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9351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351B1
KR102229351B1 KR1020140024563A KR20140024563A KR102229351B1 KR 102229351 B1 KR102229351 B1 KR 102229351B1 KR 1020140024563 A KR1020140024563 A KR 1020140024563A KR 20140024563 A KR20140024563 A KR 20140024563A KR 102229351 B1 KR102229351 B1 KR 102229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washing
auxiliary washing
top cover
washing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2544A (ko
Inventor
정관수
김민형
김준호
김현철
원용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40024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351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5736164.3A priority patent/EP2952623B1/en
Priority to TR2018/09532T priority patent/TR201809532T4/tr
Priority to PCT/KR2015/001506 priority patent/WO2015130046A1/ko
Priority to CN201580000399.6A priority patent/CN105189846B/zh
Priority to US14/736,755 priority patent/US10287722B2/en
Priority to US14/736,804 priority patent/US9315934B2/en
Publication of KR20150102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544A/ko
Priority to US16/365,112 priority patent/US10793986B2/en
Priority to US17/036,948 priority patent/US1145396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3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00Hand rubbing apparatus
    • D06F3/02Rubbing boar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간이 손세탁이 가능한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서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와,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세탁부가 형성되는 회전조와, 개구에 마련되는 탑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탑 커버 어셈블리는, 탑 커버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면에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보조세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이 손세탁이 가능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저수하는 고정조와, 고정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펄세이터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고정조와 회전조에 의해 세탁공간을 형성하나, 양말, 흰옷 및 속옷등에 묻은 찌든 때를 별도로 세탁하는 공간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간이 손세탁이 가능한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보조세탁을 위해 보조세탁공간을 갖는 보조세탁유닛을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와,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세탁부가 형성되는 회전조와, 상기 개구에 마련되는 탑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면에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보조세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는, 그 내면이 중심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세탁부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의 내면 중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세탁부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의 내면 중 전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세탁부는, 세탁물의 마찰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의 내면 보다 볼록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마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찰돌기는 직선 또는 라운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보조세탁부가 형성되며,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세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그 일면에 상기 보조세탁부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안착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에서 세탁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보조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ABS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회전조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보조세탁유닛을 갖추어 보조세탁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세탁방법과 독립적으로 보조세탁이 가능하여, 세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세탁유닛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보조세탁을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은 도 1 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부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이 장착된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 은 도 6 의 B-B' 부분의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11)와, 고정조(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12)와, 회전조(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의 상부에는 회전조(12)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24)가 형성되고, 개구(24)에는 탑 커버 어셈블리(100)가 마련된다.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상면에는 개구(24)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 후단부에는 세탁기(1)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101a, 도2)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101)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조(11)는 현가장치(15)에 의해 본체(10)에 지지될 수 있다.
고정조(11)의 상부에는 고정조(11)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7)이 설치된다. 급수관(17)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고, 급수관(17)의 타측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된다. 급수관(17)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6)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고정조(11)의 내부로 공급된다. 급수관(17)에는 급수밸브(18)가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회전조(1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그 측면에는 다수의 탈수공(13)이 형성된다. 회전조(12)의 상부에는 고속 회전 시에 회전조(12)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밸런서(14)가 장착될 수 있다.
고정조(11)의 하측 외부에는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5)와, 모터(25)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절환장치(26)가 설치된다.
회전조(12)에는 중공형 탈수축(29)이 결합되고, 탈수축(29)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세탁축(27)은 세탁축결합부(28)를 통해 펄세이터(5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25)는 동력절환장치(26)의 승강 동작에 따라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동력절환장치(26)는 동력절환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30)와, 액추에이터(30)의 동작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로드부(31)와, 로드부(31)와 연결되어 로드부(31)의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클러치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조(12)의 바닥에는 고정조(12)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도록 배수구(20)가 형성되고, 배수구(20)에는 제 1 배수관(21)이 연결된다. 제 1 배수관(21)에는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22)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밸브(22)의 출구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수관(3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1 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부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개구(24)에는 탑 커버 어셈블리(100)가 마련된다. 탑 커버 어셈블리(100)에 마련되는 도어(110)는 개구(24)를 개폐하도록 힌지부(11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힌지부(113)는 도어(110)의 후방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힌지(113a)와, 제1 힌지(113a)에 대응되도록 탑 커버 어셈블리(113b)에 형성되는 제2 힌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0)는 개구(24)를 폐쇄하는 상태에서도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부재(112)가 마련될 수 있다.
탑 커버 어셈블리(100)는 전방 내측면을 형성하는 제1 내면(100a)과, 양 내측면을 형성하는 제2 내면(100b)과, 후방 내측면을 형성하는 제3 내면(100c)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내지 제3 내면(100a,100b,100c) 중 적어도 일면에는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보조세탁부(200)가 형성된다.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제1 내지 제3 내면(100c)은 중심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세탁부(200)는 보조세탁공간(200a)을 구비하여, 고정조(11)와 회전조(12)에 의해 형성되는 메인세탁공간(10a)과 구분하여 간이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메인세탁공간(10a)과 보조세탁공간(200a)은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서, 각각의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메인세탁공간(10a)과 보조세탁공간(200a)에서의 세탁은 별도로 진행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보조세탁부(200)는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제1 내면(100a)에 배치되며, 복수의 마찰돌기(201)를 포함한다.
마찰돌기(201)는 제1 내면(100a)의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찰돌기(201)는 제1 내면(100a)의 상하 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찰돌기(201)는 손세탁시 세탁물과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세탁물의 때가 잘 빠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마찰돌기(201)는 제1 내면(100a)에 굴곡을 형성하도록 라운드 형상(201a)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돌기(201)는 직선형상(201b)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마찰돌기(201)의 형상과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마찰돌기(201)는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제2 내면(100b)과 제3 내면(100c)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탑 커버 어셈블리(100)는 메인세탁공간(10a)과 보조세탁공간(200a)으로의 급수를 위해 급수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160)는 급수관(162), 메인급수관(164), 보조급수관(166)과 전환유닛(168)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162)은 일단이 급수밸브(18)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162)은 급수밸브(18)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전환유닛(168)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메인세탁공간(10a)으로 급수를 위해 메인급수관(164)이 마련될 수 있다. 메인급수관(164)은 일단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또, 보조세탁부(200)의 보조세탁공간(200a)으로의 급수를 위해 보조급수관(166)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관(166)은 일단은 보조급수구(167)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전환유닛(168)은 급수관(162)으로부터 전달되는 세탁수를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즉, 전환유닛(168)의 제어를 통해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세탁공간으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마련된다. 전환유닛(168)은 3방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이 전환유닛(168)을 사이에 두고 급수관(162)으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되나,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이 급수밸브(18)에 연결되어 급수밸브(18)의 제어를 통해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일단이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되는 메인급수관(164)과, 일단이 보조급수구(167)와 연결되는 보조급수관(166)의 각각의 타단이 급수밸브(18)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선택적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되나,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으로 동시에 급수되어도 무방하다.
보조급수구(167)는 보조급수관(166)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구(167)는 보조세탁부(200) 상측의 보조세탁공간(200a)으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도록 보조세탁부(20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세탁시 보조급수구(167)를 통해 세탁수가 급수되고, 급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세탁물을 보조세탁부(200)의 마찰돌기(201)를 이용하여 애벌 세탁한다.
한편,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제2 내면(100b)과 제3 내면(100c)의 경사에 의해 애벌 세탁시 발생하는 물 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세탁부(200)의 마찰돌기(201) 형상을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마찰돌기(201)의 물 고임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이 장착된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8 은 도 6 의 B-B'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보조세탁유닛(300)은 탑 커버 어셈블리(100)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보조 세탁을 위한 보조세탁부(20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보조 세탁이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유닛(300)은 바닥부(311)와 바닥부(311)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측면부(312)로 구성되는 바디(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300)의 보조세탁공간(200a)은 바디(310)에 의해 형성된다. 바닥부(311)는 보조세탁공간(200a)의 깊이를 결정짓는 요소로서, 바닥부(311)는 평평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부(312)는 바닥부(311)를 향해 구배되도록 형성되며, 바닥부(311)를 향해 구배지도록 형성된다.
바닥부(311)와 측면부(312)는 대략적으로 오목한 보조세탁공간(200a)을 갖도록 마련되어, 보조세탁공간(200a)에 세탁수를 받아 별도의 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유닛(300)의 측면부(312)에는 마찰돌기(201')를 포함하는 보조세탁부(20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세탁부(200')의 마찰돌기(201')가 측면부(312)에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마찰돌기(201')는 보조세탁유닛(300)의 바디(310) 내면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찰돌기(201')는 손세탁시 세탁물과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세탁물의 때가 잘 빠지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복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세탁유닛(300)은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결합을 위한 안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320)는 보조세탁유닛(300) 바디(31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20)는 바디(3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플랜지(320a) 형상으로 형성되어,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면(320b)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안착면(320b)은 보조세탁유닛(300)의 플랜지(320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그 상면이 플랜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세탁유닛(300)은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안착면(320b)에 상단 테두리의 안착부(320)가 안착됨으로써,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보조세탁유닛(300)으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160)와 보조급수구(167)을 통한 세탁수 공급 방법은 위에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보조급수구(167)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보조세탁유닛(300)의 보조세탁공간(200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보조세탁유닛(300)의 측면부(312)에는 보조급수구(167)에 대응하여 세탁수 유입구(313)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보조세탁유닛(300)은 보조 배수구(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배수구(314)는 보조세탁공간(200a)에서 세탁된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마련된다. 보조 배수구(314)는 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별도의 개폐부재를 갖고 보조세탁공간(200a)의 바닥부(311)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디(310)에서 측면부(312)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보조 배수구(31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보조세탁유닛(300)을 기울였을 때, 보조세탁공간(200a)에 저수된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형상이면 이를 만족한다.
따라서, 세탁수 유입구(313)를 통해 보조세탁유닛(300)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면, 보조세탁부(200')의 마찰돌기(201')를 이용하여 애벌 세탁이 이루어지고, 애벌 세탁이 완료되면 보조 배수구(314)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보조세탁유닛(300)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300)은 ABS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손빨래에 필요한 내충격성과 강성등을 갖춘 재질이면 이를 만족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탁기 10 : 본체
10a : 메인세탁공간 11 : 고정조
12 : 회전조 50 : 펄세이터
100 : 탑 커버 어셈블리 100a : 제1 내면
100b : 제2 내면 100c : 제3 내면
101 : 제어부 110 : 도어
160 : 급수장치 166 : 보조급수관
167 : 보조급수구 200,200' : 보조세탁부
200a : 보조세탁공간 201,201' : 마찰돌기
300 : 보조세탁유닛 310 : 바디
311 : 바닥부 312 : 측면부
313 : 세탁수 유입부 314 : 보조 배수구

Claims (12)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손세탁을 할 수 있는 보조세탁부가 마련되는 탑 커버;
    상기 탑 커버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며 보조 세탁을 위한 보조세탁부를 갖는 보조세탁유닛; 및
    상기 탑 커버의 보조세탁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보조 세탁 시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보조세탁부 상측의 보조세탁공간으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보조급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측면부에는 상기 보조급수구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도록상기 보조급수구에 대응하여 세탁수 유입구가 마련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의 주위에 형성되는 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탑 커버의 상기 보조세탁부는 상기 내면에 형성되는 마찰돌기를 포함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기는 상기 개구의 전방의 내면에 형성되는 세탁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면은 상기 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세탁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에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장착되고,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도어와 상기 탑 커버의 사이에 마련되는 세탁기.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는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안착을 위한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안착면에 지지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상기 탑 커버에 장착되면, 상기 탑 커버의 보조세탁부가 상기 보조세탁유닛에 의해 오버랩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상기 탑 커버에 장착되면,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보조세탁부가 접근 가능하고,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상기 탑 커버에서 분리되면, 상기 탑 커버의 보조세탁부가 접근 가능해지는 세탁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024563A 2014-02-28 2014-02-28 세탁기 Active KR102229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563A KR102229351B1 (ko) 2014-02-28 2014-02-28 세탁기
TR2018/09532T TR201809532T4 (tr) 2014-02-28 2015-02-13 Çamaşır makinesi.
PCT/KR2015/001506 WO2015130046A1 (ko) 2014-02-28 2015-02-13 세탁기
CN201580000399.6A CN105189846B (zh) 2014-02-28 2015-02-13 洗衣机
EP15736164.3A EP2952623B1 (en) 2014-02-28 2015-02-13 Washing machine
US14/736,755 US10287722B2 (en) 2014-02-28 2015-06-11 Washing machine
US14/736,804 US9315934B2 (en) 2014-02-28 2015-06-11 Washing machine
US16/365,112 US10793986B2 (en) 2014-02-28 2019-03-26 Washing machine
US17/036,948 US11453966B2 (en) 2014-02-28 2020-09-29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563A KR102229351B1 (ko) 2014-02-28 2014-02-28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544A KR20150102544A (ko) 2015-09-07
KR102229351B1 true KR102229351B1 (ko) 2021-03-18

Family

ID=54243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563A Active KR102229351B1 (ko) 2014-02-28 2014-02-28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3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751B1 (ko) * 1997-08-12 1999-09-15 윤종용 세탁기의 보조 세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857U (ko) * 2011-09-09 2013-03-19 조명숙 다목적 빨래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751B1 (ko) * 1997-08-12 1999-09-15 윤종용 세탁기의 보조 세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544A (ko)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563B1 (ko)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KR102147819B1 (ko)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1348993B (zh) 洗衣机
KR102789562B1 (ko) 세탁기
CN100529231C (zh) 滚筒式洗衣机
KR102471463B1 (ko) 세탁기
US10907292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oor assembly comprising a plastic fishbowl
KR20130062182A (ko) 세탁기
KR20180074458A (ko) 세탁기
WO2013042402A1 (ja) 洗濯機
JP7235449B2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8291350A (zh) 洗衣机和家用电器
KR20180015872A (ko) 세탁기
JP6908397B2 (ja) 洗濯機
KR102229351B1 (ko) 세탁기
KR102171248B1 (ko) 세탁기
KR102350183B1 (ko) 세탁기
KR20210141148A (ko) 세탁기
JP2014217773A (ja) ドラム式洗濯機
US12209351B2 (en) Washing machine
KR102238814B1 (ko) 세탁기
KR200358902Y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프론트
KR102194860B1 (ko) 세탁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1586539B1 (ko) 세탁기의 구동부 구조
JP5824663B2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8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0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4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0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11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6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