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9274B1 -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작업 모형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작업 모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274B1
KR102209274B1 KR1020200070975A KR20200070975A KR102209274B1 KR 102209274 B1 KR102209274 B1 KR 102209274B1 KR 1020200070975 A KR1020200070975 A KR 1020200070975A KR 20200070975 A KR20200070975 A KR 20200070975A KR 102209274 B1 KR102209274 B1 KR 102209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diameter
press
groove
fit
outer periphe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석
권미경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이젠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젠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젠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0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2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 모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는 모형 바디에 압입되는 돌기를 마련하여, 별도의 체결부재 또는 접착제 없이 모형 바디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돌기는 모형 바디의 내주면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작업 모형{Lab analog for an implant and model of wor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작업 모형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란, 보철물을 유지 및 지지하기 위하여 골조직 내부등의 구강 조직에 매식되는 보철 장치로서,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임플란트는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등으로 만든 인공치근을 치조골에 심어 골 융합시킨 뒤 인공 치아를 연결하여 치아 본연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임플란트에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츄어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대주 및 상기 지대주를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시키는 체결 나사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은 픽스츄어를 턱뼈에 식립하는 1차 시술이 이루어지고, 약 3개월 내지 6개월 정도의 긴 시간을 기다린 후에 최종 보철물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턱뼈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는 임플란트의 하부 구조물로서 일반적으로 나사 형상을 가지며 턱뼈에 대한 식립 위치(높이)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픽스츄어는 환자별 구강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제작되어, 턱뼈에 식립될 수 있다.
픽스츄어의 상측에는,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이 결합된다. 상기 상부 구조물에는,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지대주(abutmet)와, 상기 지대주의 외측에 결합되며 이빨 형상을 가지는 보철물(crown) 및 상기 지대주와 보철물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보철물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커넥터와 같은 부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대주, 보철물 또는 커넥터와 같은 부품은 환자의 구강 환경(형상, 잇몸의 상태, 이빨의 배열)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지대주 및 보철물등을 제작함에 있어, 환자의 구강을 인상채득하고 석고등을 이용하여 작업모형을 제작하는 방식이 활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작업모형의 제작이 번거롭고 디자인 단계의 임플란트 형상(또는 크기)과 실제 제작된 임플란트 형상이 불일치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잘못 디자인된 임플란트 부품이 환자에 식립되면, 임플란트가 구강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다시 식립 수술을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디지털 구강 광학스캐너를 이용하여 구강 내부의 3차원 형상을 스캐닝 하고, 상기 스캐닝된 데이터를 CAD/CAM 소프트 웨어로 전송하여 상기 소프트 웨어내에서 보철물을 디자인 한다. 그리고,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상태를 구현한 모형 바디를 제작하고 상기 모형 바디에 랩 아나로그를 결합하여 작업 모형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랩 아나로그는 픽스츄어의 내부구조와 동일하면서 외형을 단순하게 제작하여 픽스츄어를 대신하는 부품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기공소에서는 상기 랩 아나로그가 구비되는 작업 모형을 이용하여 환자의 잇몸에 식재되어 있는 픽스츄어와 동일한 조건을 구현함으로써, 지대주 및 보철물을 제작 가공할 수 있다.
상기 3D 프린터로 제작된 모형 바디에 랩 아나로그를 결합할 때, 픽스츄어의 결합정보, 즉 결합깊이, 결합방향 및 픽스츄어의 단면방향(회전방지용)의 정보를 정확하게 유지하면서 결합이 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모형 바디에 랩 아나로그를 결합할 때 나사를 이용한 체결 방식을 이용하는 데 이러한 방식의 경우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증가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모형 바디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나타난다.
그리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랩 아나로그를 모형 바디에 결합하고자 할 경우, 랩 아나로그와 모형 바디 사이의 접착층을 구현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랩 아나로그의 결합과정에서 정확도가 낮아져서, 상기 픽스츄어의 결합정보를 정확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선행기술의 문헌정보는 아래와 같다.
1. 한국 등록특허 공보 : 10-1732466 (2017년 4월 26일)
2. 발명의 명칭 : 임플란트용 디지털 모델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형 바디의 내면에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는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압입 및 록킹 구조에 의하여 모형 바디에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별도의 체결부재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랩 아나로그를 모형 바디에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는 모형 바디에 압입되는 돌기를 마련하여, 별도의 체결부재 또는 접착제 없이 모형 바디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돌기는 모형 바디의 내주면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기는 랩 아나로그의 중앙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형 바디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는 가로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부를 포함하여, 모형 바디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랩 아나로그는 상기 모형 바디의 단차진 지지부에 안착되는 턱이 구비되어 픽스츄어의 식립깊이에 관한 정보를 일치시킬 수 있다.
상기 랩 아나로그는 원통 형상의 외주면을 가지는 중간부를 포함하여, 픽스츄어의 식립방향에 관한 정보를 일치시킬 수 있다.
상기 랩 아나로그는 내부의 회전방지부의 일면과 하부의 단면을 평행하게 형성하고 상기 면들이 모형 바디의 내부와 밀착됨으로써, 픽스츄어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각면(일례로, 육각면)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일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는 모형 바디에 결합되는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로서, 다각면의 회전방지부를 형성하는 내면부를 가지는 원통형의 상부; 상기 상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1 외주부 및 상기 제 1 외주부의 좌우방향 양측에 평면으로 구비되는 제 1 측면부를 포함하는 중간부; 상기 상부와 중간부 사이의 경계에서 단차지게 구비되며, 상기 모형 바디의 내면에 구비되는 턱 지지부에 놓여지는 턱; 상기 중간부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간부의 좌우방향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홈부; 상기 홈부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홈부의 좌우방향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하부; 및 상기 중간부 또는 상기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모형 바디의 내면에 형성된 본체 함몰부에 압입되는 압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부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2 외주부 및 상기 제 2 외주부의 좌우방향 양측에 평면으로 구비되는 제 2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측면부 및 상기 제 2 측면부는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3 외주부 및 상기 제 3 외주부의 좌우방향 양측에 평면으로 구비되는 제 3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측면부는, 상기 제 1,2 측면부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각면의 회전방지부 중 어느 일면은, 상기 제 3 측면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픽스츄어의 식립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중간부의 제 1 측면부는, 상기 턱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중간부; 상기 제 1 중간부로부터 하방으로 외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연장되는 제 2 중간부; 및 상기 제 2 중간부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홈부에 연결되는 제 3 중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입부는 상기 제 1 중간부에서 돌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압입부에서의 좌우방향 외경은 상기 제 1 중간부의 좌우방향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의 내면부에는 지대주의 스크류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은 상기 회전방지부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입부는 상기 하부의 제 3 외주부 중 상단에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에는, 잇몸의 높이에 대응하는 부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주 홈이 형성되며, 상기 원주 홈은 상기 상부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를 형성하며, 본체 함몰부가 함몰 형성되는 내면을 가지는 모형 바디; 및 상기 모형 바디의 삽입부를 통하여 상기 내면에 압입되는 랩 아나로그를 포함하며, 상기 랩 아나로그는, 다각면의 회전방지부를 형성하는 내면부를 가지는 원통형의 상부; 상기 상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1 외주부 및 상기 제 1 외주부의 좌우방향 양측에 평면으로 구비되는 제 1 측면부를 포함하는 중간부; 상기 상부와 중간부 사이의 경계에서 단차지게 구비되는 턱; 상기 중간부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제 2 외주부 및 상기 제 2 외주부 양측의 제 2 측면부를 가지는 홈부; 상기 홈부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제 3 외주부 및 상기 제 3 외주부 양측의 제 3 측면부를 가지는 하부; 및 상기 중간부 또는 상기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함몰부에 압입되는 압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형 바디의 내면에는 상기 턱을 지지하는 턱 지지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턱은 상기 턱 지지부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압입부는 상기 중간부의 제 1 측면부에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입부는 상기 하부의 제 3 외주부 상단에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랩 아나로그는 압입 및 록킹 구조에 의하여 모형 바디에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체결부재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랩 아나로그를 모형 바디에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랩 아나로그가 모형 바디의 내부에서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바, 픽스츄어의 식립깊이, 식립방향 및 내부 다각면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일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업 모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업 모형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나로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4-4'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5-5'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6-6'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7-7'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나로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나로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나로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11-11'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12-1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업 모형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나로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업모형을 절개하여 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업모형을 절개하여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17-17'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18-18'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나로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나로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나로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22-2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23-23'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업 모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업 모형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나로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업 모형(1)은 랩 아나로그(100)의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모형 바디(10) 및 상기 모형 바디(10)에 삽입되는 랩 아나로그(100)를 포함한다.
상기 모형 바디(10)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상태를 구현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보여지는 모형 바디(10)는 작업 모형 중, 상기 랩 아나로그(100)가 삽입되는 일부분의 구성을 보여준다.
상기 모형 바디(10)는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 계열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형 바디(10)는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랩 아나로그(100)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형 바디(10)는 상기 랩 아나로그(10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40) 및 상기 함몰부(40)의 하단부로 정의되며 상기 랩 아나로그(100)가 삽입되는 삽입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랩 아나로그(100)는 상기 모형 바디(10)보다 강한 메탈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랩 아나로그(1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랩 아나로그(100)는 원통형의 상부(110)와, 상기 상부(11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중간부(130) 및 상기 중간부(13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홈부(160) 및 상기 홈부(16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1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110)는 원통 형상의 외주면을 가지는 상부 본체(111) 및 상기 상부 본체(111)의 내면을 형성하며 지대주가 삽입되는 내면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내면부(112)는 상기 지대주의 안정적인 체결을 위하여 하방으로 내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면부(112)에는 회전방지부(113)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방지부(113)는 픽스츄어의 회전 방지부를 구현한 부분으로써 지대주의 체결시 회전을 방지하는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113)는 다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방지부(113)는 육각면 또는 팔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113)의 제 1 면은 상기 하부(150)의 제 3 측면부(150b)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150)의 제 3 측면부(150b)는 상기 모형 바디(10)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픽스츄어의 회전 방지부의 방향이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상부(110)는 원주 방향으로 링 형상을 가지도록 함몰되는 원주 홈(115)을 형성한다. 상기 원주 홈(115)은 상기 상부 본체(111)의 대략 중앙 높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며, 잇몸의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인지하기 위한 홈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랩 아나로그(100)는 상기 모형 바디(10)의 내부에 상기 원주 홈(115)이 노출되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삽입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원주 홈(115)은 상기 본체부(20)의 삽입부(30) 하측에 위치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랩 아나로그(100)는 종래의 작업모형의 제작방식, 즉 환자의 구강을 인상채득후 석고를 부어 굳혀 만든 작업모형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원주 홈(115)은 석고의 작업모형에 최소한으로 삽입되어야 하는 인지성을 부여하기 위한 홈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30)는 상기 상부(1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110)와 상기 중간부(130)의 사이에는 제 1 턱(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30)는 상기 상부(110)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단차진 부분에 상기 제 1 턱(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턱(120)은 상기 상부(11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30)의 외경은 상기 단차진 부분만큼 상기 상부(11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턱(120)은 상기 중간부(130)의 양 측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모형 바디(10)의 턱 지지부(51, 도 6 참조)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30)는 상기 상부 본체(111)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 1 외주부(130a) 및 상기 제 1 외주부(130a)의 양측에 구비되며 평면을 형성하는 제 1 측면부(130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외주부(130a)는 상기 중간부(13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중간부(131)에서 제 2 중간부(132)를 거쳐 상기 제 3 중간부(133)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외주부(130a)는 픽스츄어의 식립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부(130b)는 상기 제 1 턱(12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30)는 상기 제 1 측면부(130b)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턱(120)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 1 중간부(131)와, 상기 제 1 중간부(131)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증간부(132) 및 상기 제 2 중간부(132)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 3 중간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중간부(132)는 상기 중간부(130)의 측방향(좌우방향) 외경이 감소하도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중간부(130)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 2 중간부(132)는 하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 2 중간부(132)가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랩 아나로그(100)는 상기 모형 바디(10)에 미끄러지듯이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30)의 제 1 측면부(130b)는 상기 제 1 중간부(131)와 상기 제 2 중간부(132) 사이에 구비되는 압입부(13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압입부(135)는 상기 모형 바디(10)의 내면에 압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랩 아나로그(100)가 상기 모형 바디(10)에 결합될 때 가장 강한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압입부(135)의 측방향 외경은 상기 제 1 중간부(131)의 측방향 외경 및 상기 제 2 중간부(132)의 측방향 외경보다 각각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160)는 상기 중간부(130)에서 하방으로 단차지게 연장된다. 상기 중간부(130)의 하단부는 제 2 턱(138)을 형성한다.
상기 홈부(160)는 상기 제 2 턱(138)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홈부(160)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2 외주부(160a) 및 및 상기 제 2 외주부(160a)의 양측에 구비되며 평면을 형성하는 제 2 측면부(160b)를 포함한다.
상기 홈부(160)의 측방향 외경은 상기 제 3 중간부(133)의 측방향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부(160)의 전후방향 외경은 상기 중간부(130)의 전후방향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된 형상의 홈부(160)에 의하여, 상기 홈부(16)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모형 바디(100)의 내면에 살짝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랩 아나로그(100)는 종래의 작업모형의 제작방식, 즉 환자의 구강을 인상채득후 석고를 부어 굳혀 만든 작업모형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홈부(160)는 석고의 작업모형에 고정되는 홈으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150)는 상기 홈부(160)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150)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3 외주부(150a) 및 및 상기 제 3 외주부(150a)의 양측에 구비되며 평면을 형성하는 제 3 측면부(150b)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방지부(113)의 제 1 면은 상기 하부(150)의 제 3 측면부(150b)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픽스츄어의 내부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의 방향이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상기 하부(150)의 측방향 외경은 상기 홈부(160)의 측방향 외경과 동일하며, 상기 하부(150)의 전후방향 외경은 상기 홈부(160)의 전후방향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4-4'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5-5'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6-6'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7-7'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나로그(100)는 모형 바디(10)에 삽입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모형 바디(10)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20)의 상단부는 함몰부(40)를 형성하며, 상기 함몰부(40)의 하측으로 상기 랩 아나로그(100)가 삽입되는 삽입부(30)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부(20)의 내면은 다수 회 단차지게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본체부(20)의 내면은 상기 랩 아나로그(100)의 제 1 턱(120)이 지지되는 턱 지지부(5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삽입부(30)로부터 상기 턱 지지부(51)까지 동일한 내경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부(20)의 내면은 상기 턱 지지부(51)에서 내경이 축소하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의 내면은 상기 턱 지지부(51)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랩 아나로그(100)의 압입부(135)가 결합되는 본체 함몰부(25)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 함몰부(25)는 상기 압입부(135)가 압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압입부(135)의 돌출 길이만큼 함몰되며, 일례로 쐐기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압입부(135)가 상기 본체 함몰부(25)에 압입되는 구성에 의하여, 상기 랩 아나로그(100)는 상기 모형 바디(10)의 내면에 밀착되며, 상기 랩 아나로그(100)와 상기 모형 바디(10) 사이의 틈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랩 아나로그(100)가 상기 모형 바디(10)에 삽입하여 상기 압입부(135)의 고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랩 아나로그(100)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의 내면은 상기 본체 함몰부(25)의 하측에 이격하여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130)의 하단부, 즉 상기 홈부(160)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제 1 단차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의 내면은 상기 제 1 단차부(52)의 하측에 이격하여 형성되며, 상기 홈부(160)의 하단부, 즉 상기 하부(150)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제 2 단차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의 내면은 상기 랩 아나로그(100)의 하부(150)가 지지되는 하단부(54)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부(54)는 상기 제 2 단차부(53)의 하측에 이격하여 위치되며, 상기 모형 바디(10)의 내부 하단을 형성한다.
상기 랩 아나로그(100)의 내면부(112)에는 지대주의 스크류가 체결되는 나사산(1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118)은 상기 회전 방지부(113)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나로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나로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나로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11-11'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12-1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나로그(100)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부(110)와, 중간부(130), 홈부(160) 및 하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11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둘레에는 잇몸의 높이를 인지하는 기준선으로 작용하는 원주 홈(115)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부(130)는 상기 상부(110)의 하단부에서 단차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110)와 상기 중간부(1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단차진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모형 바디(10)의 턱 지지부(51)에 지지되는 턱(120)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부(130)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 1 외주부(130a) 및 상기 제 1 외주부(130a)의 양측에 구비되며 평면을 형성하는 2개의 제 1 측면부(130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측면부(130b)는 원통 형상의 제 1 중간부(131) 및 상기 제 1 중간부(131)에 구비되는 압입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압입부(135)는 상기 제 1 중간부(131)의 하단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부(130b)는 상기 압입부(135)에서 외경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중간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중간부(132)의 테이퍼진 구성에 의하여, 상기 랩 아나로그(100)의 모형 바디(10)로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부(130b)는 상기 제 2 중간부(132)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3 중간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홈부(160)는 상기 제 3 중간부(133)의 하단부에서 단차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160)의 외경은 상기 제 3 중간부(133)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160)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2 외주부(160a) 및 및 상기 제 2 외주부(160a)의 양측에 구비되며 평면을 형성하는 제 2 측면부(160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측면부(160b)는 상기 제 1 측면부(130b)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150)는 상기 홈부(160)의 하단부에서 단차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150)의 외경은 상기 홈부(15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150)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3 외주부(150a) 및 및 상기 제 3 외주부(150a)의 양측에 구비되며 평면을 형성하는 제 3 측면부(150b)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측면부(150b)는 상기 제 1,2 측면부(130b,160b)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부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업 모형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나로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업모형을 절개하여 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업모형을 절개하여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3의 17-17'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3의 18-18'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나로그(100a)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랩 아나로그(100a)는 원통형의 상부(110)와, 상기 상부(11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중간부(130) 및 상기 중간부(13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홈부(160) 및 상기 홈부(16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110)는 원통 형상의 외주면을 가지는 상부 본체(111)와, 상기 상부 본체(111)의 내면을 형성하며 지대주가 삽입되는 내면부(112) 및 회전방지부(1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110)는 원주 방향으로 함몰되는 원주 홈(115)을 형성한다. 이들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중간부(130)는 상기 상부(1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110)와 상기 중간부(130)의 사이에는 제 1 턱(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30)는 상기 상부(110)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단차진 부분에 상기 제 1 턱(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30)의 외경은 상기 단차진 부분만큼 상기 상부(11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턱(120)은 상기 중간부(130)의 양 측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모형 바디(10)의 턱 지지부(51, 도 17 참조)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30)는 상기 상부 본체(111)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외주면을 형성하며 픽스츄어의 식립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제 1 외주부(130a) 및 상기 제 1 외주부(130a)의 양측에 구비되며 평면을 형성하는 제 1 측면부(130b)를 포함한다.
상기 홈부(160)는 상기 중간부(130)에서 하방으로 단차지게 연장된다. 상기 중간부(130)의 하단부는 제 2 턱(138)을 형성한다.
상기 홈부(160)는 상기 제 2 턱(138)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홈부(160)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2 외주부(160a) 및 및 상기 제 2 외주부(160a)의 양측에 구비되며 평면을 형성하는 제 2 측면부(160b)를 포함한다.
상기 홈부(160)의 측방향 외경은 상기 중간부(130)의 측방향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부(160)의 전후방향 외경은 상기 중간부(133)의 전후방향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150)는 상기 홈부(160)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150)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3 외주부(150a) 및 및 상기 제 3 외주부(150a)의 양측에 구비되며 평면을 형성하는 제 3 측면부(150b)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방지부(113)의 제 1 면은 상기 하부(150)의 제 3 측면부(150b)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픽스츄어의 내부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의 방향이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상기 하부(150)의 측방향 외경은 상기 홈부(160)의 측방향 외경과 동일하며, 상기 하부(150)의 전후방향 외경은 상기 홈부(160)의 전후방향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160)의 제 2 측면부(160b)는 상기 중간부(130)의 제 1 측면부(130b)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150)의 제 3 측면부(150b)는 상기 제 2 측면부(160b)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150)는 모형 바디(10a)에 압입되는 압입부(155)를 포함한다. 상기 압입부(155)는 상기 제 3 외주부(150a)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3 외주부(150a)의 곡률에 대응하여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모형 바디(10a)의 내면에는, 상기 하부(150)의 압입부(155)가 결합되는 본체 함몰부(25a)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 함몰부(25a)는 상기 모형 바디(10a)의 내면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압입부(155)는 상기 본체 함몰부(25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압입부(155)는 상기 본체 함몰부(25a)에 압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형 바디(10a)에 구비되는 본체부(20)의 내면은 상기 본체 함몰부(25)의 하측에 이격하여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130)의 하단부, 즉 상기 홈부(160)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제 1 단차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의 내면은 상기 제 1 단차부(52)의 하측에 이격하여 형성되며, 상기 홈부(160)의 하단부, 즉 상기 하부(150)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제 2 단차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함몰부(25a)는 상기 제 2 단차부(53)에 형성되며, 상기 압입부(155)는 상기 제 2 단차부(53)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함몰부(25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입부(155)가 상기 본체 함몰부(25a)에 압입되는 구성에 의하여, 상기 랩 아나로그(100)는 상기 모형 바디(10a)의 내면에 밀착되며, 상기 랩 아나로그(100)와 상기 모형 바디(10a) 사이의 틈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랩 아나로그(100)가 상기 모형 바디(10a)에 삽입하여 상기 압입부(155)의 고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랩 아나로그(100)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10 : 모형 바디 20 : 본체부
25,25a : 본체 함몰부 30 : 삽입부
40 : 함몰부 51 : 턱 지지부
52 : 제 1 단차부 53 : 제 2 단차부
100 : 랩 아나로그 110 : 상부
120 : 턱 130 : 중간부
135 : 압입부 150 : 하부
155 : 압입부 160 : 홈부

Claims (13)

  1. 모형 바디에 결합되는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로서,
    다각면의 회전방지부를 형성하는 내면부를 가지는 원통형의 상부;
    상기 상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1 외주부 및 상기 제 1 외주부의 좌우방향 양측에 평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외주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 1 측면부를 포함하는 중간부;
    상기 상부와 중간부 사이의 경계에서 단차지게 구비되며, 상기 모형 바디의 내면에 구비되는 턱 지지부에 놓여지는 턱;
    상기 중간부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간부의 좌우방향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홈부;
    상기 홈부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홈부의 좌우방향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하부; 및
    상기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모형 바디의 내면에 형성된 본체 함몰부에 압입되는 압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2 외주부 및 상기 제 2 외주부의 좌우방향 양측에 평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외주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 2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3 외주부 및 상기 제 3 외주부의 좌우방향 양측에 평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3 외주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 3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측면부는 상기 다각면의 회전방지부 중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측면부, 상기 제 2 측면부 및 상기 제 3 측면부는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압입부는 상기 제 1 측면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 함몰부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2 측면부 및 상기 제 3 측면부는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의 제 1 측면부는,
    상기 턱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중간부;
    상기 제 1 중간부로부터 하방으로 외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연장되는 제 2 중간부; 및
    상기 제 2 중간부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홈부에 연결되는 제 3 중간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는 상기 제 1 중간부와 상기 제 2 중간부의 경계 지점에서 돌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압입부의 외경은 상기 제 1 중간부의 좌우방향 외경 및 상기 제 2 중간부의 좌우방향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내면부에는 지대주의 스크류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은 상기 회전방지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에는, 잇몸의 높이에 대응하는 부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주 홈이 형성되며,
    상기 원주 홈은 상기 상부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10. 삽입부를 형성하며, 본체 함몰부가 함몰 형성되는 내면을 가지는 모형 바디; 및
    상기 모형 바디의 삽입부를 통하여 상기 내면에 압입되는 랩 아나로그를 포함하며,
    상기 랩 아나로그는,
    다각면의 회전방지부를 형성하는 내면부를 가지는 원통형의 상부;
    상기 상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1 외주부 및 상기 제 1 외주부의 좌우방향 양측에 평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외주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 1 측면부를 포함하는 중간부;
    상기 상부와 중간부 사이의 경계에서 단차지게 구비되는 턱;
    상기 중간부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간부의 좌우방향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홈부;
    상기 홈부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홈부의 좌우방향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하부; 및
    상기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함몰부에 압입되는 압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2 외주부 및 상기 제 2 외주부의 좌우방향 양측에 평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외주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 2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3 외주부 및 상기 제 3 외주부의 좌우방향 양측에 평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3 외주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 3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측면부는 상기 다각면의 회전방지부 중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측면부, 상기 제 2 측면부 및 상기 제 3 측면부는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압입부는 상기 제 1 측면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 함몰부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작업 모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 바디의 내면에는 상기 턱을 지지하는 턱 지지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턱은 상기 턱 지지부의 상측에 지지되는 임플란트용 작업 모형.
  12. 삭제
  13. 삭제
KR1020200070975A 2020-06-11 2020-06-11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작업 모형 Active KR102209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975A KR102209274B1 (ko) 2020-06-11 2020-06-11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작업 모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975A KR102209274B1 (ko) 2020-06-11 2020-06-11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작업 모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274B1 true KR102209274B1 (ko) 2021-01-29

Family

ID=7423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975A Active KR102209274B1 (ko) 2020-06-11 2020-06-11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작업 모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2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250B1 (ko) * 2022-04-11 2022-06-13 (주)덴탈릭스 임플란트 3d 프린팅 모형용 랩 아날로그
KR20250038252A (ko) 2023-09-11 2025-03-19 주식회사 메디덴 임플란트 작업 모형 세트
KR20250092617A (ko) 2023-12-15 2025-06-24 김승일 임플란트 작업 모형 세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121A (ja) * 2004-08-04 2006-02-16 Isao Matsuno 歯科矯正装置のブラケット取り付け治具およびブラケット付き取り付け治具。
KR20060025770A (ko) * 2004-09-17 2006-03-22 이달호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
KR20110083975A (ko) * 2010-01-15 2011-07-21 카덴트 엘티디 치과 임플란트 관련 시술에 유용한 방법, 시스템 및 액세서리
KR101273394B1 (ko) * 2013-01-09 2013-06-11 이인한 탈부착식 픽스쳐 레벨 및 어뷰트먼트 레벨 임플란트 아날로그
KR200479385Y1 (ko) * 2015-05-06 2016-01-22 주식회사 지오메디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을 위하여 사용되는 치기공용 아날로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121A (ja) * 2004-08-04 2006-02-16 Isao Matsuno 歯科矯正装置のブラケット取り付け治具およびブラケット付き取り付け治具。
KR20060025770A (ko) * 2004-09-17 2006-03-22 이달호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
KR20110083975A (ko) * 2010-01-15 2011-07-21 카덴트 엘티디 치과 임플란트 관련 시술에 유용한 방법, 시스템 및 액세서리
KR101273394B1 (ko) * 2013-01-09 2013-06-11 이인한 탈부착식 픽스쳐 레벨 및 어뷰트먼트 레벨 임플란트 아날로그
KR200479385Y1 (ko) * 2015-05-06 2016-01-22 주식회사 지오메디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을 위하여 사용되는 치기공용 아날로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250B1 (ko) * 2022-04-11 2022-06-13 (주)덴탈릭스 임플란트 3d 프린팅 모형용 랩 아날로그
KR20250038252A (ko) 2023-09-11 2025-03-19 주식회사 메디덴 임플란트 작업 모형 세트
KR20250092617A (ko) 2023-12-15 2025-06-24 김승일 임플란트 작업 모형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274B1 (ko)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작업 모형
KR101881421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US8177556B2 (en) Healing abutment and dental implant having the same
KR101214641B1 (ko)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17980B1 (ko)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KR102551331B1 (ko)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KR101538289B1 (ko)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제작을 위한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용 임플란트 구조물
KR200493678Y1 (ko) 임플란트용 힐링 어버트먼트
JP2013545511A (ja) 患者固有の歯科用フィクスチャー嵌合配置を提供する方法
CA2917769C (en) Intraoral reference body
KR20190082725A (ko) 힐링 어버트먼트
KR20200064962A (ko) 구강내 스캐닝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 방법
KR102479466B1 (ko) 치과용 스캔바디
KR101259940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107991B1 (ko) 틀니체결용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방법
KR102470652B1 (ko) 향상된 체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용 임프레션 코핑
KR101997044B1 (ko) 일체형 임플란트 및 그 제작방법
KR20180136718A (ko) 힐링 어버트먼트
KR101134062B1 (ko)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만드는 방법
CN114599312B (zh) 用于牙种植体的牙龈愈合基台
EP2787919B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 customised abutment
KR20200014558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559248B1 (ko) 픽스쳐 및 어버트먼트 사이의 결합 왜곡을 방지하기 위한 임플란트 구조체
US20140113252A1 (en) Ankylos Attachment Complex (AAC)
KR10211993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치유지대주 및 인상용캡 복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