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6292B1 -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292B1
KR102226292B1 KR1020200074341A KR20200074341A KR102226292B1 KR 102226292 B1 KR102226292 B1 KR 102226292B1 KR 1020200074341 A KR1020200074341 A KR 1020200074341A KR 20200074341 A KR20200074341 A KR 20200074341A KR 102226292 B1 KR102226292 B1 KR 102226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i
servers
hospital
server
consorti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00074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292B1/ko
Priority to EP21826175.8A priority patent/EP4170674A4/en
Priority to US17/925,710 priority patent/US11854692B2/en
Priority to PCT/KR2021/001956 priority patent/WO2021256657A1/ko
Priority to CN202180033827.0A priority patent/CN11551657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2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7Integrating service provisioning from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06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distributed, e.g. networked systems, clusters, multiprocess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1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a virtual computing platform, e.g. logically partitione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2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is a software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7Remote procedure calls [RPC]; Web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29Service quality level-based billing, e.g. dependent on measured service level customer is charged more or 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2
    • H04L67/2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단말이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개인 식별 정보를 입력하면, 클라우드서버가 다수개의 병원서버에서 동시에 환자 번호를 조회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다수개의 병원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병원서버에서 상기 환자 번호의 등록여부가 확인되면 사용자단말에 상기 환자 번호의 등록여부를 전달하는 단계와, 사용자단말이 환자번호로 로그인을 진행하고, 진료서비스를 호출하면 클라우드서버가 병원정보를 식별하여 병원서버에 진료서비스 연동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환자 데이터를 병합하여, 클라우드 서버가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서비스에 대응하여 다수의 컨소시엄 서버에 동시에 서비스 연동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방법{Cloud-based API management method to simultaneously link multiple hospital servers and consortium servers}
본 발명은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여 클라우드서버에서 통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염병의 확산과 의료기관 내 감염 방지를 위해서 의료기관 비대면 서비스가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병원 내 대면 접촉 및 키오스크 업체 등 병원과 연관된 컨소시엄 업체 및 서비스 제공업자들이 모바일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요청되고 있으나, 다수개의 병원들과 컨소시엄사의 데이터베이스가 상이하여 연동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병원시스템으로 인하여 서비스 개발을 하려면 병원별로 소스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병원은 서로 다른 기존 레거시 병원 시스템인 EMR, LIS, OCS, PACS, MIS, HIS, ERP 등 병원 시스템 관리에 대한 데이터 접근 및 데이터를 서비스 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추가로 여러 형태의 미들웨어가 있어 이에 따른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인터페이스 방법은 API, HTTPS, 웹서비스, 소켓통신, HTTP(SOAP), 프로시저 호출 등 다양한 N개의 구조가 있는 데이터 연동 시스템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989474호(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가 있으며, 선행기술은 출원인의 등록특허로서 병원서버 내에 배치된 API빌더부를 통해 고유의 API에 따라 처방정보를 변환하고 이를 기초로 전자처방을 전송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에서 병원서버내에 배치되는 API빌더부는 EMR DB로부터 환자정보와 처방정보를 추출하여 API를 이용하여 처방정보와 환자정보를 변환한다. 즉, API빌더부에서 데이터소스를 생성하며, SQL쿼리 작성가이드를 통한 간편 작성과 API빌더를 통한 표준 데이터로의 변환 후 반복 검증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종 DBMS간의 데이터와 서로 다른 개발언어로 개발된 데이터들을 표준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서로 다른 각각의 병원서버나 의료기관서버내에 API빌더가 설치되어 통합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API를 관리하는 데 있어 수동으로 관리되어, 데이터의 정합성이 체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클라우드서버가 사전정의된 API를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에 제공하여 환자가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에 직접 접속할 필요없이 클라우드서버를 통해 진료서비스 및 실손보험청구 등의 서비스를 간편하게 제공하기 위한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 방법은, 사용자단말이 전용애플리케이션에서 환자번호조회, 진료예약, 약조제, 결제 및 실손보험청구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단말이 환자고유정보 및 서비스선택결과를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환자고유정보에 기초하여 다수개의 병원서버에 동시에 환자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다수개의 병원서버로부터 환자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환자데이터를 병합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이 선택한 서비스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컨소시엄서버에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다수개의 컨소시엄서버가 API를 활용하여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Private API가 병원의 오픈API가 되어 후방생태계의 기준이 되는 효과가 있다. 서로 다른 각각의 병원시스템에서도 하나의 원소스로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다수개의 컨소시엄서버에 동시다발적으로 연동이 가능하여 환자데이터에 대한 통합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의 환자데이터를 추출하여 병합함으로써 환자에게 통합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병원서버나 컨소시엄서버는 사용자단말이 직접 접속하지 않아 보안성이 강화된다. 수만개의 병원 및 컨소시엄사에 적용이 가능하여 확장성이 높다.
또한, 병원 및 컨소시엄의 다양한 데이터 서식과 상관없이 하나의 환자용앱으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병원 및 컨소시엄은 생성된 데이터구조를 동일한 서비스를 요구하는 다른 앱에서도 API엔진을 통해 별도의 개발작업이 없이 오픈 API 기능으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서버와 병원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서버의 API생성부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서버의 API엔진부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API 관리시스템의 통신프로토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호출의 아키텍처 변화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용어를 정의하면, API스펙이란 API를 쉽게 설명하고 표현하기 위한 정의와 규칙들을 말한다. API를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보여주고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코드로 자동생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병원서버 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API 관리시스템(10)은 클라우드서버(100)와 다수개의 병원서버(200), 다수개의 컨소시엄서버(300), 사용자단말(400)로 구성된다. 클라우드서버(100)는 다수개의 병원서버(100) 및 다수개의 컨소시엄서버(300)에 제공하는 API를 생성하고, 제공된 API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수개의 컨소시엄서버(300)는 약국서버(310), PHR서버(320), 보험사서버(330), 은행사서버(340), 카드사서버(350), 블록체인서버(360)로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서버(100)가 사전정의된 API를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에 제공하여 사용자단말(400)이 진료서비스 및 실손보험청구 등의 서비스를 요청시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에 직접 접속할 필요없이 클라우드서버를 통해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서버와 병원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우드서버(100)는 API생성부(110), API관리부(120), API호출부(125), 데이터검증부(130), 데이터병합부(140), 저작권관리부(150), 과금부(160), 모니터링부(170), 데이터베이스(180)로 구성된다.
API생성부(110)는 병원서버들 및 컨소시엄서버의 통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전정의된 API를 생성할 수 있다.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표준화하기 위한 API일 수 있다. API생성부(110)는 데이터소스를 정의하고, SQL 및 프로시져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API생성부(110)는 미들웨어 접속정보 및 호출 경로를 등록하며 웹서비스 접속정보와 URL을 등록할 수 있다.
API관리부(12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서비스호출을 수신하면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에 동시다발적으로 환자번호조회, 진료예약, 결제 및 실손보험청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해당 서비스와 매칭되는 API를 호출할 수 있다. API관리부(120)는 API제약조건 관리 기능을 통해 입력 및 출력 오류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API관리부(120)는 각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의 API 서비스의 상태, 버전정보, 메모리사용량, 디스크사용량, 서버의 CPU 사용량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API관리부(120)는 민감정보에 대해 암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API관리부(120)는 API의 도메인 관리를 할 수 있다. API관리부(120)는 메타데이터에서 관리하는 API스펙이 변경되는 경우, 자동 배포를 위한 메타데이터가 추가될 수 있다. 즉, 표준화된 매핑정의서가 작성되고, 처리방식에 따라 표준화 작성된 프로토타입 탬플릿에 매핑 샘플 예시가 이용되어 표준화된 소스 적재프로그램이 생성되도록 프로그램화된 프로세서 및 추출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등록할 수 있다.
API호출부(125)는 API 호출을 자동으로 하도록 구현되며,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 서버들과 병렬적으로 동시에 호출이 가능하도록 동작한다.
데이터검증부(130)는 생성된 API의 오류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오류데이터가 있으면 데이터를 수정한 후 데이터 및 API를 저장 및 배포할 수 있다.
데이터병합부(140)는 다수개의 병원서버로부터 환자데이터를 수신하여 병합할 수 있다. 환자가 여러 곳의 병원을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병원서버로부터 환자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병합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저작권관리부(150)는 각각의 병원서버별 식별할 수 있는 분류체계를 통해 저작권 관리를 할 수 있다. 저작권관리부(150)는 프로그램 소스 및 버전 관리가 가능하고, 기능별 또는 아키텍처별 관리번호 분류체계를 두어 기능별 인터페이스 가이드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과금부(160)는 병원서버의 사전정의된 API를 확인한 후 컨소시엄서버에서 API를 활용하는 경우 과금을 할 수 있다. 과금부(160)는 컨소시엄서버의 API사용량 측정 및 그룹별로 사용 현황/통계를 반영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70)는 다수개의 병원서버와 컨소시엄서버와의 연동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80)는 API도구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전정의된 API스펙을 메타데이터로 등록하여 API를 병원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엑셀, confluence에서 관리하던 API스펙을 메타데이터로 등록하여 각각의 병원서버에 적합한 API스펙을 선택하고, 각각의 병원서버의 API엔진에 자동으로 배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API메타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100)에서 관리함으로써 규격화된 DATA 형태로 클라우드서버와 병원서버가 방화벽을 통해 연동하여 환자용 앱서비스를 빠르게 구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용 앱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환자용 컨텐츠 메뉴를 정의하고, 이에 맞는 데이터구조를 모든 병원에 표준화로 적용하기 위하여 컨텐츠 메뉴 화면별 데이터구조를 오픈API 형태로 정의할 수 있다. 각각의 병원은 여기에 맞는 데이터를 SQL, JSON, XML, 데이터 전문 형태로 추출하면 API가 규격화된 데이터 형태로 클라우드서버와 연동하여 환자용 앱 서비스를 빠르게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모든 병원을 동일한 하나의 환자용 앱으로 모바일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병원은 한 번 만들어진 데이터구조를 동일한 서비스를 요구하는 다른 앱에서도 API를 통하여 별도의 개발 작업 없이 오픈 API기능으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API별 샘플화면 URL링크가 제공되어, 병원담당자가 보다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서버(100)는 개발자 및 테스터를 지원하기 위한 가상의 데이터 관리가 제공되고, 실제 서비스 지원을 위한 운영자 및 운영테스터를 지원하는 실제 데이터 확인할 수 있다. 다수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1개의 비즈니스 로직이 구현하는 단계에서, 개발/테스트/검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앱 어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배포 단계와 새로운 서비스 개발 후 구동을 제공하는 전체 연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서버(100)는다수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1개의 비즈니스 로직이 연동되는 단계에서, 병원의 보안 및 의료법에 기준한 내부의 보안 정책을 지키며 전체 연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서버(100)는다수개의 병원의 인터페이스를 진행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연동에 대한 연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본 API 서버 내부 시스템은 전용VPN으로 구성할 수 있다. 클라우드서버(100)는 병원서버의 표준화된 API를 확인한 후 컨소시엄 그룹이 해당 내용을 보고 오픈 API형태로 인터페이스를 가이드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병원서버(210)는 EMR DB(211), 컨소시엄인터페이스(213), API엔진부(215)로 구성된다. EMR DB(211)는 환자정보, 진단/처방정보, 입원정보, 원무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컨소시엄 인터페이스(213)는 환자대기시스템, 지능형순번기시스템, 주차관리시스템, 결제관리시스템, 실손청구시스템, 처방전달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EMR DB(211)와 컨소시엄 인터페이스(213)의 구성은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PI엔진부(215)는 EMR DB(211)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API엔진부(215)는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수신된 병원서버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수신하여 로딩하고, 클라우드서버로부터 API메타정보를 로딩하여 API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API엔진부(225)는 병원서버내에 설치되어 모바일서비스와 병원서버를 연결하는 미들웨어로서, 다양한 환경의 병원 레거시와 접속하여 API를 지원하는 개발도구이다. 즉, 병원서버내에 설치되여 환자용 앱 서비스 뿐 아니라 병원내 다양한 시스템과 연동을 위한 Restful API 개발 및 게이트웨이 서버로 활용할 수 있다. API엔진부(215)는 EMR 데이터추출부(216), API수신부(217), API메타정보 로딩부(218), API서비스부(219)로 구성된다. EMR 데이터추출부(216)은 EMR DB(211)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API수신부(217)은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생성된 병원서버별 API를 수신할 수 있다. API메타데이터 로딩부(218)는 클라우드서버로부터 API메타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API서비스부(219)는 API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API서비스를 구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서버의 API생성부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우드서버는 표준API를 정의한다(S301). 이후에, 클라우드서버는 병원서버 또는 컨소시엄서버별 API를 생성한다(S203). 생성된 API를 테스트하고(S305), 오류가 없으면 데이터 및 API를 저장 및 배포하고, 오류가 있으면 데이터를 수정하여 데이터 및 API를 저장 및 배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서버의 API엔진부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병원서버의 API엔진부는 API엔진을 시작한다(S401). 이후에 API수행부가 API메타정보를 클라우드서버로부터 로딩한다(S403). 로딩한 API 메타정보에 기초하여 API서비스를 구동한다(S40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병원서버 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 관리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단말(400)이 전용애플리케이션에서 환자번호조회, 진료예약, 약조제, 결제 및 실손보험청구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한다(S601). 사용자단말이 환자고유정보 및 서비스선택결과를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한다(S603). 클라우드서버가 환자고유정보에 기초하여 다수개의 병원서버에 동시에 환자데이터를 요청한다(S605). 클라우드서버가 다수개의 병원서버로부터 환자데이터를 수신한다(S607). 클라우드서버가 환자데이터를 병합한다(S609).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이 선택한 서비스에 대응하여 다수의 컨소시엄서버에 서비스를 동시에 요청한다(S611). 컨소시엄서버가 API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S613). 클라우드서버가 컨소시엄서버의 API사용량을 측정하여 과금한다(S615).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API 관리시스템의 통신프로토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사용자단말(400)과 인터넷통신망, 클라우드서버(100)와 인터넷통신망,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와 인터넷통신망은 HTTPS 보안프로토콜을 사용하며, 클라우드서버내의 로드발란서와 방화벽간에는 HTTP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 관리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400)이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S701), 개인 식별 정보를 입력하면(S703), 클라우드서버(100)가 다수개의 병원서버(200)에서 동시에 환자 번호를 조회한다(S705).
다수개의 병원서버(200)가 환자번호를 조회하고(S707), 클라우드서버(100)가 다수개의 병원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의 병원서버에서 상기 환자 번호의 등록여부가 확인되면 클라우드서버(100)에 환자 번호의 등록확인을 전달하고(S709), 사용자단말(400)에 상기 환자 번호의 등록여부를 전달한다(S711).
사용자단말(400)이 환자번호로 로그인을 진행하고(S713), 클라우드서버(100)가 병원정보를 식별한다(S717). 클라우드서버(100)가 진료서비스를 호출하면 병원서버(200)에 진료서비스 연동을 요청한다(S719). 병원서버(200)가 환자용앱 진료를 시작하고(S721), 컨소시엄서버(300)에 컨소시엄 서비스 연동을 요청한다(S72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호출의 아키텍처 변화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400)이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클라우드서버(100)의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여 데이터를 요청하고, API Loader를 통한 표준API를 호출하여, 클라우드서버의 API메타관리로 API매핑을 조회한다. API Field Validator를 통해 API전송 데이터 검사를 실시하여,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 서버와 연동하여 매핑 API를 호출한 후, API Executor를 통해 표준 API로 필드변환을 실행한 후 비즈니스 로직과 변환 데이터를 리턴을 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API를 통해 주고 받는 데이터의 정합성을 체크한다.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API스펙관리시스템 100; 클라우드서버
200; 병원서버 300; 컨소시엄서버
400; 사용자단말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우드서버, 다수개의 병원서버, 다수개의 컨소시엄서버, 사용자단말로 구성되되,
    상기 클라우드서버는,
    병원서버들 및 컨소시엄서버의 통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전정의된 API를 생성하는 API생성부;
    사용자단말로부터 서비스호출을 수신하면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에 동시다발적으로 환자번호조회, 진료예약, 결제 및 실손보험청구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해당 서비스와 매칭되는 API를 호출하는API관리부;
    생성된 API의 오류테스트를 수행하는 데이터검증부;
    다수개의 병원서버로부터 환자데이터를 수신하여 병합하는 데이터병합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병원서버의 사전정의된 API를 확인한 후 컨소시엄서버에서 API를 활용하는 경우 컨소시엄서버의 API사용량 측정 및 그룹별로 사용 현황/통계를 반영하여 과금을 하는 과금부를 더 포함하는 다수개의 병원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서버는 EMR DB와 API엔진부로 구성되되,
    상기 API엔진부는 EMR DB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수신된 병원서버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수신하여 로딩하고, 클라우드서버로부터 API메타정보를 로딩하여 API서비스를 수행하는 다수개의 병원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 스펙관리 시스템.







KR1020200074341A 2020-06-18 2020-06-18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방법 Active KR102226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341A KR102226292B1 (ko) 2020-06-18 2020-06-18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방법
EP21826175.8A EP4170674A4 (en) 2020-06-18 2021-02-16 CLOUD-BASED API SPEK MANAGEMENT METHOD FOR CONNECTING A VARIETY OF HOSPITAL AND CONSORTIUM SERVERS SIMULTANEOUSLY
US17/925,710 US11854692B2 (en) 2020-06-18 2021-02-16 Cloud-based API spec management method for simultaneously interconnecting pluralities of hospital servers and consortium servers
PCT/KR2021/001956 WO2021256657A1 (ko) 2020-06-18 2021-02-16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방법
CN202180033827.0A CN115516574B (zh) 2020-06-18 2021-02-16 用于以同时并发的方式联动多台医院服务器和联盟服务器的基于云的api规格管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341A KR102226292B1 (ko) 2020-06-18 2020-06-18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292B1 true KR102226292B1 (ko) 2021-03-10

Family

ID=7514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341A Active KR102226292B1 (ko) 2020-06-18 2020-06-18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54692B2 (ko)
EP (1) EP4170674A4 (ko)
KR (1) KR102226292B1 (ko)
CN (1) CN115516574B (ko)
WO (1) WO202125665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078B1 (ko) * 2021-08-13 2022-03-07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이종 시스템간 데이터 유통을 위한 표준api 규격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WO2023128272A1 (ko) * 2021-12-31 2023-07-06 동은정보기술 주식회사 보안을 강화한 웹소켓 기반의 실시간 비대면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9657A (ko) * 2022-07-14 2024-01-23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병원진료예약과 동시에 신청이 가능한 실손의료보험 자동청구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6361A1 (en) * 2022-07-26 2024-02-01 Hokmabadi Denta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eledentist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3560A (ko) * 2011-02-15 2012-08-23 김민준 의료정보 중계 방법
KR20190059578A (ko) * 2017-11-23 2019-05-31 (주)메디큐브 무선보안을 적용한 스마트헬스케어 시스템
KR102110388B1 (ko) * 2020-01-13 2020-05-13 주식회사 브이티더블유 지역적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4123B1 (en) * 2000-05-09 2005-0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mapping standard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APIs) to user interface APIs
JP2004334541A (ja) * 2003-05-08 2004-11-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標準api使用方法の検査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と、標準api使用方法検査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と、アプリケーション検査システム及びその検査方法
KR101561242B1 (ko) 2013-12-23 2015-10-19 (주)솔트웍스 병원의료시스템의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병원의료시스템의 통합 시스템 활용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JP7069719B2 (ja) * 2015-03-30 2022-05-18 ゾール メディ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機器の管理における臨床データの受け渡し及びデータ共有のためのシステム
KR101769480B1 (ko) * 2015-06-08 2017-08-18 (주)유메디 병원 진료 예약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102658817B1 (ko) * 2015-10-29 2024-04-19 라이 킹 티 디지털 건강 관리 및 원격 환자 모니터링 지원을 위해 설계된 모바일 플랫폼용 시스템 및 방법
US20180181716A1 (en) * 2016-12-27 2018-06-28 General Electric Company Role-based navigation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US10740215B2 (en) * 2017-04-26 2020-08-11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 API validator tool
CN108111334B (zh) * 2017-12-04 2021-11-12 叶轻舟 一种网络应用节点的集成系统和方法
US10460235B1 (en) * 2018-07-06 2019-10-29 Capital One Services, Llc Data model generation us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KR101989474B1 (ko) * 2018-11-23 2019-06-14 (주)레몬헬스케어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11170892B1 (en) * 2018-12-06 2021-11-09 VEEV,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sis of requests for radiological imaging examinations
KR102097622B1 (ko) 2019-05-17 2020-04-06 권성석 개인건강기록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N110322940B (zh) * 2019-07-15 2023-06-27 山东浪潮智慧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数据共享的访问授权方法及系统
CN111276236A (zh) * 2020-02-04 2020-06-12 广州市行心信息科技有限公司 用于医疗信息化行业的万能接口服务器
CN112261022A (zh) * 2020-10-15 2021-01-2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api网关的安全认证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3560A (ko) * 2011-02-15 2012-08-23 김민준 의료정보 중계 방법
KR20190059578A (ko) * 2017-11-23 2019-05-31 (주)메디큐브 무선보안을 적용한 스마트헬스케어 시스템
KR102110388B1 (ko) * 2020-01-13 2020-05-13 주식회사 브이티더블유 지역적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078B1 (ko) * 2021-08-13 2022-03-07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이종 시스템간 데이터 유통을 위한 표준api 규격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WO2023017953A1 (ko) * 2021-08-13 2023-02-16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이종 시스템간 데이터 유통을 위한 표준api 규격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US12062438B1 (en) 2021-08-13 2024-08-13 Lemonhealthcare Ltd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standard API specification for data distribution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WO2023128272A1 (ko) * 2021-12-31 2023-07-06 동은정보기술 주식회사 보안을 강화한 웹소켓 기반의 실시간 비대면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3332A (ko) * 2021-12-31 2023-07-07 동은정보기술주식회사 보안을 강화한 웹소켓 기반의 실시간 비대면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707752B1 (ko) 2021-12-31 2024-09-23 동은정보기술주식회사 보안을 강화한 웹소켓 기반의 실시간 비대면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9657A (ko) * 2022-07-14 2024-01-23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병원진료예약과 동시에 신청이 가능한 실손의료보험 자동청구방법 및 시스템
KR102732607B1 (ko) 2022-07-14 2024-11-25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병원진료예약과 동시에 신청이 가능한 실손의료보험 자동청구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70674A4 (en) 2024-01-31
CN115516574A (zh) 2022-12-23
US11854692B2 (en) 2023-12-26
EP4170674A1 (en) 2023-04-26
CN115516574B (zh) 2023-08-01
US20230197256A1 (en) 2023-06-22
WO2021256657A1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292B1 (ko) 다수개의 병원서버 및 컨소시엄서버를 동시다발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스펙 관리방법
Ong et al. Dynamic-ETL: a hybrid approach for health data extraction, transformation and loading
US7617500B2 (en) Generic framework for integrating components with different interfaces in an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environment
CN113110963B (zh) 业务处理方法、业务处理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92707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rules processing
JP5377494B2 (ja) ヘルスケアセマンティック相互運用プラットフォーム
CN114981775B (zh) 用于api综合管理的基于云的api元数据管理方法及系统
CN100559366C (zh) 用于设计、开发和管理一个或多个分布式计算系统的方法和系统
US20170192803A1 (en) Dynamic Determination of Local and Remote API Calls
US8938711B2 (en) Healthcare service integration software develop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TWI649762B (zh) 用於雲端臨床資料庫管理的方法及系統
CN114879939A (zh) 生成微服务的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001223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wo-way transmission of medical data
CN113051181B (zh) 确定增量测试覆盖信息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7976159A (zh) 一种并行融合的drg分析方法及相应系统
US20090210748A1 (en) Methods and systems to test airline information systems
WO20190434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UTOMATED INTERFACE TRANSMISSION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IN A BUSINESS ECOSYSTEM
CN113381866A (zh) 基于网关的服务调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9367644B2 (en) Object tree walking
US10453019B1 (en) Business activity resource modeling system and method
US20220301671A1 (en) Cognitive engine compila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based on patient condition
Salehi et al. A uml-based domain specific modeling language for service availability management: Design and experience
KR101014679B1 (ko) 시나리오를 이용한 프로그램 소스코드 테스트 시스템
JP5122043B2 (ja) 機能提供サイトを有する診療支援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2300479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Configuration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