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333B1 - Patient-Specific 3D Printing Zygomaticomaxillary Buttress Plates - Google Patents
Patient-Specific 3D Printing Zygomaticomaxillary Buttress Plat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0333B1 KR102220333B1 KR1020180141823A KR20180141823A KR102220333B1 KR 102220333 B1 KR102220333 B1 KR 102220333B1 KR 1020180141823 A KR1020180141823 A KR 1020180141823A KR 20180141823 A KR20180141823 A KR 20180141823A KR 102220333 B1 KR102220333 B1 KR 1022203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ne
- support wall
- patient
- cheekbone
- upper ja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146 3D prin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10000000216 zygoma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468 bone grow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3625 sku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08000010392 Bone Fractures Diseases 0.000 description 51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4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2050 maxilla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054 facial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965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909 alveolar proces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84 anatom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46 bilat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78 bone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35 defic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984 mast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7 mast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9 spontane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33 trauma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85—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pliable or malleable elements or having a mesh-like structure, e.g. small stri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6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 A61B17/807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for the ja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75—Skull or craniu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oduced with shape and dimensions specific for an individual pati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75—Skull or cranium
- A61F2002/2882—Malar or zygomatic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D 프린팅 환자 맞춤형 설계를 통해 환자의 골과 접하는 부분이 골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골절편들간의 골유합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골절편과의 접촉면을 극대화해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며 광대뼈 상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종국적으로는 예측가능하고 지속적인 수술결과를 기대할 수 있고 수술시간을 단축시키는 등 수술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and more particularly,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bone through a 3D printing patient-customized design is configured to have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bone. , By maximizing the bone union between the fractures and maximizing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fractures, the load is effectively distributed, and the upper cheekbones are stably supported, so that a predictable and continuous surgical result can be expected in the end and the operation time is shorten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specific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that can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surgery.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D 프린팅 환자 맞춤형 설계를 통해 환자의 골과 접하는 부분이 골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골절편들간의 골유합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골절편과의 접촉면을 극대화해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며 광대뼈 상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종국적으로 예측가능하고 지속적인 수술결과를 기대할 수 있고 수술시간을 단축시키며 수술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and more particularly,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bone through a 3D printing patient-customized design is configured to have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bone. In addition, it maximizes the bone union between the fractures and at the same time maximizes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fractures, effectively dispersing the load, and stably supporting the upper cheekbones, resulting in predictable and continuous surgical results, shortening the operation time, and It relates to a patient-specific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that can increase the success rate.
일반적으로 중안면의 수직버팀벽은 코위턱버팀벽(Nasomaxillary buttress),광대 버팀벽(Zygomatic buttress) 및 날개위턱버팀벽(Pterygmaxillary buttress)로 구성되며, 중안면의 주요 지지구조로 두개부 및 중안면부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In general, the vertical support wall of the middle face is composed of the nasomaxillary buttress, the Zygomatic buttress, and the Pterygmaxillary buttress, and the main support structure of the middle face supports the head and midface. Do it.
광대-위턱뼈의 복합골절(Zygomaticomaxillary fracture)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직 버팀벽 중 광대 버팀벽과 날개위턱버팀벽이 함께 골절되어 두개부 및 중안면부의 안정적 지지가 불가능해지고, 개구와 저작기능에 장애가 발생한다.In the case of a zygomaticomaxillary fracture of the cheekbones-upper jawbone, the cheekbones and the upper jaw braces among the vertical braces are fractured together, making it im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cranial and midface parts, and impairment in the opening and mastication function occurs. .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광대-위턱뼈의 복합골절 정복수술에서는 L자형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골절편들을 고정함과 동시에 광대 버팀벽의 지지력을 복원하여 왔다.As a solution to this, in the reduction surgery of the cheekbone-upper jaw bone, the L-shaped plate was used to fix the fractures and at the same time restore the support of the cheekbone support wall.
도 1은 종래 광대-위턱뼈의 복합골절 정복수술에 사용하는 L자형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골절이 발생한 환자의 골절선 상에 상기 L자형 플레이트가 시술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48492호에 개시된 상악골 골절 고정용 플레이트 및 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n L-shaped plate used in conventional cheekbone-upper jaw reduction surgery,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shaped plate is operated on a fracture line of a patient with a fracture. 3 and 4 are views showing a plate for fixing a maxillary bone fractu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48492 and a state of use thereof.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L자형 플레이트(90)는 고정플레이트(91) 및 고정수단(93)을 통하여 골절선(L)을 중심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양측 골절편(F)을 붙잡아 고정함으로써, 골절된 뼈의 접합을 유도하였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4, the conventional L-shaped plate (90) through the fixing plate (91) and the fixing means (93) through the fracture line (L) to the center of the fracture (F) By grasping and fixing, the joint of the fractured bone was induced.
그러나 종래의 L자형 플레이트(90)는 수술 시야가 확보되는 위턱뼈의 전방부에서 수직버팀벽 중 주로 광대 버팀벽(Zygomatic buttress)만을 복원하여 골절선이 위턱뼈의 외측부 혹은 후방부로 연장되어 있거나, 광대 버팀벽 주변의 골결손이 동반되는 경우 별도의 고정을 할 수 없어 안정적인 수직버팀벽의 재건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어 결과적으로 수술 후 두개부 및 중안면부의 안정적인 지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91)는 환자의 골의 해부학적 형상에 따라 수술과정에서 수술의가 형태를 가다듬는 가공과정이 필요하여 수술시간이 길어지고, 수술에 따라 수술결과가 상이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가공 후 골절편간 물리적 힘의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수용하지 못하여 교정효과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이에 더하여 판형 부재가 추가된 상악골 골절 고정용 플레이트(900)의 경우에도, 수술의가 선형 플레이트(910)와 판형 플레이트(930)를 수술과정에서 가다듬는 공정이 필요하여 수술시간 및 수술결과에 단점이 존재하며, 2차원적 형상의 상기 판형 플레이트(930)는 부분마다 다양한 곡률을 갖는 3차원적 형상의 환자의 안면골을 구현하는 것은 더욱 어려웠다.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결국 종래의 기술에 의할 경우 수술 결과는 수술의의 숙련도 및 경험 등 개인적, 주관적 요건에 의존하여 편차가 심했고, 플레이트의 가공 과정에서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 수술시간의 증가 및 환자의 고통을 유발하여 종국적으로 수술 위험성의 증가, 수술 후 합병증 및 재수술 가능성 증가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였다.In the en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e surgical results were highly variable depending on personal and subjective requirements such as the surgeon's skill and experience, and a lot of time was spent in the process of plate processing, resulting in an increase in surgery time and patient pain. As a result, various problems such as increased risk of surger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increased possibility of reoperation were caused.
따라서 관련업계에서는 종래의 L자형 플레이트가 지지할 수 없었던 광대 위턱뼈 외측 후방부의 골절선 및 골결손 부위에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면서, 골절편들의 골유합을 유도하고, 별도의 가공과정을 최소화하여 보다 객관적으로 수술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수술시간이 단축되는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the related industry, it provides stable support to the fracture lines and bone defects in the posterior part of the cheekbones, which the conventional L-shaped plate could not support, while inducing bone union of the fractures, minimizing the separate processing process, and more objectivel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that can expect surgical results and shortens operation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안면부를 형성하는 두개골의 정면부 공간에 삽입되는 바디부와 고정부의 골과 접하는 부분이 골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광대 위턱뼈 외측 후방부의 골절선 및 골결손 부위까지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면서, 골절편들의 골유합을 유도하고, 별도의 가공과정을 최소화하여 보다 객관적으로 수술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수술시간이 단축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body part and the fixed part to have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bone, which is inserted into the frontal space of the skull forming the mid-facial part,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upper jaw bone that provides stable support to negative fracture lines and bone defects, induces bone union of fractures, minimizes separate processing, and allows more objective surgical results to be expected and shortens operation time It is to provide a support wall pla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대뼈의 수직 버팀벽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광대뼈를 지지하며 골과 접하는 부분이 골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erse the load transmitted to the vertical support wall of the cheekbones, and at the same time support the cheekbones, and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ne has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bone-the outer side of the upper jawbone. It is to provide a patient-customized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capable of effectively distributing the load applied to the plate by further comprising a posterior vertical support wall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공성 구조의 골성장부와, 골성장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제1프레임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골절편과 플레이트의 접촉면에서 골성장을 극대화시키고, 골성장부 주변의 포러스 파티클(Porous Particle) 발생을 막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ne growth portion of a porous structure and a first frame portion preventing damage to the bone growth portion, maximizing bone growth at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one fragment and the plate, and It is to provide a patient-specific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that prevents the generation of porous particl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 내측에 형성되는 제2프레임부를 구성하여, 골 성장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that can effectively distribute a load without reducing bone growth efficiency by configuring a second frame part formed inside the body part Is to do.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에서 골결손부의 골유합을 유도하는 다공성 구조의 광대골성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광대뼈 부분의 골절편의 골유합을 촉진하도록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mote the bone union of the bone fragments of the cheekbones by configuring to include a cheekbone growth section of a porous structure that induces bone union of the bone defects in the vertical support wall of the lateral posterior portion of the cheekbones. It is to provide a custom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에서 광대골성장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솔리드 구조의 광대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광대뼈 부분의 골성장부의 포러스 파티클(Porous Particle) 발생을 방지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include a cheek frame portion of a solid structure that prevents damage to the cheekbone growth portion in the vertical support wall portion of the lateral posterior portion of the cheekbone-upper jawbone to further include porous particles of the bone growth portion of the cheekbone portion. To provide a patient-specific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that prevents the occurrence 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절편과 접하지 않는 일면이, 마찰로 인해 연조직이 손상되지 않도록 솔리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근육 및 지방 등의 연부조직과의 접촉면에서 의도하지 않은 유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one surface not in contact with the fracture fragment has a solid structure so that soft tissues are not damaged due to friction, so that unintended adhesion does not occur on the contact surface with soft tissues such as muscles and fat. To provide a patient-specific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수단을 수용하는 고정홀과, 고정홀 주변의 골성장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고정부 주변에서의 포러스 파티클(Porous Particle)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porous particles around the fixing by configuring to include a fix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fixing means and a rim that prevents damage to the bone growth part around the fixing hole. , To provide patient-specific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경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신경수용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수술 후 혈관 및 신경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to minimize damage to blood vessels and nerves after surgery by further comprising a nerve receiving unit providing a space for receiving nerv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의 하단에 치조돌기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돌기인접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플레이트 고정을 위한 드릴 홀 생성시 의도치 않게 치아 뿌리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include an adjacent portion of the alveolar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alveolar protrusion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unintentionally roots the tooth when creating a drill hole for fixing the plate. It is to provide a patient-specific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that minimizes damage to the pati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D프린팅에 의해 일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골절편과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골유합을 유도하고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tient-customized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manufactured by 3D printing, to induce bone union by maximiz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fracture fragment and to provide a stable support. To provide.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안면부를 형성하는 두개골의 정면부 공간에 삽입되는 바디부와, 골절편과 결합하며 바디부에 위치하는 1개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와 상기 고정부는, 3D 프린팅에 의해 골과 접하는 부분이 골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inserted into the frontal space of the skull forming the mid-facial portion, and at least one fixing portion located in the body portion and coupled to the bone fragment, the The body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ne by 3D printing has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bon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 일단에 형성되고 광대뼈 버팀벽에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며 3D 프린팅에 의해 골과 접하는 부분이 골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 및/또는 상기 광대-위턱뼈 부위에 골전선을 피하도록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load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transmitted to the cheekbone support wall, and that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ne by 3D printing has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bone. It further comprises a vertical support wall portion of the lateral posterior portion of the cheekbones-upper jawbone,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selectively located in the body portion and/or in the cheekbones-upper jawbone region to avoid bone front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는 골결손부의 골유합을 유도하는 다공성 구조의 골성장부와, 상기 골성장부의 윤곽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골성장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솔리드 구조의 제1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has a bone growth portion having a porous structure that induces bone union of the bone defect portion, and a solid formed along the outline of the bone growth portion to prevent breakage of the bone growth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frame portion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프레임부의 일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하방으로 연장되고, 바디부 내에서 굴절 연장되어 형성되며, 바디부에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is formed by extending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one end of the first frame portion, and being formed to be bent and extended within the body portion, and a load transmitted to the body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frame portion for suppor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는 골결손부의 골유합을 유도하는 다공성 구조의 광대골성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eekbones-the lateral posterior portion of the upper jawbone includes a cheekbone growth portion of a porous structure that induces bone union of the bone defec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는 상기 광대골성장부의 윤곽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광대골성장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솔리드 구조의 광대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id structure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cheekbone growth portion by forming the vertical support wall portion of the lateral posterior portion of the cheekbone-upper jawbone along the contour of the cheekbone growth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rame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 및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는, 골절편과 접하지 않는 일면이, 수술 후 연조직과의 불필요한 마찰로 인해 발생 가능한 지연성 출혈과 유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솔리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art and the lateral posterior part of the cheekbones-upper jaw are vertical support walls on one side not in contact with the fracture fragment due to unnecessary friction with the soft tissue after surgery. It features a solid structure to prevent possible delayed bleeding and adhes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고정수단을 수용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other surface from one side to include a fixing hole for receiving the fixing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고정수단을 수용하는 고정홀이 골절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여, 스크류 고정 후 골절편들간의 안정적 고정 및 골유함이 가능하도록 환자 맞춤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other surface from one side of the fixing unit so that the fixing hole for receiving the fixing means is not located on the fracture li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tailored to the patient so that it can be fixed and contain bon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고정홀 주변의 골성장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솔리드 구조의 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im of a solid structure to prevent damage to the bone growth portion around the fixing 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안와하 신경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디부 및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를 따라 함입 형성된 신경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nerve receiving portion recessed along the vertical support wall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lateral posterior portion of the cheekbones-upper jaw to prevent damage to the suborbital nerve. To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 치조돌기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alveolar protrusion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와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와 상기 고정부는, 3D프린팅에 의해 일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and the outer rear portion of the cheekbone-upper jawbone vertical support wall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are integrally manufactured by 3D printing.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tha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중안면부를 형성하는 두개골의 정면부 공간에 삽입되는 바디부와 고정부의 골과 접하는 부분이 골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광대 위턱뼈 외측 후방부의 골절선 및 골결손 부위에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면서, 골절편들의 골유합을 유도하고, 별도의 가공과정을 최소화하여 보다 객관적으로 수술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수술시간이 단축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body part and the fixed part to have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bone, the fracture line of the outer posterior part of the cheekbones upper jawbone And patient-specific 3D printing cheek-upper jaw support wall plate that induces bone union of bone fragments while providing stable support to bone defects, minimizes separate processing, and allows more objective surgical results to be expected and shortens surgery time Has the effect of providing.
본 발명은, 광대뼈에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며 골과 접하는 부분이 골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by supporting the load transmitted to the cheekbones,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ne has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cheekbone-by configuring to further include a vertical support wall portion of the lateral posterior portion of the upper jaw, It provides the effect of providing a patient-specific 3D printed cheekbone brace support wall plate that can effectively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plate.
본 발명은, 다공성 구조의 골성장부와, 골성장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솔리드 구조의 제1프레임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골절편과 플레이트의 접촉면에서 골성장을 극대화시키고, 골성장부 주변의 포러스 파티클(Porous Particle) 발생을 막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ne growth portion of a porous structure and a first frame portion of a solid structure that prevents breakage of the bone growth portion, to maximize bone growth at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one fragment and the plate, and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patient-customized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that prevents the generation of porous particles.
본 발명은, 바디부 내측에 형성되는 제2프레임부를 구성하여, 골 성장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수반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panied by the effect of providing a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that can effectively distribute the load without reducing bone growth efficiency by configuring a second frame part formed inside the body part do.
본 발명은,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에서 골결손부의 골유합을 유도하는 다공성 구조의 광대골성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광대뼈 부분의 골절편의 골유합을 촉진하도록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heekbone growth portion of a porous structure that induces bone union of a bone defect in a vertical support wall portion of the lateral posterior portion of the cheekbone-upper jawbone to promote bone union of fracture fragments of the cheekbone portion, customized 3D printed cheekbones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the upper jaw bone support wall plate.
본 발명은,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에서 광대골성장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솔리드 구조의 광대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광대뼈 부분의 골성장부의 포러스 파티클(Porous Particle) 발생을 방지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heek frame portion of a solid structure that prevents damage of the cheekbone growth portion in the vertical support wall portion of the lateral posterior portion of the cheekbone-upper jawbon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porous particles in the bone growth portion of the cheekbone por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patient-customized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본 발명은, 골절편과 접하지 않는 일면이, 수술 후 연조직과의 불필요한 마찰로 인해 발생 가능한 지연성 출혈과 유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솔리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근육 및 지방 등의 연부조직과의 접촉면에서 의도하지 않은 유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not in contact with the fracture fragment has a solid structure to prevent delayed bleeding and adhesion that may occur due to unnecessary friction with the soft tissue after surgery. It derives the effect of providing a patient-specific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that prevents unintended adhesions on the contact surface.
본 발명은, 고정수단을 수용하는 고정홀과, 고정홀 주변의 골성장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고정부 주변에서의 포러스 파티클(Porous Particle)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fixing means, and a rim that prevents damage to the bone growth part around the fixing hole, so that no porous particles around the fixing part are generated, patient-customized 3D A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은, 안와하 신경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신경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신경수용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수술 후 혈관 및 신경 손상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damage to blood vessels and nerves after surgery by configuring to further include a nerve receiving unit providing a space in which nerves are accommodated to prevent damage to the suborbital nerve.
본 발명은, 바디부의 하단에 치조돌기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돌기인접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환자의 플레이트 고정을 위한 드릴 홀 생성시 의도치 않게 치아 뿌리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djacent alveolar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alveolar protrusion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so that the tooth root is unintentionally damaged when creating a drill hole for fixing the plate of the patient The effect of providing a patient-specific 3D-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that minimizes the risk is derived.
본 발명은, 3D프린팅에 의해 일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골절편과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골유합을 유도하고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patient-customized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manufactured by 3D printing, to induce bone union and provide stable support by maximiz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bone fragment. have.
도 1은 종래의 L자형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골절이 발생한 환자의 골절선 상에 종래의 고정플레이트가 시술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상악골 골절 고정용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골절이 발생한 환자의 골절선 상에 종래의 상악골 골절 고정용 플레이트가 시술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5의 A-A'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B-B'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shaped plate.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fixing plate is performed on the fracture line of a patient with a fracture.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late for fixing the maxillary bone fracture.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plate for fixing a maxillary bone fracture is performed on a fracture line of a patient with a fracture.
5 is a view showing a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s-upper jaw support wall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FIG. 5;
7 is a view showing a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rear of Figure 7;
9 is a view showing a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Fig. 9;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12 is a view showing a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2;
Figure 14 is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하이브리드 플레이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hybri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s of the term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in case of conflict with the meanings of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the definitions used in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는 골절선(L), 골절편(F), 골결손부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상기 골절선(L)은 외상 등에 의해 환자의 안면골이 부러졌을 때 골을 분리시키는 선을 가리키며, 상기 골절편(F)은 상기 골절선(L)에 의해 분리된 골 조각들을 통칭하고, 상기 골결손부는 골절선(L)의 교차 등에 의해 골절편(F)이 주변 골 조직과 결합할 지점을 잃게 되면서 주변 골 조직으로부터 떨어져 나간 골절편(F)에 의해 생긴 골 조직상의 빈 공간을 지칭한다.In this specification, a fracture line (L), a fracture fragment (F), and a bone defect are described separately, and the fracture line (L) refers to a line that separates the bone when the patient's facial bone is broken due to trauma, etc., and the fracture fragment (F) collectively refers to the bone fragments separated by the fracture line (L), and the bone defect portion loses the point where the fracture fragment (F) connects to the surrounding bone tissue due to the intersection of the fracture line (L), and the surrounding bone tissue It refers to the empty space on the bone tissue created by the fracture fragment (F) separated from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1)는 골절이 발생한 환자의 중안면부 공간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뼈 및 골절편을 유합(Fusion)시키는데 사용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부분이 환자의 골절편과의 접촉면에 해당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upper jaw bone support wall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upper jaw bone support wall plate of FIG. . 5 and 6, the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midface space of the patient where the fracture has occurred, so that neighboring bones and fracture fragments are fused. It is used to order. At this time, the portion shown in FIG. 6 corresponds to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patient's fracture fragment.
상기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1)의 제작방법과 관련하여 이를 어느 특정 방법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문제가 되는 환자의 골절부를 CT 자료를 활용하여 일측성 골절의 경우 골절이 없는 건측을 거울상으로 환부에 모델링하고, 양측성 골절 혹은 환자의 좌우 안면골 비대칭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 전 가상수술 기법(Simulation Surgery)을 이용한 가상 골절 정복 기법을 이용하고 3D 프린팅 방식을 통해 출력하여 환자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1)는 환자의 골과 접하는 부분이 골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며, 바디부(10),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30), 고정부(50) 및 치조돌기인접부(70)를 포함한다.Regardin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1, it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method, but preferably, the fracture of the patient in question is used to reduce unilateral fractures by using CT data. In the case, the healthy side without fracture is modeled on the affected area with a mirror image, and in the case of bilateral fracture or asymmetry of the patient's left and right facial bones, a virtual fracture reduction technique using a preoperative virtual surgery technique is used, and a 3D printing method is used. Therefore, it can be customized for patients. This patient-customized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1) is manufactured so that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bone has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bone, and th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바디부(10) 및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30)에 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upper jaw bone support wall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upper jaw bone support wall plate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s-upper jaw bone support wall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s-upper jawbone support wall plate of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Hereinafter, the
상기 바디부(10)는, 중안면부를 형성하는 두개골의 정면부 공간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광대뼈 골절 부위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골절편을 통해 전달되는 두개부 및 중안면부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하며 골절편들의 골유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디부(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상악골의 일부에만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골의 상당 부분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골의 적은 부분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3차원적 형상을 가지며 환자의 골과 접하므로 이외의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광의의 개념으로 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바디부(10)는 골성장부(11), 제1프레임부(13), 제2프레임부(15) 및 신경수용부(17)를 포함한다.The
상기 골성장부(11)는, 상기 바디부(10) 내에 위치하며 골 생장을 촉진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골성장부(11)는 다공성 재료로 구성되어 골성장을 유도하여 골결손부 및 골절편간의 유합을 촉진하여야 하는바,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골성장부(11)는, 공극(11a)과 솔리드 구조의 표면(11b)를 포함한다.The
상기 공극(11a)은, 상기 골성장부(11) 상에 형성된 구멍을 지칭하고, 형태와 관련하여 이를 특정한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공극(11a) 사이로 골생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상기 공극(11a)은 골성장부(11) 상에 복수 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골성장부(11) 상의 다수의 미세 공극(11a)을 형성하고, 이러한 미세한 공극(11a) 사이로 환자의 골이 빠르게 생장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void (11a) refers to a hole formed on the bone growth portion (11),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ncept in relation to the shape, as long as it enables bone growth between the voids (11a), in any form It can be configured. A plurality of these
상기 솔리드 구조의 표면(11b)은, 골성장부(11)에서 골절편과 접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되며, 환자의 근육이나 지방 등의 연부조직과 접하게 되는 바, 혈관 및 신경 손상을 방지하며 의도하지 않은 유착으로 인한 수술 후 안면부의 부자연스러움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표면이 매끄럽도록 무공성 재료로 형성되거나 피복 코팅이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olid-structured
상기 제1프레임부(13)는, 상기 골성장부(11)의 윤곽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골성장부(11)의 파손을 방지하는 솔리드 구조의 부분을 지칭한다. 상기 제1프레임부(13)는 비다공성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디부(10)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골성장부(11)에서 다공성 구조가 외부 환경에 의해 파괴되거나 파손되어 다공성 구조의 일부가 떨어져 나오는 포러스 파티클(Porous Particle)의 발생을 예방하며, 도 6,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골성장부(11)의 외곽 윤곽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더라도 무방하다.The
상기 제2프레임부(15)는, 상기 제1프레임부(13)의 일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하방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10) 내에서 굴절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바디부(10) 및 환자의 골절편 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을 지칭한다. 상기 제2프레임부(15)는 소정의 강도 발현을 위하여 비다공성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부(15)의 상부측은 중안면부 및 두개부에서 전달되는 아래쪽 방향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어떠한 각도로 하방으로 연장되더라도 무방하며, 하부측은 상기 바디부(10) 내에서 굴절하여 대략 수평하게 상기 제1프레임부(13)의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부(15)의 형상은 중안면부 및 두개부에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성되더라도 무방하며, 도 6,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상기 신경수용부(17)는, 상기 바디부(10) 상에서 안와하 신경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을 말한다.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경수용부(17)는 상기 바디부(10)에 의해 신경이 눌려 압박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소정의 깊이로 함입 형성될 수 있으며, 함입된 깊이와 방향은 안와하 신경이 수용될 수 있으면 족하고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30)는, 상기 바디부(10) 일단에 형성되고 광대뼈에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을 지칭한다.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30)는 환자의 골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면서 광대뼈 부분에 가해지는 중력방향 및 타 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며,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형상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30)는 광대골성장부(31)와 광대프레임부(33)를 포함한다.The vertical
상기 광대골성장부(31)는,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30) 내에서 골 생장을 촉진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다. 상기 광대골성장부(31)는 다공성 재료로 구성되어 골성장을 유도하여 골결손부 및 골절편간의 유합을 촉진하므로 상기 골성장부(11)와 같이 환자의 골절편과 접하는 면에 다수 미세 공극을 형성하여 환자의 골 재생을 촉진하고, 환자의 골절편과 접하지 않는 일면은 의도하지 않은 유착으로 인한 안면의 부자연스러움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이 매끄럽도록 무공성 재료로 형성되거나 피복 코팅이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광대프레임부(33)는, 상기 광대골성장부(31)의 윤곽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광대골성장부(31)의 파손을 방지하는 솔리드 구조의 부분을 지칭한다. 상기 광대프레임부(33)는 비다공성으로 구성되어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30)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광대골성장부(31)에서 다공성 구조가 외부 환경에 의해 파괴되거나 파손되어 다공성 구조의 일부가 떨어져 나오는 포러스 파티클(Porous Particle)의 발생을 예방하며, 도 6,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광대골성장부(31)의 외곽 윤곽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더라도 무방하다.Th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B-B'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12 is a view showing a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3.
상기 고정부(50)는, 상기 바디부(10) 및/또는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30)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와 환자의 골절편을 고정하는 부분을 지칭한다. 상기 고정부(50)는 1개 혹은 복수 개가 상기 바디부(10)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3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가 상기 바디부(10)와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30) 영역에 혼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50)의 위치는 환자의 골절선(L)을 피하여 고정가능한 크기의 골절편(F)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술 전 환자의 CT자료를 통하여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0)는 고정홀(5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림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상기 고정홀(51)은, 상기 고정부(50)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1)가 환자의 골 혹은 골절편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하는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부분을 지칭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홀(51)은 상기 고정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50)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할 수 있는 것이면 나사산이 구비된 고정나사, 록킹볼트 등 어떠한 고정수단이라도 무방하다.The fixing
상기 림부(53)는, 상기 고정부(50)에 형성된 상기 고정홀(51) 주변의 골성장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솔리드 구조를 지칭한다. 상기 림부(53)는 상기 고정홀(51)을 소정의 두께의 솔리드 구조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으로 인해 상기 고정홀(51)에 가해지는 외력 및 충격으로부터 상기 골성장부(11) 및 상기 광대골성장부(31)의 다공성 구조가 파괴되거나 파손되어 다공성 구조의 일부가 떨어져 나오는 포러스 파티클(Porous Particle)의 발생을 예방한다. 도 13에서 볼 수 있는바와 같이 상기 고정홀(51)과 상기 림부(53)가 형성된 경우, 고정수단이 점선부분을 통하여 일면에서 타면으로 고정홀을 관통하게 된다.The
상기 치조돌기인접부(70)는, 상기 바디부(10)의 하단에 형성되며, 환자의 치조돌기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치조돌기는 치아뿌리가 치조골 내에 위치함으로써 융기되어 나타나는 해부학적 부위를 지칭한다. 상기 치조돌기인접부(70)는 바디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플레이트 고정을 위한 드릴 홀 생성시 의도치 않게 치아 뿌리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며, 상기 치조돌기인접부(70)의 환자의 골 및 골절편과 접하지 않는 일면은 의도하지 않은 유착으로 인한 안면의 부자연스러움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이 매끄럽도록 무공성 재료로 형성되거나 피복 코팅이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alveolar protrusion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환자의 중안면부 골절 수술에서 본 발명인 상기 플레이트(1)를 골절부에 위치시키고, 수술의가 고정과정을 수반하는 수술을 통하여 계획했던 지점에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플레이트(1)는 환자의 자생적 골 생장을 유도하는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삽입된 상기 플레이트(1)와 접하고 있는 골절편은 서로 유합된다.14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a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4, in a patient's midface fracture operation, the plat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the fracture portion, and the surgeon fixes it at a planned point through surgery involving a fixation process. Thereafter, the plate 1 induces the patient's spontaneous bone growth.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bone fragments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inserted plate 1 are fused with each other.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shows and describe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disclosed contents, and/or the skill or knowledge of the ar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escribe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in the specific application field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n addition,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mbodiments.
1: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
10: 바디부 11: 골성장부
11a: 공극 11b: 솔리드 구조의 표면
13: 제1프레임부 15: 제2프레임부
17: 신경수용부 30: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
31: 광대골성장부 33: 광대프레임부
50: 고정부 51: 고정홀
53: 림부 70: 치조돌기인접부
L: 골절선 F: 골절편1: Patient-specific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10: body part 11: bone growth part
11a: void 11b: solid structure surface
13: first frame part 15: second frame part
17: nerve receptor 30: lateral posterior portion of the cheekbones-upper jawbone vertical support wall
31: cheekbone growth portion 33: cheekbone frame portion
50: fixing part 51: fixing hole
53: rim part 70: adjacent alveolar process
L: fracture line F: fracture fragment
Claims (13)
골절편과 결합하며 상기 바디부에 위치하는 1개 이상의 고정부와,
상기 바디부 일단에 형성되고 광대-위턱뼈에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며 3D 프린팅에 의해 골과 접하는 부분이 골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와 상기 고정부는, 3D 프린팅에 의해 골과 접하는 부분이 골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 및/또는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에 골절선을 피하도록 선택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바디부는 골결손부의 골유합을 유도하는 다공성 구조의 골성장부와, 상기 골성장부의 윤곽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골성장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솔리드 구조의 제1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A body part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frontal part of the skull forming the midface part,
At least one fixing part that is combined with the fracture fragment and located in the body part,
I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and supports the load transmitted to the cheekbones-upper jawbone, and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bone by 3D printing is a vertical support wall part of the lateral posterior part of the cheekbone-upper jawbone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bone. Including,
The body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ne by 3D printing has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bone,
The fixing part is selectively located in the body part and/or the lateral posterior part of the cheekbone-upper jaw to avoid a fracture line in the vertical support wall region,
The body portion is customized to a pati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ne growth part of a porous structure for inducing bone union of a bone defect, and a first frame part of a solid structure formed along the contour of the bone growth part to prevent damage to the bone growth part. 3D printed cheekbone-upper jaw brace plate.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프레임부의 일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 내에서 굴절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에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frame portion extending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one end of the first frame portion, being formed to be refracted and extended within the body portion, and supporting a load transmitted to the body portion. Customizable 3D printed cheekbones-upper jaw brace plate.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는 골결손부의 골유합을 유도하는 다공성 구조의 광대골성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The method of claim 4,
The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eek-upper jaw bone's lateral posterior vertical support wall portion includes a cheekbone growth portion of a porous structure that induces bone union of the bone defect.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는 상기 광대골성장부의 윤곽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광대골성장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솔리드 구조의 광대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The method of claim 5,
The cheekbones-the outer posterior vertical support wall portion of the upper jawbone is formed along the contour of the cheekbone growth por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cheekbone growth portion. -Upper jaw bone support wall plate.
상기 바디부 및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는, 골절편과 접하지 않는 일면이, 수술 후 연조직과의 불필요한 마찰로 인해 발생 가능한 지연성 출혈과 유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솔리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 The method of claim 6,
The body part and the lateral posterior part of the cheekbones-upper jaw is a solid structure to prevent delayed bleeding and adhesion that may occur due to unnecessary friction with soft tissue after surgery on one side not in contact with the fracture fragment Patient-specific 3D printing cheek-upper jaw bone support wall plat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고정부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고정수단을 수용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s-upper jaw support wall plate comprising a fixing hole for receiving the fixing means.
상기 고정부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고정수단을 수용하는 고정홀이 골절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여, 스크류 고정 후 골절편들간의 안정적 고정 및 골유합이 가능하도록 환자 맞춤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art is formed to penetrat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o that the fix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fixing means is not located on the fracture line, and it is manufactured tailored to the patient so that stable fixation and bone union between the bone fragments are possible after screw fixing. Patient-specific 3D printed cheek-upper jaw support wall plate.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홀 주변의 골성장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솔리드 구조의 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The fixing portion is a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im of a solid structure to prevent damage to the bone growth portion around the fixing hole.
상기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는, 신경을 수용하도록 상기 바디부 및 상기 광대-위턱뼈의 외측 후방부 수직 버팀벽 부위를 따라 함입 형성된 신경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The method of claim 1,
The cheekbone-upper jaw support wall plate further comprises a nerve receiving part recessed along the body part and the lateral posterior part of the cheekbones-upper jaw to receive nerves and a nerve receiving part recessed along the vertical support wall region. Upper jaw support wall plate.
상기 바디부의 타단에 치조돌기의 해부학적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돌기인접부를 더 포함하는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광대-위턱뼈 버팀벽 플레이트.The method of claim 11,
Patient-customized 3D printing cheekbones-upper jaw support wall plate further comprising an adjacent alveolar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alveolar protrusion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1823A KR102220333B1 (en) | 2018-11-16 | 2018-11-16 | Patient-Specific 3D Printing Zygomaticomaxillary Buttress Plat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1823A KR102220333B1 (en) | 2018-11-16 | 2018-11-16 | Patient-Specific 3D Printing Zygomaticomaxillary Buttress Plat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3286A KR20200063286A (en) | 2020-06-05 |
KR102220333B1 true KR102220333B1 (en) | 2021-02-26 |
Family
ID=71088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1823A Active KR102220333B1 (en) | 2018-11-16 | 2018-11-16 | Patient-Specific 3D Printing Zygomaticomaxillary Buttress Plat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033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86058A (en) | 2023-12-06 | 2025-06-13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modelling patient-specific surgical metal plate based on cylindrical depth image |
KR20250086059A (en) | 2023-12-06 | 2025-06-13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atic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of complex fracture fixation metal plate based on screws position |
WO2025143887A1 (en) * | 2023-12-27 | 2025-07-03 | (주)시지바이오 | Orbital fracture treatment impla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69694B1 (en) * | 2021-10-25 | 2025-02-19 | (주)시지바이오 | Implant for facial bone reconstruc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12106A1 (en) | 1999-08-13 | 2001-02-22 | Orthovita, Inc. | Composite shaped bodie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
JP2009500093A (en) * | 2005-07-08 | 2009-01-08 | ストライカー ライビンガ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ー カーゲー | Osteosynthesis plate with through holes inclined relative to the plane of the plate |
WO2017210695A1 (en) | 2016-06-03 | 2017-12-07 | Additive Orthopaedics, LLC | Bone fixation device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8492B1 (en) | 2014-03-11 | 2016-08-17 | 남승민 | Fixing absorbable plate for fracture facial bones |
KR101749595B1 (en) * | 2015-12-08 | 2017-06-21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Patient Specific Fixation Apparatus for Jaw Bon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
2018
- 2018-11-16 KR KR1020180141823A patent/KR10222033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12106A1 (en) | 1999-08-13 | 2001-02-22 | Orthovita, Inc. | Composite shaped bodie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
JP2009500093A (en) * | 2005-07-08 | 2009-01-08 | ストライカー ライビンガ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ー カーゲー | Osteosynthesis plate with through holes inclined relative to the plane of the plate |
WO2017210695A1 (en) | 2016-06-03 | 2017-12-07 | Additive Orthopaedics, LLC | Bone fixation device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86058A (en) | 2023-12-06 | 2025-06-13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modelling patient-specific surgical metal plate based on cylindrical depth image |
KR20250086059A (en) | 2023-12-06 | 2025-06-13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atic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of complex fracture fixation metal plate based on screws position |
WO2025143887A1 (en) * | 2023-12-27 | 2025-07-03 | (주)시지바이오 | Orbital fracture treatment impla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3286A (en) | 2020-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20333B1 (en) | Patient-Specific 3D Printing Zygomaticomaxillary Buttress Plates | |
CN107822747B (en) | 3D prints pillow neck and fuses fixing device | |
BR112020007853A2 (en) | porous implantable interbody devices | |
US20160228158A1 (en) | Spine immobilization tool | |
CN201108492Y (en) | A kind of atlantoaxial intervertebral joint fusion device | |
US20190105170A1 (en) | Artificial epistropheus support body | |
CN106163435B (en) | Prefabricated implant for reduction and fixation of fractures in the mediolateral midface | |
EP3222230A1 (en) | Spacer for laminoplasty | |
CN2707201Y (en) | Spinal Reconstruction Repositioner | |
CN105055058A (en) | Artificial vertebral lamina and vertebral canal expansion tool | |
CN107174325B (en) | Spinal fixation assembly | |
JP2016506851A (en) | Intervertebral implant with improved fixation plate shape | |
CN107753157A (en) | Cervical fusion cage | |
KR102168608B1 (en) | Porous Cervical Vertebra Cage to Promote Bone Fusion | |
CN110353793A (en) | Posterior cervical follows closely board fixer | |
KR20090112284A (en) | Cervical spine cage | |
KR102196502B1 (en) | Cervical Stand-Alone Cage with Porous Structure | |
CN203790085U (en) | Joint fusion device | |
KR102168548B1 (en) | Cervical Vertebra Cage of Porous Structure | |
WO2018119672A1 (en) | Vertebral plate interbody fusion cage | |
KR102203493B1 (en) | Patient-Specific 3D Printing Hybrid Plates | |
CN103720527B (en) | A kind of joint fusion cage | |
CN208677651U (en) | A kind of fixed device of 3D printing Occipitocervical fussion | |
KR101496580B1 (en) | Reconstructing device for surgery of cervical disc | |
KR20120094759A (en) | Plate for fixation of mandi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