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4314B1 - 구형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형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314B1
KR102224314B1 KR1020170096881A KR20170096881A KR102224314B1 KR 102224314 B1 KR102224314 B1 KR 102224314B1 KR 1020170096881 A KR1020170096881 A KR 1020170096881A KR 20170096881 A KR20170096881 A KR 20170096881A KR 102224314 B1 KR102224314 B1 KR 102224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dispersion formulation
spherical particles
weight
sucro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006A (ko
Inventor
최수정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09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31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CN201880064108.3A priority patent/CN111163745B/zh
Priority to EP18840502.1A priority patent/EP3662881A4/en
Priority to MYPI2020000469A priority patent/MY197938A/en
Priority to PCT/KR2018/008690 priority patent/WO2019027230A2/ko
Priority to SG11202000805TA priority patent/SG11202000805TA/en
Priority to US16/635,250 priority patent/US11241373B2/en
Priority to CA3071352A priority patent/CA3071352A1/en
Publication of KR20190013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3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외상으로서 수상부; 및 상기 수상부에 분산된 구형 입자들로 이루어진 유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형 입자는 탄소수 22 이하의 알코올 및 수크로스(sucrose)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인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구형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도포시 이물감이 없다.

Description

구형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DISPERSION FORMULATIO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HERICAL PARTICLE}
본 명세서에는 구형 입자를 포함하여 조성물 내의 분산성 및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한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화장품은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피부 보호, 회복 및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또한, 매일 세안함으로써 손실되는 피부의 수분 및 유분을 보충하고, 피부 노화를 지연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최근 화장품 개발의 특징은 기존과는 다른 독특한 외관이나 차별화된 사용감을 부여하거나, 피부에 도포하자마자 즉각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성분 개발 및 도입이 큰 트렌드이다.
특히, 시각적으로 차별화되어 소비자 시선을 끌 수 있는 고형의 캡슐 분산 스킨 및 에센스, 크림 제형 다수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 고형의 캡슐 원료들은 대부분 아가, 한천 또는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비드 형태로 구성되어, 제조 공정상 외부에서 후투입하여 분산하는 공정으로 제형을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고형의 캡슐 비드 원료는 유연감이 부족하고 딱딱하여 피부에 도포 시 비드가 잘 녹거나 깨어지지 않아 이물감 느껴지는 경우가 많고, 무정형 고형 지질 입자 분산 제형의 경우 제형의 불균일성으로 심미적 가치가 저하되거나, 상기 입자 내부에 유용성 효능 성분 담지 시 효능 성분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유용성 효능 물질들 중 물과 접촉 시 산화되거나 그 구조가 변형되어 역가가 떨어지고 제형의 변색, 변취와 같은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따라서,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고형 입자 내 유효 성분을 안정화할 수 있는 제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03163호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형 입자들이 수상부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부에 분산된 입자를 구형으로 제조하여, 고형 입자 내의 유효 성분을 안정화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구형 입자에 유효 성분을 담지하여, 피부의 장벽을 회복시키거나, 주름 개선, 또는 미백 작용을 활성시키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외상으로서 수상부; 및 상기 수상부에 분산된 구형 입자들로 이루어진 유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형 입자는 탄소수 22 이하의 알코올 및 수크로스(sucrose)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인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구형 입자들이 수상부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 위에 도포시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자들이 구형으로 형성되어, 수상부에 고르게 분포되고, 도포시 피부 표면에서 고르게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자가 구형이므로 상기 입자 내에 유효 성분 담지시, 효능 성분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유효 성분의 안정화가 가능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구형 입자의 사진이고, 1b는 비교예 1에 따른 입자의 사진이며, 1c는 비교예 2에 따른 입자의 사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조성물 및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을 도포한 경우의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및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의 사용감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및 비교예 4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감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구형 입자의 사진이고, 5b는 비교예 4에 따른 입자의 사진이다.
용어 정의
본 명세서에서 “구형”이란 어느 입자의 구형에 가까운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입자 상의 최장 길이와 최단 길이의 비로 구해진다. 즉, 구형에 가까울수록 1에 가깝게 표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구형 입자는 실질적으로 구형인 것을 의미하며, “실질적으로 구형”이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최소 외부 표면적을 나타내는 부피로서 정의되는, 즉, 완전한 구에 가까운 형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실질적으로 구형”은 입자의 임의의 단면을 보았을 때, 큰 직경과 작은 직경 간의 차이가 20% 미만, 10% 미만, 또는 5% 미만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입경"이란 구형 입자의 직경을 의미하고, 구형 입자의 “평균 입경”이란 구형 입자들 각각의 단일 입자의 지름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분산 제형”이란 외상으로서의 수상부 내에, 내상을 구성하는 구형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제형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본 발명은 외상으로서 수상부; 및 상기 수상부에 분산된 구형 입자들로 이루어진 유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형 입자는 탄소수 22 이하의 알코올 및 수크로스(sucrose)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인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입자는 종래 고형 입자들과 달리 무정형이 아닌 구형으로 제조되어, 심미적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쉬우며, 상기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피부에 도포시 외상으로서의 수상부와 함께 고르게 도포될 수 있다.
상기 구형 입자는 고급 지방산 또는 쉐어 버터 등을 포함하지 않고, 탄소수 22 이하의 알코올을 포함하여, 유연감이 뛰어나 피부 상에서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고, 수상부에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탄소수 22 초과의 알코올 또는 고급 지방산을 포함하는 경우, 대부분 녹는 점(melting point)이 높아 입자가 구형으로 생성되지 않거나, 딱딱하게 생성되어 피부에 도포시 피부에서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다.
또한, 지방산은 작용기(functional group)로 산(acid)을 가지는데 비해, 본원 발명의 알코올과 같이 알코올 기(alcohol group) 가질 때 구형이 형성될 수 있는 적정 계면장력 또는 극성(polarity) 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내상 조성에 쉐어 버터를 포함시키는 경우, 무정형 결정 형태로 인해 구형 입자를 형성하기 어렵다.
한편, 구형 입자 형성에는 계면활성제의 HLB (Hydrophile-Lipophile Balance) 값이 중요하다. 상기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의 경우, 당기(sugar group)의 친수성 헤드(hydrophilic head) 가 중간 영역 HLB 값을 가지도록 도와준다. 또한, 당기(sugar group)가 지방 알코올(fatty alcohol) 또는 지방 에스테르 유연제(fatty ester emollient)와의 상호 작용으로 구형 입자 형성 및 유지를 도와준다.
반면, 상기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 외에, 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나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탄화수소 체인의 길이가 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 값이 낮아 미세한 구형 입자가 제조되어 유효 물질을 담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구형 입자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5 mm일 수 있고, 예컨대, 1.5 내지 4.5mm, 2 내지 4mm, 2.5 내지 3.5mm, 또는 2 내지 3mm일 수 있다. 상기 평균 입경이 1 mm 미만인 경우, 시각적 관점에서 구형 입자크기 미세해지면 사용 시 구형 입자가 피부에 녹아 흡수되는 시각적 인지 효과 떨어질 수 있고, 안정도 측면에서 고온에서 미세 입자끼리 응집되어 녹아 해리되어 안정도 유지에 불리하며, 상기 입자 내에 유효 물질을 담지하기에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5 mm 초과인 경우, 피부에 도포시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으며 분산이 균일하게 되지 않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상부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일 수 있고, 예컨대 6 내지 14 중량%, 7 내지 13 중량%, 8 내지 12 중량%, 또는 9 내지 11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유상부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도포시 밀착감이 저하될 수 있고, 15 중량% 초과인 경우, 상기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도포시 피부의 잔여 유분감이 과하여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탄소수 22 이하의 알코올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이고, 상기 수크로스(sucrose)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고온 안정도 유지가 어렵고, 5 중량% 초과인 경우, 피부상 도포시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다.
상기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구형 입자의 크기가 거대하게 형성되거나 유화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고, 5 중량% 초과인 경우 구형 입자의 크기가 극히 작아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탄소수 22 이하의 알코올은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세테아릴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크로스(sucrose)계 계면활성제는 수크로스 스테아레이트, 수크로스 디스테아레이트, 수크로스 코코아테 및 아세틸레이티드 수크로스 디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스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구형 입자는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카멜리아시넨시스리프 추출물, 호호바 에스테르, 썬플라워씨드, 카르나우바왁스, 칸델릴라왁스 및 밀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왁스; 및 하이드로카본계 화합물, 및 에스터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오일은 스쿠알란(squala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일 수 있고, 0.5 중량% 미만인 경우 왁스에 의한 구형 입자로의 응집력이 약할 수 있고, 1.5 중량% 초과인 경우 왁스끼리 응집되어 상기 조성물의 안정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일 수 있고, 5 중량% 미만인 경우, 제형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중량% 초과인 경우 도포시 번들거림이 심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구형 입자는 유효 성분을 담지할 수 있다. 이는 고형 지질 나노입자(solid lipid nanoparticle: SLN) 및 나노구조 리피드 캐리어(Nanostructures lipid carriers, NLC) 등을 제형적 관점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응용한 것이다.
상기 구형 입자 내에 유효 성분을 담지하는 경우, 활성 성분의 화학적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폐쇄효과(occlusive effect)를 통해 피부 수화(skin hydration)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부에서 활성 성분의 생물학적 이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국소 제제의 물리적 안정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구형 입자의 경우, 종래의 무정형 입자 분산 제형과 달리, 입자 내에 유효 성분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물과 접촉시 산화되거나 구조가 변형되지 않고, 제형의 변색 및 변취와 같은 안정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효 성분은 세라마이드, 삼백초 추출물, 유분산 아데노신, 알파-미사보롤, 디올레아놀릭애씨드,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프롤린, 및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세라마이드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효 성분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하일 수 있고, 예컨대 0.01 내지 0.45 중량%, 0.05 내지 0.4 중량%, 0.1 내지 0.35 중량%, 또는 0.15 내지 0.3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이 0.5 중량% 초과인 경우, 구형 지질입자 내부에 세라마이드가 용해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수상부가 맞닿는 계면에 일렬로 분포하게 되는 농도가 되어, 상기 유효 성분이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게 되며, 유효 성분 구조(예: 세라마이드) 가 계면활성제 구조를 가지면 물(외상) 과 구형 입자(내상) 사이의 계면 장력이 현저히 낮아져서 구형 입자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상부는 물을 잔부로 포함하며, 폴리올 및 점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보습제의 역할을 하고,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및 1,2-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보습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20 중량% 초과인 경우 끈적임 등의 부정적 센서리를 유발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점증제는 유상부의 유화 후 화장료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며, 셀룰로오스, 잔탄검,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텐 및 폴리소르베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0.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구형 지질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0.5 중량% 초과인 경우 조성물의 끈적임 현상이 심해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 회복용, 주름 개선, 또는 미백 개선용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에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비교예
1. 구형 입자들로 이루어진 유상부를 포함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하기 표 1 의 처방으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stearic acid - - - 2 - -
cetearyl alcohol 2 - - - 2 2
behenyl alcohol - 2 2 - - -
shea butter - - - 0.7 - -
jojoba ester 0.7 0.7 0.7 0.7
sulflower wax - 0.7 - - - -
MONTANOV 202 - - - - - 0.5
sucrose stearate 0.5 0.5 0.5 0.5 - -
glyceryl stearate - - - - 0.5 -
squalane 6.8 6.8 6.8 6.8 6.8 6.8


정제수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글리세린 10 10 10 10 10 10
카보머 0.2 0.2 0.2 0.2 0.2 0.2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실질적으로 구형에 가까운 구형 입자가 형성되었고, 입자들이 제형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1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 입자가 구형으로 생성되지 않고, 무정형으로 생성되었으며, 비교예 2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 입자의 크기가 0.3 mm 이하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은 크기로 형성되었다.
2. 구형 입자 내부에 유효 물질 담지시킨 유상부를 포함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하기 표 1 의 처방으로 실시예 4 및 비교예 4 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4 비교예 4
유상부 cetearyl alcohol 2 2
jojoba ester 0.7 0.7
sucrose stearate 0.5 0.5
ceramide 0.5 1
squalane 6.5 6
수상부 정제수 up to 100 up to 100
글리세린 20 20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
VP copolymer
0.2 0.2
실험예
실험예 1- 분산 제형의 안정도
하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4 모두 상호 상온(25 ℃), 냉장 (4 ℃), 냉동 (-20 ℃), 고온 (45 ℃) 항온조에서 4주 보관시 안정도가 양호한 것을 확인하였으나, 비교예 1의 경우 고온(45 ℃) 항온조에서 보관시 입자가 뭉치거나 응집되어 제형의 안정성이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상온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냉장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냉동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45도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입자 뭉침, 응집
실험예 2- 피부 상에 도포시 경피수분손실량 측정
실시예 4(solid-liquid 제형), 및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을 피부 상에 도포하고,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여 피부장벽회복능을 살펴보았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피부 장벽 손상 시킨 후 무도포, 오일 제형(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실시예 4 도포한 후 3시간, 8시간, 24 시간 마다 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을 때, 실시예 4의 피부장벽회복능이 도포하지 않았을 때보다 대략 27 % 증가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센서리 평가
실시예 4,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및 비교예 4의 조성물을 피부 상에 도포하여 사용감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20~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시료 50 ul 정도 일정량을 피펫으로 양팔 전박에 떨어뜨린 후 10초 동안 20회 (2회/초) 검지 손가락으로 펴 바르며 평가하였다. 10초 후 타이머 정지 시킨 후 펴발림성, 수분감, 왁시, 오일리 등 특성 점수 평가하였다. 흡수가 거의 다 되었다고 생각되는 지점에서 손으로 눌렀다 떼어내며 잔여 유분감 및 보습감 평가하였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그 결과, 실시예 4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초기 수분감과 흡수 후 보습감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예 4의 조성물의 경우, 발림성, 보습감 및 수분감이 현저하게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왁시함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5)

  1. 외상으로서 수상부; 및
    상기 수상부에 분산된 구형 입자들로 이루어진 유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형 입자는 탄소수 22 이하의 알코올 및 수크로스(sucrose)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구형 입자의 평균 입경은 1 mm 이상인,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입자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22 이하의 알코올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이고,
    상기 수크로스(sucrose)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22 이하의 알코올은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크로스(sucrose)계 계면활성제는 수크로스 스테아레이트, 수크로스 디스테아레이트, 수크로스 코코아테 및 아세틸레이티드 수크로스 디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입자는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카멜리아시넨시스리프 추출물, 호호바 에스테르, 썬플라워씨드, 카르나우바왁스, 칸델릴라왁스 및 밀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왁스; 및 하이드로카본계 화합물, 및 에스터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오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입자는 유효 성분을 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은 세라마이드, 삼백초 추출물, 유분산 아데노신, 알파-미사보롤, 디올레아놀릭애씨드,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프롤린, 및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폴리올 및 점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5 중량%이고,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0.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및 1,2-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셀룰로오스, 잔탄검,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텐 및 폴리소르베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 회복용, 주름 개선, 또는 미백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96881A 2017-07-31 2017-07-31 구형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224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81A KR102224314B1 (ko) 2017-07-31 2017-07-31 구형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EP18840502.1A EP3662881A4 (en) 2017-07-31 2018-07-31 DISPERSION FORMULATION OF A COSMETIC COMPOSITION WITH SPHERICAL PARTICLES
MYPI2020000469A MY197938A (en) 2017-07-31 2018-07-31 Cosmetic composition of dispersion formulation comprising spherical particle
PCT/KR2018/008690 WO2019027230A2 (ko) 2017-07-31 2018-07-31 구형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CN201880064108.3A CN111163745B (zh) 2017-07-31 2018-07-31 包含球形粒子的分散剂型化妆品组合物
SG11202000805TA SG11202000805TA (en) 2017-07-31 2018-07-31 Cosmetic composition of dispersion formulation comprising spherical particles
US16/635,250 US11241373B2 (en) 2017-07-31 2018-07-31 Cosmetic composition of dispersion formulation comprising spherical particle
CA3071352A CA3071352A1 (en) 2017-07-31 2018-07-31 Cosmetic composition of dispersion formulation comprising spherical part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81A KR102224314B1 (ko) 2017-07-31 2017-07-31 구형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006A KR20190013006A (ko) 2019-02-11
KR102224314B1 true KR102224314B1 (ko) 2021-03-09

Family

ID=6523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881A Active KR102224314B1 (ko) 2017-07-31 2017-07-31 구형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41373B2 (ko)
EP (1) EP3662881A4 (ko)
KR (1) KR102224314B1 (ko)
CN (1) CN111163745B (ko)
CA (1) CA3071352A1 (ko)
MY (1) MY197938A (ko)
SG (1) SG11202000805TA (ko)
WO (1) WO201902723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938B1 (ko) 2018-08-31 2023-12-08 (주)아모레퍼시픽 유화입자를 형성하는 나노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유화 조성물
KR102829523B1 (ko) * 2019-02-08 2025-07-08 (주)아모레퍼시픽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750723B1 (ko) * 2019-05-31 2025-01-08 (주)아모레퍼시픽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US20230110451A1 (en) * 2020-02-27 2023-04-13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usability
WO2025127799A1 (ko) * 2023-12-12 2025-06-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200B1 (ko) 1998-12-08 2002-02-19 성재갑 세라마이드를함유하는저점도미니에멀젼화장료조성물
US6783766B2 (en) 2002-03-06 2004-08-3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preparing a cosmetic formulation
EP1702674A1 (en) * 2005-03-16 2006-09-20 Cognis IP Management GmbH Visible beads
KR100787328B1 (ko) * 2006-05-11 2007-12-18 (주)아모레퍼시픽 마크로 크기의 지질 캡슐 입자를 갖는 에멀젼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FR2940117B1 (fr) * 2008-12-18 2011-02-18 Oreal Emulsion huile dans eau presentant un ph allant de 3 a 5,5
JP5416440B2 (ja) * 2009-03-16 2014-02-12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複合球状ポリマー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化粧料
FR2948285B1 (fr) * 2009-07-27 2011-09-23 Soc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Emulsion huile-dans-eau a proprietes sensorielles ameliorees
ES2384060B1 (es) 2010-03-24 2013-09-23 Lipotec S.A. Cápsulas de nanopartículas lipídicas.
KR101803902B1 (ko) * 2011-09-16 2017-12-04 (주)아모레퍼시픽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67847B1 (ko) 2011-11-18 2018-06-19 코웨이 주식회사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9084818B2 (en) * 2013-02-15 2015-07-21 Cymbiotics, Inc. Topical dermal delivery compositions using self assembling nanoparticles with cetylated components
US9662282B2 (en) * 2013-03-28 2017-05-30 Kpt Ltd Method for preparing round emulsion beads using low temperature cooling and the product thereof
KR101529480B1 (ko) * 2013-08-23 2015-06-17 코스맥스 주식회사 나노 에멀젼 제조방법
KR101579063B1 (ko) 2013-09-26 2015-12-21 코스맥스 주식회사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젼의 제조방법
CN104644532B (zh) * 2013-11-20 2019-08-09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使用天然乳化剂的低粘度化妆品组合物
BR112017005751A2 (pt) * 2014-09-26 2018-06-26 Dsm Ip Assets Bv emulsões o/a
KR102406641B1 (ko) 2015-06-30 2022-06-08 (주)아모레퍼시픽 무계면활성제 시스템의 고형 지질 미립자를 포함하는 분산액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2881A4 (en) 2021-04-28
US20200214954A1 (en) 2020-07-09
CN111163745B (zh) 2023-01-10
MY197938A (en) 2023-07-25
CN111163745A (zh) 2020-05-15
SG11202000805TA (en) 2020-02-27
EP3662881A2 (en) 2020-06-10
CA3071352A1 (en) 2019-02-07
KR20190013006A (ko) 2019-02-11
WO2019027230A3 (ko) 2019-03-28
US11241373B2 (en) 2022-02-08
WO2019027230A2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314B1 (ko) 구형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EP3741353B1 (en) Method of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les containing high content of ceramide
KR101659636B1 (ko) 수중 유형 피부 외용제
KR100787328B1 (ko) 마크로 크기의 지질 캡슐 입자를 갖는 에멀젼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Sahu et al. Skin cream as topical drug delivery system: a review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3105B1 (ko)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TW201138836A (en) Stabilized glycerin-in-oil emulsions
JP5777162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CN101919791A (zh) 减少眼部刺激的个人护理防晒剂组合物
KR20130092172A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E102006038629A1 (de) Stabilisierte Wirkstoffzusammensetzung
EP2913046A1 (en) Oil-in-water form organogel cosmetic composition having variable transparency
KR20190036341A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36418B1 (ko) 청량감을 갖는 세라마이드 함유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9674B1 (ko)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KR101532938B1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20070109388A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2269198B1 (ko) 피부 각질 박리용 배니싱 크림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463091B (zh) 一种改善稳定性的米诺环素泡沫剂
AU2015326671A1 (e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dispersion,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use thereof for skin treatment
KR100443398B1 (ko) 스틱형팩화장료및그의제조방법
US20240024209A1 (en) Hydrating composition comprising polymers and a compound chosen from menthol and its derivatives
JP5088766B2 (ja) 油の微細分散組成物
JP2008266275A (ja) 水中油型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5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7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