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723B1 - 작용 및 반작용 원리에 기반한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교량 구조물 - Google Patents
작용 및 반작용 원리에 기반한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교량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6723B1 KR102226723B1 KR1020200098759A KR20200098759A KR102226723B1 KR 102226723 B1 KR102226723 B1 KR 102226723B1 KR 1020200098759 A KR1020200098759 A KR 1020200098759A KR 20200098759 A KR20200098759 A KR 20200098759A KR 102226723 B1 KR102226723 B1 KR 1022267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compression force
- vertical support
- bridge structure
- force introdu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10—Cantilevered er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의 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서 교대에 거더를 설치하기 전의 시공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C-C선 및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서 거더와 교대 각각에 압축력과 압축반력을 인가하기 위한 압축력 도입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압축력 도입장치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서 압축력 도입장치를 통해 압축력을 도입시키고 이에 따른 압축반력이 생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서 압축력 도입장치를 제거하고 슬래드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서 교대에 토사 뒷채움 실시 및 상부슬래브 건조수축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따른 시공 과정에서 작용 하중과 작용 하중에 의한 발생 모멘트 및 시공별(단계별) 모멘트의 합력(누적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S200: 압축력 도입장치 설치 단계
S300: 압축력 도입 단계
S400: 거더-교대 고정 단계
S500: 슬래브-콘크리트 시공 단계
S600: 토사 뒷채움 단계
10: 교대
20: 수직받침강재
21: 개구부
22: 제2 결합 구멍
30: 압축력 도입 장치
31: 고정 부재(볼트-너트 부재)
32: 반력 프레임(반력판)
33: 유압잭
34: 가압 고정 볼트
100: 거더(강재 거더)
110: 몸체부
111: 상부 플랜지
112: 하부 플랜지
120: T자형 삽입 프레임
121: 수직부
122: 제1 결합 구멍
130: 연장 삽입편
140: 구획 보강 격벽
Claims (8)
- 교대 사이에 거더를 시공하기 위한 교량 구조물 시공 방법으로서,
거더의 양단부를 교대 각각의 상단부에 설치하되, 상단부가 교대의 상단에서 노출되게 매립되어 구비되는 수직받침강재에 연결 설치하는 거더 설치 단계;
상기 거더 설치 단계 이후, 교대에 설치된 거더의 양단부 각각의 하단부에 압축력 도입장치를 설치하는 압축력 도입장치 설치 단계;
상기 압축력 도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거더의 양단부 각각의 하단부에 압축력을 인가하는 압축력 도입 단계;
상기 압축력 도입 단계에서 일정 크기의 압축력이 작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받침강재와 거더의 양단부 간을 고정시킨 다음, 상기 압축력 도입장치를 제거하는 거더-교대 고정 단계;
상기 각 단계를 통해 설치된 거더에 슬래브 및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슬래브-콘크리트 시공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경화 후, 상기 교대의 외측벽에 토사 뒤채움을 실시하는 토사 뒷채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거더 설치 단계에서 사용되는 거더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갖는 H빔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상부 측에 형성되되 길이방향에서 바라볼 때 "T"자형으로 형성되는 T자형 삽입 프레임과, 상기 몸체부의 양단의 하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 삽입편,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T자형 삽입 프레임의 경계부에서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는 구획 보강 격벽을 갖고 이루어지고,
상기 거더 설치 단계에서 사용되는 수직받침강재는, 교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 측에서 바라볼 때 단면 "ㄷ"자 형태의 강재로 형성되고, 개구부가 서로 반대 측을 향하여 마주하는 면 사이에 소정 크기의 간격을 갖는 한 쌍의 수직받침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력 도입장치 설치 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압축력 도입장치는, 상기 수직받침강재의 하단부를 관통하고 일측이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연장단에 고정되는 반력 프레임과, 상기 반력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유압잭, 및 일단부는 상기 유압잭의 유압 로드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거더의 하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가압 고정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축력 도입 단계는, 상기 유압잭의 유압 로드를 단계적으로 신장시켜서 가압 고정 볼트의 타단부를 전방으로 단계적으로 이동시켜서 거더의 하단부에 압축력을 전달하고, 거더의 하단부에 압축력이 작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와 가압 고정 볼트를 상기 수직받침강재에 고정하여 압축력이 작용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거더-교대 고정 단계는 상기 가압 고정 볼트를 상기 수직받침강재에 고정된 상태로 남겨둔채 상기 가압 고정 볼트를 제외한 나머지 압축력 도입장치를 분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 설치 단계는,
상기 거더의 양단부 각각이 상측부에서 수직받침강재에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 설치 단계는 상기 거더의 T자형 삽입 프레임의 수직부와 연장 삽입편이 상기 한 쌍의 수직받침강재의 간격으로 삽입되고, 상기 수직부와 상기 한 쌍의 수직받침강재 각각에 형성되는 결합 구멍을 통해 볼트-너트 결합시키되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한 쌍의 수직받침강재 각각의 결합 구멍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받침강재 간의 간격은 상기 T자형 삽입 프레임의 수직부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콘크리트 시공 단계에서 상기 T자형 삽입 프레임의 수직부와 수직받침강재 간의 결합부는 이동 및 회전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 청구항 제1항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교량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8759A KR102226723B1 (ko) | 2020-08-06 | 2020-08-06 | 작용 및 반작용 원리에 기반한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교량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8759A KR102226723B1 (ko) | 2020-08-06 | 2020-08-06 | 작용 및 반작용 원리에 기반한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교량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6723B1 true KR102226723B1 (ko) | 2021-03-10 |
Family
ID=7514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8759A Active KR102226723B1 (ko) | 2020-08-06 | 2020-08-06 | 작용 및 반작용 원리에 기반한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교량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6723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3110B1 (ko) | 2008-05-23 | 2009-04-10 |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 바닥판 타설시 우각부가 힌지구조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프리캐스트 유니트 거더와 바닥판 합성부 철근으로 강결된우각부를 형성하는 라멘교량공법 |
KR100946716B1 (ko) | 2007-08-30 | 2010-03-12 | (주)한맥기술 | 모멘트 재분배를 통한 장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
KR20100065866A (ko) * | 2008-12-09 | 2010-06-17 | (주)삼현피에프 | 동바리 설치가 필요없는 합성 라멘교의 시공 방법 |
KR101135634B1 (ko) | 2011-05-09 | 2012-04-17 | 김윤환 | 지점부 힌지연결 및 우각부 강결방식을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
KR101415981B1 (ko) | 2013-09-25 | 2014-07-09 | 주식회사 젬콘 | 부재별 연결구조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993298B1 (ko) * | 2018-08-14 | 2019-06-26 | 주식회사 플랜이엔씨 | 수평 및 회전변위 허용을 이용한 강합성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
-
2020
- 2020-08-06 KR KR1020200098759A patent/KR10222672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6716B1 (ko) | 2007-08-30 | 2010-03-12 | (주)한맥기술 | 모멘트 재분배를 통한 장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
KR100893110B1 (ko) | 2008-05-23 | 2009-04-10 |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 바닥판 타설시 우각부가 힌지구조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프리캐스트 유니트 거더와 바닥판 합성부 철근으로 강결된우각부를 형성하는 라멘교량공법 |
KR20100065866A (ko) * | 2008-12-09 | 2010-06-17 | (주)삼현피에프 | 동바리 설치가 필요없는 합성 라멘교의 시공 방법 |
KR101135634B1 (ko) | 2011-05-09 | 2012-04-17 | 김윤환 | 지점부 힌지연결 및 우각부 강결방식을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
KR101415981B1 (ko) | 2013-09-25 | 2014-07-09 | 주식회사 젬콘 | 부재별 연결구조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993298B1 (ko) * | 2018-08-14 | 2019-06-26 | 주식회사 플랜이엔씨 | 수평 및 회전변위 허용을 이용한 강합성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1066B1 (ko) | 프리스트레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pps)개복식 콘크리트 아치교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0983861B1 (ko) |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및이의 시공방법 | |
KR100971200B1 (ko) | 연결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 |
KR20100073363A (ko) | 장경간화가 가능한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 그 제작 방법 | |
KR100592196B1 (ko) | 다수개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량을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중지점 지지브라켓 및 이의설치방법 | |
KR102226723B1 (ko) | 작용 및 반작용 원리에 기반한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교량 구조물 | |
CN110847227B (zh) | 一种路堤支挡结构 | |
KR20090043625A (ko) | 변단면 철골보를 이용한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 방법 | |
KR100998414B1 (ko) | 교대역할 강관말뚝과 프리캐스트거더 일체화교량 시공방법 | |
JP2002364004A (ja) | 水中基礎の設置方法 | |
KR20060026569A (ko) | 지지선과 선행하중 버팀보를 이용한 가설 토류벽 지지공법 | |
KR200263281Y1 (ko) | 단면확대를 통한 구조물의 내진보강장치 | |
JP6536895B2 (ja) | 補強盛土一体橋梁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壁構造および施工方法 | |
KR20030006681A (ko) | 단면확대를 통한 구조물의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 |
JP2792554B2 (ja) | 防波堤用ケーソンの据付方法 | |
KR20040054639A (ko) | 조립식 가로보에 정착 및 지지된 긴장재에 의한 ps 콘크리트 합성거더 교량의 외부긴장 공법 | |
JP5853415B2 (ja) | 水上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構築方法、橋梁の補強構造 | |
JP2011247045A (ja) | 橋台の補強方法 | |
KR100902640B1 (ko) | 강널말뚝을 이용한 수로암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40632B1 (ko) |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 |
KR102575432B1 (ko) | 부분 강합성 박스거더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2641740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245125Y1 (ko) | 토목용 교각구조 | |
KR101979774B1 (ko) | 프리캐스트 강합성 아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200333780Y1 (ko) | 다수개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량을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중지점 지지브라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8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