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882B1 -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다중모드 증폭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다중모드 증폭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5882B1 KR102215882B1 KR1020190135456A KR20190135456A KR102215882B1 KR 102215882 B1 KR102215882 B1 KR 102215882B1 KR 1020190135456 A KR1020190135456 A KR 1020190135456A KR 20190135456 A KR20190135456 A KR 20190135456A KR 102215882 B1 KR102215882 B1 KR 1022158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mplifier
- switch
- input
- port
- out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11 gastric ac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6 gastr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03F3/2178—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using more than one switch or switching amplifier in parallel or in se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04B17/13—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of power amplifiers, e.g. gain or non-linear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5—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with means for improving efficienc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mplifi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포트 증폭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포트 증폭기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다중포트 증폭기가 실시예에 따라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다중포트 증폭기가 실시예에 따라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다중포트 증폭기가 실시예에 따라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Claims (12)
- 복수개의 입력포트를 포함하는 입력단과 복수개의 출력포트를 포함하는 출력단으로 구성된 다중포트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과 상기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피드백 회로로부터 전달되는 피드백 신호 또는 상기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다중포트 증폭기를 구성하는 증폭기로 연결시키는 제1 스위치;
상기 다중포트 증폭기를 구성하는 위상 천이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피드백 회로 또는 상기 출력단으로 연결시키는 제2 스위치; 및
기설정된 이득값보다 높은 이득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치가 상기 위상 천이기와 상기 피드백 회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피드백 회로와 상기 증폭기를 연결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증폭횟수를 증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다중포트 증폭기를 구성하는 각 입력포트마다 배치되도록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다중포트 증폭기를 구성하는 각 출력포트마다 배치되도록 복수개 배치되며,
각 입력포트로 입력되는 RF 신호 중에서 상기 제2 스위치에 의해 상기 피드백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의 이득값은 상기 피드백 회로를 통과하지 않는 신호의 이득값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포트 증폭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회로는,
일단이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위상 천이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및
일단이 상기 필터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위상 천이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이득값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는 구동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포트 증폭기. -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입력단과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복수개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각 입력포트에 할당하는 가변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다중포트 증폭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스위치는,
상기 다중포트 증폭기의 입력포트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입력포트와 출력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스위치의 각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각 RF 신호는 상기 가변 스위치를 구성하는 스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경로를 따라 상기 가변 스위치의 각 출력포트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포트 증폭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다중포트 증폭기의 조정(calibration)을 위한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포트 증폭기. - 전자 장치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통신칩;
상기 무선통신칩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증폭하는 다중포트 증폭기; 및
상기 다중포트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빔포밍을 수행하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포트 증폭기는,
복수개의 출력포트를 포함하는 출력단과 복수개의 입력포트를 포함하는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피드백 회로로부터 전달되는 피드백 신호 또는 상기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상기 RF 신호를 상기 다중포트 증폭기를 구성하는 증폭기로 연결시키는 제1 스위치;
상기 다중포트 증폭기를 구성하는 위상 천이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피드백 회로 또는 상기 출력단으로 연결시키는 제2 스위치; 및
기설정된 이득값보다 높은 이득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치가 상기 위상 천이기와 상기 피드백 회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피드백 회로와 상기 증폭기를 연결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RF 신호의 증폭횟수를 증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다중포트 증폭기를 구성하는 각 입력포트마다 배치되도록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다중포트 증폭기를 구성하는 각 출력포트마다 배치되도록 복수개 배치되며,
각 입력포트로 입력되는 RF 신호 중에서 상기 제2 스위치에 의해 상기 피드백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의 이득값은 상기 피드백 회로를 통과하지 않는 신호의 이득값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회로는,
일단이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위상 천이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및
일단이 상기 필터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위상 천이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이득값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는 구동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포트 증폭기는
일단이 상기 입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무선통신칩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개의 RF 신호를 각 입력포트에 할당하는 가변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스위치는,
상기 다중포트 증폭기의 입력포트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입력포트와 출력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스위치의 각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각 RF 신호는 상기 가변 스위치를 구성하는 스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경로를 따라 상기 가변 스위치의 각 출력포트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다중포트 증폭기의 조정(calibration)을 위한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5456A KR102215882B1 (ko) | 2019-10-29 | 2019-10-29 |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다중모드 증폭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5456A KR102215882B1 (ko) | 2019-10-29 | 2019-10-29 |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다중모드 증폭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5882B1 true KR102215882B1 (ko) | 2021-02-16 |
Family
ID=7468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5456A Active KR102215882B1 (ko) | 2019-10-29 | 2019-10-29 |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다중모드 증폭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588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0343B1 (ko) * | 2022-12-19 | 2024-05-30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원거리 무선 정보 및 전력 동시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156528A1 (en) * | 2007-05-04 | 2010-06-24 | Alan David Couchman | Multiport amplifiers in communications satellites |
KR20120070966A (ko) * | 2010-12-22 | 2012-07-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 채널 측정 장치 |
KR101712753B1 (ko) * | 2015-12-31 | 2017-03-08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높은 이득 특성을 갖는 피드백 포트 증폭기 및 그 동작방법 |
KR20180065554A (ko) * | 2016-12-08 | 2018-06-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2019
- 2019-10-29 KR KR1020190135456A patent/KR10221588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156528A1 (en) * | 2007-05-04 | 2010-06-24 | Alan David Couchman | Multiport amplifiers in communications satellites |
KR20120070966A (ko) * | 2010-12-22 | 2012-07-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 채널 측정 장치 |
KR101712753B1 (ko) * | 2015-12-31 | 2017-03-08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높은 이득 특성을 갖는 피드백 포트 증폭기 및 그 동작방법 |
KR20180065554A (ko) * | 2016-12-08 | 2018-06-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0343B1 (ko) * | 2022-12-19 | 2024-05-30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원거리 무선 정보 및 전력 동시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852397B (zh) | 使用选择矩阵进行天线相位校准的混合波束形成天线阵列 | |
CN104137438B (zh) | 用于相控阵应用中的rf波束成形的设备和方法 | |
US20170279500A1 (en) | Antenna and Active Antenna System | |
US20020132642A1 (en) | Common module combiner/active array multicarrier approach without linearization loops | |
CN207925675U (zh) | 天线单元、多阵列天线系统及基站 | |
US11189911B2 (en) | Compact combiner for phased-array antenna beamformer | |
US9374778B2 (en) | Adaptive filtering architecture | |
CN112019231A (zh) | 用于执行馈电点与射频链路的动态控制的天线装置 | |
CN109995410A (zh) | 多模多频带无线收发器的模拟基带滤波设备及其控制方法 | |
WO2020238208A1 (zh) | 基于空域反馈的面向混合大规模mimo阵列的数字预失真结构 | |
EP1314223A1 (en) | Fixed beam antenna array, base st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via a fixed beam antenna array | |
KR102215882B1 (ko) |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다중모드 증폭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CN101316124B (zh) | 一种无线通信系统中的数字预失真装置 | |
US10897280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antenna arrays | |
US12009566B2 (en) | Four-way power divider and combiner for phased array system | |
EP3827517B1 (en) | Amplifier for cutting leakage curren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amplifier | |
CN107251441B (zh) | 射频电路与通信设备模块 | |
WO2019000393A1 (zh) | 天线系统、基站以及通信系统 | |
CN108649973B (zh) | 一种多通道数传发射机及组合式数传发射装置 | |
EP3602778B1 (en) | Multi-channel doherty amplifier, multi-antenna transmitter, and method for turning on the multi-channel doherty amplifier | |
GB2279504A (en) | Antenna system | |
KR102670343B1 (ko) | 원거리 무선 정보 및 전력 동시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
JP5822784B2 (ja) | 電力増幅装置、電力増幅方法 | |
CN119137859A (zh) | 一种功率放大装置、射频拉远单元、基站以及通信系统 | |
JP2000124819A (ja) | 無線信号送受信装置および増幅回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