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10023B1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023B1
KR102210023B1 KR1020170030469A KR20170030469A KR102210023B1 KR 102210023 B1 KR102210023 B1 KR 102210023B1 KR 1020170030469 A KR1020170030469 A KR 1020170030469A KR 20170030469 A KR20170030469 A KR 20170030469A KR 102210023 B1 KR102210023 B1 KR 102210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sealing member
protrusion
connector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3472A (en
Inventor
이혜준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0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023B1/en
Publication of KR20180103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4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02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연결단자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와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부를 둘러싸고, 삽입구를 통해 상기 연결단자부를 노출하는 제1 하우징부로, 상기 제1 하우징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돌기부를 경계로 정의된 상기 삽입구 측의 제1 부분과, 타측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부,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상기 제2 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돌기부와 그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맞닿도록 상기 제1 하우징부에 고정되는 제2 하우징부,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상기 제1 부분을 둘러싸는 제1 실링 부재를 포함한다.A connector assembly is provided. The connector assembly is a connector part including a connection terminal part, a first housing part fix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part to surround the connector part, and expose the connection terminal part through an insertion hole, and the first housing part borders a protrusion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rst housing part including a first part on the side of the insertion port and a second part on the other side defined as, surrounds the second part of the first housing part, and the protrusion part and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part contact each other. And a second housing portion fixed to the first housing portion, and a first sealing member surrounding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Connector assembly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전자 장치에는 데이터 통신 또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장치는 전자 장치 내의 인쇄회로기판(이하, PCB 기판)에 커넥터와 이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플러그 커넥터로 구성되어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전원 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데 활용되고 있다.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connector for receiving data communication or external input. This connection device is composed of a connector to a printed circuit board (hereinafter, a PCB board) in an electronic device and a plug connector that is fastened corresponding thereto, and is used for data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s or for supplying power by connecting with a power device. .

최근에는 커넥터를 통해 전자 장치 내부로 각종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에 추가적인 기기(예: 실링 부재, 포팅부 등)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various foreign substances or moisture in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nnector, it has been proposed to protect the electronic device by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a sealing member, a potting part, etc.) to the connecto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62711호는 유에스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기기의 접속 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소켓과, 상기 소켓의 전단부의 외주면을 감싸서, 이동 단말기의 본체 케이스와 소켓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소켓의 전단부의 외주면에,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안하고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3-0062711 relates to a USB connector, comprising a socket for inserting a connection terminal of an external device, an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socket to seal the gap between the main body case and the socket of the mobile terminal. A connector is proposed, comprising a sealing member for, wherein the sealing member is directly coupled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front end portion of the socke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링 부재를 이용하여 방수 라인을 형성하여 방수 기능이 부여되는 방수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proof connector to which a waterproof function is provided by forming a waterproof line using a sealing memb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연결단자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와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부를 둘러싸고, 삽입구를 통해 상기 연결단자부를 노출하는 제1 하우징부로, 상기 제1 하우징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돌기부를 경계로 정의된 상기 삽입구 측의 제1 부분과, 타측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부,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상기 제2 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돌기부와 그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맞닿도록 상기 제1 하우징부에 고정되는 제2 하우징부,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상기 제1 부분을 둘러싸는 제1 실링 부재를 포함한다.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a connector part including a connection terminal part, a first connector part and one side fixed to surround the connector part, and exposing the connection terminal part through an insertion hole. As a housing part, the first housing part comprises a first housing part including a first part on the side of the insertion port and a second part on the other side defined as a boundary of a protrusion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part of the first housing part. And a second housing portion fixed to the first housing portion such that the protrusion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but, and a first sealing member surrounding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상기 돌기부의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ousing portion may include a bent portion protruding from a contact surface of the protrusion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돌기부의 표면, 및 상기 굴곡부의 내측면과 모두 접촉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aling member may contact both a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an inn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상기 돌기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상기 굴곡부의 접촉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ct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상기 굴곡부와, 상기 돌기부의 표면으로 정의되는 트렌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트렌치를 채울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ench defined by the curved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and a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formed, and the first sealing member may fill the trench.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일측을 밀봉하는 제2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sealing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to seal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part.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상면만을 덮고, 하면은 개방시키는 제3 하우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housing portion covering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and opening the lower surface thereof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심리스(seamless)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ousing may be formed in a seamless structur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연결단자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와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부를 둘러싸고, 삽입구를 통해 상기 연결단자부를 노출하는 제1 하우징부로, 상기 제1 하우징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부,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2 하우징부로, 일단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 하우징부에 고정되는 제2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일단을 둘러싸는 제1 실링 부재를 포함한다.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a connector part including a connection terminal part, a first connector part and one side fixed to surround the connector part, and exposing the connection terminal part through an insertion hole. A housing part, wherein the first housing part is a first housing part including a protrusion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econd housing part surrounding a part of the first housing part, and has one end formed in a curved surface to contact the protrusion part. And a second housing portion fixed to the portion and a first sealing member surrounding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exposed by the second housing portio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굴곡부의 곡면은 기울기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ed surface of the bent portion may include a portion in which inclination continuously changes.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일측을 밀봉하는 제2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sealing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to seal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part.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전면부에 방수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부에 방수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aling member may form a waterproof lin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second sealing member may form a waterproof line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방수용 커넥터는 탄성을 갖는 제1 실링 부재를 하우징의 일단의 지지부에 형성하고, 제2 실링 부재를 이용하여 하우징부의 일측을 밀봉함으로써, 전자기기와 커넥터 사이에 방수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waterproof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proof line can be form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nector by forming a first sealing member having elasticity on the support portion of one end of the housing and sealing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using the second sealing member. .

한편, 이와 같은 제1 실링 부재를 하우징에 형성하는 것은 디스펜싱(dispensing)에 의할 수 있는데, 하우징부 사이의 결합 구조로 인하여 디스펜싱된 실링 부재가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향상된 조립 품질 및 제품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rma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in the housing may be performed by dispensing, and improved assembly by preventing the dispensed sealing member from penetrating into the housing part due to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housing parts. It can have quality and product reli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제3 하우징부를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포함된 제1 하우징부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포함된 제2 하우징부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B-B'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제1 실링 부재를 확대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C is a front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and side views illustrating a third housing part removed from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housing part included in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housing part included i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A.
6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and FIG. 6B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sealing member of FIG. 6A.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i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to" or "coupled to" with another component,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or couple with another component, or to intervene another component. Includes all cases. On the other hand,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to" or "directly coupled to" with another component, it indicates that no other component is intervene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That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on" or "on" of another component includes both the case where the 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not only above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directly on" of another component, it indicates that no other component is intervened.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components and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direc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in the referenced compon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Or does not exclude addition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waterproof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B.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제3 하우징부를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포함된 제1 하우징부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포함된 제2 하우징부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B-B'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C is a front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perspective and side views illustrating a third housing part removed from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housing part included in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housing part included i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커넥터는 커넥터부(200), 제1 하우징부(110), 제2 하우징부(120), 제3 하우징부(250), 제1 실링 부재(150), 제2 실링 부재(260) 및 쉴드 플레이트(300)를 포함한다The waterproof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part 200, a first housing part 110, a second housing part 120, a third housing part 250, a first sealing member 150, and 2 Includes a sealing member 260 and a shield plate 300

커넥터부(200)는 제1 커넥터부(210)와 제2 커넥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part 200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part 210 and a second connector part 220.

제1 커넥터부(210)는, 제1 단자(211), 제2 단자(212) 및 절연층(213)을 포함하는 연결단자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part 210 may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part 215 including a first terminal 211, a second terminal 212 and an insulating layer 213.

절연층(213)은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절연층(213)의 상면에 제1 단자(211)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insulating layer 213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facing the upper surface.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21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21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절연층(213)은 제1 단자(211)와 제2 단자(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213)은 커넥터부(200)의 바디(body)로서 포함되어 제1 단자(211)와 제2 단자(212) 간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절연층(213)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insulating layer 21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211 and the second terminal 212. The insulating layer 213 is included as a body of the connector part 200 to prevent an electrical short between the first terminal 211 and the second terminal 212. The insulating layer 213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and specifically, a polym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단자(211)는 절연층(213)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자(211)는 제3 방향(Z)으로 연장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단자(211)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1 단자(211)는 상기 제3 방향(Z)과 수직하는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21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213. The first terminal 211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third direction Z. There may be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211, and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21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first direction X perpendicular to the third direction Z and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제1 단자(211)는 플러그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절연층(213)의 상면 상에 배치된 제1 단자(211)의 일부가 상기 제1 접촉부일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211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In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first terminal 211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213 may be the first contact part.

제1 단자(211)는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자(211)는 전기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terminal 2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plug connector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erefore, the first terminal 211 may inclu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copp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2 단자(212)는 절연층(213)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자(212)는 제3 방향(Z)으로 연장하는 형상일 수 있다. 제2 단자(212)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2 단자(212)는 상기 제3 방향과 수직하는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212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213. The second terminal 212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third direction Z. The number of second terminals 212 may be plural,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2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first direction X perpendicular to the third direction and disposed side by side.

제2 단자(212) 는 플러그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절연층(213)의 하면 상에 배치된 제2 단자(212)의 일부가 상기 제2 접촉부일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212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In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second terminal 212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213 may be the second contact part.

제2 단자(212)는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단자(212)는 전기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terminal 21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plug connector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ccordingly, the second terminal 212 may inclu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copp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211, 212)는 각각 12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1 및 제2 단자(211, 212)의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의 종류 및 기능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및 제2 단자(211, 212) 각각의 개수는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11 and 212 are shown as having 12, respectively, but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11 and 212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number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11 and 212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function of the connector.

본 발명에 따란 방수용 커넥터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212. 217)는 고속 신호를 송수신하는 USB 핀 규격을 만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12 and 217 of the waterproof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atisfy the USB pin standar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high-speed sig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커넥터부(220)는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실장부(225)를 포함한다. 상기 실장부(225)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211, 212)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part 220 includes a mounting part 225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The mounting part 225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d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11 and 212, respectively.

제2 커넥터부(220)의 하면은 기판과 접할 수 있다. 이때, 제2 커넥터부(220)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패드는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패드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unit 220 may contact the substrate.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pad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unit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ads formed on the substrate, respectively.

제2 커넥터부(220)는 제1 커넥터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connector part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connector part 2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하우징부(110)는 커넥터부(200)에 일측이 고정되며, 연결단자부(215)와 이격되도록 커넥터부(200)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부(110)는 제1 하우징부(110)를 관통하는 삽입구(111)를 통해 연결단자부(215)를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부(110)는 제1 커넥터부(210)의 연결단자부(215)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part 110 is fixed to the connector part 200 and may surround a part of the connector part 2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part 215. Specifically, the first housing portion 110 may expose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215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1 penetrating the first housing portion 110. In addition, the first housing part 110 may completely surround the connection terminal part 215 of the first connector part 210.

제1 하우징부(110)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돌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112)는 제1 하우징부(110)의 표면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12)의 표면은 곡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부(112)는 반구 형상의 표면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housing part 110 may include a protrusion part 112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rotrusion 11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unit 110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urface of the protrusion 112 may have a curved shape. Specifically, the protrusion 112 may have a hemispherical surfa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하우징부(110)에서, 돌기부(112)와 대향하는 제1 하우징부(110)의 내주면에는 오목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부(110)의 일부에 압력을 가하여 돌기부(112)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와 대향하는 부분에 오목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first housing portion 110, a concave portion 113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110 that faces the protrusion portion 112. That is, since the protrusion 112 may be formed by applying pressure to a part of the first housing part 110, the concave part 113 may be formed in a part facing the first housing part 110.

제1 하우징부(110)는 돌기부(112)를 중심으로, 커넥터부(200)와 결합되는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구(111) 측의 제1 부분(114)과, 제1 부분(114)의 타측에 형성된 제2 부분(115)으로 정의될 수 있다. 뒤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제1 하우징부(110)의 제1 부분(114)에는 제1 실링 부재(150)가 결합되고, 제2 부분(115)에는 제2 하우징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part 110 has a first part 114 on the side of the insertion port 111 into which a terminal coupled to the connector part 200 is inserted,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art 114 with the protrusion part 112 as the center. It may be defined as the second portion 115 formed i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114 of the first hous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using unit 1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115. have.

제1 하우징부(110)는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US(Steel Use Stainless)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110)는 사출, 판금, 벤딩 등의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housing part 110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steel use stainless (SUS) material. The first housing unit 110 may be formed using a process such as injection, sheet metal, or bend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2 하우징부(120)는 제1 하우징부(110)의 외면을 둘러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부(120)는 제1 하우징부(110)의 제1 부분(114)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제2 하우징부(120)는 제1 하우징부(110)의 제2 부분(115)과 오버랩되도록 제1 하우징부(110)를 둘러싸고, 제1 부분(114)을 노출시킬 수 있다. The second housing unit 120 may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unit 110. Specifically, the second housing portion 120 may surround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110 except for the first portion 114. Accordingly, the second housing unit 120 may surround the first housing unit 110 and expose the first portion 114 to overlap the second portion 115 of the first housing unit 110.

제2 하우징부(120)는 일단에 굴곡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굴곡부(121)는 제2 하우징부(120)의 외주 방향을 향해 구부러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굴곡부(121)는 제2 하우징부(120)의 외주면으로부터 기울기가 연속적인 곡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housing part 120 may include a bent part 121 at one end. The bent portion 121 may have a shape bent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120. Specifically, the curved portion 121 may include a curved shape having a continuous slop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1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굴곡부(121)는 제2 하우징부(120)의 외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굴곡부(121)는 제2 하우징부(120)의 외주면과 대향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굴곡부(121)의 굴곡면이 하우징부(120)의 외주면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부러질 수도 있다.In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ed portion 121 is illustrated to have a shape cur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1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some embodiments, the bent portion 121 may be bent to 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unit 120, and the curved surface of the bent portion 121 may be bent to contac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unit 120 .

본 발명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부(120)의 일단은 굴곡부(121)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제2 하우징부(120)이 제1 하우징부(110)와 결합될 때, 굴곡되지 않은 제2 하우징부(120)의 내주면이 제1 하우징부(110)의 돌기부(112)와 접촉하고, 제2 하우징부(120)의 내주면이 제1 하우징부(120)에 대하여 그 내주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도 있다. 이 때 제2 하우징부(120)는 제1 하우징부(110)의 돌기부(112)와 완전히 오버랩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제2 하우징부(120)는 제1 하우징부(110)의 제1 부분(114)와 오버랩될 수도 있다.In still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second housing part 120 may not include the bent part 121. That is, when the second housing unit 120 is coupled with the first housing unit 110,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unit 120, which is not bent, contacts the protrusion unit 112 of the first housing unit 110 ,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120 may apply pressure to the first housing portion 120 in the inner peripheral direction thereof. In this case, the second housing part 120 may completely overlap with the protrusion part 112 of the first housing part 110, and in some cases, the second housing part 120 may be the first housing part 110. It may also overlap with portion 114.

제2 하우징부(120)의 굴곡부(121)는, 제1 실링 부재(150)를 제3 방향(Z)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bent portion 121 of the second housing unit 120 may support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in the third direction Z.

제2 하우징부(120)가 제1 하우징부(110)와 결합될 때, 제2 하우징부(120)의 굴곡부(121)와 제1 하우징부(110)의 돌기부(112)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부(120)의 내주면은 굴곡부(121)의 굴곡진 형상에 의해 굴곡면(12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하우징부(120)와 제1 하우징부(110)의 결합 시 상기 굴곡면(122)이 돌기부(112)와 접촉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housing part 120 is coupled with the first housing part 110, the bent part 121 of the second housing part 120 and the protrusion part 112 of the first housing part 110 may contact each other. have. Specifical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unit 120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122 due to the curved shape of the bent portion 121, and the second housing unit 120 and the first housing unit 110 When combined, the curved surface 122 may contact the protrusion 112.

제2 하우징부(120)는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US(Steel Use Stainless)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unit 120 may include a metallic material, for example, a steel use stainless (SUS) material.

제2 하우징부(120)는 일체로(integrally)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부(120)는 딥 드로잉(deep drawing)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딥 드로잉 방식으로 형성된 제2 하우징부(120)는 별도의 이음매를 가지지 않는 심리스(seamless)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part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Specifically, the second housing unit 120 may be formed in a deep drawing metho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housing unit 120 formed by the deep drawing method may have a seamless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joint.

제2 하우징부(120)가 제1 하우징부(110)와 결합될 때, 제1 하우징부(110)의 외주면과 제2 하우징부(120)의 내주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용접이 수행되어 제1 하우징부(110)와 제2 하우징부(120)를 물리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When the second housing unit 120 is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unit 110, welding is performed at at least one or more points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unit 1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unit 120 The first hous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using unit 120 may be physically fixed.

제1 실링 부재(150)는 제1 하우징부(110)의 제1 부분(114)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 부재(150)는 오-링(O-ring)의 형태를 가지며, 제1 하우징부(110)의 제2 부분(114)의 환형을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114 of the first housing unit 110. For example,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may have an O-ring shape and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an annular shape of the second portion 114 of the first housing unit 110.

제1 실링 부재(150)는 탄성을 지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 부재(150)는 탄성 재질, 우레탄, 에이 비 에스(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A), 폴리카보네이트(PC), 변성 폴리옥사이드(M-PRO), 폴리 부틸렌테레프 탈레이트(PBT),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케톤(PEK), 액정폴리 에스테르(LCP), 교대배열 폴리프로필렌(SPS), 실리콘, 고무, 금속, 무기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성 물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sealing member 150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For example,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is an elastic material, urethane,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amide (PA), polyacetal (POA), polycarbonate (PC), modified polyoxide ( M-PRO),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imide (PI), polyphenylene sulfide (PPS), polyamideimide (PAI), polyetherimide (PEI), polyether ketone (PEK), Liquid crystal polyester (LCP), alternating arrangement polypropylene (SPS), silicone, rubber, metal, inorganic material, or a material of a synthetic material thereof,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실링 부재(150)는, 제1 하우징부(110)의 제1 부분(114)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면서, 제2 하우징부(120)의 일부와도 접촉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150), 제1 하우징부(110) 및 제2 하우징부(120) 사이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first sealing member 15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portion 114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110 and may also contact a part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120.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the first hous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housing portion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도 6a는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제1 실링 부재를 확대한 도면이다.6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and FIG. 6B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sealing member of FIG. 6A.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실링 부재(150)는 제2 하우징부(120)의 굴곡부(121)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링 부재(15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하우징부(110)의 돌기부(112) 및 제2 하우징부(120)의 굴곡부(121)의 굴곡면(122)으로 정의되는 트렌치(125)를 채울 수 있다. 6A and 6B, the posi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may be fixed by the bent portion 121 of the second housing unit 120.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is a trench 125 defined by the protrusion 112 of the first housing part 110 and the curved surface 122 of the bent part 121 of the second housing part 120. ) Can be filled.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실링 부재(150)는 트렌치(125)를 완전히 채울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may completely fill the trench 125,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제1 실링 부재(150)는 상술한 탄성 물질을 제1 하우징부(110)의 제1 부분(114)에 디스펜싱(dispens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110)와 제2 하우징부(120)가 결합될 때, 공차에 의하여 제1 하우징부(110)의 외주면과 제2 하우징부(120)의 외주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may be formed by dispensing the above-described elastic material on the first portion 114 of the first housing unit 110. . When the first hous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housing portion 120 are coupled,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11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120 due to a tolerance. .

제1 실링 부재(150)는 액체 상태로 제1 하우징부(110)의 표면 상에 디스펜싱 되므로, 제1 실링 부재(150)가 응고되기 전에 제1 하우징부(110)와 제2 하우징부(120) 사이의 상기 공간으로 흘러들 수 있다. Since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is dispens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part 110 in a liquid state, before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is solidified, the first housing part 110 and the second housing part ( 120) can flow into the space between.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 하우징부(110)의 돌기부(112)와 제2 하우징부(120)의 굴곡부(121)가 밀착하여, 액체 상태로 디스펜싱된 제1 실링 부재(150)가 제1 하우징부(110)의 외주면과 제2 하우징부(120)의 내주면 사이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트렌치(125)에 디스펜싱된 제1 실링 부재(150)가 수용되고, 이 상태로 굳어짐으로써 제1 실링 부재(150)가 제1 하우징부(110)의 외주면과 제2 하우징부(120)의 내주면 사이에 제1 실링 부재(150)의 잔여물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서 제1 하우징부(110)와 제2 하우징부(120) 사이의 조립 품질이 향상되어,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품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112 of the first housing part 110 and the bent part 121 of the second housing part 1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sealing is dispensed in a liqui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ember 150 from flowing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11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120. That is,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dispensed in the trench 125 is accommodated, and when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is hardened in this state,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using unit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sidue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from flowing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 As a result, the quality of the assembly between the first hous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using unit 120 is improved, and product reliability of the connector assembly may be secured.

트렌치(125)를 채우는 제1 실링 부재(150)는 제1 하우징부(110)와 제2 하우징부(120) 사이의 방수 구조를 형성하여, 물 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커넥터 어셈블리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The first sealing member 150 filling the trench 125 forms a waterproof structure between the first hous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using unit 12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ter or dust from entering the connector assembly. You can also prevent it.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기판(도 6a의 1100)와 결합하여 전자제품(1000)에 결합될 때, 제1 실링 부재(150)는 물 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전자제품(10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라인(WPL)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electronic product 1000 by combining with the substrate (1100 in FIG. 6A),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contains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ter or dust. 1000) A part of the waterproof line WPL may be formed to prevent it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제1 실링 부재(150)는 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전자제품(1000)에 장착될 때 제1 하우징부(110) 및 제2 하우징부(120)와 전자제품(1000) 사이의 공간에 따라 적절히 변형됨으로써, 방수 라인(WPL)을 형성하고, 기기 내부를 밀봉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first housing unit 110 and the second housing unit 120 whe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electronic product 1000 By appropriately deforming according to the space between the and the electronic product 1000, a waterproof line WPL may be formed and the inside of the device may be sealed.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실링 부재(150)는 제2 하우징부(120)의 굴곡부(121)를 완전히 둘러쌀 수도 있다.Unlike shown in FIGS. 6A and 6B, the first sealing member 150 may completely surround the bent portion 121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120.

제3 하우징부(250)는 제2 하우징부(120)의 상면만을 덮고, 제2 하우징부(120)의 하면은 개방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하우징부(250)의 내면은 제2 하우징부(120)의 상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용접, 접합 등의 공정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housing unit 250 may be formed to cover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unit 120 and to ope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unit 120.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housing unit 250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unit 120 and may be coupled through processes such as welding and bonding.

또한, 제3 하우징부(130)는 커넥터부(200)의 제2 커넥터부(220)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하우징부(130)는 제2 커넥터부(220)를 완전히 덮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housing unit 13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second connector unit 220 of the connector unit 200. Accordingly, the third housing unit 130 may be formed long enough to completely cover the second connector unit 220.

도 2b에 나타난 것처럼, 제3 하우징부(250)가 제2 하우징부(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하우징부(120)의 하면 및 커넥터부(200)의 제2 커넥터부(220)의 하면은 노출되며, 제2 실링 부재(260)의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B, in a state in which the third housing unit 250 is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unit 120,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unit 120 and the second connector unit 220 of the connector unit 200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is exposed, and a part of the second sealing member 260 may also be exposed.

제3 하우징부(250)는 기판과 결합되는 결합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51)는 제3 하우징부(25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커넥터 어셈블리와 기판 사이를 결합시킬 수 있다.The third housing part 250 may include a coupling part 251 coupled to a substrate. The coupling part 251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third housing part 250 to couple the connector assembly and the substrate.

제3 하우징부(250)는 금속물질을 포함하며, 사출, 판금, 벤딩 등의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hird housing unit 250 includes a metal material and may be formed using a process such as injection, sheet metal, or bend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실링 부재(260)는 제2 하우징부(120)의 일측을 밀봉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260)는 제1 커넥터부(210)와 제2 커넥터부(22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ealing member 260 may seal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part 120. The second sealing member 26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part 210 and the second connector part 220.

제2 실링 부재(260)는 제2 하우징부(120)와 제1 하우징부(110)이 오버랩되는 일측(즉, 플러그 커넥터가 인입되는 부분)이 아닌 타측에 형성되어, 제2 하우징부(120)와 커넥터부(200) 사이의 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The second sealing member 26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part 120 and the first housing part 110, not on one side where the second housing part 120 and the first housing part 110 overlap (that is, a part into which the plug connector is inserted). ) And the space between the connector part 200 may be filled.

이를 통해, 제1 하우징부(110)과 커넥터부(200)의 사이 공간으로 이물질이 침투해 들어오는 것을 막고, 상기 제2 하우징부(120)의 내측과 상기 제2 실링 부재(260)의 일 면을 따라 방수 라인(도 6a의 WPL)을 형성할 수 있다.Through this, foreign matters are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housing part 110 and the connector part 200,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part 120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member 260 A waterproof line (WPL of FIG. 6A) may be formed along the line.

제2 실링 부재(350)는 포팅(potting)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포팅액은 플라스틱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sealing member 350 may be formed by a potting process. Here, the potting solution may be a plastic resin or an epoxy resi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쉴드 플레이트(140)는 제3 하우징부(250)의 일측을 덮을 수 있다. 쉴드 플레이트(140)는 제2 하우징부(120) 및 제3 하우징부(250)의 일측을 완전히 덮고, 커넥터 어셈블리의 EMI를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shield plate 140 may cover one side of the third housing part 250. The shield plate 140 may completely cover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unit 120 and the third housing unit 250 and perform a function of shielding EMI of the connector assembl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10: 제1 하우징부 120: 제2 하우징부
150 제1 실링 부재 200: 커넥터부
250: 제3 하우징부 260: 제2 실링 부재
300: 쉴드 플레이트
110: first housing part 120: second housing part
150 first sealing member 200: connector part
250: third housing part 260: second sealing member
300: shield plate

Claims (12)

연결단자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와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부를 둘러싸고, 삽입구를 통해 상기 연결단자부를 노출하는 제1 하우징부로, 상기 제1 하우징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돌기부를 경계로 정의된 상기 삽입구 측의 제1 부분과, 타측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부;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상기 제2 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돌기부와 그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맞닿도록 상기 제1 하우징부에 고정되는 제2 하우징부;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상기 제1 부분을 둘러싸는 제1 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상기 돌기부의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connector portion including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A first housing portion fix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portion to surround the connector portion and expose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through an insertion hole, wherein the first hous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 side defined as a boundary with a protrusion formed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 A first hous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 portion of the other side;
A second housing portion surround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and fixed to the first housing portion so that the protrusion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but; And
And a first sealing member surrounding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part,
The second housing part includes a bent part protruding from a contact surface of the protrusion part of the first housing part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ar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돌기부의 표면, 및 상기 굴곡부의 내측면과 모두 접촉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eal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both a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an inn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상기 돌기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상기 굴곡부의 접촉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 contact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상기 굴곡부와, 상기 돌기부의 표면으로 정의되는 트렌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4,
A trench defined by the curved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and the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The first sealing member is a connector assembly filling the trenc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일측을 밀봉하는 제2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or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ealing member sealing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상면만을 덮고, 하면은 개방시키는 제3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third housing portion covering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and opening the lower surface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심리스(seamless) 구조로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housing portion is a connector assembly formed in a seamless (seamless) structure.
연결단자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와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부를 둘러싸고, 삽입구를 통해 상기 연결단자부를 노출하는 제1 하우징부로, 상기 제1 하우징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부;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외주면의 일부를 둘러싸고 나머지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하우징부로, 곡면으로 형성된 일단이 상기 돌기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 하우징부에 고정되는 제2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일단을 둘러싸는 제1 실링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상기 돌기부의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부의 돌기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일단과 모두 접촉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connector portion including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A first housing part fix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part to surround the connector part and expose the connection terminal part through an insertion hole, the first housing part including a protrusion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econd housing part surrounding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part and exposing the remaining part, a second housing part having one end formed in a curv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and fixed to the first housing part; And
Including a first sealing member surrounding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exposed by the second housing portion,
The second housing portion includes a bent portion protruding from a contact surface of the protrusion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The first sealing member is a connector assembly in contact with both the protrusion of the first housing and one end of the second housing.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의 곡면은 기울기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9,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portion in which a slope of the curved portion continuously change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일측을 밀봉하는 제2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9,
A connector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ealing member sealing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part.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전면부에 방수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부에 방수 라인을 형성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sealing member forms a waterproof lin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The second sealing member is a connector assembly that forms a waterproof line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KR1020170030469A 2017-03-10 2017-03-10 Connector assembly Active KR1022100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469A KR102210023B1 (en) 2017-03-10 2017-03-10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469A KR102210023B1 (en) 2017-03-10 2017-03-10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472A KR20180103472A (en) 2018-09-19
KR102210023B1 true KR102210023B1 (en) 2021-02-01

Family

ID=63718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469A Active KR102210023B1 (en) 2017-03-10 2017-03-10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0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1164B2 (en) 2021-08-13 2023-11-07 Chant Sincere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7812B2 (en) * 2018-10-26 2022-07-2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s and electronic devices
CN109768428B (en) * 2019-03-14 2024-04-16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Electric connector
CN116191104A (en) * 2021-11-26 2023-05-30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Electric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231219U (en) * 2011-09-09 2012-05-23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Electric connector
US20140302709A1 (en) * 2013-04-08 2014-10-0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US9379478B2 (en) 2012-10-15 2016-06-28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A.R.L. Electrical connector
US9444177B2 (en) 2014-12-19 2016-09-13 Advanced-Connectek Inc. Waterproof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504A (en) * 2010-03-03 2013-02-07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루 덴시 Connector and connection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KR20160025430A (en) * 2014-08-27 2016-03-08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KR20160042752A (en) * 2014-10-10 2016-04-20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231219U (en) * 2011-09-09 2012-05-23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Electric connector
US9379478B2 (en) 2012-10-15 2016-06-28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A.R.L. Electrical connector
US20140302709A1 (en) * 2013-04-08 2014-10-0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US9281608B2 (en) 2013-04-08 2016-03-0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US9444177B2 (en) 2014-12-19 2016-09-13 Advanced-Connectek Inc. Waterproof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1164B2 (en) 2021-08-13 2023-11-07 Chant Sincere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TWI827963B (en) * 2021-08-13 2024-01-01 詮欣股份有限公司 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472A (en)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0778B1 (en) Connector for waterproof
KR101851997B1 (en) Waterproof connection apparatus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US9935393B2 (en) Waterproof connector
KR102210023B1 (en) Connector assembly
US989345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ongue portion extending beyond a metallic shell
CN108242645A (en) Socket connector and camera unit
US10367309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10446972B2 (en) Electrical connector
WO2016163141A1 (en) Connector
CN107112704A (en) The manufacture method and connector of connector
CN108258496A (en) Socket connector and connector
TWI621308B (en) Waterproof connector assembly
US10367293B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8045792A (en) Connectors and connector units
KR101886694B1 (en) Waterproof connector
US9455511B1 (en) Circuit board connecting device
KR102583336B1 (en) Connector assembly
US11056823B2 (en) Electric connector
KR102319021B1 (en) Receptacle connector
KR102652498B1 (en) Waterproof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80083406A1 (en) Sealed corrosion-resistant contacts
JP2008060163A (en) Shield 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2397522B1 (en) Connector assembly
US10334732B2 (en) Area-efficient connections to SIP modu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9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3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