
JP2015121632A (en) | 2013-12-23 | 2015-07-02 | 日本精機株式会社 | Head-up display device |
JP2017024489A (en) | 2015-07-17 | 2017-02-02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Displa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46161A1 (en) * | 2012-03-29 | 2013-10-03 | 日本精機株式会社 | Combiner storage device, head-up display device |
EP3064391B1 (en) * | 2015-03-02 | 2017-07-19 | Jabil Circuit, Inc. | Head-up display system with rotation drive means arranged parallel to a combiner to move the combiner |
-
2017
- 2017-07-24 KR KR1020170093267A patent/KR10223302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54711A (en) | 2011-06-08 | 2012-12-27 | Nifco Inc | Cover link structure |
JP2014226961A (en) | 2013-05-20 | 2014-12-08 | ミネベア株式会社 | Display device |
JP2015121632A (en) | 2013-12-23 | 2015-07-02 | 日本精機株式会社 | Head-up display device |
JP2017024489A (en) | 2015-07-17 | 2017-02-02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0963A (en) | 2019-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11566B2 (en) | Head-up display combiner storage method and head-up display combiner storage device | |
CN101855417B (en) | Unlocking actuator | |
JP5923251B2 (en) | Head-up display device | |
CN107076225B (en) | Multi-mode clutch apparatus | |
CN104981633A (en) | Vehicular transmission range switching device | |
JP5839322B2 (en) | 3-position switch actuator | |
US7322257B2 (en) | Step down gear train for an adjusting device of an automotive vehicle seat | |
WO2016157368A1 (en) | Display device | |
CN103249964A (en) | Output member and multi-haft drive device | |
KR102233024B1 (en) | 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 |
KR102249580B1 (en) | Head up display appratus for vehicle | |
JP6035138B2 (en) | Driving force transmission device and vehicle sunshade device | |
WO2016147372A1 (en) | Display device | |
JP2010241358A (en) | Back board of vehicle seat | |
KR101259160B1 (en) | Sliding camera assembly for vehicles and camera posi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505746B1 (en) | Head up display appratus for vehicle | |
KR102524310B1 (en) | Glove box apparatus | |
JP2005113956A (en) | Motor driven transmission operating device | |
JP2006102218A (en) | Accessory apparatus for game machine | |
JP5797063B2 (en) | Display device | |
KR100502012B1 (en) | De-clutching system of valve actuator | |
US20080012982A1 (en) | Electric dust-proof device | |
DE112017002230B4 (en) | head-up display device | |
KR100745771B1 (en) | Shutter Device of Media Dispenser | |
JP2021045232A (en) | sew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7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