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994B1 - Adsorption apparatus for noise absorbing material of vehicle - Google Patents
Adsorption apparatus for noise absorbing material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5994B1 KR102215994B1 KR1020190132517A KR20190132517A KR102215994B1 KR 102215994 B1 KR102215994 B1 KR 102215994B1 KR 1020190132517 A KR1020190132517 A KR 1020190132517A KR 20190132517 A KR20190132517 A KR 20190132517A KR 102215994 B1 KR102215994 B1 KR 1022159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bsorbing material
- support plate
- sound absorbing
- plate
- auxiliary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차량 흡음재용 흡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 흡음재용 흡착장치는, 차량용 흡음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연결브라켓을 통해 수평 상태로 고정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보조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수직 상태로 관통 결합되고, 상기 흡음재를 진공 흡착할 수 있도록 하부에 진공 흡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흡음재의 진공 흡착을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대해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지지축과, 그리고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흡음재의 진공 흡착시 상기 간극을 조절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지지축의 유동을 허용하거나 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상기 지지축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간극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흡음재의 이송시 진공 흡착부가 흡음재의 평탄한 표면은 물론 경사진 표면이나 굴곡진 표면에 원활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지지축이 지지플레이트와 보조플레이트 상에서 유동된 후, 간극 조절부의 동작에 의해 지지플레이트와 보조플레이트에 고정됨으로써 다양한 표면을 갖는 흡음재를 안정적으로 진공 흡착할 수 있다.An adsorption device for a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disclosed. The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adsorp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late provided to be fixedly installed in a horizontal state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to a transfer device for transporting the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a certain gap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The auxiliary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ar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and a vacuum adsorption part is formed at the lower part to vacuum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are for vacuum adsorption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a support shaft provided to flow relative to the support shaft, and the support shaft is coupled to the auxiliary plate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and allows the flow of the support shaft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by adjusting the gap whe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vacuum-adsorbed. 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ap adjustment portion provided to fix the support shaft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transported, the support shaft flows on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so that the vacuum adsorption unit can smoothly adhere to the flat surface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s well as the inclined or curved surface, and then the operation of the gap adjusting unit. As a result,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having various surfaces can be stably vacuum-adsorbed by being fix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흡음재용 흡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형화되지 않은 표면을 갖는 다양한 구조의 흡음재를 안정적으로 진공 흡착할 수 있는 차량 흡음재용 흡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sorption device for a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dsorption device for a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capable of stably vacuum adsorption of sound absorbing materials of various structures having an unstructured surface.
일반적으로, 차량용 흡음재는 엔진룸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엔진룸과 차실을 구분하는 대쉬패널에 설치되거나, 차량의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플로어패널 등에 설치되고 있다.In general, a sound absorbing material for a vehicle is installed on a dash panel that separates an engine room from a vehicle room to block noise generated in the engine room, or is installed on a floor panel to block noise transmitted from the floor of a vehicle.
이러한 차량용 흡음재는 평탄한 표면, 경사진 표면 및 굴곡진 표면을 가지거나 요철 구조 또는 다수의 관통공이 등이 형성된 다양한 표면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일일히 이송하려면 작업인력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었다.The sound absorbing material for vehicles has a flat surface, an inclined surface, and a curved surface, or is formed in a variety of surface structures with irregularities or multiple through-holes. As a result, productivity could be reduced.
이에 따라, 차량용 흡음재를 이송하기 위한 종래의 이송장치는 다수의 흡착컵에 의한 진공흡착력에 의해 흡음재를 흡착한 후에 필요로 하는 장소로 이송하여 탈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다.Accordingly, a conventional conveying apparatus for transporting the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configured to adsorb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by the vacuum adsorption force by a plurality of suction cups, and then transport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to a required location for desorption.
즉, 종래의 이송장치는 차량용 흡음재의 이송시 장치에 고정 설치된 다수의 흡착컵에 의해 생성된 진공흡착력으로 흡음재를 흡착시킨 후에 이송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conventional conveying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adsorbed and then conveyed with the vacuum adsorption force generated by a plurality of adsorption cups fixedly installed on the device when conveying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for a vehicle.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흡음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는 고정형 흡착컵에 의해 흡음재를 진공 흡착시키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구조의 표면을 갖는 흡음재를 흡착하기에는 접합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onveying device for transporting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for a vehicle adopts a structure in which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vacuum-adsorbed by a fixed suction cup, it is often not possible to adsorb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having surfaces of various structures.
예를 들어, 차량용 흡음재가 통상적인 패널과 같이 평탄한 표면을 갖는 경우에는 흡착컵에 의한 원활한 흡착이 가능하나, 경사진 표면이나 굴곡진 표면 등 정형화되지 않는 표면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고정형 흡착컵에 의한 안정적인 진공흡착이 용이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다수의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운반 내지 이송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For example, if the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has a flat surface like a conventional panel, smooth adsorption is possible by the adsorption cup, but if it has a non-standardized surface structure such as an inclined or curved surface, a fixed adsorption cup is used. Stable vacuum adsorption is not easy, and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ng working time and lowers work efficiency as transport or transport is performed manually by a large number of workers.
즉, 종래의 차량용 흡음재를 진공 흡착시켜 이송하는 이송장치는 고정형 흡착컵에 의해 단순히 평탄한 표면을 갖는 흡음재의 진공 흡착에만 용이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경사진 표면이나 굴곡진 표면 등 정형화되지 않는 표면 구조를 갖는 흡음재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In other words, the transfer device for transporting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for vehicles by vacuum adsorption is formed by a fixed suction cup to facilitate only vacuum adsorption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having a flat surface, so it has a non-standardized surface structure such as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There was a limit in not being able to adequately respond to sound absorbing material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용 흡음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정형화되지 않은 흡음재의 경사진 표면이나 굴곡진 표면에 진공 흡착될 수 있는 차량 흡음재용 흡착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sorption device for a vehicle sound-absorbing material that is installed to be flowable in a transfer device for transporting a vehicle sound-absorbing material and can be vacuum-adsorbed on an inclined or curved surface of an unstructured sound-absorbing material.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는, 차량용 흡음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연결브라켓을 통해 수평 상태로 고정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보조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수직 상태로 관통 결합되고, 상기 흡음재를 진공 흡착할 수 있도록 하부에 진공 흡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흡음재의 진공 흡착을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대해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지지축과, 그리고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흡음재의 진공 흡착시 상기 간극을 조절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지지축의 유동을 허용하거나 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상기 지지축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간극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chnical problem is a support plate provided to be fixedly installed in a horizontal state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to a transfer device for transporting a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an auxiliary plate provided to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a certain gap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It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a vacuum adsorption unit is formed at the lower part to vacuum adsorption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flow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for vacuum adsorption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the support shaft coupled to the auxiliary plate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and whe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vacuum-adsorbed, the gap is adjusted to allow the flow of the support shaft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or the support plate And a gap adjusting part provided to fix the support shaft to the auxiliary plate.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는 상기 지지축의 결합부위에 제1 안내공 및 제2 안내공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2 안내공의 내면은 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제1,2 안내공에 결합되어 유동 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구면을 갖는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a first guide hole and a second guide hole are respectively formed at a joint portion of the support shaft,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holes are formed as spherical surfaces, and the support shaft is the first and second guide hol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having a spherical surface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guide hole to be guided to enable flow.
상기 간극 조절부는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간극을 좁히거나 또는 복원시키도록 동작되는 몸체와, 그리고 상기 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관통되도록 연결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earance adjusting unit comprises a body coupled to the auxiliary plate and operated to narrow or restore the clearanc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wer, and a connection shaft coupled to the body and connected to pass through the support plate. do.
상기 간극 조절부는 상기 지지축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간극을 좁히는 경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지속적인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축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gap is narrowed to fix the support shaft, the gap adjusting unit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connection shaft to provide a continuous elastic force under the support plate.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흡음재의 이송시 진공 흡착부가 흡음재의 평탄한 표면은 물론 경사진 표면이나 굴곡진 표면에 원활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지지축이 지지플레이트와 보조플레이트 상에서 유동된 후, 간극 조절부의 동작에 의해 지지플레이트와 보조플레이트에 고정됨으로써 다양한 표면을 갖는 흡음재를 안정적으로 진공 흡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transported, the support shaft flows on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so that the vacuum adsorption unit can smoothly adhere to the flat surface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s well as the inclined or curved surface, and then the operation of the gap adjusting unit. By being fix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by means of, it has a useful effect of stably vacuuming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having various surfaces.
0-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흡음재용 흡착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흡음재용 흡착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흡음재용 흡착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흡음재용 흡착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흡음재용 흡착장치를 이용하여 흡음재를 진공 흡착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0-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sorption device for a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adsorption device for a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dsorption device for a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dsorption device for a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vacuum-adsorbed using the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adsorp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흡음재용 흡착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와, 지지축(30)과, 그리고 간극 조절부(40)를 포함한다.Adsorption device for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the
지지플레이트(10)는 차량용 흡음재(3)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1)에 설치되도록 마련된다. 즉, 지지플레이트(10)는 일정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송장치에 연결브라켓(2)을 매개로 수평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The
또한, 지지플레이트(10)는 표면 중앙에 지지축(30)이 결합되어 유동 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제1 안내공(12)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안내공(12)의 내면은 지지축(30)에 구면으로 형성되는 안내부(32)를 안내할 수 있도록 구면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보조플레이트(20)는 지지플레이트(10)의 상부에 일정한 간극(S)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즉, 보조플레이트(20)는 지지플레이트(10)와 마찬가지로 일정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또한, 보조플레이트(20)는 표면 중앙에 지지축(30)이 결합되어 유동 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제1 안내공(12)과 대응되는 제2 안내공(22)이 형성된다. 이때, 제2 안내공(22)의 내면은 지지축(30)에 구면으로 형성되는 안내부(32)를 안내할 수 있도록 구면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보조플레이트(20)는 지지플레이트(10)의 상부에 일정한 간극(S)을 두고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This
지지축(30)은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에 수직 상태로 관통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즉, 지지축(30)은 표면에 구면을 갖는 안내부(32)가 형성되고, 안내부(32)는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에 형성된 제1,2 안내공(12, 22)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지지축(30)은 제1,2 안내공(12, 22)에 결합되는 안내부(32)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에 대해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또한, 지지축(30)은 하부에 흡음재(3)를 진공 흡착할 수 있도록 진공 흡착부(34)가 형성된다. 즉, 진공 흡착부(34)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송장치(1)로부터 제공되는 진공력에 의해 흡음재(3)를 진공 흡착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In addition, the
간극 조절부(40)는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S)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몸체(42)와, 그리고 연결축(44)을 포함한다.The
몸체(42)는 보조플레이트(20)의 상면에 지지축(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몸체(42)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 사이의 간극(S)을 좁히거나 또는 복원시키도록 동작된다. 이를 위해서, 몸체(42)는 솔레노이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연결축(44)은 몸체(42)의 하부에 결합되고 지지플레이트(10)에 관통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축(44)은 몸체(42)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0)의 하부 방향으로 전,후진 동작되어 보조플레이트(20)와 지지플레이트(10)의 간격을 좁히거나 또는 복원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이와 같은, 간극 조절부(40)는 몸체(42)와 연결축(44)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 사이의 간극(S)을 조절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As such, the
즉, 간극 조절부(40)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의 간극(S)이 좁혀지는 경우, 지지축(30)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gap S between the
이와는 달리, 간극 조절부(40)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의 간극(S)이 복원되는 경우, 지지축(30)은 유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In contrast, when the gap S between the
또한, 간극 조절부(40)는 지지플레이트(1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연결축(44)에 결합되는 탄성부재(46)를 더 포함한다. 이때, 탄성부재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 또는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탄성부재(46)는 지지축(30)을 고정하기 위해 간극(S)을 좁히는 경우, 지지플레이트(10)의 하부에서 지속적인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축(30)은 안정적인 고정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gap S is narrowed to fix the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흡음재용 흡착장치를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ng state of the adsorption device for a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30)은 평상시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일정한 간극(S)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에 대해 유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As shown in Figure 4, the
즉, 지지축(30)은 구면으로 형성된 안내부(32)와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에 각각 형성된 제1,2 안내공(12, 22)의 결합구조에 의해 진공 흡착부(34)가 흡음재(3)의 평탄한 표면은 물론 경사진 표면이나 굴곡진 표면에 원활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에 대해 유동되도록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흡착부(34)가 지지축(30)의 유동 구조에 의해 흡음재(3)의 평탄한 표면은 물론 경사진 표면이나 굴곡진 표면에 밀착되면, 간극 조절부(40)의 몸체(42)와 연결축(44)이 동작되어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 사이에 형성된 간극(S)을 좁히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축(30)은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에 고정되게 된다.5, when the
즉, 안내부(32)는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의 간극(S)이 좁혀지는 경우, 제1,2 안내공(12, 22)의 내면과 강하게 밀착되며, 이에 따라 지지축(30)은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에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흡음재용 흡착장치는, 차량용 흡음재(3)의 이송시 진공 흡착부(34)가 흡음재(3)의 평탄한 표면은 물론 경사진 표면이나 굴곡진 표면에 원활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지지축(30)이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 상에서 유동된 후, 간극 조절부(40)의 동작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0)와 보조플레이트(20)에 고정됨으로써 다양한 표면을 갖는 흡음재(3)를 안정적으로 진공 흡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ehicle sound-absorbing material adsorp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sound-absorbing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said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지지플레이트
12: 제1 안내공
20: 보조플레이트
22: 제2 안내공
30: 지지축
32: 안내부
34: 진공 흡착부
40: 간극 조절부
42: 몸체
44: 연결출
46: 탄성부재
S: 간극10: support plate
12: first guide
20: auxiliary plate
22: second guide
30: support shaft
32: information
34: vacuum adsorption unit
40: gap adjustment unit
42: body
44: connecting out
46: elastic member
S: gap
Claims (4)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보조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수직 상태로 관통 결합되고, 상기 흡음재를 진공 흡착할 수 있도록 하부에 진공 흡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흡음재의 진공 흡착을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대해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지지축; 및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흡음재의 진공 흡착시 상기 간극을 조절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지지축의 유동을 허용하거나 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상기 지지축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간극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는,
상기 지지축의 결합부위에 제1 안내공 및 제2 안내공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2 안내공의 내면은 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제1,2 안내공에 결합되어 유동 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구면을 갖는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흡음재용 흡착장치.A support plate provided to be fixedly installed in a horizontal state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to a transport device for transporting a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An auxiliary plate provided to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gap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It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a vacuum adsorption unit is formed at the lower part to vacuum adsorption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flow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for vacuum adsorption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 supporting shaft that becomes; And
It is coupled to the auxiliary plate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and whe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vacuum-adsorbed, the gap is adjusted to allow the flow of the support shaft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or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Doedoe consisting of; including; a gap adjustment unit provided to fix the support shaft;
The suppor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A first guide hole and a second guide hole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upport shaft,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holes are formed as spherical surfaces,
The support shaft,
A suction device for a vehicle sound absorb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portion having a spherical surface is formed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holes to be guided to enable flow.
상기 간극 조절부는,
상기 보조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간극을 좁히거나 또는 복원시키도록 동작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관통되도록 연결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흡음재용 흡착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gap adjusting part,
A body coupled to the auxiliary plate and operated to narrow or restore the gap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wer; And
And a connection shaft coupled to the body and connected to pass through the support plate.
상기 간극 조절부는,
상기 지지축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간극을 좁히는 경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지속적인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축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흡음재용 흡착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gap adjusting part,
When the gap is narrowed to fix the support shaf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connection shaft to provide a continuous elastic force under the support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2517A KR102215994B1 (en) | 2019-10-23 | 2019-10-23 | Adsorption apparatus for noise absorbing material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2517A KR102215994B1 (en) | 2019-10-23 | 2019-10-23 | Adsorption apparatus for noise absorbing material of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5994B1 true KR102215994B1 (en) | 2021-02-17 |
Family
ID=7473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2517A Active KR102215994B1 (en) | 2019-10-23 | 2019-10-23 | Adsorption apparatus for noise absorbing material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599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366140A (en) * | 2022-10-25 | 2022-11-22 | 河北世昌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 Get oil tank goods manipulat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26485A (en) * | 2003-11-21 | 2006-12-07 |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Vacuum suction head, vacuum suction device and table using the vacuum suction head |
KR100933952B1 (en) | 2008-01-11 | 2009-12-28 | 주식회사기린산업 | Absorber for Panel Transfer |
-
2019
- 2019-10-23 KR KR1020190132517A patent/KR10221599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26485A (en) * | 2003-11-21 | 2006-12-07 |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Vacuum suction head, vacuum suction device and table using the vacuum suction head |
KR100933952B1 (en) | 2008-01-11 | 2009-12-28 | 주식회사기린산업 | Absorber for Panel Transf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366140A (en) * | 2022-10-25 | 2022-11-22 | 河北世昌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 Get oil tank goods manipulator |
CN115366140B (en) * | 2022-10-25 | 2023-01-13 | 河北世昌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 Get oil tank goods manipul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9539624A5 (en) | ||
KR102124219B1 (en) | Mass damper for semiconductor wafer handling end effector | |
KR102215994B1 (en) | Adsorption apparatus for noise absorbing material of vehicle | |
JP2009539624A (en) | Processing system for moving workpie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the processing system | |
JP2009539623A5 (en) | ||
CN110573415B (en) | Conveying mechanism for an automated production line, component carrier for a conveying mechanis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nveying mechanism | |
WO2017163887A1 (en) | Substrate floating transport device | |
JP6367158B2 (en) | Adsorption device, gripping device, and conveying method | |
KR102047285B1 (en) | Antidrop module of overhead hoist transport | |
EP1470064B1 (en) | Load manipulation system | |
JP2006015994A (en) | Vehicle moving along rail | |
KR100933952B1 (en) | Absorber for Panel Transfer | |
WO2002012097A1 (en) | Handler for transporting flat substrates used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 |
CN111361987A (en) | Robot for transferring plates | |
CN113104645A (en) | Large-suction vacuum chuck with buffer function and conveying device | |
JP4842748B2 (en) | Substrate transfer system | |
JP271887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ixing glass plate | |
KR101634659B1 (en) | Device for reducing noise and vibration of linear motor system | |
JP2020192918A (en) | Magnetic adsorption transfer device | |
KR20120004134A (en) | Non-contact transfer system using magnets in different areas | |
CN208843102U (en) | Vacuum belt wire body and the material transmission system for utilizing it | |
JP2019123571A (en) | Parts feeder | |
CN100479639C (en) | Positioning device | |
US20220266401A1 (en) | Platform for conveying work parts in an assembly line, and method for placing work parts on the same | |
KR102471660B1 (en) | assembly system for spring sea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