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8658B1 - Pen of natural ventilation type - Google Patents

Pen of natural ventilation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658B1
KR102208658B1 KR1020200076368A KR20200076368A KR102208658B1 KR 102208658 B1 KR102208658 B1 KR 102208658B1 KR 1020200076368 A KR1020200076368 A KR 1020200076368A KR 20200076368 A KR20200076368 A KR 20200076368A KR 102208658 B1 KR102208658 B1 KR 102208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of
support
lower roof
livest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3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식
Original Assignee
이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식 filed Critical 이원식
Priority to KR1020200076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6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65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8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roo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ly ventilated livestock house which is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livestock, and which can reduce management costs by ventilating in a natural air circulation method compared to a conventional livestock house having a ventilation fan. The naturally ventilated livestock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vestock house body; an upper roof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vestock body; and lower roof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lower part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roof to form an air passage.

Description

자연 환기형 축사{PEN OF NATURAL VENTILATION TYPE}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PEN OF NATURAL VENTILATION TYPE}

본 발명은 자연 환기형 축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 공기 순환방식으로 환기가 이루어져 종래 환풍팬을 구비하는 축사에 비해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가축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자연 환기형 축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ly ventilated livestock house, and more particularly, ventilation is performed in a natural air circulation method, so that management costs can be reduced compared to livestock houses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ventilation fan, and a comfortable environment can be provided to livestock. It is about a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현재 많은 축산농가에서 돼지, 소, 닭 등의 가축을 사육하고 있으며, 가축은 가능한 단기간 내에 성장과 비육을 시켜 출하 하느냐에 따라 상품성이 결정된다.Currently, many livestock farms raise livestock such as pigs, cows, and chickens, and the marketability of livestock is determined by whether the livestock is grown and fattened as soon as possible and shipped.

가축이 외부 온도가 낮은 봄, 가을 및 겨울에 기온 또는 바람에 의해 추위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면역기능이 저하되거나 사료의 섭취량이 줄어들게 되어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When livestock is subjected to cold stress due to temperature or wind in spring, autumn and winter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is low, the immune function is reduced or the intake of feed is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disease.

따라서, 예전부터 가축을 축사에서 능률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눈이나 비 등과 같은 자연 기상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Therefore, since ancient times, livestock has been efficiently and safely managed in a barn and protected from natural weather such as snow or rain.

이러한 축사에는 많은 수의 가축을 한꺼번에 사육하기 때문에, 축사 내부에서 가축들의 배설물로 인한 유해 가스와 악취 등이 발생한다.Since a large number of livestock are reared in such a shed, harmful gases and odors are generated from the excrement of livestock inside the shed.

구체적으로, 축사와 같이 밀폐된 공간에 동물들이 호흡을 하게 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증가 등으로 공기의 질이 저하된다.Specifically, when animals breathe in a closed space such as a barn, air quality deteriorates due to an increase in carbon dioxide over time.

특히 협소한 공간에서 다수의 가축을 기르는 경우에 대략 5000ppm 이상의 이산화탄소 가 발생함에 따라 공기의 질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aising a large number of livestock in a confined space, more than about 5000 ppm of carbon dioxide is generated, which significantly degrades the air quality.

사람의 경우에 1500ppm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산소 부족으로 답답해지고 졸리기 시작하는 농도이고 5000ppm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위생학적 제한 농도에 해당하므로, 마찬가지로 이산화탄소의 농도의 증가는 가축의 번식력, 성장발육 그리고 건강상태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친다.In the case of human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of 1500 ppm is the concentration at which people start to feel stuffy and sleepy due to lack of oxygen, and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of 5000 ppm corresponds to the hygienic limiting concentration. It has a fatal adverse effect on the condition.

또한 가축의 번식력과 성장발육을 증진시키기 위해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 해야한다. 따라서 수시로 축사의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와 교체해 주어야 하고 온도와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In addition, proper temperature and humidity should be maintained to promote the fertility and growth of livestoc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air in the livestock with fresh outdoor air from time to time, and it is necessary to properly mainta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따라서, 축사에는 유해 가스와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켜 축사 내부를 신선한 공기로 유지하기 위한 환기장치를 설치하고 있다.Accordingly, a ventilation device for keeping the inside of the house with fresh air by discharging harmful gases and odors to the outside is installed in the house.

현재 보편화된 환기장치는 환풍팬으로써, 축사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축사의 내부로 유입시킨다.The current ventilation system is a ventilation fan, which discharges the internal air of the house to the outside and introduces fresh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of the house.

그러나, 일반적으로 축사는 매우 넓은 면적을 갖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환풍팬 및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대형으로 적용되어야 함으로, 설치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general, since the house is manufactured to have a very large area,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installation cost is incurred because a ventilating fan and a motor for rotating it must be applied in a large size.

그리고, 이와 같은 대형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전력이 요구되어 관리자에게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operate such a large motor, a lot of power is required, which places a burden on the manager.

등록특허공보 제10-1879777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7977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연 공기 순환방식으로 환기가 이루어져 종래 환풍팬을 구비하는 축사에 비해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가축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자연 환기형 축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ventilation is performed in a natural air circulation method to reduce management costs compared to a livestock hous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ventilation fan, and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livestock. Its purpose is to provide a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that can be used.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는, 축사본체, 상기 축사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지붕, 상기 상부 지붕의 일측과 타측 하부에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하부 지붕을 포함하고,
상기 축사본체는 상기 하부 지붕의 가장자리를 일정 간격으로 지지하며, 그 내측에 축사공간을 형성시키는 제1 서포트, 상기 제1 서포트의 사이 공간을 폐쇄하는 벽체부, 상기 축사공간에서 상기 상부 지붕을 일정간격으로 지지하는 제2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포트와 하부 지붕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서포트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붕의 저면에 접촉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체결홀과 상기 하부 지붕의 체결홀에 공동으로 체결되는 탄성후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후크유닛은 탄성안내바, 상기 탄성안내바의 끝단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지붕에 걸리는 걸림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안내바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완충슬릿홀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안내바의 전면부에는 플랜지의 체결홀과 하부 지붕의 체결홀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탄성지지바가 더 부착되며, 상기 탄성안내바의 전면에는 플랜지의 체결홀과 하부 지붕의 체결홀의 내측면과 마찰됨과 아울러 걸림되도록 요철돌부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탄성안내바의 배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림부들이 더 형성된다.
The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rn body, an upper roof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rn body, and a lower roof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one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upper roof, and ,
The barn body supports the edge of the lower roof at regular intervals, a first support forming a barn space inside the barn, a wall part closi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upports, and a fixed upper roof in the barn space It includes a second support to support at intervals,
Including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first support and the lower roof,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flang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 an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roof, an elastic hook unit jointly fastened to a fastening hole of the flange and a fastening hole of the lower roof, and the elastic hook unit Includes an elastic guide bar, a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end of the elastic guide bar and caught on the lower roof, and a buffer slit ho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formed in the elastic guide ba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elastic guide bar An elastic support bar is further attached to the part to pressurize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of the flange and the fastening hole of the lower roof,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elastic guide bar is uneven so that it rubs against the fastening hole of the flang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of the lower roof. Protrusions are further formed, and support rims are further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elastic guide bar.

삭제delete

그리고, 상기 상부 지붕과 하부 지붕의 사이에 고정되는 간격유지부를 더 포함한다.And, it further includes a gap maintaining unit fixed between the upper roof and the lower ro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축사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 배치되는 후판,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사이를 개폐하도록 하측이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수납함,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벽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수납함을 승강시켜 하우징에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이 하우징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판이 기울어진 상태로 하우징의 내벽면에 지지되도록 개폐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개폐판의 상측 외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함이 인출 시 상기 개폐판이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하우징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개폐판에 하중을 부여하는 중량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further comprises a receiving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he receiving unit is a housing, a bottom plat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 rear plat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bottom plate,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 storage box including a pair of side plates and an opening/closing plate hing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so as to open and close between the side plates, and are disposed on both inner side walls of the housing, respectively, and lift the storage box to enter the housing. Or an elevating driving part for drawing out,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opening/closing plate so that the opening/closing plate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in an inclined state when the storage box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plate It is coupled and includes a weight portion for applying a loa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so that when the storage box is withdraw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rotated in a downward direction to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는, 축사 내부의 공기가 지붕에 마련된 공기통로를 통해 빠져 나가거나 또는, 외기가 공기통로를 통해 축사 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자연적으로 발생되어, 축사에 환기팬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환기팬을 작동시키기 위한 에너지 소모가 발생되지 않아 관리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가축들에게 언제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henomenon in which the air inside the barn escapes through the air passage provided on the roof or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house through the air passage occurs naturally As there is no need to install the system and energy consumption for operating the ventilation fan is not generated, management cos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comfortable environment to livestock at all tim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에 적용된 결합부를 통해 제1 서포트와 하부 지붕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에 적용된 수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에 적용된 수납부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에 적용된 수납부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and the lower roof are combined through a coupling portion applied to the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unit applied to the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unit applied to the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ceiving unit applied to the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1)는, 자연 순환방식으로 실내공기를 환기시켜 에너지 소비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종래 환풍팬을 설치하여 환기시키는 축사에 비해 관리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가축들에게 언제나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제품이다.The natural ventilation type hous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nsume energy by ventilating the indoor air in a natural circulation method, and thus,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management cost compared to the house where ventilation by installing a conventional ventilation fan. , It is a product that can always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for livestock.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1)는 축사본체(10), 상부 지붕(20), 하부 지붕(30)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natural ventilation bar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rn body 10, an upper roof 20, and a lower roof 30.

축사본체(10)는 다양한 종류의 가축에게 생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1 서포트(11a,11b), 벽체부(12), 제2 서포트(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vestock body 10 provides a living space for various types of livestock, and may include a first support 11a and 11b, a wall 12, and a second support 13.

제1 서포트(11a,11b)는 기다란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s 11a and 11b may be formed in an elongated bar shape.

제1 서포트(11a,11b)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s 11a and 11b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제1 서포트(11a,11b)는 하부 지붕(30)의 가장자리를 일정간격으로 지지한다.The first supports 11a and 11b support the edges of the lower roof 30 at regular intervals.

이때, 도 2를 기준으로 상부 지붕(20)의 좌측에 위치된 하부 지붕(30)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서포트(11a,11b) 및 상부 지붕(20)의 우측에 위치된 하부 지붕(30)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서포트(11a,11b)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2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하부 지붕(30)의 중앙부분 저면과 가장자리 저면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s 11a and 11b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lower roof 30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roof 20 and the lower roof 30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roof 20 The first supports 11a and 11b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are arranged to form two rows in a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er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of the lower roof 30 may be supported, respectively.

그리고, 각 열에는 배치된 제1 서포트(11a,11b)는 다수개를 이루어 하부 지붕(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supports 11a and 11b disposed in each row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roof 30.

제1 서포트(11a,11b)는 그 하측이 플랜지(61)와 앙카볼트를 통해 지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지면에 매립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s 11a and 11b may be fixed to the ground through a flange 61 and an anchor bolt, or may be embedded in the ground.

이때, 제1 서포트(11a,11b)는 하부 지붕(30)을 경사진 형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적용된다.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s 11a and 11b have different lengths to support the lower roof 30 in an inclined shape.

즉, 하부 지붕(30)의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제1 서포트(11a)가 하부 지붕(30)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제1 서포트(11b)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upport 11a suppor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roof 30 may be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support 11b supporting the edge portion of the lower roof 30.

제1 서포트는 축사본체(10)가 다각형 형상이나 원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 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축사본체(10)가 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된 상태를 도시하였다.The first support may be arranged so that the shaft copy body 10 has a polygonal shape or a circular shape, and the drawing shows a state in which the shaft copy body 10 is arranged to form a square shape.

제1 서포트(11a,11b)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열됨으로 인해 제1 서포트(11a,11b)들의 내측으로 축사공간이 형성된다.As the first supports 11a and 11b are arranged as described above, a barn space is formed inside the first supports 11a and 11b.

나아가, 축사공간의 일측과 타측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가축이 생활하게 되는 우리(2)가 설치될 수 있다.Fur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rn space, a cage (2) where livestock lives may be installed.

그리고, 축사공간의 중앙, 즉 우리(2)의 사이에는 관리자가 통행할 수 있는 통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축사본체(10)의 일측에는 관리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이 형성될 수 있다.And, in the center of the barn space, that is, between the cages (2), a passage through which the manager can pass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one side of the barn body (10), an entrance door through which the manager can enter and exit is formed. I can.

벽체부(12)는 다수개로 적용되어 제1 서포트(11a,11b)들의 사이 공간을 모두 폐쇄한다.The wall portion 12 is applied in plural to close all spaces between the first supports 11a and 11b.

이때, 벽체부(12)는 양단이 서로 접촉되는 형태로 제1 서포트(11a,11b)에 볼트, 피스 기타 결합부품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ll portion 1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s 11a and 11b through bolts, pieces and other coupling parts in a form in which both ends of the wall portion 12 contact each other.

나아가, 벽체부(12)는 서로 마주하는 양측에 서로 중첩되는 플랜지(61)(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the wall portion 12 may be provided with flanges 61 (not shown) overlapping each other on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그리고, 플랜지(61)에 볼트나 피스를 공동으로 체결하여 벽체부(12)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Further, by jointly fastening a bolt or piece to the flange 61, the wall portion 12 may be integrally coupled.

제2 서포트(13)는 기다란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13 may be formed in an elongated bar shape.

제2 서포트(13)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13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제2 서포트(13)는 중앙에 위치된 제1 서포트(11a)의 사이, 즉 축사본체(10)의 중앙부분에서 상부 지붕(20)을 일정간격으로 지지한다.The second support 13 supports the upper roof 20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irst support 11a located in the center, that is,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haft body 10.

구체적으로, 제2 서포트(13)는 수평 방향으로 2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부 지붕(20)의 우측 저면과 우측 저면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supports 13 may be arranged to form two rows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the right bottom and the right bottom of the upper roof 20, respectively.

그리고, 각 열에 배치되는 제2 서포트(13)는 다수개를 이루어 상부 지붕(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s 13 disposed in each row may be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roof 20.

제2 서포트(13)는 그 하측이 플랜지(61)와 앙카볼트를 통해 지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지면에 매립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13 may have its lower side fixed to the ground through a flange 61 and an anchor bolt, or may be embedded in the ground.

제2 서포트(13)는 상부 지붕(20)을 하부 지붕(30)의 상측으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제1 서포트(11a,11b) 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support 13 is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first supports 11a and 11b so that the upper roof 20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roof 30.

이때, 전술한 통로는 제2 서포트(1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forementioned passage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supports 13.

상부 지붕(20)은 전술한 제2 서포트(13)에 의해 일정 높이로 떠 있는 형태로 지지된다.The upper roof 20 is supported in a floating form at a predetermined height by the above-described second support 13.

상부 지붕(20)은 대략 통로의 상측 부분을 가린다.The upper roof 20 approximately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passage.

따라서, 상부 지붕(20)은 비, 눈, 이슬, 외부의 먼지가 축사본체(10)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한다.Therefore, the upper roof 20 suppresses rain, snow, dew, and external dust from flowing into the livestock body 10.

상부 지붕(20)은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그 양측에 하향 경사로(20a)가 형성된다.The upper roof 20 has downward slopes 20a on both sides thereof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따라서, 상부 지붕(20)에 떨어진 빗물, 눈, 각종 이물질은 경사로(20a)를 따라 낙하된다.Accordingly, rainwater, snow, and various foreign substances falling on the upper roof 20 fall along the slope 20a.

하부 지붕(30)은 전술한 제1 서포트(11a,11b)에 의해 일정 높이 떠있는 형태로 지지된다.The lower roof 30 is supported by the above-described first supports 11a and 11b in a floating form.

하부 지붕(30)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축사 본체의 일측과 타측에서 우리(2)의 상측 부분을 가린다.The lower roof 30 is composed of two pairs,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cage 2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rn body.

따라서, 하부 지붕(30)은 상부 지붕(20)과 함께 비, 눈, 이슬, 외부 먼지가 축사본체(10)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한다.Accordingly, the lower roof 30 suppresses rain, snow, dew, and external dust from flowing into the livestock body 10 together with the upper roof 20.

하부 지붕(30)은 상측부분이 상부 지붕(20)의 하측 부분과 수직 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The lower roof 30 is disposed such that the upper portion is positioned on a vertical line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roof 20.

제2 서포트(13)가 중앙에 위치된 제1 서포트(11a,11b)보다 길게 형성됨으로, 상부 지붕(20)과 하부 지붕(30)의 사이에는 공기통로(S)가 형성된다.Since the second support 13 is formed longer than the first support 11a and 11b positioned at the center, an air passage S is formed between the upper roof 20 and the lower roof 3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1)는, 축사본체(10) 내부의 공기가 상부 지붕(20)과 하부 지붕(30)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S)를 통해 빠져 나가거나 또는, 외기가 공기통로(S)를 통해 축사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자연적으로 발생되어, 축사에 환기팬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환기팬을 작동시키기 위한 에너지 소모가 발생되지 않아 관리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가축들에게 언제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side the barn body 10 escapes through the air passage S formed between the upper roof 20 and the lower roof 30, or , As outside air flows into the house body through the air passage (S) naturally,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ventilation fan in the house, and there is no energy consumption to operate the ventilation fan, which significantly reduces management costs. It can be done, and has the advantage of always providing a comfortable environment to livestock.

나아가, 상부 지붕(20)을 따라 낙하된 빗물, 눈, 각종 이물질 등은 하부 지붕(30)을 따라 내려가 축사의 외곽으로 자연 낙하됨으로 자연 환기형 축사(1)의 관리가 용이해지며, 상부 지붕(20)과 하부 지붕(30)에 눈이 쌓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붕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rainwater, snow, and various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fallen along the upper roof 20 descend along the lower roof 30 and fall naturally to the outside of the house, making it easier to manage the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1, and the upper roof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ollapse phenomenon by preventing snow from accumulating on the 20 and the lower roof 30.

부가적으로, 상부 지붕(20)과 하부 지붕(30)의 사이에는 간격유지부(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a gap maintaining unit 40 may be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upper roof 20 and the lower roof 30.

간격유지부(40)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상부 지붕(20)과 하부 지붕(30)의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A plurality of gap maintaining units 40 are applied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upper roof 20 and the lower roof 30.

간격유지부(40)는 상부 지붕(20)과 하부 지붕(30)의 간격과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하부 지붕(30)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지붕(20)의 저면을 지지하여 언제나 공기통로(S)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제1 서포트(11a,11b)와 제2 서포트(13)에 가해지는 상부 지붕(20)의 하중을 줄여주어 자연 환기형 축사(1)가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일조한다.The gap maintaining part 40 is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gap between the upper roof 20 and the lower roof 30, and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roof 20 while being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roof 30. As a result, the air passage (S) can always maintain a certain shape while reducing the load on the upper roof (20) applied to the first support (11a, 11b) and the second support (13). Contributes to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나아가, 상부 지붕(20)과 하부 지붕(30)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마감판(50)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Further,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upper roof 20 and the lower roof 30 may be closed by a finishing plate 50, respectively.

마감판(50)은 중앙부분이 상부 지붕(20)에 결합되고, 그 양측은 한 쌍의 하부 지붕(3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nishing plate 50 has a central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roof 20, and both sides thereof may be coupled to a pair of lower roofs 30.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에 적용된 결합부(60)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ure 4 will be described the coupling portion 60 applied to the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에 적용된 결합부를 통해 제1 서포트와 하부 지붕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and the lower roof are combined through a coupling portion applied to the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결합부(60)는 제1 서포트(11a,11b)와 하부 지붕(30)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플랜지(61), 탄성후크유닛(62)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60 couples the first supports 11a and 11b and the lower roof 30 and may include a flange 61 and an elastic hook unit 62.

플랜지(61)는 제1 서포트(11a,11b)의 상측에 각각 형성되고, 하부 지붕(30)의 저면에 접촉된다.The flanges 61 are formed on the upper sides of the first supports 11a and 11b, respectively, and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roof 30.

탄성후크유닛(62)은 플랜지(61)의 체결홀과 하부 지붕(30)의 체결홀을 관통하는 탄성안내바(63), 탄성안내바(63)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부 지붕(30)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부(64)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hook unit 62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end of the elastic guide bar 63 and the elastic guide bar 63 penetrat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of the flange 61 and the fastening hole of the lower roof 30. It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64 that is fixed by hanging on (30).

탄성안내바(63)의 끝단에는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완충슬릿홀(63a)이 형성되고, 탄성안내바(63)의 전면부에는 플랜지(61)의 체결홀과 하부 지붕(30)의 체결홀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탄성지지바(631)가 더 부착되며, 탄성안내바(63)의 전면부에는 플랜지(61)의 체결홀과 하부 지붕(30)의 체결홀의 내측면과 마찰됨과 아울러 걸림되도록 요철돌부(632)들이 더 형성되고, 탄성안내바(63)의 배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플랜지(61)의 체결홀과 하부 지붕(30)의 체결홀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지림부(633)들이 더 형성된다.A buffer slit hole (63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lastic guide bar (63)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fastening hole of the flange (61) and the lower roof (30) are fastened in the front part of the elastic guide bar (63). An elastic support bar 631 that presses the inner side of the hole is further attached, and at the front of the elastic guide bar 63, the fastening hole of the flange 61 and the inner side of the fastening hole of the lower roof 30 are rubbed and caught. The uneven protrusions 632 are further formed so that the support rim part 633 is located inside the fastening hole of the flange 61 and the fastening hole of the lower roof 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elastic guide bar 63 Are more formed.

따라서, 완충슬릿홀(63a)에 의해 탄성안내바(63)가 원활히 절곡되도록 하고, 절곡되는 과정에서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lastic guide bar 63 can be smoothly bent by the buffer slit hole 63a,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being broken during the bending process.

그리고, 탄성지지바(631)와 요철돌부(632)가 체결홀(,)의 내측면을 가압하면서 마찰되어 탄성안내바(63)가 이동되거나 체결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elastic support bar 631 and the uneven protrusion 632 are rubbed while pre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 to prevent the elastic guide bar 63 from being moved or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 (,). And, it is possible to buffer the transmission of the shock.

또한, 지지림부(633)에 의해 탄성지지바(631)가 체결홀(,)에 끼움되는 과정에서 절곡시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있고, 복원력과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rim part 633 prevents the elastic support bar 631 from being broken when it is bent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resilience and support.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1)에 적용된 수납부(7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torage unit 70 applied to the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에 적용된 수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에 적용된 수납부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환기형 축사에 적용된 수납부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orage unit applied to the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unit applied to the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unit applied to the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according to this.

수납부(70)는 축사공간에서 우리(2)의 근처에 배치되어 축사나 가축을 관리하는데 있어 필요한 각종 도구나 관리자의 소지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우징(71), 수납함(72), 승강구동부(73), 지지부(74), 중량부(7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70 is disposed near the cage 2 in the barn space to store various tools necessary for managing the barn or livestock, and the manager's belongings, and the housing 71 and the storage box 72 , It may include a lifting drive part 73, a support part 74, a weight part 75.

하우징(71)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7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with an open top surface and an empty space therein.

그리고, 하우징(71)의 상면은 덮개(7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71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711.

하우징(71)은 축사공간에 배치되는 받침대(76)의 상면에 안착되어 일정 높이에 배치된다.The housing 71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76 disposed in the barn space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수납함(72)은 실제 각종 도구나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는 것으로, 하우징(71)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721), 바닥판(721)의 후측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후판(722), 바닥판(721)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732), 측판(732)의 사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하측이 바닥판(721)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724)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box 72 can actually store various tools or belongings, and the bottom plate 721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71, and the rear plate 722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rear edge of the bottom plate 721 ), a pair of side plates 732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both edges of the bottom plate 721 and an opening/closing plate whose lower side is hing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721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between the side plate 732 724).

이때, 개폐판(724) 중 바닥판(721)의 상면에 접촉되는 저면은 양방향으로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라운딩 처리되어 곡선 형상을 이룰수 있다.In this case, a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plate 724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721 may be rounded so that it can be rotated smoothly in both directions to form a curved shape.

개폐판(724)의 양측면 하부에는 회전축(724a)이 형성되며 측판(732)의 하측에는 회전축(724a)이 삽입되는 삽입홈(723a)이 형성된다.A rotation shaft 724a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both sid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724, and an insertion groove 723a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724a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side plate 732.

따라서, 개폐판(724)은 회전축(724a)을 기준으로 회동되면서 측판(732)의 사이 공간을 개폐한다.Accordingly, the opening/closing plate 724 opens and closes the space between the side plates 732 while being rotated based on the rotation shaft 724a.

승강구동부(73)는 하우징(71)에 수납된 수납함(72)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우징(71)의 내부 양측벽에 각각 설치된다.The elevating driver 73 lifts and lowers the storage box 72 accommodated in the housing 71, and is composed of two pairs and installed on both inner side walls of the housing 71, respectively.

승강구동부(73)는 바닥판(721)에 결합되는 승강체(73a)를 갖는 로드레스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evating driver 73 may be formed of a rodless cylinder having an elevating body 73a coupled to the bottom plate 721.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71)의 외면이나 받침대(76)에는 승강구동부(73)의 승강체(73a)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상승버튼 및 하강버튼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up button and a down button for raising or lowering the lifting body 73a of the lifting drive part 73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71 or the pedestal 76, respectively.

따라서, 하우징(71)에서 덮개(711)를 제거한 다음, 상승버튼을 눌러 승강체(73a)를 상승시키면 수납함(72)이 상승되어 하우징(71)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강버튼을 눌러 승강체(73a)를 하강시키면 수납함(72)이 하강되어 하우징(71)의 내부공간에 인입된다.Therefore, if the cover 711 is removed from the housing 71, and then the lifter 73a is lifted by pressing the lift button, the storage box 72 is raised to protrude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71, and the lifter is pressed by pressing the lowering button. When the (73a) is lowered, the storage box 72 is lowered and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71.

이로 인해, 수납함(72)에 수납된 수납물을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상승버튼을 눌러 승강구동부(73)의 승강체(73a)가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수납함(72)을 하우징(71)의 상측으로 인출시키면 된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attempting to take out the items stored in the storage box 72, the lifting body 73a of the lifting drive unit 73 is raised by pressing the lift button, so that the storage box 72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71. Just withdraw.

수납함(72)이 상승되면 하우징(71)에 내벽면에 기울어진 상태로 기대고 있던 개폐판(724)이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전도되며, 이때, 개폐판(724)은 일부분이 하우징(71)의 상면에 안착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함으로 측판(732)의 사이 공간이 개방된다.When the storage box 72 is raised, the opening/closing plate 724 leaning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71 is rotated downward and is inverted. At this time, the opening/closing plate 724 is partially formed of the housing 71 The space between the side plates 732 is opened by being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and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따라서, 이와 같이 측판(732)의 사이 공간이 개방되면 사용자가 수납함(72)에 수납된 수납물들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원하는 수납물만 용이하게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when the space between the side plates 732 is open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quickly check the items stored in the storage box 72 and to easily take out only the desired items.

나아가, 수납함(72)은 승강구동부(73)에 의해 일정 높이로 상승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허리나 머리를 많이 굽히지 않고 수납물을 꺼내도록 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torage box 72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by the elevating driver 73, the user can take out the storage without bending his back or head much.

지지부(74)는 바닥판(721)의 양측에 고정되어 개폐판(724)의 하측면을 지지하는데, 개폐판(724)과 접촉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납함(72)이 하우징(71)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개폐판(724)이 기울어진 상태로 하우징(71)의 내벽면에 지지되도록 한다.The support part 74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721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opening/closing plate 724, and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pening/closing plate 724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storage box 72 is formed in the housing 71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724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71 in an inclined state.

중량부(75)는 일정 중량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개폐판(724)의 상부 외측면 즉, 하우징(71)의 내벽면을 향하는 면에 결합되어, 수납함(72)이 하우징(71)에서 인출 시, 개폐판(724)의 하 방향 회동을 촉진시킨다.The weight portion 75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certain weight, and is coupled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plate 724,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71, so that the storage box 72 is the housing 71 During withdrawal from, it promotes downward rot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724.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interpreted.

1 : 자연 환기형 축사 10 : 축사본체
11a,11b : 제1 서포트 12 : 벽체부
13 : 제2 서포트 20 : 상부 지붕
20a : 경사로 30 : 하부 지붕
40 : 간격유지부 50 : 마감판
60 : 결합부 61 : 플랜지
62 : 탄성후크유닛 63 : 탄성안내바
63a : 완충슬릿홀 631 : 탄성지지바
632 : 요철돌부 633 : 지지림부
64 : 걸림돌부 70 : 수납부
71 : 하우징 711 : 덮개
72 : 수납함 721 : 바닥판
722 : 후판 732 : 측판
723a : 삽입홈 724 : 개폐판
724a : 회전축 73 : 승강구동부
73a : 승강체 74 : 지지부
75 : 중량부 76 : 받침대
1: Natural ventilation type house 10: House body
11a, 11b: 1st support 12: wall part
13: second support 20: upper roof
20a: ramp 30: lower roof
40: gap maintaining part 50: finishing plate
60: coupling portion 61: flange
62: elastic hook unit 63: elastic guide bar
63a: buffer slit hole 631: elastic support bar
632: uneven protrusion 633: support rim
64: locking projection 70: storage
71: housing 711: cover
72: storage box 721: bottom plate
722: back plate 732: side plate
723a: insertion groove 724: opening and closing plate
724a: rotation shaft 73: elevating drive unit
73a: lifting body 74: support
75: weight part 76: pedestal

Claims (5)

축사본체,
상기 축사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지붕,
상기 상부 지붕의 일측과 타측 하부에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하부 지붕을 포함하고,
상기 축사본체는,
상기 하부 지붕의 가장자리를 일정 간격으로 지지하며, 그 내측에 축사공간을 형성시키는 제1 서포트,
상기 제1 서포트의 사이 공간을 폐쇄하는 벽체부,
상기 축사공간에서 상기 상부 지붕을 일정간격으로 지지하는 제2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포트와 하부 지붕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서포트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붕의 저면에 접촉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체결홀과 상기 하부 지붕의 체결홀에 공동으로 체결되는 탄성후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후크유닛은 탄성안내바, 상기 탄성안내바의 끝단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지붕에 걸리는 걸림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안내바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완충슬릿홀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안내바의 전면부에는 플랜지의 체결홀과 하부 지붕의 체결홀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탄성지지바가 더 부착되며,
상기 탄성안내바의 전면에는 플랜지의 체결홀과 하부 지붕의 체결홀의 내측면과 마찰됨과 아울러 걸림되도록 요철돌부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탄성안내바의 배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림부들이 더 형성되는 자연 환기형 축사.
Livestock,
An upper roof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vestock body,
And a lower roof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roof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form an air passage,
The livestock main body,
A first support supporting the edge of the lower roof at regular intervals and forming a barn space inside the lower roof,
A wall portion closi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upports,
It includes a second support for supporting the upper roof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using space,
Including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first support and the lower roof,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flang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 and contacting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roof, an elastic hook unit jointly fastened to a fastening hole of the flange and a fastening hole of the lower roof,
The elastic hook unit includes an elastic guide bar, a locking protrusion port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an end end of the elastic guide bar and caught on the lower roof,
The elastic guide bar has buffer slit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elastic support bar for pre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of the flange and the fastening hole of the lower roof is further attached to the front part of the elastic guide bar,
In the front of the elastic guide bar, uneven protrusions are further formed so as to rub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of the flange and the fastening hole of the lower roof and to be engaged,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s in which support rims are further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elastic guide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붕과 하부 지붕의 사이에 고정되는 간격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자연 환기형 축사.
The method of claim 1,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further comprising a gap maintaining unit fixed between the upper roof and the lower ro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 배치되는 후판,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사이를 개폐하도록 하측이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수납함,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벽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수납함을 승강시켜 하우징에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이 하우징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판이 기울어진 상태로 하우징의 내벽면에 지지되도록 개폐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개폐판의 상측 외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함이 인출 시 상기 개폐판이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하우징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개폐판에 하중을 부여하는 중량부를 포함하는 자연 환기형 축사.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ceivin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body, the receiving portion,
housing,
A bottom plat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 thick plat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bottom plate, a pair of side plat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a lower side hing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open and close the side plate A storage box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to be coupled,
Elevating driving units disposed on both inner side walls of the housing, respectively, and elevating the storage box to enter or take out the housing,
A support part formed on the bottom plate and supporting the opening/closing plate so that the opening/closing plate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in an inclined state when the storage box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t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when the storage box is withdraw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rotated in a downward direction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natural ventilation type barn including a weight portion for applying a loa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KR1020200076368A 2020-06-23 2020-06-23 Pen of natural ventilation type Active KR1022086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368A KR102208658B1 (en) 2020-06-23 2020-06-23 Pen of natural ventilation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368A KR102208658B1 (en) 2020-06-23 2020-06-23 Pen of natural ventilation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658B1 true KR102208658B1 (en) 2021-01-28

Family

ID=7423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368A Active KR102208658B1 (en) 2020-06-23 2020-06-23 Pen of natural ventilation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65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2331U (en) * 1992-04-13 1993-11-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Container storage device
KR960000613U (en) * 1994-06-10 1996-01-17 송옥헌 Disposal device of waste food processor
CN207054402U (en) * 2017-07-17 2018-03-02 金寨县安农农业科技有限公司 One kind adult cowshed
KR101879777B1 (en) 2016-08-28 2018-07-27 포미주식회사 System for ventilating windowless barn
KR20200000073A (en) * 2018-06-22 2020-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00000121U (en) * 2018-07-06 2020-01-15 오승주 A house with a normally open structure of Y-bridge ro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2331U (en) * 1992-04-13 1993-11-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Container storage device
KR960000613U (en) * 1994-06-10 1996-01-17 송옥헌 Disposal device of waste food processor
KR101879777B1 (en) 2016-08-28 2018-07-27 포미주식회사 System for ventilating windowless barn
CN207054402U (en) * 2017-07-17 2018-03-02 金寨县安农农业科技有限公司 One kind adult cowshed
KR20200000073A (en) * 2018-06-22 2020-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00000121U (en) * 2018-07-06 2020-01-15 오승주 A house with a normally open structure of Y-bridge ro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9020A (en) House and method for livestock raising
US4372251A (en) Prefabricated animal shelter
US20070039555A1 (en) Animal accommodation pod
KR102208658B1 (en) Pen of natural ventilation type
KR101637245B1 (en) High raised poultry house
US7051679B2 (en) Heat efficient animal shelter
KR100679508B1 (en) Total ventilation system
KR100576626B1 (en) Improved hive with double structure
CN208639310U (en) A kind of container-type henhouse
US20070006816A1 (en) Multiple function animal training system with extendable ramp
KR101610198B1 (en) Multi story type welfare stall
KR100936139B1 (en) Breeding room for livestock
KR102459670B1 (en) animal shade house
US1127712A (en) Poultry-raising plant.
EP0238722B1 (en) Animal husbandry housing
CN209120920U (en) An energy-saving and clean mutton sheep breeding house
CN206371286U (en) A kind of novel environment friendly epidemic prevention pig house
JP2547407B2 (en) Ventilation system for windless barn for raising small animals
CN214961739U (en) Livestock-raising is with diversified poultry house that ventilates
KR200166248Y1 (en) Suction duct for breeding domestic animals
US20050072370A1 (en) Birdhouse
CN222054184U (en) A ventilated and light-permeable cowshed
RU208198U1 (en) A cage combined with an aviary for keeping experimental foxes on a fur farm
KR101653093B1 (en) Honeybee gateway structure for passing the winter
CN219205513U (en) A kind of steel structure animal house that is warm in winter and cool in sum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