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953B1 - 난배양성 혐기성 미생물의 고수율 배양을 위한 배지 보충제 및 그를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배양성 혐기성 미생물의 고수율 배양을 위한 배지 보충제 및 그를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2953B1 KR102222953B1 KR1020200150111A KR20200150111A KR102222953B1 KR 102222953 B1 KR102222953 B1 KR 102222953B1 KR 1020200150111 A KR1020200150111 A KR 1020200150111A KR 20200150111 A KR20200150111 A KR 20200150111A KR 102222953 B1 KR102222953 B1 KR 1022229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ptone
- medium
- culture
- anaerobic microorganisms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38—Chemical stimulation of growth or activity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which are not essential growth factors; Stimulation of growth by removal of a chemical compound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아스파르트산으로부터 다양한 아미노산의 생합성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배지 보충제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혐기성 미생물들의 균종별 세포의 형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를 배양한 배양기에서의 배양 시간에 따른 배지의 색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의 현미경 관찰 및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분석 결과를 통해 배양액의 순도 확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프럭토스가 첨가된 본 발명의 배지에서 배양 시간에 따른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의 성장곡선(A) 및 pH의 변화(B)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말토스가 첨가된 본 발명의 배지에서 배양 시간에 따른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의 성장곡선(A) 및 pH의 변화(B)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프럭토스가 첨가된 본 발명의 배지에서 고순도 질소가스만을 이용하여 배양했을 때 배양 시간에 따른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의 성장곡선(A) 및 pH의 변화(B)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Mucin (g/L) |
Glu (g/L) |
GlcNAc (g/L) |
Lac (g/L) |
Thr (g/L) |
Asp (g/L) |
Vitamin 용액3 | Growth (ΔOD600)*,† |
|
PM1 | - | 4.5 | 5.5 | - | 4 | - | - | 0.133 ± 0.003 |
TSB2 | - | 2.5 | - | - | - | - | - | 0.030 ± 0.005 |
TSB | 2.5 | 2.5 | - | - | - | - | - | 0.368 ± 0.005 |
TSB | - | 5 | 5 | - | 4 | - | - | 0.289 ± 0.003 |
TSB | - | 2.5 | 2.5 | 2.5 | 4 | - | - | 0.290 ± 0.003 |
TSB | - | 2.5 | 2.5 | 2.5 | - | 2 | - | 0.291 ± 0.003 |
TSB | - | 2.5 | 2.5 | 2.5 | - | 4 | - | 0.302 ± 0.005 |
TSB | - | 2.5 | 2.5 | 2.5 | - | 6 | - | 0.310 ± 0.004 |
TSB | - | 2.5 | 2.5 | 2.5 | - | 8 | - | 0.338 ± 0.004 |
TSB | - | 2.5 | 2.5 | 2.5 | - | 16 | - | 0.257 ± 0.002 |
TSB | - | 2.5 | 2.5 | 2.5 | - | 8 | + | 0.409 ± 0.006 |
1PM : 특허 배지는 16 g/L 대두-펩톤과10 g/L 효모 추출물을 아미노산 공급원으로 함유 2TSB(Tryptic Soy Broth) : TSB 배지는 17 g/L의 카제인 췌장 분해물, 3 g/L 대두의 papaic 분해물, 5 g/L NaCl, 2.5 g/L K2HPO4를 함유 3비타민 용액에는 0.02 mg/L 비오틴, 0.2 mg/L 니아신, 0.5 mg/L 피리독신, 0.1 mg/L 리보플라빈, 0.2 g/L 티아민, 0.1 g/L 시아노 코발라민, 0.1 g/L p-아미노 벤조산, 0.1 g/L 판토텐산을 포함 약어 : Glu, 포도당; GlcNAc, N-아세틸-D-글루코사민, Lac, 락토스; Thr, 트레오닌; Asp, 아스파르트 산 |
질소원 기초 배지에 보충제 첨가 (1 L 중에 아래의 성분 함유) | |
소이-펩톤 | 20.0 g |
효모 추출물 | 10.0 g |
제2인산칼륨 | 2.5 g |
보충제(Supplement) | |
N-아세틸-D-글루코사민 | 5.0 g |
D-락토스 모노하이드레이트 | 2.5 g |
D-프럭토스 | 2.5 g |
[프럭토스 대체제] 말토스 모노하이드레이트 | 2.5 g |
L-아스파르트산 | 8.0 g |
L-시스테인·염산 무수화물 | 0.5 g |
시아노코발아민 | 0.1 mg |
소이 펩톤 (g/L) |
효모 추출물 (g/L) |
Glu (g/L) |
Fru (g/L) |
Mal (g/L) |
Lac (g/L) |
GlcNAc (g/L) |
Asp (g/L) |
코발 아민 (mg/L) |
Growth (ΔOD600)*,† |
20 | 10 | - | - | - | 2.5 | 5 | 8 | 0.1 | 0.506 ± 0.003 |
20 | 10 | 2.5 | - | - | 2.5 | 5 | 8 | 0.1 | 0.509 ± 0.003 |
20 | 10 | - | 2.5 | - | 2.5 | 5 | 8 | 0.1 | 0.560 ± 0.005 |
20 | 10 | - | - | 2.5 | 2.5 | 5 | 8 | 0.1 | 0.527 ± 0.008 |
20 | 10 | - | 2.5 | 2.5 | 2.5 | 5 | 8 | 0.1 | 0.529 ± 0.008 |
†ΔOD는 초기와 48시간 배양 후의 흡광도의 차이로 산출하였다. |
B1 (mg/L) |
B2 (mg/L) |
B3 (mg/L) |
B5 (mg/L) |
B6 (mg/L) |
B7 (mg/L) |
B9 (mg/L) | B10 (mg/L) |
B12 (mg/L) |
Growth (ΔOD600)*,† |
P value‡ |
- | - | - | - | - | - | - | - | - | 0.331 ± 0.003 | - |
0.2 | - | - | - | - | - | - | - | - | 0.352 ± 0.003 | 0.0698 |
- | 0.1 | - | - | - | - | - | - | - | 0.334 ± 0.009 | 0.9994 |
- | - | 0.2 | - | - | - | - | - | - | 0.342 ± 0.018 | 0.9732 |
- | - | - | 0.1 | - | - | - | - | - | 0.347 ± 0.005 | 0.4077 |
- | - | - | - | 0.5 | - | - | - | - | 0.337 ± 0.014 | 0.9869 |
- | - | - | - | - | 0.02 | - | - | - | 0.344 ± 0.008 | 0.3570 |
- | - | - | - | - | - | 0.05 | - | - | 0.348 ± 0.013 | 0.7130 |
- | - | - | - | - | - | - | 0.1 | - | 0.335 ± 0.009 | 0.9999 |
- | - | - | - | - | - | - | - | 0.1 | 0.575 ± 0.018 | 0.0124 |
- | 0.1 | - | - | 0.15 | - | 0.05 | - | 0.1 | 0.582 ± 0.020 | 0.0121 |
0.2 | 0.1 | 0.2 | 0.1 | 0.15 | 0.01 | 0.05 | - | 0.1 | 0.561 ± 0.014 | 0.0119 |
0.2 | 0.1 | 0.2 | 0.1 | 0.15 | 0.01 | 0.05 | 0.1 | 0.1 | 0.585 ± 0.010 | 0.0019 |
†ΔOD는 초기와 72시간 배양 후의 흡광도의 차이로 산출하였다. |
시아노코발아민 (mg/L) |
Growth (ΔOD600)*,† |
P value‡ |
- | 0.326 ± 0.008 | - |
0.05 | 0.563 ± 0.012 | <0.0001 |
0.1 | 0.576 ± 0.014 | <0.0001 |
0.2 | 0.577 ± 0.008 | <0.0001 |
0.5 | 0.575 ± 0.011 | <0.0001 |
1 | 0.581 ± 0.003 | <0.0001 |
5 | 0.571 ± 0.007 | <0.0001 |
†ΔOD는 초기와 48시간 배양 후의 흡광도의 차이로 측정하였다. |
소이 펩톤 (g/L) |
효모 추출물 (g/L) |
뮤신 (g/L) |
Fru (g/L) |
Mal (g/L) |
Lac (g/L) |
GlcNAc (g/L) |
Asp (g/L) |
코발아민 (mg/L) |
Growth (ΔOD600)*,† |
20 | 10 | 2.5 | - | - | - | - | - | - | 0.148 ± 0.002 |
20 | 10 | - | 2.5 | - | 2.5 | 5 | 8 | 0.1 | 0.539 ± 0.004 |
20 | 10 | - | 5 | - | 2.5 | 5 | 8 | 0.1 | 0.533 ± 0.015 |
20 | 10 | - | - | 2.5 | 2.5 | 5 | 8 | 0.1 | 0.525 ± 0.011 |
20 | 10 | - | - | 5 | 2.5 | 5 | 8 | 0.1 | 0.512 ± 0.012 |
20 | 10 | - | - | - | 2.5 | 5 | 8 | 0.1 | 0.505 ± 0.005 |
20 | 10 | - | 2.5 | - | - | 5 | 8 | 0.1 | 0.428 ± 0.013 |
20 | 10 | - | 2.5 | - | 2.5 | - | 8 | 0.1 | 0.004 ± 0.001 |
20 | 10 | - | 2.5 | - | 2.5 | 5 | - | 0.1 | 0.324 ± 0.002 |
20 | 10 | - | 2.5 | - | 2.5 | 5 | 8 | - | 0.387 ± 0.006 |
20 | - | - | 2.5 | - | 2.5 | 5 | 8 | 0.1 | 0.533 ± 0.005 |
- | 10 | - | 2.5 | - | 2.5 | 5 | 8 | 0.1 | 0.350 ± 0.008 |
20 | 10 | - | - | - | - | 5 | - | - | 0.242 ± 0.004 |
20 | 10 | - | 2.5 | - | - | - | - | - | 0.004 ± 0.001 |
20 | 10 | - | - | - | 2.5 | - | - | - | 0.002 ± 0.002 |
20 | 10 | - | 2.5 | - | 2.5 | - | - | - | 0.003 ± 0.002 |
20 | 10 | - | 2.5 | - | - | 5 | - | - | 0.231 ± 0.003 |
20 | 10 | - | - | - | 2.5 | 5 | - | - | 0.283 ± 0.004 |
20 | 10 | - | 2.5 | - | 2.5 | 5 | - | - | 0.261 ± 0.002 |
*배양 샘플의 광학밀도(O.D.)는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λ=600 nm에서 측정하였다. †ΔOD는 초기와 48시간 배양 후의 흡광도 차이로 산출하였다. |
Test strains | Growth (ΔOD600)*,† |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TCC BAA-835T | 0.548 ± 0.008 |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KCTC 13761BP) |
0.540 ± 0.012 |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27 (KCTC 13758BP) |
0.535 ± 0.011 |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39 (KCTC 13765BP) |
0.548 ± 0.005 |
혐기성 미생물 | 배양성 (ΔOD600)*,† | |
대조 배지1 | 본 발명의 배지 (표 1의 성분 함유) |
|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EB-FPDK11 (KCCM 12621P) |
0.105 ± 0.002 | 0.307 ± 0.006 |
Anaerostipes caccae L1-92T | 0.364 ± 0.003 | 0.463 ± 0.003 |
Bifidobacterium longum EB-BGYK18 (KCCM 12626P) |
0.304 ± 0.003 | 0.333 ± 0.002 |
1 F. prausnitzii 대조 배지 : 뇌심장침출 배지(Brain Heart Infusion, BHI)에 5 g/L 효모 추출물, 1 g/L 셀로비오스 및 1 g/L 말토스 보충 A. caccae 배양 대조 배지 : TSB 배지에 5 g/L 효모 추출물 보충 B. longum 배양 대조 배지 : BL 브로스 |
배양 온도 | 37±1℃ |
pH | 6.8±0.2 |
가스 플로우 (100% N2 or 90% N2, 5% CO2, 5% H2) |
0.2 liters/h |
교반 속도 | 40 - 50 rpm |
접종물 | 1% v/v |
배양 용기 사이즈 | 3 L |
구분 | 실시예1 | 실시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탄소원 | 프럭토스 | 말토스 | 프럭토스 | 프럭토스 |
배양기 가스 조성 | 90% N2, 5% CO2, 5% H2 |
90% N2, 5% CO2, 5% H2 |
100% N2 | 80% N2, 20% CO2 |
OD600 (ELISA) | 0.798 ± 0.004 | 0.632 ± 0.011 | 0.105 ± 0.001 | 0.640 ± 0.005 |
생균수 (CFU/mL) | 5.5 x 1010 | 5.1 x 1010 | ≥ 108 | 5 x 1010 |
1프럭토스가 포함된 본 발명의 배지 : 20 g/L 소이-펩톤, 10 g/L 효모 추출물, 2.5 g/L K2HPO4, 5 g/L GlcNAc, 2.5 g/L Lactose, 8 g/L Aspartic acid, 0.1 mg/L Cyanocobalamin 2.5 g/L Fructose; 2말토스가 포함된 본 발명의 배지; 20 g/L 소이-펩톤, 10 g/L 효모 추출물, 2.5 g/L K2HPO4, 5 g/L GlcNAc, 2.5 g/L Lactose, 8 g/L Aspartic acid, 0.1 mg/L Cyanocobalamin 2.5 g/L Maltose 3혼합가스 (90% N2, 5% CO2, 5% H2) 대신 고순도 질소가스 (100% N2) 사용 480% N2, 20% CO2로 구성된 혼합가스 사용 |
Claims (13)
- 식물 펩톤, 효모 추출물, 제2인산칼륨을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로서,
탄소원으로서 프럭토스 및 락토스를 포함하고, 보충제로서 N-아세틸헥소사민, L-아스파르트산과 L-시스테인의 아미노산 혼합물 및 코발아민을 포함하고,
피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Faecalibacterium prausnitzii), 언에어로스티페스 카캐 (Anaerostipes caccae),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Akkermansia muciniphila),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혐기성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한 혐기성 미생물 배양용 배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식물 펩톤 20 g/L, 효모 추출물 10 g/L, 제2인산칼륨 2.5 g/L, 프럭토스 2.5 g/L, 락토스 2.5 g/L, N-아세틸헥소사민 5 g/L, L-아스파르트산 8 g/L, L-시스테인 0.5 g/L, 및 코발아민 0.0001 ~ 0.005 g/L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미생물 배양용 배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펩톤은 소이 펩톤(soy peptone), 밀 펩톤(wheat peptone), 면 펩톤(cotton peptone), 완두콩 펩톤(pea peptone), 누에콩 펩톤(broadbean peptone), 루핀 펩톤(lupin peptone), 및 감자 펩톤(potato peptone)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미생물 배양용 배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탄소원으로서 프럭토스 대신에 말토스를 포함하거나 프럭토스에 더하여 말토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미생물 배양용 배지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배지 조성물에 혐기성 미생물을 접종하여 혐기성 조건 하에서 증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미생물의 배양방법.
- 제5항에 있어서, 배양 단계는 pH 6.5 ~ 7.0, 배양온도 35 ~ 39℃, 교반속도 40 ~ 50 rpm, 질소포화도 80 ~ 90%, 이산화탄소포화도 5 ~ 20% 및 수소포화도 0 ~ 5%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미생물의 배양방법.
- 제5항에 있어서, 배양된 혐기성 미생물이 평판계수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생균수 1010 CFU/mL 이상의 세포 밀도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미생물의 배양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0111A KR102222953B1 (ko) | 2020-11-11 | 2020-11-11 | 난배양성 혐기성 미생물의 고수율 배양을 위한 배지 보충제 및 그를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
PCT/KR2020/019214 WO2022102866A1 (en) | 2020-11-11 | 2020-12-28 | Medium supplement for high-yield industrial culture of fastidious anaerobes and medium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
PL20922488.0T PL4025685T3 (pl) | 2020-11-11 | 2020-12-28 | Suplement pożywki do wysokowydajnej przemysłowej hodowli wymagających beztlenowców i kompozycja zawierając a ten suplement |
AU2020429371A AU2020429371B2 (en) | 2020-11-11 | 2020-12-28 | Medium supplement for high-yield industrial culture of fastidious anaerobes and medium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
CA3132176A CA3132176C (en) | 2020-11-11 | 2020-12-28 | Medium supplement for high-yield industrial culture of fastidious anaerobes and medium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
JP2021552153A JP2022550494A (ja) | 2020-11-11 | 2020-12-28 | 難培養性嫌気性微生物の高収率培養のための培地サプリメント及びそれを含む培地組成物 |
HUE20922488A HUE066550T2 (hu) | 2020-11-11 | 2020-12-28 | Tápközeg-kiegészítõ igényes anaerobok nagy hozamú ipari tenyésztéséhez és ezt tartalmazó tápközeg-készítmények |
EP20922488.0A EP4025685B1 (en) | 2020-11-11 | 2020-12-28 | Medium supplement for high-yield industrial culture of fastidious anaerobes and medium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
US17/431,212 US11377633B2 (en) | 2020-11-11 | 2020-12-28 | Medium supplement for high-yield industrial culture of fastidious anaerobes and medium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
CN202080026519.0A CN114787335B (zh) | 2020-11-11 | 2020-12-28 | 用于高产培养难培养厌氧微生物的培养基补充剂及包含其的培养基组合物 |
ES20922488T ES2975914T3 (es) | 2020-11-11 | 2020-12-28 | Suplemento de medio para cultivo industrial de alto rendimiento de anaerobios fastidiosos y composición de medio que lo contiene |
US17/847,653 US12351794B2 (en) | 2020-11-11 | 2022-06-23 | Medium supplement for high-yield industrial culture of fastidious anaerobes and medium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
JP2023122972A JP7629231B2 (ja) | 2020-11-11 | 2023-07-28 | 難培養性嫌気性微生物の高収率培養のための培地サプリメント及びそれを含む培地組成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0111A KR102222953B1 (ko) | 2020-11-11 | 2020-11-11 | 난배양성 혐기성 미생물의 고수율 배양을 위한 배지 보충제 및 그를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2953B1 true KR102222953B1 (ko) | 2021-03-04 |
Family
ID=7517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0111A Active KR102222953B1 (ko) | 2020-11-11 | 2020-11-11 | 난배양성 혐기성 미생물의 고수율 배양을 위한 배지 보충제 및 그를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2953B1 (ko) |
HU (1) | HUE066550T2 (ko) |
WO (1) | WO2022102866A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9617B1 (ko) * | 2021-11-18 | 2022-02-09 | 주식회사 엔테로바이옴 | 피칼리박테리움 프로스니치 균주 배양 배지 조성물 |
CN114350571A (zh) * | 2022-02-09 | 2022-04-15 | 广州知易生物科技有限公司 | 非动物源性培养基及用其培养嗜黏蛋白阿克曼氏菌的方法 |
KR20220143231A (ko) | 2021-04-15 | 2022-10-25 | (주) 바이텍 | 상황버섯 유래 균주의 사균체 분말 제조방법, 사균체 분말 및 이의 용도 |
KR20220149824A (ko) | 2021-04-30 | 2022-11-09 | (주) 바이텍 | 김치 유래 균주의 사균체 분말 제조방법, 사균체 분말 및 이의 용도 |
KR20230086143A (ko) | 2021-12-08 | 2023-06-15 | (주)헬스바이옴 | 아커만시아속 미생물의 고수율 생산용 배지 조성물, 그를 이용한 배양방법 및 동결건조 방법 |
JP2023553766A (ja) * | 2021-11-18 | 2023-12-26 | エンテロバイオ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フィーカリバクテリウムプラウスニッツィイ菌株培養培地組成物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325787B (zh) * | 2024-05-10 | 2025-05-20 | 微康益生菌(苏州)股份有限公司 | 脂多糖、维生素b5或异亮氨酸在提高嗜黏蛋白阿克曼氏菌生物量中的应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33646A (ko) * | 2014-05-20 | 2015-11-30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Akkermansia muciniphila 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KR101809172B1 (ko) * | 2016-07-11 | 2017-12-14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뮤신이 없는 배지에서 배양한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20180018524A (ko) | 2015-05-06 | 2018-02-21 | 바게닝겐 유니버시테이트 | 아커만시아의 배양 방법 |
KR20200041280A (ko) * | 2018-10-11 | 2020-04-21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욕 억제 및 대사성 질환 예방, 개선,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21920A (ko) * | 2011-08-24 | 2013-03-06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Akkermansia muciniphila 또는 Bacteroides acidifaciens 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2020
- 2020-11-11 KR KR1020200150111A patent/KR102222953B1/ko active Active
- 2020-12-28 WO PCT/KR2020/019214 patent/WO2022102866A1/en unknown
- 2020-12-28 HU HUE20922488A patent/HUE066550T2/hu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33646A (ko) * | 2014-05-20 | 2015-11-30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Akkermansia muciniphila 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KR20180018524A (ko) | 2015-05-06 | 2018-02-21 | 바게닝겐 유니버시테이트 | 아커만시아의 배양 방법 |
KR101809172B1 (ko) * | 2016-07-11 | 2017-12-14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뮤신이 없는 배지에서 배양한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20200041280A (ko) * | 2018-10-11 | 2020-04-21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욕 억제 및 대사성 질환 예방, 개선,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3231A (ko) | 2021-04-15 | 2022-10-25 | (주) 바이텍 | 상황버섯 유래 균주의 사균체 분말 제조방법, 사균체 분말 및 이의 용도 |
KR20220149824A (ko) | 2021-04-30 | 2022-11-09 | (주) 바이텍 | 김치 유래 균주의 사균체 분말 제조방법, 사균체 분말 및 이의 용도 |
KR102359617B1 (ko) * | 2021-11-18 | 2022-02-09 | 주식회사 엔테로바이옴 | 피칼리박테리움 프로스니치 균주 배양 배지 조성물 |
WO2023090536A1 (ko) * | 2021-11-18 | 2023-05-25 | 주식회사 엔테로바이옴 | 피칼리박테리움 프로스니치 균주 배양 배지 조성물 |
JP2023553766A (ja) * | 2021-11-18 | 2023-12-26 | エンテロバイオ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フィーカリバクテリウムプラウスニッツィイ菌株培養培地組成物 |
JP7603674B2 (ja) | 2021-11-18 | 2024-12-20 | エンテロバイオ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フィーカリバクテリウムプラウスニッツィイ菌株培養培地組成物 |
US12319907B2 (en) | 2021-11-18 | 2025-06-03 | Enterobiome Inc. | Composition of culture media for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
KR20230086143A (ko) | 2021-12-08 | 2023-06-15 | (주)헬스바이옴 | 아커만시아속 미생물의 고수율 생산용 배지 조성물, 그를 이용한 배양방법 및 동결건조 방법 |
KR102643788B1 (ko) * | 2021-12-08 | 2024-03-07 | (주)헬스바이옴 | 아커만시아속 미생물의 고수율 생산용 배지 조성물, 그를 이용한 배양방법 및 동결건조 방법 |
CN114350571A (zh) * | 2022-02-09 | 2022-04-15 | 广州知易生物科技有限公司 | 非动物源性培养基及用其培养嗜黏蛋白阿克曼氏菌的方法 |
CN114350571B (zh) * | 2022-02-09 | 2024-04-19 | 广州知易生物科技有限公司 | 非动物源性培养基及用其培养嗜黏蛋白阿克曼氏菌的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02866A1 (en) | 2022-05-19 |
HUE066550T2 (hu) | 2024-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22953B1 (ko) | 난배양성 혐기성 미생물의 고수율 배양을 위한 배지 보충제 및 그를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 |
JP7629231B2 (ja) | 難培養性嫌気性微生物の高収率培養のための培地サプリメント及びそれを含む培地組成物 | |
JP6925280B2 (ja) | アッカーマンシアの培養方法 | |
KR20100049546A (ko) |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비 형을 위한 배양 배지 | |
KR102051482B1 (ko) |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비형 항원의 생산 방법 | |
KR102245415B1 (ko) | 피칼리박테리움 프로스니치 균주 배양 배지 조성물 | |
CN109136207B (zh) | 一种重组大肠杆菌生产磷脂酶d的方法 | |
KR100902396B1 (ko) | 무균영양조성물을 사용한 미생물 배양방법 및 그 미생물 성장 기질 | |
CN103667160B (zh) | 一种副猪嗜血杆菌高密度发酵培养基 | |
KR20230086143A (ko) | 아커만시아속 미생물의 고수율 생산용 배지 조성물, 그를 이용한 배양방법 및 동결건조 방법 | |
US20190144815A1 (en) | Bacterial strain and method for high throughput of sugar in the microbial conversion into biosynthetic products | |
CN110846241B (zh) | 具有分解利用人乳低聚糖能力的动物双歧杆菌及其培养方法和食品或药品 | |
US20220389476A1 (en) | Animal product-free culture of streptococcus bacteria | |
Zhang et al. | Halomonas urumqiensis sp. nov., a moderately halophilic bacterium isolated from a saline-alkaline lake | |
TWI627278B (zh) | 生產l-組胺酸之麩胺酸棒狀桿菌變異株與使用其生產l-組胺酸之方法 | |
CN101870964B (zh) | 一种提高sam合成酶表达量的方法 | |
Brubaker et al. | Mutations influencing the assimilation of nitrogen by Yersinia pestis | |
JP7603674B2 (ja) | フィーカリバクテリウムプラウスニッツィイ菌株培養培地組成物 | |
PL246658B1 (pl) | Szczep drożdży Candida famata BCRP zdolny do nadprodukcji ryboflawiny oraz zastosowanie szczepu drożdży Candida famata BCRP do wytwarzania ryboflawiny | |
EP2275527A1 (en) | Animal component-free culture medium for bacterial fermentation | |
Belyankin et al. | IMPROVEMENT OF THE PROCESS OF PRODUCTION OF POLYSACCHARIDE POLYRIBOSYL RIBITOL PHOSPHATE USED IN THE HAEMOPHILUS INFLUENZAE VACCINES | |
CN117821547A (zh) | 一种生物催化合成烟酰胺核糖的方法 | |
Yu et al. |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L-amino acid oxidase-producing marine bacterium | |
Gopal et al. | Azospirillum ramasamyi sp. nov., a novel diazotrophic bacterium isolated from fermented bovine produc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