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199B1 -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hand mounted type dust inlet - Google Patents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hand mounted type dust inl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1199B1 KR102231199B1 KR1020200099912A KR20200099912A KR102231199B1 KR 102231199 B1 KR102231199 B1 KR 102231199B1 KR 1020200099912 A KR1020200099912 A KR 1020200099912A KR 20200099912 A KR20200099912 A KR 20200099912A KR 102231199 B1 KR102231199 B1 KR 1022311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filter
- dust collecting
- hand
- su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24B55/10—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장착형 분진 흡입구를 갖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물 벽체 면을 매끄럽게 연마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분진을 흡입 및 집진시켜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하되 개방형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연마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밀작업이 가능하게 하면서 발생된 분진은 사용자 손에 장착된 분진흡입구를 통해서 신속하게 흡입하게 하고, 흡입된 분진 내에 포함된 알갱이들은 흡입라인상에 설치된 망필터를 통해서 별도로 분리가 가능한 손 장착형 분진 흡입구를 갖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 hand-mounted dust inlet, and more specifically, a large amount of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moothly polishing the surface of a building is inhaled and collected to create a comfortable working environment, but using an open grinder. While enabling precise work that allows the operator to check the grinding position, the generated dust is quickly inhaled through the dust inlet installed in the user's hand, and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inhaled dust are collected through a mesh filter installed on the suction line. It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detachable hand-mounted dust inlet.
Description
본 발명은 손장착형 분진 흡입구를 갖는 연마작업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물 벽체 면을 매끄럽게 연마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분진을 흡입 및 집진시켜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하되 개방형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연마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밀작업이 가능하게 하면서 발생된 분진은 사용자 손에 장착된 분진흡입구를 통해서 신속하게 흡입하게 하고, 흡입된 분진 내에 포함된 알갱이들은 흡입라인상에 설치된 망필터를 통해서 별도로 분리가 가능한 손 장착형 분진 흡입구를 갖는 연마작업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polishing work having a hand-mounted dust suction 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create a comfortable working environment by inhaling and collecting a large amount of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moothly polishing the surface of a building, but using an open grinder. By using it, the operator can check the grinding position, and the generated dust is quickly inhaled through the dust inlet installed in the user's hand, and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inhaled dust are installed on the suction line. It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grinding work having a hand-mounted dust suction port that can be separately separated through.
일반적으로 그라인더는 목재, 석재 및 금속재 등의 표면처리 및 가공작업에 쓰인다. 예컨대, 선박 등 각종 구조물 및 각종 건축용 내, 외장재 등의 표면을 연마하기 위한 그라인더는 구동축에 연마헤드와 연마판을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시켜 금속, 석재 등과 같은 가공물의 표면을 연마시킨다.In general, grinders are used for surface treatment and processing of wood, stone and metal materials. For example, a grinder for polishing the surface of various structures such as ships and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various buildings is rotated at high speed while a polishing head and a polishing plate are inserted and fixed to a drive shaft to polish the surface of a workpiece such as metal and ston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그라인더는 단순히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마부재를 마찰시켜 표면을 연마시키는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가공 작업 중 많은 양의 분진이 발생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conventional grinder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has a configuration that polishes the surface by simply rubbing a polishing member rotating at a high speed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a large amount of dust is generated during processing, resulting in a problem that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are deteriorated. There is this.
이러한 그라인더를 이용한 연마작업은 건물 신축공사장에서도 시행되고 있다. 즉,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여 건물벽체를 건설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 다수개의 거푸집을 이용하기 때문에 양생 완료후 거푸집을 제거한 다음 2개의 거푸집 사이의 경계면에 의해 형성된 띠형태 돌출부와, 거푸집과 접하는 면의 거침을 평탄화하기 위해 연마하는 작업이 시행된다. 상기 건물 내부 연마작업은 다른 재질의 연마작업보다 분진발생량이 크고 실내이기 때문에 발생된 분진의 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자 호흡시 분진 흡입이 빈번히 발생된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방진마스크 보호안경을 착용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다량 발생된 분진이 쌓여서 작업공간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게 되어 인근 다른 작업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신속한 작업마무리가 어렵다. Grinding work using such a grinder is also being carried out in new building construction sites. That is,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building wall by pouring concrete and curing, a plurality of formwork is used when pouring concrete, so after curing is completed, the formwork is removed, and then the strip-shaped protrusion formed by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forms, Grinding is performed to flatten the roughness. Since the interior grinding work of the building has a larger amount of dust than that of other materials and is indoors, the generated dust is not well discharged, and thus, dust inhalation occurs frequently during worker breathing. Therefore, although workers wear dust masks and protective glasses, it is difficult to secure a view of the work space due to the accumulation of large amounts of dust, which affects other workers in the vicinity, making it difficult to quickly finish the work.
이에 일부에서는 집진장치를 연결하여 작업후 즉시 분진을 회수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Accordingly, some provide a function of collecting dust immediately after work by connecting a dust collecting device.
한국등록특허 제10-1324158호(2013.10.25.등록;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은 친환경 분진방지 그라인더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표면처리 방법을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원통형상의 그라이더 헤드케이스가 구비되어 내부 연마제에 의해 연마된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헤드케이스에 집진장치와 호스로 연결하여 헤드케이스 내의 분진을 흡입해 제거하는 구조로 제공된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24158 (registered on October 25, 20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1) proposed an eco-friendly dust-preventing grinder and an eco-friendly surface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The Prior Document 1 is a structure in which a cylindrical grinder head case is provided to minimize the discharge of dust polished by an internal abrasive to the outside, and is connected to the head case with a dust collector and a hose to suck and remove the dust in the head case. Is provided.
상기 형태는 헤드케이스가 내부 연마제를 가리기 때문에 건물내벽에 대한 필요한 부분에 정확한 연마작업이 어렵고, 건물내벽면 연마시 발생되는 콘크리트 조각들도 그대로 집진장치에 내입되어 집진장치 내의 분진분리를 위한 필터백을 파손시켜 분진의 필터링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above form, since the head case covers the internal polishing agen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polish the necessary parts of the building's inner wall, and the concrete fragments generated when polish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re inserted in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as they are, and a filter bag for separating dust 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ltering ability of the dust is deteriorated due to damage to the filter.
한국등록특허 제10-1844061호(2018.03.26.등록;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는 그라인더용 집진커버를 제시하였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44061 (registered on March 26, 2018; hereinafter referred to as'priority document 2') proposed a dust collecting cover for a grinder.
상기 선행문헌2에서는 집진커버의 일부 구성을 개폐가능하게 구성하여 작업시 내측에서 회전되는 연마제를 확인가능하게 하였으나, 발생된 콘크리트 조각이 집진장치로 내입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였다. In the preceding document 2, a part of the dust collecting cover was configured to be openable and closed, so that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abrasive that rotates inside during operation, but it was not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ed concrete pieces from enter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이에 본 발명의 손 장착형 분진흡입구를 갖는 연마작업용 집진장치는,Accordingly, the dust collecting device for grinding work having a hand-mounted dust suction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그라인더를 새로 구입할 필요없이 기존 그라인더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집진장치만 구비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설비의 이중투자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prevent double investment in facilities because it uses only a dust collector while using the existing grinder as it is without the need to purchase a new grinder to remove dust.
또한, 분진집진장치의 분진흡입구를 작업자의 손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대상면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덮개를 사용하지 않아도 발생된 분진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제거함으로 쾌적한 작업환경의 조성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ust inlet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operator's hand and used, the target surface can be easily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and a comfortable working environment can be created by quickly absorbing and removing the generated dust without using a cover. I can do it.
특히 흡입관의 라인상에 다중필터를 장착하여 흡입된 분진 내에 부피가 큰 덩어리를 필터링함으로써 집진본체에 큰 콘크리트 덩어리가 유입되어 내부 집진필터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internal dust collection filter due to the introduction of a large concrete mass into the dust collection body by filtering a bulky mass in the suctioned dust by installing a multiple filter on the line of the suction pip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손 장착형 분진흡입구를 갖는 연마작업용 집진장치는,The dust collecting device for grinding work having a hand-mounted dust suction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분진을 흡입하여 포집하는 연마작업용 집진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집진필터가 내장되어 흡입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분리하여 포집하고 공기를 배출시키는 집진본체와; 분진흡입구가 형성되고 작업자의 손 또는 손목에 장착되는 분진흡입고정대와; 분진흡입고정대와 집진본체를 연결하여 흡입된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집진본체로 이송시키는 흡입이송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What is claimed is: 1.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polishing operation that sucks and collects dust,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body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inside to separate and collect the dust contained in the suction air and discharge the air; A dust suction fixture having a dust suction port and mounted on a worker's hand or wrist; It comprises; a suction and transfer pipe that connects the dust suction fixture and the dust collection body to transfer the air containing the inhaled dust to the dust collection body.
또한, 분진을 흡입하여 포집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흡입팬을 구비하여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집진본체와; 분진흡입구가 형성되고 작업자의 손 또는 손목에 장착되는 분진흡입고정대와; 분진흡입고정대와 집진본체를 연결하여 흡입된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집진본체로 이송시키는 흡입이송관과; 상기 흡입이송관과 집진본체 사이에는 장착되어 파쇄물 알갱이 및 분진을 필터링하는 필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dust by inhaling,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body having a suction fan therein to suck and discharge air; A dust suction fixture having a dust suction port and mounted on a worker's hand or wrist; A suction and transfer pipe connecting the dust suction fixture and the dust collecting body to transfer the air containing the inhaled dust to the dust collecting body; It may include a; filter pipe is mounted between the suction transfer pipe and the dust collecting body to filter the crushed particles and dust.
상기 분진흡입고정대는, 작업자 손 상부에 안착되는 판상의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 상부에서 형성되어 전방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흡입이송관이 연결된 흡입관부와; 상기 고정본체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측 단부가 작업자의 손 또는 손목 또는 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ust suction fixture includes a plate-shaped fixing body seated on an upper part of an operator's hand; A suction pipe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body, a suction port for suctioning air is formed at a front side, and a suction and transfer pipe connected at a rear side; It includes; one end is attached to the fixed body and the other end is a fixing belt for fixing the operator's hand or wrist or arm.
또한, 상기 고정본체의 전단에는, 전방 하향으로 연장된 원호형태의 전단보호부가 더 형성되어, 그라인더 손잡이를 움켜잡은 작업자 손 앞부분을 가려서 흡입되는 파쇄물 알갱이가 작업자 손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front end of the fixed body, an arc-shaped shear protection unit extending forward and downward is further formed to cover the front part of the operator's hand grabbing the grinder handle to prevent the inhaled crushed particles from colliding with the operator's hand.
상기 흡입이송관과 집진본체 사이에는 필터관이 더 장착되어 파쇄물 알갱이가 집진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filter pipe is further mounted between the suction and transfer pipe and the dust collecting body to prevent the crushed material particles from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ing body.
상기 필터관은, 내면에 축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필터결합홈이 형성되고, 일측방향이 개구된 필터본체와; 상기 필터본체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필터본체의 필터결합홈에 끼워지는 환형태의 패킹부와, 상기 패킹부 내측에 배치되는 망체부로 이루어진 망필터와; 상기 필터본체의 개구된 부분에 끼워서 내부를 폐구시키는 필터덮개와; 상기 필터본체와 필터덮개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lter tube includes: a filter body having a filter coupl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n axial direction, and an opening in one direction; A mesh filter comprising an annular packing portion fitted into the filter coupling groove of the filter body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filter body, and a mesh body portion disposed inside the packing portion; A filter cover that is inserted into the open portion of the filter body to close the inside of the filter body; And a locking device for detachably coupling the filter body and the filter cover.
이때 상기 필터관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다수개의 망필터가 장착되되, 공기 유입측에서 배출측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망체부의 통공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파쇄물 알갱이를 크기별로 순차적으로 필터링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mesh filters are mounted in the axial direction inside the filter tube, and the pore size of the mesh body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air inflow side to the discharge side, so that the crushed material grains can be sequentially filtered by size. .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손 장착형 분진흡입구를 갖는 연마작업용 집진장치는,The dust collecting device for grinding work having a hand-mounted dust suction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solution means,
건물내 연마작업시 발생된 분진을 작업자의 손에 장착한 분진흡입고정대를 이용하여 흡입제거함으로써 그라인더의 커버없이도 분진제거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연마위치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이 이루어짐으로 보다 정밀한 연마작업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remove dust without the cover of the grinder by inhaling and removing the dust generated during the grinding work in the building using the dust suction fixture mounted on the worker's hand. This is because the work is performed while the operator checks the polishing position with the naked eye, thereby enabling a more precise polishing operation.
또한, 흡입라인상에는 필터관을 장착하여 필터관에서 파쇄알갱이를 포집제거하게 함으로써 집진본체 내부로 파쇄 알갱이가 유입되어 집진필터를 파손시켜 집진율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구입비용을 절감시키고 연마작업을 용이하게 하게 하면서 집진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In addition, a filter pipe is installed on the suction line to collect and remove the crushed particles from the filter pip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purchasing a device that can prevent the crushed particles from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ing body and damaging the dust collecting filter and reducing the dust collection rate. It has become possible to provide a useful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dust collector while facilitating wor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진흡입고정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축방향 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단보호부가 구비된 분진흡입고정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A-A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망필터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도시한 개략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ax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st suction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st suction fixture provided with a shear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tub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3a.
3C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sh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연통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통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 장착형 분진 흡입구를 갖는 연마작업용 집진장치(10)는, 집진필터(21)가 내장된 집진본체(20)와, 분진을 흡입하는 흡입구(321)를 갖는 분진흡입고정대(30)와, 흡입된 분진을 집진본체로 이송시키는 흡입이송관(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mentioned above, the dust collecting
상기 집진본체(20)는, 통체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집진필터(21)가 설치되어 흡입된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분진은 필터링하고 공기만 통과시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집진본체(20)에는 내부 또는 외부에 흡입팬(22)을 장착하여 공기흡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집진필터(21)는 분진을 필터링하는 상용화된 필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백필터가 있다. The dust collecting
상기 집진본체(20) 내부는 집진필터(21)에 의해 공간을 구획하고, 일측 공간에는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구획된 공간에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공기배출구에 근접하여 흡입팬(22)을 장착하여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집진필터(21)를 통과하면서 내포된 분진이 집진필터에 걸러지고 깨끗한 공기만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Inside the
따라서 집진본체(20)는 집진필터(21)를 중심으로 분리가능한 구성으로 제공하여 주기적으로 집진필터(21)를 교체 또는 포집된 분진을 제거하여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에 바퀴를 설치하여 이동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the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진흡입고정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축방향 단면도이다. 2A and 2B are perspective and axial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dust suction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분진흡입고정대(30)는 그라인더의 손잡이를 잡는 작업자의 손에 장착되어 그라인더의 연마작업시 발생된 분진을 즉시 흡입하게 한다.The
상기 분진흡입고정대(30)는 작업자의 손 또는 팔에 안착시키는 판상의 고정본체(31)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본체(31)는 작업자의 손이나 팔을 감싸도록 폭방향으로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내면에는 다수개의 공기유로를 형성하여 작업자 손 또는 팔과의 사이에 공기가 유통되어 여름철 통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상기 고정본체 상부에는 흡입관부(3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관부(32)는 전방으로 흡입구(321)가 형성되어 연마과정에서 발생된 분진을 다량 흡입되게 하고 후방에는 흡입이송관(40)이 연결되도록 연결부가 형성된다.A
상기 흡입이송관(40)과의 결합은 나사결합방식이나 별도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내부압력이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하게 결합한다. 이때 흡입이송관과 흡입관부 사이에는 패킹을 더 내입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oupling with the suction and
상기 흡입관부(32)는 도면에서는 고정본체(31)보다 후방측에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으나, 고정본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제공하여 그라인더의 연마위치와 더 근접 배치되게 할 수 있다.In the drawing, the
또한, 상기 고정본체(31)에는 일측에 고정밸트(33)가 더 부착된다. 상기 고정밸트(33)는 다양한 고정수단을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벨크로테이프로 형성하여 작업자의 손 또는 팔에 장착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밸트는 일측단부를 고정본체 일측면에 고정부착하고, 고정밸트 타측 단부는 작업자의 손이나 손목 또는 팔을 감아서 고정본체의 타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켜 작업자 손에 일체로 고정시키게 한다. In addition, a fixed
상기한 바와같이 고정밸트(33)를 구비하면 별도로 분진흡입고정대(30)를 잡고 있지 않아도 손과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밸트는 도시된 바와같이 하나로 형성되는 것 이외에 다수개로 형성하여 팔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밸트는 흡입이송관에도 구성하여 작업자의 팔에 고정시켜 작업시 흡입이송관이 걸려 불편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f the fixing
도 2c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분진흡입고정대(30)는 고정본체(31) 전단에 전단보호부(311)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단보호부(311)는 전방 하향으로 연장된 원호형태로서 장착시 그라인더 손잡이를 잡는 작업자의 움켜쥔 주먹 앞부분을 덮어서 가리게 한다. 상기 전단보호부(311)는 사용자의 손을 가리기 때문에 상부 흡입관부(32)에서 고압으로 흡입시 연마에 의해 파쇄된 알갱이가 흡입될 때 손에 부딪치는 것을 차단시켜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C, the dust suction fixing table 30 may further form a
상기 분진흡입고정대(30)는 최대한 가벼운 재질로 형성하여 장착한 작업자에게 중량감을 최소화하여 작업피로도를 낮추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진흡입고정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재질로는 실리콘이 대표적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다음으로 상기 흡입이송관(40)은 일단은 분진흡입고정대(30)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집진본체(20)에 연결되어 집진본체의 흡입력을 분진흡입고정대로 전달하고, 분진흡입고정대(30)로부터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집진본체(20)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상기 흡입이송관(40)은 자바라관을 사용하여 휨 또는 접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Next, the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관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망필터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tub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 3A, and FIG. 3C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sh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관(50)은 흡입이송관(40)과 집진본체(20) 사이에 장착되어 파쇄물 알갱이가 집진본체(20)로 유입되기 이전에 필터링시켜 파쇄물에 의한 집진본체의 집진필터가 손상되어 집진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As referenced, the
상기 필터관(50)은 흡입이송관(40)과 일체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같이 별개의 개별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상기 필터관(50)은 기존 집진장치에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전단과 후단의 결합부분은 상용화된 제품에 따른 규격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러한 필터관(50)은 내면에 망필터(53)가 결합되는 필터결합홈(511)이 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면 일측이 개구된 ㄷ자 단면 형상의 필터본체(51)를 구비한다. 여기서 개구된 부분은 전단과 후단의 연결부분을 제외하여 내측 필터가 장착된 영역만 개구가 이루어지게 구성된다.The
상기 필터본체(51)의 개구된 부분에는 필터덮개(52)가 끼워져서 폐구시킨다. 상기 필터덮개의 내면은 필터본체와 대응되도록 필터결합홈이 형성된다. The
상기 필터본체와 필터 덮개가 형성한 내측의 필터결합홈(511)에는 망필터(53)가 결합된다. 상기 망필터(53)는 환형태의 패킹부(531)와 상기 패킹부 내부에 배치되는 망체부(53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결합홈(511)에는 망필터의 패킹부가 내입되어 이격틈을 제거해 압력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상기 필터본체(51)와 필터덮개(52) 외면에는 잠금장치(54)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장치(54)는 내부 압력에 의해 필터덮개가 필터본체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나사에 의해 고정시키거나, 클립에 의해 잠금과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등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A locking
이러한 필터관(50) 구성에서 상기 필터결합홈(511)은 축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다수개의 망필터(53)가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of the
이때 상기 망필터(53)는 공기유입측에서 배출측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필터 망체부의 통공크기(메쉬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파쇄물 알갱이를 크기별로 순차적으로 필터링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와같이 집진본체(20)의 전단에 필터관(50)을 설치하면 흡입된 공기내에 분진은 망필터(53)를 통과하여 집진본체(20)에서 필터링되고, 사이즈가 큰 파쇄물 알갱이는 필터관(50)에서 포집되어 파쇄물 알갱이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해 집진본체 내의 집진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또한, 필터관(50)은 잠금장치(54)에 의해 필터덮개(52)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내부에 포집된 알갱이를 배출시키거나 파손된 망필터(53)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망필터는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사각형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망체부를 금속사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mesh filter is illustrated in a circular shape, it may be configured in a square shape, and durability may be further improved by forming the mesh body part with a metal thread.
한편, 도 4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집진장치(10)는 집진본체(20)에는 흡입팬(22)만 구비하여 필터관(50)을 통해서 분진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필터관(50)에는 다단의 망필터를 내설하되 후단측의 1개 또는 2개의 망필터는 분진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장착하여 필터관(50) 자체만으로 분진제거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The
여기서 상기 필터관(50)은 유입측인 전단에는 파쇄알갱이의 필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통공이 큰 망필터를 장착하고, 필터관의 배출측인 후단측에는 분진의 필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통공이 작은 망필터를 장착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Here, the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하면 집진본체(20)에 집진필터(21)가 구비되어도 필터관(50)에서 최대한 필터링이 이루어진 공기가 유입됨으로 집진필터의 필터기능 사용을 최소화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If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이와같이 구성된 집진장치(10)는, 기존에 사용하는 집진장치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흡입라인과 필터관만 교체 및 추가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분진제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특히 그라인더를 잡는 작업자의 손에 흡입구가 형성된 분진흡입고정대(30)를 장착함으로 연마작업시 발생된 분진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고, 전단보호부에 의해 흡입되는 파쇄알갱이로 작업자 손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articularly, by attaching the
따라서, 실내 연마작업시 발생되는 다량의 분진을 미리 제거함으로써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promoting the health of workers by removing a large amount of dust generated during indoor polishing in advance.
10 : 집진장치
20 : 집진본체
21 : 집진필터 22 : 흡입팬
30 : 분진흡입고정대
31 : 고정본체 32 : 흡입관부
33 : 고정밸트
311 : 전단보호부 321 : 흡입구
40 : 흡입이송관
50 : 필터관
51 : 필터본체 52 : 필터덮개
53 : 망필터 54 : 잠금장치
511 : 필터결합홈 531 : 패킹부
532 : 망체부10: dust collector
20: dust collecting body
21: dust collection filter 22: suction fan
30: Dust suction fixture
31: fixed body 32: suction pipe part
33: fixed belt
311: shear protection part 321: inlet
40: suction transfer pipe
50: filter tube
51: filter body 52: filter cover
53: net filter 54: locking device
511: filter coupling groove 531: packing part
532: mesh body
Claims (7)
내부에 집진필터(21)가 내장되어 흡입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분리하여 포집하고 공기를 배출시키는 집진본체(20)와; 분진 흡입구(321)가 형성되고 작업자의 손 또는 손목에 장착되는 분진흡입고정대(30)와; 분진흡입고정대(30)와 집진본체(20)를 연결하여 흡입된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집진본체로 이송시키는 흡입이송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진흡입고정대(30)는,
작업자 손 상부에 안착되고, 전단에는 전방 하향으로 연장된 원호형태의 전단보호부(311)가 형성되어 그라인더 손잡이를 움켜잡은 작업자 손 앞부분을 가려서 흡입되는 파쇄물 알갱이가 작업자 손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판상의 고정본체(31)와;
상기 고정본체 상부에서 형성되되 전방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21)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흡입이송관이 연결된 흡입관부(32)와;
상기 고정본체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측 단부가 작업자의 손 또는 손목 또는 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밸트(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장착형 분진 흡입구를 갖는 연마작업용 집진장치.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for grinding work that sucks and collects dust,
A dust collecting body 20 having a dust collecting filter 21 installed therein to separate and collect dust contained in the suction air and discharge the air; A dust suction fixture 30 having a dust suction port 321 and mounted on a worker's hand or wrist; Consists of including; a suction and transfer pipe 40 for transferring the air containing the inhaled dust to the dust collecting body by connecting the dust suction fixture 30 and the dust collecting body 20,
The dust suction fixture 30,
An arc-shaped shear protection part 311 that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operator's hand and extends forward and downward is formed at the front end to cover the front part of the operator's hand holding the grinder handle to prevent the inhaled crushed particles from colliding with the operator's hand. A plate-shaped fixed body 31;
A suction pipe part 32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body, wherein a suction port 321 for sucking air is formed at a front side and a suction pipe 32 at the rear thereof;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grinding work having a hand-mounted dust inlet, comprising: a fixing belt (33) having one end attached to the fixed body and fixing the other end to the operator's hand, wrist, or arm.
상기 분진흡입고정대(30)는,
손을 감싸도록 폭방향으로 곡면으로 형성되고, 내면에는 다수개의 공기유로를 형성하여 통풍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장착형 분진 흡입구를 갖는 연마작업용 집진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suction fixture 30,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polishing work having a hand-mounted dust inl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to surround a hand, and has ventila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air passages on the inner surface.
상기 흡입이송관(40)과 집진본체(20) 사이에는 필터관(50)을 더 장착하여 파쇄물 알갱이가 집진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장착형 분진 흡입구를 갖는 연마작업용 집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polishing work having a hand-mounted dust suction port, characterized in that a filter pipe 50 is further mounted between the suction and transfer pipe 40 and the dust collecting body 20 to prevent the crushed particles from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ing body.
상기 필터관(50)은,
내면에 축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필터결합홈(511)이 형성되고, 일측방향이 개구된 필터본체(51)와;
상기 필터본체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필터본체의 필터결합홈에 끼워지는 환형태의 패킹부(531)와, 상기 패킹부 내측에 배치되는 망체부(532)로 이루어진 망필터(53)와;
상기 필터본체의 개구된 부분에 끼워서 내부를 폐구시키는 필터덮개(52)와;
상기 필터본체(51)와 필터덮개(52)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잠금장치(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장착형 분진 흡입구를 갖는 연마작업용 집진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filter tube 50,
A filter body 51 having a filter coupling groove 51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and opening one side thereof;
A mesh filter 53 comprising an annular packing portion 531 fitted into the filter coupling groove of the filter body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filter body, and a mesh body portion 532 disposed inside the packing portion;
A filter cover 52 that is inserted into the open portion of the filter body to close the interior thereof;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grinding work having a hand-mounted dust suction port, comprising: a locking device 54 for detachably coupling the filter body 51 and the filter cover 52 to each other.
상기 필터관(50)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다수개의 망필터(53)가 장착되되, 공기 유입측에서 배출측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망체부의 통공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파쇄물 알갱이 또는 분진을 크기별로 순차적으로 필터링이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장착형 분진 흡입구를 갖는 연마작업용 집진장치.The method of claim 6,
Inside the filter tube 50, a plurality of mesh filters 53 are install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pore size of the mesh body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air inlet side to the discharge side to sequentially separate the crushed material particles or dust by size.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grinding work having a hand-mounted dust inlet, characterized in that filtering is per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9912A KR102231199B1 (en) | 2020-08-10 | 2020-08-10 |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hand mounted type dust inl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9912A KR102231199B1 (en) | 2020-08-10 | 2020-08-10 |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hand mounted type dust inl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31199B1 true KR102231199B1 (en) | 2021-03-22 |
Family
ID=75222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9912A Active KR102231199B1 (en) | 2020-08-10 | 2020-08-10 |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hand mounted type dust inl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119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2109B1 (en) | 2023-01-30 | 2023-07-07 | 주식회사 천일 | Concrete Wall Sanding System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4419U (en) * | 1997-07-02 | 1999-02-05 | 강병철 | Welded product exhaust device for CO₂ arc welding |
KR101324158B1 (en) | 2013-04-04 | 2013-11-05 | 정석건설산업 주식회사 | Ecofriendly grinder for dust prevention and ecofriendly grinding method using thereof |
KR101370035B1 (en) * | 2013-09-05 | 2014-03-06 | 주식회사 아임삭 | Portable electronic tool having device of filtering metal dust |
KR101537287B1 (en) * | 2013-12-23 | 2015-07-17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etching apparatus |
KR101664837B1 (en) * | 2014-10-22 | 2016-10-12 | 한성규 | Electric drill apparatus arm attached to human arm |
KR101823139B1 (en) | 2015-10-28 | 2018-01-29 | 첨단환경 주식회사 | Tunnel type ozone water odor remving facilities |
KR101995167B1 (en) * | 2018-04-05 | 2019-10-01 | 김동식 | A portable dust collector improved workability |
-
2020
- 2020-08-10 KR KR1020200099912A patent/KR10223119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4419U (en) * | 1997-07-02 | 1999-02-05 | 강병철 | Welded product exhaust device for CO₂ arc welding |
KR101324158B1 (en) | 2013-04-04 | 2013-11-05 | 정석건설산업 주식회사 | Ecofriendly grinder for dust prevention and ecofriendly grinding method using thereof |
KR101370035B1 (en) * | 2013-09-05 | 2014-03-06 | 주식회사 아임삭 | Portable electronic tool having device of filtering metal dust |
KR101537287B1 (en) * | 2013-12-23 | 2015-07-17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etching apparatus |
KR101664837B1 (en) * | 2014-10-22 | 2016-10-12 | 한성규 | Electric drill apparatus arm attached to human arm |
KR101823139B1 (en) | 2015-10-28 | 2018-01-29 | 첨단환경 주식회사 | Tunnel type ozone water odor remving facilities |
KR101995167B1 (en) * | 2018-04-05 | 2019-10-01 | 김동식 | A portable dust collector improved workability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2109B1 (en) | 2023-01-30 | 2023-07-07 | 주식회사 천일 | Concrete Wall Sand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49512A1 (en) | Auxiliary dust collection system | |
KR101417449B1 (en) | Portable fume collector | |
WO2008070545A1 (en) | Sanding tool and dust collection system therefor | |
EP2857142A1 (en) | Portable power tool | |
KR102231199B1 (en) |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hand mounted type dust inlet | |
KR20130002643A (en) | Portable standing grinder with dust collection in a vacuum using a cyclone | |
CN210024705U (en) | Dust-proof device of angle grinder | |
CN208663415U (en) | Abrasive machine is used in a kind of processing of RM type magnetic material | |
CN211072908U (en) | Corrugated roller processing polishing equipment with dust absorption function | |
CN209887261U (en) | Timber grinder | |
CN101229630A (en) | polisher | |
US20070157419A1 (en) | Vacuum cleaner with air powered tool | |
WO2008033973A1 (en) | Abrading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using | |
KR200494847Y1 (en) | Escalator step cleaning tool | |
CN210997867U (en) | Dust removal type sand paper machine | |
CN211867334U (en) | Wall grinding device for construction with dust absorption function | |
JP7269611B2 (en) | System for removing coating materials containing hazardous substances, and method for removing the same | |
KR101080384B1 (en) | Grinder | |
KR100685299B1 (en) | Safety vest equipped with dust collecting device | |
CN216179208U (en) | Full-automatic edge trimmer for golf balls | |
CN114711678B (en) | Bas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 |
CN222308517U (en) | Novel wet dust collector | |
CN220007234U (en) | Intelligent robot tire grinding device | |
CN212311761U (en) | Dust suction device for polishing machine | |
CN216463984U (en) | Bag type sander dust removal cylin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8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