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1105B1 -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105B1
KR102231105B1 KR1020140001555A KR20140001555A KR102231105B1 KR 102231105 B1 KR102231105 B1 KR 102231105B1 KR 1020140001555 A KR1020140001555 A KR 1020140001555A KR 20140001555 A KR20140001555 A KR 20140001555A KR 102231105 B1 KR102231105 B1 KR 102231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creen
electric device
electric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8177A (ko
Inventor
전지현
장혜정
신영선
강광석
오현철
서선영
윤소영
윤지윤
홍은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109,96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08837B2/en
Priority to CN201580002411.7A priority patent/CN105706395B/zh
Priority to PCT/KR2015/000109 priority patent/WO2015102469A1/ko
Publication of KR20150028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1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상태창을 갖는 제1 스크린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선택된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크린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의 상태창이 선택되면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의 현재 동작을 전환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홈 내 복수 전기기기를 아이콘으로 표시함으로써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고, 아이콘 주변에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말풍선으로 표시함으로써 홈 내의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홈 내의 기기들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그 기반이 되는 통신 네트워크의 확대 보급은 인터넷 등과 같은 초고속 통신 서비스의 대중화를 가져왔다. 특히, 가정 내로 초고속 인터넷이 보급됨에 따라 기존에 이루어지던 PC 기반의 네트워크 구축 기술은 가정 내의 디지털 정보가전들을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 내에 설치되는 디지털 가전기기, 센서, 조명기기, 냉난방기기, 가스 기기 등을 근거리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기들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통상, 마스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홈 서버(또는 홈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홈 서버에 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다수의 홈 네트워크 기기(이하, '제어대상 기기'로 칭함), 및 홈 서버와의 연결만을 통해 댁 내부 또는 외부에서 다수의 제어대상 기기들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제어기기를 포함한다.
이때 홈 서버는 가정용 게이트웨이(RG: Residential Gateway)나 웰 패드(Wall Pad) 상에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제어기기는 웰 패드, TV, 휴대폰, 컴퓨터 등에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홈 서버와 제어기기를 하나의 장치에서 통합적으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면, TV가 홈 서버의 역할과 함께 제어 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서버는, 다양한 물리매체(예를 들어 전력선, RS-232 등의 직렬통신, 이더넷 등)를 통해 댁내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제어대상 기기들, 예컨대 TV, 냉장고, 전등, 전자레인지, 센서, 보일러, 세탁기 등을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홈 네트워크 기기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대상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기기는 홈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다수의 제어대상 기기에 대한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홈 서버는 주로 인터넷망으로 구현되는 외부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사용자는 PC, 노트북, PDA, 스마트폰, 태블릿 PC, TV, 웨어러블 디바이스, 각종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같은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홈 내부 또는 외부에서 홈서버로 접속한 후 가정 내부의 홈 네트워크망에 연결된 복수개의 가전기기를 액세스한다.
또한 전기기기가 외부 서버에 등록되어 있다면, 홈 서버와 무관하게 외부 서버를 통해 외부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전기기기를 액세스 한다.
이러한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댁 내의 제어 대상 기기들을 모니터링 및 제어할 경우, 제어 대상 기기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제어 대상 기기와의 네트워크 접속 및 인증 후 제어 대상 기기를 모니터링 또는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를 위한 에어컨 또는 공기청정기, 습도 조절을 위한 가습기 등의 가전기기는 주로 같이 동작 제어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매번 각 가전기기에 따로 동작제어 명령을 발령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비효율적이었다.
일 측면은 홈 네트워크를 위한 앱이 실행되면 홈 내 전기기기의 아이콘과,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창을 표시하고, 아이콘이 터치 입력되면 제어 스크린을 표시하고 상태창이 터치 입력되면 온오프 제어 명령을 전기기기에 전송하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홈 네트워크를 위한 앱이 실행되면 홈 내 전기기기의 아이콘과,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말풍선과, 아이콘이 표시된 스크린을 좌우로 움직이기 위한 이동 버튼을 가지는 오버뷰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은 홈 네트워크를 위한 앱이 실행되면 홈 내 전기기기를 미리 설정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통합 제어하기 위한 복수 버튼을 가지는 마스터 키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은 홈 네트워크를 위한 앱이 실행되면 채팅어가 미리 설정된 단축 버튼을 이용하여 홈 내 전기기기와 채팅을 수행하는 채팅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상태창을 갖는 제1 스크린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 하나의 전기기기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선택된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크린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의 상태창이 선택되면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의 현재 동작을 전환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태창은, 선택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가 변화되는 말풍선을 포함한다.
상태창은, 터치 슬라이딩 입력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가 변화되는 슬라이딩 스위치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앱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제어 장치는 다른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다른 제어 장치에서 전송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전기기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크린 표시를 제어한다.
제어부는, 획득된 영상에 제어 스크린을 오버랩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1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아이콘과 상태창이 표시되는 오버뷰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오버뷰부에 미니 제어창이 오버랩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된 제1스크린 내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아이콘과 상태창을 표시하고,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의 상태창이 선택되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전환 제어하기 위한 심플 제어를 수행하고,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의 디테일 제어를 위한 제어 스크린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한다.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의 상태창이 제1 표시 상태에서 선택되면 선택된 상태창을 제2표시 상태로 전환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의 심플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의 상태창이 제1 표시 상태에서 터치 입력되면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에 제2표시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 기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이 전송되면 동작 명령이 심플 제어 신호인지, 디테일 제이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심플 제어 신호이면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상태창을 변경하고 변경된 상태창에 대응하는 동작 전환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전송하고, 디테일 제어 신호이면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크린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선택된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카메라 뷰 파인더 모드가 입력되면 홈 내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전기기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크린을 표시하되, 획득된 영상에 제어 스크린을 오버랩시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홈 내 전기기기의 아이콘과,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창을 표시하고, 아이콘 및 상태창을 이용하여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용이하게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홈 내 복수 전기기기를 아이콘으로 표시함으로써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고, 아이콘 주변에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말풍선으로 표시함으로써 홈 내의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아이콘 터치만으로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기기의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마스터 키의 복수 버튼을 이용하여 전기기기들을 동시에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전기기기의 제어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기기기의 상태가 변경되는 이벤트를 팝업 창으로 출력함으로써 전기기기의 상태 정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채팅부의 단축 버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로 동작 명령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대시보드 스크린과 플러그인 스크린의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대시보드 스크린 내 오버뷰부의 실행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대시보드 스크린 내 마스터 키부의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대시보드 스크린 내 마스터 키부의 실행 예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2플러그인 스크린 내 마스터 키부 설정 창(318)의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2플러그인 스크린 내 마스터 키부의 설정 예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대시보드 스크린 내 채팅부의 실행 예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홈 스크린에 표시되는 퀵 패널창의 예시도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마련된 사용자인터페이스부의 상태창의 예시도이다.
도 23 내지 도 2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마련된 사용자인터페이스부의 입출력 예시도이다.
도 2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예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로,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전기기기(100a 내지 100h)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전기기기(100a 내지 100h)는 미리 정해진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로, 부가 기능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제어 장치에서 전송된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 장치(300)는 모바일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기기기는 홈 내에 배치되는 청소 로봇(100a), 조명기기(100b), 세탁기(100c), 공기 조화기(100d), 텔레비전(100e), 조리기기(100f), 냉장고(100g), 식기 세척기(100h)와 같이 휴대가 불가능한 가전기기를 포함하고, 이 뿐만 아니라 노트북, PC, 태플릿과 같이 홈 내에서 사용되는 단말기 등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카메라 및 마이크로 폰 등이 마련된 보안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네트워크는(200)는 홈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전기, 전자 기기들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20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복수의 전기기기와 제어 장치(300) 사이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홈 내 정보 전송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나눌 수 있는데, 유선형태의 대표적인 것으로 기존 전화선을 이용한 홈 PNA(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IEEE 1394, 전력선 등을 들 수 있고, 무선형태로 홈 RF(Home 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및 무선 LAN(Wifi), Zigbee, Z-wave, 근거리 통신(NFC 등) 등이 있다.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전기기기를 관리 및 제어하는 홈 서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홈 서버는 가정용 게이트웨이(RG: Residential Gateway)나 웰 패드(Wall Pad) 또는 TV 상에서 구현 가능하다.
홈 서버는 홈 내 각종 전기기기 또는 각종 모바일 장치 내부에 소프트웨어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홈 서버는 홈 내 각종 전기기기 또는 각종 모바일 장치와 하드웨어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홈 서버는, 홈 내 복수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복수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으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로 동작 명령을 전송한다.
제어 장치(3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복수의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아울러, 제어 장치(300)는 홈 내 복수의 전기기기와 각각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홈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복수 전기기기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어 장치(300)는 홈 내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홈 내 복수 전기기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앱을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앱이 실행되면 홈 내 복수의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이 홈 외부로 이동 가능한 단말 장치 또는 TV, 각종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같이 홈 내부에 고정된 장치로, 컨텐츠 제공 업체에서 제공하는 앱의 설치가 가능한 단말 장치일 수 있고, 제조 업체에서 제조 시 앱 또는 소프트웨어, 펌 웨어를 내장한 장치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 제어부(320), 저장부(330) 및 통신부(34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홈 내 배치된 복수의 전기기기 중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고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부는 터치 방식으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패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력부의 터치 패널이 일체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입력부의 입력 방식은 상기 터치 패널 외에도 전자펜, 포인팅 디바이스(마우스 등), 키보드 등의 입력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력부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나, 터치 방식의 전자펜의 경우 등에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각종 앱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홈 스크린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홈 스크린에 전기기기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한 앱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앱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앱 선택 신호를 제어부(320)에 전송하고, 제어부(320)의 명령에 기초하여 앱 실행에 대응하는 스크린을 표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스크린 표시 구성은 추후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320)는 앱이 실행되면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가 출력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를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에 입력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의 전송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320)의 제어 구성은, 추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스크린 표시 구성과 연관시켜 설명하도록 한다.
저장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홈 내 전기기기의 식별 정보와,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앱을 저장한다.
저장부(330)는 마스터 키부의 버튼별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을 저장하고, 채팅부의 단축 버튼별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을 저장한다.
통신부(340)는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아울러 통신부(340)는 홈 내 홈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제어부(320)의 제어 동작을 함께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대시보드 스크린과 플러그인 스크린의 예시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앱이 실행되면 대시보드 스크린을 최초 스크린(310a)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대시보드 스크린(310a)은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 전기기기에 대한 기본 정보 및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 등이 표시되는 스크린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대시보드 스크린(310a)에 슬라이딩 터치가 입력되면 대시보드 스크린(310a)을 플러그인(Plug-in) 스크린(310b 또는 310c)으로 스크린을 전환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대시보드 스크린(310a)에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터치가 입력되면 전기기기를 등록하기 위한 기기 등록 항목을 표시하는 제1플러그인 스크린(310b)을 표시하고, 대시보드 스크린(310a)에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터치가 입력되면 전기기기의 서비스 및 설정을 위한 서비스 항목을 표시하는 제2플러그인 스크린(310c)을 표시한다.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제1플러그인 스크린이 표시된 상태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터치가 입력되면 대시보드 스크린(310a)을 표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 플러그인 스크린의 개수는 두 개이지만 하나 또는 셋 이상일 수 있다.
제어부(320)는 현재 표시되는 스크린을 확인하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터치가 입력되면 현재 스크린의 우측에 배치된 스크린으로 표시되도록 스크린을 전환 제어하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터치가 입력되면 현재 스크린의 좌측에 배치된 스크린이 표시되도록 스크린을 전환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대시 보드 스크린(310a)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딩 터치가 입력되면 입력된 슬라이딩 터치 방향을 확인하고 확인된 슬라이딩 터치 방향이 좌측 방향에서 우측 방향이라고 판단되면 제1플러그인 스크린(310b)으로의 전환을 제어하고, 확인된 슬라이딩 터치 방향이 우측 방향에서 좌측 방향이라고 판단되면 제2플러그인 스크린(310c)으로의 전환을 제어한다.
대시보드 스크린(310a)은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리스트 정보 및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오버뷰부(311)와,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동작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한 실행 명령 정보 및 모니터링 정보를 표시하는 위젯부(312, 313, 314)를 포함한다.
또한 대시보드 스크린(310a)은 대시보드 스크린에서 플러그인 스크린으로 바로 전환하거나, 플러그인 스크린에서 대시보드 스크린으로 바로 전환하거나, 하나의 플러그인 스크린에서 다른 하나의 플러그인 스크린으로 바로 전환하기 위한 스크린 전환부(315)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바로 전환하는 것은, 슬라이딩 터치가 아니라 싱글 터치에 의해 스크린을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스크린 전환부(315)는 복수 스크린 개수와 동일한 복수의 페이지 버튼을 포함하고, 이 복수의 페이지 버튼의 배열은 복수 스크린의 배열과 각각 대응하며, 현재 표시된 스크린의 위치와 대응하는 페이지 버튼은 나머지 페이지 버튼과 서로 다르게 표시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표시된 스크린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 스크린의 배열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스크린 간의 배열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대시보드 스크린, 제1플러그인 스크린 및 제2플러그인 스크린 등 총 세 개의 스크린을 포함하고, 총 세 개의 스크린의 배열은 대시 보드 스크린을 기준으로 좌측에 제1플러그인 스크린이 배치되고 우측에 제2플러그인 스크린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스크린 전환부(315)의 페이지 버튼은 총 세 개를 포함하고, 세 개의 페이지 버튼 중 가장 좌측에 배치된 페이지 버튼은 제1플러그인 스크린(310b)과 연동하며, 중간에 배치된 페이지 버튼은 대시보드 스크린과 연동하고, 가장 우측에 배치된 페이지 버튼은 제2플러그인 스크린과 연동한다.
가장 좌측에 배치된 페이지 버튼이 터치되면 제1플러그인 스크린(310b)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고, 이때 가장 좌측에 배치된 페이지 버튼은 나머지 버튼과 다른 색상을 가진다.
그리고 가운데 배치된 페이지 버튼이 터치되면 대시보드 스크린(310a)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고, 이때 가운데 배치된 페이지 버튼은 나머지 버튼과 다른 색상을 가진다.
또한 가장 우측에 배치된 페이지 버튼이 터치되면 제2플러그인 스크린(310c)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고, 이때 가장 우측에 배치된 페이지 버튼은 나머지 버튼과 다른 색상을 가진다.
즉 제어부(320)는 스크린 전환부(315)의 복수 페이지 버튼 중 터치 입력된 페이지 버튼을 확인하고, 확인된 페이지 버튼과 대응하는 스크린을 확인한 후 확인된 스크린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제1 플러그인 스크린(310b)과 제2플러그인 스크린(310c)은 주 기능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거나, 부가적인 기능을 설정하거나,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스크린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플러그인 스크린(310b)은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에 대한 등록 정보를 가지는 기기 확인 버튼과, 새로운 기기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 설정 버튼(316)을 포함한다.
제2플러그인 스크린(310c)은 위젯부의 마스터 키부, 채팅부, 홈뷰부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설정 변경 버튼과,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서비스 버튼과,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별 관리 버튼(317)을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대시보드 스크린 내 오버뷰부의 실행 예시도로, 이를 참조하여 오버뷰부(311)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뷰부(311)는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리스트를 표시하되,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아이콘(A1)들을 표시한다.
또한 오버뷰부(311)는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아이콘들이 배치된 스크린을 이동시키는 이동 버튼(A2)을 더 포함한다.
즉 이동 버튼(A2)은 오버뷰부 내 하나의 스크린에 표시되지 못하고 숨겨져 있는 나머지 전기기기의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해 현재 표시된 아이콘을 이동시켜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때 이동 버튼(A2)은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아이콘 수가 하나의 스크린에 표시 가능한 일정 수 미만이면 숨김 상태가 되고,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아이콘 수가 하나의 스크린에 표시 가능한 일정 수 이상이면 표시 상태가 된다.
이동 버튼(A2)은 오버뷰부(311)에 현재 표시된 현재 스크린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된 스크린으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제1방향 버튼(<)과, 현재 스크린에서 제2방향으로 연장된 스크린으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제2방향 버튼(>)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방향은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이다.
오버뷰부(311)는 제1방향 버튼(<)이 선택되면 현재 스크린 내 일정 개수의 전기기기의 아이콘들을 제2방향으로 한 칸씩 시프트시켜 아이콘들을 재배치시키고, 제2방향 버튼(>)이 선택되면 현재 스크린 내 일정 개수의 전기기기의 아이콘들을 제1방향으로 한 칸씩 시프트시켜 아이콘들을 재배치시킨다.
이때 오버뷰부(311)는 제1방향 버튼(<)이 선택되면 스크린의 좌측 최외곽 칸에 새로운 전기기기의 아이콘을 재배치하고, 우측 최외곽 칸에 배치되었던 전기기기의 아이콘을 사라지게 하고, 제2방향 버튼(>)이 선택되면 우측 최외곽 칸에 새로운 전기기기의 아이콘을 재배치하고, 좌측 최외곽 칸에 배치되었던 전기기기의 아이콘을 사라지게 한다.
또한 오버뷰부(311)는 제1방향 버튼(<)이 선택되면 현재 스크린의 좌측 스크린을 표시하여 좌측 스크린에 배치된 전기기기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제2방향 버튼(>)이 선택되면 현재 스크린의 우측 스크린을 표시하여 우측 스크린에 배치된 전기기기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뷰부(311)의 현재 스크린에 청소기, 조명기기, 세탁기, 공기 조화기의 아이콘이 각각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방향 버튼(>)이 터치되면 현재 스크린의 우측 스크린에 배치된 공기 조화기2, 청소 로봇2 및 텔레비전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2, 청소 로봇2 및 텔레비전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방향 버튼(<)이 터치되면 현재 표시된 스크린의 좌측에 배치된 스크린으로 이동하고, 이 스크린에 배치된 청소기, 조명기기, 세탁기, 공기 조화기의 아이콘을 다시 표시한다.
제어부(320)는 오버뷰부(311)의 이동 버튼이 터치 입력되어도 위젯부(312, 313, 314)의 스크린이 현재 상태로 유지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를 제어한다.
오버뷰부(311)는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현재의 동작 상태인 온오프 상태 및 진행 상태를 안내하는 말풍선(speech bubble: A3)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말풍선(A3)은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해당 아이콘(A1)의 주변에 배치한다.
말풍선(A3)은 제어부(320)의 명령에 기초하여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안내문을 변경한다.
즉 제어부(320)는 오버뷰부(311)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터치 입력되면 터치 입력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고, 변경된 동작 상태가 말풍선으로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공기 조화기가 온 상태일 때 공기 조화기의 아이콘이 터치 입력되면 공기 조화기를 오프 제어하고, 공기 조화기의 오프 상태가 말풍선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를 제어하며, 공기 조화기가 오프 상태일 때 공기 조화기의 아이콘이 터치 입력되면 공기 조화기를 온 제어하고 공기 조화기의 온 상태가 말풍선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를 제어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뷰부(311)는 청소로봇, 조명기기, 세탁기, 공기 조화기의 아이콘이 각각 표시된 상태에서, 온 동작 중인 공기 조화기가 터치되면 공기 조화기의 동작이 '오프(OFF)'됨을 말풍선을 통해 안내하고, 오프 중인 청소 로봇이 터치되면 청소 로봇이 '청소 중(Cleaning)'임을 말풍선을 통해 안내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세탁기가 온 상태일 때 세탁기의 아이콘이 터치 입력되면 세탁기의 운전 진행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세탁기의 운전 진행 상태가 말풍선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를 제어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뷰부(311)는 청소로봇, 조명기기, 세탁기, 공기 조화기의 아이콘이 각각 표시된 상태에서, 온 동작 중인 세탁기가 터치되면 세탁기의 진행 상황이 '1 시간 10분 경과'됨을 말풍선을 통해 안내한다.
아울러 제어부(320)는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업데이트, 에러 및 예약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태 정보가 말풍선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말풍선(A3)은 해당 전기기기의 업데이트 정보, 에러 정보, 예약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안내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위젯부 중 마스터 키부(312)에 터치 입력 및 채팅부(313)의 채팅 명령 입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된 동작 상태가 말풍선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를 제어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의 위젯부는,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를 미리 설정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마스터 키부(312)와,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와 채팅을 수행하기 위한 채팅부(313)와, 홈 내 영상을 출력하는 홈뷰부(314)를 포함한다. 이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대시보드 스크린 내 마스터 키부의 예시도이다.
마스터 키부(312)는 복수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한다. 이 버튼은 전기기기별 미리 동작 명령을 포함한다.
마스터 키부(312)의 버튼은, 사용자의 스케줄에 기초하여 설정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키부(312)는 외출 버튼(B1), 귀가 버튼(B2), 취침 버튼(B3)을 포함한다.
제어부(3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마스터 키부(312)가 터치되면 터치 입력된 버튼을 확인하고 확인된 버튼에 대응하는 전기기기별 미리 설정된 동작 명령을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에 각각 전송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동작명령에 기초하여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가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말풍선을 통해 안내한다.
마스터 키부(312)의 통합 제어를 위한 버튼은 추가 가능하다. 이는 제2플러그인 스크린의 '마스터 키 설정 버튼'을 통해 추가 가능하다.
아울러 마스터 키부 내에 '마스터 키 설정 버튼'을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마스터 키부(312)의 버튼별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은 변경 가능하다. 이 또한 제2플러그인 스크린의 '마스터 키 설정 버튼'을 통해 변경 가능하다.
아울러, 마스터 키부(312)에 설정된 버튼을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또한 제2플러그인 스크린의 '마스터 키 설정 버튼'을 통해 삭제 가능하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대시보드 스크린 내 마스터 키부의 실행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뷰부(311)는 청소로봇, 조명기기, 세탁기, 공기 조화기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각 아이콘 주변에 각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말풍선을 표시한다.
외출 버튼에 대응하는 전기기기별 동작 명령이 조명기기 오프, 공기 조화기 오프이고, 귀가 버튼에 대응하는 전기기기별 동작 명령이 조명기기 온, 공기 조화기 온이라고 가정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청소로봇의 동작 상태가 오프,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가 오프, 세탁기의 동작 상태가 온, 공기 조화기의 동작 상태가 온 상태에서 마스터 키부(312)의 외출 버튼(Going Out, B1)이 터치(T)되면 청소로봇 및 조명 기기의 동작 상태를 오프로 유지시키고, 세탁기의 운전이 중간에 멈추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세탁기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유지시키며, 공기 조화기의 동작 상태는 오프시키고 각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말풍선을 통해 안내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청소로봇의 동작 상태가 오프,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가 오프, 세탁기의 동작 상태가 오프, 공기 조화기의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에서 마스터 키부(312)의 귀가 버튼(Coming Home, B2)이 터치(T)되면 청소로봇 및 세탁기의 동작 상태를 오프로 유지시키고, 조명 기기 및 공기 조화기의 동작 상태는 온시키고 각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말풍선을 통해 안내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공기 조화기의 아이콘을 터치(T)하면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오프 시키고 이를 말풍선을 통해 안내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2플러그인 스크린 내 마스터 키부 설정 스크린(318)의 예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2플러그인 스크린 내 마스터 키부의 설정 예시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제2플러그인 스크린 내 마스터 키부 설정 버튼이 터치되면 대시보드 스크린을 마스터키부 설정 스크린(318)으로 전환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키부 설정 스크린(318)은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아이콘(D1)과, 전기기기의 아이콘 리스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버튼(D2)과, 전기기기별 미리 설정된 동작 명령을 안내하는 말풍선(D3)과, 미리 등록된 복수 버튼(D4)과, 복수 버튼 각각의 편집 버튼(D5)과, 통합 제어를 위한 버튼을 추가하기 위한 추가버튼(D6)을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키부 설정 스크린(318)은 조명기기가 온, 텔레비전이 오프, 공기 조화기가 실내 목표 온도 25℃, 청소기가 동작 중으로 미리 설정된 상태에서, 외출 버튼이 선택되고 조명기기의 아이콘이 터치되면 조명기기의 동작 명령을 오프로 변경한 후 말풍선을 통해 안내하고, 공기 조화기의 아이콘이 터치되면 공기 조화기의 동작 명령을 오프로 변경한 후 말풍선을 통해 안내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키부의 외출 버튼에 대응하는 전기기기별 미리 설정된 명령은, 조명기기 오프, 텔레비전이 오프, 공기 조화기 오프, 청소기 동작 명령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키부 설정 스크린(318)은 통합 제어를 위한 버튼으로 외출 버튼, 귀가 버튼, 취침 버튼, 기상 버튼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상 버튼의 편집 버튼이 터치되면 기상 버튼에 대응하는 전기기기별 미리 설정된 동작 명령 정보를 표시하고, 이때 옵션 메뉴의 삭제 버튼이 터치되면 기상 버튼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삭제함을 알리는 창을 표시하고, 'OK' 버튼이 터치되면 기상 버튼이 삭제된 복수 버튼을 표시한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대시보드 스크린 내 채팅부 실행 시 채팅 스크린의 예시도 및 대화 입력 방법에 대응하는 채팅 스크린의 표시 변화 예시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채팅부(313)가 터치되면 대시보드 스크린을 채팅 스크린(319)으로 전환한다. 이는 도 12의 (a)와 같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스크린(319)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와의 대화를 표시하는 대화 표시 창(E1)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아이콘 또는 전체 기기 선택 아이콘을 선택받는 아이콘 선택 창(E2)과,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와의 대화 입력 방법을 선택하고 대화를 입력하기 위한 대화 입력창(E3)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화 입력 창(E3)은 문자 입력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텍스트창(E31)과, 텍스트 문장의 전송을 지시하는 전송 버튼(E32)과, 채팅 명령어가 함축된 단축 버튼의 리스트 표시를 지시하는 리스트 버튼(E33)과, 음성 입력을 지시하는 마이크 버튼(E34)과, 채팅 중인 전기기기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타깃창(E35)을 포함한다.
텍스트창(E31)은 터치 입력되면 QWER 타입의 키패드(E36)를 표시한다.
아울러, 키패드(E36)는 한글 또는 숫자로 전환 버튼을 포함하고, 전환 버튼을 터치함에 따라 한글 또는 숫자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의 (b), (c) 및 (d)는 대화 입력 방법에 대응하는 채팅 스크린의 표시 변화 예시도이다. 이를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창이 터치되면 키패드(E36)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채팅할 수 있는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스크린(319)은 세탁기의 아이콘이 터치되면 타깃 창에 세탁기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텍스트창이 터치되면 키패드(E36)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채팅할 수 있는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채팅 스크린(319)은 세탁기에게 진행 상태를 물어 보는 문자가 입력된 후 전송 버튼이 터치되면 입력된 문자를 대표 표시창에 표시하고, 이 후 세탁기로부터 현재의 진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된 진행 상태를 프로그레스 바 등으로 표시한다.
아울러 채팅 스크린은 대화 표시 창에 채팅어가 입력된 시간을 함께 표시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스크린(319)은 공기 조화기의 아이콘이 터치되면 타깃 창에 공기조화기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텍스트창이 터치되면 키패드(E36)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채팅할 수 있는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채팅 스크린(319)은 문자로 동작 명령이 입력된 후 전송 버튼이 터치되면 입력된 온 동작 명령을 대화 표시창에 표시하고 공기조화기에서 제공된 현재 실내 온도를 표시하고, 문자로 입력된 실내 목표 온도가 입력된 후 전송 버튼이 터치되면 입력된 실내 목표 온도를 대화 표시창에 표시하며, 공기조화기로부터 명령을 수행하겠다는 대답을 수신하여 수신된 문자를 대화 표시창에 표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스크린(319)은 전체 기기 선택 아이콘이 선택되면 타깃 창에 전체 기기 선택 아이콘을 표시하고, 텍스트창이 터치되면 키패드(E36)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채팅할 수 있는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채팅 스크린(319)은 키패드를 통해 전체 기기의 모니터링을 위한 채팅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채팅어를 대화 표시창에 표시하고,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로부터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전기기기별 모니터링 정보를 대화 표시창에 표시한다.
채팅 스크린(319)은 전기기기별 모니터링 정보를 표시한 상태에서 대화 표시창이 터치되면 키패드를 숨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스크린(319)은 전체 기기 선택 아이콘이 선택되면 타깃 창에 전체 기기 선택 아이콘을 표시하고, 텍스트창이 터치되면 키패드(E36)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채팅할 수 있는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채팅 스크린(319)은 키패드를 통해 전체 기기에 외출을 알리는 채팅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채팅어를 대화 표시창에 표시하고,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로 외출 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전기기기별 동작 상태 정보를 대화 표시창에 표시한다.
채팅 스크린(319)은 전기기기별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한 상태에서 대화 표시창이 터치되면 키패드를 숨긴다.
공기 조화기의 아이콘이 터치되면 타깃 창에 공기조화기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텍스트창이 터치되면 키패드(E36)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채팅할 수 있는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채팅 스크린(319)은 문자로 동작 명령이 입력된 후 전송 버튼이 터치되면 입력된 온 동작 명령을 대화 표시창에 표시하고 공기조화기에서 제공된 현재 실내 온도를 표시하고, 문자로 입력된 실내 목표 온도가 입력된 후 전송 버튼이 터치되면 입력된 실내 목표 온도를 대화 표시창에 표시하며, 공기조화기로부터 명령을 수행하겠다는 대답을 수신하여 수신된 문자를 대화 표시창에 표시한다.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스크린(319)은 리스트 버튼이 터치되면 채팅 명령어가 표시된 복수의 단축 버튼(E37)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채팅할 수 있는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도 17는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별 단축 버튼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의 (a)는 전체 기기 선택 아이콘에 대응하는 단축 버튼 리스트의 예시도로, 복수의 단축 버튼은 전체 기기 선택 아이콘 선택 시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 모두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동작 명령을 각각 갖는다. 아울러 전체 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복수 단축 버튼은 마스터키부의 버튼과 대응한다.
도 17의 (b)는 공기 조화기의 동작 제어에 대응하는 단축 버튼 리스트 예시도이고, 도 17의 (c)는 청소 로봇의 동작 제어에 대응하는 단축 버튼 리스트 예시도이며, 도 17의 (d)는 세탁기의 동작 제어에 대응하는 단축 버튼 리스트 예시도이고, 도 17의 (e)는 조리기기의 동작 제어에 대응하는 단축 버튼 리스트 예시도이며, 도 17의 (f)는 냉장고의 동작 제어에 대응하는 단축 버튼 리스트 예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스크린(319)은 공기조화기의 아이콘이 터치되면 타깃 창에 공기조화기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공기조화기로부터 현재의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된 현재 실내 온도를 대화 표시 창에 표시한다.
채팅 스크린(319)은 리스트 버튼이 터치되면 공기 조화기와 관련된 동작 제어를 위한 채팅 명령어가 표시된 복수의 단축 버튼(E37)을 표시한다.
채팅 스크린(319)은 복수의 단축 버튼 중 냉방을 지시하는 단축 버튼이 터치되면 터치된 단축 버튼에 해당하는 대화를 대화 표시 창에 표시하고, 공기 조화기로 동작 상태를 제공받아 냉방 운전을 수행한다는 내용의 대화를 표시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리스트 버튼이 터치되면 리스트 버튼을 사라지게 하고 이후 대화 입력창 내 리스트 버튼이 터치되면 아이콘 선택 창과 단축 버튼 리스트를 표시한다.
채팅 스크린(319)은 아이콘 선택 창과 단축 버튼 리스트를 표시한 상태에서 전체 기기 선택 아이콘이 터치되면 타깃 창에 전체 기기 선택 아이콘을 표시하고,전체 기기 선택 아이콘에 대응하는 단축 버튼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후 복수의 단축 버튼 중 외출 버튼이 터치되면 외출 버튼이 터치되었음을 알리는 대화를 대화 표시창에 표시하고, 외출 버튼에 대응하는 전기기기별 미리 설정된 동작 명령을 각 전기기기에 전송한다.
아울러 채팅 스크린은 대화 표시 창에 채팅어가 입력된 시간을 함께 표시한다.
도 1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스크린(319)은 마이크 버튼(E34)이 터치되면 음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 창(E38)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채팅할 수 있는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도 1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스크린(319)은 세탁기의 아이콘이 터치되면 타깃 창에 세탁기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마이크 버튼(E34)이 터치되면 음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 창(E38)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채팅할 수 있는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아울러 음성 입력 창은 음성 명령 피드백 설정을 위한 버튼과, 음성 입력을 위한 버튼과, 키패드로 전환하기 위한 키패드 전환 버튼을 포함한다.
채팅 스크린(319)은 음성 입력을 위한 버튼이 터치된 상태에서 발화하면 마이크로 폰을 통해 음성이 수집 후 인식되고, 인식된 음성을 대화 표시 창에 표시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질문이 세탁기의 진행 상태를 묻는 질문이라면 세탁기로부터 현재의 진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된 진행 상태를 프로그레스 바 등으로 표시한다.
아울러 채팅 스크린은 대화 표시 창에 채팅어가 입력된 시간을 함께 표시한다.
홈 뷰부(314)는 사용자의 홈 내부의 영상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고,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대시보드 스크린에 홈 뷰 영상을 확대하여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홈 뷰부(314)는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여 과거의 영상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 및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홈 스크린에 표시되는 퀵 패널창의 예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는 앱이 미실행되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동작 상태 변경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의 홈 스크린 상에서 퀵 패널창을 통해 표시한다.
또한 제어 장치는 앱이 미실행되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업데이트, 에러 및 관리 시기에 대한 알림 정보를 홈 스크린 상에서 퀵 패널창을 통해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퀵 패널창의 알림 정보가 터치되면 해당 전기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세하게 표시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해당 전기기기의 튜토리얼을 표시하고, 세탁기를 관리하기 위한 동작을 연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세탁기의 세탁조 세척과 같은 메시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세탁조 세척을 지시 버튼이 터치되면 세탁기에 세탁조 세척 명령을 전송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세탁조 세척 진행 과정을 표시한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300a)는, 다른 제어 장치(300b)와 통신을 수행하고, 다른 제어 장치(300b)에서 전송된 동작 명령 또는 동작 명령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여기서 다른 제어 장치는 사람의 몸에 설치 가능한 IT 기기로, 예를 들어 시계, 벨트, 안경 등에 마련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b)일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입출력 및 통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0a)는 손목 시계형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 폰일 수 있고, 다른 제어 장치(300b)는 손목 시계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는, 제어 장치(300a)는 TV 리모콘과 관련된 TV일 수 있고, 다른 제어 장치(300b)는 별도의 TV 리모콘일 수 있다.
즉, 다른 제어 장치(300b)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동작 명령을 미리 등록된 제어 장치(300a)로 전송한다. 이러한 다른 제어 장치(300b)에는 홈 내의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제어 장치(300b)는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제어 장치의 입력부를 통한 입력으로는 터치 입력, 전자펜, 포인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마우스 등), 키보드, 음성, 동작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제어 장치(300b)는 출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제어 장치의 출력부를 통한 출력으로는 터치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출력, 음성 출력, 진동, 광(light) 출력 등이 될 수 있다.
제어 장치(300a)와 다른 제어 장치(300b)는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유선 연결 방식은 MHL, US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연결 방식은 Bluetooth, Wi-fi, Zigbee, IrDA, 근거리 통신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 장치(300a)와 다른 제어 장치(300b)를 이용하여 전기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른 제어 장치(300b)를 통한 입력은 음성을 통한 입력일 수 있고, 다른 제어 장치(300b)가 터치 패널을 구비할 경우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음성을 통해 다른 제어 장치(300b)에 제어 명령을 입력할 경우, 다른 제어 장치(300b)는 음성 정보를 그대로 제어 장치(300a)에 전달하면 제어 장치(300a)에서는 음성을 분석하여 해당하는 명령어를 취득, 그 명령어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는 다른 제어 장치(300b)는 음성 정보를 디지털화 또는 인코딩을 하여 제어 장치(300a)에 전송하면 제어 장치(300a)는 디지털화된 또는 인코딩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명령어를 취득, 그 명령어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는 다른 제어 장치(300b)에서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나타내는 특정 정보를 제어 장치(300a)에 전송하면 제어 장치(300a)는 특정 정보에 관련된 명령어를 취득, 그 명령어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는 다른 제어 장치(300b)에서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음성 정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취득 제어 장치(300a)에 전송하면 제어 장치(300a)에서는 명령어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터치 입력을 통해 다른 제어 장치(300b)에 제어 명령을 입력할 경우, 다른 제어 장치(300b)는 터치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정보를 제어 장치(300a)에 전송하면 제어 장치(300a)에서는 정보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취득, 그 명령어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는 다른 제어 장치(300b)는 터치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정보를 통해 해당하는 명령어를 취득하여 제어 장치(300a)에 전송하면 제어 장치(300a)에서는 그 명령어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 명령은 복수의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일 수 있다.
다른 제어 장치(300b)에 복수의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다른 제어 장치(300b)는 입력된 명령이 복수의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인지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를 제어 장치(300a)에게 전송한다.
판단 결과는 입력된 명령과 동시에 전송될 수 있고, 별도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제어 장치(300b)에서 입력된 명령이 복수의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인지 판단한 후 복수의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일 경우에는 제어 장치(300a)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어 대상 전기기기들에게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른 제어 장치(300b)에 복수의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제어 장치(300a)에서 명령이 복수의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인지 아닌지 판단하고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른 제어 장치(300b)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손목 시계형 디바이스 또는 TV리모콘을 통해 간단하게 홈 내 전기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손목 시계형 디바이스에 'Good night'이라고 말하는 것만으로 댁 내 기기들을 일괄적으로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300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350), 저장부(330) 및 통신부(34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홈 내 배치된 복수의 전기기기 중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고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서의 다른 제어 장치인 웨어러블 디바이스(300b)는 제어 장치(300a)를 통해 홈 내의 전기기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제어 장치(300a) 없이 다른 제어 장치인 웨어러블 디바이스(300b)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기기기를 직접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부는 터치 방식으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패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력부의 터치 패널이 일체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입력부의 입력 방식은 터치 패널 외에도, 전자펜, 포인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마우스 등), 키보드, 음성 인식 및 제스쳐 인식 등의 입력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력부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나, 터치 방식의 전자 펜의 경우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각종 앱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홈 스크린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홈 스크린에 전기기기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한 앱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앱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앱 선택 신호를 제어부(350)에 전송하고, 제어부(350)의 명령에 기초하여 앱 실행에 대응하는 스크린을 표시한다.
제어부(350)는 앱이 실행되면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가 출력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를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에 터치 입력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의 전송을 제어한다.
제어부(350)는 다른 제어 장치(300b)에서 전송된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을 판단하고 판단된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해당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50)는 아이콘(411)이 터치 입력되면 대시보드 스크린을 제어 스크린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상태창(412)이 터치 입력되면 현재의 상태를 다른 상태로 전환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350)는 아이콘(411)이 터치 입력되면 대시보드 스크린의 오버뷰부 상에 미니 제어창이 오버랩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태창(412)은 온 또는 오프 명령을 표시하는 창으로, 제어부(350)는 상태창이 온인 상태에서 터치되면 오프로 전환 제어하고, 오프인 상태에서 터치되면 온 으로 제어한다.
제어부(350)는 카메라의 뷰파인더가 실행되면 대시보드 스크린에 카메라의 뷰 파인더 실행을 표시 제어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전기기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기기기에 해당하는 제어 스크린을 확인하고, 대시보드 스크린이 제어 스크린으로 전환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저장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홈 내 전기기기의 식별 정보와,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앱을 저장한다.
저장부(330)는 마스터 키부(420)의 버튼별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을 저장하고, 채팅부(430)의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을 저장한다.
통신부(340)는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 및 다른 제어 장치(300b)와 통신을 수행한다.
아울러 통신부(340)는 홈 내의 홈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의 구현 예를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에 표시된 대시보드 스크린(400a)의 예시도로, 도 23, 도 24, 도 25, 도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 장치의 대시보드 스크린(400a)은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아이콘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오버뷰부(410),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를 미리 설정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마스터키부(420), 오버뷰부(410)에 표시된 전기기기의 현재 동작 상태 또는 마지막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오버뷰부(410)에 표시된 전기기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와 채팅을 수행하기 위한 채팅부(430)를 포함한다. 이 중 오버뷰부(4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오버뷰부(410)는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리스트를 표시하되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아이콘(411)과, 미리 등록된 전기기기의 현재의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상태창(412)을 표시한다.
이러한 상태창(412)은 사용자의 인식이 용이하도록 해당 아이콘(411)의 주변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해당 아이콘(411)과의 관련성을 사용자가 알 수만 있다면(예를 들어, 별도로 상태창만을 모아서 표시하는 영역을 구비하되, 각 상태창은 어떤 전기기기의 상태창인지를 추가로 표시하는 등), 위치나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이콘(411) 및 상태창(412)은 전기기기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아이콘(411)은 전기기기의 디테일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크린으로의 스크린 변환을 지시하는 버튼이고, 상태창(412)은 전기기기의 온 /오프와 같은 심플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다.
여기서 디테일 동작은 심플 동작보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 동작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디테일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심플 동작을 포함하여 그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테일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해당 전기기기의 제어 가능한 모든 동작을 제어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으며, 심플 동작을 제어한다는 것은 해당 전기기기의 온/오프 동작 외에도 다른 추가 동작을 제어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심플 동작은 한 번의 조작으로 변경 가능한 동작들(예를 들어, 온/오프 동작 등)이고, 디테일 동작은 다단계의 조작 또는 변경이 필요한 동작들(예를 들어 온도 조절, 세탁 코스 제어 등)이 될 수 있다.
심플동작과 디테일 동작은 앱 제작 시 전기기기별로 사전 설정되거나, 전기기기 제작 시 전기기기별로 사전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및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태창(412)은 말풍선(speech bubble)이나, 슬라이드 스위치로 표시 가능하다.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풍선은 태핑(Tapping)을 통해 온 또는 오프 동작을 표시하고,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스위치는 터치 슬라이딩을 통해 온 또는 오프 동작을 표시한다.
오버뷰부(410)는 냉장고, 세탁기, 공기 조화기의 아이콘이 각각 표시된 상태에서, 온 동작 중인 세탁기의 말풍선이 터치(T)되면 세탁기가 오프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세탁기의 동작이 '오프(OFF)'됨을 말풍선을 통해 안내하고, 오프 중인 공기 조화기의 말풍선이 터치(T)되면 공기조화기가 온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공기 조화기가 '온(On)'임을 말풍선을 통해 안내한다.
아울러 채팅부(430)는 세탁기의 종료 정보와, 공기 조화기의 설정 온도 등을 표시한다. 즉, 상태창(예를 들어, 말풍선 등)을 통해 표시하기 어려운 정보는 채팅부를 통해 별도 표시가 가능하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의 대시보드 스크린(400a)은 아이콘(411)이 태핑되면 태핑된 아이콘의 전기기기를 디테일하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크린(400b)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제어 스크린으로 전환 시 태핑 외에도, 쉐이크(Shake), 롱 태핑(Long Tapping) 동작을 통해 제어 스크린으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전환된 제어 스크린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전체가 다른 제어 스크린으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고, 대시 보드 스크린 상의 일부 영역에 팝업창으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테일 제어는 청소 로봇의 경우 청소 시간, 청소 예약, 청소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세탁기의 경우 운전 코스, 운전 예약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기 조화기의 경우 운전 모드, 목표 온도, 운전 예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는 대시보드 스크린(400a) 상의 청소 로봇의 아이콘(411)이 태핑되면 청소 로봇을 디테일하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크린(400b)을 표시한다.
아울러 제어 장치는 제어 스크린(400b) 상에 현재의 동작 모드(Cleaning)와, 변경 가능한 동작 모드의 버튼(Cam, Charge)과, 이동 방향 버튼과, 스타트 버튼 등을 표시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는 제어 장치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어 스크린을 랜드스케이프 모드의 제어 스크린(400b')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동작 명령 입력 완료 시에 대시 보드 스크린을 표시하되 화면 모드를 포트레이트 모드로 전환하여 포트레이트 모드의 대시보드 스크린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어 장치의 회전과 무관하게 제어 스크린 표시 시에 화면 모드를 랜드 스케이프로 제어 스크린(400b')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는 대시보드 스크린의 오버뷰부(410) 상에 제어 스크린을 축소시킨 미니 제어창(440)을 오버랩시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는 대시보드 스크린(400a) 상의 청소 로봇의 아이콘(411)이 태핑되면 청소 로봇을 디테일하게 제어하기 위한 미니 제어창(440)을 오버뷰부(410) 상에 표시한다.
아울러 제어 장치는 미니 제어창(440) 내에 현재의 동작 모드(Cleaning)와, 이동 방향 버튼과, 스타트 버튼 등을 표시한다.
도 2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대시보드 스크린(400)의 예시도이다.
제어 장치의 대시보드 스크린은 제어 장치 내에 마련된 카메라의 뷰 파인더가 실행되면 대시보드 스크린 상에 카메라의 뷰파인더 실행 창(400c)을 표시하고, 홈 내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전기기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기기기에 대한 제어 스크린(400b)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의 제어 스크린(400b) 상에는 획득된 영상(450)이 함께 표시된다. 이때, 제어 스크린(400b)에는 획득된 영상(450) 위에 동작 명령 버튼 등이 오버랩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는 대시보드 스크린에 카메라의 뷰파인더 실행 창(400c)을 표시하고, 홈 내의 청소 로봇의 영상이 획득되면 제어 스크린(400b)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되 제어 스크린(400b)에 획득된 홈 내의 영상과 함께 청소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명령 버튼 등을 표시한다.
또는 제어 장치의 제어 스크린(400b) 상에는 획득된 영상(450)이 함께 표시되지 않고 제어 스크린만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의 뷰파인더를 통해 세탁기를 인식할 경우 세탁기에 대한 제어 스크린만 표시가 된다.
또는 제어 장치의 뷰파인더를 통해 특정 전기기기가 인식될 경우, 제어 장치에 제어 스크린(400b)이 아닌 관련 전기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앱을 표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앱의 초기화면을 표시하거나, 도26에 표시된 것과 유사하게 인식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팝업창을 포함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제어 장치의 뷰파인더를 통해 복수의 기기가 인식될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영상을 통한 기기인식은 제어 장치 혹은 홈서버 혹은 외부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획득 가능하다.
도 2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제어 장치(300a)는 외부 기기인 다른 제어 장치(300b)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461)한다.
아울러 다른 제어 장치(300b)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것은, 다른 제어 장치가 아닌 제어 장치만을 이용하여 제어할 경우에 생략 가능하다.
제어 장치는 외부 기기인 다른 제어 장치(300b)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수신된 제어 신호가 심플 제어 신호인지 판단(462)한다.
제어 장치는 수신된 제어 신호가 심플 제어 신호라고 판단되면 전기기기로 심플 제어 신호를 전송(463)하고, 심플 제어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디테일 제어를 위한 제어 스크린을 표시(464)한다.
여기서 심플 제어 신호는 온 또는 오프 신호이고, 디테일 제어 신호는 온 및 오프 신호 이외의 동작 제어 신호이다.
제어 스크린 표시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화면 모드를 랜드스케이프 모르로 변경한 후 제어 스크린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심플 제어 영역이 터치되었는지 판단(465)한다.
심플 제어 영역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터치된 위치가 전기기기의 상태창의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는 상태창이 터치 입력되면, 상태창의 동작 텍스트를 변경 표시한다.
즉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의 상태창이 온(On) 표시 상태에서 터치 입력되면 어느 하나의 상태창을 오프(Off) 표시하고,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의 상태창이 오프(Off) 표시 상태에서 터치 입력되면 어느 하나의 상태창을 온(On) 표시한다.
반면 제어 장치는 터치된 위치가 전기기기의 아이콘의 영역이라고 판단되면 디테일 제어 영역이 터치되었다고 판단한다.
제어 장치는 심플 제어 영역이 터치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전기기기로 심플 제어 신호를 전송(466)하고, 심플 제어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디테일 제어를 위한 제어 스크린을 표시(467)한다.
여기서 심플 제어 신호는 동작 온 또는 오프 신호이고, 디테일 제어 신호는 동작 온 및 오프 신호 이외의 동작 제어 신호이다.
심플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현재 상태가 온 상태이면 오프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현재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온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제어 장치는 카메라 뷰 파인더 모드가 입력되면 홈 내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전기기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크린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되, 획득된 홈 내의 영상에 제어 스크린을 오버랩시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 전기기기 200: 네트워크
300, 300a: 제어 장치 300b: 다른 제어 장치
310, 4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320: 제어부
330: 저장부 340: 통신부

Claims (14)

  1. 제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인터페이스부;
    상기 제어 장치에 미리 등록된 복수 개의 전기기기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아이콘들과, 상기 복수 개의 아이콘들에 대한 상태창을 갖는 제1 스크린을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복수 개의 아이콘들 중 하나의 아이콘이 제1터치 타입으로 터치되면, 상기 제1스크린이 상기 터치된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크린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하나의 아이콘이 제2터치타입으로 터치되면 상기 제1스크린에 상기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미니 제어 창이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제1스크린에 미니 제어 창이 오버랩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아이콘들 중 하나의 아이콘에 대한 상태창이 터치되면 상기 상태창이 터치된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전기기기의 현재 동작이 다른 동작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전기기기에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상태창의 터치에 대응하여 상기 상태창에 표시된 현재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가 상기 다른 동작에 대응하는 정보로 변경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창은,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현재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와 다른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동작 텍스트를 표시하는 말풍선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창은,
    터치 슬라이딩 입력에 대응하여 현재 동작 상태와 다른 동작 상태 사이에서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슬라이딩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등록된 복수 개의 전기기기의 정보와, 상기 복수 개의 전기기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앱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등록된 복수 개의 전기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제어 장치에서 전송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등록된 복수 개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전기기기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크린이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에 상기 제어 스크린을 오버랩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9. 삭제
  10.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에 미리 등록된 복수 개의 전기기기들의 아이콘들과, 각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태창을 표시하는 제1스크린을 상기 제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1스크린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의 아이콘이 제1터치 타입으로 터치되면, 상기 제1스크린을 상기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크린으로 표시하고,
    상기 하나의 아이콘이 제2터치타입으로 터치되면 상기 제1스크린에 상기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미니 제어 창을 표시하되, 상기 제1스크린에 미니 제어 창을 오버랩시켜 표시하고,
    상기 아이콘들 중 하나의 아이콘에 대한 상태창이 터치되면 상기 상태창이 터치된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전기기기의 제1 동작 상태를 제2동작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심플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상태창에 표시된 동작 텍스트를 상기 제1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2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텍스트로 변경하고,
    상기 심플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복수 개의 전기기기들 중 하나의 전기기기가 상기 제2동작 상태인 동안에 상기 하나의 전기기기에 대응하는 상태창이 터치 입력되면, 상기 하나의 전기기기에 제1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제1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하나의 전기기기가 상기 제1동작 상태인 동안에 상기 하나의 전기기기에 대응하는 상태창이 터치 입력되면, 상기 하나의 전기기기에 제2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제2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전기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명령이 전송되면 상기 동작 명령이 심플 제어 신호인지, 디테일 제어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심플 제어 신호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상태창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상태창에 대응하는 동작 전환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디테일 제어 신호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크린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선택된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카메라 뷰 파인더 모드가 입력되면 홈 내의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전기기기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전기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크린을 표시하되, 상기 획득된 영상에 상기 제어 스크린을 오버랩시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001555A 2013-09-05 2014-01-06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ctive KR102231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09,961 US10608837B2 (en) 2014-01-06 2015-01-06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580002411.7A CN105706395B (zh) 2014-01-06 2015-01-06 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PCT/KR2015/000109 WO2015102469A1 (ko) 2014-01-06 2015-01-06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889 2013-09-05
KR20130106889 2013-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177A KR20150028177A (ko) 2015-03-13
KR102231105B1 true KR102231105B1 (ko) 2021-03-24

Family

ID=5302321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555A Active KR102231105B1 (ko) 2013-09-05 2014-01-06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40001553A Active KR102231092B1 (ko) 2013-09-05 2014-01-06 제어 장치
KR1020140001554A Active KR102229356B1 (ko) 2013-09-05 2014-01-06 제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553A Active KR102231092B1 (ko) 2013-09-05 2014-01-06 제어 장치
KR1020140001554A Active KR102229356B1 (ko) 2013-09-05 2014-01-06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9760268B2 (ko)
KR (3) KR1022311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01475A1 (en) * 2016-01-15 2020-01-02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monitoring robot systems
WO2023146137A1 (ko) * 2022-01-26 2023-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7000B2 (en) 2012-10-02 2017-08-29 Razer (Asia-Pacific) Pte. Ltd. Launching applications on an electronic device
US9106721B2 (en) 2012-10-02 2015-08-11 Nextbit Systems Application state synchronization across multiple devices
US9654556B2 (en) 2012-10-02 2017-05-16 Razer (Asia-Pacific) Pte. Ltd. Managing applications on an electronic device
US9776078B2 (en) 2012-10-02 2017-10-03 Razer (Asia-Pacific) Pte. Ltd. Application state backup and restoration across multiple devices
US9717985B2 (en) 2012-10-02 2017-08-01 Razer (Asia-Pacific) Pte. Ltd. Fragment-based mobile device application streaming utilizing crowd-sourcing
US10067516B2 (en) 2013-01-22 2018-09-04 Opower, Inc.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thermostat using biofeedback
US10123189B2 (en) 2013-03-21 2018-11-06 Razer (Asia-Pacific) Pte. Ltd. Electronic device system restoration by tapping mechanism
CN103279261B (zh) * 2013-04-23 2016-06-2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讯设备及其窗口小部件的添加方法
USD759033S1 (en) * 2013-06-25 2016-06-14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91820S1 (en) * 2013-09-03 2017-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68162S1 (en) * 2013-09-30 2016-10-04 Nextbit System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5849S1 (en) * 2013-12-30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57802S1 (en) * 2013-12-30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54741S1 (en) * 2014-01-03 2016-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52631S1 (en) * 2014-01-03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3153S1 (en) * 2014-01-03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5853S1 (en) * 2014-01-03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62657S1 (en) * 2014-01-03 2016-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5206S1 (en) * 2014-01-03 2016-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0260S1 (en) * 2014-06-27 2016-06-28 Opower, Inc. Display screen of a communications terminal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6382008B2 (ja) * 2014-07-22 2018-08-29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D784405S1 (en) * 2014-11-28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6103465A1 (ja) * 2014-12-26 2016-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音声認識システム
USD791784S1 (en) * 2015-02-20 2017-07-11 Google Inc. Portion of a display panel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icons
USD772910S1 (en) * 2015-03-08 2016-11-29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60143136A (ko) * 2015-06-04 201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기반 알림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6497624B2 (ja) * 2015-06-15 2019-04-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機器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ム
USD791827S1 (en) 2015-06-24 2017-07-11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94669S1 (en) 2015-08-05 2017-08-15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6699S1 (en) 2015-10-13 2017-01-17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549407B1 (ko) * 2015-10-14 2023-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25436B1 (ko) * 2015-11-09 2017-04-12 주식회사 코아리버 폴더별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6713113A (zh) * 2015-11-17 2017-05-24 北京北信源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即时通信的智能家居控制装置及拟人化交互方法
USD792465S1 (en) * 2015-12-23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10594796B2 (en) 2016-02-09 2020-03-17 Qualcomm Incorporated Extending an IoT control interface from an IoT controller to a user device as part of a video media stream of a wireless media presentation session
CN107172002B (zh) * 2016-03-07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控制应用终端的网络连接的方法和装置
USD800740S1 (en) * 2016-03-13 2017-10-24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8290S1 (en) 2016-03-23 2019-01-15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set of icons
USD851672S1 (en) * 2016-03-29 2019-06-18 British Gas Trading Limited Display screen with user interface and icons
USD820862S1 (en) 2016-04-24 2018-06-19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2034S1 (en) 2016-04-24 2018-07-03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94064S1 (en) 2016-05-13 2017-08-08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00763S1 (en) 2016-06-08 2017-10-24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03238S1 (en) * 2016-06-12 2017-11-21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8011892A1 (ja) * 2016-07-12 2018-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機器制御システム
USD802622S1 (en) 2016-08-29 2017-11-14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089608B2 (en) * 2016-09-01 2021-08-10 Ikabit,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D842866S1 (en) * 2016-10-18 2019-03-12 Facebook,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ing bar charts, for an advertisement management application
CN106871340A (zh) * 2017-01-22 2017-06-20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Widget的控制装置、方法和系统
USD821435S1 (en) * 2017-02-23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9486S1 (en) * 2017-03-27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2875S1 (en) 2017-03-31 2019-03-12 Wayne Fueling System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2333S1 (en) 2017-06-04 2019-03-0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0409S1 (en) * 2017-06-15 2018-10-09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7315355B (zh) * 2017-06-30 2021-05-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器控制设备及方法
TWI662504B (zh) * 2017-06-30 2019-06-11 正文科技股份有限公司 萬物協作社交方法
USD854036S1 (en) 2017-08-04 2019-07-16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0487625Y1 (ko) 2017-08-04 2018-12-05 조정욱 휴대용 흡기장치
USD847174S1 (en) 2017-08-04 2019-04-30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6135S1 (en) * 2017-08-25 201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JP7302642B2 (ja) * 2017-09-11 2023-07-0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6972806B2 (ja) * 2017-09-11 2021-11-2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7130929B2 (ja) * 2017-09-11 2022-09-0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1642844S (ko) * 2017-09-29 2019-10-07
USD851678S1 (en) * 2017-12-15 2019-06-18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53424S1 (en) 2017-12-21 2019-07-09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7182S1 (en) * 2017-12-21 2019-04-30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54037S1 (en) * 2017-12-21 2019-07-16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7842S1 (en) * 2017-12-21 2019-05-07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A190759S (en) 2018-01-15 2021-02-16 Lutron Electronics Co Control device for smart building systems
USD872122S1 (en) 2018-01-15 2020-01-07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6507S1 (en) 2018-01-15 2019-04-23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Control device
CN112997143B (zh) * 2018-05-07 2024-07-09 谷歌有限责任公司 提供用于控制连接设备的复合图形助理界面的方法、系统和装置
USD884724S1 (en) 2018-08-30 2020-05-19 Google Llc Electronic device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7136632B2 (ja) * 2018-08-31 2022-09-1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遠隔操作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D902952S1 (en) 2018-09-04 2020-11-24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set of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JP2020087382A (ja) * 2018-11-30 2020-06-0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20087383A (ja) * 2018-11-30 2020-06-0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D910660S1 (en) 2019-07-26 2021-02-16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21033785A1 (ko) * 2019-08-16 202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인공 지능 서버
USD909402S1 (en) 2019-09-03 2021-02-02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01831S1 (en) * 2019-12-31 2023-10-17 Daikin Manufacturing Company, L.P.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 HVAC control device
USD914725S1 (en) 2020-01-03 2021-03-30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210108723A (ko) * 2020-02-26 2021-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D937299S1 (en) * 2020-03-24 2021-11-30 Vyaire Medical,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mmunicating health-related messages regarding ventilated patients
USD944829S1 (en) 2020-05-14 2022-03-01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4830S1 (en) 2020-05-14 2022-03-01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7234S1 (en) 2020-07-23 2022-03-29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11359S1 (en) * 2020-09-22 2024-01-16 Igt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611519B1 (en) * 2021-09-02 2023-03-21 Slack Technologies, Llc Event trigger visibility within a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WO2023128062A1 (ko) * 2021-12-31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의 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500142B (zh) * 2022-01-29 2023-10-31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装置及家电设备的控制方法
JP7331167B2 (ja) * 2022-01-31 2023-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知システム、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40043571A (ko) * 2022-09-27 202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40049990A (ko) * 2022-10-11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 및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6635B1 (en) * 1993-05-24 2003-03-05 Sun Microsystems, Inc. Improve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method for interfacing to remote devices
US6452607B1 (en) * 1998-02-04 2002-09-17 Hewlett-Packard Company Context sensitive user interface help feature
AUPR459801A0 (en) 2001-04-24 2001-05-24 Canon Kabushiki Kaisha A multi-agent system for digital home/office
US6937742B2 (en) 2001-09-28 2005-08-30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Gesture activated home appliance
US7653212B2 (en) * 2006-05-19 2010-01-2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image data in connection with configuring a universal controlling device
KR100496917B1 (ko) 2002-09-05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가전기기
JP2004135051A (ja) * 2002-10-10 2004-04-30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514191B1 (ko) 2003-01-23 2005-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용셋톱박스
US20060036970A1 (en) * 2004-08-16 2006-02-16 Charles Rich System for configuring and controlling home appliances
JP2007011873A (ja) 2005-07-01 2007-01-18 Toshiba Corp インタフェース装置およびインタフェース方法
DE602005011497D1 (de) * 2005-07-04 2009-01-15 Vkr Holding As System mit einer master-einheit und mehreren slave-einheiten zum betrieb mehrerer einrichtungen
KR100790173B1 (ko) 2006-02-23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KR20080011581A (ko) 2006-07-31 200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원격제어방법
KR20080085513A (ko) 2007-03-20 2008-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홈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US8196185B2 (en) * 2007-08-27 2012-06-0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mote HVAC control with a customizable overview display
US20100200565A1 (en) 2009-02-06 2010-08-12 Leung Tony W Control system for electric heating elements
US9599981B2 (en) 2010-02-04 2017-03-21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Electronic appliance status notification via a home entertainment system
WO2011105768A2 (ko) 2010-02-23 201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5315A (ko) * 2010-07-08 2012-01-16 (주)리눅스아이티 가전기기 통합 제어시스템
KR101740440B1 (ko) * 2010-12-24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953278B2 (en) * 2011-05-02 2018-04-24 Sears Brands, L.L.C.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networked home appliances
KR101300272B1 (ko) * 2011-08-10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985337B1 (ko) * 2011-10-26 2019-09-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운용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120014076A (ko) * 2012-01-05 2012-02-15 김호영 스마트 홈 솔루션
JP2014072561A (ja) 2012-09-27 2014-04-21 Nitto Denko Corp 家電機器遠隔監視システム
CN103019116A (zh) 2012-12-04 2013-04-03 缪军 智能家电家居控制装置及内嵌该装置的冰箱
KR102058918B1 (ko) 2012-12-14 2019-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EP3691179A1 (en) 2012-12-18 2020-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ome device remotely in home network system
KR102002420B1 (ko) 2013-01-18 201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기기를 이용하는 스마트 홈 시스템
US20150006296A1 (en) 2013-06-26 2015-01-01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NOTIFICATION DISMISSAL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CN105765514B (zh) 2014-01-06 2020-02-11 三星电子株式会社 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등록특허 제7653212호(2010.01.26.) 1부.*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5315호(2012.01.16.) 1부.*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4076호(2012.02.15.) 1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01475A1 (en) * 2016-01-15 2020-01-02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monitoring robot systems
US11662722B2 (en) * 2016-01-15 2023-05-30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monitoring robot systems
WO2023146137A1 (ko) * 2022-01-26 2023-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64157B2 (en) 2020-09-01
KR102231092B1 (ko) 2021-03-24
US20200351177A1 (en) 2020-11-05
US20150286388A1 (en) 2015-10-08
KR20150028175A (ko) 2015-03-13
KR102229356B1 (ko) 2021-03-19
KR20150028177A (ko) 2015-03-13
KR20150028176A (ko) 2015-03-13
US9760268B2 (en) 2017-09-12
US20190034051A1 (en)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105B1 (ko)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334208B2 (en) Control apparatus
US10608837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120532B2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RU2594178C2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позволяющая обойтись без визуального контроля устройства управления и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визуальную обратную связь
KR20200042449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EP2715460B1 (en) Companion control interface for smart devices
KR101588595B1 (ko)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JP5739002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N104115078A (zh) 用于控制家庭装置的装置、方法以及时间线用户界面
KR20110063516A (ko)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터치 감지형 무선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EP3170162B1 (en) Method of obtaining gesture zone definition data for a control system based on user input
CN103957319A (zh) 一种使用用户设备遥控目标设备的方法及用户设备
CN104122845A (zh) 家电设备控制系统及方法
JP2014220805A (ja) インターフェース画面、ハードウェアリモコン装置、電子デバイス用カバーおよびリモコンシステム
JP2015053585A (ja)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携帯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826805A (zh) 计算机可读存储介质、移动终端、智能家居控制方法
KR20160050963A (ko) 지능형 홈 에코 시스템의 제어기기 등록용 스마트 단말장치와 그 등록 방법
KR20150069961A (ko)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902199A (zh) 显示抽象化和交互模式的远程支持的控制
CN104581322A (zh) 具有电视遥控功能的移动装置及其遥控方法
KR20070009263A (ko)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인식방법
JP2014027533A (ja) 遠隔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