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973B1 - Mixing container having spuid - Google Patents
Mixing container having spui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6973B1 KR102226973B1 KR1020190053031A KR20190053031A KR102226973B1 KR 102226973 B1 KR102226973 B1 KR 102226973B1 KR 1020190053031 A KR1020190053031 A KR 1020190053031A KR 20190053031 A KR20190053031 A KR 20190053031A KR 102226973 B1 KR102226973 B1 KR 1022269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center
- protrusion
- insertion head
- center protru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86 esse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2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lipstick holders or with other toiletry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65D25/085—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the partition being in the form of a plug or the like which is dislodged by means of a plunger rod or the like pushing the plug dow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두 종류의 내용물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혼합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혼합용기는, 제1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제1 본체와, 제1 본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삽입헤드를 구비하고, 삽입헤드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향 돌출된 센터돌기를 구비하는 제2 본체와, 삽입헤드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센터돌기와 접촉해서 관통홀이 폐쇄되도록 하는 피스톤과, 제2 본체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캡을 포함하고, 피스톤이 외력에 의해서 하강함으로써 센터돌기가 피스톤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제1 내부공간 및 제2 내부공간이 연통된다. A mixing container in which two types of contents can be mixed and used is disclosed. The mixing vesse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having a first internal space, and an insertion head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insertion head has a through hole formed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downward. A second body having a protruding center protrusion, a piston that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ead to form a second internal space, and contacts the center protrusion to close the through hole, and covers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It includes a lower cap, and the piston is lower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center protrusion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piston, whereby the first inner space and the second inner space are communic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상이한 두 종류의 물질을 혼합한 후 스포이트를 이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혼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ing container that can be used by using a dropper after mixing two different kinds of substances inside the container.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을 하나의 용기에 분리해서 수납한 후 사용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내용물이 화장품인 경우 겔(gel) 형상의 베이스와 파우더를 혼합되지 않게 각각 보관한 후 사용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혼합용기가 제조 및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혼합용기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이 사용 이전에 혼합되는 경우 장시간의 유통 과정에서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그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두 종류 이상의 내용물을 혼합해서 사용함으로써 기능상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A mixing container is used that allows two different types of contents to be separated and stored in one container and then mixed when used. For example, when the contents are cosmetics, mixing containers that can be mixed and used are manufactured and sold after each storage of a gel-shaped base and powder so as not to be mixed. In such a mixing container, if two different types of contents are mixed before use, the contents may deteriorate or their performance may deteriorate during a long period of circulation, and a synergy effect in function can be expected by mixing two or more types of contents. It is mainly used when possible.
한편, 에센스 등과 같은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에는 내용물이 고가이기 때문에 정확한 양의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용기가 사용된다. 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토출 수단 중의 하나가 스포이트(spuit)이다. 스포이트는 길이가 긴 유리관의 끝 부분에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제작된 주머니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내용물을 정확하게 토출한 후 한 방울씩 토출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unctional cosmetics such as essences, since the contents are expensive, a container capable of discharging the correct amount of contents is used. One of the discharging means capable of discharging the contents quantitatively is a dropper. The dropper is formed with a pocket made of rubber or silicone at the end of a long glass tube, and has the advantage of discharging the contents drop by drop after accurately discharging the contents.
스포이트를 구비한 종래의 혼합용기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87631호 등이 있다. 상기 선행 기술문헌에 개시된 혼합용기는, 스포이트의 내부에 내용물을 충진하고 그 입구를 캡을 이용해서 폐쇄한다. 그리고 최초 사용시 스포이트를 용기 본체에서 빼낼 때 상기 캡이 분리됨으로써 스포이트 내부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As a conventional mixing container equipped with a dropper, there is a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87631 and the like. In the mixing container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the contents are filled in the inside of the dropper, and the inlet thereof is closed using a cap. In addition, when the dropper is removed from the container body during the first use, the cap is separated so that the contents of the dropper are discharged.
상기와 같은 종래 혼합용기는 캡이 결합된 스포이트를 용기 내부에 삽입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혼합용기는 스포이트에서 분리된 캡이 제거되지 않고 용기본체의 내부에 그대로 잔존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또한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향을 초래한다. The conventional mixing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ert the dropper to which the cap is attached into the container.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ixing container, the cap separated from the dropper is not removed and remains inside the container body as it is, so it is inconvenient to use and causes an adverse effect in terms of aesthetics.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작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스포이트 타입의 혼합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pper-type mixing container that is simple to manufacture and convenient to u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example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혼합용기는, 제1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제1 본체와, 제1 본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삽입헤드를 구비하고, 삽입헤드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향 돌출된 센터돌기를 구비하는 제2 본체와, 삽입헤드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센터돌기와 접촉해서 관통홀이 폐쇄되도록 하는 피스톤과, 제2 본체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캡을 포함하고, 피스톤이 외력에 의해서 하강함으로써 센터돌기가 피스톤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제1 내부공간 및 제2 내부공간이 연통된다. The mixing vesse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having a first internal space, and an insertion head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insertion head has a through hole formed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downward. A second body having a protruding center protrusion, a piston that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ead to form a second internal space, and contacts the center protrusion to close the through hole, and covers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It includes a lower cap, and the piston is lower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center protrusion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piston, whereby the first inner space and the second inner space are communicated.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스톤은 피스톤경사면과, 피스톤경사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센터삽입홈을 구비하고, 센터돌기는 센터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The mix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the piston has a piston inclined surface and a center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iston inclined surface, and the center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center insertion groove.
피스톤은 하향 돌출된 피스톤돌기를 구비하고, 하부캡은 피스톤돌기를 수용하는 캡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The piston may have a piston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and the lower cap may have a cap protrusion accommodating the piston protrusion.
피스톤은 피스톤리브를 구비하고, 피스톤리브는 삽입헤드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The piston has a piston rib, and the piston rib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ead.
삽입헤드는 헤드경사면을 구비하고, 헤드경사면은 관통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insertion head may have a head inclined surface, and the head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제1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스포이트를 추가로 구비하고, 스포이트는 노즐을 구비하며, 스포이트가 제1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노즐이 피스톤을 하향 가압해서 하강하게 할 수 있다. A dropp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is additionally provided, and the dropper is provided with a nozzle, and when the dropper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the nozzle may press the piston downward to make it descend.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한 혼합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ixing container that is convenient to use and has a simpl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혼합용기에 사용되는 스포이트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본체, 제2 본체, 피스톤 및 하부캡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혼합용기에서 스포이트가 삽입되고 내용물이 혼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스포이트가 완전히 삽입되어 내용물이 혼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ix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opper used in the mixing container illustrated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body, a second body, a piston, and a lower cap.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before the dropper is inserted and the contents are mixed in the mixing container.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ropper is completely inserted and the contents are mixed in FIG. 4.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ransformat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혼합용기(100)에 사용되는 스포이트(19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제1 본체(110), 제2 본체(130), 피스톤(160) 및 하부캡(180)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내부에 제1 내용물(102) 및 제2 내용물(104)이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충진되어 있다. 그리고 혼합용기(100)는 내용물의 토출 수단으로서 스포이트(19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스포이트(190)를 도 1에 예시된 혼합용기(100)의 상부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피스톤(160)이 스포이트(190)에 의해서 하향 가압되어 이동함으로써 제1 내용물(102) 및 제2 내용물(104)이 혼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3,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제1 본체(110), 제2 본체(130), 피스톤(160) 및 하부캡(18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내용물의 토출 수단으로서 스포이트(19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제1 본체(110)는 단면이 원형인 중공의 용기로서 그 상부에는 입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입구(114)의 둘레에는 나사산(116)이 형성되어 있는데, 나사산에는 스포이트캡(194)이 나사 결합한다. The
입구(114)에는 가이드부재(108)가 압입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08)는 가이드홀(106)을 구비하는데, 가이드홀(106)을 통해서 스포이트(190)의 노즐(198)이 제1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가이드홀(106)의 직경은 노즐(198)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노즐(198)의 외주면에 흡착된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은 가이드홀(106)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부재(108)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A
제1 본체(110)의 내부에는 제1 내부공간(120)이 형성된다. 제1 내부공간(120)에는 제1 내용물(102)이 충진된다. 제1 내부공간(120)은 제1 둘레면(118)과, 삽입헤드(132)의 헤드경사면(134)과, 삽입헤드(132)의 센터돌기(136)에 의해서 형성된다. 센터돌기(136)의 개방된 하부는 피스톤(160)과 접촉하면서 폐쇄될 수 있다. A first
제1 본체(110)의 하단부는 개방된 구조를 갖고, 이를 통해서 제2 본체(130)의 삽입헤드(132)가 제1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제1 본체(110)의 하단부에는 결합단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단부(124)는 제2 본체(130)의 둘레에 형성된 결합홈(142)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제1 본체(110)와 제2 본체(130)가 상호 결합한다. A
제2 본체(130)는 제1 본체(110)의 하단부에 삽입되는 삽입헤드(132)와,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본체(146)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 본체(130)의 내부에는 피스톤(16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단부에는 하부캡(180)이 결합된다. The
삽입헤드(132)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상면에는 헤드경사면(134)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헤드경사면(134)의 중앙에는 센터돌기(1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드경사면(134)은 센터돌기(136)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헤드경사면(134)의 상부에 충진된 제1 내용물(102)이 센터돌기(136)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The
센터돌기(136)는 헤드경사면(134)의 중앙에서 하향 돌출 형성된 중공의 원기둥에 해당한다. 센터돌기(136)의 상단 및 하단에는 모두 관통홀(138)이 형성되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1을 참고하면, 센터돌기(136)의 외경은, 센터돌기(136)가 피스톤(160)의 센터삽입홈(166)에 삽입된 경우 그 외경이 센터삽입홈(166)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센터돌기(136)의 내부에 있는 제1 내용물(102)이 제2 내부공간(172)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The
센터돌기(136)의 길이는 헤드경사면(134)과 피스톤경사면(162) 사이의 간격에 대응한다. 따라서 센터돌기(136)의 길이가 크면, 헤드경사면(134)과 피스톤경사면(162) 사이의 간격이 커서, 제2 내부공간(172)의 부피가 증가한다. 반대로, 센터돌기(136)의 길이가 작으면, 제2 내부공간(172)의 부피가 감소한다. 따라서 혼합용기(100) 내부에 충진되는 제2 내용물(104)의 양을 고려해서 센터돌기(136)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센터돌기(136)에 형성된 관통홀(138)의 직경은, 스포이트(190)의 노즐(198)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노즐(198)이 센터돌기(136)를 용이하게 통과해서 피스톤(160)을 하향 가압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through
삽입헤드(132)는 헤드둘레면(140)을 구비한다. 헤드둘레면(140)은 헤드경사면(134)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연장된 구조를 갖고, 하단부는 하부본체(146)와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헤드둘레면(140)의 외주면은 제1 본체(110)의 내주면과 접하는데, 이로 인해 제1 내용물(102)의 누출이 방지된다. The
하부본체(146)는 삽입헤드(132)에 비해서 더 큰 외경을 갖고 제1 본체(110)의 하단부와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하부본체(146)의 직경은 제1 본체(110)의 직경과 동일하기 때문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연속적인 혼합용기(100)의 외체를 형성할 수 있다. The
하부본체(146)의 하단부에는 하부캡(180)이 결합한다. The
삽입헤드(132)와 하부본체(146)의 연결 부분에는 둘 사이의 외경 차이에 의해서 결합홈(142)이 형성된다. 결합홈(142)은 일정한 깊이를 갖고 제2 본체(130)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홈이다. 그리고 결합홈(142)의 내주면에는 걸림홈(144)이 형성된다. 결합홈(142)에는 제1 본체(110)의 결합단부(124)가 삽입되고, 결합단부(124)의 둘레에 형성된 돌기(126)가 걸림홈(144)에 삽입됨으로써, 제1 본체(110)와 제2 본체(130)의 결합이 완료된다. A
피스톤(160)은 제2 본체(130)의 삽입헤드(132)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삽입헤드(132)와 함께 제2 내용물(104)이 충진되는 제2 내부공간(172)을 형성한다. 그리고 피스톤(160)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하향 이동하는데, 이로 인해 제1 내부공간(120)과 제2 내부공간(172)이 상호 연통된다. The
피스톤(160)은 원형의 피스톤경사면(162)을 구비한다. 피스톤경사면(162)의 중앙에는 센터삽입홈(166)이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에는 피스톤리브(164)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경사면(162)은 중앙의 센터삽입홈(166)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내용물이 센터삽입홈(166) 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다. The
피스톤경사면(162)은 제2 내부공간(172)의 하부 경계면 중 하나에 해당한다. 즉, 제2 내부공간(172)의 상부 경계면은 삽입헤드(132)이 헤드경사면(134)이고, 하부 경계면은 피스톤경사면(162)과 센터삽입홈(166)이며, 그 사이의 경계면은 삽입헤드(132)의 내주면에 해당한다. The piston inclined
피스톤리브(164)는 피스톤경사면(162)의 단부 둘레에서 수직으로 상향 돌출 형성된다. 피스톤리브(164)는 삽입헤드(132)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이동하는데, 이로 인해 내용물이 하부캡(180)으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The
센터삽입홈(166)은 피스톤경사면(162)의 중앙에 형성된 홈으로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센터삽입홈(166)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고 하부는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삽입홈(166)의 하면에는 피스톤돌기(168)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160)이 하강하지 않은 경우, 센터삽입홈(166)에는 제2 본체부(130)의 센터돌기(136)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센터돌기(136)의 하단부에 형성된 관통홀(138)이 폐쇄된다. The
센터삽입홈(166)의 내경은 센터돌기(136)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피스톤(160)의 하강 이전에 센터돌기(136)를 통한 제1 내용물(102)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피스톤돌기(168)는 센터삽입홈(166)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고,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피스톤돌기(168)는 하부캡(180)의 중앙에 형성된 캡돌기(186)에 삽입되어 있다(도 1 참조). 그리고 피스톤(160)이 하강함으로써 피스톤돌기(168)는 캡돌기(186)에 완전히 삽입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피스톤돌기(168)는 캡돌기(186)와 함께 피스톤(160)이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게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The
피스톤돌기(168)의 하단부에는 테이퍼(170)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170)는 피스톤돌기(168)가 캡돌기(186)의 내부에 대한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A
하부캡(180)은 제2 본체(130)의 하부에 결합되어서 제2 본체(130)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한다. 원형의 하부캡(180) 가장자리에는 캡리브(18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캡돌기(186)가 형성되어 있다. The
캡리브(182)는 하부캡(180)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본체(130)의 하부본체(146)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캡리브(182)가 하부본체(146)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하부캡(180)의 이탈이 방지되고 내용물이 혼합용기(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캡리브(182)는 외향 돌출된 걸림돌기(184)를 구비하는데, 걸림돌기(184)는 하부본체(146)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도면부호 없음)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하부캡(180)이 제2 본체(130)의 하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하부캡(180)의 중앙에서 상향 돌출된 캡돌기(186)는 중공의 원기둥 구조를 갖고 그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캡돌기(186)의 길이는 피스톤돌기(168)와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돌기(186)의 내경은 피스톤돌기(168)의 외경에 비해서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캡돌기(186)의 내부에 피스톤돌기(168)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내용물을 토출하는 수단으로서 스포이트(190)를 구비할 수 있다. 스포이트(190)는 제1 본체(110)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는 스포이트캡(194)과, 스포이트캡(194)에서 하향 연장되는 노즐(198)을 구비한다. The mixing
스포이트캡(194)은, 제1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된 캡(112)이 제거된 후 제1 본체(110)에 캡(112)을 대신해서 결합할 수 있다. 스포이트캡(194)의 상부에는 가압부(19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포이트캡(194)의 중앙에는 노즐(198)이 삽입되어 있다. The
노즐(198)은 길이가 긴 중공의 관으로서 그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단부는 가압부(192)와 연결되어 있다. 노즐(198)의 길이는, 스포이트(190)가 제1 본체(110)에 결합할 때 피스톤(160)을 가압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포이트(190)를 제1 본체(11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노즐(198)이 피스톤(160)을 가압해서 하향 이동시킬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토출 수단으로서 스포이트(190)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내용물의 토출 수단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63619호에 의해 개시된 스프레이 펌프 등과 같은 다양한 토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Although the mixing
도 4는 혼합용기(100)에서 스포이트(190)가 삽입되고 내용물(102, 104)이 혼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스포이트(190)가 완전히 삽입되어 내용물이 혼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before the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도 1에 예시된 혼합용기(100)에서 캡(112)을 제거한 후 제1 본체(110)의 입구(114)를 통해서 스포이트(190)의 노즐(198)을 혼합용기(100)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피스톤(160)은 제2 본체(130)의 센터돌기(136)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내부공간(172)은 제1 내부공간(120)과 연통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스톤(160)이 센터돌기(136)에서 분리되기 이전에는 제1 내용물(102)이 제2 내용물(104)과 혼합되지 않는다. 4 to 5, after removing the
스포이트(190)의 스포이트캡(194)을 제1 본체(110)에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노즐(198)이 하향 이동하면, 노즐(198)의 하단부는 제2 본체부(130)의 센터돌기(136)를 관통한 후 피스톤(160)의 센터삽입홈(166)에 삽입되어 피스톤(160)을 하향 가압한다. 이로 인해, 피스톤(160)은 하향 이동하면서 피스톤돌기(168)가 캡돌기(186)의 내부에 더욱 깊게 삽입된다. 피스톤(160)의 하향 이동에 의해서, 센터돌기(136)와 센터삽입홈(166)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관통홀(138)이 개방된다. 그리고 관통홀(138)의 개방에 의해서 제1 내부공간(120)과 제2 내부공간(172)이 상호 연통되면서 제1 내용물(102)이 제2 내부공간(172)으로 유입되어 제2 내용물(104)과 상호 혼합된다. When the
제1 본체(110)에 완전히 나사 결합한 스포이트(190)의 노즐(198) 단부는 하향 이동된 피스톤(160)의 센터삽입홈(166)의 바닥면과 접하게 된다. 또한, 피스톤돌기(168)도 하부캡(180)의 캡돌기(186)에 완전히 삽입되어서 피스톤(160)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도 5와 같이, 피스톤(150)이 완전히 이동한 경우에도 피스톤리브(164)는 삽입헤드(132)의 내주면과 접하는데, 이로 인해 제1 내용물(102)과 제2 내용물(104)의 혼합물이 피스톤(160)의 하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end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스포이트(190)의 노즐(198)을 이용해서 피스톤(160)을 하향 가압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피스톤(160)을 하향 가압하는 수단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피스톤(160)을 하향 가압하기 위해서 스프레이 펌프 모듈의 노즐을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로 구비된 스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mixing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토출수단인 스포이트(190)를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피스톤(160)의 하향 이동에 의해서 제1 내용물(102) 및 제2 내용물(104)이 혼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100)는 제1 본체(110), 제2 본체(130), 피스톤(160) 및 하부캡(18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갖는다.In the mixing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can use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100: 혼합용기
102: 제1 내용물
104: 제2 내용물
110: 제1 본체
130: 제2 본체
160: 피스톤
180: 하부캡
190: 스포이트100: mixing container
102: first contents
104: second contents
110: first body
130: second body
160: piston
180: lower cap
190: dropper
Claims (6)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삽입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헤드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향 돌출된 센터돌기를 구비하는 제2 본체;
상기 삽입헤드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센터돌기와 접촉해서 상기 관통홀이 폐쇄되도록 하는 피스톤; 및
상기 제2 본체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이 외력에 의해서 하강함으로써 상기 센터돌기가 상기 피스톤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 내부공간 및 제2 내부공간이 연통되며,
상기 피스톤은 피스톤경사면과, 상기 피스톤경사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센터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돌기는 상기 센터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A first body having a first internal space;
A second body having an insertion head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the insertion hea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center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 piston mov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ead to form a second internal space, and contacting the center protrusion to close the through hole; And
And a lower cap covering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As the piston descends due to an external force, the center protrusion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piston, thereby communicat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spaces,
The piston has a piston inclined surface and a center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iston inclined surface,
The mix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enter insertion groove.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삽입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헤드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향 돌출된 센터돌기를 구비하는 제2 본체;
상기 삽입헤드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센터돌기와 접촉해서 상기 관통홀이 폐쇄되도록 하는 피스톤; 및
상기 제2 본체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이 외력에 의해서 하강함으로써 상기 센터돌기가 상기 피스톤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 내부공간 및 제2 내부공간이 연통되며,
상기 피스톤은 하향 돌출된 피스톤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캡은 상기 피스톤돌기를 수용하는 캡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A first body having a first internal space;
A second body having an insertion head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the insertion hea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center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 piston mov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ead to form a second internal space, and contacting the center protrusion to close the through hole; And
And a lower cap covering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As the piston descends due to an external force, the center protrusion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piston, thereby communicat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spaces,
The piston has a piston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The mix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cap has a cap protrusion accommodating the piston protrusion.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삽입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헤드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향 돌출된 센터돌기를 구비하는 제2 본체;
상기 삽입헤드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센터돌기와 접촉해서 상기 관통홀이 폐쇄되도록 하는 피스톤; 및
상기 제2 본체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이 외력에 의해서 하강함으로써 상기 센터돌기가 상기 피스톤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 내부공간 및 제2 내부공간이 연통되며,
상기 피스톤은 피스톤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리브는 상기 삽입헤드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A first body having a first internal space;
A second body having an insertion head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the insertion hea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center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 piston mov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ead to form a second internal space, and contacting the center protrusion to close the through hole; And
And a lower cap covering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As the piston descends due to an external force, the center protrusion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piston, thereby communicat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spaces,
The piston is provided with a piston rib, the piston rib is a mix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ead.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삽입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헤드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향 돌출된 센터돌기를 구비하는 제2 본체;
상기 삽입헤드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센터돌기와 접촉해서 상기 관통홀이 폐쇄되도록 하는 피스톤; 및
상기 제2 본체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이 외력에 의해서 하강함으로써 상기 센터돌기가 상기 피스톤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 내부공간 및 제2 내부공간이 연통되며,
상기 삽입헤드는 헤드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경사면은 상기 관통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A first body having a first internal space;
A second body having an insertion head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the insertion hea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center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 piston mov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ead to form a second internal space, and contacting the center protrusion to close the through hole; And
And a lower cap covering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As the piston descends due to an external force, the center protrusion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piston, thereby communicat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spaces,
Wherein the insertion head has a head inclined surface, and the head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스포이트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스포이트는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스포이트가 상기 제1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노즐이 상기 피스톤을 하향 가압해서 하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urther provided with a dropp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The dropper has a nozzle,
The mix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ropper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the nozzle presses the piston downward and descends.
.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3031A KR102226973B1 (en) | 2019-05-07 | 2019-05-07 | Mixing container having spuid |
PCT/KR2019/017440 WO2020226249A1 (en) | 2019-05-07 | 2019-12-11 | Mixing container having syringe |
US17/442,627 US20220169432A1 (en) | 2019-05-07 | 2019-12-11 | Mixing container having syringe |
CN201922397536.2U CN212100205U (en) | 2019-05-07 | 2019-12-27 | Mixing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3031A KR102226973B1 (en) | 2019-05-07 | 2019-05-07 | Mixing container having spui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9228A KR20200129228A (en) | 2020-11-18 |
KR102226973B1 true KR102226973B1 (en) | 2021-03-15 |
Family
ID=7305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3031A Active KR102226973B1 (en) | 2019-05-07 | 2019-05-07 | Mixing container having spuid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169432A1 (en) |
KR (1) | KR102226973B1 (en) |
CN (1) | CN212100205U (en) |
WO (1) | WO2020226249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13684A (en) | 2021-07-16 | 2023-01-27 |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 The spoid type dual mixing container |
KR102607739B1 (en) * | 2022-06-14 | 2023-11-29 | 주식회사 이노코스텍 | Cosmetic container with heterogeneous content mixing struc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90502B (en) * | 2021-01-27 | 2024-10-22 | 上海英宇包装科技有限公司 | Double-material mixed cosmetic dropper bott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1518B1 (en) | 2013-09-04 | 2014-08-21 |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 cosmetic container having two contents at least |
KR200487631Y1 (en) | 2014-11-05 | 2018-10-16 | (주)아모레퍼시픽 | Spuit typed mixing container for tow liquid |
KR101912587B1 (en) * | 2017-09-14 | 2018-10-30 | 펌텍코리아(주) | Spuit type container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211378A1 (en) * | 2010-11-17 | 2012-08-23 | La Prairie, Inc. | Two compartment container |
KR101370284B1 (en) * | 2012-04-06 | 2014-03-05 | (주)연우 | Spuit type Cosmetic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
KR101383919B1 (en) * | 2012-09-25 | 2014-04-11 | 정만택 | Cosmetics container of different kind of fluid |
KR101714743B1 (en) * | 2015-02-11 | 2017-03-22 |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 Cosmetic container having two contents at least |
KR20170078392A (en) * | 2015-12-29 | 2017-07-07 |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 Cosmetic container |
CN108697221B (en) * | 2016-01-25 | 2021-05-14 | 欧莱雅 | Filling assembly for manufacturing a dual content packaging and dispensing device |
KR101817065B1 (en) * | 2016-06-01 | 2018-01-11 | 펌텍코리아 (주) | Two kinds of contents mixing vessel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sealing force |
-
2019
- 2019-05-07 KR KR1020190053031A patent/KR102226973B1/en active Active
- 2019-12-11 WO PCT/KR2019/017440 patent/WO202022624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12-11 US US17/442,627 patent/US2022016943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9-12-27 CN CN201922397536.2U patent/CN212100205U/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1518B1 (en) | 2013-09-04 | 2014-08-21 |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 cosmetic container having two contents at least |
KR200487631Y1 (en) | 2014-11-05 | 2018-10-16 | (주)아모레퍼시픽 | Spuit typed mixing container for tow liquid |
KR101912587B1 (en) * | 2017-09-14 | 2018-10-30 | 펌텍코리아(주) | Spuit type container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13684A (en) | 2021-07-16 | 2023-01-27 |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 The spoid type dual mixing container |
KR102607739B1 (en) * | 2022-06-14 | 2023-11-29 | 주식회사 이노코스텍 | Cosmetic container with heterogeneous content mixing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9228A (en) | 2020-11-18 |
CN212100205U (en) | 2020-12-08 |
US20220169432A1 (en) | 2022-06-02 |
WO2020226249A1 (en) | 2020-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26973B1 (en) | Mixing container having spuid | |
JP3405952B2 (en) | Multi-component preservation and mixing function and metering device | |
US12053074B2 (en) | Double container | |
US20060140708A1 (en) | Liquid cosmetic case | |
KR200453458Y1 (en) | Dispenser with dual pump structure | |
JP2014510681A (en) | Device for capping the neck of a container | |
KR101469765B1 (en) | Manicure bottle | |
KR101371592B1 (en) | A mascara cosmetic case | |
US7229229B2 (en) | Liquid dispenser | |
KR102151580B1 (en) | Container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contents | |
KR102320900B1 (en) | Dial type container | |
JP4411632B2 (en) | Dropper nozzle for eye drop container | |
KR102226977B1 (en) | Airtight cosmetic container | |
KR102686441B1 (en) | Cosmetic container | |
KR200477737Y1 (en) |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nozzle for contents leak preventing | |
JP4043682B2 (en) | Tube container | |
JP6154174B2 (en) | Application container | |
KR20230028645A (en) | Cap for vessel of cosmetics | |
JP5026030B2 (en) | Cosmetic applicator | |
KR101289680B1 (en) | The cap that can easily mix the other things | |
KR200450863Y1 (en) | Dispenser with dual pump structure | |
KR20210000217U (en) | Ampoule container | |
KR102195465B1 (en) | Dispenser for dispensing different kinds of contents | |
CN210184839U (en) | Novel cosmetic container | |
JP7229639B2 (en) | discharge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