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8054B1 -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054B1
KR102228054B1 KR1020190039004A KR20190039004A KR102228054B1 KR 102228054 B1 KR102228054 B1 KR 102228054B1 KR 1020190039004 A KR1020190039004 A KR 1020190039004A KR 20190039004 A KR20190039004 A KR 20190039004A KR 102228054 B1 KR102228054 B1 KR 102228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rod
protection system
rod assembly
core protection
ce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212A (ko
Inventor
유극종
고도영
이재곤
이상훈
남권우
남채호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9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05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0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on of errors by analysis, debugging or testing of software
    • G06F11/3604Analysis of software for verifying properties of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on of errors by analysis, debugging or testing of software
    • G06F11/362Debugging of software
    • G06F11/3648Debugging of software using additional hardware
    • G06F11/3652Debugging of software using additional hardware in-circuit-emulation [I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on of errors by analysis, debugging or testing of software
    • G06F11/3668Testing of software
    • G06F11/3672Test management
    • G06F11/3684Test management for test design, e.g. generating new test cas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장치는, 적어도 2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노심보호계통에 있어서, 정상 상태 또는 이상 상태를 포함하는 모사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노심보호계통의 채널에 송신하는 입출력 시뮬레이터(I/O Simulator), 및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를 포함하며, 입력된 상기 모사 상태 신호에 대하여 상기 채널이 출력한 결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노심보호계통의 정상 동작 여부 판단을 위하여 상기 결과 신호를 분석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시뮬레이터는 테스트케이스의 시나리오에 따라 입력 신호를 모사하여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의 연산 결과를 전달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장치 및 방법{DYNAMIC SOFTWARE VERIFICATION TEST DEVICE AND METHOD FOR CEA PROCESSOR OF CORE PROTECTION SYSTEM}
본 발명은 원자로의 노심보호계통에 관한 것으로, 노심보호계통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 시험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은 핵분열 연쇄반응을 통하여 발생한 에너지로 물을 끓여 발생시킨 수증기로 터빈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을 말한다.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된 원자핵에서, 핵자들을 완전하게 분리하여 자유로운 입자로 만들 때 필요한 에너지가 방출하면서 거대한 에너지가 생성되므로, 이러한 원자력 발전은 아주 적은 양의 연료로도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동력원에 해당하며, 전세계 다수의 국가에서 원자력 발전을 이용하고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그런데 원자력 발전의 경우 원자력의 이용이 매우 큰 위험을 수반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안전 장치와 고도로 훈련된 전문가의 통제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특히 원자력 발전의 경우 원자로의 노심을 보호하는 계통을 가장 세심하게 상태를 체크하게 되며 원자력 발전의 사고가 일어나지 않는 평상시에도 이러한 원자력 발전장치 및 원자력 발전장치에 설치된 감지 장치, 감지 장치를 분석하는 컴퓨팅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이 때 노심보호계통은 원자로 중심부의 핵반응도를 감시하고, 과도 상태 발생 시 원자로 노심을 보호하기 위해 원자로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계통이다. 노심보호계통이 발생시킨 원자로 정지신호는 발전소보호계통(PPS, Plant Protection System)을 경유하여 원자로정지스위치기어시스템(RTSS, Reactor Trip Switchgear System)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입력 신호를 모사하여 수신하고 동시에 연산 결과 값을 기록할 수 있는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장치는, 적어도 2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노심보호계통에 있어서, 정상 상태 또는 이상 상태를 포함하는 모사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노심보호계통의 채널에 송신하는 입출력 시뮬레이터(I/O Simulator), 및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를 포함하며, 입력된 상기 모사 상태 신호에 대하여 상기 채널이 출력한 결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노심보호계통의 정상 동작 여부 판단을 위하여 상기 결과 신호를 분석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시뮬레이터는 테스트케이스의 시나리오에 따라 입력 신호를 모사하여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의 연산 결과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시뮬레이터는 통신으로 상기 입력 신호를 모사하여 전송하고 상기 연산 결과를 통신으로 전달 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 신호는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방법은, 입출력 시뮬레이터에서 테스트케이스의 시나리오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입력 신호를 모사하는 모사 입력 신호 생성 단계, 상기 모사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로 전송하는 모사 입력 신호 전송 단계, 및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에서 연산한 결과 값을 상기 입출력 시뮬레이터로 전송하여 실시간 기록하는 연산 결과 기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사 입력 신호 전송 단계는, 상기 모사 입력 신호를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연산 결과 기록 단계는, 상기 연산한 결과 값을 통신을 통해 기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방법은, 상기 입출력 시뮬레이터가 통신을 통해 초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사 입력 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테스트케이스에 정의된 각 변수의 주요 지점의 값들을 기준으로 사이 값들을 선형 보간(interpolation)하여 상기 입력 신호를 모사할 수 있다.
상기 모사 입력 신호 전송 단계와 상기 연산 결과 기록 단계는,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가 매 통신 주기마다 상기 모사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동시에 상기 연산 결과를 상기 입출력 시뮬레이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 결과 기록 단계는, 상기 입출력 시뮬레이터는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로(CEAP)부터 전송된 전체 상기 연산 결과 값을 저장하거나 또는 주요 결과 값이 변경된 시점만을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방법은, 제어봉 위치 신호 처리 알고리즘이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테스트케이스와 상기 연산 결과 값을 비교하는 테스트 결과 비교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동적 시험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설계기준사고 상황을 시험할 수 있으며, 입출력 값들을 모두 기록하여 알고리즘 기능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다.
기존에는 본품 4개 채널이 제작된 후 수행할 수 있었던 FCST의 시험들을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노심보호계통의 4채널 연결 형상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심보호계통의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CEAP DSVT) 수행 시 형상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심보호계통의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CEAP DSVT)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심보호계통의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CEAP DSVT) 신호 인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노심보호계통은 노심보호연산기계통(CPCS, Core Protection Calculator System)으로 불려 진다. 국내에서 개발한 노심보호계통은 Westinghouse의 알고리즘을 적용한 원자로노심보호계통(RCOPS, Reactor Core Protection System)과 알고리즘 및 각종 공지기술을 고유화한 고유노심보호계통(ICOPS, In-Core Protection System)으로 나눌 수 있다.
국산화 노심보호계통인 원자로노심보호계통과 고유노심보호계통은 동일한 계통구조를 가지고 있다. 국산화 노심보호계통 내부의 제어기는 노심보호프로세서(COPP, Core Protection Processor),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 CEA Processor), 채널통신프로세서(CCP, Channel Communication Processor) 그리고 연계시험프로세서(ITP, Interface and Test Processor)로 구성된다.
한편, 노심보호계통 소프트웨어 검증 시험은 크게 모듈시험, 단위시험, OCST(One Channel System Test), FCST(Four Channel Software Test)로 나눌 수 있으며, 단위 시험은 다시 IST(Input Sweep Test), DSVT(Dynamic Software Verification Test), LISPT(Live Input Single Parameter Test)로 나눌 수 있다.
모듈시험은 노심보호계통을 구성하고 있는 100 여개 이상의 모듈에 대한 Code Coverage Test이며, Online Code (PLC 환경)의 결과값이 Offline Code (PC 환경) 결과값 대비 0.1% 오차를 벗어나지 않아야 합격처리 된다. 시험 대상 모듈만 별도 분리하여 시험용 응용프로그램을 만들고 I/O Simulator가 입력값을 모사하고 출력값을 수신한 뒤 합부 판정까지 포함하여 결과 파일에 기록하게 된다.
IST는 허용된 운전영역 내 입력에 대해 정상적으로 초기화를 했는지 확인하는 시험이다. COPP에 대한 IST와 CEAP에 대한 IST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 1000개 이상의 테스트케이스를 가지고 있다. I/O Simulator에서 즉각적인 합부 판정을 수행하지는 않으며, 결과 파일은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분석을 수행해야 한다.
DSVT는, 변화가 없는 정적인 신호를 모사하는 IST와 달리, 시간에 따라 신호가 변화하는 동적인 신호를 모사하며, COPP를 대상으로 한다. 설계기준 사고를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모사하고 COPP의 연산 결과가 예측범위에 있는지 확인하는 시험이다.
LISPT는 발전소 정상운전 상태에서 노이즈를 모사한 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결과값이 예측범위에 있는지 확인하는 시험이다. 실배선 신호의 변화를 통해 정상 상태에서 원자로 정지 신호 발생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응답시간 시험으로 볼 수 있다.
OCST는 모듈시험과 단위시험에서는 노심보호계통 핵심 알고리즘에 대한 시험이며, 그 외에 1개 채널의 소프트웨어 개발용 시제품(DF, Development Facility)를 통해 시험할 수 있는 모든 시험 항목을 OCST에서 수행한다. 입출력 확인, Alarm 신호 확인, 자가진단 확인, 정주기 시험 기능 확인 등이 여기에 속한다.
상기 시험에서 수행하지 못한, 4개 채널이 연동된 상태에서만 시험할 수 있는 시험 항목을 FCST로 수행한다. DF는 1개 채널만 제작을 하므로 본품 4개 채널 제작이 완료된 후 본품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시험이다. 채널간 통신이 필요한 제어봉 위치 신호 관련 응답 시간 측정 시험이나 RPC(Reactor Power Cutback) 작동 시험이 여기에 속한다.
노심보호계통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 제어봉 위치 신호 처리 알고리즘이 동작하는 CEAP에 대한 검증은 IST로 수행하고 있으며, IST에서는 정적인 신호 입력을 통해 CEAP의 초기화 기능에 대해 시험을 할 수 있다. 하지만 CEAP는 오신호 필터링, 출력급감발(RPC, Reactor Power Cutback) 상황 감지 등 동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에 대한 주요 판단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만큼 동적인 신호 처리 알고리즘에 대한 검증도 중요한데 이에 대한 검증 시험이 없는 상태이다.
노심보호계통에 입력되는 필드 신호는 모두 4중화 되어 있으나 제어봉 위치 신호만 2중화로 구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하나의 오신호에 의해서도 의도치 않은 원자로 정지 신호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알고리즘이 CEAP에 적용되어 있으며 개발단계에서 철저히 검증될 필요가 있다.
본품 4개 채널이 제작 된 후 FCST로 제어봉 위치 신호에 대한 동적 사고 상황을 시험하고 있지만 시험 종류가 제한적이고 데이터 수집이 쉽지 않아 분석이 어려우며 납품 직전에 수행해야 하므로 소프트웨어에 문제점 발견 시 납기 지연 등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도 1은 노심보호계통의 4채널 연결 형상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노심보호계통 내부의 제어기는 노심보호프로세서(Core Protection Processor, 이하 'COPP' 라 함),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 Processor, 이하 'CEAP'로 병기함), 채널통신프로세서(Channel Communication Processor, 이하 'CCP'로 병기함)를 각 채널별로 포함한다.
노심보호프로세서(COPP)는 제어봉위치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필드 신호(고온관 온도, 저온관 온도, 가압기 압력, 냉각재 유량, 노외중성자속 신호)를 받으며, 핵비등이탈률(Departure from Nucleate Boiling Ratio, 이하 'DNBR'이라 함)과 국부출력밀도(Local Power Density, 이하 'LPD'라 함) 계산 등 노심보호계통의 핵심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는 제어봉 집합체 위치신호를 수집하여 각 그룹 또는 부그룹 내의 위치신호 편차에 따라 벌점계수를 계산하고 그 결과값을 모든 채널의 노심보호프로세서(COPP)에 전달한다.
채널통신프로세서(CCP)는 채널 당 CCP-1, CCP-2를 포함하는 2개의 랙(Rack)으로 이중화 되어 있으며, 리드스위치위치전송기(Reed Switch Position Transmitter, 이하 'RSPT'로 병기함)로부터 받은 제어봉 위치 신호를 수집하여 다른 채널의 채널통신프로세서(CCP)에 전달하고 타겟(Target) 제어봉 신호는 같은 채널 내 노심보호프로세서(COPP)로 전송한다. 다른 안전계통 센서가 4중화 되어 있는 반면 리드스위치위치전송기(RSPT)는 이중화로 구성되며, RSPT I 신호는 채널 A, B에, RSPT II 신호는 채널 C, D에 전달될 수 있다. 일례로, 채널 A, D는 전체 제어봉 수의 약 1/4, 채널 B, C는 전체 제어봉 수의 약 3/4을 수신할 수 있다.
채널 A와 B의 채널통신프로세서(CCP)가 통신을 통해 RSPT I 신호를 상호 교환하고, 채널 C와 D의 CCP가 통신을 통해 RSPT II 신호를 상호 교환하여 각 채널의 채널통신프로세서(CCP)는 RSPT I 전체 신호 혹은 RSPT II 전체 신호를 확보할 수 있다. 채널통신프로세서(CCP)는 이 신호를 같은 채널 내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에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심보호계통의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CEAP DSVT) 수행 시 형상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장치는 입출력 시뮬레이터(I/O Simulator, 30) 및 제어기(50)를 포함한다. 입출력 시뮬레이터(30)는 정상 상태 또는 이상 상태를 포함하는 모사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노심보호계통의 채널에 송신하는 구성이며, 제어기(50)는 입력된 상기 모사 상태 신호에 대하여 상기 채널이 출력한 결과 신호를 수신하고, 노심보호계통의 정상 동작 여부 판단을 위하여 상기 결과 신호를 분석하는 구성이다.
제어기(50)는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출력 시뮬레이터(30)는 테스트케이스의 시나리오에 따라 입력 신호를 모사하여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54)로 전송하고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54)의 연산 결과를 전달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입출력 시뮬레이터(30)는 통신으로 상기 입력 신호를 모사하여 전송하고 상기 연산 결과를 통신으로 전달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사되는 입력 신호는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심보호계통의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CEAP DSVT)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심보호계통의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CEAP DSVT) 신호 인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방법은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를 시험하는 방법으로서, 초기화 단계(S10), 모사 입력 신호 생성 단계(S20), 모사 입력 신호 전송 단계(S30), 연산 결과 기록 단계(S40) 및 테스트 결과 비교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화 단계(S10)에서는, 입출력 시뮬레이터가 통신을 통해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로 초기화 신호를 전송하고, 모사 입력 신호 생성 단계(S20)에서는, 상기 입출력 시뮬레이터에서 테스트케이스의 시나리오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입력 신호를 모사할 수 있다. 즉, 초기화 신호를 보낸 뒤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가 초기화를 완료하면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신호를 모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초기화 신호는 변화하지 않는 정적인 신호이며, 이의 모사 후 연산 결과가 안정되는 경우, 즉 흔들리지 않고 수렴되는 경우에 동적 신호를 모사할 수 있다.
모사 입력 신호 전송 단계(S30)에서는, 상기 모사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모사 입력 신호는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테스트케이스에서는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에 입력되는 각 변수의 주요 지점에 대해 정의하고 있으며(도 4의 (a) 참조), 입출력 시뮬레이터는 이 값들을 기준으로 사이 값들을 선형 보간(interpolation)하여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에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인가할 수 있다(도 4의 (b) 참조).
연산 결과 기록 단계(S40)에서는,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에서 연산한 결과 값을 상기 입출력 시뮬레이터로 전송하여 실시간 기록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결과 값은 통신을 통해 전송되어 기록될 수 있다. 즉,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는 입출력 시뮬레이터로부터 테스트 값을 매 통신 주기마다 수신하면서 동시에 연산 결과를 입출력 시뮬레이터로 전송할 수 있다. 입출력 시뮬레이터는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에서 받은 전체 연산 결과를 모두 저장할 수도 있고, 주요 결과값이 변경된 시점만 저장할 수도 있다.
테스트 결과 비교 단계(S50)에서는, 테스트케이스와 상기 연산 결과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테스트케이스와 테스트 결과 파일의 비교를 통해 제어봉 위치 신호 처리 알고리즘이 정상적으로 동작했는지 상세히 분석할 수 있다.
기존 CEAP IST로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가 계산한 DNBR, LPD 벌점계수 결과가 예측범위 이내인지는 확인할 수 있으나 제어봉 위치에 대한 오신호 필터링, RPC 상황 감지 등 동적 신호에 대한 기능이 정상인지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FCST에서 일부 기능은 시험하지만 시험 종류가 제한적이고 정밀한 분석이 어려우며, 본품 제작 후 납품 직전에 시험을 수행해야 하는 부담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즉 CEAP DSVT에 의하면,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동적 시험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설계기준사고 상황을 시험할 수 있으며, 입출력 값들을 모두 기록하여 알고리즘 기능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에 본품 4개 채널이 제작된 후 수행할 수 있었던 FCST의 시험들을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30: 입출력 시뮬레이터 (I/O Simulator)
50: 제어기 54: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 (CEAP)

Claims (10)

  1. 적어도 2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노심보호계통에 있어서,
    정상 상태 또는 이상 상태를 포함하는 모사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노심보호계통의 채널에 송신하는 입출력 시뮬레이터(I/O Simulator); 및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를 포함하며, 입력된 상기 모사 상태 신호에 대하여 상기 채널이 출력한 결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노심보호계통의 정상 동작 여부 판단을 위하여 상기 결과 신호를 분석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시뮬레이터는 테스트케이스의 시나리오에 따라 입력 신호를 모사하여 통신으로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로 전송하고,
    상기 입출력 시뮬레이터는 통신으로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의 연산 결과를 전달 받을 수 있는,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장치.
  2. 삭제
  3.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를 검증시험 하는 방법으로서,
    입출력 시뮬레이터에서 테스트케이스의 시나리오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입력 신호를 모사하는 모사 입력 신호 생성 단계;
    상기 모사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로 전송하는 모사 입력 신호 전송 단계; 및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에서 연산한 결과 값을 상기 입출력 시뮬레이터로 전송하여 실시간 기록하는 연산 결과 기록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 결과 기록 단계는,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에서 연산한 결과 값을 통신을 통해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사 입력 신호 전송 단계는,
    상기 모사 입력 신호를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방법.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시뮬레이터가 통신을 통해 초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사 입력 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테스트케이스에 정의된 각 변수의 주요 지점의 값들을 기준으로 사이 값들을 선형 보간(interpolation)하여 상기 입력 신호를 모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사 입력 신호 전송 단계와 상기 연산 결과 기록 단계는,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가 매 통신 주기마다 상기 모사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동시에 상기 연산 결과를 상기 입출력 시뮬레이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결과 기록 단계는,
    상기 입출력 시뮬레이터가 상기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CEAP)로부터 전송된 전체 상기 연산 결과 값을 저장하거나 또는 주요 결과 값이 변경된 시점만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방법.
  10. 제 3 항에 있어서,
    제어봉 위치 신호 처리 알고리즘이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테스트케이스와 상기 연산 결과 값을 비교하는 테스트 결과 비교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방법.
KR1020190039004A 2019-04-03 2019-04-03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2228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004A KR102228054B1 (ko) 2019-04-03 2019-04-03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004A KR102228054B1 (ko) 2019-04-03 2019-04-03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212A KR20200117212A (ko) 2020-10-14
KR102228054B1 true KR102228054B1 (ko) 2021-03-12

Family

ID=72847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004A Active KR102228054B1 (ko) 2019-04-03 2019-04-03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46696B (zh) * 2022-08-17 2024-01-30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用于核安全级堆芯冷却监测系统的验证系统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5882A2 (en) 2011-02-22 2012-08-30 PCTEL Secur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secur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389A (ko) * 1999-10-16 2001-05-07 이호림 원자로의 부적절노심냉각감시기기에 대한 시험장치 및 방법
KR20060061038A (ko) * 2004-12-01 2006-06-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력 제어봉 구동장치 제어시스템의 검증 장치 및 방법
KR101797078B1 (ko) * 2016-07-15 2017-11-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로노심보호계통 유지보수 시뮬레이션 장치 및 시스템
KR101865666B1 (ko) * 2016-07-22 2018-07-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로노심보호계통 소프트웨어 검증용 시뮬레이션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5882A2 (en) 2011-02-22 2012-08-30 PCTEL Secur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secur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212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8051B2 (en) Nuclear reactor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865666B1 (ko) 원자로노심보호계통 소프트웨어 검증용 시뮬레이션 장치 및 시스템
US10580541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simulating maintenance of reactor core protection system
Hashemian Nuclear power plant instrumentation and control
e Silva et al. Cybersecurity assessment framework for digital interface between safety and security at nuclear power plants
KR102228054B1 (ko) 노심보호계통 제어봉집합체프로세서의 동적 소프트웨어 검증시험 장치 및 방법
Pakonen et al. Verification of fault tolerant safety I&C systems using model checking
KR20200117213A (ko) 노심보호계통의 1채널 동적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Swaminathan Design aspects of safety critical instrumentation of nuclear installations
Kim et al. Input-domain software testing for failure probability estimation of safety-critical applications in consideration of past input sequence
Tyrväinen Probabilistic modelling of common cause failures in digital I&C systems-Literature review
Nam et al. HINT-Sec: Hardware-in-the-loop nuclear power plant testbed for cyber security
Kang et al. A quantitative study on risk issues in safety feature control system design in digitalized nuclear power plant
Guo Model-Based Cyber-Security Framework for Nuclear Power Plant
Shin et al. A study of cyber-attack impact to condenser test-bed by using STPA-SafeSec
El-Genk et al. NICSim: Nuclear Instrumentation and Control Simulation for Modeling Cyber-Attacks
Korsah et al. A qualitative assessment of current CCF guidance based on a review of safety system digital implementation changes with evolving technology
Park et al. Development and EQ test of the KNICS RPS prototype
Gohar et al. Control and Protection System Conceptual Design Logic Diagrams for Neutron Source Facility at the Kharkov Institute of Physics and Technology
Zahedi HARDWARE CONTROLLER IMPLEMENTATION OF CANDU NUCLEAR POWER PLANT SHUTDOWN SYSTEM
Lee et al. Model-Based Diagnostics and Mitigation of Cyber Threats
CN115641973A (zh) 一种用于堆芯中子通量测量系统的验证系统和方法
Mbonjo et al. Approach for the Evaluation of the Impact of Potential Software Failures in Software-Based Instrumentation and Control (I&C) Equipment in Nuclear Power Plants
Liu et al. The Safety Constraints and Evaluation of I&C Algorithm Configuration Based on SCADE Platform
Deutsch et al. EPRI-sponsored demonstration of signal validation at BWR and PWR nuclear s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