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749B1 -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9749B1 KR102209749B1 KR1020190143173A KR20190143173A KR102209749B1 KR 102209749 B1 KR102209749 B1 KR 102209749B1 KR 1020190143173 A KR1020190143173 A KR 1020190143173A KR 20190143173 A KR20190143173 A KR 20190143173A KR 102209749 B1 KR102209749 B1 KR 1022097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me history
- earthquake
- interest
- response spectrum
- poi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1—Measuring or predicting earthquakes
-
- G01V1/008—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진가속도 시간이력을 생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진가속도 시간이력을 생성하는 다른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의 구조물 및 지진 관측소 간의 평면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의 구조물 및 지진 관측소 간의 종단면과 지진가속도 응답스펙트럼 및 시간이력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의 구조물 및 지진 관측소의 위치에서 지진가속도 시간이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의 구조물 및 지진 관측소의 위치에서 응답스펙트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생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10 : 선별부 120 : 수집부
130 : 측정부 140 : 처리부
Claims (12)
- 지진의 발생에 연동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관심 지점과의 이격 거리에 따라, n개(상기 n은 3이상의 자연수)의 관측소를, 상기 관심 지점과 가장 가까운 최근접 관측소를 적어도 포함하여 선별하는 단계;
선별된 상기 n개의 관측소로부터, 상기 지진에 따른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지점에서의 응답스펙트럼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최근접 관측소에서 계측된 시간이력 형상과 위상 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응답스펙트럼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스펙트럼의 조정에 따라, 상기 관심 지점에 대한 지진가속도 시간이력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스펙트럼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진이 발생한 진앙과 상기 관심지점 사이 내에서, 상기 최근접 관측소가 식별되는 경우라면, 상기 관심지점에서의 시간이력에 관한 그래프가, 상기 최근접 관측소에서의 시간이력에 관한 그래프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최대값과 긴 주기의 파형을 갖도록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진이 발생한 진앙과 상기 관심지점 사이 밖에서, 상기 최근접 관측소가 식별되는 경우라면, 상기 관심지점에서의 시간이력에 관한 그래프가, 상기 최근접 관측소에서의 시간이력에 관한 그래프 보다, 상대적으로 큰 최대값과 짧은 주기의 파형을 갖도록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생성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생성 방법은,
상기 관측소로부터 수집된 n개의 계측 데이터 각각을 응답스펙트럼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상기 복수의 응답스펙트럼을 산술 평균하여, 상기 관심 지점에서의 응답스펙트럼을 추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생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생성 방법은,
상기 최근접 관측소로부터 응답스펙트럼을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상기 응답스펙트럼을, 상기 최근접 관측소와 상기 관심 지점 간의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선형적으로 변형하여, 상기 관심 지점에서의 응답스펙트럼을 추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생성 방법. - 지진의 발생에 연동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관심 지점과의 이격 거리에 따라, n개(상기 n은 3이상의 자연수)의 관측소를, 상기 관심 지점과 가장 가까운 최근접 관측소를 적어도 포함하여 선별하는 선별부;
선별된 상기 n개의 관측소로부터, 상기 지진에 따른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지점에서의 응답스펙트럼을 추정하는 추정부; 및
상기 최근접 관측소에서 계측된 시간이력 형상과 위상 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응답스펙트럼을 조정하고, 상기 응답스펙트럼의 조정에 따라, 상기 관심 지점에 대한 지진가속도 시간이력을 생성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지진이 발생한 진앙과 상기 관심지점 사이 내에서, 상기 최근접 관측소가 식별되는 경우라면, 상기 관심지점에서의 시간이력에 관한 그래프가, 상기 최근접 관측소에서의 시간이력에 관한 그래프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최대값과 긴 주기의 파형을 갖도록 조정하고,
상기 지진이 발생한 진앙과 상기 관심지점 사이 밖에서, 상기 최근접 관측소가 식별되는 경우라면, 상기 관심지점에서의 시간이력에 관한 그래프가, 상기 최근접 관측소에서의 시간이력에 관한 그래프 보다, 상대적으로 큰 최대값과 짧은 주기의 파형을 갖도록 조정하는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생성 장치. - 삭제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상기 관측소로부터 수집된 n개의 계측 데이터 각각을 응답스펙트럼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복수의 응답스펙트럼을 산술 평균하여, 상기 관심 지점에서의 응답스펙트럼을 추정하는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생성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에 의해, 상기 n개의 관측소 중, 상기 관심 지점과 가장 가까운 최근접 관측소로부터 응답스펙트럼을 수집 함에 따라,
상기 추정부는,
수집된 상기 응답스펙트럼을, 상기 최근접 관측소와 상기 관심 지점 간의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선형적으로 변형하여, 상기 관심 지점에서의 응답스펙트럼을 추정하는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생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3173A KR102209749B1 (ko) | 2019-11-11 | 2019-11-11 |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생성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3173A KR102209749B1 (ko) | 2019-11-11 | 2019-11-11 |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생성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9749B1 true KR102209749B1 (ko) | 2021-01-29 |
Family
ID=7423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3173A Active KR102209749B1 (ko) | 2019-11-11 | 2019-11-11 |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생성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9749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5233B1 (ko) * | 2021-12-23 | 2022-08-24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실시간 지진동 모니터링용 qscd20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220131619A (ko) * | 2021-03-22 | 2022-09-29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캐비닛 내부 응답 스펙트럼 도출 시스템 및 방법 |
CN115951396A (zh) * | 2022-12-30 | 2023-04-11 | 北京建筑大学 | 地震动记录数据的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6882036A (zh) * | 2023-09-07 | 2023-10-13 | 清华大学 | 一种拱坝的地震响应分析处理方法及装置 |
KR20240087155A (ko) * | 2022-12-12 | 2024-06-19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학습모델을 이용한 시간이력 추정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5169A (ko) * | 2009-08-07 | 2011-02-15 | 한국전력공사 | 지진파형의 시간영역 부지응답특성 변환을 통한 인접부지의 지진동세기추정시스템 및 그 추정방법 |
KR20180095372A (ko) * | 2017-02-17 | 2018-08-27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구조물 지진 안전성 평가 장치 및 구조물 지진 안전성 평가 방법 |
KR101983478B1 (ko) * | 2017-12-06 | 2019-09-03 | 재단법인 국토교통연구인프라운영원 | 교량의 안전성 평가 장치 및 방법 |
-
2019
- 2019-11-11 KR KR1020190143173A patent/KR10220974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5169A (ko) * | 2009-08-07 | 2011-02-15 | 한국전력공사 | 지진파형의 시간영역 부지응답특성 변환을 통한 인접부지의 지진동세기추정시스템 및 그 추정방법 |
KR20180095372A (ko) * | 2017-02-17 | 2018-08-27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구조물 지진 안전성 평가 장치 및 구조물 지진 안전성 평가 방법 |
KR101983478B1 (ko) * | 2017-12-06 | 2019-09-03 | 재단법인 국토교통연구인프라운영원 | 교량의 안전성 평가 장치 및 방법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31619A (ko) * | 2021-03-22 | 2022-09-29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캐비닛 내부 응답 스펙트럼 도출 시스템 및 방법 |
KR102579262B1 (ko) * | 2021-03-22 | 2023-09-18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캐비닛 내부 응답 스펙트럼 도출 시스템 및 방법 |
KR102435233B1 (ko) * | 2021-12-23 | 2022-08-24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실시간 지진동 모니터링용 qscd20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240087155A (ko) * | 2022-12-12 | 2024-06-19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학습모델을 이용한 시간이력 추정 장치 및 방법 |
KR102754757B1 (ko) | 2022-12-12 | 2025-01-13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학습모델을 이용한 시간이력 추정 장치 및 방법 |
CN115951396A (zh) * | 2022-12-30 | 2023-04-11 | 北京建筑大学 | 地震动记录数据的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5951396B (zh) * | 2022-12-30 | 2024-02-20 | 北京建筑大学 | 地震动记录数据的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6882036A (zh) * | 2023-09-07 | 2023-10-13 | 清华大学 | 一种拱坝的地震响应分析处理方法及装置 |
CN116882036B (zh) * | 2023-09-07 | 2023-12-19 | 清华大学 | 一种拱坝的地震响应分析处理方法及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9749B1 (ko) |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생성 방법 및 장치 | |
US857762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modal identification using smart mobile sensors | |
Ellsworth et al. | Near-field ground motion of the 2002 Denali fault, Alaska, earthquake recorded at pump station 10 | |
JP3952851B2 (ja) | 建物の耐震性能評価方法及び装置 | |
Hwang et al. | Wind load identification using wind tunnel test data by inverse analysis | |
JP6902614B2 (ja) | 内部構造把握システム | |
JP6001740B1 (ja) | 構造物の伝達関数の高精度評価・地震応答予測・劣化診断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 |
KR20150035633A (ko) | 지진측정장치 및 지진측정방법 | |
EP2947445B1 (en) | Method for correcting representative displacement waveform, and method for evaluating residual seismic perfromance of building | |
KR20170052271A (ko) | 진동 가속도와 변위 계측 기반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 |
JP2849297B2 (ja) | 震度予測システム | |
Zini et al. | Frequency vs time domain identification of heritage structures | |
JP3925910B2 (ja) | 常時微動計測に基づく建物の健全性診断法 | |
KR102435436B1 (ko) | 현장용 지진 관측 자료 검증 장치 및 방법 | |
Chandler et al. | An attenuation model for distant earthquakes | |
KR101922176B1 (ko) | 브릿지 구조의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 | |
CN103376465B (zh) | 建筑物楼层的地震即时分析系统及其方法 | |
JP4721324B2 (ja) | 加速度センサを用いる地盤等の変位モニタリング方法 | |
EP3992939B1 (en) | Vehicle information estimation system, vehicle information estim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JP2006194619A (ja) | リアルタイム地震情報を利用したリアルタイム地震応答波形推定方法 | |
JP5313706B2 (ja) | 地震動波形推定方法 | |
JP7487054B2 (ja) | 地震動評価モデル生成方法、地震動評価モデル生成装置、地震動評価方法、及び、地震動評価装置 | |
Zhang et al. | Integration of High-Rate GNSS and Strong Motion Record Based on Sage–Husa Kalman Filter with Adaptive Estimation of Strong Motion Acceleration Noise Uncertainty | |
JP2006275696A (ja) | 早期地震諸元推定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 |
KR101111685B1 (ko) | 파동장의 축적 에너지를 이용한 지하구조 영상화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