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714B1 - An air condition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photocatalytic function - Google Patents
An air condition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photocatalytic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1714B1 KR102211714B1 KR1020180130348A KR20180130348A KR102211714B1 KR 102211714 B1 KR102211714 B1 KR 102211714B1 KR 1020180130348 A KR1020180130348 A KR 1020180130348A KR 20180130348 A KR20180130348 A KR 20180130348A KR 102211714 B1 KR102211714 B1 KR 1022117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moving blade
- lamp
- inlet
- protru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atalys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촉매 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통상의 자동차에 장착되는 공조장치의 내부에 구성되되, 상기 공조장치에 구성된 필터부(3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300)에서 필터링 되지못한, 미세먼지, 황사 등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한편, 살균처리를 하되, 살균처리 시 광촉매 반응시간을 늘려주면서도 면적을 넓혀 보다 효율적인 살균처리가 됨으로써 정화의 효율성을 높여 차량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통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차량 탑승자들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photocatalytic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is configured inside an air conditioner mounted on a conventional vehicle, and is disposed behind the filter unit 300 configured in the air conditioner. , While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such as fine dust and yellow dust, which have not been filtered by the filter unit 300, sterilization treatment is performed, but during the sterilization treatment, the photocatalytic reaction time is increased and the area is increased to become a more efficient sterilization treatment.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purification and creat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through the air discharg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help the health of vehicle occupants.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촉매 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공조장치의 내부에 구성되어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세균,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배출시키되, 정화 시, 광촉매작용을 하는 시간을 늘려줄 수 있도록 하면서도 광촉매작용의 면적을 넓혀서 정화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광촉매 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photocatalytic function, and in more detail, contaminants such as fine dust, bacteria, etc. contained in the air that is configured inside an air conditioner mounted on a vehicle and introduced into the vehicle from the outside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n air condition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photocatalytic function to increas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photocatalytic action while allowing the removal of and discharged, but increasing the time for the photocatalytic action during purification.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되되 바람을 일으켜 공기를 흡입하여 이동시키는 블로어모터와, 상기 블로어모터의 후방에 구성되어 이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필터링 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후방에 필터링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구로 구성되어 있다.Typically,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s mounted inside a vehicle, but a blower motor that generates wind to inhale air to move, a filter configured at the rear of the blower motor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nd the filter It is composed of a discharge port that discharges the filtered air to the outside.
한편, 국내의 중, 소형 승용차에 장착된 공조장치의 경우 60%정도 항균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장기간 사용 시에는 필터 자체에 세균 및 곰팡이 발생되며, 황사, 미세먼지 등과 같은 아주 미세한 입자를 가진 이물질은 필터에서 필터링 되지 않고, 그대로 차량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차량 탑승자의 호흡기로 유입될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domestic medium and small passenger cars, it is known that about 60% of the air conditioner has no antibacterial effect, and when used for a long time, bacteria and mold are generated in the filter itself, and it has very fine particles such as yellow dust and fine dust. As foreign matter is not filtered by the filter and flows into the vehicle as it is, if it enters the vehicle occupant's respiratory tract, it may cause fatal damage to the human body.
이러한, 세균 및 곰팡이의 발생으로, 일정한 주기로 상기 필터를 교체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필터주기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체적일 뿐만 아니라, 필터의 교체비용이 고가임에 따라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건강 및 경제적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Due to the occurrence of bacteria and mold, a method of replacing the filter is adopted at regular intervals, but it is not only the case that even this filter period is not recognized, and the replacement cost of the filter is expensive, so the driver who drives a vehicle The health and economic efficiency of the company is bound to decline.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First of all, looking at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등록번호 10-0985434호(특) 일측에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된 공기를 유도하는 다수의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열교환기유닛과, 일측에 내,외기를 도입하는 내,외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공기유입구와 결합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내,외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환도어 및 상기 열교환기유닛 내부로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블로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기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열교환기유닛과 송풍기유닛을 지지/결합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열교환기유닛(110)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송풍기유닛 내부로 바이패스 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유닛과 송풍기유닛을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열교환기유닛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지지빔과 상기 송풍기유닛에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지지빔이 상호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지지빔은 상기 열교환기와 공기토출구 사이의 유로와 연통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 2 지지빔은 상기 송풍기유닛의 인렛덕트 내부와 연통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Registration No. 10-0985434 (Special) An air inlet for introducing air is formed on one side, at least one air outle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heat exchanger for heat exchange of the introduced air and a plurality of doors for inducing the heat exchanged air A heat exchanger unit including a heat exchanger unit and an internal and external air inlet for introducing internal and external air are formed on one side, and an outlet coupled with the air inle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conversion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intakes inside And a blower for forcibly blowing air into the heat exchanger unit, and comprising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combining the heat exchanger unit and the blower unit, wherein the support means There is formed a bypass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heat exchanger unit and the blower unit so that a part of the air heat-exchanged in the
공개번호 10-2014-0112750호(특)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송풍기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고 열교환에 의해 냉기를 발생하는 증발기와, 온기를 발생하는 히터코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고 냉기와 온기를 혼합시켜 적정온도의 공조공기를 형성하는 온도조절도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차량 실내의 각 부위로 공조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된 벤트들과, 상기 벤트들의 각각에 구비되어 토출되는 공조공기의 량을 제어하는 도어들로 구성되어,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어느 일측에는, 에어컨 가동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의 량을 측정하여,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 유량값 이상이면 시동 오프(OFF) 후 송풍기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켜 응축수를 건조시키도록 하는 유량계(20)가 구비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Publication No. 10-2014-0112750 (Special) An air conditioning case and a blow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 evaporator provid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generating cool air by heat exchange, and a heater core generating warmth. , A temperature control door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configured to form air conditioning air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by mixing cold and warm air, and vents provid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discharge air conditioning air to each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And, in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cooling or heating the vehicle interior, consisting of doors provided in each of the vents to control the amount of air-conditioned air discharged, in any on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flow meter 20 that measures the amount of condensed water to dry the condensed water by measuring the amount of condensed water and drying the condensed water by operating the blow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starting off (OFF) if it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flow rate value set in the control unit.
등록번호 10-0736736호(특) 자동차의 공기 유입구에 설치되어 대기중의 공기에 함유된 먼지 및 각종 세균을 여과하여 차량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에어필터 어셈블리로서,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는 필터 수납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필터 수납부에 수납되는 에어필터; 상기 에어필터를 수납하는 케이스의 일측벽에 통기구조가 형성된 내기 혼입구; 상기 내기 혼입구 상단에 결합되는 내기 혼입도어;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에어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기술이다.Registration No. 10-0736736 (Special) This is an air filter assembly for automobile air conditioners that is installed at the air inlet of a vehicle to filter dust and various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in the atmosphere to prevent it from entering the vehicle. The air filter assembly may include a case in which a filter receiving part is formed; An air filter accommodated in the filter housing of the case; An inner air mixing port having a ventilation structure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case accommodating the air filter; A bet mixing doo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bet mixing port;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n air filter assembly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hav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대체적으로 자동차용 공조장치 또는 공조장치의 내부에 구성되는 에어필터에 관한 기술들로써, 기본적인 공조장치들의 구성 및 에어필터의 구조를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다.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are generally related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or an air filter configur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and mainly describe the structure of the basic air conditioner and the structure of the air filter.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 공기가 유입된 후 차량의 실내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시, 에어필터로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필터링하게 됨으로써, 입자가 작은 미세먼지, 황사 등은 필터링이 불가능 하여 차량 탑승자들의 호흡기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장기간 사용 시에 필터에 세균 및 곰팡이가 발생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fter external air is introduce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is filtered with an air filter, so that it is impossible to filter fine dust and yellow dust with small particles.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o flow into the respirator of vehicle occupant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bacteria and mold are inevitably generated in the filter during long-term us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공조장치의 내부에 구성되되, 필터의 후방에 광촉매장치가 배치되어서, 필터로부터 필터링 되지 않은 기타 이물질 등을 한 번 더 광촉매착용을 통해 필터링 시켜 미세먼지, 살균-탈취 효율성을 높이되, 단순한 광촉매작용이 아닌, 광촉매작용을 할 수 있는 반응시간을 늘려줄 수 있도록 하면서도 광촉매 시 그 면적을 넓혀 UV램프로 완벽한 살균처리 후 최종적으로 차량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장기간 사용 시 필터의 세균 및 곰팡이 등의 오염물질에 발생된다 하더라도, 광촉매장치에 의해 이물질 등이 필터링 되게 됨으로써, 차량의 탑승자들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광촉매 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interior of an air conditioner of an automobile, but a photocatalyst device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lter, so that other foreign matters that are not filtered from the filter are filtered through the photocatalyst once more to sterilize fine dust and sterilize- It improves the deodorization efficiency, not just a photocatalytic action, but also increases the reaction time for photocatalytic action, while expanding the area during photocatalysis so that it can be finally brought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fter complete sterilization with a UV lamp.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with a photocatalytic function that helps the health of the vehicle occupants by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by the photocatalytic device, even if it is generated by contaminants such as bacteria and mold in the filter during long-term use. It was accomplished with the technical task with the focus on provid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일측에 공기가 인입되는 인입구(110)와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상기 인입구(110)와 근접하게 구성되어 공기를 배출구(120)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블로어(200)와, 상기 블로어(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3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필터부(300)의 후방에 배치되되,
일측에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412)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411)과, 상기 제1플레이트(411)와 대응되게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414)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413)로 구성되는 몸체부(410); 내부에 관통되는 삽입홀(422)이 형성되되 양측이 상기 토출구(412) 및 흡입구(414)와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제1,2플레이트(411, 413)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몸체(421)와, 상기 삽입홀(422)에 끼움 구성되어 전력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는 UV램프(424)와, 상기 UV램프(424)의 외측에 구성되되, 표면에 Tio2 코팅되어 구성되어, 상기 UV램프(42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꽈배기 형태의 이동날(426)로 구성되는 정화부(420)로 구성되는 광촉매부(400); 로 구성되는 광촉매 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411)의 토출구(412)는, 상기 UV램프(424)의 외주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고,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413)의 흡입구(414)가 형성되는 타측에는 상기 삽입홀(42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인입홀(415)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414)는 인입홀(415)측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날(426)은, 다수개로 분할 구성되어 끝단이 상호 결합 구성되되, 일측끝단에 상기 이동날(426)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27)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427)의 상측에 걸림돌기(428)가 형성되고, 타측끝단에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며 내측이 상기 돌출부(427) 및 걸림돌기(428)가 인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429)가 형성되어, 각각의 이동날(426)의 돌출부(427)와 수용부(429)를 끼움 결합 시 상기 걸림돌기(428)가 상기 수용부(429)의 측면에 맞닿아 걸림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몸체(421)의 삽입홀(422)에는, 상기 UV램프(424)와 이동날(426)을 감싸며 구성되되, 내측에 파형의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날(426)과 이동날(426) 사이에 살균처리공간(423)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제1,2플레이트(411, 413) 사이에 양측이 상기 제1,2플레이트(411, 413)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봉(416)이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 technical feature is that a
본 발명에 따른 광촉매 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자동차용 공조장치의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인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세균, 등의 오염물질들을 UV램프와 정화부에 의해 광촉매작용을 일으켜 공기를 정화시키되, 살균처리 시 그 살균처리 반응시간을 늘려주면서도 면적을 넓혀 보다 효율적인 살균처리가 됨으로써 정화의 효율성을 높여 배출되는 공기를 통해 차량의 내부에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 및 탑승자들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photocatalytic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purpose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s it is,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bacteria, etc.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re removed. The UV lamp and the purification unit generate a photocatalytic action to purify the air, but during the sterilization treatment, the sterilization treatment reaction time is increased, and the area is expanded to become a more efficient sterilization treatment.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help creat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and health of passenger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정화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확대도, 정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and an enlarged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A of FIG. 4
6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urific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an enlarged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an enlarged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공조장치의 내부에 구성되어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세균,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배출시키되, 정화 시, 광촉매작용을 하는 시간을 늘려줄 수 있도록 하면서도 광촉매작용의 면적을 넓혀서 정화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광촉매 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side an air conditioner mounted on a vehicle to remove and discharge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bacteria, etc.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but during purifica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ime for photocatalytic ac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photocatalytic function to increas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photocatalytic action while making it possible.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일측에 공기가 인입되는 인입구(110)와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상기 인입구(110)와 근접하게 구성되어 공기를 배출구(120)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블로어(200)와, 상기 블로어(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300)로 구성되어 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성되되 필터부(300)의 후방에 광촉매부(400)가 배치되되, 상기 광촉매부(400)는, 일측에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412)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411)과, 상기 제1플레이트(411)와 대응되게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414)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413)로 구성되는 몸체부(410); 내부에 관통되는 삽입홀(422)이 형성되되 양측이 상기 토출구(412) 및 흡입구(414)와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제1,2플레이트(411, 413)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몸체(421)와, 상기 삽입홀(422)에 끼움 구성되어 전력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는 UV램프(424)와, 상기 UV램프(424)의 외측에 구성되되, 표면에 Tio2 코팅되어 구성되어, 상기 UV램프(42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꽈배기 형태의 이동날(426)로 구성되는 정화부(420); 로 구성된다.First, prior to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nd a
즉,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인 광촉매부(400)는 공조장치의 케이스(100)의 내부에 필터부(300)의 후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필터부(300)에 의해 필터링필터링된 공기가 케이스(100)의 배출구(120)로 배출되기 전, 공기를 광촉매 작용을 일으켜 살균처리하여, 최종적으로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게 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쾌적한 환경조성이 가능하고, 나아가 탑승자들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먼저, 상기 케이스(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블로어(200), 필터부(300) 및 광촉매부(400)가 구성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외부 일측과 타측에는 공기가 인입되는 인입구(110)와 그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각각 형성된다.First, the
이때, 상기 인입구(110)와 배출구(120)의 경우 상기 케이스(100)의 형태에 따라서 양측단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가 있으며, 차량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가 있고, 상기 블로어(200)의 위치에 따라 변형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설명하였다.In this case, the
상기 블로어(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공기를 인입하는 구성으로써, 모터가 구성되며, 상기 모터의 축에 회전체가 구성되어서,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체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일측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120)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블로어(200)의 구성은 통상의 블로어(2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임으로써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상기 필터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어(200)의 후방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성되어 상기 블로어(200)에 의해 배출구(120) 측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필터링 시키는 구성으로써, 통상적으로 공조장치에 사용되는 필터이다. 즉, 상기 필터부(300)는 배출구(120)측으로 공기가 이동하기 전, 필터링 시키게 되고, 상기 블로어(20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구(12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한편, 상기 광촉매부(400)는 본 발명의 핵심구성요소로써,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성되되, 필터부(3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300)에서 필터링되어 이동하는 공기를 살균처리한 후, 배출구(120)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먼저, 상기 몸체부(410)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플레이트(411, 413)로 각각 구성되되, 상기 제1플레이트(110)는 일측면에 상부에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1)가 일정간격 이격된 형태로 다수개가 관통되게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토출구(412)는 중앙부를 통해 실질적으로 정화부(420)의 UV램프(424)가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UV램프(424)의 외주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된다.First, the
즉, 상기 토출구(412)는 최초 UV램프(424)가 삽입되는 최초 투입공간이 되면서도, 상기 UV램프(424)가 삽입되면, 그 이외의 공간이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간이 된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제2플레이트(413)는 상기 제1플레이트(411)와 마주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일측면에는 외부공기가 내부에 구성된 정화부(420)에 의해 흡입되는 흡입구(414)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414)에 형성되는 타측에는 상기 정화부(420)에 형성되는 삽입홀(42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인입홀(415)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414)는 인입홀(415)측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다.Here, the
즉, 상기 제2플레이트(413)는 도 6를 기준으로 하부에는 하나의 흡입구(414)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정화부(420)의 개수에 따라 대응되는 인입홀(415)이 형성된다.That is, in the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413)는 상기 흡입구(414)와 인입홀(415)이 형성된 상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필에요 따라서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도시하였으며 설명하였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1,2플레이트(411, 413) 사이에 양측이 상기 제1,2플레이트(411, 413)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봉(416)이 구성되되, 일정간격 이격된 형태로 다수개가 구성되어 상기 제1,2플레이트(411, 413)의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11, 413),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11, 413)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한편, 상기 정화부(420)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로써,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421), UV램프(424), 이동날(426)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고정몸체(421)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UV램프(424)가 삽입되는 삽입홀(4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2플레이트(411, 413)의 사이에 배치되되 양측면에 상기 제1,2플레이트(411, 413)와 연결되고, 상기 삽입홀(422)의 일측이 상기 제1플레이트(411)의 토출구(412)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플레이트(413)의 인입홀(415)과 동일선상에 위치된다.The fixed
이때, 상기 고정몸체(421)와 제1,2플레이트(411, 413)는 별도의 고정부재 등과 같은 것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도시하진 않았고, 상기 고정몸체(421)가 상기 제1,2플레이트(411, 413)의 사이에 구성되되 상기 결합봉(416)이 구성되지 않은 부분에 위치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한편, 상기 고정몸체(421)의 삽입홀(422)에는, 상기 UV램프(424)와 이동날(426)을 감싸며 구성되되, 내측에 파형의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날(426)과 이동날(426) 사이에 살균처리공간(423)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살균처리공간(423)의 구성은 상기 삽입홀(422)을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정화부(420)의 이동날(426)에 의해 이동되어 제1플레이트(411)의 토출구(412)를 통해 배출되되, 상기 살균처리공간(423)에 의해 보다 UV램프(424) 및 Tio2코팅된 이동날(426)에 의해 광촉매작용 시, 상기 광촉매작용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보다 더 많이 확보할 수 있게 살균처리공간(423)을 제공토록 하여서 종래보다 효율적인 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UV램프(424)의 경우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고정몸체(421)의 삽입홀(422)로 삽입되어, 배터리 또는 전력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빛을 조사하여 하기될 이동날(426)에 의해 광촉매작용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전력원은 차량의 배터리 등이 될 수가 있다.In the case of the
이때, 상기 UV램프(424)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구성시키며, 상기 이동날(426)의 상, 하 길이와 대응 또는 보다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상기 이동날(426)은 도 5, 6,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꽈배기 형태를 취하며 상기 UV램프(424)의 외측을 감싸며 구성되어 상기 UV램프(424)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흡입되는 공기를 이동시켜서 최종적으로 몸체부(410)의 제1플레이트(411)에 형성된 토출구(412)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moving
한편, 상기 이동날(426)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분할 구성되어 끝단이 상호 결합 구성되되, 일측끝단에 상기 이동날(426)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27)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427)의 상측에 걸림돌기(428)가 형성되고, 타측끝단에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며 내측이 상기 돌출부(427) 및 걸림돌기(428)가 인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429)가 형성되어, 각각의 이동날(426)의 돌출부(427)와 수용부(429)를 끼움 결합 시 상기 걸림돌기(428)가 상기 수용부(429)의 측면에 맞닿아 걸림되게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ving
즉, 상기 이동날(426)은 상기한 구조를 갖도록 다수개로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돌출부(427)가 구성된 부분을 수용부(429)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428)가 수용부(429)의 측단에 걸림되게 되어, 이동날(426)이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가 있다.That is, the moving
또한, 상기 이동날(426)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UV램프(424)에 구성할 경우, 상기 UV램프(424)의 상, 하측에도 상기 이동날(426)의 수용부(429)와 같은 구조를 구성하여서 고정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ving
또한, 상기 이동날(426)에는 Tio2 코팅이 이루어져 있어 상기 UV램프(424)에서 빛이 조사되면 광촉매작용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를 살균처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moving
이때, 상기 이동날(426)의 Tio2코팅은 통상의 코팅방법을 적용할 수 가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Tio2 coating of the moving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립식 구조를 갖는 이동날(426)은 종래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이동날(426)을 교체 시 전체적인 교체를 통해 유지보수 및 경제적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이동날(426)은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음과 더불어, UV램프(424)의 길이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조립시켜, 그 상황에 맞춰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ving
또한, 상기 이동날(426)은 본 발명에서는 전체적으로 돌출부(427)과 수용부(429)의 구조를 통해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일측단과 타측단에 상호 걸림되도록 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이러한, 본 발명의 이동날(426)의 구성을 통해서, 필터부(300)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가 흡입구(414)를 통해 흡입되면 그 공기가 인입홀(415)을 통해 삽입홀(422)로 이동하고, UV램프(424)와 이동날(426)의 Tio2코팅에 의해 광촉매작용이 일어나 상기 공기가 정화된 후 토출구(412)로 배출되되, 상기 이동날(426)의 구조로 인해, 광촉매작용을 일으키는 시간(흡입된 후, 배출까지의 거리 또는 시간)을 늘려주게 됨으로써, 완벽한 살균처리가 가능하게 된다.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moving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410)와 정화부(420)의 고정몸체(421)를 일체로 형성할 수가 있다. 즉, 상기 제1,2플레이트(411, 413)와 상기 고정몸체(421)를 하나의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본 발명에 따른 광촉매 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자동차용 공조장치의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인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세균, 등의 오염물질들을 UV램프와 정화부에 의해 광촉매작용을 일으켜 공기를 정화시키되, 살균처리 시 그 살균처리 반응시간을 늘려주면서도 면적을 넓혀 보다 효율적인 살균처리가 됨으로써 정화의 효율성을 높여 배출되는 공기를 통해 차량의 내부에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 및 탑승자들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photocatalytic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purpose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s it is,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bacteria, etc.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re removed. The UV lamp and the purification unit generate a photocatalytic action to purify the air, but during the sterilization treatment, the sterilization treatment reaction time is increased, and the area is expanded to become a more efficient sterilization treatment.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help creat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and health of passengers.
100 : 케이스 110 : 인입구 120 : 배출구
200 : 블로어 300 : 필터
400 : 광촉매부
410 : 몸체부
411 : 제1플레이트 412 : 토출구
413 : 제2플레이트 414 : 흡입구 415 : 인입홀
416 : 결합봉
420 : 정화부
421 : 고정몸체 422 : 삽입홀 423 : 살균처리공간
424 : UV램프
426 : 이동날 427 : 돌출부 428 : 걸림돌기
429 : 수용부 100: case 110: inlet 120: outlet
200: blower 300: filter
400: photocatalyst part
410: body
411: first plate 412: discharge port
413: second plate 414: suction port 415: inlet hole
416: coupling rod
420: purification unit
421: fixed body 422: insertion hole 423: sterilization treatment space
424: UV lamp
426: moving blade 427: protrusion 428: stopping protrusion
429: receiving part
Claims (5)
일측에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412)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411)과, 상기 제1플레이트(411)와 대응되게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414)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413)로 구성되는 몸체부(410);
내부에 관통되는 삽입홀(422)이 형성되되 양측이 상기 토출구(412) 및 흡입구(414)와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제1,2플레이트(411, 413)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몸체(421)와, 상기 삽입홀(422)에 끼움 구성되어 전력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는 UV램프(424)와, 상기 UV램프(424)의 외측에 구성되되, 표면에 Tio2 코팅되어 구성되어, 상기 UV램프(42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꽈배기 형태의 이동날(426)로 구성되는 정화부(420)로 구성되는 광촉매부(400); 로 구성되는 광촉매 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411)의 토출구(412)는, 상기 UV램프(424)의 외주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고,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413)의 흡입구(414)가 형성되는 타측에는 상기 삽입홀(42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인입홀(415)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414)는 인입홀(415)측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날(426)은, 다수개로 분할 구성되어 끝단이 상호 결합 구성되되, 일측끝단에 상기 이동날(426)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27)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427)의 상측에 걸림돌기(428)가 형성되고, 타측끝단에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며 내측이 상기 돌출부(427) 및 걸림돌기(428)가 인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429)가 형성되어, 각각의 이동날(426)의 돌출부(427)와 수용부(429)를 끼움 결합 시 상기 걸림돌기(428)가 상기 수용부(429)의 측면에 맞닿아 걸림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몸체(421)의 삽입홀(422)에는, 상기 UV램프(424)와 이동날(426)을 감싸며 구성되되, 내측에 파형의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날(426)과 이동날(426) 사이에 살균처리공간(4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 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A case 100 in which an inlet 110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120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inlet 110 in the inside of the case 100 is configured to provide air A blower 200 for mov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let 120, and a filter unit 300 for filtering air that is disposed behind the blower 200 and moves; Is disposed behind the filter unit 300 inside the case 100,
The first plate 411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discharge port 412 through which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and the suction port 414 which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plate 411 to pass through A body portion 410 consisting of a formed second plate 413;
An insertion hole 422 penetrating therein is formed, and both sides are disposed on the same line with the discharge port 412 and the suction port 414, and a fixed body 421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11 and 413, respectively, , A UV lamp 424 fitted in the insertion hole 422 to irradiate light by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source, and a Tio2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UV lamp 424 and the A photocatalytic unit 400 composed of a purification unit 420 composed of a moving blade 426 in the form of a pretzel that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UV lamp 424; In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photocatalytic function consisting of,
The discharge port 412 of the first plate 411 is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V lamp 424 and is formed to extend in a form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edge,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late 413 on which the inlet 414 is formed, an inlet hole 415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insertion hole 422 is formed, and the inlet 414 is on the inlet hole 415 side. Is formed to gradually widen in the direction,
The moving blade 426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ends and the ends are mutually coupled, and a protrusion 427 protruding with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moving blade 426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protrusion 427 The locking protrusion 428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and the lower end is formed in an open shape, and the receiving part 429 is formed in which the protrusion 427 and the locking protrusion 428 are inserted and accommodated, When the protrusion 427 and the receiving part 429 of each of the moving blades 426 are fitted and coupled, the locking protrusion 428 is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429,
The insertion hole 422 of the fixed body 421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UV lamp 424 and the moving blade 426, and is continuously formed in a shape of a wave inside the moving blade 426 and the moving blade.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photocatalytic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terilization treatment space 423 is formed between 426.
상기 제1,2플레이트(411, 413) 사이에 양측이 상기 제1,2플레이트(411, 413)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봉(416)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 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photocatalytic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11, 413) have a coupling rod (416) that couples and fixes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11, 413) on both sides. Air conditioning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0348A KR102211714B1 (en) | 2018-10-30 | 2018-10-30 | An air condition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photocatalytic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0348A KR102211714B1 (en) | 2018-10-30 | 2018-10-30 | An air condition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photocatalytic fun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9960A KR20200049960A (en) | 2020-05-11 |
KR102211714B1 true KR102211714B1 (en) | 2021-02-03 |
Family
ID=7072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0348A Active KR102211714B1 (en) | 2018-10-30 | 2018-10-30 | An air condition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photocatalytic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171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88673A (en) * | 2020-12-25 | 2022-07-01 | 紫物(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 Ceiling type indoor air circulation antivirus equipmen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58728A (en) * | 2000-08-22 | 2002-02-26 | Yoshikazu Uchiumi | Deodoriz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7646A (en) * | 2002-10-29 | 2004-05-07 | 주식회사 누리환경기술단 | Optical catalyst reactor and air purification system |
KR101351174B1 (en) * | 2012-03-08 | 2014-01-15 | 김태완 | A purification fileter using photocatalyst |
-
2018
- 2018-10-30 KR KR1020180130348A patent/KR10221171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58728A (en) * | 2000-08-22 | 2002-02-26 | Yoshikazu Uchiumi | Deodoriz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9960A (en) | 2020-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58459B1 (en) | Air purifier having dehumidification function | |
US7497771B2 (en) | Ventilating system | |
KR101092016B1 (en) | Removable Air Purifier for Commercial Vehicles | |
US20210260970A1 (en) | Vehicle air purification system with photocatalysis filtration | |
JP2009024595A (en) |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 |
KR102311002B1 (en) | A multifunctional filter assembly for air conditioners and air conditioner with this | |
CN116105271A (en) | Energy-saving air purifying and ventilating system linked with meteorological information | |
KR200481427Y1 (en) | Inner air circulation type subway air purifier | |
KR102317253B1 (en) | Heat exchanger with cylindrical photo-catalyst filter with sound absorption function | |
WO2014011063A1 (en) | An air treatment unit and a system of air treatment units | |
KR102317245B1 (en) | Heat Exchanger With Cylindrical Photocatalytic Device | |
KR102211714B1 (en) | An air condition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photocatalytic function | |
JP3573003B2 (en) |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 |
TW201312061A (en) | Air purification system | |
JP2010149536A (en) | Air cleaner | |
JP5677403B2 (en) | Dust remover for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dust remover,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air conditioner | |
KR101915169B1 (en) | An air cleaning equipment for a car | |
US20240141854A1 (en) | Air cleaners and air disinfectors for mass transit vehicles | |
KR102527622B1 (en) | Ductless Type High Wind Speed Air Strilization Apparatus | |
KR100844292B1 (en) | Ventilation system with air purification and temperature compensation | |
JP2012154556A (en) | Air conditioner | |
JPH08312977A (en) | Air conditioner | |
KR102480852B1 (en) | Virus removal device for vehicle and virus removal system including the same | |
JP2009022882A (en) | Air conditioner | |
KR102696732B1 (en) | Apparatus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air in ele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