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16888B1 - Manually controlled brake system for railway road - Google Patents

Manually controlled brake system for railway ro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888B1
KR102216888B1 KR1020190077492A KR20190077492A KR102216888B1 KR 102216888 B1 KR102216888 B1 KR 102216888B1 KR 1020190077492 A KR1020190077492 A KR 1020190077492A KR 20190077492 A KR20190077492 A KR 20190077492A KR 102216888 B1 KR102216888 B1 KR 102216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aft
drive shaft
sliding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4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1424A (en
Inventor
오혁근
백승구
김석원
박준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77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888B1/en
Publication of KR20210001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4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88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02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disengaged by a contact of a part mounted on the clutch with a stationarily-mounted member
    • F16D11/04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disengaged by a contact of a part mounted on the clutch with a stationarily-mounted member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2011/002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using an external and axially slidable sleeve for coupling the teeth of both coupling components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023/0631Sliding sleeves;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수동 제어가 가능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은 제동부 및 상기 제동부를 동작시키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축유닛, 기어유닛, 클러치 유닛, 가이드유닛 및 조절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축유닛은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축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클러치 유닛은 상기 기어유닛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력을 상기 기어유닛으로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클러치 유닛을 상기 축유닛 상에서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가이드유닛을 동작시킨다. A braking system for a railroad vehicle capable of manual control includes a braking unit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operating the braking uni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shaft unit, a gear unit, a clutch unit, a guide unit, and an adjustment unit. The shaft unit rotates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The gear un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haft unit. The clutch unit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gear unit and selectively provides the driving force to the gear unit. The guide unit slides the clutch unit on the shaft unit.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guide unit.

Description

수동 제어가 가능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MANUALLY CONTROLLED BRAKE SYSTEM FOR RAILWAY ROAD}Braking system for rail vehicles with manual control {MANUALLY CONTROLLED BRAKE SYSTEM FOR RAILWAY ROAD}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제동 또는 제동의 완해를 수행함에 있어, 최종 기어 단에 전달되는 토크 또는 구동력의 제공이나 차단을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통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동 제어가 가능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ing system for a railroad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in performing braking or easing of braking of a railroad vehicle, it is easy to provide or block torque or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final gear stage throug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It relates to a brak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capable of manual control that can be performed.

종래 철도차량에 적용되는 제동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공압기반 제동시스템으로서, 열차의 각 대차별로 설치되는 경우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고 응답속도가 느리며, 이에 따른 정밀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Conventional braking systems applied to railway vehicles are generally pneumatic-based braking systems, and when installed for each vehicle of the train, the space occupied is increased and the response speed is slow, and thus precise control is difficult.

이에, 종래 공압기반 제동시스템을 모터 등의 전자제동시스템으로 대체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까지는 자동차 등의 소형 차량에 적용되는 전자제동시스템은 다수의 기술들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철도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전자제동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Accordingly, technologies for replacing the conventional pneumatic-based braking system with an electronic braking system such as a motor have been developed, and until now, a number of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electronic braking system applied to small vehicles such as automobiles, but applied to railway vehicles. Research on a possible electronic braking system is incomplete.

예를 들어, 일본국 등록특허 제5997735호에서는, 안장형 차량의 제동력 제어 장치로서, 도크 클러치의 축 상에서의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 구동륜에 제동력을 일으키거나 제동력을 완해하는 구조를 개시하고는 있다. For example, Japanese Patent No. 597735 discloses a structure for generating braking force or easing braking force to drive wheels through a sliding structure on the shaft of a dock clutch as a braking force control device for a saddle type vehicle.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들이 철도차량에 적용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철도차량의 경우, 특정 대차의 제동장치가 문제가 생겼을 경우 해당 대차의 제동을 완해시키고 운행을 하게 되는데, 제동 완해가 되지 않는 경우라면 철도차륜은 레일 상에서 활주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탈선 등의 안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application of the above technologies to railway vehicles,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ailway vehicles,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braking system of a specific vehicle, the brake of the vehicle is relieved and the vehicle operates, but the brake is not relieved. If not, the railroad wheels will slide on the rails, resulting in safety problems such as derailment.

나아가, 종래 공압기반 제동시스템의 경우, 스프링 힘에 의해 체결되는 주차제동시, 차량의 전원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차제동을 완해하기 위해서는 스프링 힘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으며, 차량의 전원이 제공되지 않으면 자연스러운 공압의 누기로 주차제동력이 소실되는 문제가 있다. Furthermor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pneumatic-based braking system,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in that the spring force must be removed in order to relieve the parking braking when the vehicle is not supplied with power when parking braking is fastened by a spring force, and the vehicle power is provided. If no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rking braking power is lost due to natural air leakage.

일본국 등록특허 제5997735호Japanese Patent No. 597735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의 제동 또는 제동의 완해를 수행함에 있어, 최종 기어단에 전달되는 토크 또는 구동력의 제공이나 차단을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통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동 제어가 가능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this respect,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or block the torque or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final gear when performing braking or braking relief of a railroad vehicle. It relates to a braking system for rail vehicles capable of manual control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through.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은 제동부 및 상기 제동부를 동작시키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축유닛, 기어유닛, 클러치 유닛, 가이드유닛 및 조절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축유닛은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축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클러치 유닛은 상기 기어유닛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력을 상기 기어유닛으로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클러치 유닛을 상기 축유닛 상에서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가이드유닛을 동작시킨다. A brak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king unit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operating the braking uni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shaft unit, a gear unit, a clutch unit, a guide unit, and an adjustment unit. The shaft unit rotates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The gear un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haft unit. The clutch unit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gear unit and selectively provides the driving force to the gear unit. The guide unit slides the clutch unit on the shaft unit.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guide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러치 유닛이 상기 기어유닛과 결합되면, 상기 구동력이 상기 제동부로 제공되어 철도차량이 제동되고, 상기 클러치 유닛이 상기 기어유닛으로부터 탈착되면, 상기 구동력이 상기 제동부로 제공되지 않아 상기 철도차량의 제동이 완해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clutch unit is coupled to the gear unit, the driving force is provided to the brake unit to brake the railway vehicle, and when the clutch unit is detached from the gear unit, the driving force is provided to the brake unit. Therefore,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may be reliev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러치 유닛은 상기 축유닛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함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lutch unit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haft unit, and the gear unit may have a recess coupled to the protrus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조절유닛에 연결되는 가이드 몸체, 상기 가이드 몸체 상에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클러치 유닛을 상기 축유닛 상에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guide unit, a guide body connected to the adjustment unit, a guide portion extending in an inclined direction on the guide body, and sliding along the guide portion, the clutch unit sliding on the shaft unit It may include a sliding guide to le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축유닛의 상부 끝단에 고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liding guide may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haft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가이드 몸체에 연결되는 조절축, 및 상기 조절축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축을 회전시키는 조절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djustment unit may include an adjustment shaft connected to the guide body, and an adjustment screw connected to an end of the adjustment shaft to rotate the adjustment shaf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축은 회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며, 상기 조절축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부 상에서 상기 축유닛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djustment shaft may move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d the sliding guide may mov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haft unit on the guide portion according to the forward or backward movement of the adjustment shaf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축은, 상기 축유닛 및 상기 클러치 유닛을 내부 공간으로 수납하는 하우징 유닛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djustment shaft may be fixed to a fixing frame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a housing unit accommodating the shaft unit and the clutch unit into an inner sp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축유닛은, 상기 기어유닛이 연결되는 하부 구동축, 상기 하부 구동축으로부터 연장되며, 복수의 슬라이딩 홈들이 형성되는 슬라이딩 구동축, 및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유닛과 연결되는 연장 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haft unit, a lower drive shaft to which the gear unit is connected, a sliding drive shaft extending from the lower drive shaft, a sliding drive shaft in which a plurality of sliding grooves are formed, and extending from the sliding drive shaft, and connected to the guide unit. It may include an extended drive shaf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러치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홈들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기어유닛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lutch unit may include a body portion that slides along the sliding grooves and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gear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축유닛은, 내부에 축 공간이 형성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의 축 공간에서 슬라이딩되며, 끝단은 상기 가이드유닛과 연결되는 슬라이딩 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haft unit may include a drive shaft having an axial space formed therein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sliding drive shaft that is slid in an axial space of the drive shaft, and an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guide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러치 유닛은, 상기 구동축 상에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기어유닛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구동축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를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에 고정시키는 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lutch unit includes a body portion sliding on the drive shaft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gear unit,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pin portion penetrating the drive shaft and fixing the body portion to the sliding drive shaft. It may contain mor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핀부는, 상기 구동축의 외면에 소정 거리만큼 형성된 핀 가이드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in portion may be moved on a pin guide form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e shaf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축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축유닛의 끝단에 연결되는 감속기, 및 상기 축유닛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further comprises a drive unit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shaft unit, the drive unit, a reducer connected to an end of the shaft unit, and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haft unit It may include a motor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reducer in the phosphorus direction to provide a driving for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외부에서 수동으로 조절되는 조절유닛을 통해, 클러치유닛을 기어유닛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동부를 동작시키거나 제동을 완해할 수 있으므로, 특히, 전원이 제공되지 않은 상황에서 제동력의 완해를 수행할 수 있어 철도차량의 운반, 수리 등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uple the clutch unit to the gear unit through an adjustment unit that is manually controlled from the outside,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brake unit or to relieve the brake , As the braking force can be relieved in a situation where power is not provided,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repair of railway vehicles is improved.

이 경우, 상기 클러치유닛은 축유닛 상에서 가이드 되어 이동되어 상기 기어유닛과의 선택적 결합이 가능하므로, 제동 구동 및 완해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동력전달유닛의 설계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제작의 용이성 및 실제 철도차량에의 적용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clutch unit is guided and moved on the shaft unit and can be selectively coupled with the gear unit,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the desig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for implementing the braking drive and releasing operation, and the ease of manufacture and The applicability to actual railway vehicles can also be improved.

한편, 수평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조절유닛과, 이를 수직방향으로 전환하여 클러치 유닛을 구동시키는 가이드유닛의 조합을 통해, 전체적으로 동력전달유닛의 크기나 부피를 줄여, 최적화된 제동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adjustment unit that provides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guide unit that drives the clutch unit by converting i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overall size or volum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reduced,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optimized braking system. This is possible.

나아가, 구동유닛에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부와 상기 구동력을 상기 축유닛으로 제공하는 감속기를 상기 축유닛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함으로써, 특히, 전원이 차단되어 제동력이 완해되는 경우에도 감속기의 저항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 제동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철도차량을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상기 조절유닛을 외부에서 수동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제동력을 신속하게 완해시킬 수 있어, 제동력의 유지, 제공 및 완해를 사용 상태에 따라 편리하게 변환할 수 있다. Furthermore, by arranging a motor unit generating a driving force in a driving unit and a reducer that provides the driving force to the shaft unit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haft unit, in particular, even when the power is cut off and the braking force is relieved, The braking force can be maintained over a certain level through resistance, and in particular, when the railroad vehicle needs to be moved while the power is cut off, the braking force can be quickly relieved by manually operating the control unit from the outside. The maintenance, provision, and relaxation of the product can be conveniently conver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동력전달유닛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에서, 동력전달유닛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방향을 따라 관찰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동력전달유닛의 축유닛의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에서, 동력전달유닛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raking system for a railroa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in a braking system for a railroad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what is observed along the direction B of FIG. 4.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haft unit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of FIG. 4.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in a braking system for a railroad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sinc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nd various forms can be obtain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it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being ad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raking system for a railroa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본 실시예에 의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1)은 동력전달유닛(10), 회전 구동기어(2), 편심부(3), 회전 구동부(4), 간극 조절부(5) 및 제동부(9)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first, the braking system 1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unit 10, a rotation drive gear 2, an eccentric part 3, a rotation drive part 4, and a gap adjustment part. (5) and a brake (9).

상기 동력전달유닛(10)은 후술하겠으나,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 구동기어(2)로 제공하며, 상기 회전 구동기어(2)에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상기 편심부(3)는 편심 회전하게 된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generates a driving force and provides it to the rotation driving gear 2, and the eccentric portion 3 rotates eccentrically by the driving force provided to the rotation driving gear 2.

상기 편심부(3)의 편심 회전에 따른 편심력은 상기 제동부(9)의 제1 제동패드(6)로 제공되어 상기 제1 제동패드(6)가 동작하며, 상기 간극 조절부(5)를 통해 상기 회전 구동부(4)에도 제공되어, 상기 회전 구동부(4)에 의해 상기 제1 제동패드(7)가 동작하게 된다. The eccentric force according to the eccentric rotation of the eccentric part 3 is provided to the first braking pad 6 of the braking part 9 so that the first braking pad 6 operates, and the gap adjusting part 5 It is also provided to the rotation driving unit 4 through the rotation driving unit 4 to operate the first brake pad 7.

즉, 상기 편심부(3)의 편심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제동패드들(6, 8)은 서로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동 디스크(7)에 밀착되며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편심부(3)가 회전되지 않거나 회전 방향이 변화하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 제동패드들(6, 8)은 상기 제동 디스크(7)를 향하여 밀착되지 않거나, 상기 제동 디스크(7)로부터 멀어져 제동력이 완해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eccentric rotation of the eccentric part 3, the first and second braking pads 6 and 8 are moved in a direction that narrows each other, so that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king disk 7 and can provide a braking force. In contrast, when the eccentric part 3 is not rotated or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changed, the first and second brake pads 6 and 8 do not come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ke disk 7 or the brake The braking force may be relieved by moving away from the disk 7.

또한, 이러한 상기 편심부(3)의 회전은 결국 상기 동력전달유닛(10)의 구동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며, 이에, 이하에서는 상기 동력전달유닛(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portion 3 is eventually performed by driv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0, and thu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는 도 1의 동력전달유닛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유닛(10)은 하우징유닛(100), 축유닛(200), 구동유닛(300), 기어유닛(400), 클러치유닛(500), 가이드유닛(600) 및 조절유닛(700)을 포함한다. 2 and 3,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0 includes a housing unit 100, a shaft unit 200, a drive unit 300, a gear unit 400, a clutch unit 500, and a guide unit ( 600) and a control unit 700.

상기 하우징유닛(100)은 상기 동력전달유닛(1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101)을 형성한다. The housing unit 100 forms the overall external shap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0 and forms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101 therein.

상기 하우징유닛(100)은, 서로 마주하는 상부 프레임(120) 및 하부 프레임(130),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들(120, 130)을 연결하며,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101)을 형성하는 측부 프레임(110)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을 가져, 상기 수납공간(101)도 실린더 형상의 수납공간일 수 있다. The housing unit 100 is a sid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frame 120 and the lower frame 130,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120 and 130 facing each other, and forming the storage space 101 therein. It includes a frame 110, for example, has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the storage space 101 may also be a storage space having a cylindrical shape.

상기 수납공간(101)의 내부에는, 상기 축유닛(200)과 상기 기어유닛(400)이 위치한다. Inside the storage space 101, the shaft unit 200 and the gear unit 400 are located.

한편, 상기 하우징유닛(100)은, 상기 상부 프레임(120)의 측부에 상기 측부 프레임(1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추가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120)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unit 100 further extend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ide frame 110 to the side of the upper frame 120, the fixed frame 140 protruding from the upper frame 120 Include.

상기 고정 프레임(140)은, 후술되는 상기 조절유닛(7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조절유닛(700)과 함께 후술한다. The fixing frame 140 serves to fix the adjustment unit 700 to be described later, and will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adjustment unit 700.

상기 구동유닛(300)은 상기 하우징 유닛(10)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축유닛(200)으로 구동력을 제공한다. The driving unit 300 is located outside the housing unit 10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shaft unit 200.

이 경우, 상기 구동유닛(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유닛(200)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축유닛(200)의 끝단에 연결되며, 예를 들어, 구동 모터와 같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rive unit 300, as shown,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haft unit 200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haft unit 200, for example, a rotational driving force like a drive motor. Can provide.

상기 축유닛(200)은 상기 구동유닛(300)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며, 하부 구동축(210), 슬라이딩 구동축(220), 상부 구동축(230) 및 연장 구동축(240)을 포함한다. The shaft unit 200 rotates by receiv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unit 300, and includes a lower driving shaft 210, a sliding driving shaft 220, an upper driving shaft 230, and an extended driving shaft 240.

상기 하부 구동축(210)은 일 끝단은 상기 구동유닛(30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300)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고, 타 끝단은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에 연결된다. One end of the lower drive shaft 210 is connected to the drive unit 300 and rotates by receiv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from the drive unit 3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liding drive shaft 220.

이 경우, 상기 하부 구동축(210)은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하부 구동축(210)이 상기 하우징유닛(100)에 대하여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130) 상에는 하부 베어링(131)이 고정되며, 상기 하부 베어링(131)을 관통하며 상기 하부 구동축(210)이 연결된다. In this case, the lower drive shaft 210 extend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unit 100, so that the lower drive shaft 210 can rotate smoothly with respect to the housing unit 100, the lower frame 130 ), the lower bearing 131 is fixed, passes through the lower bearing 131 and the lower drive shaft 210 is connected.

그리하여, 상기 하부 구동축(210)은 상기 하부 프레임(13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Thus, the lower drive shaft 21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lower frame 130.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은 일 끝단은 상기 하부 구동축(210)과 연결되며, 타 끝단은 상기 상부 구동축(230)에 연결된다. One end of the sliding drive shaft 220 is connected to the lower drive shaft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drive shaft 220 is connected to the upper drive shaft 230.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은 상기 하부 구동축(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The sliding drive shaft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drive shaft 210, or may be formed separately and combined with the lower drive shaft 210.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 역시 상기 하부 구동축(210)과 일체로 회전한다. The sliding drive shaft 220 also rotates integrally with the lower drive shaft 210.

다만,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슬라이딩 홈(225)이,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Howev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drive shaft 220, the sliding groove 225 is formed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drive shaft 220.

상기 슬라이딩 홈(225)에는 후술되는 클러치 유닛(500)이 고정되며, 상기 클러치 유닛(500)은 상기 슬라이딩 홈(225)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A clutch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 to the sliding groove 225, and the clutch unit 500 slides along the sliding groove 225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drive shaft 220.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은 원형 바(bar) 형상의 축으로, 상기 슬라이딩 홈(225)은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 상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liding drive shaft 220 may be a circular bar-shaped shaft, and the sliding groove 225 may be formed as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sliding drive shaft 220.

또한, 상기 슬라이딩 홈(225)은 복수개가,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은 서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지며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sliding grooves 225 may be form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drive shaft 220, and each may extend with the same distance from each other.

이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홈(225)은 상대적으로 깊은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의 단면이, 복수의 돌출부들과 복수의 오목부들이 서로 반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contrast, as shown in FIG. 3, the sliding groove 225 forms a relatively deep groove,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sliding drive shaft 220 i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re repeated with each other. It can also be formed of.

그리하여,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은 단면이 포인트(point)가 6개인 별(star)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us, for example, the sliding drive shaft 220 may have a star shape having six points in cross section.

이상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홈(225)이 형성됨에 따라, 특히 상기 슬라이딩 홈(225)이 깊이나 폭이 깊고 넓게 형성됨에 따라, 후술되는 상기 클러치 유닛(500)은 상기 슬라이딩 홈(225)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유닛(500)은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견고하게 수행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sliding groove 225 is formed, in particular, as the sliding groove 225 is formed to have a deep or wide depth or width, the clutch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more than the sliding groove 225. It is firmly fixed, and accordingly, the clutch unit 500 may steadily slide along the sliding drive shaft 22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drive shaft 220.

상기 상부 구동축(230)은 일 끝단은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의 타 끝단에 연결되며, 타 끝단은 후술되는 상기 클러치유닛(500)의 상면부(530)에 고정된다. One end of the upper drive shaft 23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drive shaft 22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530 of the clutch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이 경우, 상기 상부 구동축(230)은 외주면에는 별도의 홈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하부 구동축(210)과 동일한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상기 상면부(530)에 연결된다. In this case, the upper drive shaft 230 extends in the same shape as the lower drive shaft 210 because a separate groove is no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530 through the upper frame 120. .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120)에는, 상부 베어링(121)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 구동축(230)은 상기 상부 베어링(121)을 관통하며, 상기 상부 베어링(121)에 고정된다. Accordingly, the upper bearing 121 is fixed to the upper frame 120, and the upper drive shaft 230 passes through the upper bearing 121 and is fixed to the upper bearing 121.

그리하여, 상기 상부 구동축(230)은, 상기 상부 프레임(12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Thus, the upper drive shaft 23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upper frame 120.

이 경우, 상기 상부 구동축(230)은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과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pper drive shaft 2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liding drive shaft 220 or may be formed separately to be connected to the sliding drive shaft 220.

상기 연장 구동축(240)은, 상기 클러치 유닛(500)의 상기 상면부(53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1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The extended drive shaft 24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530 of the clutch unit 500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upper frame 120.

이 경우, 상기 연장 구동축(240)은 후술되는 상기 가이드 유닛(600)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유닛(700)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유닛(600) 상에서 이동되도록 가이드된다. In this case, the extended drive shaft 240 is connected to the guide unit 6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guided to be moved on the guide unit 600 by a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adjustment unit 700.

상기 기어유닛(400)은 상기 하부 구동축(210)의 끝단, 즉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이 연결되는 부분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 구동축(210)에 대하여 축 베어링(410)을 통해 연결된다. The gear unit 400 is fixed to an end of the lower drive shaft 210, that is, a portion to which the sliding drive shaft 220 is connected,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drive shaft 210 through a shaft bearing 410.

그리하여, 상기 기어유닛(400)은 상기 하부 구동축(210)에 대하여는 자유단(free end) 상태이며, 상기 하부 구동축(210)의 회전과 무관하게 고정된 상태로 위치한다. Thus, the gear unit 400 is in a free end state with respect to the lower drive shaft 210 and is positioned in a fixed state irrespective of the rotation of the lower drive shaft 210.

다만, 상기 기어유닛(400)은, 상기 하부 구동축(210)의 연장방향을 따라 함입된 함입부(401)를 포함하며, 상기 함입부(401)에 상기 클러치유닛(500)이 고정되는 경우, 상기 클러치유닛(500)의 회전에 구속되어 상기 클러치유닛(50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However, the gear unit 400 includes a depression 401 recess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wer drive shaft 210, and the clutch unit 500 is fixed to the depression 401, It is constrained by the rotation of the clutch unit 50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clutch unit 500.

이 경우, 상기 클러치유닛(500)은, 결국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 및 상기 하부 구동축(21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기어유닛(400)도, 상기 클러치유닛(500)과 결합되는 경우라면, 상기 하부 구동축(21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clutch unit 500 eventually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nd speed as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sliding drive shaft 220 and the lower drive shaft 210, the gear unit 400 When coupled to the clutch unit 500, the lower drive shaft 210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nd speed as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기어유닛(400)에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회전 구동기어(2)가 결합된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rotation drive gear 2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coupled to the gear unit 400.

이에 따라, 상기 기어유닛(40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 구동기어(2)도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회전력은 결국 상기 제동부(9)로 제공된다. Accordingly, when the gear unit 400 rotates, the rotation drive gear 2 also rotates, and this rotational force is eventually provided to the braking unit 9.

이와 달리, 상기 기어유닛(400)이 상기 클러치유닛(500)과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기어유닛(400)은 회전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동부(9)로는 별도의 구동력이 제공되지 않게 된다. In contrast, when the gear unit 400 is not engaged with the clutch unit 500, the gear unit 400 is not rotated, so that a separate driving force is not provided to the braking unit 9. do.

즉, 상기 기어유닛(400)과 상기 클러치유닛(500)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구동유닛(300)의 구동력이 상기 제동부(9)로 제공되어, 철도차량은 제동상태가 되며, 상기 기어유닛(400)과 상기 클러치유닛(500)이 서로 결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철도차량의 제동은 완해된다. That is, when the gear unit 400 and the clutch unit 5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300 is provided to the braking unit 9, so that the railroad vehicle is in a braking state, and the gear When the unit 400 and the clutch unit 500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is relaxed.

상기 클러치유닛(500)은 몸체부(510), 측면부(520), 상면부(530) 및 돌출부(540)를 포함한다. The clutch unit 500 includes a body portion 510, a side portion 520, an upper surface portion 530, and a protrusion portion 540.

상기 몸체부(51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면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홈(225)의 홈 형상에 대응되는 돌기 형상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The body portion 510 is not shown, but includes a protrusion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shape of the sliding groove 225 along an inner surface, and slides along the sliding drive shaft 220.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홈(225)의 형상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면, 상기 몸체부(510)의 내면도, 상기 도 3의 슬라이딩 홈(225)의 형상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225)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In this case, if the shape of the sliding groove 225 is as shown in FIG. 3, it is formed to b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view of the body part 510 and the shape of the sliding groove 225 of FIG. 3, It may slide along the sliding groove 225.

상기 돌출부(540)는 상기 몸체부(510)의 하부에, 상기 기어유닛(400)의 함입부(40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540)는 상기 함입부(401)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The protrusion 540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art 510 in a direction toward the recess 401 of the gear unit 400, and the protrusion 540 passes through the recess 401 Is inserted.

그리하여, 상기 몸체부(510)가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돌출부(540)는 상기 함입부(40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유닛(500)은 상기 기어유닛(400)과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Thus, when the body part 510 slides downward along the sliding drive shaft 220, the protrusion 540 is inserted into the recess 401, and accordingly, the clutch unit 500 Is coupled with the gear unit 400 to rotate integrally.

이와 달리, 상기 몸체부(510)가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돌출부(540)는 상기 함입부(401)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며, 상기 클러치유닛(500)은 상기 기어유닛(400)과 결합이 해제되어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body part 510 slides upward along the sliding drive shaft 220, the protrusion 540 comes out of the recess 401, and the clutch unit 500 The gear unit 400 and the coupling is released to rotate independently.

상기 상면부(530)는 상기 상부 구동축(230) 상에 연결되며, 상기 측면부(520)는 상기 상면부(530)와 상기 몸체부(510)를 연결하여, 상기 클러치유닛(500)이 전체적으로 일체로 이동되도록 고정한다. The upper surface part 530 is connected on the upper drive shaft 230, and the side part 520 connects the upper surface part 530 and the body part 510, so that the clutch unit 500 is integrated as a whole. It is fixed to move to.

이 경우, 상기 상면부(530) 상에는 상기 연장 구동축(240)이 연결된다. In this case, the extended drive shaft 240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530.

그리하여, 상기 클러치 유닛(500)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몸체부(510)는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0)을 따라 가이드되며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상면부(530)는 상기 상부 구동축(230) 상에서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Thus, when the clutch unit 500 moves downward, the body part 510 is guided along the sliding drive shaft 220 and slid downward, and the upper surface part 530 is the upper drive shaft ( 230) and slides downward.

또한, 상기 상면부(530)가 상기 상부 구동축(230) 상에서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연장 구동축(240) 역시 상기 상면부(530) 상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In addition, as the upper surface part 530 slides downward on the upper drive shaft 230, the extended drive shaft 240 also moves downward on the upper surface part 530.

이와 달리, 상기 클러치 유닛(50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몸체부(510), 상기 상면부(530) 및 상기 연장 구동축(240)은 상기 동작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In contrast, when the clutch unit 500 moves upward, the body portion 510, the upper surface portion 530, and the extended drive shaft 240 mov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peration.

상기 가이드유닛(600)은 상기 연장 구동축(240)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유닛(700)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상기 연장 구동축(240)으로 제공한다. The guide unit 600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drive shaft 240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700 to the extension drive shaft 240.

즉, 상기 가이드 유닛(600)은 가이드 몸체(610), 가이드부(620) 및 슬라이딩 가이드(630)를 포함한다. That is, the guide unit 600 includes a guide body 610, a guide part 620, and a sliding guide 630.

상기 가이드 몸체(610)는 블록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장 구동축(240)을 내부의 수납 공간에 위치시키며, 상기 가이드부(620)는 상기 가이드 몸체(610)의 내부에 비스듬한 경사면을 형성하며 연장된다. The guide body 610 has a block shape and locates the extension drive shaft 240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and the guide part 620 extends while forming an oblique inclined surface inside the guide body 610 .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630)는 상기 가이드부(620)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연장 구동축(240)의 끝단에 고정된다. The sliding guide 630 is moved along the guide part 620 and is fixed to an end of the extended drive shaft 240.

즉,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630)가 상기 가이드부(62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연장 구동축(240)의 끝단도 상기 가이드부(62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sliding guide 630 moves along the guide part 620, the end of the extended drive shaft 240 also moves along the guide part 620.

한편, 상기 조절유닛(700)은 조절 나사(710) 및 조절축(720)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축(720)은 상기 고정 프레임(140)을 관통하여 일 끝단은 상기 가이드유닛(600)의 가이드 몸체(610)의 일면에 고정된다. Meanwhile, the adjustment unit 700 includes an adjustment screw 710 and an adjustment shaft 720, and the adjustment shaft 720 passes through the fixing frame 140, so that one end of the guide unit 600 It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guide body 610.

상기 조절나사(710)는 상기 조절축(720)의 타 끝단에 고정된다. The adjusting screw 710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adjusting shaft 720.

상기 조절축(720)의 외주면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고정 프레임(140)의 내주면 상에는 상기 조절축(720)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justment shaft 720, and although not shown,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formed on the adjustment shaft 72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40.

그리하여, 상기 조절나사(710)를, 외부의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또는 별도의 회전 수단을 통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조절축(720)은 상기 조절나사(7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하며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Thus, when the adjustment screw 710 is rotated by an operation of an external user or through a separate rotation means, the adjustment shaft 720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djustment screw 710 and moves forward. Or you go backwards.

즉, 상기 조절나사(710)의 일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 몸체(610)가 고정되므로, 상기 조절나사(710)가 도 2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 몸체(610)는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That is, since the guide body 610 is fixed to one end of the adjusting screw 710, when the adjusting screw 710 moves forward or backward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2, the guide body 610 Moves forward or backward at the same time.

이 때, 상기 가이드 몸체(610) 상에는 경사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620)가 형성되므로, 상기 가이드 몸체(610)가 전진, 즉 도 2에서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부(62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630)는 하부 방향, 즉 상기 상부 프레임(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guide part 620 is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on the guide body 610, when the guide body 610 moves forward, that is, in the right direction in FIG. 2, the guide part 620 The sliding guide 630 positioned above moves in a downward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toward the upper frame 120.

그리하여,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630)에 고정되는 상기 연장 구동축(240)도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 유닛(500)은 상기 연장 구동축(240)과 함께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국 상기 돌출부(540)는 상기 함입부(401)로 삽입되어 서로 고정된다. Thus, the extended drive shaft 240 fixed to the sliding guide 630 also moves downward, and accordingly, the clutch unit 500 moves downward together with the extended drive shaft 240, and eventually the The protrusions 540 ar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s 401 and are fixed to each other.

이와 달리, 상기 가이드 몸체(610)가 후진, 즉 도 2에서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부(62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630)는 상부 방향, 즉 상기 상부 프레임(12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In contrast, when the guide body 610 moves backward, that is, in the left direction in FIG. 2, the sliding guide 630 positioned on the guide part 620 is in the upper direction, that is, the upper frame 120 ) In the opposite direction.

그리하여,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630)에 고정되는 상기 연장 구동축(240)도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 유닛(500)은 상기 연장 구동축(240)과 함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국 상기 함입부(401)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기 돌출부(540)는 상기 함입부(401)로부터 제거된다. Thus, the extended drive shaft 240 fixed to the sliding guide 630 also moves upward, and accordingly, the clutch unit 500 moves upward together with the extended drive shaft 240, and eventually the The protrusion 540 inserted and fixed in the recess 401 is removed from the recess 401.

이상과 같이, 외부에서 상기 조절나사(710)를 회전시키는 상대적으로 매우 간단한 구동을 통해서, 상기 구동유닛(300)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을 상기 기어유닛(400)으로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rough a relatively very simple driving of rotating the adjusting screw 710 from the outside,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driving unit 300 can be provided to the gear unit 400 or blocked so as not to be provided. There will be.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매우 간단한 구동을 통해서, 철도차량의 제동력의 제공 또는 제동의 완해를 제어할 수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rovision of braking force or easing of braking of the railroad vehicle through relatively very simple driving.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에서, 동력전달유닛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방향을 따라 관찰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in a braking system for a railroad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what is observed along the direction B of FIG. 4.

본 실시예에 의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에서의 동력 전달유닛(20)은, 축유닛(201) 및 클러치 유닛(501)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동력 전달유닛(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 in the braking system for a railroad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shaft unit 201 and the clutch unit 501 Since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10),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동력 전달유닛(20)에서, 상기 축유닛(201)은 구동축(211) 및 슬라이딩 구동축(221)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유닛(501)은 몸체부(511) 및 돌출부(541) 만을 포함한다. 4 and 5, 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 in this embodiment, the shaft unit 201 includes a drive shaft 211 and a sliding drive shaft 221, and the clutch unit 501 Includes only the body portion 511 and the protrusion portion 541.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축(211)은 일 끝단은 상기 구동유닛(300)에 연결되며, 타 끝단은 상기 하우징 유닛(100)의 상부 프레임(120) 상에 연결된다.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drive shaft 211 is connected to the drive unit 3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120 of the housing unit 100.

이 경우, 상기 구동축(211)은 내부가 중공인 축 공간(205)이 형성되며, 상기 축 공간(205) 상에는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1)이 슬라이딩 된다. In this case, the drive shaft 211 has a hollow shaft space 205 formed therein, and the sliding drive shaft 221 slides on the shaft space 205.

상기 구동축(211)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기어유닛(400)이 축 베어링(410)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211)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상기 클러치 유닛(501)이 상하 방향, 즉 상기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The gear unit 400 is connected through a shaft bearing 41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 shaft 211, and the clutch unit 501 is vertically connec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 shaft 211, that is, the drive shaft 211 ) Slid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1)은 상기 축 공간(205) 상에서 슬라이딩 되는데,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1)의 상부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 유닛(600)의 슬라이딩 가이드(630)가 고정된다. The sliding drive shaft 221 slides on the shaft space 205, and a sliding guide 630 of the guide unit 600 is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sliding drive shaft 221.

그리하여, 상기 조절나사(7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1)은 상하 방향, 즉 상기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Thus, as the adjustment screw 710 rotates, the sliding drive shaft 221 slides in an up-down direction, that is,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211.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핀부(550)가 상기 몸체부(511)의 상단 및 상기 구동축(211)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1)과 연결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4 and 5,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in part 550 is connected to the sliding drive shaft 221 by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511 and the drive shaft 211.

즉, 상기 핀부(550)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1)과 상기 몸체부(511)는 서로 고정된다. That is, the sliding drive shaft 221 and the body part 511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in part 550.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1)이 상기 축 공간(205)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511)는 상기 구동축(211)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Accordingly, as the sliding drive shaft 221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haft space 205, the body portion 511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e shaft 211.

그리하여, 상기 조절나사(7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클러치 유닛(501)과 상기 기어유닛(400)은 서로 고정 또는 탈착하게 되며, 이를 통해 철도차량이 제동 또는 완해된다. Thus, by the rotation of the adjusting screw 710, the clutch unit 501 and the gear unit 400 are fixed or detached from each other, thereby braking or releasing the railroad vehicle.

도 6은 도 4의 동력전달유닛의 축유닛의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haft unit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of FIG. 4.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유닛(20)에서, 구동축(212)의 외주면 상에는 소정의 핀 가이드(206)가 소정 거리만큼 형성됨으로써, 상기 몸체부(511) 및 상기 구동축(212)을 관통하여 내부의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221)과 연결되는 상기 핀부(551)가 상기 핀 가이드(206)의 길이만큼의 스트로크(stroke)를 가지면서 상기 구동축(212) 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 6, 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 a predetermined pin guide 206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 shaft 2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y penetrating the body portion 511 and the drive shaft 212 Thus, the pin portion 551 connected to the inner sliding drive shaft 221 may be transferred on the drive shaft 212 while having a stroke equal to the length of the pin guide 206.

즉, 본 예의 경우, 상기 핀 가이드(206)가 소정의 길이만큼만 형성되어, 상기 핀부(55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상기 핀부(551)의 이동에 의해, 상기 돌출부(541)와 상기 함입부(401) 간의 삽입 깊이가 불필요하게 증가되어 전체적인 결합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present example, the pin guide 206 is formed only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movement range of the pin portion 551 can be limited, and through this, unnecessary movement of the pin portion 551 may cause the protrusion ( Since the insertion depth between the 541 and the indented portion 401 is unnecessarily increased,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the overall coupling can be prevented.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에서, 동력전달유닛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in a braking system for a railroad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에서, 상기 동력 전달유닛(30)은, 구동유닛(301)을 제외하고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동력 전달유닛(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In the brak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except for the drive unit 301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동력 전달유닛(30)에서는, 상기 구동유닛(301)은 감속기(310)와 모터부(3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 in this embodiment, the drive unit 301 includes a reducer 310 and a motor unit 320.

이 경우, 상기 감속기(310)는 상기 구동축(211)의 일 끝단에, 상기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결되지만, 상기 모터부(320)는 상기 감속기(310)와 상기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결된다. In this case, the speed reducer 3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ive shaft 211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211, but the motor part 320 includes the speed reducer 310 and the drive shaft 211 It is conn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에서,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또는 전원이 방전되는 경우, 상기 모터부(320)는 구동을 멈추게 되어 제동력은 자연스럽게 완해되게 된다. In general, in a braking system for a railroad vehicle, when the power is cut off or the power is discharged, the motor unit 320 stops driving and the braking force is naturally relaxed.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감속기(310)가 상기 모터부(320)에 연결되면, 상기 전원의 차단 등으로 상기 모터부(320)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감속기(310)가 가지는 저항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제동력이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차 제동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when the speed reducer 310 is connected to the motor part 32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motor part 320 is not driven due to the cutoff of the power, the resistance of the speed reducer 310 is constant. Braking force above the level can be maintained, and thus parking braking can be maintained.

다만, 주차 제동 상태에서, 철도차량을 입환 등의 이유로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상기 주차 제동은 완해되어야 하는데, 전원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모터부(320)의 구동 없이 주차 제동을 완해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However, in the parking braking state, when the railroad vehicle is to be moved for reasons such as entering/exiting, the parking braking must be relieved, but it is easy to relieve the parking braking without driving the motor unit 320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not provided. Not.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외부에서 상기 조절나사(710)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해서, 상기 클러치유닛(501)과 상기 기어유닛(400)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것으로 제동력의 완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by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lutch unit 501 and the gear unit 400 by rotating the adjusting screw 710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easily relieve the braking force. I can.

따라서, 철도차량의 운행과 관련하여 다양한 상황에서도 외부에서의 간단한 동작을 통해서 제동력을 완해하거나, 이와 반대로 제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n various situ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railway vehicle, the braking force can be relieved through a simple external operation, or the bra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 the contrar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외부에서 수동으로 조절되는 조절유닛을 통해, 클러치유닛을 기어유닛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동부를 동작시키거나 제동을 완해할 수 있으므로, 특히, 전원이 제공되지 않은 상황에서 제동력의 완해를 수행할 수 있어 철도차량의 운반, 수리 등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uple the clutch unit to the gear unit through an adjustment unit that is manually controlled from the outside,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brake unit or to relieve the brake , As the braking force can be relieved in a situation where power is not provided,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repair of railway vehicles is improved.

이 경우, 상기 클러치유닛은 축유닛 상에서 가이드되어 이동되어 상기 기어유닛과의 선택적 결합이 가능하므로, 제동 구동 및 완해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동력전달유닛의 설계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제작의 용이성 및 실제 철도차량에의 적용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clutch unit is guided and moved on the shaft unit and can be selectively coupled with the gear unit,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the desig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for implementing the braking drive and relaxation operation, and the ease of manufacture and Applicability to actual railroad vehicles can also be improved.

한편, 수평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조절유닛과, 이를 수직방향으로 전환하여 클러치 유닛을 구동시키는 가이드유닛의 조합을 통해, 전체적으로 동력전달유닛의 크기나 부피를 줄여, 최적화된 제동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adjustment unit that provides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guide unit that drives the clutch unit by converting i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overall size or volum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reduced,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optimized braking system. This is possible.

나아가, 구동유닛에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부와 상기 구동력을 상기 축유닛으로 제공하는 감속기를 상기 축유닛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함으로써, 특히, 전원이 차단되어 제동력이 완해되는 경우에도 감속기의 저항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 제동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철도차량을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상기 조절유닛을 외부에서 수동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제동력을 신속하게 완해시킬 수 있어, 제동력의 유지, 제공 및 완해를 사용 상태에 따라 편리하게 변환할 수 있다. Furthermore, by arranging a motor unit generating a driving force in a driving unit and a reducer that provides the driving force to the shaft unit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haft unit, in particular, even when the power is cut off and the braking force is relieved, The braking force can be maintained over a certain level through resistance, and in particular, when the railroad vehicle needs to be moved while the power is cut off, the braking force can be quickly relieved by manually operating the control unit from the outside. The maintenance, provision, and relaxation of the product can be conveniently conver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us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 : 제동시스템 10, 20, 30 : 동력전달유닛
100 : 하우징 유닛 200, 201, 202 : 축유닛
140 : 고정 프레임 205 : 축공간
206 : 핀가이드 210 : 하부 구동축
211, 212 : 구동축 220, 221 : 슬라이딩 구동축
230 : 상부 구동축 240 : 연장 구동축
300 : 구동유닛 400 : 기어유닛
401 : 함입부 500, 501 : 클러치 유닛
510, 511 : 몸체부 540, 541 : 돌출부
550, 551 : 핀부 600 : 가이드 유닛
610 : 가이드 몸체 620 : 가이드부
630 : 슬라이딩 가이드 700 : 조절유닛
710 : 조절나사 720 : 조절축
1: braking system 10, 20, 30: power transmission unit
100: housing unit 200, 201, 202: shaft unit
140: fixed frame 205: shaft space
206: pin guide 210: lower drive shaft
211, 212: drive shaft 220, 221: sliding drive shaft
230: upper drive shaft 240: extended drive shaft
300: drive unit 400: gear unit
401: recessed portion 500, 501: clutch unit
510, 511: body part 540, 541: protrusion
550, 551: pin part 600: guide unit
610: guide body 620: guide part
630: sliding guide 700: adjustment unit
710: adjustment screw 720: adjustment shaft

Claims (14)

제동부, 및 상기 제동부를 동작시키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고, 일렬로 연결되는 하부 구동축, 슬라이딩 구동축 및 연장 구동축을 포함하는 축유닛;
상기 하부 구동축 상에 상기 하부 구동축의 회전과 무관하게 고정되는 기어유닛;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들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기어유닛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력을 상기 기어유닛으로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클러치 유닛;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기 연장 구동축에 연결되며, 상기 클러치 유닛을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연장 구동축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유닛을 이동시키는 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유닛이 상기 기어유닛과 결합됨에 따라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클러치 유닛 및 상기 축유닛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
It includes a braking unit,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operating the braking uni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shaft unit including a lower drive shaft, a sliding drive shaft, and an extension drive shaft that is rotated by receiving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connected in a row;
A gear unit fixed on the lower drive shaft regardless of rotation of the lower drive shaft;
A clutch unit sliding along sliding grooves formed in the sliding drive shaft and selectively coupled with the gear unit to selectively provide the driving force to the gear unit;
A guide unit connected to the extended drive shaft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drive shaft and sliding the clutch unit along the sliding drive shaft; And
Including an adjustment unit for moving the guide uni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extended drive shaft,
As the clutch unit is coupled with the gear unit, the gear unit rotates integrally with the clutch unit and the shaf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유닛이 상기 기어유닛과 결합되면, 상기 구동력이 상기 제동부로 제공되어 철도차량이 제동되고,
상기 클러치 유닛이 상기 기어유닛으로부터 탈착되면, 상기 구동력이 상기 제동부로 제공되지 않아 상기 철도차량의 제동이 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clutch unit is coupled with the gear unit, the driving force is provided to the braking unit so that the railway vehicle is braked,
When the clutch unit is detached from the gear unit, the driving force is not provided to the braking unit, so that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is reliev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유닛은 상기 축유닛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함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clutch unit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haft unit,
The gear unit is a brak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portion is formed that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조절유닛에 연결되는 가이드 몸체;
상기 가이드 몸체 상에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클러치 유닛을 상기 축유닛 상에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unit,
A guide bod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 guide part extending in an inclined direction on the guide body; And
And a sliding guide sliding along the guide unit and sliding the clutch unit on the shaft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축유닛의 상부 끝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sliding guide is a brak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haft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가이드 몸체에 연결되는 조절축; 및
상기 조절축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축을 회전시키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An adjustment shaft connected to the guide body; And
A braking system for a railroad vehicle comprising an adjustment screw connected to an end of the adjustment shaft and rotating the adjustment shaf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축은 회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며,
상기 조절축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부 상에서 상기 축유닛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adjustment shaft moves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A braking system for a railroad vehicle, wherein the sliding guide move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haft unit on the guide part according to the forward or backward movement of the adjustment shaf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축은,
상기 축유닛 및 상기 클러치 유닛을 내부 공간으로 수납하는 하우징 유닛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djustment shaft,
A brak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a fixed frame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a housing unit accommodating the shaft unit and the clutch unit into an inner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유닛은,
내부에 축 공간이 형성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의 축 공간에서 슬라이딩되며, 끝단은 상기 가이드유닛과 연결되는 슬라이딩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haft unit,
A drive shaft having an axial space formed therein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braking system for a railroa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slides in the axial space of the drive shaft and includes a sliding drive shaft connected to the guide unit at an en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유닛은, 상기 구동축 상에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기어유닛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구동축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를 상기 슬라이딩 구동축에 고정시키는 핀부를 더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clutch unit includes a body portion that is slid on the drive shaft and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gear uni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braking system for a railroad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pin portion penetrating the drive shaft and fixing the body portion to the sliding drive shaf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는,
상기 구동축의 외면에 소정 거리만큼 형성된 핀 가이드 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in portion,
Brak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ed on a pin guide form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e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축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축유닛의 끝단에 연결되는 감속기, 및 상기 축유닛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transmission unit further comprises a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shaft unit,
The drive unit comprises a speed reducer connected to an end of the shaft unit, and a motor part connected to the speed reduc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shaft unit to provide a driving force.
KR1020190077492A 2019-06-28 2019-06-28 Manually controlled brake system for railway road Active KR1022168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492A KR102216888B1 (en) 2019-06-28 2019-06-28 Manually controlled brake system for railway r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492A KR102216888B1 (en) 2019-06-28 2019-06-28 Manually controlled brake system for railway ro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24A KR20210001424A (en) 2021-01-06
KR102216888B1 true KR102216888B1 (en) 2021-02-18

Family

ID=7412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492A Active KR102216888B1 (en) 2019-06-28 2019-06-28 Manually controlled brake system for railway ro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8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634B1 (en) * 2021-03-10 2021-12-01 삼흥산업주식회사 Automatic Discharge Connector for Underwter Pump with Guide Hook Assembly which can Change Assembly Dimens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984Y1 (en) * 2002-01-29 2002-06-15 김창량 Automatic gap adjusting device for the brake system
KR101619144B1 (en) * 2015-02-06 2016-05-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releasing electronic parking brak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401A (en) * 1995-01-30 1996-08-06 Ntn Corp Clutch
KR101810896B1 (en) * 2011-07-12 2017-12-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Electric parking brake in vehicle
JP5997735B2 (en) 2014-08-08 2016-09-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Braking force control device for saddle riding type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984Y1 (en) * 2002-01-29 2002-06-15 김창량 Automatic gap adjusting device for the brake system
KR101619144B1 (en) * 2015-02-06 2016-05-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releasing electronic parking bra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24A (en)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992B1 (en) Motor driven parking brake system
JP6474387B2 (en) Caliper disc brakes for automobiles, especially commercial vehicles, and such brake holding devices
CN102235473B (en) There is the linear motion device of �� driving device
KR102582455B1 (en) Electronic disc brake
KR102216888B1 (en) Manually controlled brake system for railway road
ATE470804T1 (en) BRAKE UNIT FOR RAIL VEHICLES
US20090020377A1 (en) Disk brake for vehicle
CN110267864A (en) For motor vehicles can motor adjust steering column
KR20180061540A (en) Integral Type Gear Box of Actuator for Electronical Parking Brake
JP7144183B2 (en) Brake equipment and braking system
KR101327358B1 (en) Electrical mechanical brake
KR101348736B1 (en) Disk brake for vehicle
US8573377B2 (en) Built-in parking locking device of vehicle
CN107074191A (en) Buckle device for seat harness
CN101600615B (en) Electric power steering with drive mechanism
CN103158683A (en) Electric parking brake apparatus
KR101283438B1 (en) Disc brake for vehicle
KR102120903B1 (en) Automatic interval control apparatus for tread brake in railway vehicle
EP4353985B1 (en) Brake device, brake system, and vehicle
AU2006338082B2 (en) Device for mechanically releasing a motor-actuated parking brake for a motor vehicle
KR20200094379A (en) Actuator for electro-mechanical brake
KR20230133637A (en) Brake apparatus for vehicle
KR20170110756A (en) Actuator for electronic parking brake
KR20140141893A (en) Index table and a powerful high-speed Wedge clamp device
CN104235355B (en) Electronic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6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