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4322B1 - 남성 환자용 소변기 - Google Patents

남성 환자용 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322B1
KR102224322B1 KR1020200118289A KR20200118289A KR102224322B1 KR 102224322 B1 KR102224322 B1 KR 102224322B1 KR 1020200118289 A KR1020200118289 A KR 1020200118289A KR 20200118289 A KR20200118289 A KR 20200118289A KR 102224322 B1 KR102224322 B1 KR 102224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tain
urine
penis
diameter
toilet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주
김정순
Original Assignee
이봉주
김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주, 김정순 filed Critical 이봉주
Priority to KR1020200118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3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other discharge from mal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8Means for securing receptacles or bags to the body otherwise than by adhesives, e.g. belts, strap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남성 환자용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빈 구형의 형상이며, 구형의 내부는 집뇨부를 형성하고, 상기 집뇨부의 일측면으로는 일정 직경과 일정 길이로서 외부로 개방되도록 하여 연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집뇨부는 일정 직경과 일정 높이로서 하향 개방되도록 배뇨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뇨부에는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일정 높이로서 하향 형성되도록 니플을 형성하며, 상기 배뇨부에는 상부로 일정 내경이 개방되도록 에어 벤트를 형성하는 변기 프레임; 상기 변기 프레임의 상기 연결부에 외주연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외측 주연단부를 내부로 일정 직경과 길이로서 연장되도록 하면서 내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의 주면은 복수 개로 분활되도록 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음경의 사이즈에 따라 신축성을 갖도록 하면서 선단은 일정 길이가 보다 직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음경의 귀두 경계부에 맞춤 밀착되는 커버부로서 이루어지는 이중관 형상의 홀더; 상기 홀더의 상기 커버부에서 귀두 경계부의 후방측 외주면으로는 상기 커버부를 조여주도록 감겨지게 하여 음경의 이탈이 방지되게 고정하는 고정 밴드; 상기 변기 프레임의 상기 니플에 일단이 연결되는 튜브의 타단이 연결되고, 내부에는 일정 용량의 소변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바닥면은 일정 면적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가 연결되는 단부와 대응되는 단부에는 내부에 채워지는 소변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드레인 캡으로 막혀지도록 하는 소변 회수 용기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남성 환자용 소변기{Free body urinal for male}
본 발명은 남성 환자용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물감이나 통증에 따른 불편함이 없이 장시간 동안의 착용 시에도 통기성이 좋아 요로감염을 방지함으로써 어떠한 자세에서도 자연스런 배뇨와 함께 위생적인 유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남성 환자용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인 환자나 외상 환자, 휠체어 환자, 수술 환자, 요실금 환자들은 스스로가 소변을 해결할 수가 없다.
특히, 병원에서 중증환자로 분류되는 환자들은 스스로 아무것도 할 수 없기 때문에 타인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나마 손이라도 사용이 가능한 환자는 중증환자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거동이 불가능하면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다.
이러한 환자들에게 있어 대소변처리는 먹는 것 만큼이나 환자를 돌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기저귀이다.
기저귀는 오랜 시간 착용하고 있으면 발진 등이 발생되는 폐해와 함께 교체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없어 요독이 발생되어 환자를 더 힘겹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기저귀는 일회성이기 때문에 하루에도 몇 번씩 이루어지는 소변 처리를 위하여 하루에도 여러 개의 기저귀를 사용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폐단이 있다.
이에 최근 병원 등에서는 별도의 소변기를 사용하도록 하여 위생적인 소변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소변 처리를 위한 가장 범용하는 소변기로는 등록특허 제0940031호(환자용 소변기)가 있기는 하나 이는 단순히 소변의 유입 시 소음방지와 내부에 유입된 소변의 냄새 역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일 뿐 이는 환자가 소변 배출 의사를 알려주거나 스스로 소변 처리를 하고자 할 때에만 사용이 가능하므로 의식이 없는 환자나 자고 있는 상태에는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소변기 중 등록실용신안 제0461172호(남자 환자의 소변을 받아 내는 장치)에서는 내복 팬티에 뚫린 구멍을 통해 음경 삽입체와 소변을 받아내는 용기가 상호 결합되게 하면서 소변을 받아내는 용기는 용기의 덮개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팬티를 입은 상태에서 음경 삽입체를 통해 음경이 삽입되게 하여 소변이 배출되면 소변을 받아내는 용기에 수집되어 일측의 소변 배출 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고, 외부에서는 소변 수거통에 의해서 수집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는 배뇨 시 소변에 오염된 음경 삽입체 및 소변을 받아내는 용기와 용기의 덮개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그때마다 팬티를 벗거나 팬티로부터 이들 구성을 분리시켜야만 하는 불편함과 함께 유지 관리의 곤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특허 제0940031호(2010.01.26.) (문헌 2) 등록실용신안 제461172호(2012.06.19.)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요도를 감싸는 관형 커버를 분할되게 형성함으로써 음경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신축적인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고정 밴드를 이용하여 음경의 이탈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쉽고 안전한 착용과 함께 세척과 소독이 용이하도록 하는 남성 환자용 소변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떠한 자세에서도 자연스런 배뇨와 안정적인 소변 배출 및 보다 위생적인 유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남성 환자용 소변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남성 환자용 소변기는, 내부가 빈 구형의 형상이며, 구형의 내부는 집뇨부를 형성하고, 상기 집뇨부의 일측면으로는 일정 직경과 일정 길이로서 외부로 개방되도록 하여 연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집뇨부는 일정 직경과 일정 높이로서 하향 개방되도록 배뇨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뇨부에는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일정 높이로서 하향 형성되도록 니플을 형성하며, 상기 배뇨부에는 상부로 일정 내경이 개방되도록 에어 벤트를 형성하는 변기 프레임; 상기 변기 프레임의 상기 연결부에 외주연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외측 주연단부를 내부로 일정 직경과 길이로서 연장되도록 하면서 내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의 주면은 복수 개로 분활되도록 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음경의 사이즈에 따라 신축성을 갖도록 하면서 선단은 일정 길이가 보다 직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음경의 귀두 경계부에 맞춤 밀착되는 커버부로서 이루어지는 이중관 형상의 홀더; 상기 홀더의 상기 커버부에서 귀두 경계부의 후방측 외주면으로는 상기 커버부를 조여주도록 감겨지게 하여 음경의 이탈이 방지되게 고정하는 고정 밴드; 상기 변기 프레임의 상기 니플에 일단이 연결되는 튜브의 타단이 연결되고, 내부에는 일정 용량의 소변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바닥면은 일정 면적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가 연결되는 단부와 대응되는 단부에는 내부에 채워지는 소변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드레인 캡으로 막혀지도록 하는 소변 회수 용기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변기 프레임의 상기 연결부 외주면에는 일정 폭과 깊이로 체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고정부 단부에는 상기 체결홈에 맞춤 삽입되도록 체결돌기가 내측으로 형성되게 한다.
상기 변기 프레임의 에어 벤트는 일정 내경으로 형성되는 벤트홀을 갖는 적어도 상기 변기 프레임의 내측 또는 내측과 외측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하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변기 프레임의 상기 연결부에는 내주면의 일정 폭이 반경 중심 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소변 역류 방지턱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변기 프레임의 배뇨부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일정 폭이 돌출되게 하여 소변 회수 봉투의 상단부를 직접 연결하여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밴드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한다.
고정 밴드는 신축성을 갖는 판면의 일측으로 원추형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 풀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돌기구멍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남성 환자용 소변기는 고정 밴드를 이용하여 음경에서 빠지지 않도록 홀더가 고정되게 하고, 홀더는 변기 프레임의 일단부에서 외주면으로 일정 압력을 가해 상호 맞춤 결합되도록 하는 착용에 의해 별도의 고정 수단없이도 음경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집뇨부에서 배뇨부로 소변이 안정적으로 유동되면서 어떠한 위치에서도 안전하게 소변 회수 용기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홀더가 주면을 일정 갯수로 등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음경의 사이즈에 따라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 환자용 소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분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남성 환자용 소변기의 변기 프레임을 예시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 환자용 소변기의 홀더를 예시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남성 환자용 프리 소변기의 고정 밴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남성 환자용 프리 소변기에서 홀더에 음경을 삽입시킨 상태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 환자용 프리 소변기에서 홀더에 음경을 삽입시킨 상태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 환자용 프리 소변기의 사용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 환자용 소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남성 환자용 소변기는 크게 변기 프레임 (10)과 홀더(20)와 고정 밴드(30)와 튜브(40)와 소변 회수 용기(5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변기 프레임(10)은 도 2에서와 같이 내부가 빈 구형의 형상이며, 이렇게 빈 내부는 음경으로부터 분출되는 소변이 모여질 수 있도록 하는 집뇨부(11)를 이룬다.
변기 프레임(10)에서 구형의 집뇨부(11) 일측으로는 일정 직경과 길이로서 외부로 개방되도록 하여 연결부(12)를 형성하고, 이런 집뇨부(11)에는 일정 직경과 높이로서 하향 개방되도록 하여 배뇨부(13)를 형성하며, 배뇨부(13)의 하부로는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일정 높이로서 하향 연장되도록 하여 니플(14)을 형성한다.
또한, 변기 프레임(10)에서 배뇨부(13)와 대응되는 상부에는 일정 내경으로 주면이 하향 개방되도록 하여 에어 벤트(15)가 형성되도록 하며, 이렇게 변기 프레임(10)에 형성되는 에어 벤트(15)는 일정 내경으로 형성되는 벤트홀(150)을 형성하면서 변기 프레임(10)의 내측 또는 내측과 외측으로 일정 길이 즉 높이가 돌출되도록 하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변기 프레임(10)의 연결부(12)에는 외주면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서 체결홈(120)이 형성되도록 하며, 체결홈(120)은 연결부(12)의 외주면에 트렌치형 또는 노치형의 홈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변기 프레임(10)의 연결부(12)에는 내주면의 일정 폭이 반경 중심 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하여 소변 역류 방지턱(16)이 형성되도록 하여 집뇨부(11)에 모이는 소변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변기 프레임(10)의 배뇨부(13)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일정 폭이 돌출되게 하여 밴드 걸림턱(17)이 형성되도록 하여 직접적으로 소변 회수 봉투의 상단부가 배뇨부(1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여 벨크로 밴드나 고무 밴드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소변 회수 봉투의 상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변기 프레임(10)에는 연결부(12)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연결부(12)의 외주면으로는 도 3에서와 같은 홀더(20)가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홀더(20)는 변기 프레임(10)의 연결부(12) 외주면에 외주연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21)에 일정 길이의 주면이 복수 개로 분할되도록 하여 신축성을 갖도록 하는 일정 직경의 커버부(22)가 내부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는 이중관 형상의 구성이다.
즉, 홀더(20)의 고정부(21)는 변기 프레임(10)의 연결부(12)에 형성되는 체결홈(120)에 맞춤 결합되도록 외주연 단부에 체결돌기(210)가 형성되도록 하며, 고정부(21)의 외측단부는 내부로 휘어져 보다 작은 내경과 길이로서 일체로 연장되게 하여 커버부(22)를 형성한다.
커버부(22)는 고정부(21)로부터 연장되는 관형상의 주면을 집뇨부(11)측으로 형성되는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가 일정 폭으로 복수 개로서 절개되도록 하여 커버부(22)의 내부로 삽입되는 음경의 사이즈에 따라서 신축성을 갖도록 한다.
또한, 커버부(22)는 선단으로부터 일정 길이의 외주면을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축소시킨 형상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직경이 축소된 부위가 음경의 귀두 경계부에서 음경에 보다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커버부(22)의 외주면은 일정 길이에서부터 선단부측으로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여 음경의 삽입 시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음경의 삽입을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음경과의 밀착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가 있다.
한편, 커버부(22)는 선단이 집뇨부(11)측으로 외경이 확장되는 나팔형상으로 형성되게 하여 귀두의 후방측 표면에 커버부(22)의 선단이 밀착되게 함으로써 더욱 음경과의 밀착력이 증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홀더(20)의 커버부(22) 외주면으로는 고정 밴드(30)를 이용하여 커버부(22)를 보다 조여지도록 하되 조임정도는 음경에 전혀 통증을 주지 않는 정도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즉, 고정 밴드(30)는 신축성을 갖는 판면의 일측으로 원추형의 걸림돌기(31)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타측으로는 걸림돌기(31)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돌기구멍(3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 밴드(30)는 홀더(20)의 커버부(22)에서 외주면으로 감겨지게 하여 어느 하나의 걸림돌기(31)를 하나의 돌기구멍(32)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렇게 고정 밴드(30)에 의해 커버부(22)를 조여주게 되면 커버부(22)에 삽입된 음경을 더욱 단단하게 고정시켜 홀더(20)를 음경으로부터 이탈방지되도록 한다.
변기 프레임(10)의 하단부로 형성되는 니플(14)에는 튜브(40)의 일단이 맞춤 결합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튜브(40)의 타단에는 소변 회수 용기(50)가 연결되도록 한다.
튜브(40)는 휨 변형이 용이하고 꺽여지더라도 복원력이 좋은 재질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소변 회수 용기(50)는 내부로 일정 용량의 소변이 수용될 수 있는 소변 수용공간(52)을 형성하면서 상단부 일측에는 변기 프레임(10)의 배뇨부(13)를 통해 배출되는 소변이 유입되도록 튜브(40)의 타단이 연결되는 튜브 연결부(51)를 형성하고, 그와 대응되는 상단부 타측에는 내부로 채워지는 소변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53)를 형성하면서 배출구(53)는 드레인 캡(54)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막혀지도록 한다.
소변 회수 용기(50)는 최소한 일회 이상의 소변량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서 소변 수용공간(52)이 형성되도록 하며, 바닥면은 어디에서나 안정된 착지가 가능하도록 충분한 사이즈의 평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소변 회수 용기(50)는 좀더 친숙하도록 다양한 동물이나 가축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예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오리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는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소변 회수 용기(50)는 튜브(40)의 형성 길이에 따라 환자로부터 근접하여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좀더 먼 거리에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남성 환자용 소변기를 사용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 환자용 소변기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정단면도와 평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경(60)에 홀더(20)를 연결하고, 홀더(20)는 변기 프레임(10)에 연결되도록 한다.
즉, 음경(60)이 홀더(20)의 커버부(22)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고정부(22)의 선단에는 음경(60)의 귀두(61)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귀두(61)의 일부와 함께 음경(60)이 커버되도록 하고, 이러한 커버부(22)의 외주면으로는 고정 밴드(30)를 감아 음경(60)을 일정 압력으로 조여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 밴드(30)를 이용하여 홀더(20)를 음경(60)에 고정시키게 되더라도 홀더(20)에 삽입 고정된 음경(60)에는 최소한의 조임만 제공할 뿐 통증이나 압력도 가해지지 않으므로 착용 시 불편함이나 거부감을 해소할 수가 있다.
홀더(20)의 커버부(22)가 음경(60)에 고정되면 홀더(20)의 고정부(21) 외주면에 형성한 체결돌기(210)가 변기 프레임(10)의 연결부(12)에 형성한 체결홀(120)이 맞춤 결합되도록 한다.
특히, 변기 프레임(10)의 연결부(12)에는 내주면으로 반경 중심을 향해 일정 높이로 소변 역류 방지턱(16)이 형성되도록 하여 소변 배뇨량이 지나치게 많거나 환자가 옆으로 누워 소변을 배출하게 되었을 때 집뇨부(11)에서 후방으로 역류하여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음경(60)을 고정한 홀더(20)와 변기 프레임(10)을 간단히 상호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변기 프레임(10)의 하단부측 니플(14)에는 일정 길이로 구비되는 튜브(40)의 일단이 연결되게 하고, 튜브(40)의 타단은 도 7에서와 같이 환자(70)와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는 별도의 소변 회수 용기(50)에 연결되도록 한다.
다만, 변기 프레임(10)의 배뇨부(13)에는 외주면 하단부의 외측으로 일정 폭이 돌출되게 하여 밴드 걸림턱(17)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비닐과 같이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소변 회수 봉투(18)의 상단부가 직접 배뇨부(13)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수단(19)에 의해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음경(60)의 귀두(61)가 커버부(22)의 선단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비록 고정 밴드(30)에 의한 고정력이 강하지 않더라도 커버부(22)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견고한 고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착용 상태에서 환자(70)가 옆으로 눕거나 하는 다양한 자세에서도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요도를 통한 배뇨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환자(70)의 요도를 통해 방출되는 소변은 귀두(61) 전방의 구형으로 형성되는 변기 프레임(10)의 집뇨부(11)에 분사되면서 주면을 타고 바로 배뇨부(13)를 통해 니플(14)에 연결된 튜브(40)를 통해서 배출된다.
즉, 변기 프레임(10)에서 음경(60)으로부터 분출되는 소변은 집뇨부(11)의 귀두(61)에 마주보는 구형의 주면에 부딪치면서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곧바로 배뇨부(13)를 통해 흘러내리도록 한다.
튜브(40)를 통해 변기 프레임(10)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은 소변 회수 용기(50)에 회수되며, 소변 회수 용기(50)에서는 적어도 1회분 이상의 소변이 모여지도록 한다.
일단 소변이 모아지면 소변 회수 용기(50)의 튜브 연결부(51)로부터 튜브(40)의 단부를 분리한 후 배출구(53)을 막은 드레인 캡(54)을 분리시켜 화장실 등에서 소변이 배출되도록 한다.
내부에 채워진 소변을 배출한 소변 회수 용기(50)는 물 세척에 의해 세척되게 한다.
한편, 소변 회수 용기(50)에는 회수되는 배뇨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 눈금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측정 눈금을 통해 환자(70)의 배뇨량을 체크하여 환자(70)의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소변 회수 용기(50)를 오리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항상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어 안전한 유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홀더(20)에서 주면을 일정 간격으로 절개되도록 한 커버부(22)의 내측으로 소량의 소독젤을 도포한 후 음경(60)이 삽입되도록 하면 이물감은 제거되도록 하면서 더욱 쉽게 음경(60)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착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게 되는 동시에 착용자 또한 눕는 자세가 바뀌어도 배뇨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음경(60)을 감싸는 이물감이 거의 없으므로 안심하고 자연스런 배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방광협착이나 결석생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한다.
또한, 배뇨 시 에어벤트(15)를 통해 배뇨 소리가 발생되므로 환자(70)를 돌보는 사람이 쉽게 환자의 배뇨를 인지할 수가 있고, 세척만 하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으로 대폭적인 비용 절감이 기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변기 프레임
11 : 집뇨부 12 : 연결부
13 : 배뇨부 14 : 니플
15 : 에어 벤트 16 : 소변 역류 방지턱
17 : 밴드 걸림턱 18 : 소변 회수 봉투
120 : 체결홈 150 : 벤트홀
20 : 홀더
21 : 고정부 22 : 커버부
210 : 체결돌기
30 : 고정 밴드
31 : 걸림돌기 32 : 돌기구멍
40 : 튜브
50 : 소변 회수 용기
51 : 튜브 연결부 52 : 소변 수용 공간
53 : 배출구 54 : 드레인 캡
60 : 음경
61 : 귀두
70 : 환자

Claims (6)

  1. 내부가 빈 구형의 형상이며, 구형의 내부는 집뇨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집뇨부(11)의 일측면으로는 일정 직경과 일정 길이로서 외부로 개방되도록 하여 연결부(12)를 형성하며, 상기 집뇨부(11)는 일정 직경과 일정 높이로서 하향 개방되도록 배뇨부(13)를 형성하고, 상기 배뇨부(13)에는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일정 높이로서 하향 형성되도록 니플(14)을 형성하며, 상기 배뇨부(13)에는 상부로 일정 내경이 개방되도록 에어 벤트(15)를 형성하는 변기 프레임(10);
    상기 변기 프레임(10)의 연결부(12)에 외주연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부(21)와 상기 고정부(21)의 외측 주연단부를 내부로 일정 직경과 길이로서 연장되도록 하면서 내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의 주면은 복수 개로 분활되도록 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음경의 사이즈에 따라 신축성을 갖도록 하면서 선단은 일정 길이가 보다 직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음경의 귀두 경계부에 맞춤 밀착되는 커버부(22)로서 이루어지는 이중관 형상의 홀더(20);
    상기 홀더(20)의 상기 커버부(22)에서 귀두 경계부의 후방측 외주면으로는 상기 커버부(22)를 조여주도록 감겨지게 하여 음경의 이탈이 방지되게 고정하는 고정 밴드(30);
    상기 변기 프레임(10)의 상기 니플(14)에 일단이 연결되는 튜브(40)의 타단이 연결되고, 내부에는 일정 용량의 소변을 수용할 수 있는 소변 수용공간(52)을 형성하며, 바닥면은 일정 면적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40)가 연결되는 단부와 대응되는 단부에는 내부에 채워지는 소변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53)를 드레인 캡(54)으로 막혀지도록 하는 소변 회수 용기(50);를 포함하되,
    상기 변기 프레임(10)의 연결부(12)에는 내주면의 일정 폭이 반경 중심 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소변 역류 방지턱(1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환자용 소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기 프레임(10)의 상기 연결부(12) 외주면에는 일정 폭과 깊이로 체결홈(120)을 형성하고, 상기 홀더(20)의 고정부(21) 단부에는 상기 체결홈(120)에 맞춤 삽입되도록 체결돌기(210)가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환자용 소변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기 프레임(10)의 에어 벤트(15)는 일정 내경으로 형성되는 벤트홀(150)을 갖는 적어도 상기 변기 프레임(10)의 내측 또는 내측과 외측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하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환자용 소변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기 프레임(10)의 배뇨부(13)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일정 폭이 돌출되게 하여 소변 회수 봉투(18)의 상단부를 직접 연결하여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밴드 걸림턱(1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환자용 소변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밴드(30)는 신축성을 갖는 판면의 일측으로 원추형의 걸림돌기(31)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걸림돌기(31)가 끼워 풀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돌기구멍(32)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환자용 소변기.
  6. 삭제
KR1020200118289A 2020-09-15 2020-09-15 남성 환자용 소변기 Active KR102224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289A KR102224322B1 (ko) 2020-09-15 2020-09-15 남성 환자용 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289A KR102224322B1 (ko) 2020-09-15 2020-09-15 남성 환자용 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322B1 true KR102224322B1 (ko) 2021-03-08

Family

ID=7518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289A Active KR102224322B1 (ko) 2020-09-15 2020-09-15 남성 환자용 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3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475B1 (ko) 2021-12-07 2022-07-28 (주)메디런스 여성 환자용 신체 소변기
KR102422476B1 (ko) 2021-12-07 2022-08-12 (주) 메디런스 남성 환자용 신체 소변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937A (ko) * 1995-10-19 1999-08-16 수잔 케이. 클리머 콘돔형 도뇨관 및 지지 장치
KR200191065Y1 (ko) * 2000-02-22 2000-08-16 한영엽 휴대가 용이한 환자용 소변 배출장치
US20040204695A1 (en) * 2003-04-10 2004-10-14 Medco Llc Urine collection bag support
KR100940031B1 (ko) 2007-11-13 2010-02-04 주식회사 아시아엠이 환자용 소변기
KR20110011977U (ko) * 2010-06-22 2011-12-28 정경규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
KR200461172Y1 (ko) 2010-11-15 2012-06-26 손종은 남자 환자의 소변을 받아 내는 장치
KR101250591B1 (ko) * 2012-08-23 2013-04-03 은성욱 기저귀형 배뇨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937A (ko) * 1995-10-19 1999-08-16 수잔 케이. 클리머 콘돔형 도뇨관 및 지지 장치
KR200191065Y1 (ko) * 2000-02-22 2000-08-16 한영엽 휴대가 용이한 환자용 소변 배출장치
US20040204695A1 (en) * 2003-04-10 2004-10-14 Medco Llc Urine collection bag support
KR100940031B1 (ko) 2007-11-13 2010-02-04 주식회사 아시아엠이 환자용 소변기
KR20110011977U (ko) * 2010-06-22 2011-12-28 정경규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
KR200461172Y1 (ko) 2010-11-15 2012-06-26 손종은 남자 환자의 소변을 받아 내는 장치
KR101250591B1 (ko) * 2012-08-23 2013-04-03 은성욱 기저귀형 배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475B1 (ko) 2021-12-07 2022-07-28 (주)메디런스 여성 환자용 신체 소변기
KR102422476B1 (ko) 2021-12-07 2022-08-12 (주) 메디런스 남성 환자용 신체 소변기
WO2023106450A1 (ko) * 2021-12-07 2023-06-15 주식회사 메디런스 남성 환자용 신체 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1484A (en) Women's urine conducting apparatus
US4886508A (en) Ladies external catheter assembly
US20080183157A1 (en) D. A. W. (Non-Invasive) Catheters
JP2022518872A (ja) 男性用外部カテーテル
US6679867B2 (en) Male incontinence device
JP2001276108A (ja) 女性用排尿レシーバー
JP2001276107A (ja) 男性用排尿レシーバー
US20170196726A1 (en) Unisex external urine collection apparatus
JP2000504987A (ja) 再使用可能なおむつ
KR102224322B1 (ko) 남성 환자용 소변기
US6754914B2 (en) Disposable toilet bowl for care
KR100934254B1 (ko) 여성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
KR200462340Y1 (ko)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
KR101751290B1 (ko)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
KR102300943B1 (ko) 남성 환자용 프리 소변기
KR101561497B1 (ko) 노약자용 건강 기저귀
KR102300942B1 (ko) 여성 환자용 프리 소변기
KR101292812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2038702B1 (ko) 소변 배출장치
KR102422476B1 (ko) 남성 환자용 신체 소변기
KR102300944B1 (ko) 환자용 배변기
KR102224345B1 (ko) 환자용 배변기
KR102422475B1 (ko) 여성 환자용 신체 소변기
KR101727098B1 (ko)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
US20060095011A1 (en) Waste contain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