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7942B1 -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 - Google Patents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942B1
KR102227942B1 KR1020200145164A KR20200145164A KR102227942B1 KR 102227942 B1 KR102227942 B1 KR 102227942B1 KR 1020200145164 A KR1020200145164 A KR 1020200145164A KR 20200145164 A KR20200145164 A KR 20200145164A KR 102227942 B1 KR102227942 B1 KR 102227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composition
benzene derivative
pl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길
김명진
안철현
Original Assignee
장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길 filed Critical 장동길
Priority to KR1020200145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9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0Aromatic or araliphatic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한 살충력을 가지면서도 가격 경쟁력이 있는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삼추출물, 할미꽃추출물, 유칼립투스추출물 및 백리향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물추출물 및, 벤젠유도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CROP PROTECTION AGENT CONTAINING BENZENE DERIVATIVES}
본 발명은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한 살충력을 가지면서도 가격 경쟁력이 있는 벤젠유도체를 해충방제용 포함하는 작물보호제에 관한 것이다.
살충제(insectcides)는 사람이 이용하기 위해 재배하는 식물(원예, 농작물, 과수 등)에 해가되는 곤충이나 벌레를 죽이는 약제로 파리, 모기를 죽이는 살충제와 생명체에 기생하는 알과 애벌레 등을 죽이는 산란제 및 구충제를 포함한다.
살충제는 용도와 제형에 따라 다양하나 각 살충제가 가진 성분은 공통점을 가진다.
과거 화학합성 살충제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화학합성 살충제에 저항성을 가지는 해충이 발견되고 그 이후 제기된 환경 축적과 인체 유해성 논란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한 화학합성 살충제의 대안으로서 사람, 동물, 어류 등의 유해성이 적은 식물추출물이 떠오르고 있다.
종래의 기술인 공개특허 제10-2005-0115521호(이하 종래기술)는 상기한 식물추출물을 활용한 살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충국 추출물과 고삼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하고, 이들 원료가 지닌 유효성분의 살충 및 충 기피 효능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하여 콩 지방산을 콜로이드 입자 상태로 분해한 콩 추출물과 참기름, 침투제 등을 추가로 함유하고 있으며, 또한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다양한 살충 효능을 얻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님오일(멀구슬나무 오일), 백부근(百部根) 추출물, 백양나무 추출물, 측백나무 추출물, 피마자 추출물 등을 추가로 함유하도록 하여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각종 해충에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가축이나 사람, 토양 및 환경에는 일체 무해(non toxic mechanism)한 생물농약으로서의 천연 살충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살충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가격도 비싸기 때문에 실제로 농약을 대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람, 동물, 어류 등의 유해성이 적은 동시에, 살충력 및 가격경쟁력이 우수하여 기존의 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귤,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등 작물의 응애류 방제, 고추 목화진딧물 등 진딧물류, 배추 흰나방, 벼 혹명나방 등 나방류, 벼멸구 등의 살충에 효과가 있는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한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고삼추출물, 할미꽃추출물, 유칼립투스추출물 및 백리향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물추출물 및, 벤젠유도체를 포함한다.
또한 물 8 중량% 내지 22 중량%, 에탄올 8 중량% 내지 17 중량%, 상기 식물추출물 14.5 중량% 내지 44.5 중량%, 기능성 첨가제 8 내지 17 중량% 및 상기 벤젠유도체 15 중량% 내지 3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추출물은 고삼추출물, 할미꽃추출물, 유칼립투스추출물 및 백리향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추출물은 고삼추출물 8 중량% 내지 18 중량%, 할미꽃추출물 3 중량% 내지 12 중량%, 유칼립투스추출물 3 중량% 내지 12 중량% 및 백리향추출물 0.5 중량%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 및 벤젠유도체를 포함함으로써, 사람, 동물, 어류 등의 유해성이 적은 동시에, 살충력 및 가격경쟁력이 우수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벤젠유도체 15 중량% 내지 35 중량%를 포함함으로써, 살충 효과가 우수하며 혼합이 용이하여 제조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삼추출물, 할미꽃추출물, 유칼립투스추출물 및 백리향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추출물과 벤젠유도체를 포함함으로써, 감귤,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등 작물의 응애류 방제, 고추 목화진딧물 등 진딧물류, 배추 흰나방, 벼 혹명나방 등 나방류, 벼멸구 등의 살충에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작물, 원예, 과실 등의 식물을 재배함에 있어 해가 되는 곤충이나 벌레를 죽이는 약제로 사람, 동물, 어류 등의 유해성이 있는 화학합성 살충제가 사용되었으나, 사람, 동물, 어류 등의 유해성 문제가 되어 식물추출물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물추출물은 사람, 동물, 어류 등의 유해성이 적은 대신 살충력이 크지 못하고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는 상기한 식물추출물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조성물'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조성물(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은 식물추출물 및, 벤젠유도체를 포함한다.
식물추출물은 고삼추출물, 할미꽃추출물, 유칼립투스추출물 및 백리향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고삼은 학명이 Sophora flavescens AIT. 이다. 고삼이라는 이름은 맛이 몹시 쓰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고, 높이는 1m에 달하고 녹색이지만 어릴 때는 검은 빛이 돈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길고 기수우상복엽(奇數羽狀複葉)이다. 6∼8월에 연한 황색의 꽃이 피는데, 원줄기의 끝과 가지 끝의 총상화서(總狀花序)에 많은 꽃이 달린다. 뿌리는 한약재로 쓰인다.
구체적으로 고삼은 마트린 성분을 포함하여 배추좀나방 등의 나방류, 복숭아진딧물과 같은 진딧물, 점박이응애와 같은 응애류의 살충에 효과가 있다.
예시적으로 고삼추출물은 뿌리를 그대로 또는 주피를 거의 벗긴 뿌리를 조말로 하여 1,3-부틸렌글리콜, 무수에탄올,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 또는 이들 추출물을 에텔 또는 초산에틸로 추출하여 용매를 제거한 것으로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 정제수, 또는 이들의 혼합액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할미꽃추출물은 할미꽃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할미꽃은 이차초원이란 식물사회에서만 산다. 사람에 의하거나 자연현상에 의하거나 이차적으로 만들어진 풀밭을 학술적으로 이차초원이라고 한다. 일차초원 즉 자연초원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백두산 산정부에 가면 그런 자연초원이 광활하게 펼쳐져 있다. 식물사회학에서는 할미꽃을 이차초원 가운데에서도 쉽게 건조해지는 입지에서 발달하는 건생이차초원의 진단종으로 삼는다.
할미꽃추출물은 청벌레, 담배벌레, 총재벌레, 파리, 모기, 원충, 질트리코모나스, 진딧물 등의 살충에 효과가 있다.
유칼립투스추출물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유칼립투스(Eucalyptus)에서 추출한 추출물이다.
유칼립투스는 약 700여종이 있다. 70m 자라는 교목(喬木)의 속성수로, 수피는 매끄러우며 청회색을 띤 흰색이다. 잎은 엽병 없이 마주나고 회녹색이다. 꽃은 2~3개가 모여 피며 과실은 2.5cm 정도로 동그스름하다.
유칼립투스로부터 제조된 에센셜 오일은 살균작용이 있어 입욕제로 하면 피부를 정화하고 피부 장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칼립투스는 벼룩, 이, 진드기 등의 살충 효과가 있다.
백리향추출물은 백리향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을 의미한다. 백리향은 높은 산꼭대기나 바닷가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높이 3∼15cm이다. 원줄기는 땅위로 퍼져나가고 어린 가지가 비스듬히 서며 향기가 난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거나 바소꼴이며 길이 5∼12mm, 너비 3∼8mm이다. 양면에 선점(腺點)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털이 난다.
상기한 백리향추출물은 배추나비, 진드기 등을 살충하는데 효과가 있다.
본 조성물은 고삼추출물, 할미꽃추출물, 유칼립투스추출물 및 백리향추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조성물은 고삼추출물, 할미꽃추출물, 유칼립투스추출물 및 백리향추출물 각각의 살충 효과를 모두 포함하고, 후술하는 벤젠유도체와 함께 사용되어 감귤,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등 작물의 응애류 방제, 고추 목화진딧물 등 진딧물류, 배추 흰나방, 벼 혹명나방 등 나방류, 벼멸구 등의 살충에 효과를 갖는다.
본 조성물에서 고삼추출물은 8 중량% 내지 18 중량%가 포함되는데, 고삼추출물이 8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와 같은 살충 효과가 미미하며, 18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살충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본 조성물의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조성물에서 고삼추출물은 10 중량% 내지 20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조성물에서 할미꽃추출물은 3 중량% 내지 12 중량%가 포함되는데, 할미꽃추출물이 3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와 같은 살충 효과가 미미하며, 1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살충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본 조성물의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조성물에서 할미꽃추출물은 5 중량% 내지 10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조성물에서 유칼립투스추출물은 3 중량% 내지 12 중량%가 포함되는데, 유칼립투스추출물이 3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와 같은 살충 효과가 미미하며, 1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살충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본 조성물의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조성물에서 유칼립투스추출물은 5 중량% 내지 10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조성물에서 백리향추출물은 0.5 중량% 내지 2.5 중량%가 포함되는데, 백리향추출물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와 같은 살충 효과가 미미하며, 2.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살충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본 조성물의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조성물에서 백리향추출물은 1 중량% 내지 2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조성물에서 고삼추출물, 할미꽃추출물, 유칼립투스추출물 및 백리향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추출물은 14.5 중량% 내지 44.5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식물추출물은 가격이 비싸 44.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상기한 살충 효과는 크게 상승되지 않는 반면 본 조성물의 제조비용은 지나치게 상승한다. 반면에 식물추출물이 14.5 중량% 미만 사용될 경우 상기한 성분들의 살충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다. 식물추출물은 21 중량% 내지 42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벤젠유도체(Benzene Derivatives)는 수소가 아닌 산소, 질소, 황 등으로 이루어진 치환기가 벤젠의 수소를 대신하여 탄소와 결합한 것이다.
본 조성물에 사용되는 벤젠유도체는 예시적으로 벤질신나메이트(Benzyl cinnamate), 벤조산나트륨(Sodium benzoate), 벤조산(Benzo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등일 수 있다.
상기한 벤젠유도체는 구더기 구충제 등으로 사용되며 나프탈렌의 약 600배 이상의 살충력을 가진다. 특히 이러한 벤젠유도체는 인체에 유독성이 약해 화장품, 샴푸 등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벤젠유도체는 상기한 식물추출물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특히 살균력이 뛰어나 식물추출물과 함께 사용되어 식물추출물과 시너지를 내기 때문에 본 조성물이 우수한 살충력을 갖게 하는 동시에 사람, 동물, 어류 등의 유해성이 적으며 가격 경쟁력을 갖도록 한다.
본 조성물에서 벤젠유도체는 15 중량% 내지 35 중량%가 포함될 수 있는데, 벤젠유도체가 15 중량% 미만일 경우 본 조성물이 충분한 살충력을 갖기 어려우며, 벤젠유도체가 3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본 조성물이 포함하는 각 성분들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벤젠유도체는 보다 강력한 살충력을 가지며 본 조성물의 각 성분이 보다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20 중량% 내지 30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조성물은 물 8 중량% 내지 22 중량%가 포함될 수 있고, 에탄올 8 중량% 내지 17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물은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10 중량% 내지 20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에탄올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에탄올은 본 조성물에 10 중량% 내지 15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조성물은 유화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첨가제를 8 중량% 내지 17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유화제는 기름과 물을 서로 혼합할 때 계면 장력을 낮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능성 첨가제는 10 중량% 내지 15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조성물은 예시적으로 0.1~0.2% 용액으로 희석하여 해충 발생 초기에 경엽처리 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아래 표 1은 작물별로 응애를 포획하여 밀폐된 공간에서 0.1%로 희석된 본 조성물을 살포 후 24시간 경과 뒤 작물별 응애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112020117144576-pat00001
위 표 1을 참조하면, 본 조성물은 딸기의 응애를 98% 제거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사과, 포도, 복숭아, 감귤 각각의 응애를 87%, 92%, 78%, 88% 각각 제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조성물은 응애 살충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표 2는 고추에서 목화진딧물을 포획하여 밀폐공간에서 0.1%로 희석된 본 조성물을 살포 후 24시간 경과 뒤 죽은 진딧물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표 2]
Figure 112020117144576-pat00002
위 표 2를 참조하면, 본 조성물은 고추의 진딧물을 93% 제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조성물은 진딧물 살충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표 3은 작물에서 나방을 포획하여 밀폐공간에서 0.1%로 희석된 본 조성물을 살포 후 24시간 경과 뒤 죽은 나방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표 3]
Figure 112020117144576-pat00003
위 표 3을 참조하면, 본 조성물은 벼 흑명나방 및 배추 흰나방 각각을 83% 및 92% 각각 제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조성물은 나방류 살충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벌레와 같은 해충에는 병원균이 있을 수 있으며, 해충과 상관없이 세균이 식물에 증식하는 경우 식물의 재배에 크나큰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조성물은 해충에 증식된 병원균(세균)과, 해충과 상관없는 세균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고, 식물에 세균이 증식된 부분을 파악할 수 있는 추가 첨가제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추가 첨가제는 4-디시안메틸렌-2-메틸-6-(p-디메틸아미노스티릴)-4H-피란(DCM), 6-프로피오닐-2-(디메틸아미노)나프탈렌(PRODAN) 및 N-메틸-2-니트로아닐린(NM2NA)을 포함하는 균반응제 0.4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한 균반응제는 상기 본 조성물의 용매(예시적으로 상기 물)에 용해된 상태로 용매를 제1색상(예시적으로 청색)으로 유지시킨다. 이후에 상기 균반응제가 균, 미생물 등과 접촉할 경우, 제1색상의 용매를 약 10초 이내에 제2색상(예시적으로 무색)으로 변화시킨다.
균반응제는 상기 식물에서 균들이 있는 부분을 용매의 색상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균반응제가 0.4 중량% 미만일 경우, 균반응제가 균과 접촉 하여도 색상의 변화가 뚜렷하지 않고, 균반응제가 0.4 중량%를 초과할 경우 경제적이지 않다.
균반응제는 4-디시안메틸렌-2-메틸-6-(p-디메틸아미노스티릴)-4H-피란(DCM) 100 중량부 대비 6-프로피오닐-2-(디메틸아미노)나프탈렌(PRODAN) 50 중량부, N-메틸-2-니트로아닐린(NM2NA) 3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조성물은 용매가 소량 증발될 경우, 상기한 균반응제가 균과 접촉하여도 용매의 색상 변화 시간이 보다 오래 소요되며, 용매의 색상 변화의 차이가 크지 않고, 균반응제의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건식유지제는 균반응제의 상기한 문제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본 조성물이 식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용매가 소량 증발할 경우에도 상기한 균반응제의 감도와 색상 대비의 차이를 유지하고, 용매의 색상 변화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건식유지제가 0.1 중량% 미만일 경우, 용매가 소량 증발될 경우에 균반응제의 성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추가 첨가제에서 균반응제는 염소산 나트륨, 염소, 황산나트륨 등과 같은 불순물과 접촉할 경우, 균과 접촉하지 않아도 색상이 변화될 수 있다.
선별향상제는 상기한 상기 균반응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인데, 2,2 ', 5,5'- 테트라메틸벤지딘(Tetramethylbenzidin)은 무색의 상태에서 염소 또는 염소산 나트륨과 접촉하여 빨간색으로 변화하며, 전분과 요오드는 염소산염과 반응하여 흑색으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선별향상제는 2,2 ', 5,5'- 테트라메틸벤지딘(Tetramethylbenzidin) 100 중량부 대비 전분 및 요오드의 혼합물이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이 1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선별향상제가 염소(또는 염소산 나트륨) 및 염소산염과 동시에 반응하였을 때 염소의 검출이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혼합물이 10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선별향상제가 염소 및 염소산염과 동시에 반응하였을 때 염소산염의 검출이 어려울 수 있다.
점도가변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본 조성물의 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점도가변제는 예를 들어 본 조성물의 각 성분(상기 점도가변제를 제외한 성분)의 혼합 과정에서는 배제되어, 본 조성물의 점도를 낮게 유지함으로써 본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상기 점도가변제를 제외한 성분)들이 혼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조성물의 혼합 이후에, 점도가변제가 첨가되고 점도가변제에 전단력이 발생되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도가 향상되는데, 상기한 전단력은 분무 장치의 노즐과의 접촉 또는 식물과의 접촉 등에 의해 발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공정 상 본 조성물의 각 성분이 혼합되는 과정에서 점도가변제가 첨가될 수도 있는데, 점도가변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혼합 과정에서 초기에 본 조성물의 점도를 낮게 유지하여 혼합을 용이하게 하고 혼합 공정 이후에는 점도를 향상시키도록 해 본 조성물이 식물에 보다 쉽게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도가변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도가 증가함으로써, 본 조성물이 식물에 도포된 상태에서 쉽게 흘러내리지 않게 되고, 따라서 본 조성물의 기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조성물이 점도가변제에 의해 점도가 증가됨에 따라 식물과의 접촉력이 향상됨으로써, 본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추가 첨가제의 균반응제 또한 균과 장시간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고, 따라서 식물에서 균이 증식된 부분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식물에서 균반응제에 의해 색상이 변한 부분은 병원균이 많이 있는 곳으로 인지되고, 이후에 병원균이 많다고 파악되는 부분에 본 조성물이나 별도의 살균제를 더 살포하여 효과적으로 살충 및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고삼추출물, 할미꽃추출물, 유칼립투스추출물 및 백리향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추출물 및, 벤젠유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벤젠유도체는 벤질신나메이트(Benzyl cinnamate), 벤조산나트륨(Sodium benzoate), 벤조산(Benzo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물 8 중량% 내지 22 중량%, 에탄올 8 중량% 내지 17 중량%, 상기 식물추출물 14.5 중량% 내지 44.5 중량%, 기능성 첨가제 8 내지 17 중량% 및 상기 벤젠유도체 15 중량% 내지 29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추출물은 고삼추출물 8 중량% 내지 18 중량%, 할미꽃추출물 3 중량% 내지 12 중량%, 유칼립투스추출물 3 중량% 내지 12 중량% 및 백리향추출물 0.5 중량%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고,
    4-디시안메틸렌-2-메틸-6-(p-디메틸아미노스티릴)-4H-피란(DCM) 100 중량부, 6-프로피오닐-2-(디메틸아미노)나프탈렌(PRODAN) 50 중량부, N-메틸-2-니트로아닐린(NM2NA)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균반응제 및
    2,2 ', 5,5'- 테트라메틸벤지딘(Tetramethylbenzidin) 100 중량부, 전분 및 요오드의 혼합물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선별향상제를 포함하는 추가 첨제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45164A 2020-11-03 2020-11-03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 Active KR102227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164A KR102227942B1 (ko) 2020-11-03 2020-11-03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164A KR102227942B1 (ko) 2020-11-03 2020-11-03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942B1 true KR102227942B1 (ko) 2021-03-16

Family

ID=7522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164A Active KR102227942B1 (ko) 2020-11-03 2020-11-03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9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3870A (ja) * 2006-07-17 2009-12-10 タイラテック, インク. 昆虫防除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JP2013534522A (ja) * 2010-06-24 2013-09-05 プラント・インパクト・ピーエルシー 相乗殺虫効果を与える農薬混合物
KR20150134947A (ko) * 2014-05-23 2015-12-02 황성광 해충퇴치제 제조방법
CN108782624A (zh) * 2018-04-28 2018-11-13 芜湖扬展新材料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天然植物农药
KR20200064889A (ko) *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바이오포스 식물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3870A (ja) * 2006-07-17 2009-12-10 タイラテック, インク. 昆虫防除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JP2013534522A (ja) * 2010-06-24 2013-09-05 プラント・インパクト・ピーエルシー 相乗殺虫効果を与える農薬混合物
KR20150134947A (ko) * 2014-05-23 2015-12-02 황성광 해충퇴치제 제조방법
CN108782624A (zh) * 2018-04-28 2018-11-13 芜湖扬展新材料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天然植物农药
KR20200064889A (ko) *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바이오포스 식물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524676A (ja) 抗菌性ナノエマルション
US20110229589A1 (en) Insect and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80300225A1 (en) Pesticidal formulation containing oxymatrine or matrine
CA2662441C (en) Non-toxic insecticide containing cinnamaldehyde and horticultural oil
AU752789B2 (en) Improvements in herbicides
EP1353552A1 (en) Pesticidal compounds and compositions
WO2017027431A1 (en) Herbicidal compositions
KR20060071380A (ko)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생물 농약으로써의 천연 살충제
Kamatenesi-Mugisha et al. Oral acute toxicity study of selected botanical pesticide plants used by subsistence farmers around the Lake Victoria Basin
EP189604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brassicacea seeds meal and their use as biopesticides in plants
WO2019173474A1 (en) Insect repellent and insecticide
KR101882678B1 (ko)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KR102227942B1 (ko) 벤젠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충방제용 작물보호제
Fogel Insect mycophagy: a preliminary bibliography
KR20050115521A (ko)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생물농약으로서의 천연 살충제
WO2011151766A2 (en) Insect and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40084596A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KR101632246B1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및 그 제조방법
WO2011077588A1 (ja) 松の材線虫の駆除・防除薬剤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松の材線虫病による松枯れ防除方法
KR100644750B1 (ko) 살충, 살균 및 해충기피 작용을 갖는 천연 추출물의제조방법.
Singh et al. Biochemical pesticides
US20240415129A1 (en) Botanical based bio-insecticidal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pests and improving the plant physiological process
KR100460424B1 (ko) 원예작물 병 방제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KR100710054B1 (ko) 점박이응애용 살충 조성물
KR102542124B1 (ko)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친환경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