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17611B1 - 이동식 유도 유닛들을 이용하는 부양 용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유도 유닛들을 이용하는 부양 용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611B1
KR102217611B1 KR1020207024932A KR20207024932A KR102217611B1 KR 102217611 B1 KR102217611 B1 KR 102217611B1 KR 1020207024932 A KR1020207024932 A KR 1020207024932A KR 20207024932 A KR20207024932 A KR 20207024932A KR 102217611 B1 KR102217611 B1 KR 102217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coils
casting
batch
melting
dist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5960A (ko
Inventor
세르게스 스피탄스
헨릭 프란즈
브조른 세흐링
에곤 바우어
안드레아스 크리저
Original Assignee
알트 바쿰 테크놀로기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트 바쿰 테크놀로기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알트 바쿰 테크놀로기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105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6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22Furnaces without an endless core
    • H05B6/32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levitation and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9/00Equipment for supplying molten metal in 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9/00Equipment for supplying molten metal in rations
    • B22D39/003Equipment for supplying molten metal in rations using electromagnetic fiel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22Furnaces without an endless core
    • H05B6/24Crucible furn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22Furnaces without an endless core
    • H05B6/24Crucible furnaces
    • H05B6/26Crucible furnaces using vacuum or particular gas atmosphe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5Coil arrangements using supplementary conductive or ferromagnetic pie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4Coil arrangements having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Crucibles And Fluidized-Bed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유도 유닛들을 가지고 주조물들을 제조하는 부양 용해 공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공정에서, 상기 유도 코일들을 가지는 상기 대향 페라이트 극들이 이동할 수 있고, 대향 방향들로 이동하는 유도 유닛들이 사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유도 자기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배치들을 용해하기 위한 상기 유도 유닛들을 서로 근접하게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용융된 배치를 주조할 때, 상기 유도 코일들을 가지는 상기 페라이트 극들 사이의 상기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유도 자기장을 감소시켜, 상기 용해물이 상기 페라이트 극들 또는 상기 유도 코일들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유도 유닛들을 이용하는 부양 용해 방법
본 발명은 이동식 유도 유닛들을 이용하여(with movable induction units) 주조체들(cast bodies)을 제조하기 위한 부양 용해 방법(levitation melting method) 및 장치(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서, 상기 유도 코일들을 가지는 상기 두 개의 대향 페라이트 극들(two opposing ferrite poles)이 이동 가능하게 정열되고, 대향 방향들로 이동하는(move in opposite directions) 유도 유닛들(induction units)이 사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유도 자기장(induced magnetic field)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배치들(batches)을 용해하기 위한 상기 유도 유닛들을 서로 근접하게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용융된 배치(molten batch)를 주조할 때, 상기 페라이트 극들과 상기 유도 코일들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켜서, 상기 용해물이 상기 페라이트 극들 또는 상기 유도 코일들에 닿지 않도록, 상기 유도 자기장을 감소시킨다.
부양 용해 공정들은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따라서 DE 422 004 A는 상기 용해될 전도성 재료(conductive material)가 유도 전류들(inductive currents)에 의해 가열되고, 동시에 전기 역학적 작용(electrodynamic action)에 의해 부양되는 용해 방법(melting method)을 이미 개시하였다. 또한, 상기 용해 재료가 자석에 의해 운반되는, 몰드 내로 가압되는 주조(전기 역학적 압착 주조(electrodynamic pressed casting))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진공(vacuum)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US 2,686,864 A는 또한, 용해될 전도성 재료가 도가니(crucible)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 이상의 코일들의 영향 하에 부양 상태 가령, 진공 상태로 들어가는 공정을 기술한다. 일 실시 예에서, 부양 중에 상기 재료를 안정화시키는데 두 개의 동축 코일들(two coaxial coils)이 사용된다. 용해 후, 상기 재료는 금형 내로 떨어지거나 보내진다. 상기 문헌에서 설명된 상기 공정은 60g 알루미늄 부분을 부양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상기 전계 강도(field strength)를 감소시키면 상기 용융 금속이 제거되어, 상기 용융물이 상기 원뿔형 협폭 코일(conically tapered coil)을 통해 하향으로 빠져나간다. 상기 전계 강도가 매우 빠르게 감소하면, 상기 금속이 용융 상태로 상기 장치 밖으로 떨어진다. 이러한 코일 정렬들의 "약한 점(weak spot)"이 상기 코일들의 중앙(centre)에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용해될 수 있는 재료의 양이 제한된다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또한 US 4,578,552 A은 부양 용해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동일한 코일은 상기 용해물 가열 용도 및 보유 용도로 사용되며, 상기 인가된 교류의 주파수는 상기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안 상기 가열 전력(heating power)을 조절하기 위해 변화된다.
상기 부양 용해의 특별한 장점은 다른 방법 중에 상기 용해물과 접촉하는 도가니 물질 또는 다른 물질로 상기 용해물이 오염되는 것을 피하는데 있다. 예를 들어 티타늄 합금들(titanium alloys)과 같은 반응성 용해물(reactive melt)과 도가니 재료의 반응도 방지되며, 그렇지 않으면 세라믹 도가니들(ceramic crucibles)에서 상기 저온 도가니 방식(cold crucible method)으로 작동하는 구리 도가니들(copper crucibles)로 전환해야 한다. 상기 부양 용해물은 예를 들어, 진공(vacuum) 또는 불활성 가스(inert gas) 일 수 있는 상기 주변 대기와만 접촉한다. 도가니 재료와의 화학 반응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용해물을 매우 높은 온도들로도 가열할 수 있다. 저온 도가니 용해와 달리, 상기 용해물에 유입되는 거의 모든 에너지가 상기 냉각된 도가니 벽으로 전환되어 높은 전력 입력으로 온도가 매우 느리게 상승하기 때문에 그 효과가 매우 저조하다는 문제점도 존재하지 않는다. 부양 용해에서, 유일한 손실은 상기 저온 도가니의 열 전도에 비해 상당히 낮은 복사 및 증발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더 낮은 전력 입력으로, 상기 용해물의 더 큰 과열은 훨씬 더 짧은 시간 내에 달성된다.
또한, 부양 용해 중에 상기 오염 물질의 스크랩이 감소되는데, 특히 상기 저온 도가니의 상기 용해물에 비해 더욱 그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양 용해는 실제로 확립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상기 부양 용해법에서는 비교적 적은 양의 용융 재료만 부양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DE 696 17103 T2, 2 페이지, 단락 1 참조).
또한 부양 용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코일 필드의 로렌츠 힘(Lorentz force)이 상기 배치를 부양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배치의 하중을 보상해야 한다. 상기 코일 필드에서 상기 배치를 상향으로 푸시한다. 상기 생성된 자기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대향 페라이트 극들 사이의 거리의 감소를 목표로 한다. 상기 거리 감소는 미리 결정된 용해물 중량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저전압에서 동일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 큰 배치가 부양되도록 플랜트의 유지 효율성(holding efficiency)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 코일들의 손실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가열 효율성(heating efficiency) 역시 증가한다.
상기 페라이트 극들 사이의 상기 거리가 작을수록 상기 유도 자기장이 커진다. 그러나 상기 주조의 상기 전계 강도를 줄여야하므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상기 용해물로 상기 페라이트 극들과 상기 유도 코일들의 오염 위험이 증가한다. 이것은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의 유지력을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코일 필드보다 약간 위로 상기 부양 용해물의 수평 확장이 초래되고, 상기 페라이트 극들 사이의 좁은 틈새를 통해 아래에 위치한 상기 주조 몰드에 닿지 않고 떨어뜨리는 것이 극히 어렵다. 따라서 페라이트 극들의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코일 필드의 운반 용량을 늘리는 것은 상기 접촉 확률에 의해 결정되는 실질적인 한계이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방법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전체(full) 부양 용해 방법은 소량의 재료에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아직 산업 적용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주조 몰드들에서 주조하기가 어렵다. 상기 페라이트 극들 사이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와전류들(eddy currents) 발생 시, 상기 코일 필드의 효율성을 높일 경우 더욱 그렇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부양 용해의 경제적 사용(economic use)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방법은 상기 코일 필드의 효율성을 개선하여 더 큰 배치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용해물이 상기 코일들 또는 그 극들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주조 공정이 안전하게 진행되도록 보장하는 동시에, 사이클 타임들을 단축시켜 높은 처리량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상기 목적이 해결된다. 본 발명은, 전기 전도성 재료(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로부터 부양 용해법(levitation melting method)에 의해 주조체들(cast bodies)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교류 전자기장들(alternating electromagnetic fields)은 배치(batch)의 상기 부양 상태를 유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교류 전자기장들은 강자성 재료(ferromagnetic material)의 코어를 가지는 적어도 한 쌍의 대향 유도 코일들(opposing induction coils)로 생성되며,
상기 코어들을 가지는 상기 유도 코일들은 서로에 대해 각 쌍으로(in each pair relative to each other) 이동 가능하게 정렬되고(movably arranged), 작은 거리 용해 위치(small distance melting position) 및 넓은 거리 주조 위치(wide distance casting position) 사이에서 이동하며,
- 상기 유도 코일들 쌍들을 작은 거리의 용해 위치(smelting position)로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배치가 부양 상태로 유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교류 전자기장의 영향권에 출발 재료(starting material)의 배치(batch)를 도입하는(introducing) 단계,
- 상기 배치를 용해하는(melting) 단계,
- 상기 부양 배치 아래의 충전 영역(filling area)에 주조 몰드(casting mould)를 위치시키는(positioning) 단계,
- 상기 유도 코일들을 작은 거리의 상기 용해 위치에서 넓은 거리의 상기 주조 위치까지 적어도 한 쌍으로 이동시켜, 전체 배치를 상기 주조 몰드 내로 주조하는(casting) 단계,
- 상기 주조 몰드로부터 상기 응고된 주조체(solidified cast body)를 제거하는(removal)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용융 배치의 상기 부피는 바람직하게는 주조체를 제조하기에 충분한 수준("충전 부피")으로 상기 주조 몰드를 충전하기에 충분하다. 상기 주조 몰드를 충전한 후, 냉각수로 냉각하거나 냉각되도록 하여, 상기 재료가 상기 몰드에서 응고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주조체를 상기 몰드에서 제거할 수 있다.
"전도성 재료(conductive material)"는 상기 재료를 유도 가열하고 부양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전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양 상태(levitating state)"는 상기 처리된 배치가 도가니(crucible) 또는 플랫폼(platform) 등과 어떠한 접촉도 없도록 완전한 부양(complete levitation) 상태로 정의된다.
'페라이트 극(ferrite pole)'이라는 용어는 본 출원에서 '강자성 물질의 코어(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라는 용어와 동의어로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코일(coil)" 및 "유도 코일(induction coil)"이라는 용어들도 동의어로 나란히 사용된다.
상기 유도 코일 쌍들을 서로 더 근접하게 이동시키면, 상기 생성된 교류 전자기장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것은 더 무거운 배치들도 부양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배치를 주조할 때, 상기 코일들 사이의 자유 단면을 감소시킴에 따라 상기 용융 배치가 상기 코일들 또는 페라이트 극들과 접촉할 위험이 증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불순물들은 제거하기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상기 플랜트의 가동 중단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엄격하게 피해야 한다. 주조 시, 불순물들의 위험을 감수할 필요없이, 가능한 한 한 쌍의 유도 코일 쌍들의 더 좁은 거리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코어들을 가지는 상기 유도 코일들은 본 발명에 따라 각각 적어도 한 쌍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movably mounted).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상기 코일들은 상기 유도 코일 정렬의 중심 주위로 역 방향 회전 중심대칭으로 이동한다(counter-rotating centrosymmetrically).
상기 배치를 용해하기 위해, 상기 코일들이 상기 용해 위치 내로 함께 푸시된다. 상기 배치가 용해되어 상기 주조 몰드 내로 보내지면, 종래 기술에서 관례대로 상기 코일들은 단순히 스위치 오프되거나 상기 전류가 감소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따라 주조 위치로 바깥쪽으로 이동된다. 이것은 코일들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데, 한편으로는 상기 주조 몰드로 들어가는 상기 용해물에 대해 더 큰 자유 직경(larger free diameter)을 생성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유도된 자기장의 상기 운반 능력을 지속적으로 그리고 제어된 방식으로 감소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용해물은 상기 코일 평면을 통과하고 천천히 떨어질 때만 상기 유도 코일들과 상기 코어들에서 안전하게 떨어져 유지된다. 왜냐하면, 상기 필드는 이미 상기 중앙에서 약해졌지만 상기 코일들에서 여전히 접촉을 방지할만큼 충분히 강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상기 코일들의 오염을 방지하고, 스프레이(spraying) 없이 상기 주조 몰드에 깨끗한 주조를 보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설계 변형에서, 상기 배치를 주조하는 동안, 상기 용해 위치에서 상기 주조 위치까지 상기 유도 코일들 쌍들의 상기 유도 코일들 이동과 동시에 상기 유도 코일들의 상기 전류 강도가 감소된다. 상기 유도 자기장은 상기 유도 코일들 사이의 거리가 더 멀어도 더 이상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유도 코일들의 상기 필요한 변위 경로(displacement path)의 감소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류 강도의 상기 감소는 상기 코일들의 변위와 함께 조정되어, 상기 전계 강도는 상기 코일들로부터 상기 용해물을 멀리 유지하기에 항상 충분히 높아야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유도 코일들 쌍들에서 상기 유도 코일들의 상기 거리는 상기 용해 위치에서 상기 주조 위치까지 5 ~ 100mm, 바람직하게는 10 ~ 50mm 증가된다. 상기 변위 경로를 결정할 때, 상기 시스템이 설계되는 상기 배치 무게와 상기 코일들 사이의 상기 최소 거리 그리고 그것으로 생성될 수 있는 상기 전계 강도를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상기 전기 전도성 재료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티타늄, 지르코늄, 바나듐, 탄탈륨, 텅스텐, 하프늄, 니오븀, 레늄, 몰리브덴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고-융점 금속(high-melting metal)을 가진다. 내지는, 니켈, 철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저-융점 금속(less high-melting metal)도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기한 금속과의 혼합물 또는 합금도 전도성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은 상기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50 중량%, 특히 적어도 60 중량% 또는 적어도 70 중량%의 비율을 가진다. 이들 금속들은 특히, 본 발명의 장점들로부터 이익을 얻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전도성 재료는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 특히 TiAl 또는 TiAlV이다.
이들 금속들 또는 합금들은 온도에 대한 점도의 현저한 의존성을 가지고, 특히 주조 몰드의 상기 재료들과 관련하여 특히 반응성이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은 부양 중 비접촉 용해(contactless melting)와 상기 주조 몰드의 매우 빠른 충전(extremely fast filling)을 결합하기 때문에, 이러한 금속들에 대해 특별한 장점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용해물과 상기 주조 몰드의 상기 재료의 반응으로부터 특히 산화막(oxide layer)이 얇거나 심지어는 전혀 없는 주조체들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융점 금속들의 경우, 상기 유도 와전류의 활용이 개선되고, 열 접촉으로 인한 열 손실들의 급격한 감소가 사이클 타임들과 관련하여 두드러진다. 또한, 상기 생성된 자기장의 상기 운반 능력을 증가시켜, 더 무거운 배치들도 부양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전도성 재료는 용해하는 중에, 상기 재료의 상기 용융점보다 적어도 10℃, 적어도 20℃, 또는 적어도 30℃ 높은 온도로 과열된다. 이러한 과열로 인해, 온도가 상기 용해 온도 이하인 상기 주조 몰드와의 접촉 즉시 상기 재료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재료의 상기 점도가 너무 높아지기 전에 상기 배치가 상기 주조 몰드에 확산될 수 있다. 부양 용해의 장점은 상기 용해물과 접촉하는 도가니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는 상기 도가니 벽에서 상기 저온 도가니 공정의 높은 재료 손실과 도가니 성분에 의한 상기 용해물의 오염을 방지한다. 또 다른 장점은 진공 또는 보호 가스 하에서 작동이 가능하고, 반응성 재료들과의 접촉이 없기 때문에, 상기 용해물을 비교적 높은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재료들은 상기 주조 몰드와의 격렬한 반응의 위험을 감수하기 때문에, 임의로 과열될 수 없다. 따라서, 과열은 상기 도전성 재료의 상기 융용점보다 300℃ 이하, 특히 2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자기장을 집중시키고 상기 배치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강자성 요소가 상기 배치가 용해되는 영역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정렬된다. 상기 강자성 요소는 상기 용해 영역 주위에 링-형상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여기서 "링-형상(ring-shaped)"은 원형 요소들뿐만 아니라 각진(angular), 특히 정사각형 또는 다각형 링 요소들(polygonal ring elements)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도 코일들의 상기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링 요소들은 상기 코일들의 수에 따라 서브-세그먼트들(sub-segments)로 나뉘며, 그 사이에서 그 극들을 가지는 각각의 유도 코일이 폼-피팅 방식(form-fitting manner)으로 이동한다. 상기 강자성 요소는 또한 상기 용해 영역의 상기 방향으로 특히 수평으로 돌출하는 여러 개의 바 섹션들(bar sections)을 가질 수있다. 상기 강자성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진폭 투과율(amplitude permeability) μa >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μa >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μa > 100 인 강자성 재료로 구성된다. 진폭 투과율은 특히 25℃ ~ 150℃의 온도 범위에서, 0 ~ 500mT의 자속 밀도에서 투과율을 나타낸다. 상기 진폭 투과율은 특히 연 자성 페라이트(가령, 3C92)의 진폭 투과율의 적어도 1/100, 특히 적어도 1/10 또는 1/25에 해당한다. 적합한 재료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전도성 재료를 부양 용해시키는 장치는, 교류 전자기장들에 의해 배치의 상기 부양 상태를 유발하기 위해 강자성 재료의 코어를 가지는 적어도 한 쌍의 대향 유도 코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들을 가지는 상기 유도 코일들은 각 쌍에서 이동 가능하게 정렬되고, 작은 거리의 용해 위치와 넓은 거리의 주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도 1은 강자성 재료, 코일들 및 전도성 재료의 배치가 있는 용해 영역 아래의 주조 몰드의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2개의 코일 쌍들과 강자성 요소가 있는 정렬의 평면도이다.
도면들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준다. 그것들은 단지 설명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상기 코일들(3)에 의해 생성된 교류 전자기장들의 상기 영향 영역(용융 영역)에 있는 전도성 재료의 배치(1)를 도시한다. 상기 배치(1) 아래에는 홀더(holder)(5)에 의해 상기 충전 영역에 유지되는 빈 주조 몰드(empty casting mould)(2)가 있다. 상기 주조 몰드(2)에는 깔때기-형상(funnel-shaped)의 충전 섹션(filling section)(6)이 있다. 상기 홀더(5)는 상기 주조 몰드(2)를 화살표로 표시되는 공급 위치(feeding position)에서 주조 위치(casting position)까지 들어올리는 데 적합하다. 강자성 재료(ferromagnetic material)(4)가 상기 코일들(3)의 상기 코어 내에 정렬된다. 상기 한 쌍의 코일들(3)의 축들은 수평으로 정렬되며, 각각의 두 대향 코일들(3)은 한 쌍을 형성한다. 도면에서 코일 정렬의 상기 용해 위치가 짧은 거리에 있다.
상기 배치(1)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정에서 부양하면서 용해되고, 상기 용해가 발생한 후 상기 주조 몰드(2) 내로 보내진다. 주조를 위해, 화살표로 표시된 상기 코일들(3)은 상기 필드의 상기 로렌츠 힘(Lorentz force)이 더 이상 상기 배치(1)의 상기 하중(weight force)을 보상할 수 없을 때까지 서로 분리된다.
도 2는 두 쌍의 코일들과 강자성 링-형 요소(7)를 가지는 정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링-형 요소(7)는 팔각형 링 요소(octagonal ring element)로 설계된다. 상기한 강자성 재료(4)와 함께 축(A, B)에 놓인 각각의 두 코일들(3)은 한 쌍의 코일들을 형성한다. 상기 코일 축들(A, B)은 서로 직각으로 정렬된다. 상기 도면은 상기 코일들(3) 사이의 좁은 거리들을 가지는 상기 코일 정렬의 상기 용해 위치를 도시한다. 상기 링-형상의 요소(7)에 양으로 안착된(positively seated) 상기 강자성 재료들(4)은 이중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상기 부양 용해물을 주조하기 위해 외측으로 상기한 코일들(3)과 함께 이동한다.
1 배치
2 주조 몰드
3 유도 코일
4 강자성 재료
5 홀더
6 충전 섹션
7 링-형상 요소

Claims (5)

  1. 전기 전도성 재료(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로부터 부양 용해법(levitation melting method)에 의해 주조체들(cast bodies)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교류 전자기장들(alternating electromagnetic fields)은 배치(batch)(1)의 부양 상태를 유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교류 전자기장들은 강자성 재료(ferromagnetic material)(4)의 코어를 가지는 적어도 한 쌍의 대향 유도 코일들(opposing induction coils)(3)로 생성되며,
    상기 코어들을 가지는 상기 유도 코일들(3)은 서로에 대해 각 쌍으로(in each pair relative to each other) 이동 가능하게 정렬되고(movably arranged), 작은 거리 용해 위치(small distance melting position) 및 넓은 거리 주조 위치(wide distance casting position) 사이에서 이동하며,
    - 상기 유도 코일들 쌍들을 작은 거리의 용해 위치(smelting position)로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배치(1)가 부양 상태로 유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교류 전자기장의 영향권에 출발 재료(starting material)의 배치(batch)(1)를 도입하는(introducing) 단계,
    - 상기 배치(1)를 용해하는(melting) 단계,
    - 부양 배치(1) 아래의 충전 영역(filling area)에 주조 몰드(casting mould)(2)를 위치시키는(positioning) 단계,
    - 상기 유도 코일들을 작은 거리의 상기 용해 위치에서 넓은 거리의 상기 주조 위치까지 적어도 한 쌍으로 이동시켜, 전체 배치(1)를 상기 주조 몰드(2) 내로 주조하는(casting) 단계,
    - 상기 주조 몰드(2)로부터 응고된 주조체(solidified cast body)를 제거하는(removal)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1)를 주조하는 동안, 상기 용해 위치에서 상기 주조 위치까지 상기 유도 코일들 쌍들에서 상기 유도 코일들(3)의 이동과 동시에, 상기 유도 코일들(3) 내의 전류 강도(current intensity)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코일들 쌍들에서 상기 유도 코일들(3)의 상기 거리는 상기 용해 위치에서 상기 주조 위치까지 5 ~ 100mm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전기 전도성 재료를 부양 용해하는 장치로서,
    교류 전자기장들(alternating electromagnetic fields)에 의해 배치(batch)(1)의 부양 상태를 유발하는 강자성 재료(ferromagnetic material)(4)의 코어(core)를 가지는 적어도 한 쌍의 대향 유도 코일들(opposing induction coils)(3)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들을 가지는 상기 유도 코일들(3)은 서로에 대해 각 쌍으로(in each pair relative to each other) 이동 가능하게 정렬되고(movably arranged), 작은 거리 용해 위치(small distance melting position) 및 넓은 거리 주조 위치(wide distance casting position)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코일들 쌍들에서 상기 유도 코일들(3)의 상기 거리는 상기 용해 위치에서 상기 주조 위치까지 5 ~ 100mm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207024932A 2018-07-17 2019-07-09 이동식 유도 유닛들을 이용하는 부양 용해 방법 Active KR102217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17300.8 2018-07-17
DE102018117300.8A DE102018117300B3 (de) 2018-07-17 2018-07-17 Schwebeschmelzverfahren mit beweglichen Induktionseinheiten
PCT/EP2019/068430 WO2020016061A1 (de) 2018-07-17 2019-07-09 Schwebeschmelzverfahren mit beweglichen induktionseinhei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960A KR20200105960A (ko) 2020-09-09
KR102217611B1 true KR102217611B1 (ko) 2021-02-19

Family

ID=6726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932A Active KR102217611B1 (ko) 2018-07-17 2019-07-09 이동식 유도 유닛들을 이용하는 부양 용해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197351B2 (ko)
EP (1) EP3626028B1 (ko)
JP (1) JP6931749B1 (ko)
KR (1) KR102217611B1 (ko)
CN (1) CN111771425B (ko)
DE (1) DE102018117300B3 (ko)
ES (1) ES2803427T3 (ko)
PL (1) PL3626028T3 (ko)
PT (1) PT3626028T (ko)
RU (1) RU2735331C1 (ko)
SI (1) SI3626028T1 (ko)
TW (1) TWI727370B (ko)
WO (1) WO20200160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452537A4 (en) 2021-12-24 2025-07-02 Build Beyond Ll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ONTROLLED MAGNETIC FLUX
WO2025093146A1 (en) 2023-10-31 2025-05-08 University Of Latvia A technique for replenishing molten, levitating material by growing monocrystalline, polycrystalline, or other solid-state structures under electromagnetic levitation condi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542Y1 (ko) 1999-05-08 2000-07-15 신종섭 고주파 부양용해 진공주조장치
KR100952904B1 (ko) 2008-12-30 2010-04-16 김차현 2단계 고주파 부양용해를 이용한 진공주조장치 및 주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004C (de) * 1925-11-23 Otto Muck Dipl I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melzen, insbesondere von Leitern u. dgl. durch elektrische Induktionsstroeme
US2686864A (en) * 1951-01-17 1954-08-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Magnetic levitation and heating of conductive materials
US2664496A (en) * 1952-11-25 1953-12-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for the magnetic levitation and heating of conductive materials
BE655473A (ko) * 1963-11-21 1900-01-01
US4578552A (en) * 1985-08-01 1986-03-25 Inductotherm Corporation Levitation heating using single variable frequency power supply
SU1764189A1 (ru) * 1988-08-29 1992-09-23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Черниговский радиоприборный завод" Устройство дл бесконтакной плавки и очистки электропроводных материалов во взвешенном состо нии
US5033948A (en) 1989-04-17 1991-07-23 Sandvik Limited Induction melting of metals without a crucible
SU1697283A1 (ru) * 1989-07-11 1991-12-07 Ленинградский институт инженеро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им.акад.В.Н.Образцо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лавки металла во взвешенном состо нии
TW297050B (ko) 1995-05-19 1997-02-01 Daido Steel Co Ltd
US6144690A (en) 1999-03-18 2000-11-07 Kabushiki Kaishi Kobe Seiko Sho Melting method using cold crucible induction melting apparatus
DE102011082611B4 (de) * 2011-09-13 2024-10-10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Induktionsspuleneinheit
CN102519249A (zh) * 2011-11-24 2012-06-27 吉林大学 压电超声波/高频电磁混合悬浮非接触熔炼的方法和装置
DE102017100836B4 (de) * 2017-01-17 2020-06-18 Ald Vacuum Technologies Gmbh Gießverfahr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542Y1 (ko) 1999-05-08 2000-07-15 신종섭 고주파 부양용해 진공주조장치
KR100952904B1 (ko) 2008-12-30 2010-04-16 김차현 2단계 고주파 부양용해를 이용한 진공주조장치 및 주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626028T3 (pl) 2020-09-07
RU2735331C1 (ru) 2020-10-30
US11197351B2 (en) 2021-12-07
TWI727370B (zh) 2021-05-11
ES2803427T3 (es) 2021-01-26
EP3626028A1 (de) 2020-03-25
KR20200105960A (ko) 2020-09-09
PT3626028T (pt) 2020-07-07
SI3626028T1 (sl) 2020-08-31
US20210251054A1 (en) 2021-08-12
WO2020016061A1 (de) 2020-01-23
EP3626028B1 (de) 2020-06-03
CN111771425A (zh) 2020-10-13
DE102018117300B3 (de) 2019-11-14
TW202007225A (zh) 2020-02-01
JP2021526302A (ja) 2021-09-30
CN111771425B (zh) 2021-05-14
JP6931749B1 (ja)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8105A (ko) 주조 방법
KR102217611B1 (ko) 이동식 유도 유닛들을 이용하는 부양 용해 방법
KR102237272B1 (ko) 경사진 유도 유닛들을 이용한 부상 용해 장치 및 방법
JP5878398B2 (ja) チタン溶解装置
US3582528A (en) Treatment process
KR102226483B1 (ko) 부양 용해 방법
KR102217519B1 (ko) 링-형상 요소를 이용하는 부양 용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