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12765B1 -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 Google Patents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765B1
KR102212765B1 KR1020200129921A KR20200129921A KR102212765B1 KR 102212765 B1 KR102212765 B1 KR 102212765B1 KR 1020200129921 A KR1020200129921 A KR 1020200129921A KR 20200129921 A KR20200129921 A KR 20200129921A KR 102212765 B1 KR102212765 B1 KR 10221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motor control
power generation
solar power
junction bo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현
이용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렉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렉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렉콤
Priority to KR1020200129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7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18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using optical methods; using charged particle, e.g. electron, beams or X-r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G10L17/24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the user being prompted to utter a password or a predefined phra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AI)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기반하여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보안 작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보안 작동 제어기(110);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전기 열화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에 따라 전력 차단을 제어하는 전기 열화 감시기(120); 상기 전기 열화 감시기(120)의 제어에 따라 전력 차단을 수행하는 차단기(130)를 포함한다. 상술한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AI)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의하면, 사용자의 음성을 미리 등록하고 음성 인식에 기반하여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보안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육안 확인이 어려운 배선에 대한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전기 열화를 실시간 감시하고 차단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전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서 발생되는 모든 계측계전요소를 실시간 감시하고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분석 판별하여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수명 단축, 전기 사고 등의 부작용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Voice recognition two-way artificial intelligence switchboard, motor control board, distribution board and junction box for solar power generation}
본 발명은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AI)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환경 시설 가동에 필요한 구내 배전설비의 경우 폐수, 하수, 분뇨, 분진, 습기, 부식성 가스 등에 상시 노출되는 열악함으로 인해 설비 및 단자 접속부의 부식 발생과 같은 노후화 속도가 빠르다. 전력 계통의 접속 불량 등으로 인해 아크나 결상, 이상 전압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화재나 폭발까지 이를 수 있으므로, 관리자의 신속한 대처와 상시 모니터링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전기 설비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노후화나 부식, 조임 상태 풀림 등이 서서히 발생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의 전조 증상을 쉽게 놓치고 이러한 사고 발생을 쉽게 예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천정과 같은 매입 배선의 경우에는 육안 점검조차 할 수 없기 때문에 전기 고장 사고에 사실상 방치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기존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은 모든 동작이 수동 조작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오동작으로 인한 안전 사고의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10-2160052 공개특허공보 10-2019-0106518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AI)을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AI)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기반하여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보안 작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보안 작동 제어기;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전기 열화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에 따라 전력 차단을 제어하는 전기 열화 감시기; 상기 전기 열화 감시기의 제어에 따라 전력 차단을 수행하는 차단기를 포함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안 작동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 통신 모듈; 상기 음성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음성을 등록하는 음성 등록 모듈; 상기 음성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음성을 상기 음성 등록 모듈에 기 등록된 사용자 음성과 대비하여 사용자 인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식이 된 사용자 음성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모듈;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도어 개폐 모듈;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설비 이상을 점검하는 설비 이상 점검 모듈;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전력 계통의 통전을 개폐하는 통전 개폐 모듈; 상기 음성 인식 모듈에서 인식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도어 개폐 모듈, 상기 설비 이상 점검 모듈 및 상기 통전 개폐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열화 감시기는,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센서;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내부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검출 센서;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검출하는 아크 검출 센서;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내부의 CO가스를 검출하는 CO가스 검출 센서; 상기 온도 검출 센서에서 검출된 온도, 상기 습도 검출 센서에서 검출된 습도, 상기 아크 검출 센서에서 검출된 아크 및 상기 CO가스 검출 센서에서 검출된 CO가스에 기반하여 전기 열화를 판단하는 전기 열화 판단 모듈; 상기 전기 열화 판단 모듈에서 전기 열화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단기를 통해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전력 계통의 차단을 제어하는 차단 제어 모듈; 상기 전기 열화 판단 모듈에서 판단된 전기 열화를 감시하고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열화 감시 미터; 상기 열화 감시 미터에서 감시되는 전기 열화를 사물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는 제1 사물 통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갖추어진 전력 계통의 상태 및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외부 검출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검출 제어기는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갖추어진 계전기로부터 전송된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을 수집하고,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에 대한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계전기 요소 모듈과; 상기 계전기 요소 모듈로부터 전송된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과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에 대한 정상 유무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제2 사물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검출 제어기는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이 비정상일 경우 배전반이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갖추어진 차단기를 차단하여 차단기 이후의 후단 부하를 보호한다. 상기 계전기의 계전 요소로는 상기 계전기에 연결된 전력 계통의 과전류 상태나, 과전압 상태, 저전압 상태, 지락 전류값, 역상 또는 결상 여부, 전압 전류 주파수, 비율차동전류값, 또는 영상 전류값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과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에 대한 정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시 및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로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아크, CO가스, 온도, 습도정보 및 전압,전류 등의 정보를 토대로 고장과 함께 화재나 과열과 같은 사고를 자동으로 차단하고, 사고에 따라 능동적으로 현장에서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대형사고를 예방 할 수 있다.
둘째로, 아크와 코로나 방전에 의한 불꽃을 판단해줌으로써 시스템 구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고, 잠재사고를 예측해 줌으로써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을 상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셋째로,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정보를 암호화 처리시켜 송수신함으로써 비교적 보안에 취약한 인터넷의 보안성을 대폭 강화하여 운영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넷째로,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발생된 역대 사고원인을 토대로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정보와 비교분석하여 점검일정과 점검방법 및 부품의 교환일정을 관리자에게 고지해줌으로써 운영에 따른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로,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구축하여 방문 점검시 별도의 기기나 서류를 이용할 필요 없이 단말기에 점검정보를 바로 입력되게 구현하여 관리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할 수가 있다.
여섯째로,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내의 CO 가스 누출시 인공지능 및 음성인식으로 분석하여 판단된 사고유형에 따라 관리자에게 긴급호출하고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이 위치하는 인근 소방서로 사고신고를 자동으로 접수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AI)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AI)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블록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AI)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100)은 보안 작동 제어기(110), 전기 열화 감시기(120), 차단기(130), 외부검출제어기(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안 작동 제어기(11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기반하여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보안 작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안 작동 제어기(110)는 음성 통신 모듈(111), 음성 등록 모듈(112), 음성 인식 모듈(113), 도어 개폐 모듈(114), 설비 이상 점검 모듈(115), 통전 개폐 모듈(116), 제어 모듈(11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성 통신 모듈(111)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등록 모듈(112)은 음성 통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음성을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 단말 고유 번호 및 사용자 판별용 음성을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듈(113)은 음성 통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음성을 음성 등록 모듈(112)에 기 등록된 사용자 판별용 음성과 대비하여 사용자 인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식이 된 사용자 음성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 개폐 모듈(114)은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 개폐 모듈(114)은 도어 개방 시 유입되는 태양광이나 형광등 불빛 등이 아크로 오검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동 점검 시 열려 있는 도어를 원격 폐쇄하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설비 이상 점검 모듈(115)은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설비 이상을 점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전 개폐 모듈(116)은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전력 계통(200)의 통전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격에서 사용자 음성에 기반하여 통전을 개폐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비상시 즉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제어 모듈(117)은 음성 인식 모듈(113)에서 인식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도어 개폐 모듈(114), 설비 이상 점검 모듈(115) 및 통전 개폐 모듈(116)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열화 감시기(120)는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전기 열화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에 따라 전력 차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열화 감시기(120)는 온도 검출 센서(121), 습도 검출 센서(122), 아크 검출 센서(123), CO가스 검출 센서(124), 전기 열화 판단 모듈(125), 차단 제어 모듈(126), 열화 감시 미터(127), 제1 사물 통신 모듈(128)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온도 검출 센서(121)는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습도 검출 센서(122)는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내부의 습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크 검출 센서(123)는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O가스 검출 센서(124)는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내부의 CO가스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열화 판단 모듈(125)은 온도 검출 센서(121)에서 검출된 온도, 습도 검출 센서(122)에서 검출된 습도, 아크 검출 센서(123)에서 검출된 아크 및 CO가스 검출 센서(124)에서 검출된 CO가스에 기반하여 전기 열화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단 제어 모듈(126)은 전기 열화 판단 모듈(125)에서 전기 열화로 판단되는 경우, 차단기(130)를 통해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전력 계통(200)의 차단을 자동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화 감시 미터(127)는 전기 열화 판단 모듈(125)에서 판단된 전기 열화를 감시하고 외부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사물 통신 모듈(128)은 열화 감시 미터(127)에서 감시되는 전기 열화를 사물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각종 센서 수치와 열화 여부를 실시간 감시하고 확인할 수 있다.
차단기(130)는 전기 열화 감시기(120)의 제어에 따라 전력 차단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갖추어진 전력 계통의 상태 및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송신하는 외부 검출 제어기(14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검출 제어기(140)는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갖추어진 계전기로부터 전송된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을 수집하고,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에 대한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계전기 요소 모듈(141)과; 상기 계전기 요소 모듈(141)로부터 전송된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과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에 대한 정상 유무를 사용자 단말(10)로 송신하는 제2 사물 통신 모듈(142)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검출 제어기(140)는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이 비정상일 경우 배전반이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갖추어진 차단기(130)를 차단하여 차단기(130) 이후의 후단 부하를 보호한다.
상기 계전기의 계전 요소로는 상기 계전기에 연결된 전력 계통의 과전류 상태나, 과전압 상태, 저전압 상태, 지락 전류값, 역상 또는 결상 여부, 전압 전류 주파수, 비율차동전류값, 또는 영상 전류값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과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에 대한 정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시 및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보안 작동 제어기 111: 음성 통신 모듈
112: 음성 등록 모듈 113: 음성 인식 모듈
114: 도어 개폐 모듈 115: 설비 이상 점검 모듈
116: 통전 개폐 모듈 117: 제어 모듈
120: 전기 열화 감시기 121: 온도 검출 센서
122: 습도 검출 센서 123: 아크 검출 센서
124: CO가스 검출 센서 125: 전기 열화 판단 모듈
126: 차단 제어 모듈 127: 열화 감시 미터
128: 제1 사물 통신 모듈 130: 차단기
140: 외부검출 제어기 141: 계전기요소 모듈
142: 제2 사물 통신 모듈 10: 사용자 단말
200: 전력 계통

Claims (4)

  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기반하여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보안 작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보안 작동 제어기(110)와;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전기 열화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에 따라 전력 차단을 제어하는 전기 열화 감시기(120);
    상기 전기 열화 감시기(120)의 제어에 따라 전력 차단을 수행하는 차단기(130)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작동 제어기(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 통신 모듈(111),
    상기 음성 통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음성을 등록하는 음성 등록 모듈(112),
    상기 음성 통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음성을 상기 음성 등록 모듈(112)에 기 등록된 사용자 음성과 대비하여 사용자 인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식이 된 사용자 음성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모듈(113),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도어 개폐 모듈(114),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설비 이상을 점검하는 설비 이상 점검 모듈(115),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전력 계통(200)의 통전을 개폐하는 통전 개폐 모듈(116),
    상기 음성 인식 모듈(113)에서 인식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도어 개폐 모듈(114) 상기 설비 이상 점검 모듈(115) 및 상기 통전 개폐 모듈(11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117)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 열화 감시기(120)는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센서(121),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내부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검출 센서(122),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검출하는 아크 검출 센서(123),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내부의 CO가스를 검출하는 CO가스 검출 센서(124),
    상기 온도 검출 센서(121)에서 검출된 온도 상기 습도 검출 센서(122)에서 검출된 습도 상기 아크 검출 센서(123)에서 검출된 아크 및 상기 CO가스 검출 센서(124)에서 검출된 CO가스에 기반하여 전기 열화를 판단하는 전기 열화 판단 모듈(125),
    상기 전기 열화 판단 모듈(125)에서 전기 열화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단기(130)를 통해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전력 계통(200)의 차단을 제어하는 차단 제어 모듈(126),
    상기 전기 열화 판단 모듈(125)에서 판단된 전기 열화를 감시하고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열화 감시 미터(127),
    상기 열화 감시 미터(127)에서 감시되는 전기 열화를 사물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실시간 송신하는 제1 사물 통신 모듈(128)을 포함하고,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갖추어진 전력 계통의 상태 및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송신하는 외부 검출 제어기(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검출 제어기(140)는
    상기 배전반이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갖추어진 계전기로부터 전송된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을 수집하고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에 대한 정상 유무를 판단하는 계전기 요소 모듈(141)과,
    상기 계전기 요소 모듈(141)로부터 전송된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과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에 대한 정상 유무를 사용자 단말(10)로 송신하는 제2 사물 통신 모듈(142)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검출 제어기(140)는 계전 요소별 데이터값이 비정상일 경우 배전반이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또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갖추어진 차단기(130)를 차단하여 차단기(130) 이후의 후단 부하를 보호하며,
    상기 계전기의 계전 요소로는 상기 계전기에 연결된 전력 계통의 과전류 상태나, 과전압 상태, 저전압 상태, 지락 전류값, 역상 또는 결상 여부, 전압 전류 주파수, 비율차동전류값, 또는 영상 전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AI)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29921A 2020-10-08 2020-10-08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Active KR102212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921A KR102212765B1 (ko) 2020-10-08 2020-10-08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921A KR102212765B1 (ko) 2020-10-08 2020-10-08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765B1 true KR102212765B1 (ko) 2021-02-05

Family

ID=7455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921A Active KR102212765B1 (ko) 2020-10-08 2020-10-08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7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181B1 (ko) * 2021-06-04 2021-11-03 주식회사 파세텍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지락 발생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2539150B1 (ko) * 2023-01-31 2023-06-01 주식회사 일렉콤 안전 그리드 모니터링 시스템이 장착된 태양광 접속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133A (ko) * 2010-01-28 2011-08-03 오석환 자동문을 구비한 배전반
KR20190106518A (ko) 2018-03-09 2019-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배전반 내 차단기의 계통 분석 시스템
KR102130435B1 (ko) * 2020-03-27 2020-07-06 주식회사 일렉콤 전기 열화 감시 시스템이 장착된 배전반
KR20200094438A (ko) * 2019-01-30 2020-08-07 한국전력공사 전력 상황 관제 시스템의 제어 장치
KR102160052B1 (ko) 2019-03-15 2020-09-25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JP2020167567A (ja) * 2019-03-29 2020-10-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133A (ko) * 2010-01-28 2011-08-03 오석환 자동문을 구비한 배전반
KR20190106518A (ko) 2018-03-09 2019-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배전반 내 차단기의 계통 분석 시스템
KR20200094438A (ko) * 2019-01-30 2020-08-07 한국전력공사 전력 상황 관제 시스템의 제어 장치
KR102160052B1 (ko) 2019-03-15 2020-09-25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JP2020167567A (ja) * 2019-03-29 2020-10-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2130435B1 (ko) * 2020-03-27 2020-07-06 주식회사 일렉콤 전기 열화 감시 시스템이 장착된 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181B1 (ko) * 2021-06-04 2021-11-03 주식회사 파세텍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지락 발생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2539150B1 (ko) * 2023-01-31 2023-06-01 주식회사 일렉콤 안전 그리드 모니터링 시스템이 장착된 태양광 접속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546B1 (ko) 화재예방 및 차단기능을 활용한 지능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057494B1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307018B1 (ko) 인공지능 배전반 및 자동제어반
KR102145266B1 (ko) 전력계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14224084B2 (en) Electrical control and protection device
KR102156751B1 (ko) 전기 화재 단계별 감시 시스템
US8369058B2 (en)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comprising a fault protection system, a method for fault protection in a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036311B1 (ko) 변전소 가스절연개폐기의 가스압력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190051225A (ko)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배전반 관리시스템
KR100906304B1 (ko) 서지전압 보호회로의 누설전류 차단제어장치
KR102212765B1 (ko)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US5384678A (en) Control and self-monitoring system, in particular for a multipole electrical apparatus such as a high tension circuit breaker
KR102476147B1 (ko) 부스바 온도 및 내부 복합 화재 검출이 가능한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의 진단 시스템
KR101996928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사고 예방시스템을 내장한 배전반
KR101721235B1 (ko) 통합 센싱 모듈을 이용한 사고 감지 시스템
CN213734958U (zh) 一种轨道交通站台的等电位控制系统
WO2024225811A1 (ko) 이상징후, 화재, 및 고장 예측 기능을 가진 인공지능 기반 수배전반 장치
KR20200136295A (ko) 누전차단기의 원격제어관리 시스템
KR101422420B1 (ko)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귀장치를 포함하는 리셋형 전원 스위치
KR20240141664A (ko) Ai 활용 배전반
KR102738164B1 (ko) 열화감시제어 및 안전관리 기능이 적용된 인공지능형 수배전반
KR100911734B1 (ko) 차단기 트립회로 이상 감시장치
KR20210045220A (ko) 변전 설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경보 방법
KR20160149979A (ko) 서지 보호 장치 및 서지 보호를 위한 통신 방법
JP4377765B2 (ja) 電力受変電用配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