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14710B1 - 반추위의 침분비 촉진 및 감지 브러시 - Google Patents

반추위의 침분비 촉진 및 감지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710B1
KR102214710B1 KR1020200064324A KR20200064324A KR102214710B1 KR 102214710 B1 KR102214710 B1 KR 102214710B1 KR 1020200064324 A KR1020200064324 A KR 1020200064324A KR 20200064324 A KR20200064324 A KR 20200064324A KR 102214710 B1 KR102214710 B1 KR 102214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upper cap
cap
rumen
brus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석
Original Assignee
이안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안스(주) filed Critical 이안스(주)
Priority to KR1020200064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7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61D1/12Instruments for removing foreign bodies from animals' throats, oesophagus, or stomach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1/00Massage devices for cavities of the body, e.g. nose, ears and anus ; Vibration or percussion related aspects A61H23/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3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e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Zo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rd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Surg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추동물(反芻動物)의 침분비를 촉진하고, 위의 활동상태를 감지하는 브러시에 관한 기술로서, 다수의 자극솔이 구비되고, 감지센서가 내장된 브러시를 반추가축의 위에 삽입함으로써, 다수의 자극솔이 반추위 내벽을 물리적으로 자극하여 침분비를 촉진하며, 감지센서가 위 내의 산도(pH), 온도, 활동량 등을 측정하여 모니터링 하므로, 반추가축의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조사료 급여를 절감하는 반추위의 침분비 촉진 및 감지 브러시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구형상을 갖고, 상부캡과 하부캡으로 분할 구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자극솔; 및 상기 케이싱을 구성하는 상부캡과 하부캡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반추위의 침분비 촉진 및 감지 브러시 {Stomach secretion facilitation and detection brush}
본 발명은 반추동물(反芻動物)의 침분비를 촉진하고, 위의 활동상태를 감지하는 브러시(brush)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수의 자극솔이 구비되고, 감지센서가 내장된 브러시를 반추가축의 위에 삽입함으로써, 다수의 자극솔이 반추위 내벽을 물리적으로 자극하여 침분비를 촉진하며, 감지센서가 위 내의 산도(pH), 온도, 활동량 등을 측정하여 모니터링 하므로, 반추가축의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조사료 급여를 절감하는 반추위의 침분비 촉진 및 감지 브러시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반추가축(反芻家畜)의 사료는 조사료(roughage)와 배합사료(농후사료)가 있으며, 여기서 배합사료는 반추가축이 필요로 하는 영양분을 계산하여 완전한 균형을 이루도록 배합된 사료로서, 대부분 고형의 섬유성 물질이 매우 적게 함유되어 있다.
반추가축의 소나 말 또는 염소가 섭취한 사료는 제1위에 장시간 체류하는 동안 위의 운동으로 충분히 교반되고, 위의 각종 미생물이나 효소의 작용에 의해 발효되어 영양분으로 흡수된다.
그러나, 배합사료를 다량 섭취하는 반추가축(비육우)은 전체 사료중에 섬유성 물질이 적어 물리적인 자극 부족과 반추위의 급격한 pH 저하로 인해 여러가지 소화성 장애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조사료와 비슷한 물리적인 자극과 반추촉진에 의한 타액분비로 pH 안정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반추위를 가진 가축에게 사료를 급여할 때는 반추위의 물리적 자극과, 반추유도 및 반추위 발효의 안정화, 영양소의 공급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고형의 섬유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사료를 배합사료에 혼합하여 급여할 필요가 있다.
근래 축산 농가에서 반추가축의 사육에 이용하는 일반적인 조사료는 대부분 볏짚이나 옥수수, 목초 등으로 이러한 조사료는 한정된 계절에만 공급이 가능하고, 지역적으로 수급 불균형이 초래되며,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 등으로 인해 최근 조사료가 지닌 위점막에 대한 물리적인 자극과 사료의 섭취량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대체용구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반추동물의 사료 섭취량 조절 및 반추촉진을 위한 조사료 대체용구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9570호(반추동물용 고분자 합성섬유질 조사료 대체용구)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고분자 합성섬유질을 이용하여 브러쉬 타입으로 성형된 용구로 인해 반추위 내에서 장기적으로 체류하게 하여 조사료 섭취량을 줄이고, 분 배설량을 감소시키는 한편 국내에서 부족한 사료자원의 확보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조사료 대체용구"는 고분자 합성섬유로 제작됨에 따라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고분자 섬유가 지속적인 물리적 자극으로 인해 심체에서 이탈하므로, 그 효과가 점차 감소하며, 무엇보다 고분자 합성섬유(플라스틱)를 사용하는 인위적인 방법으로서, 추후 낙농, 비육산업의 이미지를 실추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반추가축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수단으로 분변, 피모 등의 간접 지표를 통해 건강 및 사료 섭취 정황을 유추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간접 지표를 통한 유추법은 숙련된 전문가만 가능하고, 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이 관여하기 때문에 정확도의 일관성이 취약하다.
반면에, 가축을 직접 확인하여 얻은 직접 지표를 통해 가축을 모니터링 할 경우, 정확도 향상은 물론, 비전문가도 손쉽게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직접 모니터링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사육 두수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개별 관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감지센서를 반추위에 투여하여 가축의 건강 및 질병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6519호(가축의 반추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가축의 반추위에서 센싱된 생체정보를 과거 활동패턴과 비교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활동에 따라 가축의 건강 및 질병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관리자가 더욱 구체적인 가축의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가축의 건강 및 질병을 관리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선행기술은 감지센서를 통상 제2위에 투여하여 관리하므로, 반추가축에게 중요한 제1위를 모니터링 하기 어렵고, 단지 감지센서의 역할(산도(pH), 온도, 활동량)만 수행함에 따라 반추가축의 생리에 도움이 되는 직접적인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957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064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19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6519호.
본 발명은 종래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조사료 대체용구"와 "반추위 모니터링 방법"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반추위의 내벽을 물리적으로 자극하여 침분비를 촉진하는 다수의 자극솔이 구비되고, 또한 반추위 내의 산도(pH), 온도, 활동량 등을 측정하여 모니터링 하는 감지센서가 내장 설치된 반추위의 침분비 촉진 및 감지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자극솔이 반추위 내벽을 물리적으로 자극하여 침분비를 촉진하므로, 조사료의 급여량을 절감하고, 각종 대사성 질병을 예방하며, 또한 감지센서가 반추위 내의 산도(pH), 온도, 활동량 등을 측정하여 모니터링 함에 따라 가축의 건강 및 질병의 관리가 용이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반추위의 침분비 촉진 및 감지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구형상을 갖고, 상부캡과 하부캡으로 분할 구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자극솔; 및 상기 케이싱을 구성하는 상부캡과 하부캡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케이싱을 구성하는 상부캡은 분할된 내측 중앙부에 내장홀이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편 내장홀의 내측에서 외부로 관통되게 장공이 형성되고, 내장홀 둘레의 분할면에 체결홈이 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케이싱을 구성하는 하부캡은 분할된 내측 중앙부에 내장홀이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내장홀 둘레의 분할면에 체결테가 원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감지센서는 원통 형상의 튜브로 구성되며, 일측에 감지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반추위 내의 산도(pH), 온도, 활동량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브러시에 구비된 다수의 자극솔이 반추위 내벽을 물리적으로 자극하여 침분비를 촉진함으로써, 조사료의 급여량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과산증, 부전각화증 등의 대사성 질병을 예방하고, 반추위 내의 산도(pH)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하절기 생산성(유량, 유성분, 증체량 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브러시에 내장된 감지센서가 반추위(제1위) 내의 산도(pH), 온도, 활동량 등을 측정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써, 관리자가 가축의 생체정보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가축의 건강 및 질병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천연 리그닌(Lignin) 섬유소를 이용하여 다수의 자극솔이 구비된 브러시를 구성함으로써, 천연 물질로 친환경적이고, 물리적인 자극효과 및 일부 영양소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상부캡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상부캡과 감지센서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감지센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감지센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구형상을 갖고, 상부캡(10a)과 하부캡(10b)으로 분할 구성되는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의 외주면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자극솔(20); 및 상기 케이싱(10)을 구성하는 상부캡(10a)과 하부캡(10b)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케이싱(10)은 반추가축의 반추위 내에 삽입되는 기능으로서, 상기 케이싱(1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외형이 둥근 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캡(10a)과 하부캡(10b)으로 분할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천연 리그닌(Lignin) 섬유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케이싱(10)을 구성하는 상부캡(10a)은 도면에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분할된 내측 중앙부에 내장홀(14)이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장홀(14)의 내측에서 외부로 관통되게 장공(15)이 형성되고, 또한 내장홀(14) 둘레의 분할면에 체결홈(12)이 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에서 케이싱(10)을 구성하는 하부캡(10b)은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분할된 내측 중앙부에 내장홀(14a)이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내장홀(14a) 둘레의 분할면에 체결테(11)가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결테(11)의 외주면 둘레에 패킹(13)이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에서 케이싱(10)은 반추위(제1위) 내에서 체류 시간이 길어지도록 3~5㎝의 직경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 도 5와 같이, 상부캡(10a)에 구비된 체결홈(12)이 하부캡(10b)에 구비된 체결테(11)에 끼워져 상부캡(10a)과 하부캡(10b)이 서로 결합된다.
상기에서 상부캡(10a)의 체결홈(12)이 체결테(11)의 외주면에 끼워진 패킹(13)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 설치되며, 이때 상부캡(10a)에 구비된 내장홀(14)과 하부캡(10b)에 구비된 내장홀(14a)이 서로 마주하여 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자극솔(20)은 반추위의 내벽을 물리적으로 자극하여 침분비를 촉진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자극솔(2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케이싱(10)을 구성하는 상부캡(10a)과 하부캡(10b)의 외주면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캡(10a)과 하부캡(10b)의 외주면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자극솔(20)은 반추위 내벽의 물리적 자극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0.5~2mm의 직경과 1~3㎝의 길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반추위 내벽의 물리적 자극으로 인해 꺾이거나 또는 부러지지 않도록 유연성을 갖는다.
한편 자극솔(20)은 끝 단부가 반추위 내벽에 접촉하여 물리적으로 위 내벽을 자극하는 것으로, 가능한 밀집되어 다수개로 구비되고, 천연 리그닌(Lignin) 섬유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감지센서(30)는 반추위(제1위)의 활동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감지센서(30)는 도면에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케이싱(10)을 구성하는 상부캡(10a)과 하부캡(10b)의 내부에 설치되며, 반추위 내의 산도(pH), 온도, 활동량 등을 측정한다.
상기에서 감지센서(30)는 원통 형상의 튜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 감지부(31)가 외부로 돌출되고, 내부에 배터리와 송신기 등이 내장되며, 상기 감지부(31)에서 반추위 내의 산도(pH), 온도, 활동량 등을 측정하여 송신기를 통해 외부로 송출한다.
감지센서(30)는 상부캡(10a)과 하부캡(10b)의 내부에 구비된 내장홀(14)(14a) 안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31)가 상부캡(10a)에 구비된 장공(15)에 끼워져 상부캡(10a)의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반추위(제1위) 내의 활동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감지센서(30)에서 송출되는 반추위 내의 활동상태 정보는 관리자가 ICT 장비를 활용하여 모니터링(Monitoring) 하고, 이를 분석하여 해당 반추가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케이싱(10)을 구성하는 상부캡(10a) 및 하부캡(10b)과 자극솔(20)이 천연 리그닌 섬유소로 제작되어 반추가축에게 친환경적으로 제공된다.
천연 리그닌(Lignin) 섬유소는 목재, 대나무, 짚 등의 목화(木化)된 식물체 속에 20~30% 존재하는 방향족 고분자 화합물로서, 섬유소 등과 결합하여 존재하고, 심혈관계 질병 예방에 효과적이며, 면역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천연 리그닌 섬유소가 반추위 내에서 서서히 이용되어 섭취되므로, 일부 영양소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케이싱(10)과 감지센서(30)의 결합된 무게로 인해 반추가축에게 중요한 제1위 내에서 체류 시간이 길어지고, 제1위의 상층, 중층, 하층에서 자극솔(20)이 위 내벽을 골고루 자극하여 침분비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제1위의 전반적인 산도(pH), 온도, 활동량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서 도 7과 같이, 다수의 자극솔(20)이 구비된 복수개의 케이싱(10)을 로드(40)로 연결하여 하나의 세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로드(40)는 길쭉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측 단부가 한쪽 케이싱(10)의 하부캡(10b) 외주면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다른 한쪽 케이싱(10)의 상부캡(10a) 외주면에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로드(40)는 한쪽 케이싱(10)의 하부캡(10b)과 다른 한쪽 케이싱(10)의 상부캡(10a)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감지센서(30)의 감지부(31)가 끼워져 외부로 돌출되는 장공(15)은 한쪽 케이싱(10)의 상부캡(10a) 또는 다른 한쪽 케이싱(10)의 하부캡(10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복수개의 케이싱(10)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함에 따라 제1위 내에서 체류 시간이 보다 길어지고, 또한 제1위 내벽을 보다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침분비를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자극솔이 반추위 내벽을 물리적으로 자극하여 침분비를 촉진하는 기능과, 감지센서가 반추위 내의 산도(pH), 온도, 활동량 등을 측정하여 모니터링 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반추위의 침분비를 촉진함에 따라 조사료의 급여량을 절감할 수 있고, 각종 대사성 질병을 예방하며, 또한 반추위의 활동상태를 측정하여 위 내의 산도(pH)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하절기 생산성(유량, 유성분, 증체량 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반추위(제1위) 내의 산도(pH), 온도, 활동량 등을 측정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써, 관리자가 가축의 생체정보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가축의 건강 및 질병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케이싱 10a: 상부캡
10b: 하부캡 11: 체결테
12: 체결홈 13: 패킹
14(14a): 내장홀 15: 장공
20: 자극솔 30: 감지센서
31: 감지부 40: 로드

Claims (4)

  1. 구형상을 갖고, 상부캡(10a)과 하부캡(10b)으로 분할 구성되는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의 외주면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자극솔(20); 및 상기 케이싱(10)을 구성하는 상부캡(10a)과 하부캡(10b)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3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10)을 구성하는 상부캡(10a)은 분할된 내측 중앙부에 내장홀(14)이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편 내장홀(14)의 내측에서 외부로 관통되게 장공(15)이 형성되며, 내장홀(14) 둘레의 분할면에 체결홈(12)이 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0)을 구성하는 하부캡(10b)은 분할된 내측 중앙부에 내장홀(14a)이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내장홀(14a) 둘레의 분할면에 체결테(11)가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체결테(11)의 외주면 둘레에 패킹(13)이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자극솔(20)은 케이싱(10)을 구성하는 상부캡(10a)과 하부캡(10b)의 외주면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캡(10a)과 하부캡(10b)의 외주면에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센서(30)는 원통 형상의 튜브로 구성되며, 일측에 감지부(31)가 외부로 돌출되고, 상부캡(10a)과 하부캡(10b)의 내부에 구비된 내장홀(14)(14a) 안에 끼워져 설치되는 한편 상기 감지부(31)가 상부캡(10a)에 구비된 장공(15)에 끼워져 상부캡(10a)의 외부로 돌출되며, 반추위 내의 산도(pH), 온도, 활동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위의 침분비 촉진 및 감지 브러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64324A 2020-05-28 2020-05-28 반추위의 침분비 촉진 및 감지 브러시 Active KR102214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324A KR102214710B1 (ko) 2020-05-28 2020-05-28 반추위의 침분비 촉진 및 감지 브러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324A KR102214710B1 (ko) 2020-05-28 2020-05-28 반추위의 침분비 촉진 및 감지 브러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710B1 true KR102214710B1 (ko) 2021-02-10

Family

ID=7456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324A Active KR102214710B1 (ko) 2020-05-28 2020-05-28 반추위의 침분비 촉진 및 감지 브러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937U (ko) * 2021-06-07 2022-12-14 황유안 타액으로 흡연 여부를 검출하는 흡연 테스트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570B1 (ko) 2001-02-16 2003-09-29 대한민국 반추동물용 고분자 합성섬유질 조사료 대체용구
KR20070096455A (ko) * 2006-03-24 2007-10-02 곽동구 반추동물용 조사료 대체용구
WO2010147175A1 (ja) * 2009-06-19 2010-12-23 国立大学法人岩手大学 検出装置およびその回収方法ならびに監視システム
KR20180052438A (ko) * 2016-11-10 2018-05-18 주식회사 유라이크코리아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KR20180076037A (ko) * 2016-12-27 2018-07-05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의 체내 체류형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료 공급 시스템
KR101976519B1 (ko) 2017-10-27 2019-05-10 대한민국 가축의 반추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KR20190051543A (ko) * 2017-11-07 2019-05-1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반추동물용 조사료 대체 인공사료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570B1 (ko) 2001-02-16 2003-09-29 대한민국 반추동물용 고분자 합성섬유질 조사료 대체용구
KR20070096455A (ko) * 2006-03-24 2007-10-02 곽동구 반추동물용 조사료 대체용구
KR100830640B1 (ko) 2006-03-24 2008-05-22 곽동구 반추동물용 조사료 대체용구
WO2010147175A1 (ja) * 2009-06-19 2010-12-23 国立大学法人岩手大学 検出装置およびその回収方法ならびに監視システム
KR20180052438A (ko) * 2016-11-10 2018-05-18 주식회사 유라이크코리아 질병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KR20180076037A (ko) * 2016-12-27 2018-07-05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의 체내 체류형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료 공급 시스템
KR101901995B1 (ko) 2016-12-27 2018-09-27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의 체내 체류형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료 공급 시스템
KR101976519B1 (ko) 2017-10-27 2019-05-10 대한민국 가축의 반추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KR20190051543A (ko) * 2017-11-07 2019-05-1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반추동물용 조사료 대체 인공사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937U (ko) * 2021-06-07 2022-12-14 황유안 타액으로 흡연 여부를 검출하는 흡연 테스트기
KR20220002973U (ko) * 2021-06-07 2022-12-20 황유안 타액으로 흡연 여부를 검출하는 흡연 테스트기
KR200496803Y1 (ko) 2021-06-07 2023-05-02 황유안 타액으로 흡연 여부를 검출하는 흡연 테스트기
KR200496802Y1 (ko) 2021-06-07 2023-05-02 황유안 타액으로 흡연 여부를 검출하는 흡연 테스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cker et al. Invited review: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effects of heat stress in dairy cows
Bergeron et al. Stereotypic oral behaviour in captive ungulates: foraging, diet and gastrointestinal function.
Chilibroste et al. Behavioural adaptation of grazing dairy cows to changes in feeding management: do they follow a predictable pattern?
Waghorn et al. Measuring methane from grazing dairy cows using GreenFeed
Hoskin et al. Feeding value of pastures for horses
CN102017928B (zh) 黑牛的人工饲养方法
KR102214710B1 (ko) 반추위의 침분비 촉진 및 감지 브러시
CN103444625B (zh) 轮牧方法
Molle et al. Grazing behaviour, intake and performance of dairy ewes with restricted access time to berseem clover (Trifolium alexandrinum L.) pasture
Atkins et al. Performance, milk fatty acid composition and behaviour of high‐yielding Holstein dairy cows given a limited grazing period
Baumont et al. Feeding and mastication behaviour in ruminants.
Holmes et al. Changes in the rate of heat production of calves during grazing and eating
KR102199941B1 (ko) 반추가축의 침분비 촉진용 브러시
Campbell et al. A comparison of annual forages and stockpiled pasture on the growth and health parameters of grazing fall-born lambs
KR100830640B1 (ko) 반추동물용 조사료 대체용구
Gelasakis et al. Health and welfare of indigenous goat breeds from dairy farms in Greece
KR200418209Y1 (ko) 반추동물용 조사료 대체용구
CN205492100U (zh) 牛喷淋地垫
Pretorius What can you do with five minutes a day?
Antanaitis et al. Impact of feed supplement with alfa-amylase and beta-glucanase on ingestive-related biomarkers registered with real-time sensors
KR100399570B1 (ko) 반추동물용 고분자 합성섬유질 조사료 대체용구
Zobel Housing options for goat welfare
Cox-O’Neill et al. 256 Rye with or without purple top turnips for stocker calf grazing as part of a Southeastern US integrated crop-livestock system
Garrigus et al. The consumption of reed canary and brome grasses by grazing steers
Mahendran Practical implications of calf housing systems in the U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