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1523B1 - Vessel for Water culture - Google Patents

Vessel for Water cul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523B1
KR102231523B1 KR1020180119220A KR20180119220A KR102231523B1 KR 102231523 B1 KR102231523 B1 KR 102231523B1 KR 1020180119220 A KR1020180119220 A KR 1020180119220A KR 20180119220 A KR20180119220 A KR 20180119220A KR 102231523 B1 KR102231523 B1 KR 102231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cover
hole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2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9372A (en
Inventor
조정훈
Original Assignee
조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훈 filed Critical 조정훈
Priority to KR1020180119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523B1/en
Priority to PCT/KR2018/012977 priority patent/WO2020071579A1/en
Publication of KR20200039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3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52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ntaining foam or presenting a foam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가 개방되어 물이 소정 높이로 채워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식물의 하부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소정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식물이 관통하는 커버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로 결합되는 용기 커버 및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상기 용기 커버의 두께보다 더 큰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 커버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용기 커버의 커버 관통 홀에 결합되는 지지 관을 포함하는 수경 재배 용기를 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inside is hollow and the top is open to fill water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container cover has a cover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lant penetrates and is formed in a tube shape with one end and the other end open to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and is formed to a height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cover, and protrudes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over. Disclosed is a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including a support tube coupled to the cover through hole of the container cover as possible.

Description

수경 재배 용기{Vessel for Water culture} Vessel for Water culture

본 발명은 수경 재배용 식물 또는 장미꽃 가지와 같은 식물을 수경 재배할 수 있는 수경 재배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capable of hydroponic cultivation of a plant for hydroponic cultivation or a plant such as a rose branch.

수경 재배용 식물은 물이 담긴 컵이나 병에 뿌리가 잠기도록 삽입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수경 재배용 식물은 실내 또는 책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키워지는 경우가 많다. 상기 수경 재배용 식물이 삽입된 물이 담긴 컵이나 병이 넘어지는 경우에 내부에 담겨진 물이 외부로 흘러나와 주위의 물건을 오염시키거나 적시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수경 재배용 식물을 키우는 것을 주저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장미 나무로부터 분리된 장미꽃 가지를 수경 재배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Plants for hydroponic cultivation need to be inserted into cups or bottles of water so that the roots are immersed. The plants for hydroponic cultivation are often grown indoors or while being placed on a desk. When a cup or bottle containing water into which the hydroponic cultivation plant is inserted falls, the water contained inside may flow out and contaminate or wet the surrounding objects. Therefore, he is hesitant to grow plants for hydroponic cultivation. This situation is the same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rose branches isolated from rose tree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4136호(2015.08.19 공개)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5-0094136 (published on August 19, 2015)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평07-028339호(1995.05.30 공개)Japanese Ope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Hei 07-028339 (released on May 30, 1995)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3817호(2012.09.21 공개)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83817 (published on September 21, 2012)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며, 식물의 수경 재배 과정에서 물이 용이하게 공급되고 공급된 물이 쏟아지는 것이 방지되는 수경 재배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that is movable and is easily supplied with water during the hydroponic cultivation process of plants and that the supplied water is prevented from pouring out.

본 발명의 수경 재배 용기는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가 개방되어 물이 소정 높이로 채워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식물의 하부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소정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식물이 관통하는 커버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로 결합되는 용기 커버 및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상기 용기 커버의 두께보다 더 큰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 커버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용기 커버의 커버 관통 홀에 결합되는 지지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inside and an open top to fill with water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s a container body that accommodates at least the lower part of the plant,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container cover having a cover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lant penetrates through the container and being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a tube shape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pen, and is formed to a height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cover, and the container cov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tube coupled to the cover through hole of the container cover so as to protrud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수경 재배 용기는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가 개방되어 물이 소정 높이로 채워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물이 삽입되는 용기 본체와, 소정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식물이 관통하는 커버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로 결합되는 용기 커버 및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충진되며, 상기 물을 일시적으로 흡수하며, 상기 용기 본체에 삽입되는 식물을 고정하는 흡수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inside and an open top to fill water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container body into which plants are inserted, and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plant has a cover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lant penetrates vertically and is filled in the container cov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body, temporarily absorbs the water, and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bsorbent material to fix the.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는 이동 가능하며, 용기 본체에 물을 용이하게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able and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and continuously supply water to the container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는 용기 커버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지지 관이 결합되므로 용기 본체가 넘어지더라도 용기 본체의 내부에 충진된 물이 외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tube is coupl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over, even if the container body falls, water filled in the container body does not spill 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경 재배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경 재배 용기에서 가이드 관의 작용을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경 재배 용기에서 하부 받침대의 작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수경 재배 용기의 사용 상태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수경 재배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수경 재배 용기에서 가이드 관의 작용을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of FIG. 1.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guide tube 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of FIG.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lower pedestal 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of Figure 1;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tate of use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of FIG. 5.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7.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of FIG. 9.
1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guide tube 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of FIG. 9.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경 재배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경 재배 용기에서 가이드 관의 작용을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경 재배 용기에서 하부 받침대의 작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of FIG. 1.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guide tube 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of FIG.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lower pedestal 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of Figure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10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용기 본체(110)와 용기 커버(120) 및 지지 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경 재배 용기(100)는 하부 받침대(140) 및 걸이 줄(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ainer body 110 and a container cover 120 and a support tube 130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0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support 140 and a hook line 150.

상기 수경 재배 용기(100)는 수경 재배용 식물, 장미꽃 나무에서 분리된 장미꽃 가지와 같은 식물(a)을 수경 재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경 재배 용기(100)는 식물의 뿌리 또는 줄기 부분이 지지 관(130)을 관통하여 용기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수경 재배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의 내부에 물(b)을 적정 높이로 채워 식물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경 재배 용기(100)는 지지 관(13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용기 본체(110)가 넘어지더라도 내부에 채워진 물(b)이 외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00 may be used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plants (a) such as a plant for hydroponic cultivation and a rose branch separated from a rose tree.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00 may be accommoda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110 through the root or stem portion of the plant through the support tube 130.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00 may be filled with water (b) to an appropriate height inside the container body 110 to be supplied to the plants.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00 may properly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ipe 130 so that even if the container body 110 falls, water (b) filled therein may not be poured out.

상기 용기 본체(110)는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컵 또는 병일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10)는 원통 형상 또는 사각통, 오각통 육각통과 같은 다각형상의 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10)는 꽃병 또는 화분과 같은 다양한 외관의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10)는 상부로 갈수록 수평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10)는 내부에 적어도 식물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10)는 뿌리가 있는 식물의 경우에 뿌리와 줄기의 일부 영역을 수용하며, 장미꽃 가지와 같이 뿌리가 없는 식물의 경우에 하부 및 중간 영역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The container body 110 has a hollow insid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may be a cup or a bottle. The container body 1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square cylinder, a pentagonal cylinder, and a hexagonal cylinder. In addition, the container body 1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various appearances such as a vase or a flower pot. The container body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becomes wider toward the top. The container body 110 may accommodate at least the lower part of the plant therein. The container body 110 may accommodate a part of a root and a stem in the case of a plant with roots, and may accommodate a part of a lower and middle region in the case of a plant without roots such as a rose branch.

상기 용기 본체(110)는 내부에 물(20)이 소정 높이로 채워진다. 상기 물(20)은 용기 본체(110)가 넘어져 수평 방향으로 놓일 때 높이의 절반이 넘지 않은 양으로 채워지며, 바람직하게는, 높이의 1/2이 넘지 않도록 채워진다. The container body 110 is filled with water 20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water 20 is filled in an amount that does not exceed half the height when the container body 110 falls and is plac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preferably, it is filled so as not to exceed half the height.

상기 용기 본체(110)는 내주면의 상부에 상부 안착 턱(1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안착 턱(111)은 용기 본체(11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안착 턱(111)은 용기 커버(120)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안착 턱(111)은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안착 턱(111)은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로 형성되거나,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안착 턱(111)은 용기 본체(110)의 상부로 삽입되는 용기 커버(12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10 may have an upper mounting jaw 111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upper mounting jaw 111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10. The upper mounting jaw 111 may be formed at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cover 120. The upper mounting jaw 111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The upper mounting jaws 111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or may be formed continuously. The upper mounting jaws 111 ma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120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10.

상기 용기 본체(110)는 외주면 하부에 하부 안착 턱(1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안착 턱(112)은 용기 본체(11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안착 턱(112)은 하부 받침대(140)가 용기 커버(1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되는데 필요한 소정의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안착 턱(112)은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안착 턱(112)은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로 형성되거나,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안착 턱(112)은 용기 본체(110)의 하부로 삽입되는 하부 받침대(140)를 지지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10 may have a lower seating jaw 112 und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lower seating jaw 112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10. The lower seating jaw 112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required for the lower pedestal 140 to be coupled to and supported under the container cover 120. The lower seating jaw 112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The lower seating jaws 112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or may be formed continuously. The lower seating jaw 112 may support the lower pedestal 140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10.

상기 용기 본체(110)는 내부 바닥에 소정 높이로 물을 머금을 수 있는 솜, 스폰지와 같은 흡수재(113)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수재(113)는 물을 일정량 흡수하고 있으며, 식물의 뿌리 또는 가지 하부와 접촉하여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흡수재(113)는 흡수되지 않은 물이 모두 사용된 경우에 흡수된 물의 증발 속도를 감소시켜 식물에 물이 공급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재(113)는 물을 흡수하고 있으므로, 용기 본체(110)가 넘어지더라도 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n absorbent material 113 such as cotton or sponge capable of holding water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inner bottom. The absorbent material 113 absorbs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may stably supply water by contacting the lower part of a plant's roots or branches. The absorbent material 113 may reduce the evaporation rate of the absorbed water when all of the unabsorbed water is used, thereby extending the time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 In addition, since the absorbent material 113 absorbs water, even if the container body 110 falls, it is possible to reduce spillage of water to the outside.

상기 용기 본체(110)는 본체 하부 홀(114)과 하부 패킹(115) 및 하부 마개(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패킹(115)과 하부 마개(116)는 하부 받침대(140)가 용기 본체(110)에 결합되는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body lower hole 114, a lower packing 115, and a lower stopper 116. Meanwhile, the lower packing 115 and the lower stopper 116 may be omitted when the lower pedestal 14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110.

상기 본체 하부 홀(114)은 용기 본체(11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용기 본체(1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lower hole 114 may be formed through the container body 110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상기 하부 패킹(115)은 내측에 패킹 홀을 구비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와 폭으로 패킹 홈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패킹(115)은 고무, 실리콘과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패킹(115)은 본체 하부 홀(114)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패킹 홈에 용기 본체(110)의 본체 하부 홀(114)의 내주면이 패킹 홈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패킹(115)과 용기 본체(110)의 본체 하부 홀(114)과 사이는 밀봉될 수 있다.The lower packing 115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acking hole inside, and a packing groove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epth and width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lower packing 115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The lower packing 115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lower body hole 114,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body hole 114 of the container body 110 is coupled to the packing groove in the packing groove. Accordingly, between the lower packing 115 and the body lower hole 114 of the container body 110 may be sealed.

상기 하부 마개(116)는 패킹 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기둥 또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마개(116)는 하부 패킹(115)과 동일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마개(116)는 패킹 홀에 삽입되어 패킹 홀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마개(116)는 용기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하부 패킹(115)으로부터 분리되어 패킹 홀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마개(116)는 별도의 끈에 의하여 하부 패킹(115)에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stopper 116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or bar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acking hole. The lower stopper 116 may be formed of the same elastic material as the lower packing 115. The lower stopper 116 may be inserted into the packing hole to shield the packing hole. W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lower stopper 116 may be separated from the lower packing 115 to open the packing hole. The lower stopper 116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cking 115 by a separate string.

한편, 상기 하부 마개를 대신하여 도 10 내지 도 12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에 사용되는 수위관이 하부 패킹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하부 마개는 하부 패킹의 패킹 홀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stead of the lower stopper, a water tube used 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S. 10 to 12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cking. In this case, the lower stopper may be temporarily separated from the packing hole of the lower packing.

상기 용기 커버(120)는 소정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커버(120)는 용기 본체(110)의 상부 직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외주면(1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커버(120)는 내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커버 관통 홀(1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커버(120)의 외주면(121)은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 커버(120)의 외주면은 상부 안착 턱(111)의 상부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10)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 용기 커버(12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커버(120)는 탄성이 있는 고탄성 스폰지,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iner cover 12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container cover 120 may includ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21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upper diameter of the container body 110. In addition, the container cover 120 may include a cover through hole 122 penetrating upwardly and downwardly inside the container cover 12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21 of the container cover 12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That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12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mounting jaw 111. When the container body 110 is formed in a shape whose diameter decreases from top to bottom, the container cover 120 may be formed in a shape whose diameter decreases from top to bottom. The container cover 12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high-elastic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

상기 용기 커버(120)는 용기 본체(110)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부 안착 턱(111)의 상부에 지지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커버(120)는 용기 본체(110)의 상부를 커버하여 용기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용기 커버(12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외주면이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용기 본체(110)가 넘어진 경우에도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은 용기 본체(110)의 물이 용기 커버(120)의 외주면과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한다.The container cover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10 and couple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upper seating jaw 111. The container cover 120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10 so that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110 does not spill to the outside. Since the container cover 12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elastic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so that even when the container body 110 falls, the container body 110 The water does not flow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12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상기 커버 관통 홀(122)은 지지 관(13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관통 홀(122)은 지지 관(130)과 재배하는 식물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 커버(120)는 커버 관통 홀(122)로 삽입되는 지지 관(130)을 지지하며, 커버 관통 홀(122)의 내주면이 지지 관(130)의 외주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 커버(120)는 용기 본체(110)가 넘어진 경우에도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은 용기 본체(110)의 물이 커버 관통 홀(122)의 내주면과 지지 관(130)의 외주면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한다.The cover through hole 122 may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tube 130. The cover through hole 122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support tube 130 and the plant to be grown are inserted. The container cover 120 supports the support pipe 130 inserted into the cover through hole 12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through hole 122 may be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pe 130. Therefore, even when the container body 110 falls, the container cover 120 allows water in the container body 110 to pass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through hole 12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pe 130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Do not let it flow out through.

상기 지지 관(130)은 내부가 중공이며,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관(130)은 수경 재배할 식물의 양에 따라 적정한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관(130)은 식물의 줄기를 지지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관(130)은 상단이 용기 커버(12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 하단이 용기 본체(110)의 중간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높이 또는 더 작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관(130)은 상단이 용기 커버(120)의 상부로 돌출되고 하단이 용기 커버(120)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부에 허용되는 최대 높이로 물이 채워질 때, 지지 관(130)은 하단이 물의 상면과 접촉하지 않는 높이 또는 더 작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tube 130 has a hollow inside and may be formed in a tube shape with one end and the other end open. The support pipe 130 may be formed with an appropriate inner diamet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plants to be hydroponic cultivation. The support pipe 130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required to support the stem of the plant. Whe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pe 130 is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120, the lower end may be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height of the container body 110 or a smaller height. . The support pipe 130 may have an upper end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cover 120 and a lower end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cover 120. In addition, when water is filled to the maximum height allow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10, the support pipe 130 may be formed at a height that does not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or a smaller height.

상기 지지 관(130)은, 도 3을 참조하면, 용기 커버(120)의 커버 관통 홀(122)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 지지 관(130)은 용기 커버(12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낮게 조정되고, 식물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 용기 커버(12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높게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관(130)은 식물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식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관(130)은 용기 본체(110)에 채워진 물의 높이에 따라, 하단이 물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관(130)의 하단이 물의 상면과 접촉하거나 인접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용기 본체(110)가 넘어지면 바로 물이 지지 관(130)을 통하여 용기 본체(110)의 외부로 쏟아질 수 있다. The support pipe 130 may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cover through hole 122 of the container cover 120, referring to FIG. 3. When the height of the plant is low, the height of the support pipe 130 protru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120 is adjusted to be low, and when the height of the plant is high, the height protru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120 is Can be adjusted high. Therefore, the support pipe 130 may support the plant more stably while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lant.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ipe 130 may be adjusted so that the low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ater filled in the container body 110. In the case wher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pe 13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or is located at a height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when the container body 110 falls, the water immediately pours out of the container body 110 through the support pipe 130. I can.

또한, 상기 지지 관(130)은 용기 커버(120)의 높이보다 적어도 2배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관(130)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식물을 충분히 지지할 수 업다. 또한, 상기 지지 관(130)의 높이가 너무 낮아서, 하단이 용기 커버(120)의 하면과 같은 높이 또는 더 높은 높이(즉, 커버 관통 홀(122)의 내부)에 위치하면, 용기 본체(110)가 넘어지는 경우에 내부의 물이 바로 지지 관(130)을 통하여 외부로 쏟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관(13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ipe 130 may be formed to be at least twice the height of the container cover 120. If the height of the support pipe 130 is too low, the plant cannot be sufficiently supported. In addition, if the height of the support pipe 130 is too low, and the lower end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120 or at a higher height (that is, the inside of the cover through hole 122), the container body 110 In the case of a fall), the water inside may be pou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pport pipe 130.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ipe 130 may be formed in various heights as needed.

상기 하부 받침대(140)는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 받침대(140)는 용기 본체(110)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고, 내주면이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받침대(140)는 용기 본체(110)의 전체 높이의 1/3 ~ 3/5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받침대(140)는 하단의 내경이 용기 본체(110)의 하부 지지 턱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edestal 14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and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open upper and lower portions. For example, the lower pedestal 140 may have an inner diameter smaller from top to bottom, such as the container body 110,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The lower pedestal 140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of 1/3 to 3/5 of the total height of the container body 110. In addition, the lower pedestal 140 may have a lower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supporting jaw of the container body 110.

상기 하부 받침대(140)는 용기 본체(110)의 외측에 직경이 큰 상부가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받침대(140)는 용기 본체(110)의 중간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감싸게 된다. 상기 하부 받침대(140)는 수경 재배 용기(100)를 들거나 이동시킬 때 손이 용기 본체(110)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용기 본체(110)가 미끄러지거나 용기 본체(110)의 표면에 묻어 있을 수 있는 물이 손에 묻지 않도록 한다. The lower pedestal 14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10 such that an upper portion having a large diameter faces upward. The lower pedestal 140 surrounds an area including an intermediate area of the container body 110. The lower pedestal 140 prevents the hand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container body 110 when lifting or moving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00 so that the container body 110 may slide or be buried on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Make sure that the water does not get on your hands.

또한, 상기 하부 받침대(140)는 직경이 큰 상부가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받침대(140)는 직경이 작은 하부가 용기 본체(110)의 하부 지지 턱에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받침대(140)는 수경 재배 용기(100)를 책상과 같은 고정된 장소에 놓을 때 용기 본체(110)를 지지하는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받침대(140)는 표면에 광고 또는 홍보 문구, 그림 또는 업체 정보와 같은 정보가 인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받침대(140)가 광고 도구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받침대(140)는 이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종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edestal 140 may be coupled such that an upper portion having a large diameter faces a lower direction. The lower pedestal 140 may be coupled such that a lower portion having a small diameter is positioned on the lower supporting jaw of the container body 110. The lower pedestal 140 may serve as a pedestal supporting the vessel body 110 when placing the hydroponic cultivation vessel 100 in a fixed place such as a desk. Information such as advertisements or promotional text, pictures, or company information may b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lower pedestal 140. The lower pedestal 140 may serve as an advertisement tool. The lower pedestal 140 may be preferably formed of paper for this purpose.

상기 걸이 줄(150)은 일반적인 줄로 형성되며, 용기 본체(110)의 상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이 줄(150)은 2개로 형성되어 용기 본체(110)의 원주 방향으로 180도로 이격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이 줄(150)은 2개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 줄(150)은 용기 본체(110)에 결합되지 않는 다른 단부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이 줄(150)은 3개 또는 4개로 형성되어 용기 본체(110)의 원주 방향으로 120도 또는 90도로 이격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이 줄(150)은 수경 재배 용기(100)를 특정 물건이나 높이에 걸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경 재배 용기(100)를 자동차 안에 놓을 때, 걸이 줄(150)을 이용하여 수경 재배 용기(100)를 자동차의 특정 위치에 걸 수 있다.The hanger string 150 is formed of a general string, and may be coupl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110. The hook string 150 may be formed in two and may be coupled while being spaced 18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110. Two of the hanger strings 15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the hook line 150 may have other ends that are not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hook string 150 may be formed in three or four, and may be coupled while being separated by 120 degrees or 9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110. The hanging string 150 may be used when hanging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00 on a specific object or height. In addition, when placing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00 in a vehicle,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00 may be hung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vehicle by using the hook 150.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a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수경 재배 용기의 사용 상태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tate of use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of FIG. 5.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7.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200)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용기 본체(210)와 용기 커버(220) 및 지지 관(2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경 재배 용기(200)는 하부 받침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5 to 8, is formed including a container body 210, a container cover 220, and a support tube 230. In additi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20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pedestal 24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100)와 대비하여 일부 구성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상기 수경 재배 용기(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100)와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수경 재배 용기(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t structure in some configurations compared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00 according to FIGS. 1 to 4. Therefore, hereinafter,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200 will be described centering on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00 according to FIGS. 1 to 4. In additi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200 i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s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00 according to FIGS. 1 to 4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용기 본체(210)는 상부 안착 턱(111)과 하부 안착 턱(112)과 본체 하부 홀(214)과, 하부 패킹(115)과 하부 마개(116) 및 상부 걸림 돌기(2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210)는 흡수재(미도시, 도 2의 113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210 includes an upper seating jaw 111, a lower seating jaw 112, a lower body hole 214, a lower packing 115, a lower stopper 116, and an upper locking protrusion 217. I can. The container body 210 may further include an absorbent material (not shown, see 113 in FIG. 2 ).

상기 본체 하부 홀(214)은 용기 본체(210)의 하면에서 용기 본체(2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부 홀(214)은 하부 패킹(115)이 결합되는 홀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부 패킹(115)과 하부 마개(116)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와 달리 용기 본체(2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본체 하부 홀(214)에 결합된다.The body lower hole 214 may be formed through the container body 210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210. The body lower hole 214 provides a hole to which the lower packing 115 is coupled.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acking 115 and the lower stopper 116 are coupled to the body lower hole 21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210 unlike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1 to 4.

상기 상부 걸림 돌기(217)는 용기 본체(210)의 상단과 상부 안착 턱(111) 사이에서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 걸림 돌기(217)는 용기 본체(210)의 상부로 삽입되는 용기 커버(220)를 지지하는데 필요한 돌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 걸림 돌기(217)는 용지 본체의 상단과 상부 안착 턱(111) 사이의 중간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걸림 돌기(217)는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걸림 돌기(217)는 1 개의 링 또는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걸림 돌기(217)는 내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걸림 돌기(217)는 용기 본체(210)와 함께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걸림 돌기(217)는 용기 본체(210) 자체가 내측으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걸림 돌기(217)는 상부 안착 턱(111)과 함께 또는 독자적으로 용기 본체(210)의 상부로 삽입되는 용기 커버(220)를 지지한다. 즉, 상기 상부 걸림 돌기(217)는 용기 커버(220)가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한다.The upper locking protrusion 217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210 and the upper mounting jaw 111.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217 is formed to have a protruding height required to support the container cover 220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210.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217 may be formed at an intermediate height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paper body and the upper mounting jaw 111.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217 may be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ay be formed to form a ring shape as a whole. In this case,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217 may be formed to include one ring or at least two rings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217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ddition,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217 may be formed by being molded together with the container body 210. In addition,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217 may be formed by deforming the container body 210 itself to the inside.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217 supports the container cover 220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210 together with the upper mounting jaws 111 or independently. That is,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217 supports the container cover 220 to be positioned at a constant height.

상기 용기 커버(220)는 커버 관통 홀(122)과 커버 걸림 홈(223) 및 커버 손잡이(2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cover 220 may include a cover through hole 122, a cover engaging groove 223, and a cover handle 224.

상기 커버 걸림 홈(223)은 용기 커버(220)의 외주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걸림 홈(223)은 용기 커버(220)가 용기 본체(210)에 결합될 때 상부 걸림 돌기(217)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 걸림 홈(223)은 상부 걸림 돌기(217)와 결합되며, 용기 커버(220)가 용기 본체(210)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 걸림 홈(223)은 상부 걸림 돌기(21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걸림 홈(223)은 상부 걸림 돌기(217)의 돌출 높이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 걸림 홈(223)은 1 개의 링 또는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걸림 홈(223)은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engaging groove 223 may be formed to have a ring shape as a whol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220. The cover locking groove 223 is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217 when the container cover 22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10. The cover locking groove 223 is coupled to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217 and allows the container cover 220 to be supported by the container body 210. The cover locking groove 223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217. The cover locking groove 223 may be formed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217. For example, the cover engaging groove 223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one ring or at least two rings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 cover engaging groove 223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커버 손잡이(224)는 용기 커버(220)의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 손잡이(224)는 대략 폭이 두께보다 크며, 폭 방향이 용기 본체(210)의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용기 커버(220)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 손잡이(224)는 용기 커버(220)를 용기 본체(210)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 손잡이(224)는 용기 커버(220)가 용기 본체(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 커버(2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cover handle 224 is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220. The cover handle 224 is substantially wider than the thickness and is coupled to the container cover 220 so that the width direction faces the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210. The cover handle 224 makes it easy to couple or separate the container cover 220 to the container body 210. In addition, the cover handle 224 allows the container cover 220 to be easily rotated while the container cover 22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10.

상기 지지 관(230)은 용기 커버(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관(230)은 용기 커버(220)와 일체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지지 관(230)은 용기 커버(220)의 중앙에 형성되는 커버 관통 홀(122)의 하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관(230)은 내경이 커버 관통 홀(122)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용기 커버(220)의 커버 관통 홀(122)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 관(230)은 외경이 커버 관통 홀(122)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며 커버 관통 홀(122)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관(230)은 상단이 용기 커버(22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The support pipe 2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tainer cover 220. That is, the support pipe 230 may be formed by being integrally injected with the container cover 220. In this case, the support pipe 230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ver through hole 122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cover 220. That is, the support pipe 230 has an inner diameter that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cover through hole 122, and the upper end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ver through hole 122 of the container cover 220. Alternatively, the support tube 230 may have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inner diameter of the cover through hole 122 and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cover through hole 122. Accordingly,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pe 230 may form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220.

상기 하부 받침대(240)는 하부 받침 홀(2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받침 홀(241)은 하부 받침대(240)의 하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 받침 홀(241)은 하부 받침대(240)가 용기 본체(210)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2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패킹(115)에 하부 마개(116)가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lower support 240 may include a lower support hole 241. The lower support hole 241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support 240 and is formed by penetrat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lower support hole 241, the lower stopper 116 is normally coupled to the lower packing 115 located under the container body 210 while the lower support 24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210 It allows you to check whether it has been done or not.

상기 하부 받침대(240)는 하부 경사부(240a)와 하부 수직부(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경사부(240a)는 용기 본체(21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 경사부(240a)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경사부(240a)는 용기 본체(210)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용기 본체(210)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 경사부(240a)는 하부 받침대(240)가 용기 본체(210)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 경사부(240a)는 용기 본체(210)의 높이의 1/3 ∼3/5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경사부(240a)는 용기 본체(210)에 결합되었을 때 하단이 용기 본체(210)의 하단보다 소정 높이로 위에 위치하도록 상단과 하단의 내경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경사부(240a)의 하단은 용기 본체(2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안착 턱(112)의 높이에서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edestal 240 may include a lower inclined portion 240a and a lower vertical portion 240b. The lower inclined portion 240a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210. That is, the lower inclined portion 240a is formed in a shape whos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op to bottom. The lower inclined portion 240a is inser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210 and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10. The lower inclined portion 240a is formed at a height such that the lower pedestal 24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10 to stably support the container body 210. For example, the lower inclined portion 240a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of 1/3 to 3/5 of the height of the container body 210. When the lower inclined portion 240a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10, the inner diameter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lower end is position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210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lower end of the lower inclined portion 240a may be formed with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at a height of the lower seating jaw 112 positioned under the container body 210.

상기 하부 수직부(240b)는 하부 경사부(240a)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수직부(240b)는 하부 경사부(240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직부(240b)는 상부와 하부의 내경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수직부(240b)는 용기 본체(210)의 하부 안착 턱(112)의 높이에서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직부(240b)는 용기 본체(210)의 하부가 지면(용기 본체가 놓이는 책상등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용기 본체(2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패킹(115)과 하부 마개(116)가 지면과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하부 수직부(240b)는 하부 패킹(115)과 하부 마개(116)가 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직부(240b)는 하부 경사부(240a)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vertical part 240b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inclined part 240a. The lower vertical part 240b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inclined part 240a. The lower vertical portion 240b is formed in a shape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lower vertical portion 240b may be formed with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at a height of the lower seating jaw 112 of the container body 210. The lower vertical portion 240b allows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2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 upper surface of a desk on which the container body is plac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ccordingly, the lower packing 115 and the lower stopper 116 positioned under the container body 210 do not contact the ground. The lower vertical part 240b may be formed at a height such that the lower packing 115 and the lower stopper 116 do not contact the ground. The lower vertical portion 240b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lower inclined portion 240a.

한편, 상기 하부 받침대(24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수직부(240b)가 용기 본체(210)에 결합되고 하부 경사부(240a)가 하부 수직부(240b)의 하부에 위치하여 지면과 접촉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수직부(240b)의 상단은 용기 본체(210)의 하부 안착 턱(1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수경 재배 용기(200)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edestal 240, as shown in Figure 8, the lower vertical portion (240b)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10 and the lower inclined portion (240a) is located below the lower vertical portion (240b) It can be used to make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lower vertical portion 240b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eating jaw 112 of the container body 210. In this case,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200 may have a relatively high height.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following describes a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수경 재배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수경 재배 용기에서 가이드 관의 작용을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of FIG. 9. 1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guide tube 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of FIG. 9.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300)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용기 본체(310)와 용기 커버(120)와 흡수재(360) 및 수위 관(3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경 재배 용기(300)는 하부 받침대(140) 및 걸이 줄(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9 to 11, includes a container body 310, a container cover 120, an absorbent material 360, and a water level pipe 370 can do.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30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support 140 and a hook line 15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300)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100)와 대비하여 용기 본체(310)와 흡수재(360)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되며, 수위 관(37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상기 수경 재배 용기(300)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100)와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수경 재배 용기(300)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00 according to Figs. 1 to 4,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body 310 and the absorbent material 360 is formed differently, and the water level It may be formed to further include a tube 370. Therefore, hereinafter,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300 will be described centering on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00 according to FIGS. 1 to 4. In additi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300 i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s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00 according to FIGS. 1 to 4,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 수경 재배 용기(300)는 장미 나무로부터 분리된 장미꽃 가지(a)와 같이 줄기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있는 가지가 있는 식물을 재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300 may be used to cultivate a plant having a branch having a relatively stronger strength than a stem, such as a rose branch (a) separated from a rose tree.

상기 용기 본체(310)는 본체 하부 홀(114) 및 하부 패킹(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310)는 본체 하부 홀(114)과 하부 패킹(115)이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수경 재배 용기(300)의 본체 하부 홀(114)과 하부 패킹(115)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본체 하부 홀(114)과 패킹 홀은 수위 관(37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하부 홀(114)은 용기 본체(310)의 내부에서 필요로 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적정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iner body 310 may include a body lower hole 114 and a lower packing 115. In the container body 310, the body lower hole 114 and the lower packing 115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body lower hole 114 and the lower packing 115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300 according to FIGS. 1 to 4 Can be formed. However, the lower body hole 114 and the packing hole may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water level pipe 370. In addition, the lower body hole 114 may be formed at an appropriate height according to the level of water required inside the container body 310.

상기 흡수재(360)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솜, 스폰지 또는 다공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수재(360)는 용기 본체(310)의 내부에 소정의 높이로 충진될 수 있다. 상기 흡수재(360)는 흡수한 물을 식물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재(360)는 물을 흡수하여 보관하므로 용기 본체(310)가 넘어지는 경우에도 물이 외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흡수재(360)는 장미꽃 가지와 같이 용기 본체(310)에 삽입되는 식물을 고정하여 용기 본체(310)의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The absorbent material 360 may be formed of cotton, sponge, or porous resin capable of absorbing water. The absorbent material 360 may be filled to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the container body 310. The absorbent material 360 may supply absorbed water to the plant. In addition, since the absorbent material 360 absorbs and stores water, even when the container body 310 falls, water does not spill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absorbent material 360 fixes a plant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310 such as a rose branch so that it does not fall out of the container body 310.

상기 흡수재(360)는 하부 흡수재(361)와 상부 흡수재(362)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흡수재(361)는 용기 본체(310)의 내부에서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흡수재(362)는 하부 흡수재(36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장미꽃 가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별도의 지지 가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가지는 상부 흡수재(362)와 하부 흡수재(361)의 사이에 위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 흡수재(361)는 장미꽃 가지의 하부 또는 지지 가지를 지지하고, 상부 흡수재(362)는 장미꽃 가지의 측부를 감싸며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미꽃 가지는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absorbent material 360 may be divided into a lower absorbent material 361 and an upper absorbent material 362. The lower absorbent material 361 may be located below the container body 310. In addition, the upper absorbent material 362 may be positioned above the lower absorbent material 361. The rose branch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upport branch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bottom. The support branch may be positioned and supported between the upper absorbent material 362 and the lower absorbent material 361. More specifically, the lower absorbent material 361 may support the lower portion or the supporting branch of the rose branch, and the upper absorbent member 362 may surround and support the side portion of the rose branch. Therefore, the rose branch can be fixed more firmly.

상기 수위 관(370)은 수평 관(371)과 수직 관(372)이 연결된 "ㄱ"자 형상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위 관(370)은 수평 관(371)의 일단이 용기 본체(310)의 하부 패킹(115)에 결합되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위 관(370)은 수직 관(372)의 단부가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위 관(370)은 흡수재(360)에 흡수되어 있는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수위 관(370)에는 흡수재(360)로부터 물이 흘러나와 고이게 되며, 흡수재(360)에 흡수되어 있는 물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 관(370)이 회전하여 수직 관(372)의 단부가 하부 방향을 향하는 경우에, 수위 관(370)은 용기 본체(310)의 내부에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관의 역할을 할 수 있다.The water level pipe 370 may be formed as a "b"-shaped pipe to which the horizontal pipe 371 and the vertical pipe 372 are connected. In the water level pipe 370, one end of the horizontal pipe 371 is coupled to the lower packing 115 of the container body 310,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he water level pipe 370 may be positioned such that the end of the vertical pipe 372 faces upward. The water level pipe 370 makes it possible to check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by the absorbent material 360. That is, in the water level pipe 370, water flows out of the absorbent material 360 and is collected, and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by the absorbent material 360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water level pipe 370 rotates so that the end of the vertical pipe 372 faces downward, the water level pipe 370 is of a discharge pipe that discharges water inside the container body 310 to the outside. Can play a role.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presented by selecting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among various possible examples,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only by this embodiment, Various changes, addi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implementation of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100, 200, 300: 수경 재배 용기
110, 210, 310: 용기 본체
120, 220: 용기 커버
130, 230: 지지 관
140, 240: 하부 받침대
150: 걸이 줄
360: 흡수재
100, 200, 300: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110, 210, 310: container body
120, 220: container cover
130, 230: support pipe
140, 240: lower pedestal
150: hook line
360: absorbent material

Claims (12)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가 개방되어 물이 소정 높이로 채워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식물의 하부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소정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식물이 관통하는 커버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로 결합되는 용기 커버 및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상기 용기 커버의 두께보다 더 큰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 커버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용기 커버의 커버 관통 홀에 결합되는 지지 관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관은 상기 커버 관통 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지지관으로 삽입되는 식물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용기 커버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식물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용기.
A container body having a hollow inside and an open top to accommodate at least a lower part of the plant by forming a tubular shape filled with water to a predetermined height,
A container cover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 cover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lant penetrate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formed in an open tubular shape to a height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cover, and includes a support tube coupled to the cover through hole of the container cover so as to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over,
The support pipe is inserted in the cover through hol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lant inserted into the support pipe, and supports the plant by adjusting a height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내주면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 커버가 안착되는 상부 안착 턱 및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 턱을 구비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관 형상이고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이며, 하단의 내경이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 지지 턱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부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받침대는 상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거나, 하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하단이 상기 하부 지지 턱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body is formed on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ncludes an upper seating jaw on which the container cover is seated and a lower seating jaw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further comprises a lower pedestal having a tubular shap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 and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end is formed with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supporting jaws of the container body,
The lower pedestal is a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from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or the lower part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from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lower end is seated on the lower support ja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본체 하부 홀과,
내측에 패킹 홀을 구비하는 링 형상이며 외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와 폭으로 패킹 홈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하부 홀에 결합되는 하부 패킹 및
상기 패킹 홀에 결합되는 하부 마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패킹은 상기 패킹 홈에 본체 하부 홀의 내주면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패킹 홀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수경 재배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body
A body lower hole formed through the container bod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It is a ring shape having a packing hole inside, and a packing groove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epth and width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lower packing coupled to the lower hole of the main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lower stopper coupled to the packing hole,
The lower packing is coupled by insert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hole of the main body into the packing groove, and the packing hole penetrat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내부에 채워지는 상기 물을 일시적으로 흡수하는 흡수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body further comprises an absorbent material for temporarily absorbing the water filled therein.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가 개방되어 물이 소정 높이로 채워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식물의 하부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소정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식물이 관통하는 커버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로 결합되는 용기 커버 및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상기 용기 커버의 두께보다 더 큰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 커버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용기 커버의 커버 관통 홀에 결합되는 지지 관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커버와 지지 관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관의 상단은 상기 용기 커버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거나,
상기 지지 관의 상단이 상기 용기 커버의 커버 관통 홀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용기.
A container body having a hollow inside and an open top to accommodate at least a lower part of the plant by forming a tubular shape filled with water to a predetermined height,
A container cover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 cover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lant penetrate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formed in an open tubular shape to a height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cover, and includes a support tube coupled to the cover through hole of the container cover so as to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over,
The container cover and the support tube are integrally forme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tube forms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or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tube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ver through hole of the container cov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단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 턱 및 상단과 상기 상부 안착 턱의 사이에서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걸림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커버는 상기 용기 커버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커버 걸림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용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ainer body includes an upper mounting jaw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an upper end, and an upper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war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upper mounting jaw,
The container cover is a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engaging groov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하면에 상기 용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본체 하부 홀과,
내측에 패킹 홀을 구비하는 링 형상이며 외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와 폭으로 패킹 홈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하부 홀에 결합되는 하부 패킹 및
상기 패킹 홀에 결합되는 하부 마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패킹은 상기 패킹 홈에 본체 하부 홀의 내주면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패킹 홀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수경 재배 용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ainer body
A body lower hole formed through the container body on a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It is a ring shape having a packing hole inside, and a packing groove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epth and width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lower packing coupled to the lower hole of the main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lower stopper coupled to the packing hole,
The lower packing is coupled by insert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hole of the main body into the packing groove, and the packing hole penetrat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내주면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 커버가 안착되는 상부 안착 턱 및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 턱을 구비하며,
상기 수경 재배 용기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관 형상이고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 지지 턱에 결합되는 하부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받침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며 하단이 상기 하부 지지턱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하부 경사부 및
상기 하부 경사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상부와 하부의 내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하부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수직부는 하단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되는 하부 받침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용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ainer body is formed on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ncludes an upper seating jaw on which the container cover is seated and a lower seating jaw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further includes a lower pedestal having a tubular shape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and coupled to a lower support jaw of the container body,
The lower pedestal
A lower inclined portion having a slo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a lower end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support jaw; and
And a lower vertic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inclined portion to a lower portion and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The lower vertical portion further comprises a lower support hol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direction and penetrat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가 개방되어 물이 소정 높이로 채워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식물이 삽입되는 용기 본체와,
소정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식물이 관통하는 커버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로 결합되는 용기 커버 및,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충진되며, 상기 물을 일시적으로 흡수하며, 상기 용기 본체에 삽입되는 식물을 고정하는 흡수재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하부에 위치하며 식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흡수재 및
상기 하부 흡수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식물의 측부를 감싸며 지지하는 상부 흡수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용기.
A container body in which the inside is hollow and the top is open to fill the water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container body into which a plant is inserted,
A container cover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 cover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lant penetrates through the inside of the ring shap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It is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and temporarily absorbs the water, and includes an absorbent material for fixing a plant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The absorbent material is
A lower absorbent material located below the container body and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plant, and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comprising an upper absorbent material positioned above the lower absorbent material and surrounding and supporting the side of the plan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본체 하부 홀 및 내측에 패킹 홀을 구비하는 링 형상이며 외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와 폭으로 패킹 홈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하부 홀에 결합되는 하부 패킹을 더 포함하며,
수평 관과 수직 관이 연결된 "ㄱ"자 형상의 관이고 상기 하부 패킹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직 관의 단부가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용기 본체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표시하거나, 상기 수직 관의 단부가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용기 본체에 채워진 물을 배수하는 수위 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용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ainer body
It is a ring shape having a body lower hole formed through the container bod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a packing hole inside, and a packing groove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epth and width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body lower hole. It further comprises a lower packing,
A horizontal pipe and a vertical pi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acking, and the vertical pipe is positioned so that the end of the vertical pipe faces upward to indicate the level of water filled in the container body, or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ter level pipe that is positioned so that the end of the vertical pipe faces a lower direction to drain the water filled in the container body.
삭제delete
KR1020180119220A 2018-10-05 2018-10-05 Vessel for Water culture Active KR1022315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20A KR102231523B1 (en) 2018-10-05 2018-10-05 Vessel for Water culture
PCT/KR2018/012977 WO2020071579A1 (en) 2018-10-05 2018-10-30 Container for water cul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20A KR102231523B1 (en) 2018-10-05 2018-10-05 Vessel for Water cul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372A KR20200039372A (en) 2020-04-16
KR102231523B1 true KR102231523B1 (en) 2021-03-24

Family

ID=7005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220A Active KR102231523B1 (en) 2018-10-05 2018-10-05 Vessel for Water cultur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1523B1 (en)
WO (1) WO202007157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31337A1 (en) * 2020-12-23 2022-06-23 Massimo Arturo Ramelli IMPROVED WATER CULTURE APPARATUS
US20230403989A1 (en) * 2022-06-21 2023-12-21 Kevin Fitzgerald Johnson Planter system enhancing growth, care and maintenance of pla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817B1 (en) * 2011-03-14 2012-09-21 유수경 A device for hydroponic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1U (en) * 1989-05-25 1991-01-08
JPH0728339A (en) 1993-07-08 1995-01-31 Canon Inc Image forming device
JP2603489Y2 (en) * 1993-11-08 2000-03-13 有限会社ワイダー Ornamental flowerpot
JP2000166393A (en) * 1998-12-07 2000-06-20 Hidetoshi Kobayashi Cultivation container
KR101595476B1 (en) 2014-02-10 2016-02-18 서경석 Culturing method of ginseng using ozonized water, and pot for a cultivated and sprouted ginge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817B1 (en) * 2011-03-14 2012-09-21 유수경 A device for hydropon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372A (en) 2020-04-16
WO2020071579A1 (en)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0666B2 (en) Plant container with watering system
US3199250A (en) Seed growth apparatus
US6370819B1 (en) Plant watering system
US5044120A (en) Double-walled plant pot with graduated fertilizer
US20150033625A1 (en) Sub-Irrigated Planter
KR101880253B1 (en) Non-power flowerpot water supply device
ES2154068T5 (en) CONTAINER FOR FLOWER HANDS.
US4117632A (en) Plant watering device
US5967359A (en) Receptacle
KR102210730B1 (en) Height-adjustable Hydroponic Pot Equipment
US3739523A (en) Plant holder and watering device for potted plants
KR102231523B1 (en) Vessel for Water culture
CN211406971U (en) Domestic jardiniere convenient to watering
US20180317408A1 (en) Plant growing stand and plant product
GB2220118A (en) A support
US3841021A (en) Cultivation pot for seedlings and plants
GB2218887A (en) Plant display system
GB2473645A (en) Growing bag tray and cane holder
US674116A (en) Flower-holder.
KR101914112B1 (en) Flowerpot
KR20130000897U (en) Dual flowerpot
KR101845267B1 (en) Pollen capable of continuously receiving water
US4308690A (en) Planter
KR20090107116A (en) Versatile flower pot
JPH04218319A (en) Cultur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2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2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