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9333B1 - 용접용 지그 - Google Patents

용접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333B1
KR102229333B1 KR1020200148525A KR20200148525A KR102229333B1 KR 102229333 B1 KR102229333 B1 KR 102229333B1 KR 1020200148525 A KR1020200148525 A KR 1020200148525A KR 20200148525 A KR20200148525 A KR 20200148525A KR 102229333 B1 KR102229333 B1 KR 102229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fixing
plate
support
ji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택
Original Assignee
나이스레이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스레이저(주) filed Critical 나이스레이저(주)
Priority to KR1020200148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3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용접부재를 고정하여 효과적으로 용접을 진행할 수 있는 용접용 지그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용접부재를 용접하는 용접장치와 용접부재가 안착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형성되며, 용접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대와 고정대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부재에 접지하는 접지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용접용 지그{Jig for Welding}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용접부재를 고정하여 효과적으로 용접을 진행할 수 있는 용접용 지그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용접지그는: 하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판부에 안착되는 성형물의 용접 부위가 노출되도록 용접홀이 형성되는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에 구비되어 성형물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 및 상기 탄성지지부에 지지되는 성형물의 상면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며, 하판부와 상기 상판부는 힌지 연결되고, 탄성지지부는 상기 하판부에 결합되는 지지하우징과, 상기 지지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성형물과 접촉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용접 지그는, 고정 대상물의 저면이 안착되는 제1 지그와, 제1 지그와의 사이에 고정 공간이 형성되게 설치되며 고정 대상물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2 지그와, 제2 지그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지그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어 제1 지그와 제2 지그에 나사 결합력을 부여하여 고정 대상물을 가압 고정하는 체결 볼트와, 제1 지그의 하부에 접한 상태에서 제1 지그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체결 볼트의 단부가 나사 결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회전형 용접 지그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의 상부에 가로로 배치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용접물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 회전판,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부에 상기 제1 회전축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용접물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 회전판, 상기 제1 회전판을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제2 회전판을 상기 제2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제1 회전판과 상기 제2 회전판의 사이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는 형태로 상기 피용접물을 가압하여 고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고정을 해제하는 슬라이딩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타이 와이어와 상기 타이 와이어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슬리브를 상호 용접하는데 사용되는 용접 지그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접 지그가 장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용접 지그의 하부 양측단부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해제 블록을 포함하는 지그 지지유닛; 상기 지그 지지유닛을 축 지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와, 상기 상측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상측 지지부를 작업장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캐리지; 및 캐리지에 설치되며, 상기 타이 와이어와 상기 슬리브의 상측 경계부분의 용접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타이와이어와 상기 슬리브의 하측 경계부분의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이 와이어를 승강시킬 수 있게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4-0056666 A (2014년05월12일) KR 10-2000284 B1 (2019년07월09일) KR 10-1588435 B1 (2016년01월19일) KR 10-2012-0041072 A (2012년04월30일)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용접부재를 고정하여 효과적으로 용접을 진행할 수 있는 용접용 지그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발명이며, 용접부재(10)를 용접하는 용접장치(100); 상기 용접부재(10)가 안착되는 지지대(200); 상기 지지대(200)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고정대(300); 상기 고정대(300)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부재(10)에 접지하는 접지장치(7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용접장치(100); 지지대(200); 고정대(300); 접지장치(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용접장치(100)에 형성되며,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110); 상기 배터리(110)에 연결되며, 상기 용접부재(10)를 접합하는 용접봉(120); 상기 배터리(110)에 연결되며, 상기 용접부재(10)로 전류를 공급하는 접지케이블(1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용접장치(100); 지지대(200); 고정대(300); 접지장치(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지지대(200)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부재(10)가 안착되는 안착판(210); 상기 안착판(210)의 하단에 형성되며, 지면에서 상기 용접부재(10)를 이격시키는 안착기둥(23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용접장치(100); 지지대(200); 고정대(300); 접지장치(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안착판(210)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대(300)가 이동하는 가이드홈(22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용접장치(100); 지지대(200); 고정대(300); 접지장치(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고정대(300)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200)에 체결되는 체결부(400); 상기 체결부(400)에 형성되며, 일단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고정부(500); 상기 체결부(4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200)의 가이드홈(220)에 삽입되는 삽입부(6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용접장치(100); 지지대(200); 고정대(300); 접지장치(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체결부(400)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500)가 관통하는 고정판(410); 상기 고정판(410)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600)가 관통하는 지지판(420); 상기 체결부(400)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41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43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용접장치(100); 지지대(200); 고정대(300); 접지장치(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체결부(400)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600) 및 상기 고정부(50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44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용접장치(100); 지지대(200); 고정대(300); 접지장치(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고정부(500)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400)를 관통하는 고정바(510); 상기 고정바(51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장치(440)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고정체(5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용접장치(100); 지지대(200); 고정대(300); 접지장치(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삽입부(600)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220)에 삽입되는 삽입체(610); 상기 삽입체(610)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착판(210)에 고정되는 삽입판(62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용접장치(100); 지지대(200); 고정대(300); 접지장치(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접지장치(700)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장치(100)의 접지케이블(130)이 접지되는 접지부(710); 상기 접지부(710)에 형성되며, 상기 접지부(710)의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7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용접부재를 고정하여 용접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대가 지지대의 상부에서 사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용접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장치의 회전함에 따라 고정대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장치의 회전으로 용접부재를 고정대에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대가 회전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용접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대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있어서, 용접부재(10)를 용접하는 용접장치(100); 상기 용접부재(10)가 안착되는 지지대(200); 상기 지지대(200)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고정대(300); 상기 고정대(300)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부재(10)에 접지하는 접지장치(7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용접장치(100)에 형성되며,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110); 상기 배터리(110)에 연결되며, 상기 용접부재(10)를 접합하는 용접봉(120); 상기 배터리(110)에 연결되며, 상기 용접부재(10)로 전류를 공급하는 접지케이블(130);를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재(10)는 판재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300)는 상기 지지대(200)의 상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용접용 지그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판재를 원활히 용접하기 위하여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접용 지그는 용접부재(10)를 용접하는 용접장치(100)가 형성되며, 용접장치(100)는 아크용접, 가스용접 등 다양하게 금속의 용접부재(10)를 용접하는 것이다. 이때, 용접장치(100)가 전기를 활용한 아크용접으로 용접부재(10)를 용접할 경우 용접장치(100)는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110)가 형성되며, 배터리(110)에 의하여 용접부재(10)를 접합시키는 용접봉(120)과 접지를 위한 접지케이블(1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용접부재(10)는 지지대(200)에 지지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의 용접부재(10)가 안착되며, 고정대(300)에 의하여 용접부재(10)가 고정된다. 이때, 지지대(20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용접부재(10)를 안착시키는 것으로 지지대(200)의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된다. 또한, 지지대(200)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대(300)가 형성되며, 고정대(300)는 지지대(200)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이동한다. 이때, 고정대(300)는 x축, y축으로 다양하게 이동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의 용접부재(10)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대(300)는 접지장치(700)가 형성되며, 접지케이블(130)이 결합되어 용접부재(10)에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용접부재(10)를 용접하기 위하여 용접부재(10)를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0)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부재(10)가 안착되는 안착판(210); 상기 안착판(210)의 하단에 형성되며, 지면에서 상기 용접부재(10)를 이격시키는 안착기둥(230);을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2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210)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대(300)가 이동하는 가이드홈(220);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220)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대(300)가 관통하는 관통홈(221); 상기 관통홈(221)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대(300)가 고정되는 고정홈(222);를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222)은 상기 관통홈(22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220)은 상기 안착판(210)의 상부에 직교하도록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안착기둥(230)은 상기 높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2-8)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2-7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장치는 실린더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지대(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지지대(200)는 고정대(300)가 상부에서 이동함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대(200)는 용접부재(10)가 안착되는 안착판(210)이 형성되며, 안착판(210)은 목재, 합성수지, 금속재질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될 경우 전류가 전도되어 용접부재(10)에 접지를 진행한다. 그리고 안착판(210)은 고정대(300)가 이동하는 가이드홈(220)이 형성되며, 가이드홈(220)의 폭은 고정대(300)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부(600)의 폭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홈(220)은 고정대(300)가 관통하는 관통홈(221)이 형성되며, 관통홈(221)의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홈(222)이 형성된다. 고정홈(222)은 관통홈(221)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안착판(210)의 중심에 형성되어 고정대(300)에 의하여 안착판(2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가이드홈(220)은 안착판(210)의 상부에 x축, y축으로 복수가 형성되어 고정대(300)를 직교하도록 이동시키며, 가이드홈(220)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이드홈(220)이 형성되는 안착판(210)의 하단에는 안착기둥(230)이 형성되며, 안착기둥(230)은 길이조절장치가 형성된다. 길이조절장치는 실린더로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안착기둥(230)을 각각 조절하는 것으로 용접부재(10)의 형상에 따라 안착판(210)의 위치를 가변시켜 작업자의 용접 자세를 용이하게 변경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지대(200)는 고정대(300)가 직교하도록 이동하는 안착판(210)과 안착판(210)을 지지하는 안착기둥(230)이 형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300)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200)에 체결되는 체결부(400); 상기 체결부(400)에 형성되며, 일단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고정부(500); 상기 체결부(4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200)의 가이드홈(220)에 삽입되는 삽입부(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300)는 전류가 전도되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대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접지장치(700)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정대(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고정대(300)는 지지대(200)에서 직교하도록 이동하며,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대(300)는 지지대(200)에 체결되는 체결부(400)가 형성되며, 체결부(400)는 지지대(200)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체결부(400)는 고정부(500)가 이동 및 회전하도록 지지대(200)에 체결되며, 지지대(200)의 안착판(210)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부(400)는 접지장치(700)가 결합되며, 접지장치(700)는 접지케이블(130)이 체결된다. 그리고 고정부(500)는 지지대(200)를 관통하여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삽입부(600)가 승하강함에 따라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삽입부(600)는 체결부(400)의 하단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가이드홈(220)에 삽입된다. 이때, 삽입부(600)는 가이드홈(220)에서 이동함에 따라 용접부재(10)의 형상에 따라 원활하게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00)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500)가 관통하는 고정판(410); 상기 고정판(410)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600)가 관통하는 지지판(420); 상기 체결부(400)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41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430);을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410)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500)가 관통하는 제 1관통홀; 상기 지지판(420)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600)가 관통하는 제 2관통홀;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00)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600) 및 상기 고정부(50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440);를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430)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장치(440)를 결합하는 회전축(431); 상기 회전축(431)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431)을 회전시키는 조작장치(432);를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440)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431)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체결부(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체결부(400)는 지지판(420)에 고정되어 지지대(200)의 상부에서 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부(400)는 지지대(200)의 상부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지지판(420)이 형성되며, 지지판(420)은 삽입부(600)가 관통한다. 그리고 지지판(420)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판(410)이 형성된다. 고정판(410)은 상부에 고정부(500)가 관통하는 제 1관통홀이 형성되며, 제 1관통홀은 상기 고정부(50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축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판(420)은 삽입판(620)이 관통하는 제 2관통홀이 형성되며, 제 2관통홀은 삽입부(60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고정판(410)과 지지판(420)은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고정판(410)과 지지판(420)의 양측면에는 보강판(430)이 형성된다. 이때, 보강판(430)에는 삽입부(600) 및 고정부(50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44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43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판(430)의 외측에는 조작장치(432)가 형성되어 승강장치(44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조작장치(432)는 손잡이 및 모터가 형성된다. 또한, 승강장치(440)는 회전축(431)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판이 형성되며, 회전판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캠으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판이 회전할 때 삽입부(600)가 상승하여 고정대(300)를 고정함과 동시에 고정부(500)를 승강시켜 용접부재(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결부(400)는 고정부(500) 및 삽입부(600)가 관통하여 승강시키는 것으로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 또는 4-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0)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400)를 관통하는 고정바(510); 상기 고정바(51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장치(440)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고정체(5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520)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부재(10)에 접하는 접합체(530); 상기 접합체(530)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520)를 관통하는 결합축(540); 상기 결합축(540)에 나선결합되는 결합체(550);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접합체(530)는 상기 용접부재(10)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접합체(530)에 형성되며, 전자석으로 형성되는 자력부; 상기 자력부와 연결되며, 전류가 공급되는 전류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정부(5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고정부(500)는 승강장치(440)에 의하여 일단부가 승강하면 타단부는 하강하여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500)는 체결부(400)의 고정판(410)을 관통하는 고정바(510)가 형성되며, 고정바(510)는 중심이 고정판(410)에 결합되어 승강장치(440)가 고장바의 일단부를 상승시키면 타단부는 하부로 하강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바(510)의 단부는 용접부재(10)와 결합되는 고정체(520)가 형성되며, 고정체(520)는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고정체(520)는 용접부재(10)에 접하는 접합체(530)가 형성되며, 고정체(520)의 일면에서 연장되는 결합축(540)이 형성된다. 결합축(540)은 나선홈이 형성되어 고정바(510)를 관통하며, 고장바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결합축(540)에는 결합체(550)가 나선결합되어 접합체(530)를 고정바(510)에 고정한다. 결합체(550)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날개가 양측면에 형성되며, 작업자가 날개를 회전시켜 결합축(540)의 길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결합축(540)을 고정바(51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접합체(53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용접부재(10)에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접합체(530)는 전자석으로 형성되는 자력부가 형성되며, 자력부는 전류공급부에 의하여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자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용접부재(1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용접부재(10)를 통해 접지된 전류가 용접부재(10)로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정부(500)는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것이며, 전류가 용접부재(10)로 전도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600)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220)에 삽입되는 삽입체(610); 상기 삽입체(610)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판(420)에 고정되는 삽입판(620);을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610)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510)에 결합되는 결합면(611); 상기 결합면(611)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장치(44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612);을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611)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612)은 상기 승강장치(440)의 회전판이 회전하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5)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삽입판(620)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200)에 접하는 접합부재(6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삽입부(6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삽입부(600)는 체결부(400)의 하단에 형성되며, 가이드홈(220)에 삽입되어 고정대(300)가 지지대(200)에서 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삽입부(600)는 가이드홈(220)에 삽입되는 삽입체(610)가 형성되며, 삽입체(610)의 하단에는 지지판(420)에 고정되는 삽입판(620)이 형성된다. 삽입체(610)와 삽입판(620)은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이는 고정대(300)가 직교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그리고 삽입체(610)는 상단에 결합면(611)이 형성되며, 결합면(611)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삽입부(600)가 상승할 때 고정바(510)가 원활히 상승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삽입체(610)의 상단에는 수용공간(612)이 형성되어 승강장치(440)가 수용되며, 캠으로 형성되는 승강장치(440)가 회전함에 따라 삽입부(600)가 상승함과 동시에 고정바(510)의 일단부가 상승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캠으로 형성되는 승강장치(440)가 회전하여 승강장치(440)의 일단부가 삽입부(600)를 상승시키면 삽입체(610)의 결합면(611)이 고정바(510)의 단부를 상승시킨다. 그럼에 따라 고정바(510)의 일단부는 용접부재(10)를 고정하고, 삽입체(610)가 상승하여 삽입판(620)이 안착판(210)에 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삽입판(620)의 상부에는 접합부재(621)가 형성되어 삽입체(610)가 상승하여 삽입판(620)과 안착판(210)이 밀착될 때 마찰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삽입부(600)는 가이드홈(220)에서 이탈하지 않고 고정대(300)를 이동시키는 것이며, 승강장치(440)가 상승함에 따라 고정대(300)를 지지대(200)에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용접용 지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700)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장치(100)의 접지케이블(130)이 접지되는 접지부(710); 상기 접지부(710)에 형성되며, 상기 접지부(710)의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720);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20)는 복수의 상기 용접부재(10)를 용접시 발생하는 열 변형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의 용접용 지그는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710)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측정한 열 변형에 따라 접지를 차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접지장치(7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접지장치(700)는 접지케이블(130)이 접지되며,용접부재(10)의 열 변형에 따라 접지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지장치(700)는 고정대(300) 및 지지대(200)에 형성되며, 접지케이블(130)이 접지되어 용접부재(10)로 전류를 관통시킨다. 이때, 접지부(710)는 용접부재(10)에 전류가 전도되어 용접이 용이하게 진행되며, 제어부(720)의 감지센서에 의하여 용접부재(10)에 열 변형이 발생하면 접지부(710)에 체결되는 접지케이블(130)의 접지를 차단한다.
10: 용접부재 100: 용접장치
110: 배터리 120: 용접봉
130: 접지케이블 200: 지지대
210: 안착판 220: 가이드홈
221: 관통홈 222: 고정홈
230: 안착기둥 300: 고정대
400: 체결부 410: 고정판
420: 지지판 430: 보강판
431: 회전축 432: 조작장치
440: 승강장치 500: 고정부
510: 고정바 520: 고정체
530: 접합체 540: 결합축
550: 결합체 600: 삽입부
610: 삽입체 611: 결합면
612: 수용공간 620: 삽입판
621: 접합부재 700: 접지장치
710: 접지부 720: 제어부

Claims (10)

  1. 용접부재(10)를 용접하는 용접장치(100);
    상기 용접부재(10)가 안착되는 지지대(200);
    상기 지지대(200)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고정대(300);
    상기 고정대(300)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부재(10)에 접지하는 접지장치(700);
    상기 고정대(300)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200)에 체결되는 체결부(400);
    상기 체결부(400)에 형성되며, 일단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고정부(500);
    상기 체결부(4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200)의 가이드홈(220)에 삽입되는 삽입부(600);
    상기 체결부(400)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500)가 관통하는 고정판(410);
    상기 고정판(410)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600)가 관통하는 지지판(420);
    상기 체결부(400)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41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430);
    상기 체결부(400)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600) 및 상기 고정부(50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440);
    상기 승강장치(440)에 형성되며, 회전축(431)에 의하여 회전하는 타원형의 회전판;
    상기 보강판(430)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장치(440)를 결합하는 회전축(431);
    상기 회전축(431)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431)을 회전시키는 조작장치(432);를 포함하는 용접용 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장치(100)에 형성되며,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110);
    상기 배터리(110)에 연결되며, 상기 용접부재(10)를 접합하는 용접봉(120);
    상기 배터리(110)에 연결되며, 상기 용접부재(10)로 전류를 공급하는 접지케이블(130);를 포함하는 용접용 지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0)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부재(10)가 안착되는 안착판(210);
    상기 안착판(210)의 하단에 형성되며, 지면에서 상기 용접부재(10)를 이격시키는 안착기둥(230);을 포함하는 용접용 지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210)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대(300)가 이동하는 가이드홈(220);을 포함하는 용접용 지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0)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400)를 관통하는 고정바(510);
    상기 고정바(51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장치(440)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용접부재(10)를 고정하는 고정체(520);를 포함하는 용접용 지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600)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220)에 삽입되는 삽입체(610);
    상기 삽입체(610)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착판(210)에 고정되는 삽입판(620);을 포함하는 용접용 지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700)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장치(100)의 접지케이블(130)이 접지되는 접지부(710);
    상기 접지부(710)에 형성되며, 상기 접지부(710)의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720);를 포함하는 용접용 지그.

KR1020200148525A 2020-11-09 2020-11-09 용접용 지그 Active KR102229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525A KR102229333B1 (ko) 2020-11-09 2020-11-09 용접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525A KR102229333B1 (ko) 2020-11-09 2020-11-09 용접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333B1 true KR102229333B1 (ko) 2021-03-18

Family

ID=7523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525A Active KR102229333B1 (ko) 2020-11-09 2020-11-09 용접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3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2023A (zh) * 2021-12-15 2022-03-01 苏州庆隆机电有限公司 一种电池组焊接用定位治具
KR102380778B1 (ko) * 2021-11-02 2022-04-04 홍지훈 피가공물 용접용 고정시스템
KR102507921B1 (ko) * 2022-06-01 2023-03-07 김영수 전동기용 구리링 용접 지그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512B1 (ko) * 2007-03-26 2008-06-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랙 제작을 위한 지그장치
KR20120041072A (ko) 2010-10-20 2012-04-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지그용 작업대
KR20140056666A (ko) 2012-10-30 2014-05-12 (주)오토엔 용접지그
KR101588435B1 (ko) 2014-07-22 2016-01-26 김동왕 회전형 용접 지그
KR20160117427A (ko) * 2014-01-09 2016-10-10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미야치 Tig 용접 장치 및 tig 용접 방법
KR102000284B1 (ko) 2018-07-18 2019-07-15 박영철 용접 지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512B1 (ko) * 2007-03-26 2008-06-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랙 제작을 위한 지그장치
KR20120041072A (ko) 2010-10-20 2012-04-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지그용 작업대
KR20140056666A (ko) 2012-10-30 2014-05-12 (주)오토엔 용접지그
KR20160117427A (ko) * 2014-01-09 2016-10-10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미야치 Tig 용접 장치 및 tig 용접 방법
KR101588435B1 (ko) 2014-07-22 2016-01-26 김동왕 회전형 용접 지그
KR102000284B1 (ko) 2018-07-18 2019-07-15 박영철 용접 지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778B1 (ko) * 2021-11-02 2022-04-04 홍지훈 피가공물 용접용 고정시스템
CN114102023A (zh) * 2021-12-15 2022-03-01 苏州庆隆机电有限公司 一种电池组焊接用定位治具
CN114102023B (zh) * 2021-12-15 2024-02-27 苏州庆隆机电有限公司 一种电池组焊接用定位治具
KR102507921B1 (ko) * 2022-06-01 2023-03-07 김영수 전동기용 구리링 용접 지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333B1 (ko) 용접용 지그
EP0582255B1 (en) Seat apparatus having movable seat used by worker in installing parts within automobile body
KR101507650B1 (ko) 용접용 회전 테이블
KR100806537B1 (ko) 강관의 티그(tig) 자동용접장치
CN112496794B (zh) 用于管件机械加工的承托装置
KR100739109B1 (ko) 강관의 티그 자동용접장치
CN214641304U (zh) 焊枪自动角度调整夹具及焊接机器人
KR20150035021A (ko)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CN212665290U (zh) 焊接装置
KR20060080951A (ko) 러그 용접 장치
KR20140043403A (ko) 토치 조정 장치
KR20120093694A (ko) 자동 용접기
JP4147554B2 (ja) 部品供給装置の位置決め装置
US5730019A (en) Method for straightening an automotive bodyshell and straighten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KR102196606B1 (ko) 프레임 용접용 지그
CN211305154U (zh) 辅助装置
EP0514883A1 (en) Welding unit
CN114888415B (zh) 一种焊缝保护装置及管件焊接方法
KR20090000377A (ko) 3차원 곡판재 용접선 맞춤 장치
KR101394659B1 (ko) 폭 조절이 가능한 크레인용 지그
KR100616410B1 (ko) 용접토치의 아암장치
KR101708191B1 (ko) 용접봉 공급 가이드 장치
KR101009032B1 (ko) 와이어 로프 유도장치
CN215509657U (zh) 一种摆臂支架夹具及摆臂支架装夹工装
JP3719063B2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