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8341B1 - wire winding adjust apparatus - Google Patents

wire winding adjus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341B1
KR102208341B1 KR1020190070435A KR20190070435A KR102208341B1 KR 102208341 B1 KR102208341 B1 KR 102208341B1 KR 1020190070435 A KR1020190070435 A KR 1020190070435A KR 20190070435 A KR20190070435 A KR 20190070435A KR 102208341 B1 KR102208341 B1 KR 102208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roove
fastening
binding
binding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42915A (en
Inventor
하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to KR102019007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341B1/en
Priority to EP20822306.5A priority patent/EP3984405A4/en
Priority to US17/618,149 priority patent/US12091281B2/en
Priority to PCT/KR2020/008858 priority patent/WO2020251341A1/en
Priority to CN202080042350.8A priority patent/CN114158252B/en
Publication of KR20200142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9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34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제품의 조립편의성 및 생산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납되되, 회전 조작시 중앙부에 구비된 구동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조작수단과 선택적으로 물림 결합되어 연동 회전되면서 외주에 와이어가 권취되는 릴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부는 상면측에 상기 구동돌기의 단부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고 하면측이 함몰되어 체결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가 결속되도록 상기 체결홈부의 바닥면과 인접하되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이 경유되는 제1결속공 및 제2결속공이 상호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 와이어결속부를 포함하는 원기둥형의 권취바디부; 및 마주보는 내면 사이에 와이어권취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권취바디부의 외주면 상하측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돌설되되, 상기 체결홈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에 가압되도록 상기 제1결속공 및 상기 제2결속공 사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개구된 경유슬롯홈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improve the assembly convenience and productivity of the product,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in the housing part, but is selectively engaged with a rotation operation means that rotates around a driving protrusion provided in the central part during rotation operation, and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while rotating. In 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comprising a reel to be wound, the reel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end of the driving protrusion is accommodated on an upper surface side, and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by recessing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the fastening so that the wire is bound A cylindrical winding body portion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but including a wire binding portion formed through the first binding hole and the second binding hole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wire passes; And extending radially outward along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body so that the wire wind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opposite inner surfaces, the end of the wire drawn into the fastening groove is pressed against a portion of the wire. It provides a wire take-up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flanges formed with a gas oil slot groove is opened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inding holes.

Description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wire winding adjust apparatus}Wire winding adjust apparatus

본 발명은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의 조립편의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with improved product assembly convenience and productivity.

일반적으로 운동화 등의 신발은 착용자의 발 사이즈에 밀착되도록 조일 수 있는 신발끈이 구비되며, 이러한 신발끈을 당겨 조임으로써 신발과 발의 밀착성을 높여 쾌적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In general, shoes such as sneakers are provided with shoelaces that can be tighten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ze of the wearer's feet, and by pulling and tightening these shoelaces, the adhesion between the shoes and the feet is increased to enable comfortable walking.

이때, 종래의 신발끈은 신발의 상측에 지그재그 형식으로 연결되어 착용자가 직접 묶거나 풀면서 조절하여야 하며, 어린아이나 노인의 경우 이러한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일부에서는 다이얼 형식으로 회전 조작하여 신발끈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이고 풀 수 있는 구조의 장치들이 개시되고 있다.At this time, the conventional shoelace is connected in a zigzag form to the upper side of the shoe, so that the wearer must directly tie or untie it and adjust i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such manipulation is difficult for children or the elderly. Accordingly, in some cases, devices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quickly and conveniently tightening and loosening shoelaces by rotating in a dial form have been disclosed.

한편, 도 1은 종래에 신발끈을 조이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vice for tightening a shoelace in the related art.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에 신발끈을 조이기 위한 장치(10)는 회전커버(51)를 회전 조작시 중간부재(53)와 권취부재(55)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신발끈을 대체하는 와이어(L)가 상기 권취부재(55)에 권취되면서 신발이 발 사이즈에 맞게 조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부재(53)에 형성된 형합구속부(53z)가 하우징(57)의 래칫기어(57c)에 물림 구속되므로 상기 권취부재(55)가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 인해 상기 와이어(L)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in the conventional device 10 for tightening the shoelace, the intermediate member 53 and the winding member 55 are coupled and rotated together when the rotation cover 51 is rotated. At this time, while the wire (L) replacing the shoelace is wound around the winding member 55, the shoe may be tightened according to the foot size. Here, since the mating constraining portion 53z formed in the intermediate member 53 is bitten and constrained by the ratchet gear 57c of the housing 57, the wire L is released due to the winding member 55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회전커버(51)를 상측으로 당기면 상기 중간부재(53)가 상기 회전커버(51)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를 통해, 상기 중간부재(53)와 상기 권취부재(55) 간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권취부재(55)가 자유 회전되면 와이어(L)를 당겨 풀 수 있다.Then, when the rotation cover 51 is pulled upward, the intermediate member 53 is moved upward together with the rotation cover 51. Through this, when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intermediate member 53 and the winding member 55 is released and the winding member 55 is freely rotated, the wire L can be pulled and released.

한편, 상기 와이어(L)는 양단부가 상기 권취부재(55)에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커버(51)의 회전시 상기 권취부재(55)의 외주면에 권취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L)의 양단부는 상기 권취부재(55)에 형성된 결속공에 억지 끼움되거나, 분할 제조된 권취부재에 사이에 끼움되거나, 별도의 고정부품을 통해 결속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re (L)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member 55 when the rotation cover 51 is rotated in a state where both ends are bound to the winding member 55.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wire (L) may be forcibly fitted into a binding hole formed in the winding member 55, sandwiched between a winding member manufactured separately, or bound through a separate fixing part.

여기서, 상기 권취부재(55)에 형성된 결속공을 통해 상기 와이어(L)의 양단부가 이중으로 접철되어 억지 끼움되는 경우, 상기 결속공의 크기가 상기 와이어(L) 단면적의 2배를 초과하면 견고하게 결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와이어(L)의 직경에 따라 상기 결속공의 크기를 다르게 제조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ere, when the both ends of the wire (L) are double-folded and forcibly fitted through the binding holes formed in the winding member (55), the size of the binding hole is more than twi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ire (L), There was a problem that they could not be bound together. 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binding hole must be differently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wire L,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oductivity is lowered.

그리고, 상기 권취부재를 분할 제조하거나 별도의 고정부품을 통해 결속하는 경우, 금형의 형상이 복잡해지며, 조립공수 및 조립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winding member is dividedly manufactured or bonded through a separate fixing part, the shape of the mold becomes complicated, and the assembly man-hours and assembly time increase, thereby reducing productivity and economy.

한국 등록특허 제10-178215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8215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품의 조립편의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s a solution to provide a wire winding control device with improved assembly convenience and productivity of a produc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납되되, 회전 조작시 중앙부에 구비된 구동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조작수단과 선택적으로 물림 결합되어 연동 회전되면서 외주에 와이어가 권취되는 릴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부는 상면측에 상기 구동돌기의 단부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고 하면측이 함몰되어 체결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가 결속되도록 상기 체결홈부의 바닥면과 인접하되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이 경유되는 제1결속공 및 제2결속공이 상호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 와이어결속부를 포함하는 원기둥형의 권취바디부; 및 마주보는 내면 사이에 와이어권취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권취바디부의 외주면 상하측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돌설되되, 상기 체결홈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에 가압되도록 상기 제1결속공 및 상기 제2결속공 사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개구된 경유슬롯홈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art, the wire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while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rotation operation means rotated around the driving protrusion provided in the center during rotation operation. In the wire take-up control device including a reel, the reel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end of the driving protrusion is accommodated on an upper surface side and a lower surface side is recessed to form a fastening groove part, wherein the fastening groove part is A cylindrical winding body portion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but including a wire binding portion formed through a first binding hole and a second binding hole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wire passes; And extending radially outward along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body so that the wire wind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opposite inner surfaces, the end of the wire drawn into the fastening groove is pressed against a portion of the wire. It provides a wire take-up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flanges formed with a gas oil slot groove is opened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inding holes.

이때, 상기 체결홈부에는 상기 제2결속공을 통해 인출되되 상기 경유슬롯홈을 통해 재인입되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이 꺾인 상태가 지지되도록, 일면이 상기 제2결속공의 내측 내주면과 연속적으로 연장된 지지단턱부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the fastening groove part, one side is continuously extended with the inn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so that a part of the wire that is drawn out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and re-entered through the via slot groove is suppor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ing stepped portion protrudes.

여기서, 상기 경유슬롯홈은 상기 체결홈부의 개구측 테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하측 플랜지부에 형성되되, 상기 경유슬롯홈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1결속공 또는 상기 제2결속공은 상기 체결홈부의 함몰깊이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이격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oil passage slot groove is formed on a lower flange portion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opening side edge of the fastening groove, and the inner end of the oil passage slot groove and the first or the second coupling hole It is preferable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depth of the groove.

또한, 상기 제1결속공과 상기 제2결속공은 각 관통 경로가 기설정된 각도에 대응하여 교차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유슬롯홈과 상기 제2결속공은 외측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엣지부를 갖는 구획벽에 의해 구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binding hole and the second binding hole are formed to cross each through path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angle, the passage slot groove and the second binding hole is a partition wall having at least one edge portion at an outer end It is preferable to be separated by.

한편, 상기 경유슬롯홈의 수직방향으로 대응되는 상기 체결홈부의 바닥면측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이 가압되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골이 형성된 돌출부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protrusion formed with a seating bone on which an end of the wire to which a part of the wire is pressed is seated is formed on the bottom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ia slot groov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means, 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중앙부가 관통되어 외주측의 협소한 공간에 와이어의 양단부를 회전 대칭형태로 결속하던 종래와 달리, 상기 릴부의 중앙부까지 상기 와이어를 결속하기 위한 경유/결속공간으로 전체적으로 활용 가능하며 상기 와이어의 양단이 좌우 대칭으로 결속됨에 따라 결속방향이 일정하므로 취부 및 결속작업이 용이하다.First, unlike the prior art where both ends of the wire are bound in a rotationally symmetrical form in a narrow space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rough the central part, it can be used as a whole as a via/binding space for binding the wire to the center of the reel part. As both ends are symmetrically bound, the direction of binding is constant, so it is easy to install and bind.

둘째, 상기 경유슬롯홈이 상기 체결홈부의 개구측 단부에 대응하는 하측 플랜지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권취바디부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에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견고하게 가압될 수 있는 가압단차가 최대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릴부를 최소한의 두께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릴부가 적용되는 제품이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다.Second, since the gas oil slot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flan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end of the fastening groove, a pressure step in which the end of the wire can be firmly pressed to a part of the wire even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winding body. Is formed to the maximum.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reel unit with a minimum thickness, and a product to which such a reel unit is applied can be manufactured compactly.

셋째, 상기 제1결속공과 상기 제2결속공을 경유하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이 상기 제2결속공의 내측 내주면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돌설된 상기 지지단턱부의 일면에 지지되어 꺾인 상태가 고정되므로 제품의 반복적인 조작에도 상기 와이어의 결속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Third, a portion of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inding holes is support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ing stepped portion extending continuously and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inding hole to fix the bent state. Even with repetitive manipulation, the wire can be firmly maintained.

도 1은 종래의 신발끈 조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에 적용된 릴부의 하면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에 적용된 릴부에 와이어가 결속되는 과정을 상측에서 바라본 부분투영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에 적용된 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7은 도 5d의 A-B방향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에 적용된 릴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hoelace tightening device.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el applied to 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top.
5A to 5D are partial projections of a process in which the wire is bound to the reel unit applied to 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a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reel applied to 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in the AB direction of FIG. 5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reel applied to 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에 적용된 릴부의 하면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el portion applied to 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upper side.

이때, 도 4는 상기 릴부(240)의 하면이 상측으로 배치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하향 또는 하측으로 설명되는 부분은 도면 상에서 상향 또는 상측으로 도시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전방, 전방측 또는 타측은 상기 와이어(L)가 상기 릴부(240)에 형성된 체결홈부(244)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며, 후방, 후방측 또는 일측은 상기 와이어(L)가 상기 체결홈부(244)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reel unit 240 is disposed upward, and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a portion described downward or downward in the following embodiment is illustrated as upward or upward in the drawing. . In addition, the front side, the front side or the other side in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L) is drawn into the inner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244 formed in the reel part 240, and the rear, rear side or one side is the wi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L)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drawn out from the fastening groove 244.

상세히,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200)는 하우징부(230), 회전조작수단 그리고 릴부(240)를 포함한다.In detail, as shown in FIGS. 2 to 3, 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art 230, a rotation operation means, and a reel part 240.

상기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200)는 조임대상물에 고정되며, 회전 조작시 상기 조임대상물의 둘레 또는 일면을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와이어(L)가 내부로 권취되면서 상기 조임대상물의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구비된다.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200 is fixed to the object to be tightened, and is provided to adjust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tightened while a wire (L)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circumference or on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tightened during rotation operation is wound inside.

여기서, 상기 조임대상물이라 함은 와이어(L)를 통해 신체와 밀착되도록 사이즈가 조절되어 착용되는 물품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운동화를 포함하는 신발류, 모자를 포함하는 머리 착용구, 벨트, 장갑, 가방 등과 같은 용품 및 스노우 보드, 수상스키와 같은 운동기구, 그 외 의복 등이 상기 조임대상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여타의 장치에의 적용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Here, the tightening object is preferably understood to encompass an article that is siz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through a wire (L) to be worn. For example, footwear including sneakers, headwear including hats, articles such as belts, gloves, bags, and sports equipment such as snowboards and water skis, and other clothing may be included in the fastening object. In addition, application to other devices to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230)는 상기 조임대상물에 고정되는 결합베이스부(260)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주면을 따라 래칫형 기어(23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230)의 내부에 상기 릴부(240)가 수납되되, 상기 회전조작수단과 상기 릴부(240)가 선택적으로 연동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L)가 상기 릴부(240)의 외주면에 권취된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부(230)에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외부로부터 상기 릴부(240)측으로 인입되도록, 인입홀(238a)이 형성된 안내돌기(238)가 돌설될 수 있다.In detail, the housing part 23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base 260 fixed to the fastening object, and a ratchet-type gear 233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ddition, the reel unit 24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unit 230, and the rotation operation means and the reel unit 240 ar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interlocked and rotated so that the wire L is connected to the reel unit. It is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240). In addition, a guide protrusion 238 having a lead-in hole 238a may be protruded in the housing part 230 so that the end Lb of the wire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ward the reel part 240.

이때, 상기 회전조작수단은 중앙부에 구비된 구동돌기(215)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회전커버(210)와 기어부(2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회전커버(210)는 상기 하우징부(230)의 상단부에 외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커버(210)와 상기 하우징부(230)의 각 측부 대향면에는 상호 걸림 결합되는 제1후크돌기(214) 및 제2후크돌기(232)가 각각 돌설된다.At this time, the rotation operation means is rotated around the driving protrusion 215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is provided including a rotation cover 210 and a gear unit 220. In detail, the rotation cover 2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unit 230 by an external force, and mutually engaging and engaging surfaces of the rotation cover 210 and each side facing the housing unit 230 The first hook protrusion 214 and the second hook protrusion 232 are respectively protruding.

그리고, 상기 회전커버(210)가 결합된 상기 하우징부(23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기어부(220)가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부(230)의 내측 하부에 상기 릴부(2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부(220)는 상기 회전커버(210)를 조작시 상기 하우징부(230)의 내측 항부에서 승강 구동되며, 상기 릴부(240)의 상면에 상향 돌설된기어결합부(G2)와 선택적으로 물림 결합되는 기어형합부(G1)가 하향 돌설된다. 더불어, 상기 기어부(220)에는 상기 래칫형 기어(233)에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되어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구속하는 래칫결합부(223)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구동돌기(215)가 관통되는 승강홀(221)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ear unit 220 is dispos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unit 230 to which the rotation cover 210 is coupled, and the reel unit 240 is dispos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unit 230. Here, the gear part 220 is driven up and down from the inner port of the housing part 230 when the rotation cover 210 is operated, and the gear coupling part G2 protruding up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el part 240 The gear-engaging portion G1 to be selectively engaged is protruded downward. In addition, the gear part 220 is formed with a ratchet coupling part 223 that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ratchet-type gear 233 to restrict rotation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driving protrusion 215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part. The lifting hole 221 is formed.

이때, 상기 회전커버(210)를 조작하여 상기 기어부(220)가 하강되면 상기 기어형합부(G1)와 상기 기어결합부(G2)가 물림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형합부(G1)와 상기 기어결합부(G2)가 물림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커버(210)를 회전 조작시 상기 릴부(240)가 연동 회전된다. 이를 통해, 상기 릴부(240)의 외주면에 상기 와이어(L)가 권취되면서 상기 조임대상물이 조여지도록 인장력이 가해진다. 이때, 상기 릴부(240)의 하면에는 회전시 상기 결합베이스부(260)의 바닥면(244d)과의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하도록 보조캡부(268)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en the gear part 220 is lowered by manipulating the rotation cover 210, the gear fitting part G1 and the gear coupling part G2 are engaged. In addition, when the rotation cover 210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gear coupling portion G1 and the gear coupling portion G2 are engaged, the reel portion 240 is interlockedly rotated. Through this, as the wire L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el part 240, a tensile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object to be tightened is tightened. In this case, an auxiliary cap part 268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el part 240 to prevent wear due to friction with the bottom surface 244d of the coupling base part 260 during rotation.

그리고, 상기 회전커버(210)를 조작하여 상기 기어부(220)가 승강되면 상기 기어형합부(G1)와 상기 기어결합부(G2)가 분리된다. 이를 통해, 상기 릴부(240)가 상기 회전조작수단과 연동되지 않고 자유 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L)가 풀리면서 상기 조임대상물에 가해지던 인장력이 상실된다.In addition, when the gear unit 220 is raised and lowered by manipulating the rotation cover 210, the gear fitting portion G1 and the gear coupling portion G2 are separated. Through this, as the reel part 240 is freely rotated without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 operation means, the wire L is released and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fastening object is lost.

이러한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200)의 통상적인 구성 및 작동방법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및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723579호, 등록특허 제10-1249420호 내지 등록특허 제10-1438572호에 개시되므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 typic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such a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200 is disclosed in Patent Nos. 10-1723579, 10-1249420 to 10-1438572 appli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릴부(240)는 권취바디부(241) 및 플랜지부(2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권취바디부(241)는 원기둥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부(242)는 상기 권취바디부(241)의 외주면 상하측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200)를 회전 조작시 상기 플랜지부(242)를 마주보는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와이어권취홈(242d)이 상기 와이어(L)가 권취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to 4, the reel part 240 includes a winding body part 241 and a flange part 242. Here, the winding body part 241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flange part 242 protrudes radially outward along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ing body part 241. In addition, when 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200 is rotated, a wire winding groove 242d formed between an inner surface facing the flange portion 242 is wound around the wire L.

여기서, 상기 권취바디부(241)는 상기 체결홈부(244) 및 와이어결속부(245)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winding body part 241 is preferably provided including the fastening groove 244 and the wire fastening part 245.

상세히, 상기 권취바디부(241)의 상면측에는 상기 기어결합부(G2)가 돌설되되, 상기 기어결합부(G2)의 중앙부에 상기 구동돌기(215)의 단부가 수납되는 수납홈(2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부(244)는 상기 권취바디부(241)의 하면측에 함몰되며,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인입/인출되거나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에 가압되어 결속되는 경유/결속공간으로서 형성된다.In detail, the gear coupling portion (G2) is protrud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winding body portion (241), the receiving groove (243) in which the end of the driving protrusion (215) is accommod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gear coupling portion (G2) Is formed. In addition, the fastening groove 244 is recess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winding body 241, and the end (Lb) of the wire is drawn in/out or the end (Lb) of the wire is a part of the wire (La) It is formed as a gas oil/binding space that is pressed and bound to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L)가 결속되는 부분이 상기 릴부(240)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상기 체결홈부(244)에 수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릴부(240)에 결속된 상기 와이어의 단부(Lb)측이 상기 릴부(24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200)를 회전 조작시 간섭에 의한 오작동 및 이로 인한 제품의 파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ion to which the wire L is bound is accommodated in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244 which is recessed in one side of the reel portion 240. Through this,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Lb of the wire bound to the reel unit 240 protrudes o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el unit 240 is minimized. Therefore, a malfunction due to interference and damage to a product due to interference when rotating the wire winding control device 200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돌기(215)가 상기 회전커버(210)로부터 하향 돌설되되, 단지 상기 기어부(220)의 승강 및 회전 조작이 가능한 최소길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돌기(215)가 상기 기어부(220)의 승강홀(221)에만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바디부(241)는 상기 수납홈(243)과 상기 체결홈부(244)가 수직으로 연통되지 않고 횡격벽(240h)을 통해 상하로 구획되는 구조로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protrusion 215 protrudes downward from the rotation cover 210, but only extends to the minimum length in which the lifting and rotating operation of the gear unit 220 is possible. Accordingly, the driving protrusion 215 may be directly coupled only to the lifting hole 221 of the gear unit 220. In addition, the winding body part 241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 243 and the fastening groove 244 are not vertically communicated, but are partitioned vertically through a transverse partition wall 240h.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릴부(240)는 중앙부에 별도의 관통부가 형성되지 않는 구조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홈부(244)가 상기 권취바디부(241)의 하면측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L)가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결속되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That is, the reel part 24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through part is not formed in the central part. Accordingly, the fastening groove 244 may be entire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inding body 241, and a space to be bound while the wire L is drawn in or out can be sufficiently secured.

한편, 상기 와이어결속부(245)는 상기 권취바디부(241)의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체결홈부(244)의 내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결속공(245a) 및 제2결속공(245b)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wire binding portion 245 includes a first binding hole (245a) and a second binding hole (245b)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fastening groove 244 from the rear side of the winding body portion 241 It is desirable to do it.

상세히, 상기 제1결속공(245a) 및 상기 제2결속공(245b)은 상기 체결홈부(244)의 바닥면(244d)과 인접하되,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L)가 상기 제1결속공(245a)을 통해 상기 체결홈부(244)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제2결속공(245b)을 통해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이 상기 제1결속공(245a) 및 상기 제2결속공(245b) 사이를 경유하도록 배치된다.In detail, the first binding hole 245a and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are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244d of the fastening groove 244, but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Through this, the wire (L) is introduc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44 side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245a), but is drawn out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245b), a portion (La) of the wire It is disposed so as to pass between the first binding hole 245a and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이때, 상기 제1결속공(245a) 및 상기 제2결속공(245b)의 각 바닥측 단부는 상기 체결홈부(244)의 바닥면(244d)과 연속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2결속공(245b)의 바닥측 단부가 상기 체결홈부(244)의 바닥면(244d)과 개구측 테두리 사이의 수직간격 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단차지게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결속공(245b)과 후술되는 경유슬롯홈(242f) 간의 수직간격이 좁아진다. 따라서, 상기 제2결속공(245b)과 상기 경유슬롯홈(242f)을 경유하는 상기 와이어(L)의 절곡부(Lc)가 꺾인 절곡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릴부(240)에 상기 와이어(L)가 결속된 상태에서 헐거워짐이 방지되므로 결속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245a and 245b be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bottom surface 244d of the fastening groove 244. Of course, in some cases, the bottom end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245b may be formed to be stepp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in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244d of the fastening groove 244 and the opening side rim. have. Accordingly,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and the via slot groove 242f to be described later is narrowed. Accordingly, the bending angle at which the bent portion Lc of the wire L passing through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and the via slot groove 242f is bent may be formed small. Through this, since loosening is prevented in a state in which the wire L is bound to the reel unit 240, the binding stability may be further improved.

한편, 상기 플랜지부(242)는 상기 권취바디부(241)의 상하측 테두리를 따라 돌설되는 상측 플랜지부(242a) 및 하측 플랜지부(242b)를 포함하여 한쌍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상기 체결홈부(244)측으로 재인입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에 가압되도록, 상기 플랜지부(242)에는 상기 제1결속공(245a) 및 상기 제2결속공(245b) 사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개구된 상기 경유슬롯홈(242f)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flange portion 242 is provided in a pair including an upper flange portion 242a and a lower flange portion 242b protruding along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winding body portion 241. At this time, so that the end (Lb) of the wire is re-introduced toward the fastening groove 244 and pressed against a portion (La) of the wire, the flange portion 242 has the first binding hole (245a) and the second It is preferable that the via slot groove 242f, which is open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between the binding holes 245b.

상세히, 상기 경유슬롯홈(242f)은 한쌍의 상기 플랜지부(242) 중 상기 체결홈부(244)의 개구측 테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상기 하측 플랜지부(242b)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유슬롯홈(242f)은 상기 와이어(L)의 직경을 초과하는 폭으로 이격되되, 상기 플랜지부(242)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로 개구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플랜지부(242)는 상기 경유슬롯홈(242f)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유슬롯홈(242f)의 내측 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체결홈부(244)의 개구측 테두리 단부에 대응된다.In detail, the oil passage slot groove 242f is formed in the lower flange portion 242b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opening side edge of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244 among the pair of flange portions 242. Further, the via slot groove 242f is spaced apart by a width exceeding the diameter of the wire L, and is preferably opened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lange portion 242. That is, the flange portion 242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di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gas oil slot groove 242f, and the inner end of the gas oil slot groove 242f is substantially the fastening groove 244 It corresponds to the end of the opening side of the rim.

이를 통해, 상기 제2결속공(245b)을 통해 인출된 상기 와이어(L)는 상기 권취바디부(241)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경유슬롯홈(242f)을 통해 재인입된다. 이때, 상기 경유슬롯홈(242f)이 상기 체결홈부(244)의 개구측 테두리까지 개구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와이어(L)가 경유되면서 상기 릴부(240)의 각 단차지점에 지지되어 꺾이는 부분 간의 간격이 조밀하게 형성된다.Through this, the wire L drawn out through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is re-inserted through the gas oil slot groove 242f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ing body 241. At this time, since the via slot groove (242f)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to be opened to the opening side edge of the fastening groove (244), the wire (L) is passed through the support at each step point of the reel portion (240) to bend between The gap is formed densely.

여기서, 상기 릴부(240)의 각 단차지점이라 함은 각 상기 결속공(245a,245b)의 내측 단부, 후술되는 지지단턱부(248)의 일면 및 엣지부(245e), 상기 경유슬롯홈(242f)의 내측 단부 및 상기 체결홈부(244)의 바닥면(244d)과 내측면의 연결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L)가 상기 각 단차지점을 기준으로 다단으로 꺾이면서 결속된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Here, each step point of the reel part 240 refers to an inner end of each of the binding holes 245a and 245b, one surface and an edge part 245e of the support stepped part 248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via slot groove 242f. ) Of the inner end and the bottom surface (244d) of the fastening groove 244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is preferably understood. Through this, a state in which the wire L is bent in multiple stages based on each step point can be firmly fixed.

이때, 상기 경유슬롯홈(242f)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1결속공(245a) 또는 상기 제2결속공(245b)은 상기 체결홈부(244)의 함몰깊이(d1)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경유슬롯홈(242f)을 통해 재인입된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에 가압되어 고정력을 제공받기 위해 형성되는 가압단차가 상기 체결홈부(244)의 함몰깊이(d1)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ner end of the gas oil slot groove (242f) and the first binding hole (245a) or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is sp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depth (d1) of the fastening groove (244) It is desirable to be. That is, a pressure step formed to receive a fixing force by pressing the end (Lb) of the wire re-inserted through the passage slot groove (242f) to the portion (La) of the wire is recessed of the fastening groove (244) It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epth d1.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상기 경유슬롯홈(242f)의 내측 단부를 기준으로 1차 절곡되되 상기 체결홈부(244)의 바닥면(244d)에 가압 접촉됨에 의해 2차 절곡되는 각 절곡점이 명확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부재 또는 가압부재 없이도 상기 와이어(L)가 다단으로 꺾인 상태에서 상호간의 가압력에 의해 고정되어 결속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end (Lb) of the wire is first bent based on the inner end of the via slot groove (242f), but the second bending angle by pressing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244d) of the fastening groove (244) The bending point is clearly formed. Therefore, even without a separate fixing member or a pressing member, the wire (L) is fixed by the mutual pressing force in the state where it is bent in multiple stages, and the bound state can be firmly maintained.

더욱이, 상기 경유슬롯홈(242f)이 상기 권취바디부(241)가 아닌 상기 하측 플랜지부(242b)에 형성되므로 상기 권취바디부(241)의 길이방향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가압단차가 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릴부(240)를 최소한의 두께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릴부(240)가 적용되는 상기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200)가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gas oil slot groove 242f is formed in the lower flange portion 242b rather than the winding body portion 241, the pressure step is maximized even if the thickness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winding body portion 241 is not increased. Can be formed. Through this, the reel unit 240 can be manufactured to have a minimum thickness, and the wire winding control device 200 to which the reel unit 240 is applied can be manufactured compactly.

더불어,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제1결속공(245a) 및 상기 제2결속공(245b)과 대응되는 상기 릴부(240)의 외면에는 상기 와이어(L)의 결속단계를 가이드하는 체결안내표식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el unit 240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245a and 245b has a fastening guide mark for guiding the bonding step of the wire L. It can also be formed.

상세히, 상기 체결안내표식부는 각 상기 결속공(245a,245b)에 대응하는 숫자 및 각 상기 결속공(245a,245b)에 상기 와이어(L)가 관통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화살표 등의 표식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체결안내표식부의 각 표식은 각 상기 결속공(245a,245b)이 관통된 위치와 수직으로 대응되는 상기 하측 플랜지부(242b)의 외면측에 표시될 수 있다.In detail, the fastening guide marking unit includes a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inding holes 245a and 245b and a mark such as an arrow guiding the direction through which the wire L passes through each of the binding holes 245a and 245b. I can. Furthermore, each mark of the fastening guide mark may be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lower flange part 242b corresponding to a vertical position through which each of the fastening holes 245a and 245b passes.

이를 통해, 상기 플랜지부(242)에 의해 각 상기 결속공(245a,245b)의 외측 단부가 가려지더라도 관통 위치를 직관적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안내표식부에 표시되는 숫자 내지 화살표 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L)를 관통시키기만 하면 결속위치를 정확하게 경유하여 결속될 수 잇다. 따라서, 조립 경험이 부족한 초심자의 경우에도 상기 체결안내표식부를 따라 상기 와이어(L)를 용이하게 결속할 수 있어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안내표식부는 양각 또는 음각으로 상기 릴부(240)에 일체로 표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프린팅되거나 스티커로 제작되어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Through this, even if the outer ends of each of the binding holes 245a and 245b are covered by the flange portion 242, the through position can be intuitively and accurately recognized. In addition, if the wire (L) is passed through the number displayed on the fastening guide mark or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t can be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position accurately. Therefore, even for a beginner who lacks assembly experience, productiv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since the wire L can be easily bound along the fastening guide mark. The fastening guide mark may be formed to be integrally displayed on the reel unit 240 by embossing or intaglio, and may be printed or manufactured as a sticker and attached thereto.

한편, 상기 체결홈부(244)에는 상기 제2결속공(245b)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이 꺾인 상태가 지지되도록, 일면이 상기 제2결속공(245b)의 내측 내주면(245c)과 연속적으로 연장된 지지단턱부(248)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fastening groove 244, one side is an inn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45c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245b so that a portion La of the wire drawn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245b is supported in a bent state. )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stepped portion 248 extending continuously is protruded.

상세히, 상기 제1결속공(245a)을 통하여 상기 체결홈부(244)로 인입된 상기 와이어의 단부(Lb)는 상기 제2결속공(245b)을 통하여 상기 권취바디부(241)의 외주측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단턱부(248)의 일면에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이 지지된 상태로 인출되되,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상기 경유슬롯홈(242f)을 통하여 상기 체결홈부(244)측으로 재인입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L)는 상기 제2결속공(245b)과 상기 경유슬롯홈(242f)을 경유하면서 상기 권취바디부(241)의 외주측에 상기 절곡부(Lc)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단턱부(248)에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절곡부(Lc)가 작은 절곡각을 가지면서 급격히 꺽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200)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상기 와이어(L)가 상기 릴부(240)에 결속된 부분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detail, the end (Lb) of the wire drawn into the fastening groove 244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245a is drawn ou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winding body part 241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245b. do. And, a portion of the wire (La) is drawn out in a state support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stepped portion 248, the end (Lb) of the wire is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244 through the via slot groove (242f) Re-entry to the side. At this time, the wire L has the bent portion Lc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winding body 241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and the gas oil slot 242f. In addition, as a portion La of the wir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tepped portion 248, the bent portion Lc of the wire may be rapidly bent while having a small bending angle. Through this, even if the wire take-up control device 200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ortion in which the wire L is bound to the reel unit 240 may be stably fixed.

여기서, 상기 지지단턱부(248)는 상기 체결홈부(244)의 후방측 내면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소정의 면적을 갖는 돌출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속공(245a), 상기 제2결속공(245b) 그리고 상기 경유슬롯홈(242f)은 상기 지지단턱부(248)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각각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단턱부(248)의 좌우폭과 한쌍의 상기 제2결속공(245b)의 각 내측 내주면(245c) 사이 간격이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상기 제1결속공(245a)은 한쌍의 상기 제2결속공(245b)의 각 외측 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한쌍의 상기 경유슬롯홈(242f)은 상기 지지단턱부(248)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각 제1결속공(245a) 및 제2결속공(245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stepped portion 248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oward the front side from the rear sid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244.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inding hole 245a,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and the gas oil slot groove 242f are provid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tepped portion 248, respectively. That is, it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gap betwee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upport stepped portion 248 and the inn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245c of the pair of second fastening holes 245b. In addition, the pair of first fastening holes 245a are formed to be spaced outwardly from each outer end of the pair of second fastening holes 245b, and the pair of via slot grooves 242f are the support stepped portions It may be formed between each of the first binding hole (245a) and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symmetrical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248.

이때, 상기 지지단턱부(248)는 상기 체결홈부(244)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홈부(244)를 양측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지지단턱부(248)가 소정의 길이로 전방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지지단턱부(248)의 전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체결홈부(244)의 전방측으로 연장된 중앙격벽(24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중앙격벽(246)은 상기 지지단턱부(248)의 양측폭보다 좁은 폭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upport stepped portion 248 may be continuously extended from the rear side to the front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244 to divide the fastening groove 244 into both sides. Alternatively, the support stepped portion 248 may be extended to the front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entral partition wall 246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side of the support stepped portion 248 to the front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244 may be formed. . In this case, the central partition wall 246 may be formed to be stepped with a width narrower than both side widths of the support stepped portion 248.

그리고, 상기 와이어(L)는 양단부가 상기 지지단턱부(248)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상기 제1결속공(245a), 상기 제2결속공(245b) 및 상기 경유슬롯홈(242f)에 각각 결속되되 중앙부측이 상기 조임대상물의 둘레 또는 일면을 경유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와이어(L)는 상기 지지단턱부(248)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상기 제1결속공(245a), 상기 제2결속공(245b) 및 상기 경유슬롯홈(242f)에 각각의 일단이 결속되되 각각의 타단이 상기 조임대상물의 둘레 또는 일면을 개별 또는 대칭으로 경유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ire (L) has both ends in the first binding hole (245a),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and the via slot groove (242f)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tepped portion 248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pective bounds are arranged so that the central portion side passes through the circumference or one side of the tightening object. Of course, in some cases, the wire (L) is formed in a symmetrical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tepped portion (248), the first binding hole (245a),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and the via slot groove (242f) Each end is bound to, but each other end may be arranged so as to individually or symmetrically pass the circumference or one side of the tightening object.

이와 같이, 상기 체결홈부(244)가 양측으로 구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L)의 양단 또는 각 일단을 고정하는 각 상기 결속공(245a,245b) 및 경유슬롯홈(242f)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L)를 결속하기 위해 상기 릴부(240)를 회전시키는 등의 불편함 및 번거로움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this way, as the fastening groove 244 is divided into both sides, each of the binding holes 245a and 245b for fixing both ends or each end of the wire L and the via slot groove 242f are arranged symmetrically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 Accordingly, inconvenience and hassle, such as rotating the reel unit 240 to bind the wire L,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와이어(L)의 양단부 또는 각 일단을 결속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L)를 잡아당기는 방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각 상기 결속공(245a,245b) 및 경유슬롯홈(242f)에 상기 와이어(L)의 양단 또는 각 일단이 경유된 상태에서 동시에 쥐고 잡아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L)의 양단 또는 각 일단이 1회 당기는 조작만으로도 동시에 결속 고정될 수 있으므로 조립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되며 조립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L is pulled to bind both ends or each end of the wire L is substantially the sa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grasp and pull in the state where both ends or each end of the wire L passes through each of the binding holes 245a and 245b and the via slot groove 242f. Accordingly, since both ends or each end of the wire L can be simultaneously bound and fixed only by pulling once, assembly convenience is remarkably improved and assembly time is shortened, so that productiv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지지단턱부(248)보다 상기 중앙격벽(246)의 양측폭이 좁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릴부(240)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소재량이 절감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와이어(L)의 양단 또는 각 일단의 결속영역이 명확히 구분되면서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확보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Moreover, as both side widths of the central partition wall 246 are formed narrower than that of the support stepped part 248, the amount of material required to manufacture the reel part 240 can be reduced. At the same time, while the binding areas of both ends or each end of the wire L are clearly separated, a free space that can be easily mounted by a worker is secured, so that work convenienc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또한, 상기 체결홈부(244)가 상기 권취바디부(241)의 단면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속공(245a), 상기 제2결속공(245b) 및 상기 경유슬롯홈(242f)이 상기 릴부(240)에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L)의 양단 또는 각 일단을 조립하기 위해 상기 릴부(240)를 회전시키던 종래의 불편함이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astening groove 244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inding body 241,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astening hole 245a, the second fastening hole 245b, and the gas oil slot groove It is possible that (242f) is provided on the reel part 240 in a symmetrical left-right direction. Through this, the conventional inconvenience of rotating the reel unit 240 to assemble both ends or each end of the wire L can be fundamentally eliminated.

즉, 본 발명은 좌우로 배치되는 한쌍의 상기 제1결속공(245a), 상기 제2결속공(245b) 및 상기 경유슬롯홈(242f)의 개구 방향이 상기 릴부의(240)의 후방측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됨으로 인해 한쌍의 상기 제1결속공(245a), 상기 제2결속공(245b) 및 상기 경유슬롯홈(242f)이 회전 대칭되던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은 좌우 대칭으로 구비됨에 따라 릴부(240)를 고정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L)의 양단 또는 각각의 일단을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pair of the first binding holes 245a, the second binding holes 245b, and the gas oil slot grooves 242f disposed left and right is at the rear side of the reel unit 240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refore,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the pair of the first binding hole 245a,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and the gas oil slot groove 242f are rotationally symmetric due to the through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the present invention is symmetrically left and right. As provided, it is possible to easily bind both ends or each end of the wire L while the reel unit 240 is fixedly disposed.

한편,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에 적용된 릴부에 와이어가 결속되는 과정을 상측에서 바라본 부분투영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에 적용된 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5d의 A-B방향 단면 예시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s 5a to 5d is an exemplary view of a partial projection as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process of binding the wire to the reel portion applied to 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viewed from the side of the reel applied to 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and FIG. 7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in the AB direction of FIG.

이때, 도 5a 내지 도 5d에 진하게 표시된 부분은 결속공/홈부와 중실형의 몸체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 6 내지 도 7은 상기 릴부(240)의 하면이 상측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바라본 측면도 내지 단면도로서,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하향 또는 하측으로 설명되는 부분은 도면 상에서 상향 또는 상측으로 도시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portions marked in bold in FIGS. 5A to 5D are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binding hole/groove and the solid body. In addition, FIGS. 6 to 7 are side views or cross-sectional views viewed from a state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reel unit 240 is disposed upward, and it is understood that a portion described downward or downward in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is shown upward or upward in the drawings. This is desirable.

도 5a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릴부(240)에 상기 와이어(L)가 결속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와이어(L)는 상기 지지단턱부(248) 및 상기 중앙격벽(246)에 의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상기 제1결속공(245a), 상기 제2결속공(245b) 그리고 상기 경유슬롯홈(242f)에 양단부가 각각 결속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5A to 7, a process in which the wire L is bound to the reel part 240 is as follows. At this time, the wire (L)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ymmetrically by the support stepped portion 248 and the central partition wall 246, the first binding hole (245a),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and the via slot groov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both ends are bound to (242f), respectively.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의 단부(Lb)는 상기 제1결속공(245a)을 통해 상기 체결홈부(244)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이어서, 상기 체결홈부(244)측으로 인입된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상기 제2결속공(245b)을 통하여 상기 권취바디부(241)의 외측으로 인출되면,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이 상기 체결홈부(244)의 전방측으로 볼록한 고리형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의 단부(Lb)는 상기 지지단턱부(248)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제2결속공(245b)측으로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5A to 5B, the end Lb of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44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245a. Subsequently, when the end (Lb) of the wire drawn into the fastening groove 244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winding body 241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245b, a portion (La) of the wire is It is arranged in a convex annular shape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244. At this time, the end portion Lb of the wire may be easily guided toward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while being slid along the support stepped portion 248.

여기서, 상기 제1결속공(245a)과 상기 제2결속공(245b)은 각 관통 경로가 기설정된 각도에 대응하여 교차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inding hole 245a and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are formed to cross each through path corresponding to a preset angle.

상세히, 상기 제2결속공(245b)은 내측 내주면(245c)이 상기 지지단턱부(248)의 일면과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속공(245b)은 상기 제1결속공(245a)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L)의 직경을 초과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결속공(245a) 및 상기 제2결속공(245b)을 경유하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이 상기 경유슬롯홈(242f)을 통해 재인입되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Lb)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체결홈부(244)의 바닥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In detail,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inner peripheral surface 245c extends in a continuous profile with one surface of the support stepped portion 248. In addition,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inding hole 245a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preferably, may be spaced apart to exceed the diameter of the wire L. Through this, a portion (La) of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first binding hole (245a) and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is re-inserted through the via slot (242f) the end of the wire (Lb) It can be pressed to the bottom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244 while surrounding the whole.

이때, 상기 제1결속공(245a)이 상기 제2결속공(245b)과 소정의 각도로 교차되는 관통 경로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상기 제1결속공(245a)을 통하여 인입시 충분한 여유공간이 확보된 상기 체결홈부(244)의 내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first binding hole 245a is formed to have a through path crossing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end Lb of the wire passes through the first binding hole 245a. It may be guided to the inside of the fastening groove 244 in which a sufficient free space is secured upon insertion through.

그리고, 도 5c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제2결속공(245b)을 통해 인출된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상기 경유슬롯홈(242f)을 통해 상기 체결홈부(244)로 재인입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부(244)에 고리형으로 배치되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과 상기 체결홈부(244)의 바닥면(244d) 사이에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배치된다.And, referring to Figures 5c to 5d, the end (Lb) of the wire drawn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245b is re-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44 through the via slot groove (242f). . In this case, an end portion Lb of the wire is disposed between a portion La of the wire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in the fastening groove 244 and the bottom surface 244d of the fastening groove 244.

이어서, 상기 제1결속공(245a)측으로 노출된 상기 와이어(L)를 잡아당기면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이 상기 체결홈부(244)의 바닥면(244d)측으로 밀착되도록 견인되면서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가압된다. 이를 통해, 상기 릴부(240)에 상기 와이어(L)의 양단 또는 각 일단이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wire (L) exposed toward the first fastening hole (245a) is pulled, a portion (La) of the wire is pu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244d) of the fastening groove (244), and the end of the wire (Lb) is pressed. Through this, both ends or each end of the wire L may be firmly bound to the reel unit 240.

이때, 상기 경유슬롯홈(242f)은 상기 제1결속공(245a)과 상기 제2결속공(245b)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하측 플랜지부(242b)에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결속공(245b)과 인접하도록 편심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결속공(245b)의 외측 단부와 상기 경유슬롯홈(242f)의 내측 단부사이의 직선간격이 최소한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ia slot groove (242f) is formed in the lower flange portion (242b) corresponding between the first fastening hole (245a)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245b), preferably the second fastening hole It is preferable to be eccentric so as to be adjacent to (245b). Accordingly, a linear gap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245b and the inner end of the gas oil slot 242f may be formed to a minimum.

또한, 상기 경유슬롯홈(242f)은 상기 하측 플랜지부(242b)의 두께에 대응하여 개구되되, 상기 하측 플랜지부(242b)의 두께가 상기 와이어(L)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단턱부(248)에 지지되면서 인출된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상기 경유슬롯홈(242f)을 통해 상기 체결홈부(244)로 재인입시 상기 경유슬롯홈(242f)의 내측면에 지지되면서 꺾인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의 절곡부(Lc)는 상호간의 최소한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제2결속공(245b)과 상기 경유슬롯홈(242f) 사이를 경유하되, 상기 지지단턱부(248)와 상기 경유슬롯홈(242f)의 내측면에 동시에 지지된다. In addition, the via slot groove 242f is opened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ower flange portion 242b, and the thickness of the lower flange portion 242b is preferably form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wire L. Therefore, when the end (Lb) of the wire drawn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stepped part 248 is re-enter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44 through the gas oil slot groove 242f, the inner surface of the gas oil slot groove 242f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bent state can be fixed. That is, the bent portion (Lc) of the wire passes between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and the via slot groove (242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minimum interval, the support stepped portion (248) and the via It is simultaneously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lot groove (242f).

따라서, 상기 와이어의 절곡부(Lc)가 마주보는 내면 사이의 꺾이는 각도가 최소한으로 좁게 형성되므로 상기 와이어(L)가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조작에도 상기 와이어(L)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L)가 결속되는 부분의 간격을 조절하거나 단턱을 형성하는 단순한 방법만으로 상기 와이어(L)가 견고하게 결속되므로 상기 릴부(240)의 구성이 심플하게 설계 및 제작될 수 있어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bending angl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wire facing the bent portion (Lc) is formed to be narrow to the minimum, the wire (L) can be firmly bound, and the loosening of the wire (L) is prevented even with repeated manipulation. Can be. In addition, since the wire (L) is firmly bound by simply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portion to which the wire (L) is bound or by forming a stepped jaw, the configuration of the reel unit 240 can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in a simple manner. Thi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더욱이, 상기 경유슬롯홈(242f)과 상기 제2결속공(245b)은 외측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엣지부(245e)를 갖는 구획벽(245d)에 의해 구분됨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assage slot groove 242f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245b are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245d having at least one edge portion 245e at an outer end thereof.

상세히, 상기 와이어(L)는 상기 제1결속공(245a), 상기 제2결속공(245b) 그리고 상기 경유슬롯홈(242f)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상기 제2결속공(245b)과 상기 경유슬롯홈(242f)을 상하로 구분하는 상기 구획벽(245d)의 외측 단부를 감싸도록 결속된다. 이때, 상기 구획벽(245d)은 외면측에 상기 엣지부(245e)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에 따라 상기 구획벽(245d)을 감싸는 상기 와이어의 절곡부(Lc)가 상기 엣지부(245e)에 지지되면서 급격한 꺾임 부분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구획벽(245d)의 외측 단부를 감싼 상기 와이어(L)가 결속된 후 장기간 사용시 반대방향으로의 풀림이 방지되므로 더욱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In detail, the wire (L) passes through the first binding hole (245a),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and the gas oil slot groove (242f) sequentially while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and the diesel slot It is bound to surround the outer end of the partition wall 245d that divides the groove 242f up and down. At this time, as at least one edge portion 245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245d, a bent portion Lc of the wire surrounding the partition wall 245d is supported by the edge portion 245e. As a result, a sharp bend is formed. Through this, since the wire (L) surrounding the outer end of the partition wall 245d is bound and then used for a long time, loosen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prevented, so that it can be more firmly bound.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엣지부(245e)가 상기 외면측에 단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구획벽(245d)의 종단면 형상이 삼각 형상에 대응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하였으나, 상기 엣지부(245e)가 두개로 형성되어 사각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t this time, in the drawing, as the edge portion 245e is formed singly on the outer surface side,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artition wall 245d corresponds to a triangular shape, but the edge portion 245e is formed in two. It may be formed to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quare shape, such a modification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에 적용된 릴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돌출부(249)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는 상기 릴부(240)의 하면이 상측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후술되는 하향 또는 하측으로 설명되는 부분은 도면 상에서 상향 또는 상측으로 도시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reel portion applied to the wire wind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protrusion 249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is omitted.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is modified example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a state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reel unit 240 is disposed upward, and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a portion described as downward or downward is shown upward or upward on the drawing. Do.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홈부(244)의 바닥면(244d)에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정렬 지지되는 돌출부(249)가 단차지게 돌설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a protrusion 249 on which the end Lb of the wire is aligned and supported may be stepped on the bottom surface 244d of the fastening groove 244.

상세히, 상기 돌출부(249)는 상기 경유슬롯홈(242f)의 수직방향으로 대응되는 상기 체결홈부(244)의 바닥면(244d)으로부터 돌설된 단턱으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체결홈부(244)의 바닥면(244d)과 상기 돌출부(249)의 돌출된 외면은 소정의 돌설높이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249)의 돌설높이는 상기 체결홈부(244)의 바닥면(244d) 및 상기 경유슬롯홈(242f)의 바닥면(244d)측 단부 사이의 어느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홈부(244)의 바닥면(244d), 상기 돌출부(249) 및 상기 경유슬롯홈(242f)이 다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돌출부(249)의 중앙부측에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안착되는 안착골(249a)이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protrusion 249 is formed as a stepped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244d of the fastening groove 244 correspo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as oil slot groove 242f, through which the fastening groove 244 The bottom surface 244d and the protruding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249 are formed stepp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249 may be set to a point between the bottom surface 244d of the fastening groove 244 and the end of the bottom surface 244d side of the via slot groove 242f. Accordingly, the bottom surface 244d of the fastening groove 244, the protrusion 249, and the gas oil slot groove 242f may be stepped in multiple stages. In addition, a seating bone 249a on which the end Lb of the wire is seated may be form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protrusion 249.

이에 따라, 상기 경유슬롯홈(242f)을 통하여 상기 체결홈부(244)의 내측으로 재인입되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상기 체결홈부(244)의 바닥면(244d) 및 상기 경유슬롯홈(242f)과 동시에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이 상기 와이어의 단부(Lb)를 가압하는 힘이 더욱 증가하면서도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에 의해 꺾인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end (Lb) of the wire re-enter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244 through the via slot groove (242f) is the bottom surface (244d) of the fastening groove (244) and the via slot groove ( 242f) can be formed stepped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the force of pressing the end portion Lb of the wire by the portion La of the wire further increases, while the state where the end portion Lb of the wire is bent by the portion La of the wire is maintained firmly. I can.

더욱이, 상기 안착골(249a)에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안착되면서 결속 위치가 고정되면서도 상기 와이어의 단부(Lb) 및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이 상호 가압 접촉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뿐만 아니라 상기 안착골(249a)과도 마찰되는 면적이 증가되므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조립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착골(249a)이 함몰되면서 그 양측이 단턱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인입되는 위치가 자동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L)를 상기 릴부(240A)에 더욱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도 있다.Moreover, while the end (Lb) of the wire is seated on the seating bone (249a), the binding position is fixed, and the area in which the end (Lb) of the wire and a portion (La) of the wir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relatively increased. I can. Through this, since the area in which the end portion Lb of the wire rubs against not only the portion La of the wire, but also the seating bone 249a is increased, it can be fixed more firmly, and assembly stability may be remarkably improved. In addition, as the seating bone 249a is depressed, both sides thereof are formed as stepped jaws,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end portion Lb of the wire is inserted is automatically aligned. Therefore, the wire (L) may be more easily bound to the reel (240A).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200)는 중앙부가 관통되어 외주측의 협소한 공간에 와이어(L)의 양단부를 회전 대칭형태로 결속하던 종래와 달리, 상기 릴부(240)의 중앙부까지 상기 와이어(L)를 결속하기 위한 경유/결속공간으로 전체적으로 활용 가능하다. 또한, 각 상기 결속공(245a,245b) 및 상기 경유슬롯홈(242f)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L)의 결속방향이 일정하므로 취부 및 결속작업이 용이하다.Through this, the wire winding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entral part of the reel part 240,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both ends of the wire L are bound in a rotationally symmetrical form in a narrow space on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Until the wire (L) can be used as a whole as a via / binding space for binding. 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binding holes 245a and 245b and the via slot groove 242f are form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the binding direction of the wire L is constant, so that it is easy to install and bind.

이때, 상기 경유슬롯홈(242f)이 상기 체결홈부(244)의 개구측 단부에 대응하는 하측 플랜지부(242b)에 형성되므로 상기 권취바디부(241)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에 상기 와이어의 단부(Lb)가 견고하게 가압될 수 있는 가압단차가 최대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릴부(240)를 최소한의 두께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릴부(240)가 적용되는 제품이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oil passage slot groove 242f is formed in the lower flange portion 242b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end of the fastening groove 244, a portion of the wire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winding body 241 is not increased) ( La) has a maximum pressure step that can be firmly pressed to the end (Lb) of the wire. Through this, the reel unit 240 can be manufactured with a minimum thickness, and a product to which the reel unit 240 is applied can be manufactured compactly.

더욱이, 상기 제1결속공(245a)과 상기 제2결속공(245b)을 경유하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La)이 상기 제2결속공(245b)의 내측 내주면(245c)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돌설된 상기 지지단턱부(248)의 일면에 지지되어 꺾인 상태가 고정된다. 이를 통해, 제품의 반복적인 조작에도 상기 와이어(L)의 결속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Moreover, a portion (La) of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first binding hole (245a) and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is continuously extend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45c) of the second binding hole (245b). The bent state is fixed by being support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ed stepped portion 248. Through this, even if the product is repeatedly manipulated, the bound state of the wire L can be firmly maintained.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hav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an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otherwise,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excluding components, but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possible to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claim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210: 회전커버
220: 기어부 230: 하우징부
240: 릴부 241: 권취바디부
242: 플랜지부 242f: 경유슬롯홈
243: 수납홈 244: 체결홈부
245: 와이어결속부 248: 지지단턱부
260: 결합베이스부 L: 와이어
200: wire winding control device 210: rotating cover
220: gear unit 230: housing unit
240: reel part 241: winding body part
242: flange portion 242f: light oil slot groove
243: storage groove 244: fastening groove
245: wire binding portion 248: support stepped portion
260: coupling base L: wire

Claims (5)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납되되, 회전 조작시 중앙부에 구비된 구동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조작수단과 선택적으로 물림 결합되어 연동 회전되면서 외주에 와이어가 권취되는 릴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부는
상면측에 상기 구동돌기의 단부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고 하면측이 함몰되어 체결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가 결속되도록 상기 체결홈부의 바닥면과 인접하되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이 경유되는 제1결속공 및 제2결속공이 상호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 와이어결속부를 포함하는 원기둥형의 권취바디부; 및
마주보는 내면 사이에 와이어권취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권취바디부의 외주면 상하측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돌설되되, 상기 체결홈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에 가압되도록 상기 제1결속공 및 상기 제2결속공 사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개구된 경유슬롯홈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In the wire take-up control device comprising a reel unit housed inside the housing unit, which is selectively engaged with a rotation operation means that rotates around a driving protrusion provided in the central unit during rotation operation, and rotates interlockingly, and the wire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The reel part
A first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end of the driving protrusion is accommoda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ide, and the lower side is recessed to form a fastening groove, and is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so that the wire is bound, but a portion of the wire passes through the first. A cylindrical winding body portion including a wire binding portion formed through a binding hole and a second binding ho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oedoe extending radially outward along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body so that a wire wind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facing inner surfaces, the end of the wire drawn into the fastening groove is pressed against a part of the wire. A wire take-up control device comprising a pair of flange portions having a gas oil slot groove open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inding ho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부에는 상기 제2결속공을 통해 인출되되 상기 경유슬롯홈을 통해 재인입되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이 꺾인 상태가 지지되도록, 일면이 상기 제2결속공의 내측 내주면과 연속적으로 연장된 지지단턱부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astening groove part, one side is continuously extended with the inn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so that a part of the wire, which is drawn out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and re-inserted through the via slot, is supported.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protru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유슬롯홈은 상기 체결홈부의 개구측 테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하측 플랜지부에 형성되되, 상기 경유슬롯홈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1결속공 또는 상기 제2결속공은 상기 체결홈부의 함몰깊이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as oil slot groove is formed on a lower flange portion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opening-side edge of the fastening groove, and the inner end of the gas oil slot groove and the first or second fastening hole are Wire take-up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dep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속공과 상기 제2결속공은 각 관통 경로가 기설정된 각도에 대응하여 교차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유슬롯홈과 상기 제2결속공은 외측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엣지부를 갖는 구획벽에 의해 구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inding hole and the second binding hole are formed so that each through path crosses corresponding to a preset angle,
The wire winding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as oil slot groove and the second binding hole are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having at least one edge portion at an outer end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유슬롯홈의 수직방향으로 대응되는 상기 체결홈부의 바닥면측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이 가압되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골이 형성된 돌출부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wire take-up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formed with a seating bone on which an end portion of the wire to which a part of the wire is pressed is mounted is protrud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ia slot groove.
KR1020190070435A 2019-06-14 2019-06-14 wire winding adjust apparatus Active KR1022083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435A KR102208341B1 (en) 2019-06-14 2019-06-14 wire winding adjust apparatus
EP20822306.5A EP3984405A4 (en) 2019-06-14 2020-07-07 Wire winding adjusting device and wire reel
US17/618,149 US12091281B2 (en) 2019-06-14 2020-07-07 Wire winding adjusting device and wire reel
PCT/KR2020/008858 WO2020251341A1 (en) 2019-06-14 2020-07-07 Wire winding adjusting device and wire reel
CN202080042350.8A CN114158252B (en) 2019-06-14 2020-07-07 Wire curl adjusting device and winding ro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435A KR102208341B1 (en) 2019-06-14 2019-06-14 wire winding adjus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15A KR20200142915A (en) 2020-12-23
KR102208341B1 true KR102208341B1 (en) 2021-01-27

Family

ID=7408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435A Active KR102208341B1 (en) 2019-06-14 2019-06-14 wire winding adjus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34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579B1 (en) 2016-11-29 2017-04-06 주식회사 신경 apparatus for fastening wire
KR101810365B1 (en) 2017-05-16 2017-12-20 하영호 Binding structure of wire reel and wire for easy manufacturing, and wire reel used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159B1 (en) * 2010-04-30 2023-08-16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Reel based lacing system
JP6105404B2 (en) * 2013-06-18 2017-03-29 株式会社ジャパーナ Shoelace winding reel
KR101782151B1 (en) 2015-06-12 2017-10-13 김석환 Apparatus for tightening st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579B1 (en) 2016-11-29 2017-04-06 주식회사 신경 apparatus for fastening wire
KR101810365B1 (en) 2017-05-16 2017-12-20 하영호 Binding structure of wire reel and wire for easy manufacturing, and wire reel used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15A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158252B (en) Wire curl adjusting device and winding roll
KR102494446B1 (en) Reel-based closure system
JP7418034B2 (en) footwear closure system
KR200400568Y1 (en) The 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US6694643B1 (en) Shoelace adjustment mechanism
US6427361B1 (en) Variable ratio control shoe with automatic tying and untying shoelace
US5349764A (en) Shoe securement apparatus
US20030126726A1 (en) U-shaped lace buckle
US11395527B2 (en) No bow lace loopers
US20090205175A1 (en) Accessories for string of footwear
KR102143929B1 (en) Apparatus for tightening string
US20160324270A1 (en) Clasp and System
US6718602B1 (en) Structure of a buckle to fasten shoelaces
KR102208341B1 (en) wire winding adjust apparatus
ITFI20060066U1 (en) FOOTWEAR WITH SOLE AND SEPARABLE UPPER
KR102641753B1 (en) Divice for shoelace tightening
US20030070269A1 (en) Lace buckle
KR102298250B1 (en) apparatus for fastening wire
KR102224456B1 (en) wire winding adjust apparatus
CN101513291B (en) Shoelace tightness-controlling device and shoes
KR200440027Y1 (en) Shoelace Fasteners
CN201171394Y (en) Bootlace tightness control device and shoes
KR102254695B1 (en) Shoestring Fixing Apparatus, and Fixing Method of Shoestring using the same, and Shoes including the same
KR102838674B1 (en) Footwear closure system
CN218073762U (en) Cord retaining device and wearable articl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