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2922B1 - 채혈 캡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저 채혈기 - Google Patents

채혈 캡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저 채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922B1
KR102222922B1 KR1020180133659A KR20180133659A KR102222922B1 KR 102222922 B1 KR102222922 B1 KR 102222922B1 KR 1020180133659 A KR1020180133659 A KR 1020180133659A KR 20180133659 A KR20180133659 A KR 20180133659A KR 102222922 B1 KR102222922 B1 KR 102222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llection
laser
probe
collection device
sk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703A (ko
Inventor
최종석
Original Assignee
(주)라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메디텍 filed Critical (주)라메디텍
Priority to KR102018013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9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9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61B5/1411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by percutaneous method, e.g. by lanc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은, 채혈자의 피부와의 접촉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프로브를 구비하는 레이저 채혈기에 장착되는 것으로써, 중공부를 구비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중공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채혈자의 피부에 지지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몸체가 채혈자의 피부에 지지될 때 상기 프로브의 단부가 채혈자의 피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2 몸체에는 상기 프로브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채혈 캡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저 채혈기{CAP FOR COLLECTING BLOOD AND LASER LANC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하는 채혈기 및 이에 구비되는 채혈 캡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기기들의 발전에 따라, 레이저 기기들이 각종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서 활용되는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의료용 레이저의 용도 중 하나가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피부를 천공하는 것이고, 피부를 천공함으로써 채혈을 하거나, 천공된 부위로 약제를 투여하거나, 피부의 점이나 주근깨 등을 제거하는 등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의료용의 레이저 기기는, 레이저가 피부에 직접 조사된다는 점에서 사용 시의 안전성 확보가 중요하다. 예를 들면, 천공이 이루어질 부위에 레이저 기기가 정확하게 위치되어야 하고, 레이저가 조사되는 동안 그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기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은 채혈 캡과 채혈 캡을 포함하는 레이저 채혈기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서는, 레이저 채혈기에 장착 및 탈착되는 채혈 캡이 레이저 채혈기와 천공될 피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채혈 캡은 감염 방지 등을 위해 일회용 등으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된다. 다만, 이러한 채혈 캡의 존재에 의해, 레이저 채혈기가 천공이 이루어지는 피부와 정확하게 고정되도록 위치되는지 여부를 직접적으로 정확하게 감지하는 구성이 구현되기 어렵다.
이에, 위생 확보와 내부 구성 보호를 위해 교체 가능한 채혈 캡이 구비되면서도, 레이저 채혈기가 채혈자의 피부에 접촉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레이저 채혈기가 안전하게 동작될 수 있는 채혈 캡 및 레이저 채혈기 구성이 도출될 필요성이 있다.
KR 10-2018-0096404 A (2018.08.29. 공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레이저 채혈기에 장착되어 채혈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채혈 캡으로, 레이저 채혈기에 구비되는 피부 접촉을 감지하는 구성이 채혈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채혈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레이저 채혈기에 장착됨으로써 레이저 채혈기에 구비되는 피부 접촉을 감지하는 구성을 동작 가능하게 하도록 이루어지는 채혈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채혈 캡의 장착에 의해 피부 접촉을 감지하는 구성이 연결되어 레이저가 발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지는 레이저 채혈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은, 채혈자의 피부와의 접촉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프로브를 구비하는 레이저 채혈기에 장착되는 것으로써, 중공부를 구비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중공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채혈자의 피부에 지지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몸체가 채혈자의 피부에 지지될 때 상기 프로브의 단부가 채혈자의 피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2 몸체에는 상기 프로브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중공부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날개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채혈 캡을 상기 레이저 채혈기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레이저 채혈기에 구비되는 접촉 감지 회로와 상기 프로브를 서로 전기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스위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는, 외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를 상기 레이저 채혈기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레이저 채혈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를 상기 프로브와 접촉하도록 탄성 변형시키는 스위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레이저 채혈기에 삽입되는 측 단부에서 상기 일 방향에 대해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은, 채혈자의 피부와의 접촉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프로브를 구비하는 레이저 채혈기에 장착되는 것으로써, 중공부를 구비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중공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채혈자의 피부에 지지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채혈 캡을 상기 레이저 채혈기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레이저 채혈기에 구비되는 접촉 감지 회로와 상기 프로브를 서로 전기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는, 채혈자의 피부와의 접촉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프로브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어 레이저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레이저 발진기; 상기 레이저 발진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 상기 프로브의 접촉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부에 접촉 인가 신호를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접촉 감지 회로;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 및 탈착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에 장착 시 상기 접촉 감지 회로와 상기 프로브를 서로 전기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채혈 캡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 감지 회로는,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 가압 및 탄성 변형되어 상기 프로브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혈 캡은, 상기 레이저가 통과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중공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채혈자의 피부에 지지되는 제2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몸체가 채혈자의 피부에 지지될 때 상기 프로브의 단부가 채혈자의 피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2 몸체에는 상기 프로브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채혈기는, 상기 하우징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에 파지 인가 신호를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파지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 인가 신호 및 파지 인가 신호와, 사용자에 의한 동작 인가 신호를 전달 받았을 때 상기 레이저 발진기를 작동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해결 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은 채혈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제2 몸체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레이저 채혈기의 프로브가 통과되어 채혈자의 피부와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채혈 캡이 탈착되어 사용되면서도 접촉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레이저 채혈기가 안전하게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은 스위치부가 레이저 채혈기의 접촉 감지 회로와 프로브의 연결 스위치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혈 캡의 장착 상태에서만 접촉 상태가 감지되어, 레이저 채혈기가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 및 레이저 채혈기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채혈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채혈 캡과 레이저 채혈기의 일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채혈 캡과 레이저 채혈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채혈 캡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채혈 캡의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중간에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와,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피부를 천공하여 채혈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은 레이저 채혈기에 장착되는 것으로, 레이저 채혈기 내부의 렌즈 등의 구성을 보호하고, 사용자 간에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은 레이저 채혈기에 장착 및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 및 레이저 채혈기(200)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채혈기(2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채혈 캡(100)과 레이저 채혈기(200)의 일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채혈 캡(100)과 레이저 채혈기(200)의 일부를 분해하여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채혈 캡(10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채혈 캡(100)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은 레이저 채혈기(200)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전방에 장착되어, 채혈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200)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 뒤,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과, 레이저 채혈기(200)에서 채혈 캡(100)이 결합 및 연동되는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200)는 하우징(210), 레이저 발진기(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외관을 형성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에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은 채혈자의 피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 신호(S1)가 전달되는 프로브(213)를 구비한다. 프로브(213)는 하우징(210)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전류 등이 흐를 수 있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발진기(220)는 하우징(210) 내에 위치되고, 레이저를 발생시켜 전방으로 출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이저 발진기(22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는 채혈자의 피부에 조사되어 피부를 천공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레이저 발진기(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신호 인가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복수의 인가 조건이 모두 충족되었을 때 레이저 발진기(220)를 구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200)는 전원부(240) 및 접촉 감지 회로(250), 파지 감지 센서(260) 및 작동 스위치(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40)는 제어부(230) 및 레이저 발진기(2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전원부(240)는 하우징(210) 내부에 내장되고, 충전 및 방전이 반복될 수 있는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부(240)는 외부 전원과 접촉되어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촉 감지 회로(250)는 프로브(213)와 채혈자의 피부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보인 것과 같이, 접촉 감지 회로(250)는 프로브(213)에서 전달되는 접촉 감지 신호(S1)를 전달 받아, 제어부(230)에 접촉 인가 신호(S2)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200)는 접촉 인가 신호(S2)가 제어부(230)에 전달되는 상태를 전제로 레이저 발진기(220)가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감지 회로(250), 프로브(213) 및 하우징(2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결합을 확인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내부에 레이저 발진기(220) 및 제어부(230)가 설치되는 메인 바디(211)와, 레이저가 발진되는 전방으로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조리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개부(212)에는 레이저가 조사되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채혈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프로브(213)가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프로브(213)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조리개부(212)의 내부에는 접촉 감지 회로(250)가 설치될 수 있다. 접촉 감지 회로(250)와 프로브(213)의 전기 연결 및 접촉 감지 신호(S1)의 전달을 위해, 접촉 감지 회로(250)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커넥터(2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촉 감지 회로(250)에서 제어부(230)로 접촉 인가 신호(S2)의 전달을 위해, 접촉 감지 회로(250)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개부(212)는 메인 바디(211)에 서로 대응되는 홈과 돌기 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리개부(212)를 레이저의 발진 방향(전방(F))을 중심축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홈과 돌기 구조가 서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발진기(220)의 접촉 감지 회로(250) 및 프로브(213)와 결합되어 연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은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를 포함한다. 제1 몸체(110)는 중공부(111)를 구비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몸체(1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레이저 발진기(2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중공부(111)를 통과할 수 있다. 제1 몸체(110)는 레이저 채혈기(200)의 하우징(210)에 삽입 장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은 레이저 발진기(220)의 전방(F)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의 단부(전방 단부)에서 중공부(111)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채혈 캡(100)을 장착한 레이저 채혈기(200)의 사용 시, 제2 몸체(120)는 레이저에 의해 천공이 이루어지는 부위 둘레의 채혈자의 피부에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는 동일 재질로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피부에 접촉되고 일회용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1 몸체(110)의 후방 단부에는 레이저가 통과될 수 있는 재질의 마개가 덮여 레이저 채혈기(200) 내부의 렌즈 등의 구성이 보호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이 장착되는 레이저 채혈기(200)에는 프로브(213)가 구비된다. 이때, 채혈 캡(100)이 레이저 채혈기(200)와 채혈자의 피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도 레이저 채혈기(200)의 프로브(213)가 채혈자의 피부와 접촉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의 제2 몸체(120)에는 관통홀(12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에 관통홀(121)이 형성됨으로써, 소모품으로 사용되는 채혈 캡(100)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레이저 채혈기(200)에 장착된 구성요소인 프로브(213)가 채혈자의 피부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이 레이저 채혈기(200)에 장착되어 사용되어 위생 향상 및 렌즈 보호가 가능하면서도 채혈자의 피부와의 접촉 여부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200)의 동작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레이저가 조사되는 조리개부(212)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의 프로브(213)가 배치되는 경우, 한 쌍의 프로브(213)에 대응되도록 제2 몸체(120)에 한 쌍의 관통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몸체(120)는 중공부(111)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날개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날개부(122)는 중공부(111)의 반경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관통홀(121)이 한 쌍의 날개부(12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과 같이 날개부(122)가 형성됨으로써, 제2 몸체(120)의 부재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증대되지 않으면서 관통홀(121)이 중공부(111)와 충분히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중공부(111)에는 채혈자로부터 채혈된 혈액이 수용될 수 있는데, 관통홀(121)이 중공부(111)와 이격됨으로써, 레이저 채혈기(200)에 결합되는 프로브(213)의 오염이 억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레이저 채혈기(200)에 장착됨으로써 레이저 채혈기(200)의 프로브(213)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는 채혈 캡(100)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이와 함께, 채혈 캡(100)의 스위치 구성에 대응되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20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의 제1 몸체(110)는 스위치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부(112)는, 채혈 캡(100)을 레이저 채혈기(200)에 장착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200)의 접촉 감지 회로(250)와 프로브(213)를 서로 전기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6에 자세히 보인 것과 같이, 스위치부(112)는 제1 몸체(1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고 일 방향(채혈 캡(100)이 레이저 채혈기(200)에 삽입 및 이탈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부(112)는 레이저 채혈기(200)(예를 들면, 조리개부(212))에 삽입되었을 때, 접촉 감지 회로(250)에서 돌출되어 있는 커넥터(251)를 가압할 수 있다. 스위치부(112)에 의해 가압되는 커넥터(251)는 탄성 변형되면서 프로브(213)와 접촉 및 전기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스위치부(112)에 의해서 프로브(213)와 전기 접촉 회로가 서로 연결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200)는 커넥터(251)와 프로브(213)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이 장착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서로 이격되어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리개부(212)의 전후 방향 중심축의 반경 방향으로, 프로브(213)는 커넥터(251)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이 커넥터(25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커넥터(251)가 가압되여 외측으로 밀려나(탄성 변형되어) 프로브(213)와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200)에서, 접촉 감지 회로(250)는 메인 바디(211)와 조리개부(21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촉 감지 회로(250)는 인쇄 회로 기판(PCB)으로 이루어져 레이저 하우징(210)에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커넥터(251)는, 접촉 감지 회로(250)의 전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커넥터(251)는 탄성력의 확보를 위해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촉 감지 회로(250)는 한 쌍의 연장부(252)에 의해 메인 바디(211) 내부의 제어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부(112)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스위치부(112)는 경사부분(112a)을 구비할 수 있다. 경사부분(112a)은 제1 몸체(110)의 레이저 채혈기(200)에 삽입되는 측 단부(후방 단부)에 일 방향(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분(112a)이 형성됨으로써, 채혈 캡(100)의 제1 몸체(110)가 조리개부(212)에 삽입될 때 스위치부(112)가 커넥터(251)를 프로브(213)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부(112) 및 커넥터(251)의 동작 신뢰성과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다.
스위치부(112)가 커넥터(251)와 프로브(213)를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프로브(213) 및 접촉 감지 회로(250)는 채혈자의 피부에 프로브(213)가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전류, 자기장 또는 파형 등을 감지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접촉 감지 회로(25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접촉 감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부(112)가 형성되는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채혈 캡(100)이 레이저 채혈기(200)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만 프로브(213)에 의한 접촉 감지 신호(S1)가 접촉 감지 회로(250)로 전달되고, 나아가, 접촉 인가 신호(S2)가 제어부(230)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 및 레이저 채혈기(200)는 안전하게 결합된 상태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200)는 프로브(213)에 의한 접촉 감지 외에도, 사용자의 정확한 파지 상태에서만 동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지 감지 센서(260)는 사용자가 하우징(210)을 파지하였을 때 제어부(230)에 파지 인가 신호(S3)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파지 감지 센서(260)는 하우징(210)의 표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었을 때 물리적 또는 광학적인 변화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접촉 인가 신호(S2) 및 파지 인가 신호(S3)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작동 스위치(270)로부터 동작 인가 신호(S4)가 모두 인가된 상태에서만 레이저 발진기(22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인가 신호(S2, S3, S4)가 모두 인가될 때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 및 레이저 채혈기(200)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6에 보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캡(100)의 제1 몸체(110)는, 결합부(113) 및 유로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13)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200)와 채혈 캡(100)의 안정적인 결합 및 분리를 돕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결합부(113)는 제1 몸체(1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부분과, 돌출되는 부분의 양 측에 제1 몸체(110)의 일부가 절개되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13)는 삽입 및 이탈 시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조리개부(212)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조리개부(212)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유로부(114)는 제1 몸체(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환기 및 냉각을 위해 하우징(210)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기 유동이 흐르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113) 및 유로부(114)는 제1 몸체(110)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122), 관통홀(121), 스위치부(112)는 상하 방향과 교차하는(직교하는) 양측 방향으로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공기 또는 혈액의 이동 경로가 프로브(213)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프로브(213)의 오염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는 날개부(122)를 시각 또는 촉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레이저 채혈기(200)에 채혈 캡(100)을 빠르고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채혈 캡
110: 제1 몸체
111: 중공부
112: 스위치부
112a: 경사부분
113: 결합부
114: 유로부
120: 제2 몸체
121: 관통홀
122: 날개부
200: 레이저 채혈기
210: 하우징
211: 메인 바디
212: 조리개부
213: 프로브
220: 레이저 발진기
230: 제어부
240: 전원부
250: 접촉 감지 회로
251: 커넥터
252: 연장부
260: 파지 감지 센서
270: 작동 스위치

Claims (10)

  1. 채혈자의 피부와의 접촉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프로브를 구비하는 레이저 채혈기에 장착되는 채혈 캡에 있어서,
    중공부를 구비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중공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채혈자의 피부에 지지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중공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가 채혈자의 피부에 지지될 때 상기 프로브의 단부가 채혈자의 피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날개부에 상기 프로브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캡.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채혈 캡을 상기 레이저 채혈기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레이저 채혈기에 구비되는 접촉 감지 회로와 상기 프로브를 서로 전기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채혈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외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를 상기 레이저 채혈기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레이저 채혈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를 상기 프로브와 접촉하도록 탄성 변형시키는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채혈 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레이저 채혈기에 삽입되는 측 단부에서 상기 일 방향에 대해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부분을 구비하는 채혈 캡.
  6. 채혈자의 피부와의 접촉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프로브를 구비하는 레이저 채혈기에 장착되는 채혈 캡에 있어서,
    중공부를 구비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중공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채혈자의 피부에 지지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는, 외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채혈 캡을 상기 레이저 채혈기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레이저 채혈기에 구비되는 접촉 감지 회로의 커넥터를 상기 프로브와 접촉하도록 탄성 변형시켜, 상기 커넥터와 상기 프로브를 서로 전기 연결시키는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채혈 캡.
  7. 채혈자의 피부와의 접촉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프로브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어 레이저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레이저 발진기;
    상기 레이저 발진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
    상기 프로브의 접촉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부에 접촉 인가 신호를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접촉 감지 회로;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 및 탈착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에 장착 시 상기 접촉 감지 회로와 상기 프로브를 서로 전기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채혈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감지 회로는,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 가압 및 탄성 변형되어 상기 프로브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레이저 채혈기.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 캡은,
    상기 레이저가 통과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중공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채혈자의 피부에 지지되는 제2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몸체가 채혈자의 피부에 지지될 때 상기 프로브의 단부가 채혈자의 피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2 몸체에는 상기 프로브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채혈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에 파지 인가 신호를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파지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 인가 신호 및 파지 인가 신호와, 사용자에 의한 동작 인가 신호를 전달 받았을 때 상기 레이저 발진기를 작동시키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채혈기.
KR1020180133659A 2018-11-02 2018-11-02 채혈 캡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저 채혈기 Active KR102222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59A KR102222922B1 (ko) 2018-11-02 2018-11-02 채혈 캡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저 채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59A KR102222922B1 (ko) 2018-11-02 2018-11-02 채혈 캡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저 채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703A KR20200050703A (ko) 2020-05-12
KR102222922B1 true KR102222922B1 (ko) 2021-03-04

Family

ID=7067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659A Active KR102222922B1 (ko) 2018-11-02 2018-11-02 채혈 캡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저 채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9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5917B1 (ko) * 2021-11-05 2024-07-17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펄스 레이저 조사 장치
CN114587353A (zh) * 2022-03-31 2022-06-07 成都沃达惠康科技股份有限公司 激光采血仪防护罩内包装、包装一体防护罩及其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7978A1 (en) * 2006-03-22 2011-09-29 Panasonic Corporation Blood tes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24220B1 (ko) 2012-07-23 2013-01-21 (주)라메디텍 천공 깊이와 크기 조정이 가능한 레이저 천공기
KR101266681B1 (ko) 2005-09-21 2013-05-22 더 데자크 그룹 리미티드 레이저 체모 제거 장치
US20140296743A1 (en) * 2013-04-01 2014-10-02 Kee Jung Choi Portable laser blood sampling device having dual safety device and disposable cap used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711B1 (ko) * 2015-04-02 2017-06-01 (주)라메디텍 레이저 조사장치
KR101976046B1 (ko) 2017-02-21 2019-05-08 (주)라메디텍 채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채혈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681B1 (ko) 2005-09-21 2013-05-22 더 데자크 그룹 리미티드 레이저 체모 제거 장치
US20110237978A1 (en) * 2006-03-22 2011-09-29 Panasonic Corporation Blood tes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500655B2 (en) 2006-03-22 2013-08-06 Panasonic Corporation Blood tes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24220B1 (ko) 2012-07-23 2013-01-21 (주)라메디텍 천공 깊이와 크기 조정이 가능한 레이저 천공기
US20140296743A1 (en) * 2013-04-01 2014-10-02 Kee Jung Choi Portable laser blood sampling device having dual safety device and disposable cap used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703A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0660B2 (ja) カニューラの挿入検出
KR102222922B1 (ko) 채혈 캡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저 채혈기
JP5351419B6 (ja) 血液検査装置および血液検査方法
EP3572026B1 (en) Surgical instrument with dual mode end effector and side-loaded clamp arm assembly
US6977495B2 (en) Detection circuitry for surgical handpiece system
EP1214913B1 (en) Detection circuitry for surgical handpiece system
EP2928400B1 (en) Electrosurgical handpiece
CN118175928A (zh) 修剪器
MXPA05004579A (es) Sistema de activacion para un dispositivo de extraccion de fluido corporal y metodos relacionados.
JP2002186627A (ja) 超音波処置装置
KR20050072941A (ko) 다중 전극을 갖는 생체신호 검출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장치
US20230011504A1 (en) Liquid medicine injection device
KR101792232B1 (ko) 체온측정장치
WO2006046570A1 (ja) ランセ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ランセットデバイス
JP2007117157A (ja) 生体信号送信機、及び生体情報検出装置
US20160022182A1 (en) Probe for non invasive optical monitoring
JP4301512B2 (ja) 穿刺部の監視装置
KR20170111286A (ko)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생체 파라미터 검출장치
JP3801361B2 (ja) 頸動脈波検出装置
JP3996823B2 (ja) 体液成分測定装置と制御方法
JP2007132703A (ja) 水分センサー用コネクタ
JP2003159223A (ja) 生体信号検出装置
JP3226303U (ja) 水分センサ用コネクタ及び水分報知装置
KR102818106B1 (ko) 수술용 연기 흡입 장치
CN211434815U (zh) 分离式超声治疗探头及超声治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