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922B1 -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로봇들을 제어하는 인공 지능 서버 - Google Patents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로봇들을 제어하는 인공 지능 서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1922B1 KR102231922B1 KR1020190092614A KR20190092614A KR102231922B1 KR 102231922 B1 KR102231922 B1 KR 102231922B1 KR 1020190092614 A KR1020190092614 A KR 1020190092614A KR 20190092614 A KR20190092614 A KR 20190092614A KR 102231922 B1 KR102231922 B1 KR 1022319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ea
- robot
- urgency
- artificial intelligence
- proces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 G06N3/008—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based on physical entities controlled by simulated intelligence so as to replicate intelligent life forms, e.g. based on robots replicating pets or humans in their appearance or behaviour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8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involving a plurality of land vehicles, e.g. fleet or convoy travelling
- G05D1/0291—Fleet control
- G05D1/0297—Fleet control by controlling means in a control room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60—Intended control result
- G05D1/69—Coordinated control of the position or course of two or more vehicles
- G05D1/698—Control allocation
- G05D1/6987—Control allocation by centralised control off-board any of the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55—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rogramme execution, i.e. part programme or machine function execution, e.g. selection of a programm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20—Control system inputs
- G05D1/24—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 G05D1/246—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using environment maps, e.g. simultaneous localisation and mapping [SLAM]
-
- G06K9/00778—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9—Supervised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06V20/53—Recognition of crowd images, e.g. recognition of crowd congestion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335—Use of ann, neural network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50—Machine tool, machine tool null till machine tool work handling
- G05B2219/50391—Robot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101/00—Details of software or hardware architectures used for the control of position
- G05D2101/10—Details of software or hardware architectures used for the control of posi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iques
- G05D2101/15—Details of software or hardware architectures used for the control of posi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iques using machine learning, e.g. neural network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109/00—Types of controlled vehicles
- G05D2109/10—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obo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ipulator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I 서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I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I 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각 따라 단위 구역에서 측정된 밀집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전체 구역을 복수의 단위 그룹 구역들로 구분하여, 각 단위 그룹 구역의 평균 밀집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그룹 구역의 평균 밀집도가 동일한 경우, 각 그룹 구역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그룹 구역의 평균 밀집도가 동일한 경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실제 예를 보여준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로봇들을 제어하는 AI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각 구역의 안내 시급도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 구역의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로봇의 이동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신 감도를 고려하여, 복수의 로봇들이, 대형을 유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laims (16)
-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로봇들을 제어하는 인공 지능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구역들 각각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영상에 기반하여, 각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각 구역에 대한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안내 시급도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안내 시급도들 중 기 설정된 값보다 큰 시급도가 있는지 판단하고, 기 설정된 값보다 큰 시급도가 있는 경우, 해당 안내 시급도에 상응하는 구역으로, 하나 이상의 로봇을 이동시키는 제1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각 구역의 상황 정보는
각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수를 나타내는 밀집도 및 각 구역에 배치된 로봇으로부터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대기하는 대기 인원 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밀집도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대기 인원 수에 상기 제1 가중치와 다른 제2 가중치를 부여하고, 부여된 제1,2 가중치에 따라 각 구역의 안내 시급도를 계산하는
인공 지능 서버.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영상으로부터, 각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 및 대기 상황을 인식하는 영상 인식 모델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인식 모델을 통해 각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수 및 상기 대기 상황에 있는 상기 대기 인원 수를 획득하는
인공 지능 서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 모델은
딥 러닝 알고리즘 또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지도 학습된 인공 신경망 기반의 모델인
인공 지능 서버.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가중치는 상기 제2 가중치보다 작은
인공 지능 서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제어 명령을 상기 안내 시급도가 가장 작은 구역에 배치된 로봇에 전송하는
인공 지능 서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안내 시급도들 중, 상기 기 설정된 값보다 큰 시급도가 없는 경우, 각 로봇이 대응되는 구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로봇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명령을 상기 복수의 로봇들에 전송하는
인공 지능 서버. -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로봇들을 제어하는 인공 지능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구역들 각각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영상에 기반하여, 각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각 구역에 대한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안내 시급도들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안내 시급도들 중 기 설정된 값보다 큰 시급도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값보다 큰 시급도가 있는 경우, 해당 안내 시급도에 상응하는 구역으로, 하나 이상의 로봇을 이동시키는 제1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구역의 상황 정보는
각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수를 나타내는 밀집도 및 각 구역에 배치된 로봇으로부터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대기하는 대기 인원 수를 포함하고,
상기 각 안내 시급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밀집도에 제1 가중치를 상기 대기 인원 수에 상기 제1 가중치와 다른 제2 가중치를 각각 부여하는 단계 및
부여된 제1,2 가중치에 따라 각 구역의 안내 시급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 지능 서버의 동작 방법.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영상으로부터, 각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 및 대기 상황을 인식하는 영상 인식 모델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인식 모델을 통해 각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수 및 상기 대기 상황에 있는 상기 대기 인원 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 지능 서버의 동작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 모델은
딥 러닝 알고리즘 또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지도 학습된 인공 신경망 기반의 모델인
인공 지능 서버의 동작 방법.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중치는 상기 제2 가중치보다 작은
인공 지능 서버의 동작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 명령을 상기 안내 시급도가 가장 작은 구역에 배치된 로봇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 지능 서버의 동작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안내 시급도들 중, 상기 기 설정된 값보다 큰 시급도가 없는 경우, 각 로봇이 대응되는 구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로봇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명령을 상기 복수의 로봇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공 지능 서버의 동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2614A KR102231922B1 (ko) | 2019-07-30 | 2019-07-30 |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로봇들을 제어하는 인공 지능 서버 |
US16/557,834 US11455529B2 (en) | 2019-07-30 | 2019-08-30 |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robots based on guidance urgenc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2614A KR102231922B1 (ko) | 2019-07-30 | 2019-07-30 |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로봇들을 제어하는 인공 지능 서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6854A KR20190096854A (ko) | 2019-08-20 |
KR102231922B1 true KR102231922B1 (ko) | 2021-03-25 |
Family
ID=6780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2614A Active KR102231922B1 (ko) | 2019-07-30 | 2019-07-30 |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로봇들을 제어하는 인공 지능 서버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455529B2 (ko) |
KR (1) | KR10223192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4960A (ko) * | 2019-10-15 | 2021-04-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율주행차량의 차선변경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CN113033756B (zh) * | 2021-03-25 | 2022-09-16 | 重庆大学 | 基于目标导向的聚集策略的多智能体控制方法 |
CN114237242B (zh) * | 2021-12-14 | 2024-02-23 | 北京云迹科技股份有限公司 | 基于光学编码器对机器人进行控制的方法及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9250B1 (ko) * | 2005-10-31 | 2007-01-1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인공표식 기반의 실시간 위치산출 시스템 및 방법 |
JP2008132568A (ja) * | 2006-11-28 | 2008-06-12 | Fujitsu Ltd | 案内ロボットの制御方法、システム、制御装置、案内ロボット、および案内ロボット制御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90150A (ko) * | 2007-04-04 | 2008-10-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서비스 로봇과 서비스 로봇을 이용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서비스 로봇을 이용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방법 |
JP6708122B2 (ja) * | 2014-06-30 | 2020-06-10 | 日本電気株式会社 | 誘導処理装置及び誘導方法 |
JP2018067100A (ja) * | 2016-10-18 | 2018-04-26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ロボット対話システム |
KR101803081B1 (ko) * | 2016-11-15 | 2017-11-29 | 주식회사 로보러스 | 매장 관리 로봇 |
WO2020129311A1 (ja) * | 2018-12-19 | 2020-06-2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案内ロボット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案内システム、並びに、案内ロボット制御方法 |
-
2019
- 2019-07-30 KR KR1020190092614A patent/KR102231922B1/ko active Active
- 2019-08-30 US US16/557,834 patent/US1145552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9250B1 (ko) * | 2005-10-31 | 2007-01-1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인공표식 기반의 실시간 위치산출 시스템 및 방법 |
JP2009512088A (ja) * | 2005-10-31 | 2009-03-19 | 韓國電子通信研究院 | リアルタイムに位置を算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JP2008132568A (ja) * | 2006-11-28 | 2008-06-12 | Fujitsu Ltd | 案内ロボットの制御方法、システム、制御装置、案内ロボット、および案内ロボット制御プログラ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6854A (ko) | 2019-08-20 |
US11455529B2 (en) | 2022-09-27 |
US20200005144A1 (en) | 2020-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55792B2 (en) | Robot capable of detecting dangerous situ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102258381B1 (ko) | 복수의 로봇들을 관제하는 인공 지능 서버 및 그 방법 | |
US11669781B2 (en) |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and method for upd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y merging plurality of pieces of update information | |
KR102263159B1 (ko) | 로봇의 경로를 결정하는 인공 지능 서버 및 그 방법 | |
KR102303785B1 (ko) | 로봇의 언어를 설정하는 인공 지능 서버 및 그 방법 | |
KR20210057598A (ko) | 알림을 제공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 |
US20210173614A1 (en) |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11568239B2 (en) |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user | |
KR102245911B1 (ko) |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하는 냉장고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102421488B1 (ko) | 복수개의 출력 레이어를 이용한 인공 지능 장치 및 방법 | |
KR102741214B1 (ko) |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로봇들을 제어하는 관제 시스템 | |
KR20210004487A (ko) | 환기 상황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102231922B1 (ko) |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로봇들을 제어하는 인공 지능 서버 | |
KR20190098102A (ko) |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인공 지능 장치 | |
KR20220001522A (ko) | 장치 정보에 기반하여,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공 지능 장치 | |
KR20200128486A (ko) |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 |
KR20220136796A (ko) | 보행경로예측장치 | |
KR102720843B1 (ko) |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190098934A (ko) |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102229562B1 (ko) |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102741059B1 (ko) | 사용자의 동선을 결정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 |
KR102259429B1 (ko) | 로봇의 배치 구역을 결정하는 인공 지능 서버 및 그 방법 | |
KR20190095195A (ko) | 사용자의 동선에 기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 |
US20210133561A1 (en) |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20210059899A (ko) | 인공 지능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73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