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2334B1 - A cleaner - Google Patents

A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334B1
KR102222334B1 KR1020190082291A KR20190082291A KR102222334B1 KR 102222334 B1 KR102222334 B1 KR 102222334B1 KR 1020190082291 A KR1020190082291 A KR 1020190082291A KR 20190082291 A KR20190082291 A KR 20190082291A KR 102222334 B1 KR102222334 B1 KR 102222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st
housing
cleaner
lif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2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40163A (en
Inventor
이동재
고무현
권혜리
이동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874,416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57783B2/en
Priority to GB2116409.0A priority patent/GB2598067B/en
Priority to AU2020288050A priority patent/AU2020288050B2/en
Priority to CN202080038245.7A priority patent/CN113873927B/en
Priority to PCT/KR2020/006750 priority patent/WO2020246740A2/en
Priority to DE112020002655.8T priority patent/DE112020002655B4/en
Publication of KR2020014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1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33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2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means for connecting a ho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청소기는, 흡입 개구를 구비하는 하측부에 먼지통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흡입 개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외측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 공간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승강동작하는 가동부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승강동작하는 조작부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수용되고, 상기 조작부와 상기 가동부를 연결하는 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먼지통은,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승강홈부를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한다. The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rovided with a dust bin at a lower portion having a suction opening, a filter part that filters dust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opening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outer side of the filter part. A movable part for lifting and lowering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t least a part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n operation part for lifting and lowering by a user's operation, and at least part of the housing And a transfer unit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and connects the operation part and the movable part, and the dust bin is formed with an elevating groove formed concave outwardly from the inner surfac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청소기{A cleaner} Cleaner {A cleaner}

본 명세서는 먼지압축 기능을 갖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compression function.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performs cleaning by inhaling or wiping dust or foreign matter from the area to be cleaned.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Such a vacuum cleaner may be divided into a manual cleaner for cleaning while the user directly moves the cleaner, and an automatic cleaner for cleaning while driving by itself.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addition, manual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a canister-type cleaner, an upright-type cleaner, a handy-type cleaner, and a stick-type cleaner,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leaner.

<선행문헌><Prior literature>

1.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18/0132685A11. US Patent Publication No. US2018/0132685A1

상기 선행문헌에는, 먼지통 내에서 먼지를 압축하는 먼지 압축부를 포함하는 압축 기구가 개시된다. In the prior document, a compression mechanism including a dust compression unit for compressing dust in a dust container is disclosed.

상기 압축 기구는, 개구를 구비하는 먼지통과, 먼지통 내에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필터를 둘러싸는 쉬라우드와 상기 쉬라우드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먼지 압축부와, 상기 먼지 압축부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핸들과, 핸들에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ression mechanism includes: a dust container having an opening, a filter for purifying air in the dust container, a shroud surrounding the filter, a dust compression unit disposed to surround the shroud, and a user to move the dust compression unit It may include a handle to manipulate and a link connected to the handle.

상기 핸들의 조작력이 상기 링크를 통해 먼지 압축부로 전달되어 상기 먼지 압축부가 하강함에 따라서 상기 먼지 압축부가 상기 먼지통 내의 먼지를 압축하게 된다. As the operation force of the handle is transmitted to the dust compression unit through the link and the dust compression unit descends, the dust compression unit compresses the dust in the dust bin.

종래, 먼지압축 기능이 없는 청소기를 사용 시, 먼지통에 먼지가 쌓이면, 곧 바로 먼지통을 비울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먼지통에 먼지가 빨리 차서 먼지통을 비우는 주기가 짧아지면서,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Conventionally, when using a vacuum cleaner that does not have a dust compression function, if dust accumulates in the dust container, the dust container must be immediately emptied. Therefore, the dust bin was quickly filled with dust and the cycle of emptying the bin was shortened, causing a cumbersome problem.

또한, 먼지통 비움 시, 먼지가 날리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dust bin was emptied, there was also a problem of blowing dust.

하지만, 선행문헌과 같이, 먼지통을 압축하는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 먼지통에 먼지가 차면, 먼지를 압축시켜 먼지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However, as in the prior literature, when a structure for compressing the dust bin is applied, when the dust bin is filled with dust, the volume of the dust can be reduced by compressing the dust.

따라서, 먼지 압축에 의해 먼지통을 자주 비우지 않아도 되고, 먼지 비움 시 먼지가 날리는 현상도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empty the dust bin frequently due to dust compression,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henomenon of dust blowing when emptying the dust is also reduced.

하지만, 먼지통 내부에, 먼지를 압축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되면서, 먼지 압축부가 이동하는 레일부에 먼지가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while a structure for compressing dust is provided inside the dust bin, there is a problem that dust enters the rail portion where the dust compression unit moves.

특히, 먼지통 내에서, 먼지 압축부 하강 시, 먼지 압축부 상측의 레일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면서, 그 틈새로 먼지가 유입하게 된다.Particularly, in the dust bin, when the dust compression unit descends, the rail portion above the dust compression unit is opened to the outside, and dust enters the gap.

상기와 같이, 먼지통의 먼지가 레일부에 들어가면, 먼지 압축부의 승강 동작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하여, 먼지 압축부의 승강 동작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ust in the dust bin enters the rail, it acts as a disturbing factor in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dust compression unit, causing a problem tha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dust compression unit cannot proceed smoothly.

특히, 먼지 압축부의 하강 시, 먼지 압축부 상측의 레일부에 끼인 먼지로 인해서, 먼지 압축부의 상승 동작이 방해를 받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particular, when the dust compression unit descends, due to the dust trapped in the rail on the upper side of the dust compression un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ing operation of the dust compression unit is hindered.

또한, 사용자는 먼지 압축부를 강제로 상승시키기 위해 큰 힘을 들여야 하고, 먼지 압축부에 큰 힘이 들어 가면서, 먼지통 또는 먼지 압축부 등의 부품이 파손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ser has to exert a large force to forcibly lift the dust compression unit, and as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dust compression unit, there is a problem that parts such as the dust bin or the dust compression unit are damaged.

따라서, 먼지통 내에 형성된 레일부로 먼지통의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킬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lock the dust from the dust bin from entering the rail portion formed in the dust bin.

또한, 먼지통 내에 먼지 또는 이물질이 레일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면서도, 먼지 압축부의 승강동작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먼지유입 방지수단이 채택될 필요가 있다.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dopt a means for preventing inflow of dust in a range that does not affec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dust compression unit while blocking dust or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rail unit in the dust bin.

본 실시 예는, 먼지통에 유입된 먼지를 압축시키되, 가동부 및 전달부의 승강 동작 시, 먼지통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승강홈부로 먼지통의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vacuum cleaner that compresses dust introduced into a dust bin, and blocks dust and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dust bin into an elevation groove formed concave inside the dust bin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and the delivery part.

본 실시예는, 먼지통 압축을 위해, 가동부가 승강동작하는 경우, 승강홈부의 입구를 차단시켜 먼지의 유입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vacuum cleaner capable of preventing the inflow of dust and foreign substances by blocking the entrance of the elevating groove when the movable part moves up and down to compress the dust bin.

본 실시예는, 가동부의 승강여부에 관계 없이, 승강홈부의 입구가 막힌 상태를 유지하되, 가동부의 승강동작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구획부재가 형성된 청소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vacuum cleaner having a partition member that maintains a closed state of the entrance of the elevating groove portion, but does not affect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movable por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movable portion is elevating or not.

본 실시 예는 먼지통의 내측에서 먼지압축을 위해 승강하는 가동부 및 전달부의 승강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vacuum cleaner capable of smoothly performing an elevating operation of a moving unit and a transmission unit that moves up and down for dust compression from the inside of a dust bin.

본 실시 예는 승강홈부에 먼지통의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지만, 먼지압축을 위한 가동부 및 전달부의 승강동작에 저항을 주지 않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vacuum cleaner that blocks dust and foreign matter from the dust bin from entering into the lifting groove, but does not give resistance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ing part and the transfer part for compressing the dust.

일 측면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 개구를 구비하고 하측에 먼지통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먼지통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서 승강동작하면서 먼지통 내측의 먼지를 압축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한다.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uction opening and a dust bin at a lower side, and a movable part for compressing dust inside the dust bin while lifting and lower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ust bin.

상기 흡입 개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한다. It further includes a filter unit that filters dust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opening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필터부의 내측 영역에서 상기 필터부를 지난 공기를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It further includes an air guide for guid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in the inner region of the filter unit to 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suction force.

상기 가동부는 상기 필터부의 외측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 공간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승강동작한다. The movable part moves up and down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filter par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승강동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한다.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further includes a manipulation unit that moves up and down by a user's manipulation.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수용되고, 상기 조작부와 상기 가동부를 연결하는 전달유닛을 더 포함한다. At least a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further comprises a transfer unit connecting the operation portion and the movable portion.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가동부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전달부와, 상기 제2전달부의 상측과 상기 조작부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1전달부를 포함한다. The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second transmission unit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movable unit, and a first transmission unit connecting an upper side of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and an upper side of the operation unit.

상기 먼지통은,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승강홈부를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한다. The dust bin has an elevating groove formed concave outward from the inner surfac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승강홈부에는, 상기 먼지통의 먼지 및 이물질이 상기 승강홈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구획부재가 구비된다. The elevating groove portion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member that blocks dust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dust bin from entering the elevating groove portion.

상기 가압부의 승강 동작시, 상기 제2전달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승강홈부에 수용되어 안내된다.Dur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part,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is accommodated and guided in the lifting groove.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기 승강홈부에 의해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바디가 형성된다.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 protruding body protruding outward by the lifting groove is formed.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승강홈부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먼지통의 내부공간과, 상기 승강홈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한다.The partit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inlet side of the lifting groove and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dust container and the inner space of the lifting groove.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가동부와 상기 제2전달부의 연결부가 통과되게 상하방향을 따라 슬릿을 형성한다. The partition member forms a sli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movable par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pass.

상기 슬릿은, 상기 연결부의 승강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The sli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an elevating oper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연결부가 하강하면, 상기 슬릿은 닫히고, 상기 연결부가 상승하면, 상기 슬릿은 열린다.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lowered, the slit is closed, and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raised, the slit is opened.

상기 구획부재는, 지퍼방식 또는 지퍼락 방식으로 개폐된다.The partition member is opened and closed by a zipper method or a zipper lock method.

상기 구획부재는, 신축성 또는 가요성을 갖는 쿠션재질로 형성된다.The partition member is formed of a cushion material having elasticity or flexibility.

상기 구획부재는, 기모(起毛)재질로 형성된다.The partition member is formed of a brushed material.

상기 구획부재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The partition member is formed of a rubber or silicone material.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승강홈부의 입구 측에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단부는 적어도 일부 중첩되게 형성된다.The partition memb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side of the elevating groove, and the end portions forming the slit are formed to overlap at least partially.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승강홈부의 입구 측에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단부는 적어도 일부 면접촉하게 형성된다.The partition memb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side of the elevating groove, and the ends forming the slit are formed in at least some surface contact.

상기 가동부는 상기 먼지통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승강 동작한다. The movable part moves up and dow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ust bin.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operation unit,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조작부 또는 전달유닛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operation unit or the transmission unit.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조작부를 상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한다. The elastic member provides a force to push the operation part upward.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바의 외주면에 삽입된다. A support bar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is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and the elastic member is inserted in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ar.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핸들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핸들부의 일측에 인접해서 형성된다. A handle portion is formed outside the housing, and the operation portion is form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먼지통에 유입된 먼지를 압축시키 위해, 가동부 및 전달부의 승강 동작 시, 먼지통 내측에 형성된 승강홈부로 먼지통의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in order to compress the dust introduced into the dust bin, it is possible to block the dust and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lifting groove formed inside the dust bin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and the transmission part.

또한, 먼지통 압축을 위해, 가동부가 하강하는 경우, 승강홈부의 입구를 차단시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compress the dust bin, when the movable part descends, there is an advantage of blocking the entrance of the lifting groove part.

또한, 가동부의 승강여부에 관계 없이, 승강홈부의 입구가 막힌 상태를 유지하되, 가동부의 승강동작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movable part is elevating or not, the entrance of the elevating groove is kept blocked, b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does not affec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또한, 먼지통의 내측에서 먼지압축을 위해 승강하는 가동부 및 전달부의 승강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able unit and the transmission unit that moves up and down for dust compression from the inside of the dust bin can be smoothly performed.

또한, 먼지통의 먼지 압축을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부를 누를 때,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mpress the dust in the dust bin,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unit, the feeling of operation that the user feels can be kept constant.

또한, 먼지 압축 후, 사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더라도, 조작부가 스스로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dust compress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exert effort, the operation unit can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by itself.

또한, 승강홈부에 먼지통의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지만, 먼지압축을 위한 가동부 및 전달부의 승강동작에 저항을 주지 않아, 가동부 및 전달부의 승강동작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dust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dust bin ar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lifting groove,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and the transmission part for dust compression is not resisted, so tha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and the delivery part can proceed smooth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에서 핸들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가이드 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5-5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 기구의 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승강홈부의 입구에 형성된 먼지유입 방지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part is separated from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frame is separated from FIG. 2;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5-5 of FIG. 1;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mpress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structure for preventing inflow of dust formed at an entrance of an elevating groove.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an understanding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for distinguishing th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에서 핸들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가이드 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5-5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part is separated from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guide frame separated from FIG. A view showing a state,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5-5 of FIG. 1.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는, 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1)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본체(2)로 안내할 수 있다. 1 to 5, a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2. The cleaner 1 may include a suction unit 5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The suction part 5 may guide air containing dust to the main body 2.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핸들부(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3)는 상기 본체(2)에서 일 예로 상기 흡입부(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흡입부(5)와 상기 핸들부(3)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art 3 coupled to the main body 2. The handle part 3 may be located in the body 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ction part 5, for example. However, the positions of the suction part 5 and the handle part 3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본체(2)는, 상기 흡입부(5)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고,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separate dust suck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suction unit 5 and store the separated dust.

일 예로 상기 본체(2)는 먼지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분리부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제 1 싸이클론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는 상기 흡입부(5)와 연통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in body 2 may include a dust separator. The dust separa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cyclone unit 110 capable of separating dust through a cyclone flow. The first cyclone unit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unit 5.

상기 흡입부(5)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Air and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rt 5 spirally flow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yclone part 110.

상기 먼지 분리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제 2 싸이클론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ust sepa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yclone unit 140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110 again.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는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14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는 상기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142)로 나뉘어 통과할 수 있다. The second cyclone unit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yclone bodies 142 disposed in parallel. Air may be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cyclone bodies 142 and passed therethrough.

다른 예로서, 상기 먼지 분리부가 단일의 싸이클론부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he dust separation unit has a single cyclone unit.

상기 본체(2)는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하우징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and may have an external shape formed by a plurality of housings.

일 예로 상기 본체(2)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태의 제 1 하우징(10)과, 상기 제 1 하우징(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실질적으로 원통 형태의 제 2 하우징(12)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in body 2 may include a first housing 10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second housing 12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housing 10 and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

상기 제 1 하우징(10)의 상측부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를 정의하고, 상기 제 1 하우징(10)의 하측부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112)을 정의할 수 있다. A dust bin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0 defines the first cyclone portion 110,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0 stores dust separated from the first cyclone portion 110 (112) can be defined.

상기 먼지통(112)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제 1 먼지 저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ust bin 112 may include a first dust storage unit 120 that stores dust separat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110.

상기 제 1 하우징(10)의 하측(즉, 먼지통(112)의 하측)은 힌지에 의해서 회전 동작하는 하우징 커버(114)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The lower side of the first housing 10 (ie,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112)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housing cover 114 rotating by a hinge.

상기 제 1 하우징(10)과 상기 제 2 하우징(12)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10)과 상기 제 2 하우징(12)의 경계 부위의 실링을 위하여, 상기 청소기(1)는, 실링 부재(16)와, 상기 실링 부재(16)를 지지하는 지지 바디(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eal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12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12 are coupled, the cleaner 1, A sealing member 16 and a support body 14 supporting the sealing member 16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 1 하우징(10)과 상기 제 2 하우징(12) 각각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다. 즉, 상기 각 하우징(10, 12)은 상측 개구 및 하측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12 is opened at upper and lower sides. That is, each of the housings 10 and 12 may include an upper opening and a lower opening.

한편, 상기 지지 바디(14)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바디(14)가 상기 제 1 하우징(10)의 상측 개구를 통해 상기 제 1 하우징(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바디(14)의 외경은 상기 제 1 하우징(1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upport body 14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body 14 is the first housing 10 so that the support body 14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10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first housing 10. It may be formed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상기 지지 바디(14)가 상기 제 2 하우징(12)의 하측 개구를 통해 상기 제 2 하우징(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바디(14)의 외경은 상기 제 2 하우징(12)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body 14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housing 12 so that the support body 14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12 through the lower opening of the second housing 12. It may be formed equal to or smaller than.

상기 지지 바디(14)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연통 개구(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body 14 may include a communication opening 15 through which air passes.

상기 실링 부재(16)는 상기 지지 바디(14)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 바디(14)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실링 부재(16)는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상기 지지 바디(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실링 부재(16)가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지지 바디(14)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aling member 16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body 14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4. For example, the sealing member 16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 body 14 by insert injection. Alternatively, the sealing member 16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4 by an adhesiv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 바디(14)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하우징(10)의 상단이 상기 제 2 하우징(12)의 하단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먼지와 공기는 상기 흡입부(5)의 내부를 지난 후에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로 유입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body 14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using 10 may directly contac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ousing 12. In addition, dust and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cyclone unit 110 after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suction unit 5.

본 명세서에서, 상기 흡입부(5)에서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구성을 상기 본체(2)의 흡입 통로라 이름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a configuration for guiding air from the suction part 5 to the first cyclone part 110 may be referred to as a suction passage of the main body 2.

상기 본체(2)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필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unit 130 disposed to surround the second cyclone unit 140.

상기 필터부(130)는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를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로 안내한다. 상기 필터부(130)는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먼지를 필터링한다. The filter unit 1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and guides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in the first cyclone unit 110 to the second cyclone unit 140. The filter unit 130 filters dust while air passes.

이를 위하여 상기 필터부(130)는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메쉬부(132)(mesh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부(13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ilter unit 130 may include a mesh portion 132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he mesh portion 132 is not limited, but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상기 메쉬부(132)가 공기를 필터링하므로, 상기 메쉬부(132)에 먼지가 쌓일 수 있어, 상기 메쉬부(132)의 청소가 필요하다. Since the mesh part 132 filters air, dust may accumulate in the mesh part 132, and the mesh part 132 needs to be cleaned.

본 발명에서 상기 청소기(1)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할 수 있는 상기 압축 기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the compression mechanism 70 capable of compressing dust stor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1.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의 용적은 제한적이므로, 반복적인 청소 시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먼지의 양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청소기(1)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 시간이나 횟수가 제한될 수 있다. Since the volume of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0 is limited,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0 increases during repeated cleaning, and accordingly, the use of the cleaner 1 Time or number of times may be limited.

만약,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에 저장된 먼지의 양이 증가되면,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 커버(114)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를 개방시키도록 하여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의 먼지를 비워야 한다. If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0 increases, the user causes the housing cover 114 to ope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0 so that the first dust storage unit ( 120) of dust should be emptied.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압축 기구(70)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하는 경우,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에 저장된 먼지의 밀도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dust stor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0 is compressed using the compression mechanism 70, the density of the dust stor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0 increases, and accordingly The volume is reduced.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먼지통(112)을 비우기 위한 횟수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먼지를 비우기 전까지 사용 가능한 시간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times for emptying the dust bin 112 is reduced, and accordingly, the usable time before emptying the dust is increased.

상기 압축 기구(70)는 이동 과정에서 상기 메쉬부(132)도 청소할 수 있다. The compression mechanism 70 may also clean the mesh portion 132 during the moving process.

상기 압축 기구(70)는, 상기 본체(2) 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부(750)와, 상기 가동부(75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710)와, 상기 조작부(710)의 조작력을 상기 가동부(750)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유닛(720, 7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ression mechanism 70 includes a movable part 750 movable within the main body 2, an operation part 710 operated by a user to move the movable part 750, and an operation force of the operation part 710. It may include a delivery unit (720, 730) for delivery to the movable part (750).

기 가동부(750)는 일 예로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에 구비되는 구조물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710)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movable part 75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for example, so that interference with a structure provided in the first dust storage part 120 may be prevented. The manipulation unit 710 may have a structure that a user can press.

상기 조작부(710)는, 상기 본체(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부(710)는 상기 제 1 하우징(10) 및 상기 제 2 하우징(12)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unit 71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main body 2. For example, the manipulation unit 710 may be located outside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12.

또한, 상기 조작부(710)는 핸들부(3)와 인접해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들부(3)를 잡고 있다가, 먼지 압축이 필요한 경우, 핸들부(3) 근처에 형성된 조작부(710)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ipulation part 710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handle part 3.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operation unit 710 formed near the handle unit 3 when dust compression is required while holding the handle unit 3.

또한, 상기 조작부(7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하우징(10)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7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동부(750)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71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housing 10.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71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movable unit 750.

상기 조작부(710)는 누름부(7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714)는 상기 제 1 하우징(10) 및 상기 가동부(750)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unit 710 may include a pressing unit 714. The pressing part 714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movable part 750.

상기 조작부(710)는, 상기 누름부(714)가 형성된 부분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누름부(714)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operation part 710, a portion in which the pressing part 714 is formed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ressing part 714 may be formed to be concave downward.

상기 조작부(710)는 상기 조작부 바디(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바디(712)는 좌우 폭에 비하여 상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714)는 상기 조작부 바디(712)의 상측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unit 710 may include the manipulation unit body 712. The manipulator body 712 may have a vertical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The pressing part 714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operation part body 712.

상기 조작부 바디(712)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714)가 상기 조작부 바디(712)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manipulation part body 712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pressing part 714 may protrude from the manipulation part body 712 in a horizontal direction.

일 예로, 상기 누름부(714)는 상기 조작부 바디(712)의 하단 보다 상단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ssing part 714 may be positioned closer to an upper end than a lower end of the operation part body 712.

상기 조작부 바디(712)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누름부(714)가 돌출될 수 있다. The pressing part 714 may protrude from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manipulation part body 712.

상기 누름부(714)는, 상기 조작부 바디(712)에서 돌출되는 제 1 부분(714a)과, 상기 제 1 누름부(714a)에서 추가적으로 돌출되는 제 2 부분(714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sing part 714 may include a first part 714a protruding from the operation part body 712 and a second part 714b additionally protruding from the first pressing part 714a.

상기 제 2 부분(714b)은 상기 제 1 부분(714a)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될 수 있다. The second portion 714b may protrude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portion 714a to a lower sid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rtion 714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사용자는 상기 제 2 부분(714b)의 상면(714d)을 눌러 상기 조작부(71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부분(714b)의 상면(714d)이 누름면 역할을 한다. The user may move the manipulation unit 710 downward by pressing the upper surface 714d of the second part 714b.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714d of the second portion 714b serves as a pressing surface.

상기 조작부(710)는 상기 조작부 바디(712)에서 상기 누름부(714)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결합 돌출부(도 6의 716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part 71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see 716 of FIG. 6) positioned on the manipulation part body 712 opposite to the pressing part 714.

상기 핸들부(3)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 바디(30)와, 상기 핸들 바디(30)의 하측에 배치되며 배터리(600)를 수용할 수 있는 배터리 하우징(6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part 3 may include a handle body 30 for gripping a user, and a battery housing 60 disposed under the handle body 30 and capable of accommodating a battery 600. .

상기 핸들 바디(30)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핸들 바디(30)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handle body 30 and the battery housing 60 may b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handle body 30 may be disposed above the battery housing 60.

상기 핸들부(3)는, 상기 조작부(710)의 일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조작부(7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The handle part 3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manipulation part 710 while covering a part of the manipulation part 710.

일 예로, 상기 핸들부(3)는 조작부 커버(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커버(62)는 상기 핸들 바디(30)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andle part 3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part cover 62. The operation part cover 62 may be located at the side of the handle body 30 and the battery housing 60.

상기 조작부 커버(62)는 상기 핸들 바디(30)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6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peration part cover 6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body 30 and the battery housing 60 or may be formed separately.

상기 조작부 커버(62)가 상기 핸들 바디(30)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60)과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조작부 커버(62)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part cover 62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handle body 30 and the battery housing 60, the operation part cover 62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2.

사용자가 상기 핸들 바디(30)를 오른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710)는 상기 핸들 바디(30)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핸들 바디(30)를 왼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710)가 상기 핸들 바디(30)의 우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While the user grips the handle body 30 with the right hand, the manipulation unit 710 may b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handle body 30.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manipulation unit 710 to b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handle body 30 while the handle body 30 is held by the left hand.

따라서, 상기 핸들 바디(30)를 파지하지 않는 손으로 상기 조작부(710)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manipulate the manipulation unit 710 with a hand that does not hold the handle body 30.

상기 조작부(710)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1)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unit 710 may m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A1 of the cyclone flow of the first cyclone unit 110.

일 예로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1)은 상기 먼지통(112)이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xis A1 of the cyclone flow of the first cyclone part 11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dust container 112 is placed on the floor.

따라서, 상기 조작부(710)도 상기 먼지통(112)이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anipulation unit 710 may also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dust container 112 is placed on the floor.

상기 조작부(710)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조작부 커버(62)에는 슬롯(6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710)의 누름부(714)가 상기 슬롯(63)을 관통할 수 있다. A slot 63 may be formed in the operation part cover 62 to move the operation part 710. The pressing part 714 of the manipulation part 710 may pass through the slot 63.

상기 조작부 바디(712)의 상하 길이는 상기 슬롯(63)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바디(712)의 좌우 폭은 상기 슬롯(63)의 좌우 폭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manipulator body 712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lot 63.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manipulator body 712 may be lon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lot 63.

상기 누름부(714)의 좌우 폭은 상기 슬롯(63)의 좌우 폭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누름부(714)의 상하 길이는 상기 슬롯(63)의 상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pressing portion 714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lot 63.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pressing part 714 may be smaller than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slot 63.

상기 누름부(714)의 돌출 길이는 상기 조작부 커버(62)의 전후 폭 보다 클 수 있다.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essing part 714 may be great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manipulation part cover 62.

따라서, 상기 누름부(714)는 상기 슬롯(63)을 관통할 수 있고, 상기 슬롯(63)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 커버(6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sing part 714 may pass through the slot 63, and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anipulation part cover 62 while passing through the slot 63.

상기 조작부 바디(712)의 좌우 폭은 상기 조작부 커버(62)의 좌우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조작부 바디(712)의 상하 길이는 상기 조작부 커버(62)의 좌우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manipulation unit body 712 may be small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manipulation unit cover 62.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operation part body 712 may be small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operation part cover 62.

상기 조작부 바디(712)의 전후 폭은 상기 조작부 커버(62)의 전후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조작부 커버(62)는 상기 조작부 바디(712)가 위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바디(712)가 상기 조작부 커버(62)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 바디(712)가 상하 방향 이동할 수 있다.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manipulation unit body 712 may be small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manipulation unit cover 62. The manipulation part cover 62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manipulation part body 712 is located. While the manipulation part body 712 is positioned within the manipulation part cover 62, the manipulation part body 712 may move up and down.

상기 조작부 커버(62) 내에서 상기 조작부 바디(712)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part body 712 may move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within the manipulation part cover 62.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조작부 바디(712)가 최 상측으로 이동했을 때의 위치이고,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조작부 바디(712)가 최 하측으로 이동했을 때의 위치이다. The first position is a position when the operation part body 712 is moved to the uppermost side, and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when the operation part body 712 is moved to the lowermost side.

상기 조작부(710)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 바디(712)는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anipulation unit 710, the manipulation unit body 712 may be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상기 조작부 바디(712)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 바디(712)는 상기 슬롯(63)을 커버할 수 있다. When the manipulation part body 712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manipulation part body 712 may cover the slot 63.

일 예로, 상기 조작부 바디(712)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 바디(712)는 상기 조작부 커버(62)의 내측에서 상기 슬롯(63)의 전부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 바디(712)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 바디(712)는 상기 슬롯(63)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 커버(62) 내측의 공간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manipulation part body 712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manipulation part body 712 may cover all of the slot 63 from the inside of the manipulation part cover 62. Accordingly, while the manipulation part body 712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manipulation part body 71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lot 63, and the space inside the manipulation part cover 62 is externally exposed. Exposure can be prevented.

상기 슬롯(63)도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1)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lot 63 may als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axis A1 of the cyclone flow of the first cyclone part 11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축(A1)의 연장 방향은 도면 상 일 예로 상하 방향이므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하 방향"은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축(A1)의 연장 방향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xis A1 of the cyclone flow is an example in the drawing, the “up-down direction” described below means that the axis A1 of the cyclone flow extends. Can be understood as.

상기 가동부(750)는 상기 본체(2) 내에 위치하고, 상기 조작부(710)는 상기 본체(2) 외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가동부(750)와 상기 조작부(710)가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전달 유닛(720, 730)의 일부는 상기 본체(2) 외측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본체(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Since the movable part 750 is located in the main body 2 and the operation part 710 is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2, the transfer unit 720 is connected to the movable part 750 and the operation part 710. A part of 730 may be located outside the body 2, and another part of the body 2 may be located inside the body 2.

상기 전달 유닛(720, 730)의 일부는 상기 본체(2)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전달 유닛(720, 730) 중 상기 본체(2)의 외측에 위치되는 부분은 상기 핸들부(3)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Some of the delivery units 720 and 730 may pass through the main body 2. A portion of the delivery units 720 and 730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2 may be covered by the handle part 3.

상기 전달 유닛(720, 730)은, 제 1 전달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달부(720)는 상기 조작부(71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전달부(720)는 결합 돌기(7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722)는 상기 조작부 바디(712)에 형성된 돌기 결합부(722)에 결합될 수 있다. The delivery units 720 and 730 may include a first delivery unit 720. The first transmission unit 720 may be coupled to the manipulation unit 710. For example, the first transmission part 720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722. The coupling protrusion 722 may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722 formed on the manipulation unit body 712.

상기 결합 돌기(722)는 상하 길이가 좌우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722)는 상기 조작부(710)가 상기 제 1 전달부(720)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 722 may have a vertical length greater than a left and right width. The coupling protrusion 722 may limit relative rot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710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mission unit 720.

상기 전달 유닛(720, 730)은, 상기 가동부(750)와 결합되는 제 2 전달부(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elivery units 720 and 73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coupled to the movable unit 750.

상기 제 2 전달부(730)의 일부는 상기 본체(2) 내부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본체(2)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A part of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may be located inside the body 2, and another part may be located outside the body 2.

상기 제 2 전달부(730)는 상기 제 1 전달부(720)와 직접 연결되거나 추가적인 전달부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unit 720 or may be connected by an additional transmission unit.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조작부(710)는 상기 가동부(750)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manipulation unit 710 is disposed at a position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the movable unit 750.

따라서, 상기 조작부(710)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가동부(750)가 상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부(750)의 편심이 방지되어야 한다. Therefore, eccentricity of the movable part 750 should be prevent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movable part 750 up and down by the manipulation of the manipulation part 710.

만약, 상기 가동부(750)가 편심된 상태로 상하 이동되면, 상기 가동부(750)가 수평 상태를 이루지 못하게 되어 상기 가동부(750)가 원활히 이동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동부(750)가 대기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If the movable part 750 is moved up and down in an eccentric state, the movable part 750 may not be in a horizontal state, so that the movable part 750 may not move smoothly, and the movable part 750 may move to the standby position. It will not be able to move accurately.

상기 조작부(710)의 조작력을 상기 가동부(750)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유닛이 하나의 전달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710)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부(750)가 편심될 가능성이 높다. When the transfer unit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manipulation unit 710 to the movable unit 750 includes one transfer uni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movable unit 750 is eccentric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710.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710)가 상기 가동부(750)에 직접 연결되거나 단일의 전달부에 의해서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710)의 조작력이 상기 가동부(750)로 전달되는 경로가 짧다. For example, when the manipulation unit 71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vable unit 750 or connected by a single transmission unit, a path through which the operating force of the manipulation unit 710 is transmitted to the movable unit 750 is short.

만약, 상기 조작부(710)가 수직선을 기준으로 편심된 상태로 조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710)의 편심의 영향이 상기 가동부(750)로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가동부(750)도 편심된 상태로 이동될 가능성이 높다. If the operation unit 710 is operated in an eccentric state based on a vertical line, the effect of the eccentricity of the operation unit 710 directly acts on the movable unit 750 so that the movable unit 750 is also in an eccentric state. It is likely to be moved.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전달 유닛이 복수의 전달부를 포함하여 조작부의 조작력을 상기 가동부(750)로 전달하는 경우, 설령 상기 조작부(710)의 조작 과정에서 상기 조작부(710)가 수직선을 기준으로 편심되더라도 복수의 전달부가 편심의 영향을 줄여 상기 가동부(750)의 편심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livery unit transmits the operation force of the opera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delivery units to the movable unit 750, the operation unit 710 is based on a vertical lin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710. Even if it is eccentric, the amount of eccentricity of the movable part 750 may be minimized by 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eccentricity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parts.

상기 본체(2)는 상기 제 2 전달부(730)를 가이드하기 위한 돌출 바디(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 바디(180)는 일 예로 상기 제 1 하우징(10)의 외측에 돌출된 형태로 존재한다.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protruding body 180 for guiding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As an example, the protruding body 180 exists in a protruding form outside the first housing 10.

상기 돌출 바디(180)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1)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protruding body 180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axis A1 of the cyclone flow of the first cyclone part 110.

상기 돌출 바디(180)는 상기 제 1 하우징(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돌출 바디(180) 내에서 상기 제 2 전달부(730)가 이동할 수 있다. The protruding body 180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may move within the protruding body 180.

상기 청소기(1)는 상기 압축 기구(7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지지 기구(7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chanism 78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mpression mechanism 70.

상기 지지 기구(780)는 상기 압축 기구(70)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 부재(78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mechanism 780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781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compression mechanism 70.

상기 탄성 부재(781)는 상기 조작부(710) 또는 전달 유닛(720, 730)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781 may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manipulation unit 710 or the delivery units 720 and 730.

상기 탄성 부재(781)는 탄성 복원력을 구비하여, 조작부(710)를 제 1 위치(사용자가 조작부(710)를 가압하기 전 조작부(710)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을 제공한다.The elastic member 781 has a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provides a force to return the manipulation unit 710 to the first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710 before the user presses the manipulation unit 710 ).

일 예로, 상기 탄성 부재(781)는 조작부(710)를 상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한다.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781 provides a force to push the operation part 710 upward.

상기와 같이, 탄성 부재(781)가 조작부(710)를 상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면, 사용자가 먼지압축을 위해서, 조작부(710)를 하측으로 누른 뒤, 사용자가 조작부(710)에서 손을 떼거나, 눌렀던 힘을 빼면, 조작부(710)는 탄성부재(78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스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원 위치(제1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astic member 781 provides a force to push the operation unit 710 upward,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unit 710 downward for dust compression, and then the user presses his or her hand on the operation unit 710. When the force that is released or pressed is removed, the operation unit 710 ma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first position) while moving upward by itself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81.

이하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781)가 상기 조작부(710)를 지지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elastic member 781 supports the manipulation unit 710 by way of example.

상기 탄성 부재(781)는 상기 제 2 전달부(730)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78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탄성 부재(781)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신축 및 인장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781 may be, for example, a coil spring, and may be stretched and stretched in a vertical direction.

이때, 상기 조작부(710)의 제 1 위치(사용자가 조작부(710)를 가압하기 전 조작부(710)의 위치)에서, 상기 탄성 부재(781)의 길이는 상기 제 2 전달부(730)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first posi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710 (the posi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710 before the user presses the manipulation unit 710),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781 is the length of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It can be formed longer.

상기 탄성 부재(781)의 길이를 상기 제 2 전달부(730)의 길이 보다 길게 하면, 탄성 계수가 낮은 상기 탄성 부재(781)를 사용하여 상기 조작부(710)를 지지할 수 있다. When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781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the manipulation unit 710 may be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781 having a low elastic modulus.

이 경우, 상기 조작부(710)를 가압할 때, 필요한 힘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781)에 의해서 상기 조작부(710)가 원래의 복귀될 때, 상기 누름부(714)에서 상기 제 1 부분(714a)의 상단(714c)이 상기 조작부 커버(62)의 슬롯(63)을 형성하는 면과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pressing the manipulation unit 710, a required force may be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part 710 is originally restored by the elastic member 781, the upper end 714c of the first part 714a in the pressing part 714 is a slot of the operation part cover 62. Noise generated while colliding with the surface forming the (63) can be reduced.

상기 지지 기구(780)는, 상기 조작부(710)의 상하 이동 과정에서 상기 탄성 부재(781)의 수평 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탄성 부재(781)를 지지하는 지지 바(7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mechanism 780 further includes a support bar 790 for supporting the elastic member 781 so that horizontal movement of the elastic member 781 is restricted dur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operation unit 710. I can.

상기 지지 바(790)는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바(790)의 상하 길이는 상기 탄성 부재(781)의 상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bar 79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support bar 790 may be longer than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elastic member 781.

상기 탄성 부재(781)는 상기 지지 바(790)를 둘러 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781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support bar 790.

즉, 상기 지지 바(790)는 코일 형태의 탄성 부재(781)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바(790)의 외경은 상기 탄성 부재(781)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That is, the support bar 790 may be located in an inner region of the coil-shaped elastic member 781.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bar 790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elastic member 781.

상기 지지 바(790)의 일단은 상기 본체(2) 또는 후술할 전달 유닛 커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바(790)의 타단에는 상기 제 1 전달부(720)가 결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upport bar 790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2 or a delivery unit cover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transmission part 72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r 790.

이때, 상기 지지 바(790)는 상기 결합 돌출부(도 6의 716참조)를 관통한 후에 상기 제 1 전달부(7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출부(도 6의 716참조)의 일부는 상기 제 1 전달부(720)와 결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upport bar 79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transmission unit 720 after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 (see 716 in FIG. 6 ). A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see 716 of FIG. 6) may be coupled to the first transmission part 720.

상기 결합 돌출부(도 6의 716참조)의 하측에 상기 탄성 부재(781)의 상단이 접촉할 수 있다. An upper end of the elastic member 781 may contact a lower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see 716 in FIG. 6).

상기 지지 바(790)의 타단은 상단일 수 있다. 상기 지지 바(790)의 상단이 상기 제 1 전달부(720)를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r 790 may be an upper e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790 may be coupled to pass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part 720.

상기 제 1 전달부(720)는 상기 지지 바(790)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바(790)는 상기 제 1 전달부(7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바(790)를 가이드 바라 이름할 수 있다. The first transmission part 720 may move up and down along the support bar 790. Accordingly, the support bar 790 may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transmission unit 720. Therefore, the support bar 790 may be referred to as a guide bar.

상기 청소기(1)는, 상기 전달 유닛(720, 730)을 커버하는 전달 유닛 커버(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delivery unit cover 64 covering the delivery units 720 and 730.

상기 전달 유닛 커버(64)는 상기 전달 유닛(720, 730)을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커버(62)는 상기 전달 유닛 커버(64)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달 유닛 커버(64)가 생략되고 상기 조작부 커버(62)가 전달 유닛 커버(64)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elivery unit cover 64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2 while covering the delivery units 720 and 730. The operation part cover 62 may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delivery unit cover 64. In this embodiment, the delivery unit cover 64 may be omitted, and the operation part cover 62 may serve as the delivery unit cover 64.

상기 전달 유닛 커버(64)는 상기 지지 기구(780)도 커버할 수 있다. The delivery unit cover 64 may also cover the support mechanism 780.

상기 전달 유닛 커버(64)의 제 1 부분(641)은 상기 돌출 바디(180)의 측방에서 상기 제 1 전달부(720), 상기 지지 바(790) 및 상기 탄성 부재(781)를 커버할 수 있다. The first part 641 of the delivery unit cover 64 may cover the first delivery part 720, the support bar 790, and the elastic member 781 from the side of the protruding body 180. have.

상기 전달 유닛 커버(64)의 제 2 부분(644)은 상기 돌출 바디(18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전달부(730)를 커버할 수 있다. The second part 644 of the delivery unit cover 64 may be located above the protruding body 180 and may cover the second delivery part 730.

상기 전달 유닛 커버(64)는, 상기 제 1 전달부(720)의 결합 돌기(722)가 위치되는 슬롯(6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64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elivery unit cover 64 may include a slot 642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722 of the first delivery unit 720 is positioned. The slot 642 may b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전달 유닛 커버(64)는, 상기 지지 바(790)가 결합되기 위한 바 결합부(645)가 구비될 수 있다. The delivery unit cover 64 may be provided with a bar coupling portion 645 to which the support bar 790 is coupled.

한편, 상기 본체(2)는,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흡입 모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20)에 의해서 발생된 흡입력이 상기 흡입부(5)에 작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motor 220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220 may act on the suction unit 5.

상기 흡입 모터(220)는 일 예로 상기 제 2 하우징(1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uction motor 220 may be located within the second housing 12, for example.

상기 흡입 모터(220)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1)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먼지통(112) 및 상기 배터리(60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uction motor 22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dust bin 112 and the battery 600 based o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axis A1 of the cyclone flow of the first cyclone unit 110.

상기 본체(2)는 상기 필터부(13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흡입 모터(220)로 가이드하는 공기 가이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2 may further include an air guide 170 for guiding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130 to the suction motor 220.

일 예로, 상기 공기 가이드(170)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흡입 모터(220)로 안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ir guide 170 may guid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40 to the suction motor 220.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하측에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30)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를 둘러쌀 수 있다. The second cyclone part 14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air guide 170. The filter unit 130 may surround the second cyclone unit 140 in a state coupled to the second cyclone unit 140.

따라서, 상기 필터부(130)도 상기 공기 가이드(17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750)는 대기 위치에서 상기 공기 가이드(170)를 둘러싸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lter unit 130 may also be located under the air guide 170. The movable part 750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 surrounding the air guide 170 in a standby position.

상기 가동부(750)는 상기 필터부(130)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부(77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able part 750 may include a cleaning part 770 for cleaning the filter part 130.

실시 예에서 상기 조작부(710)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조작부(710)의 초기 위치)에서의 상기 가동부(750)의 위치를 대기 위치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부(710)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할 때의 상기 가동부(750)의 위치를 대기 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740)가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의 상기 가동부(750)의 위치를 먼지 압축 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 position of the movable unit 750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710 is not operated (an initial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710) may be referred to as a standby position. That is, the position of the movable unit 750 when the manipulation unit 71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a standby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movable unit 750 when the manipulation unit 74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a dust compression position.

상기 가동부(750)의 대기 위치에서, 상기 청소부(770)의 전부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130)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상기 필터부(130)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e standby position of the movable part 750, all of the cleaning part 77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in which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part 130,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filter part 130.

예를 들어, 상기 가동부(750)의 대기 위치에서 상기 청소부(770)의 전부는 상기 필터부(130)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standby position of the movable unit 750, all of the cleaning unit 77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lter unit 130.

따라서, 상기 가동부(750)의 대기 위치에서, 상기 필터부(130)를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청소부(770)가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standby position of the movable part 750, the cleaning part 770 may be prevented from acting as a flow resistance dur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part 130.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의 하측에는 먼지 가이드(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 가이드(160)의 상측에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의 하측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가이드(160)에 상기 필터부(130)의 하측이 안착될 수 있다. A dust guide 160 may be provided below the second cyclone part 140.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yclone part 14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ust guide 160. 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unit 130 may be mounted on the dust guide 160.

상기 먼지 가이드(160)의 하측은 상기 바디 커버(114)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먼지 가이드(160)는 상기 제 1 하우징(1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제 1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제 1 먼지 저장부(120)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4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제 2 먼지 저장부(122)로 구획한다. The lower side of the dust guide 160 may be seated on the body cover 114. The dust guide 16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to store the dust separat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110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10. It is divided into a unit 120 and a second dust storage unit 122 that stores dust separat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40.

상기 제 1 하우징(10)의 내주면과 상기 먼지 가이드(160)의 외주면이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0)를 정의하고, 상기 먼지 가이드(160)의 내주면이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2)를 정의할 수 있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guide 160 define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guide 160 is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2 Can be defined.

이하에서는 상기 압축 기구(7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mpression mechanism 7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 기구의 사시도이다.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mpress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동부(750)는, 상기 필터부(130)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부(770)와, 상기 청소부(770)의 외측 둘레를 지지하는 프레임(760)을 포함할 수 있다. 6 to 7, the movable part 750 includes a cleaning part 770 for cleaning the filter part 130 and a frame 760 support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leaning part 770. I can.

상기 프레임(760)의 최대 직경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내주면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760)이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내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The maximum diameter of the frame 760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yclone part 110. Accordingly, the frame 760 may be moved up and down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yclone unit 110.

상기 청소부(77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청소부(77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leaning unit 770 may b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For example, the cleaning unit 770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상기 청소부(770)가 원통 형상의 필터부(130)의 둘레 전체를 청소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부(770)는 링(ring)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청소부(770)는 실리콘 또는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leaning unit 77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the cleaning unit 770 can clea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filter unit 130. As another example, the cleaning unit 770 may be formed of a silicone or fiber material.

상기 가동부(750)는, 대기 위치인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The movable part 750 may move from a first position, which is a standby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상기 청소부(770)는,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필터부(130)에서 벗어난 위치에 대기하고, 청소 과정에서는 제 2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부(130)의 외면을 닦을 수 있다. The cleaning unit 770 may wait at a position away from the filter unit 130 in the first position, and may clea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130 while moving to the second position in the cleaning process.

일 예로 상기 청소부(770)는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760)과 결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leaning unit 770 may be coupled to the frame 760 by inserting injection.

상기 프레임(760)은,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압 리브(7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760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rib 766 extending downward.

상기 가압 리브(766)는 상기 프레임(760)의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sing rib 766 may be formed to be rou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760.

상기 가압 리브(766)는 상기 가동부(75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먼지통(112)에 저장된 먼지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The pressing rib 766 serves to pressurize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ntainer 112 downward while the movable part 750 descends.

상기 프레임(760)은 상기 가압 리브(766)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결합부(7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76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ortion 767 extending outward from the pressing rib 766.

상기 결합부(767)는 상기 가압 리브(766)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결합부(767)는 상기 가압 리브(766)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coupling part 767 may protrude from the pressure rib 766 in a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the coupling part 767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rib 766.

상기 결합부(767)에는 상기 제 2 전달부(730)가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may be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767.

상기 제 2 전달부(730)에는 완충부(73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달부(730)는 상기 완충부(734)를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734)가 상기 제 2 전달부(73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완충부(734)는 상기 결합부(767)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A buffer part 734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transfer part 730.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may be coupled to pass through the buffer part 734. In a state in which the buffer part 734 is coupled with the second transfer part 730, the buffer part 734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767.

상기 제 2 전달부(730)는 상기 돌출 바디(180)의 상측벽을 관통할 수 있다.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may penetrate the upper wall of the protruding body 180.

상기 완충부(734)는 상기 가동부(750)가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 바디(180)의 상측벽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이에 따라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The buffer part 734 absorbs the shock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ntacting the upper wall of the protruding body 180 while the movable part 750 moves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thereby preventing noise generation. Can be reduced.

상기 프레임(760)은, 상기 가압 리브(766)와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가이드(7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760 may further include a frame guide 765 extending downwar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ressing rib 766.

상기 프레임 가이드(765)는, 평면인 안내면(765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면(765a)은 공기가 상기 흡입부(5)를 통해 유입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나선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The frame guide 765 may include a planar guide surface 765a. The guide surface 765a may guide a helical flow of air in a process in which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unit 5.

본 발명과 같이, 먼지통(112)을 압축하는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 먼지통(112)에 먼지가 차면, 먼지를 압축시켜 먼지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tructure for compressing the dust bin 112 is applied, when the dust bin 112 is filled with dust, the volume of the dust can be reduced by compressing the dust.

따라서, 먼지 압축에 의해 먼지통(112)을 자주 비우지 않아도 되고, 먼지 비움 시 먼지가 날리는 현상도 줄어든다. 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frequently empty the dust bin 112 due to dust compression, and the phenomenon of dust blowing when emptying the dust is also reduced.

하지만, 먼지통(112) 내부에, 먼지를 압축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되면서, 가동부(750)와 연결된 제2전달부(730)가 이동하는 승강공간에 먼지가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while the dust container 112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compressing dust, there is a problem that dust enters the lifting space in which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connected to the movable unit 750 moves.

특히, 먼지통(112) 내에서, 가동부(750) 하강 시, 가동부(750) 상측의 승강공간이 노출되고, 노출된 승강공간으로 먼지가 유입하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dust bin 112, when the movable part 750 descends, the lifting space above the movable part 750 is exposed, and dust enters the exposed lifting space.

상기와 같이, 먼지통(112)의 먼지가 제2전달부(730)의 승강공간에 들어가면, 가동부(750)의 승강 동작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하여, 가동부(750)의 승강 동작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ust of the dust bin 112 enters the lifting space of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it acts as a disturbing factor in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750, so tha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750 can proceed smoothly. There is no problem.

특히, 가동부(750)의 하강 시, 제2전달부(730)와 승강공간 사이에 낀 먼지로 인해서, 가동부(750)의 상승 동작이 방해를 받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Particularly, when the movable part 750 descends, due to dust trapped between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and the lifting space,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750 is hindered.

도 8 내지 도 11은 승강홈부의 입구에 형성된 먼지유입 방지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8 to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structure for preventing inflow of dust formed at an entrance of an elevating groov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가동부(750)의 승강 시, 먼지통(112) 내에 형성된 승강홈부(190)로 먼지통(112)의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structure of blocking dust from entering the dust bin 112 into the lifting groove 190 formed in the dust bin 112 when the movable part 750 is elevated will be described.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먼지통(112)은,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승강홈부(190)를 형성한다.8 to 11, the dust bin 112 forms an elevating groove 190 formed concave outward from the inner surface.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외측면에는, 상기 승강홈부(190)에 의해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바디(18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먼지통(112)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승강홈부(190)에 의해서, 하우징(10)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바디(180)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 protruding body 180 protruding outward by the lifting groove 190 may be formed. That is, by the elevating groove 190 formed concave from the inside of the dust container 112 toward the outside, the protruding body 180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상기 승강홈부(19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승강홈부(190)는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ifting groove 19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ifting groove 19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상기 승강홈부(190)는 가동부(750)와 연결된 제2전달부(730)의 승강공간으로 작용한다. 상기 제2전달부(73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승강홈부(190)에 수용되고, 승강홈부(190)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동작이 안내될 수 있다. The lifting groove 190 acts as a lifting space of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connected to the movable part 750.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is accommodated in the elevation groove portion 190 a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elevation groove portion 190 to guide an elevation operation.

상기 가동부(750)의 승강 동작시, 상기 제2전달부(730)는 상기 승강홈부(190)에 수용될 수 있다.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750,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lifting groove part 190.

상기 가동부(750)는 상기 먼지통(112)의 상단과 하단을 왕복하면서, 승강동작 할 수 있다. The movable part 750 may move up and down while reciproca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ust bin 112.

하지만, 승강홈부(190)가 먼지통(112)의 내측으로 노출되면서, 먼지통(112)의 먼지 및 이물질이 승강홈부(190)에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as the lifting groove part 190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dust container 112, there is a problem that dust and foreign matter in the dust container 112 enter the lifting groove part 190.

상기와 같이, 먼지통(112)의 먼지가 승강홈부(190)에 들어가면, 가동부(750)의 승강 동작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하여, 가동부(750)의 승강 동작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ust in the dust bin 112 enters the elevating groove portion 190, it acts as a disturbing factor in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movable portion 750,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movable portion 750 cannot proceed smoothly. .

특히, 가동부(750)가 하강된 상태에서, 승강홈부(190)로 유입된 먼지 또는 이물질로 인해서, 가동부(750)의 상승 동작이 방해를 받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particular,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unit 750 is lowered, due to dust or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elevating groove unit 190,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raising operation of the movable unit 750 is hindered.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승강홈부(190)의 입구(191) 측에 구비되어, 상기 먼지통(112)의 내부공간과, 상기 승강홈부(19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승강홈부(190)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구획부재(310,320,330,340)을 포함한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on the inlet 191 side of the lifting groove part 190, and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dust bin 112 and the inner space of the lifting groove part 190, so that dust or foreign matters are lifted. It includes partition members 310, 320, 330, and 340 that block the inflow into the groove 190.

상기 구획부재(310,320,330,340)는 상기 승강홈부(190)의 입구(191) 측에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승강홈부(190)의 전체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The partition members 310, 320, 330, 340 may be provided only on the inlet 191 side of the lifting groove 190, and may be provided in the entire area of the lifting groove 190.

일 예로, 상기 구획부재(320)가 기모재질, 융재질, 복수의 미세돌기가 구비된 재질 등인 경우, 상기 승강홈부(190)의 입구(191) 측에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승강홈부(190)의 내측면에 전체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artition member 320 is a raised material, a rugged material, a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etc., it may be provided only on the inlet 191 side of the lifting groove part 190, and the lifting groove part 190 ) May be provided entirely on the inner side.

또한, 상기 구획부재(310,320,330,340)는, 상기 가동부(750)와 상기 제2전달부(730)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통과되게 상하방향을 따라 슬릿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members 310, 320, 330, and 340 may form slit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movable part 75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passes.

또한, 상기 슬릿은, 상기 연결부의 승강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lit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an elevating ope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또한, 상기 연결부가 하강하면, 상기 슬릿은 닫히고, 상기 연결부가 상승하면, 상기 슬릿은 열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lowered, the slit may be closed, and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raised, the slit may be opened.

또한, 상기 구획부재(310,320,330,340)는, 신축성 또는 가요성을 갖는 쿠션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members 310, 320, 330, and 340 may be made of a cushion material having elasticity or flexibility.

또한, 상기 구획부재(310,320,330,340)는, 기모(起毛)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members 310, 320, 330, and 340 may be made of a brushed material.

또한, 상기 구획부재(310,320,330,34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members 310, 320, 330, and 340 may be made of rubber or silicone.

또한, 상기 구획부재(310,320,330,340)는, 상기 승강홈부(190)의 입구(191) 측에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단부는 적어도 일부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members 310, 320, 330, and 34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191 side of the lifting groove 190, and the ends forming the slit may be formed to overlap at least partially.

또한, 상기 구획부재(310,320,330,340)는, 상기 승강홈부(190)의 입구(191) 측에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단부는 적어도 일부 면접촉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members 310, 320, 330, and 34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191 side of the elevating groove 190, and the ends forming the slit may be formed to be at least partially in surface contact.

이때 상기 승강홈부(190)의 양측에 구비된 구획부재(310,320,330,340)는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rtition members 310, 320, 330, and 34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ing groove 190 may be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about the slit.

또한, 상기 승강홈부(190)의 양측에 구비된 구획부재(310,320,330,340)는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310,320,330,34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먼지통(112)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구획부재(310,320,330,34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승강홈부(190)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s 310, 320, 330, and 34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groove 190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s 310, 320, 330, and 340 may protrude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dust bin 112.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s 310, 320, 330, and 340 may protrude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lifting groove 190.

또한, 상기 승강홈부(190)의 양측에 구비된 구획부재(310,320,330,340)는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partition members 310, 320, 330, and 34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groove 190 may be formed in a plane shape.

또한, 상기 승강홈부(190)의 양측에 구비된 구획부재(310,320,330,340)의 수평방향 길이의 총 합은, 상기 승강홈부(190)의 수평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tal sum of the horizontal lengths of the partition members 310, 320, 330, and 34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groove part 19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lifting groove part 19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구획부재(310)는 지퍼락(Ziploc) 방식으로 개폐되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partition member 310 may be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a zipper lock method.

여기서 '지퍼락'은 파우치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하기 위해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지퍼락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Here, the'zip lock' may be applied to various known zip lock structures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open upper side of the pouch.

상세히, 상기 구획부재(310)는, 상기 승강홈부(190)의 양측에 각각 부착된 차단막(311,312)을 포함한다. In detail, the partition member 310 includes blocking films 311 and 312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lifting groove 190,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차단막(311,312)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slit is formed between the blocking layers 311 and 312.

그리고, 상기 차단막(311,312)의 마주보는 단부, 즉 슬릿을 정의하는 양측 단부는 승강편(31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In addition, opposite ends of the blocking films 311 and 312, that is, both ends defining a slit,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lifting piece 313.

이때, 상기 승강편(313)은, 상기 결합부(767)와 상기 제 2 전달부(7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ifting piece 313 may connect between the coupling part 767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즉, 상기 승강편(313)의 일측은 상기 결합부(767)와 연결되고, 상기 승강편(313)의 타측은 상기 제 2 전달부(730)와 연결될 수 있다.That is, one side of the lifting piece 313 may be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767, and the other side of the lifting piece 313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부(710)를 누르면, 상기 제 2 전달부(730)가 하강하고, 승강편(313)과 결합부(767)가 하강한다. 그리고, 가동부(750)도 하강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unit 710,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descends, and the lifting piece 313 and the coupling unit 767 descend. And, the movable part 750 also descends.

이때, 상기 승강편(313)은 상기 제 2 전달부(730) 및 가동부(750)와 함께 승강하면서, 상기 차단막(311,312) 사이를 개방하거나 차단시킨다.At this time, the lifting piece 313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and the movable part 750 to open or block between the blocking films 311 and 312.

일 예로, 상기 조작부(710)가 하강하면, 상기 승강편(313)이 하강되면서, 차단막(311,312) 사이가 차단되고, 결과적으로, 승강홈부(190)의 입구(191)가 차단된다. 따라서, 가동부(750)의 하강 시, 승강홈부(190)의 내측으로 먼지통(112)의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unit 710 descends, the elevator piece 313 is lowered, blocking between the blocking films 311 and 312, and as a result, the inlet 191 of the elevator groove 190 is blocked. Accordingly, when the movable part 750 descends, a problem in which dust and foreign matter from the dust bin 112 flow into the inside of the lifting groove part 190 can be solved.

반면, 상기 제2전달부(730), 승강편(313) 및 가동부(750) 상승 시, 차단막(311,312) 사이가 벌어지면서, 승강홈부(190)는 먼지통(112) 내측으로 개방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the lifting piece 313, and the movable part 750 rise, the gap between the blocking films 311 and 312 is opened, and the lifting groove part 190 is opened to the inside of the dust container 112.

따라서, 제2전달부(730), 승강편(313) 및 가동부(750)가 상승한 상태에서, 승강홈부(190)에는 먼지통(112)의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될 수 밖에 없다.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the lifting piece 313, and the movable part 750 are raised, th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of the dust bin 112 are inevitably introduced into the lifting groove part 190.

하지만, 승강홈부(190)에 유입된 먼지는, 가동부(750) 하강 시, 제2전달부(730)에 의해, 눌리면서, 하측으로 밀리게 된다. However, the dust that has flowed into the elevating groove 190 is pushed downward while being pressed by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when the movable unit 750 descends.

그리고, 제2전달부(730)에 의해 하측으로 밀린 먼지는, 승강홈부(190)에서 제거되고, 먼지통(112)으로 회수될 수 있다. Further, the dust pushed downward by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is removed from the lifting groove unit 190 and may be recovered into the dust container 112.

참고로, 상기된 '연결부'는 상기 승강편(313)과 결합부(767)를 의미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connection part' may mean the lifting piece 313 and the coupling part 767.

다른 예로, 상기 조작부(710)가 승강할 때, 즉 상기 조작부(710)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상기 승강편(313)이 승강하면서, 차단막(311,312) 사이가 차단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가동부(750)의 승강 시, 승강홈부(190)의 내측으로 먼지통(112)의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operation unit 710 is raised or lowered, that is, when the operation unit 710 is raised or lowered, the lifting piece 313 is lifted and lowered, and a gap between the blocking films 311 and 312 may be blocked. Accordingly, when the movable part 750 is raised or lowered, a problem in which dust and foreign matter in the dust bin 112 flow into the inside of the lifting groove part 190 can be solved.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구획부재(320)는 기모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획부재(320)는 융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partition member 320 may be formed of a raised material. For example, the partition member 320 may be formed of a fused material.

상세히, 상기 구획부재(320)는, 상기 승강홈부(190)의 양측에 각각 부착된 차단막(321,322)을 포함한다.In detail, the partition member 320 includes blocking films 321 and 322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lifting groove 190,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차단막(321,322) 사이에는, 슬릿(323)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slit 323 is formed between the blocking layers 321 and 322.

상기 슬릿(323)을 통해서, 상기 가동부(750)와 제2전달부(730)를 연결하는 결합부(767)가 통과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710)를 누르면, 제2전달부(730)가 하강하고, 결합부(767)는 상기 슬릿(232)을 따라서 하강할 수 있다. Through the slit 323, a coupling part 767 connecting the movable part 75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may pass. Accordingly, when the manipulation unit 710 is pressed,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may descend, and the coupling unit 767 may descend along the slit 232.

또한, 상기와 같이 결합부(767)가 하강하면, 가동부(750)가 하강하면서, 먼지 압축이 진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part 767 descends as described above, the movable part 750 may descend, and dust compression may proce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단막(321,322)의 구성으로, 가동부(750)의 승강 여부에 관계 없이, 승강홈부(190)의 입구는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먼지통(112)의 먼지 및 이물질이 승강홈부(190)로 유입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ing films 321 and 322, the entrance of the lifting groove 190 may be blocked regardless of whether the movable part 750 is raised or lowered. In addition, a problem in which dust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bin 112 flow into the lifting groove 190 may be solved.

참고로, 상기된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767)를 의미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connection part' may mean the coupling part 767.

다른 예로, 상기와 같이 구획부재(320)가 기모재질, 융재질, 복수의 미세돌기가 구비된 재질 등으로 구비된 경우, 상기 구획부재(320)는 상기 승강홈부(190)의 입구(191) 측은 물론, 상기 승강홈부(190)의 내측면에 전체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artition member 320 is made of a raised material, a rugged material, a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etc., the partition member 320 is an inlet 191 of the elevating groove portion 190 As well as the side, it may be provided entirely on the inner side of the lifting groove 190.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구획부재(330)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partition member 33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상기 구획부재(330)는, 상기 승강홈부(190)의 양측에 각각 부착된 차단막(331,332)을 포함한다.The partition member 330 includes blocking films 331 and 332 respective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lifting groove 190.

그리고, 상기 차단막(331,332) 사이에는, 슬릿(333)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slit 333 is formed between the blocking layers 331 and 332.

상기 슬릿(323)을 통해서, 상기 가동부(750)와 제2전달부(730)를 연결하는 결합부(767)가 통과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710)를 누르면, 제2전달부(730)가 하강하고, 결합부(767)는 상기 슬릿(333)을 따라서 하강할 수 있다. Through the slit 323, a coupling part 767 connecting the movable part 75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may pass. Accordingly, when the manipulation unit 710 is pressed,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may descend, and the coupling unit 767 may descend along the slit 333.

또한, 상기와 같이 결합부(767)가 하강하면, 가동부(750)가 하강하면서, 먼지 압축이 진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part 767 descends as described above, the movable part 750 may descend, and dust compression may proce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단막(331,332)의 구성으로, 가동부(750)의 승강 여부에 관계 없이, 승강홈부(190)의 입구는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먼지통(112)의 먼지 및 이물질이 승강홈부(190)로 유입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ing films 331 and 332, the inlet of the lifting groove 190 may be blocked regardless of whether the movable part 750 is raised or lowered. In addition, a problem in which dust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bin 112 flow into the lifting groove portion 190 may be solved.

또한, 상기 차단막(331,332)은, 상기 슬릿(333)을 형성하는 단부는 적어도 일부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ocking layers 331 and 332 may be form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s forming the slit 333.

도 9를 참조하면, 차단막(331,332)의 단부가 중첩되면서, 좌측의 차단막(331)의 단부(331a, 점선)는, 우측의 차단막(332)의 후방에 숨겨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while the ends of the blocking films 331 and 332 overlap, the end 331a (dotted line) of the blocking film 331 on the left is hidden behind the blocking film 332 on the right.

또한, 상기 차단막(331,332)은, 상기 승강홈부(190)의 입구(191) 측에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슬릿(333)을 형성하는 단부는 적어도 일부 면접촉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ocking layers 331 and 33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191 of the lifting groove 190, and the ends forming the slit 333 may be formed to be at least partially in surface contact.

상기와 같이, 승강홈부(190)의 입구(191)에 부착된 차단막(331,332)의 인접한 단부가 서로 중첩되거나, 면접촉할 경우, 슬릿(333)이 보다 확실히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릿(333)을 통해서, 먼지통(112)의 먼지나 이물질이 승강홈부(190)로 유입되는 현상이 보다 확실히 예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djacent ends of the blocking films 331 and 332 attached to the inlet 191 of the elevating groove 190 overlap each other or make surface contact, the slit 333 may be more reliably blocked. Therefore, through the slit 333, a phenomenon in which dust or foreign matter in the dust bin 112 flows into the lifting groove part 190 can be prevented more reliably.

반면, 상기 차단막(331,332)의 단부가 중첩되거나, 면접촉되더라도, 차단막(331,332)은 탄성재질이기 때문에, 가동부(750)와 제2전달부(730)를 연결하는 결합부(767)가 슬릿(333)을 통과하면서, 승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ends of the blocking films 331 and 332 overlap or are in surface contact, since the blocking films 331 and 332 are made of elastic material, the coupling part 767 connecting the movable part 75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is a slit ( 333), you can get up and down.

참고로, 상기된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767)를 의미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connection part' may mean the coupling part 767.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구획부재(340)는 지퍼(Zipper)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partition member 340 may be formed in a zipper manner.

여기서 '지퍼'는 서로 이가 맞물리면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공지의 다양한 방식의 지퍼가 해당될 수 있다. Here, the'zipper' may correspond to various types of well-known zipper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while teeth are meshed with each other.

상세히, 상기 구획부재(340)는, 상기 승강홈부(190)의 양측에 각각 부착된 차단막(341,342)을 포함한다.In detail, the partition member 340 includes blocking films 341 and 342 respective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lifting groove 190.

그리고, 상기 차단막(341,342)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slit is formed between the blocking layers 341 and 342.

그리고, 상기 차단막(341,342)의 마주보는 단부, 즉 슬릿을 정의하는 양측 단부는 승강편(34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In addition, opposite ends of the blocking films 341 and 342, that is, both ends defining the slit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lifting piece 343.

이때, 상기 승강편(343)은, 상기 결합부(767)와 상기 제 2 전달부(7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ifting piece 343 may connect between the coupling part 767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즉, 상기 승강편(343)의 일측은 상기 결합부(767)와 연결되고, 상기 승강편(343)의 타측은 상기 제 2 전달부(730)와 연결될 수 있다.That is, one side of the lifting piece 343 may be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767, and the other side of the lifting piece 343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부(710)를 누르면, 상기 제 2 전달부(730)가 하강하고, 승강편(343)과 결합부(767)가 하강한다. 그리고, 가동부(750)도 하강한다.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unit 710,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descends, and the lifting piece 343 and the coupling unit 767 descend. And, the movable part 750 also descends.

이때, 상기 승강편(343)은 상기 제 2 전달부(730) 및 가동부(750)와 함께 승강하면서, 상기 차단막(341,342) 사이를 개방하거나 차단시킨다.At this time, the lifting piece 343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and the movable unit 750 to open or block the barrier layers 341 and 342.

일 예로, 상기 조작부(710)가 하강하면, 상기 승강편(313)이 하강되면서, 차단막(341,342) 사이가 차단되고, 결과적으로, 승강홈부(190)의 입구(191)가 차단된다. 따라서, 가동부(750)의 하강 시, 승강홈부(190)의 내측으로 먼지통(112)의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unit 710 descends, the elevator piece 313 is lowered, blocking between the blocking films 341 and 342, and as a result, the inlet 191 of the elevator groove 190 is blocked. Therefore, when the movable part 750 descends, a problem in which dust and foreign matter from the dust bin 112 flow into the inside of the lifting groove part 190 can be solved.

반면, 상기 제2전달부(730), 승강편(343) 및 가동부(750) 상승 시, 차단막(341,342) 사이가 벌어지면서, 승강홈부(190)는 먼지통(112) 내측으로 개방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the lifting piece 343, and the movable part 750 rise, the gap between the blocking films 341 and 342 is opened, and the lifting groove part 190 is opened to the inside of the dust container 112.

따라서, 제2전달부(730), 승강편(343) 및 가동부(750)가 상승한 상태에서, 승강홈부(190)에는 먼지통(112)의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될 수 밖에 없다.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the lifting piece 343, and the movable unit 750 are raised, th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of the dust bin 112 are bound to flow into the lifting groove unit 190.

하지만, 승강홈부(190)에 유입된 먼지는, 가동부(750) 하강 시, 제2전달부(730)에 의해, 눌리면서, 하측으로 밀리게 된다. However, the dust that has flowed into the elevating groove 190 is pushed downward while being pressed by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when the movable unit 750 descends.

그리고, 제2전달부(730)에 의해 하측으로 밀린 먼지는, 승강홈부(190)에서 제거되고, 먼지통(112)으로 회수될 수 있다. Further, the dust pushed downward by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may be removed from the lifting groove 190 and collected in the dust bin 112.

참고로, 상기된 '연결부'는 상기 승강편(343)과 결합부(767)를 의미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connection part' may mean the lifting piece 343 and the coupling part 767.

다른 예로, 상기 조작부(710)가 승강할 때, 즉 상기 조작부(710)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상기 승강편(343)이 함께 승강하면서, 차단막(341,342) 사이가 차단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가동부(750)의 승강 시, 승강홈부(190)의 내측으로 먼지통(112)의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operation unit 710 is raised or lowered, that is, when the operation unit 710 ascends or descends, the lifting piece 343 moves up and down together, and the barriers 341 and 342 may be blocked. Accordingly, when the movable part 750 is raised or lowered, a problem in which dust and foreign matter in the dust bin 112 flow into the inside of the lifting groove part 190 can be solv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먼지통 압축을 위해, 가동부가 하강하는 경우, 승강홈부의 입구를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부의 승강여부에 관계 없이, 승강홈부의 입구가 막힌 상태를 유지하되, 가동부의 승강동작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가동부 및 전달부의 승강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mpress the dust bin, when the movable part descends, the entrance of the lifting groove may be blocked. In addi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movable part is elevating or not, the entrance of the elevating groove is kept blocked, but does not affect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so tha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and the transmission part can be smoothly performed.

Claims (17)

흡입 개구를 구비하는 하측부에 먼지통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흡입 개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외측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 공간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승강동작하는 가동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승강동작하는 조작부;
상기 가동부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전달부와 상기 제2전달부의 상측과 상기 조작부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1전달부를 포함하여, 상기 조작부와 상기 가동부를 연결하는 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먼지통은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승강홈부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전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승강홈부에 수용되며,
상기 승강홈부에는, 상기 먼지통의 먼지 및 이물질이 상기 승강홈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구획부재가 구비되는 청소기.
A housing provided with a dust bin at a lower portion having a suction opening;
A filter unit that filters dust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opening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 movable part for lifting and lowering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of a space between an outer side of the filter unit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by a user's operation, the operation unit for lifting and lowering;
And a transfer unit connecting the operation unit and the movable unit, including a second transmission unit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movable unit and a first transmission unit connecting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and the upper side of the operation unit. ,
The dust bin has an elevating groove formed concave on an inner surface thereof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elevating groove,
A cleaner provided with a partition member in the elevating groove portion to block dust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dust bin from entering the elevating groov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승강홈부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먼지통의 내부공간과, 상기 승강홈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artition member is provided at an inlet side of the lifting groove part, and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dust container and the inner space of the lifting groove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가동부와 상기 제2전달부의 연결부가 통과되게 상하방향을 따라 개방된 슬릿을 형성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artition member is a cleaner configured to form a slit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movable portion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pass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연결부의 승강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sli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an elevating ope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하강하면, 상기 슬릿은 닫히고, 상기 연결부가 상승하면, 상기 슬릿은 열리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lowered, the slit is closed, and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raised, the slit is open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부가 통과될 때,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slit maintains a closed state, and is temporarily opened when the connection portion is pass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승강홈부 입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슬릿을 정의하는 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형성된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partition memb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of the elevating groov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 defining the slit is formed to overlap each oth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승강홈부의 입구 측에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면접촉하게 형성된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partition memb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side of the elevating groove, and the end portion forming the slit is formed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승강홈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승강홈부의 중심을 향아도록 구비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artition member is a cleaner provided to face the center of the lifting groov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ifting groo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신축성 또는 가요성을 갖는 쿠션재질로 이루어진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artition member is a vacuum cleaner made of a cushion material having elasticity or flexibilit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기모(起毛)재질로 이루어진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artition member is a vacuum cleaner made of a brushed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artition member is a vacuum cleaner made of a rubber or silicone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unit,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cleaner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또는 전달유닛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Cleaner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operation unit or the delivery unit.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조작부를 상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4,
The elastic member is a cleaner that provides a force to push the operation unit upward,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바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4,
A support ba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elastic member is a cleaner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b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핸들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핸들부의 일측에 인접해서 형성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Outside of the housing, a handle portion is formed,
The operation unit is a cleaner form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handle unit.

KR1020190082291A 2019-06-05 2019-07-08 A cleaner Active KR1022223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74,416 US11457783B2 (en) 2019-06-05 2020-05-14 Cleaner
GB2116409.0A GB2598067B (en) 2019-06-05 2020-05-25 Vacuum cleaner
AU2020288050A AU2020288050B2 (en) 2019-06-05 2020-05-25 Vacuum cleaner
CN202080038245.7A CN113873927B (en) 2019-06-05 2020-05-25 Vacuum cleaner
PCT/KR2020/006750 WO2020246740A2 (en) 2019-06-05 2020-05-25 Vacuum cleaner
DE112020002655.8T DE112020002655B4 (en) 2019-06-05 2020-05-25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66950 2019-06-05
KR1020190066950 2019-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163A KR20200140163A (en) 2020-12-15
KR102222334B1 true KR102222334B1 (en) 2021-03-04

Family

ID=7365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291A Active KR102222334B1 (en) 2019-06-05 2019-07-08 A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3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492A (en) * 2021-04-20 2022-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9679B2 (en) 2001-12-28 2005-09-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Vacuum cleaner
JP2011218100A (en) 2010-04-14 2011-11-04 Makita Corp Dust bag and dust collector with the same attached theret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805B1 (en) * 2005-03-07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or
GB2546542B (en) * 2016-01-22 2018-07-04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9679B2 (en) 2001-12-28 2005-09-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Vacuum cleaner
JP2011218100A (en) 2010-04-14 2011-11-04 Makita Corp Dust bag and dust collector with the same attached there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163A (en)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873927B (en) Vacuum cleaner
AU2020288968B2 (en) Vacuum cleaner
EP3851009B1 (en) Vacuum cleaner
CN113853146B (en) Dust collector
KR102369480B1 (en) Cleaner
KR102819767B1 (en) Cleaner
KR102222334B1 (en) A cleaner
CN113924034B (en) Dust collector
KR102746015B1 (en) Clearner
KR20200031574A (en) Cleaner
KR102746012B1 (en) Clearner
KR102676424B1 (en) Clearner
KR102369479B1 (en) Cleaner
KR102097439B1 (en) Cleaner
KR20200031252A (en) Cleaner
KR102746010B1 (en)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0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7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