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10469B1 -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 - Google Patents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469B1
KR102210469B1 KR1020190030049A KR20190030049A KR102210469B1 KR 102210469 B1 KR102210469 B1 KR 102210469B1 KR 1020190030049 A KR1020190030049 A KR 1020190030049A KR 20190030049 A KR20190030049 A KR 20190030049A KR 102210469 B1 KR102210469 B1 KR 102210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case
coupling
sliding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0032A (ko
Inventor
박정기
조재석
Original Assignee
(주)펫펄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펫펄스랩 filed Critical (주)펫펄스랩
Priority to KR1020190030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469B1/ko
Priority to US17/437,699 priority patent/US11937575B2/en
Priority to PCT/KR2019/005199 priority patent/WO2020189839A1/ko
Publication of KR20200110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4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1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5Quick-couplings, safety-couplings or shock-absorbing devices between leash and coll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이 내장된 케이스를 스트랩에 원터치식으로 용이하게 착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탈착을 위한 구성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은폐되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착용감 및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조 공정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는,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상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을 구비한 케이스; 끝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애완동물의 신체에 감겨지며 착용되는 유연한 재질로 된 스트랩; 상기 스트랩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스트랩의 끝단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삽입되면서 스트랩의 끝단부를 케이스에 연결하는 슬라이딩결합부를 포함하는 고정브라켓; 및, 내측 단부가 상기 스트랩의 끝단부 내측에 결합되어 스트랩의 끝단부의 상측을 누르는 힘에 의해 하측으로 변위가 발생하고, 외측 단부가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와 함께 스트랩의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와 함께 결합홈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삽입되고, 외측 단부의 상단부에 상기 걸림홈에 걸려지는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록킹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Band Type Wearable Device for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에 착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견과 같은 애완동물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각종 전자부품이 내장된 케이스를 애완동물의 목 등의 신체 부위에 착용하기 위한 스트랩에 원터치식으로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는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가족생활의 핵가족화와 서구문명화에 따라 일상생활의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인간과 함께 거주하면서 생활하는 애완동물의 수와 종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다양한 종류의 개나 고양이, 심지어 돼지에 이르기까지 주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단순히 즐거움이나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길러지는 동물이 아닌, 생명으로서 존중되며 사람과 더불어 살면서 교감하는 가족의 일원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나 위치 정보, 생체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센서와 통신모듈, 마이크로프로세서, 발광소자 등의 전자부품을 애완동물의 목이나 가슴 등의 신체 부분에 착용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애완동물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부품을 애완동물에 착용하기 위해서는 전자부품이 내장된 케이스를 스트랩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하거나, 케이스를 유연한 소재의 스트랩의 끝단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케이스와 스트랩이 일체형으로 된 경우에는 스트랩을 교체할 수 없으므로 애완동물의 액세서리로서의 기능에 한계가 있다.
이에 스트랩의 색상을 여러가지로 제작한 후 사용자의 기분이나 상황에 따라 스트랩을 케이스에서 분리하여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케이스를 스트랩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케이스와 스트랩을 나사 또는 핀과 같은 체결부품으로 연결하는 방식, 또는 버튼에 연결된 후크형의 체결장치를 이용한 원터치식 체결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케이스와 스트랩을 나사와 같은 체결부품이나 핀으로 연결하는 방식은 분리 및 연결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체결부품의 유지관리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원터치식 체결 방식은 버튼과 체결장치의 연결이 어렵고, 버튼이 외부로 드러나 있기 때문에 심미감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체결을 위한 구조물이 애완동물의 신체와 맞닿아서 불편한 느낌을 주거나 심할 경우 긁히거나 털이 끼어서 상해를 입을 우려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5276호(2012.06.04.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1429호(2015.10.13.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부품이 내장된 케이스를 스트랩에 원터치식으로 용이하게 착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탈착을 위한 구성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은폐되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착용감 및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조 공정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는,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상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을 구비한 케이스; 끝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애완동물의 신체에 감겨지며 착용되는 유연한 재질로 된 스트랩; 상기 스트랩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스트랩의 끝단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삽입되면서 스트랩의 끝단부를 케이스에 연결하는 슬라이딩결합부를 포함하는 고정브라켓; 및, 내측 단부가 상기 스트랩의 끝단부 내측에 결합되어 스트랩의 끝단부의 상측을 누르는 힘에 의해 하측으로 변위가 발생하고, 외측 단부가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와 함께 스트랩의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와 함께 결합홈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삽입되고, 외측 단부의 상단부에 상기 걸림홈에 걸려지는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록킹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스트랩의 끝단부 내측으로 매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하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를 가지며 상기 록킹부재가 설치되는 설치홈부와, 상기 고정부의 끝단부에 상기 스트랩의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는 'ㄱ' 형태로 되어, 상하로 연직한 부분이 상기 설치홈부의 일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수평한 부분의 외측 단부가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와 일치하여 슬라이딩결합부와 함께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수평한 부분이 스트랩의 끝단부의 상측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하측으로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스트랩에 인서트사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양측 끝단부에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은 2개가 케이스의 양측 끝단부의 결합홈 각각에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스트랩은 길이 조정이 가능한 스트랩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랩의 끝단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의 슬라이딩결합부를 케이스의 결합홈에 맞추어 밀어 넣는 동작에 의해 원터치식으로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체결 후에도 안정된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을 케이스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록킹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스트랩의 끝단부 상측을 누르면 유연한 소재로 된 스트랩을 통해 록킹부재에 압력이 전달되어 록킹부재가 휘어지면서 체결 상태가 해제되어 역시 원터치식으로 간단히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과 케이스의 체결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분이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나 디자인의 스트랩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트랩과 케이스 간의 체결을 위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체결을 위한 고정브라켓이 케이스의 내측으로 완전히 매입되어 체결되므로 체결 부위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며, 체결 및 해제 작동을 위한 별도의 버튼과 같은 구조물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우수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 시에 외부로 튀어나오는 부분으로 인한 불편함과 상해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의 탈착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의 케이스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의 스트랩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의 케이스와 스트랩이 결합된 외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의 고정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의 록킹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의 케이스와 스트랩 간의 체결을 위한 작동례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의 케이스와 스트랩 간의 분리를 위한 작동례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를 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양측 끝단부에 연결되며 애완동물의 신체에 감겨지며 착용되는 유연한 재질로 된 2개의 스트랩(20)과, 상기 각각의 스트랩(2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스트랩(20)을 케이스(10)에 연결하는 고정브라켓(30)과, 상기 고정브라켓(3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정브라켓(30)의 이탈을 방지하며 스트랩(20)의 끝단부 상부를 누르는 힘에 의해 하측으로 변위가 발생하는 록킹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전자부품 또는 애완동물에게 필요한 다양한 소형 물품이나 액세서리 등이 내장될 수 있는 함체 형태를 갖는다. 상기 케이스(10)에 내설되는 전자부품으로는 애완동물의 감정 상태나 건강 상태, 생체 정보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GPS, 마이크로프로세서, 인쇄회로기판(PCB), LED와 같은 발광소자, 무선통신모듈, 배터리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전자부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고정브라켓(30)과의 착탈 결합을 위한 결합홈(1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1)은 외부로 향한 면(스트랩을 향한 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C'자형 단면의 홈 형태를 가지며, 길이 방향의 일측 끝단부가 케이스(10)의 일 측면부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1)의 중간 부분 상단부에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걸림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트랩(20)은 실리콘과 같이 유연하고 탄력성이 우수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애완동물(예를 들어 애완견)의 목과 같은 신체에 감겨지며 착용될 수 있도록 기다란 띠 형태를 갖는다. 상기 스트랩(20)은 2개로 분할되어 각각이 고정브라켓(30)을 매개로 케이스(10)의 양측 끝단부에 연결되며, 각각의 스트랩(20)은 길이 조정이 가능한 스트랩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랩 연결수단은 어느 한 스트랩(20)의 끝단에 형성된 스트랩 통과공(21)과, 상기 스트랩(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결속공(22)과, 다른 한 스트랩(20)의 끝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속공(22)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돌기(2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2개의 스트랩(20)을 애완동물의 신체(예를 들어 목 부분)에 두른 뒤에 상기 체결돌기(23)가 형성되어 있는 스트랩(20)의 끝단을 다른 한 스트랩(20)의 스트랩 통과공(21)을 통해 통과시킨 후 애완동물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적절한 위치의 결속공(22)에 체결돌기(23)를 압입하여 결합시키면 스트랩(20)과 케이스(10)를 애완동물에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2개의 스트랩(20) 각각의 끝단부에는 케이스(10)와의 탈착을 위한 고정브라켓(30)이 매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브라켓(30)에는 상기 결합홈(11)과 대응하는 단면 형태를 갖는 슬라이딩결합부(33)가 스트랩(20)의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결합부(33)의 일측 끝단부를 상기 결합홈(11)의 일측 끝단부에 맞춘 다음 측방으로 밀어 넣으면 슬라이딩결합부(33)가 결합홈(11)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부드럽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30)은 스트랩(20)과는 다른 단단한 재질로 되어 스트랩(20)의 끝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브라켓(30)은 인서트 사출(insert injection molding) 방식으로 스트랩(20)에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30)은 스트랩(20)의 끝단부 내측에 매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의 중간 부분에 하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록킹부재(40)가 설치되는 설치홈부(32)와, 상기 고정부(31)의 끝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결합부(3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30) 중 슬라이딩결합부(33)는 스트랩(20)의 끝단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1)과 대응하는 형태로 되어 결합홈(1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슬라이딩결합부(33)는 상기 설치홈부(32)의 끝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2개로 분할되어 구성된다.
상기 설치홈부(32)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록킹부재(40)의 끝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체결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부재(40)는 대략 'ㄱ' 형태로 되어, 내측 단부의 상하로 연직한 부분(41)이 상기 설치홈부(32)의 일단부에 나사(45)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며, 수평한 부분(42)의 외측 단부가 상기 슬라이딩결합부(33)와 일치하여 슬라이딩결합부(33)와 함께 결합홈(11)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록킹부재(40)의 수평한 부분(42)은 외측 단부를 제외하고 스트랩(20)의 끝단부 내측에 배치되어, 스트랩(20)의 끝단부의 상측을 누르는 힘에 의해 하측으로 탄력적으로 휘어졌다가 누르는 힘이 없어지거나 약화되면 자체의 탄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편평하게 된다.
상기 록킹부재(40)의 수평한 부분(42)의 끝단부의 상부면은 슬라이딩결합부(33)와 형태에 대응하여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이 곡면으로 된 부분에 상기 결합홈(11)의 걸림홈(12)에 걸려지는 걸림돌기(43)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43)는 록킹부재(40)가 결합홈(11) 내측으로 삽입될 때 결합홈(11)의 상부면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스트랩(20)을 케이스(10)에 연결할 경우, 고정브라켓(30)의 슬라이딩결합부(33)의 일단부를 케이스(10)의 일측면을 통해 개방된 결합홈(11)의 일단부에 맞추어 정렬한다(도 8a 참조).
그리고, 고정브라켓(30)의 슬라이딩결합부(33)를 결합홈(11) 내측으로 밀면 슬라이딩결합부(33)와 록킹부재(40)가 함께 결합홈(11)을 따라 측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 때 록킹부재(40) 상단의 걸림돌기(43)는 결합홈(11)의 상부면에 의해 눌리면서 이동하다가 걸림홈(12) 위치에서 걸림홈(12)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삽입되고(도 8b 참조), 고정브라켓(30)과 케이스(10) 간의 체결이 완료된다.
이 때 스트랩(20)에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고정브라켓(30)의 슬라이딩결합부(33)가 결합홈(11)에 걸려서 결합홈(11)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으므로 고정브라켓(30)과 케이스(10) 간의 결합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트랩(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 록킹부재(40)의 걸림돌기(43)와 케이스(10)의 걸림홈(12) 간의 결합에 의해 록킹부재(40) 및 슬라이딩결합부(33)가 측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케이스(10)에 결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새로운 색상이나 디자인의 스트랩(20)으로 교체하기 위하여 스트랩(20)을 케이스(10)에 분리하고자 할 경우, 도 9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록킹부재(40)가 설치되어 있는 스트랩(20)의 끝단부의 상부면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스트랩(20)이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는 수지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누른 부분이 탄성 변형되면서 록킹부재(40)의 수평한 부분(42)에 압력이 전달되고, 이에 따라 수평한 부분(42)이 하측으로 휘어지면서 걸림돌기(43)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걸림홈(12)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브라켓(30)을 측방으로 밀면, 슬라이딩결합부(33)와 록킹부재(40)가 이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결합홈(11)에서 빠져 나오게 되고, 결합 상태가 완전히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는 고정브라켓(30)의 슬라이딩결합부(33)를 케이스(10)의 결합홈(11)에 맞추어 밀어 넣는 동작에 의해 원터치식으로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고, 스트랩(2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록킹부재(40)가 설치되어 있는 스트랩(20)의 끝단부의 상측을 누르면서 측방으로 이동시키면 간단히 분리가 된다.
따라서 스트랩(20)을 케이스(10)에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기분이나 상황에 따라 쉽게 스트랩(2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트랩(20)이 케이스(10)에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30)의 슬라이딩결합부(33)가 케이스(10)의 결합홈(11) 내측에 완전히 매입되어 체결되므로 체결 부위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우수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 시에 외부로 튀어나온 부분으로 인한 불편함과 상해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30)과 케이스(10) 간의 분리 작업시 사용자가 록킹부재(40)가 설치된 위치를 정확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록킹부재(40)와 일치하는 스트랩(20)의 끝단부의 상부면에 누름 위치를 알려주고, 결합 및 분리 방향을 알려주는 글자나 화살표 등의 문양이 인쇄되거나 새겨질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는 고정브라켓(30)을 스트랩(20)에 인서트 사출로 제작한 후 고정브라켓(30)에 록킹부재(40)를 나사(45)로 간단히 조립시키만 하면 고정브라켓(30)과 록킹부재(40)가 설치된 스트랩(20)을 제조할 수 있으며, 케이스(10)에는 결합홈(11)이 형성되게 제조하면 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과 제조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결합홈
12 : 걸림홈 20 : 스트랩
21 : 스트랩 통과공 22 : 결속공
23 : 체결돌기 30 : 고정브라켓
31 : 고정부 32 : 설치홈부
33 : 슬라이딩결합부 40 : 록킹부재
43 : 걸림돌기 45 : 나사

Claims (5)

  1.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상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을 구비한 케이스;
    끝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애완동물의 신체에 감겨지며 착용되는 유연한 재질로 된 스트랩;
    상기 스트랩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스트랩의 끝단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삽입되면서 스트랩의 끝단부를 케이스에 연결하는 슬라이딩결합부를 포함하는 고정브라켓; 및,
    내측 단부가 상기 스트랩의 끝단부 내측에 결합되어 스트랩의 끝단부의 상측을 누르는 힘에 의해 하측으로 변위가 발생하고, 외측 단부가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와 함께 스트랩의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와 함께 결합홈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삽입되고, 외측 단부의 상단부에 상기 걸림홈에 걸려지는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록킹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스트랩의 끝단부 내측으로 매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하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를 가지며 상기 록킹부재가 설치되는 설치홈부와, 상기 고정부의 끝단부에 상기 스트랩의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부를 포함하는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ㄱ' 형태로 되어, 상하로 연직한 부분이 상기 설치홈부의 일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수평한 부분의 외측 단부가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와 일치하여 슬라이딩결합부와 함께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수평한 부분이 스트랩의 끝단부의 상측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하측으로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변위가 발생하게 되는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스트랩에 인서트사출되어 고정되는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양측 끝단부에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은 2개가 케이스의 양측 끝단부의 결합홈 각각에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스트랩은 길이 조정이 가능한 스트랩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
KR1020190030049A 2019-03-15 2019-03-15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 Active KR102210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049A KR102210469B1 (ko) 2019-03-15 2019-03-15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
US17/437,699 US11937575B2 (en) 2019-03-15 2019-04-30 Band-type wearable device for pet
PCT/KR2019/005199 WO2020189839A1 (ko) 2019-03-15 2019-04-30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049A KR102210469B1 (ko) 2019-03-15 2019-03-15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032A KR20200110032A (ko) 2020-09-23
KR102210469B1 true KR102210469B1 (ko) 2021-02-02

Family

ID=7251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049A Active KR102210469B1 (ko) 2019-03-15 2019-03-15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37575B2 (ko)
KR (1) KR102210469B1 (ko)
WO (1) WO20201898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0579B (zh) * 2021-05-18 2022-11-11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表带及穿戴设备
EP4202571A1 (fr) * 2021-12-23 2023-06-28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Objet portable comportant une carrure depourvue de cornes de fixation et un bracelet amovible
WO2024162585A1 (ko) * 2023-02-03 2024-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품을 안착시키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91491A1 (en) * 2005-02-25 2006-08-31 Nottingham John W Receiver collar
KR101561429B1 (ko) 2014-05-07 2015-10-20 김민지 애완동물용 표시장치
JP2017000543A (ja) 2015-06-12 2017-01-05 ビルマテル株式会社 バックルのアセンブリ方法
KR101776283B1 (ko) * 2016-05-17 2017-09-07 조성호 차단봉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7439A1 (de) * 2001-12-21 2003-09-18 Seiko Instr Inc Tragbares elektronisches Gerät
KR100512437B1 (ko) * 2002-08-31 2005-09-05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착탈이 용이한 목걸이형 이어마이크셋의 안전장치체결구
US7107941B2 (en) * 2004-01-02 2006-09-19 Pei-Wen Chen Safety device of collar for pet
KR101155276B1 (ko) 2010-03-17 2012-06-18 유용환 애완동물용 목줄
US8776418B1 (en) * 2010-09-30 2014-07-15 Fitbit, Inc. Interchangeable cases for biometric monitoring devices
KR101309236B1 (ko) * 2012-02-02 2013-09-23 김용우 동물 목줄용 전자태그
DE102013000590A1 (de) * 2013-01-16 2014-07-17 Flexi-Bogdahn Technik Gmbh & Co. Kg Steckverschluss zum Verbinden von Strangelementen und eine Tierhalteleine mit einem solchen Steckverschluss
US10085523B2 (en) * 2014-08-11 2018-10-02 Apple Inc. Attachment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CA2963984C (en) 2014-11-14 2020-02-25 Siegel, John System and method for animal data collection and analytics
KR101709853B1 (ko) * 2015-05-14 2017-03-08 안중혁 발광 차단봉
KR101811011B1 (ko) * 2015-11-04 2017-12-21 주식회사 실리코너스 애완동물용 밴드 제조방법
EP3266333B1 (fr) * 2016-07-07 2019-05-22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Montre et bijou a bracelet interchangeable
US9974283B1 (en) * 2016-11-08 2018-05-22 Margaret A. Hord Collar mounted intruder detection security system
US10542794B2 (en) * 2017-04-11 2020-01-28 Fitbit, Inc. Buckle with slotted-hole tang
US11094224B2 (en) * 2018-03-30 2021-08-17 David Stapleton Separable identification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91491A1 (en) * 2005-02-25 2006-08-31 Nottingham John W Receiver collar
KR101561429B1 (ko) 2014-05-07 2015-10-20 김민지 애완동물용 표시장치
JP2017000543A (ja) 2015-06-12 2017-01-05 ビルマテル株式会社 バックルのアセンブリ方法
KR101776283B1 (ko) * 2016-05-17 2017-09-07 조성호 차단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37575B2 (en) 2024-03-26
WO2020189839A1 (ko) 2020-09-24
US20220125019A1 (en) 2022-04-28
KR20200110032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469B1 (ko) 밴드형 애완동물 착용장치
CN101522067B (zh) 带子与带扣的滑动调节件
CN107811620B (zh) 电子设备
US20200000183A1 (en) Pet health monitor with collar attachment and charger
US10085519B1 (en) Belt buckle
US9560900B2 (en) Adjustable watch strap
US20110239417A1 (en) Box-Shaped Ornamented Locking Device for Decorations
EP1495673B1 (en) Assembly of an activity meter and a fastening strap for fastening the activity meter to the neck or the leg of an animal
KR200451900Y1 (ko) 표찰케이스용 핀온릴
US20150120020A1 (en) Wearable activity monitoring device secured by a wristband with an interchangeable section
KR102214591B1 (ko) 후크결합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DE602005011571D1 (de) Kunststoffschuhwerk aus Druckgussverfahren mit Befestigungsmittel
EP1607016A2 (en) Buckle for bridles
CN201570190U (zh) 一种儿童用识别腕带
KR20220001817A (ko) 마스크
CN221128451U (zh) 一种头戴装置
KR102740038B1 (ko) 퀵 릴리즈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하네스
CN215500902U (zh) 一种禽类用脚环
CN209788698U (zh) 一种卡合机构及智能穿戴设备
CN220476610U (zh) 一体式狗嘴套具
JP3971362B2 (ja) ウエストサイズ調整用ホック装置
KR200358790Y1 (ko) 지퍼 넥타이용 매듭 성형구
USD526098S1 (en) Hook for horse harness
KR200398495Y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CN101692318A (zh) 一种儿童用识别腕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8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1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