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7443B1 -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443B1
KR102207443B1 KR1020130089014A KR20130089014A KR102207443B1 KR 102207443 B1 KR102207443 B1 KR 102207443B1 KR 1020130089014 A KR1020130089014 A KR 1020130089014A KR 20130089014 A KR20130089014 A KR 20130089014A KR 102207443 B1 KR102207443 B1 KR 102207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function
object area
input
tex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889A (ko
Inventor
정호영
김도현
김지훈
이동창
이동혁
이재웅
장원석
황성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08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443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910202043.0A priority patent/CN110069203B/zh
Priority to CN201480042000.6A priority patent/CN105453017B/zh
Priority to EP14829480.4A priority patent/EP3008559B1/en
Priority to RU2018146477A priority patent/RU2706951C2/ru
Priority to AU2014293763A priority patent/AU2014293763B2/en
Priority to PCT/KR2014/006900 priority patent/WO2015012669A1/en
Priority to RU2016106288A priority patent/RU2677393C2/ru
Priority to US14/444,242 priority patent/US10216350B2/en
Publication of KR20150012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889A/ko
Priority to US16/227,896 priority patent/US1131437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4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7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GUI 제공 방법은 GUI로 사용할 이미지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GUI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 영역에 대응되는 GUI 아이콘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것으로써, 특히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말 장치(특히 모바일(mobile)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단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단말 장치에는 해당 장치의 제조사에 의해 제작되어 해당 장치에 설치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들과, 인터넷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판매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추가 어플리케이션들 등이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어플리케이션들은 일반 개발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상기 판매 웹사이트에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누구든지 자신이 개발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판매 웹사이트를 통하여 자유롭게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단말 장치에는 그 제품에 따라 수만에서 수십 만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단말 장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사용하여 단말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GUI는 단말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제공하는 GUI가 사용되거나, 어플리케이션 판매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GUI 패키지를 저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공되는 GUI를 수정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배경 이미지를 변경하거나, GUI에 사용되는 아이콘의 이미지를 미리 제공되는 아이콘 이미지 내에서 변경하거나,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GUI를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GUI를 변경하더라도, 미리 제공되는 배경 이미지나, 아이콘 이미지 등의 범위 내에서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GUI의 변경에 많은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이콘의 이미지는 미리 정해진 매트릭스 크기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설정하거나 배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GUI 설정의 제약으로 인해, 보다 독창적이고 개인화된 GUI를 사용하기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아이콘의 크기나 배치에 제한 없이 GUI를 구성 및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구성한 GUI를 사용하여 단말 장치의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말의 GUI 제공 방법은, GUI로 사용할 이미지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GUI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 영역에 대응되는 GUI 아이콘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 장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터치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 및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이미지를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GUI로 사용할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GUI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 영역에 대응되는 GUI 아이콘을 설정하는 제공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자유롭게 드로잉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GUI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배경이미지와 아이콘 이미지를 포함하는 GUI 이미지 상에 아이콘을 구성함으로써, 아이콘의 배열이나, 크기에 제한 없이, 다양하게 GUI를 구성 및 사용할 수 있다.
셋째, GUI 이미지 구현된 아이콘 상태에서 직접 필기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시 필기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을 반영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1b 및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단말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따라 제공되는 GUI의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구비되는 GUI를 설정하는 과정의 상세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사용되는 GUI 편집 프로그램의 예시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사용되는 GUI에 사용할 이미지의 일 예시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서 객체 영역을 선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서 객체 영역에 연결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 9a 내지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서 사용되는 GUI 데이터의 일 예시도,
도 10은 전술한 도 4의 214 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서 사용되는 위젯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구비되는 GUI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구비되는 GUI를 통해 필기 입력을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모듈(120), 입/출력 모듈(130), 저장부(150), 전원공급부(160), 터치스크린(171),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를 포함한다.
우선, 제어부(110)는 CPU(111), 단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단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단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모듈(120), 입/출력 모듈(130), 저장부(150), 전원공급부(160), 터치스크린(171),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싱글코어로 이루어지거나,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 등과 같이 복수의 코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코어의 수는 단말의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그려진 그림이나,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사진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을 GUI의 아이콘(icon)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이와 같이 구성한 GUI의 아이콘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등을 통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실행한다.
통신모듈(120)은 셀룰러 모듈, 무선랜 모듈 및 근거리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단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셀룰러 모듈은 단말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 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랜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무선랜 모듈은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서 제공하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랜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WPS(Wi-Fi Positioning System)를 구동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단말 장치(100)와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는 모듈로써,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30)은 버튼(131), 스피커(132), 진동모터(133), 키패드(134), 및 스타일러스 펜(13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31)은 상기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3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셀룰러 모듈, 무선랜 모듈 및 근거리통신 모듈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단말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32)는 상기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3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피커(132) 및 진동모터(133)는 단말 장치(100)의 볼륨운영모드의 설정 상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장치(100)의 볼륨운영모드는 소리모드, 진동모드, 소리&진동모드, 무음모드로 운영될 수 있으며, 이들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설정된 모드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스피커(132) 또는 진동모터(133)의 동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키패드(134)는 단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34)는 단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71)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단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135)은 터치스크린(171)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135)이 터치스크린(171)에 근접 또는 접촉함에 따라, 터치스크린(171)이 상기 스타일러스 펜(135)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모듈(120), 입/출력 모듈(130), 터치스크린(171)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단말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50),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단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 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단말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60)는 장치에 구비된 커넥터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단말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6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단말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단말의 운영체제(OS; Operation System)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등)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는 제어부(110)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터치스크린(171)에 표시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171)의 출력 값을 제어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는 터치스크린(171)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7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71)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단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b 및 1c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의 전면(100a) 중앙에는 터치스크린(171)이 배치된다. 상기 터치스크린(171)은 단말 장치(100)의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된다. 도 1b는 상기 터치스크린(171)에 락 스크린(170a)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락 스크린(170a)은 단말 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171)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보안정보(예컨대, 비밀번호, 보안패턴 등)를 입력하여, 단말 장치(100)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화면이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보안정보(예컨대, 비밀번호, 보안패턴 등)의 유효성을 확인한 후, 락 스크린의 해제를 진행하여 홈 스크린(도 1c, 170b)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진행한다.
또한, 락 스크린(170a)은 비밀번호를 입력받거나, 보안 패턴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별도의 보안정보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비밀번호 또는 보안 패턴을 입력받지 않고 사용자의 터치입력 또는 드레그 입력에 의해 홈 스크린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홈 스크린(170b)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스크린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스크린들 중 첫 번째 홈 스크린은 메인 홈 스크린일 수 있다. 홈 스크린(170b)에는 자주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71a, 171b, 171c), 메인 메뉴 전환키(171d),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메뉴 전환키(171d)는 상기 터치스크린(171) 상에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71)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 볼륨운영모드와 같은 단말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Status Bar, 172)가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홈 스크린(170b)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들과 연결되는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GUI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홈스크린에 구비된 GUI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GUI에 포함된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71)의 하부에는 홈 버튼(131a), 메뉴 버튼(131b), 및 뒤로 가기 버튼(131c)이 형성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홈 버튼(131a)은 터치스크린(171)에 메인 홈 스크린(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71)에 상기 메인 홈 스크린과 다른 홈 스크린(any Home screen)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키(131a)가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71)에 메인 홈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71) 상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71a)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스크린(171)상에는 도 1c에 도시된 메인 홈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31a)은 상기 터치스크린(171)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31b)은 터치스크린(171)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13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장치(100)의 전면(100a) 상부 중앙부분에는 스피커(13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의 측면(100b)에는 예를 들어 전원/리셋 버튼(131d), 볼륨버튼(131e)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전술한 단말 장치(100)의 저장부(150)에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의 실행을 위해 제어부(110) 내에 포함된 램(RAM, 113)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에 따른 상기 프로그램 명령에 대응하여, 단말 장치(1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수행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면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또는 지속적으로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의 실행에 필요한 UI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은 전술한 단말 장치(100)에 마련 되어 그 동작이 실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은 GUI를 제공하는 환경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에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은 크게 이미지를 사용하여 GUI를 설정하는 동작(210 단계)과, 상기 GUI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동작(220~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210 단계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이미지를 입력받는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이미지는 사용자에 의해 그려진 그림이나,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사진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존재하는 영역(이하, '객체 영역'이라 함.)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을 GUI의 아이콘(icon)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실행명령을 각각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명령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하는 명령이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인자를 포함하는 실행 명령 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명령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명령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에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명령들은 매크로 형태로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매크로 정보가 더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 영역은 위젯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에 소정의 데이터를 반영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210 단계를 통해 설정된 GUI가 단말 장치(100)의 홈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이벤트,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됨에 대응하여,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된 영역을 확인한다(220-예).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확인하고, 상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230).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상기 230 단계를 수행한다(240).
나아가, 상기 22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호버링 등과 같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호버링 등과 같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해당 영역에 위치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이미지(예컨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301, 도 3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미지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호버링 등과 같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시, 해당 영역에 위치한 아이콘에 대응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지 않으면(220-아니오),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발생을 대기하는 동작을 진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전술한 220 내지 240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진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구비되는 GUI를 설정하는 과정의 상세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GUI를 설정하는 과정은, GUI를 편집하기 위해 단말에 구비되는 GUI 편집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그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211). 예컨대, 홈 스크린(170b) 상에, 상기 GUI 편집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GUI 편집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GUI 편집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GUI 편집 프로그램(500, 도 5a 참조)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드로잉 툴(501)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GUI 편집 프로그램(500)은 상기 드로잉 툴(501)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새로운 이미지를 그릴 수 있는 드로잉 창(502)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드로잉 창(502)은 사용자가 새로운 이미지를 보다 용이하게 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레이어를 생성 및 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드로잉 창(502)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조합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잉 창(502)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이미지를 불러들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GUI 편집 프로그램(500)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이미지를 불러들여 하나의 제1레이어(503)를 형성하고, 상기 제1레이어(503)의 상부에 오버랩되어 사용자가 그리는 이미지가 생성되는 제2레이어(504)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GUI 편집 프로그램(500)은 사용자가 상기 제1레이어(503) 및 제2레이어(504)를 모두 포함하는 이미지를 형성하거나, 상기 제2레이어(504) 만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레이어(503)에 포함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보다 용이하게 드로잉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와 다른 예로써, 상기 GUI 편집 프로그램(500)은 사용자가 직접 이미지를 그리지 않더라도, 저장부(150)에 저장된 이미지에 소정의 이미지 처리 효과(또는 필터)(505, 도 5참조)를 적용하여 이미지를 구성할 수도 있다(5c 참조).
이와 같이 GUI 편집 프로그램(500)이 제공하는 드로잉 툴(501), 드로잉 창(502), 이미지 처리 효과(505)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GUI에 사용할 이미지를 구성함에 따라, 212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구성한 상기 GUI에 사용할 이미지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그리고, 212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GUI에 사용할 이미지(600, 도 6참조)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213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GUI에 사용할 이미지에서, GUI에 사용할 객체 영역을 설정한다.
상기 GUI에 사용할 객체 영역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역을 기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GUI 편집 프로그램(500)은 사용자로부터 객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객체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객체 설정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되는 영역을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성하여 객체 영역을 설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701, 도 7a참조). 또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상기 객체 설정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되는 영역을 자유롭게 연결하여 생성되는 폐쇄형 도형을 생성함으로써, 객체 영역을 설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702, 도 7b참조).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GUI 편집 프로그램(500)에서 제공하는 객체 설정 기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객체 영역을 입력받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른 예로써, 상기 객체 설정 기능은 GUI에 사용할 이미지에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객체 영역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7c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GUI에 사용할 이미지에서 에지 영역을 검출하는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한 후,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703)의 에지(704)를 검출하고(도 7c 참조), 상기 검출된 에지를 기반으로 객체 영역(705, 도 7d 참조)을 설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GUI 편집 프로그램(500)에서 제공하는 객체 설정 기능을 통해 상기 GUI에 사용할 이미지에서, 객체 영역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214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GUI에 사용할 객체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을 연결하여, 아이콘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에 수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리스트화 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801, 도 8a 참조)를 터치스크린(171)을 통해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801) 중에서, 상기 GUI에 사용할 객체 영역에 연결할 어플리케이션을 입력받는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기 GUI에 사용할 객체 영역에, 상기 입력받은 어플리케이션을 연결하여, 대응되는 아이콘을 설정한다.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는 상기 단말 장치에 수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는데,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빈도수, 어플리케이션 용량의 크기, 문자 배열 순서(예컨대, 가나다 순서, ABC 순서) 등을 고려하여 정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상기 객체 영역에 연결할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정렬함에 있어서, 상기 GUI에 사용할 객체 영역과 상대적으로 유사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객체 영역에 포함된 이미지를 잘라낸 후, 이미지 검색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잘라낸 이미지(802)에 대응되는 아이콘 이미지(803-1, 803-, 803-3, 도 8b참조)를 검색한 후,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804). 예컨대,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단말 장치에 수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얻어오는 API 호출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수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이미지를 대상으로, 상기 잘라낸 이미지(802)에 대응되는 아이콘 이미지(803-1, 803-, 803-3, 도 8b참조)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른 예로써,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필기 입력(805), 또는 문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문자 검색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파일 명(또는 어플리케이션 이름, 어플리케이션 종류 등)을 검색한 후,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806, 도 8c참조). 예컨대,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단말 장치에 수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얻어오는 API 호출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수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파일 명(또는 어플리케이션 이름, 어플리케이션 종류 등)을 대상으로, 상기 필기 입력(805), 또는 문자 입력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전술한 과정을 통해 구성된 데이터(예컨대, GUI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내지 9c를 참조하면, 상기 GUI 데이터는 GUI 이미지 정보(910) 및 객체 정보(920)를 포함할 수 있다. GUI 이미지 정보(9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예컨대, GUI 이미지 식별자(911)와, 상기 GUI로 사용하기 위해 입력된 이미지 값을 포함하는 GUI 이미지 데이터(9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객체 정보(920)는 GUI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객체 식별자(921), 상기 객체 영역을 지시하는(예컨대, 상기 객체 영역이 존재하는 위치, 객체 영역이 존재하는 영역의 범위 등) 객체 영역 데이터(922), 및 상기 객체 영역에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923)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GUI 이미지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객체 정보(920)는 상기 GUI 이미지 내에 포함된 객체 영역의 수에 대응하는 만큼의 객체 식별자(921), 객체 영역 데이터(922),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자(923)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전술한 도 4의 214 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1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213단계에서 선택된 객체 영역이 위젯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지를 확인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우선적으로 상기 객체 영역에 포함된 이미지를 잘라낸 후, 이미지 검색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잘라낸 이미지(1101, 1103)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검색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미지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위젯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객체 영역이 위젯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위젯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단말 장치에 수록하는 과정에서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위젯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위젯 기능에 사용할 데이터를 검출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1001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검색함에 있어서, 제어부(1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이미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서 사용하는 이미지 등을 대상으로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검색함에 있어서, 제어부(110)는 상기 잘라낸 이미지(1101, 1103)와, 상기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사이의 유사도를 더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잘라낸 이미지(1101, 1103)와, 상기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사이의 유사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미지가 검색된 것으로 처리하고, 상기 유사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미지가 검색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위젯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시간과 관련된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데이터를 위젯의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해 제공하는 '시계 어플리케이션', 일정과 관련된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데이터를 위젯의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해 제공하는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이미지를 GUI로 사용기 위해 구성된 것임을 고려하여, 비교적 단순한 데이터를 위젯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시계 어플리케이션'과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위젯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하게 변경 또는 준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선택된 객체 영역이 위젯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경우, 1002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1002단계에서, 상기 객체 영역에 위젯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어부(110)는 상기 객체 영역에 포함된 이미지(1101, 1103)에서, 위젯 데이터를 제공할 영역(1102, 1104)을 검출한다. 예컨대, 1001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객체 영역이 '시계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1002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객체 영역에 포함된 이미지(1103)에서 시간과 관련된 데이터를 삽입할 영역(1104)을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1003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영역에 상기 시간과 관련된 데이터(예컨대, 현재 날자, 현재 시간 등)를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된 객체 영역이 위젯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경우, 1004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1004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에 수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리스트화 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터치스크린(171)을 통해 제공한다(801, 도 8a 참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는 상기 단말 장치에 수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는데,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빈도수, 어플리케이션 용량의 크기, 문자 배열 순서(예컨대, 가나다 순서, ABC 순서) 등을 고려하여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상기 객체 영역에 연결할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정렬함에 있어서, 상기 GUI에 사용할 객체 영역과 상대적으로 유사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객체 영역에 포함된 이미지를 잘라낸 후, 이미지 검색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잘라낸 이미지(802)에 대응되는 아이콘 이미지를 검색한 후,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803-1, 803-2, 803-3, 도 8b참조). 또한, 이와 다른 예로써,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필기 입력(805, 도 8c참조), 또는 문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문자 검색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파일 명(또는 어플리케이션 이름, 어플리케이션 종류 등)을 검색한 후,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806, 도 8c참조).
다음으로, 1005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GUI에 사용할 객체 영역에 연결할 어플리케이션을 입력받는다. 이에 따라, 1006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GUI에 사용할 객체 영역에 상기 입력받은 어플리케이션을 연결하여, 대응되는 아이콘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도 10을 통해 예시한 전술한 도 4의 214 단계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객체 영역이 위젯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아닌지에 따라, 상기 GUI 데이터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214 단계의 다른 실시예에 대응하여, 제어부(110)는 상기 216단계에서 구성되는 GUI데이터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9d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상기 GUI 데이터(900)에 포함된 객체 정보(920)에, 전술한 객체 식별자(921), 객체 영역 데이터(922),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자(923)와 함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지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종류 정보(92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종류 정보(924)는 상기 객체 영역이 위젯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아닌지 여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종류 정보(924)에 수록된 데이터가 상기 객체 영역이 위젯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위젯 기능과 관련된 데이터를 별도로 수록할 필요는 없으나, 상기 어플리케이션 종류 정보(924)에 수록된 데이터가 상기 객체 영역이 위젯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임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객체 정보(920)가 상기 위젯 기능과 관련된 데이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종류 정보(924)에 수록된 데이터가 상기 객체 영역이 위젯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임을 지시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객체 정보(920)가 상기 객체 영역 내에서, 상기 위젯 기능이 적용될 영역, 예컨대, 위젯 데이터 영역 정보(925)와, 위젯 데이터(926)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위젯 데이터 영역 정보(925)는 위젯 데이터 영역의 범위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젯 데이터(926)는 상기 위젯 기능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직접 수록하거나, 상기 위젯 기능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에 연결되는 링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구비되는 GUI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12를 참조하면, 220단계에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 되었음을 확인함에 따라, 1201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필기 입력 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필기 입력이 아닌 경우(1201-아니오), 제어부(110)는 상기 220단계에서 확인된 영역에 존재하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수행한다(1202).
반면,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필기 입력인 경우(1201-예), 제어부(110)는 상기 필기 입력 값을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1203).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20단계에서 확인된 영역에 존재하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호출하고, 상기 필기 입력 값을 반영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처리하게 된다.
예컨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웹 검색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필기 입력 값을 키워드로 한 웹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인 경우(1301, 도 13a 참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필기 입력 값을 키워드로 하는 연락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통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필기 입력 값을 키워드에 대응되는 연락처로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필기 입력 값을 키워드에 대응되는 연락처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당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 메시징 창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1302, 도 13b참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필기 입력 값을 키워드로 한 일정을 검색하거나, 상기 필기 입력 값을 키워드로 한 일정을 생성하는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시계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필기 입력 값에 대응하는 시간으로 알람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필기 입력 값을 키워드로 하는 음악에 대한 검색 및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른 예로써, 제어부(110)는 상기 필기 입력 값에 대응하여 하기에 예시되는 표1과 같은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필기 입력 값 대응되는 처리 동작
카메라 V 비디오 촬영 동작
C 카메라 촬영 동작
시계 A 알람 설정 동작
S 스톱워치 동작
T 타이머 동작
음악 재생 R 음악 랜덤 재생 동작
S 재생 종료 동작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필기 입력 값을 반영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동작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및 준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필기 입력 값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필기 입력 값에 대한 대안으로써, 다양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1101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제스처 입력 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상기 제스처 입력인 경우(1101-예), 제어부(110)는 상기 1103단계에서, 상기 제스처 입력 값을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1103). 그리고, 110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20단계에서 확인된 영역에 존재하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호출하고, 상기 제스처 입력 값을 반영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처리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 또는 이후에 설정된 일정을 표시하는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현재 재생중인 음악 리스트 상에서 이전 또는 다음에 정렬된 음악을 재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용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기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프로그램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제공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에 상기 프로그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제공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이 특정 장소 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에 상기 프로그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홈 스크린으로 표시하는 동작-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 각각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제1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포함된 객체의 이미지와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아이콘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이미지와 유사한 아이콘 이미지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으로 설정됨-;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 중 제1객체 영역 안에서 제2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이 필기 입력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이 상기 필기 입력이면, 상기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 상기 제1객체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기능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수의 기능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대응하는 키워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 중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상기 제1객체 영역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1객체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이 상기 필기 입력이 아니면,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상기 제1객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수의 기능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기초하여 확인된 기능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웹 검색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기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키워드로 이용한 웹 검색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기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키워드로 이용한 연락처 검색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전화 어플리케이션 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기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대응하는 연락처로 음성 전화 기능 또는 메시지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기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키워드로 이용한 스케줄 검색 기능 또는 스케줄 생성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시계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기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이용한 알람 기능 또는 타이머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기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이용한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기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이용한 재생 기능 또는 재생 종료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2. 삭제
  13.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홈 스크린으로 표시하고-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 각각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제1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포함된 객체의 이미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아이콘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이미지와 유사한 아이콘 이미지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으로 설정됨-,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 중 제1객체 영역 안에서 제2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이 필기 입력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이 상기 필기 입력이면, 상기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 상기 제1객체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기능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수의 기능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대응하는 키워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영역 중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상기 제1객체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제1객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이 상기 필기 입력이 아니면, 상기 제2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상기 제1객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수의 기능들 중 상기 기능을 확인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웹 검색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기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키워드로 이용한 웹 검색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기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키워드로 이용한 연락처 검색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전화 어플리케이션 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기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대응하는 연락처로 음성 전화 기능 또는 메시지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기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키워드로 이용한 스케줄 검색 기능 또는 스케줄 생성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89014A 2013-07-26 2013-07-26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207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014A KR102207443B1 (ko) 2013-07-26 2013-07-26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4/444,242 US10216350B2 (en) 2013-07-26 2014-07-2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EP14829480.4A EP3008559B1 (en) 2013-07-26 2014-07-2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RU2018146477A RU2706951C2 (ru) 2013-07-26 2014-07-28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графиче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пользователя
AU2014293763A AU2014293763B2 (en) 2013-07-26 2014-07-2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PCT/KR2014/006900 WO2015012669A1 (en) 2013-07-26 2014-07-2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CN201910202043.0A CN110069203B (zh) 2013-07-26 2014-07-28 电子设备和操作电子设备的方法
CN201480042000.6A CN105453017B (zh) 2013-07-26 2014-07-28 提供图形用户界面的方法和装置
RU2016106288A RU2677393C2 (ru) 2013-07-26 2014-07-28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графиче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пользователя
US16/227,896 US11314371B2 (en) 2013-07-26 2018-12-2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014A KR102207443B1 (ko) 2013-07-26 2013-07-26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889A KR20150012889A (ko) 2015-02-04
KR102207443B1 true KR102207443B1 (ko) 2021-01-26

Family

ID=5239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014A Active KR102207443B1 (ko) 2013-07-26 2013-07-26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216350B2 (ko)
EP (1) EP3008559B1 (ko)
KR (1) KR102207443B1 (ko)
CN (2) CN105453017B (ko)
AU (1) AU2014293763B2 (ko)
RU (2) RU2677393C2 (ko)
WO (1) WO20150126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443B1 (ko) * 2013-07-26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U353073S (en) * 2013-09-03 2013-1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with icon for an electronic device
USD745893S1 (en) * 2013-09-03 201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77739S1 (en) * 2014-02-21 2017-01-31 Lenovo (Beijing)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4373S1 (en) * 2014-02-21 2017-04-18 Lenovo (Beijing)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6318S1 (en) 2014-03-07 2016-09-1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0740S1 (en) * 2015-01-23 2016-07-05 Your Voice Usa Corp. Display screen with icon
JP6728590B2 (ja) * 2015-08-06 2020-07-22 株式会社リコー 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015721A (zh) 2016-10-20 2017-08-0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应用界面的管理方法和装置
KR102823380B1 (ko) * 2019-02-22 202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이용하여 콘텐트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D946018S1 (en) 2020-06-18 2022-03-1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995297B2 (en) * 2021-03-08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hanced user interface (UI) button control for mobile applications
US20230350941A1 (en) * 2022-04-29 2023-11-02 Apple Inc. Contextual text lookup for imag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4719A1 (en) 2010-10-13 2012-04-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5611B1 (en) * 1996-10-17 2001-08-14 Motorola, Inc. Handwriting recognition device, method and alphabet, with strokes grouped into stroke sub-structures
US6018710A (en) * 1996-12-13 2000-01-25 Siemens Corporate Research, Inc. Web-based interactive radio environment: WIRE
US6377288B1 (en) * 1998-01-12 2002-04-23 Xerox Corporation Domain objects having computed attribute values for use in a freeform graphics system
US6476834B1 (en) * 1999-05-28 2002-1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creation of selectable items on surfaces
US7176896B1 (en) * 1999-08-30 2007-02-13 Anoto Ab Position code bearing notepad employing activation icons
IL132929A (en) * 1999-11-14 2004-09-27 Ycd Multimedia Dynamic user interface
AU2628301A (en) * 2000-01-06 2001-07-16 Zen Optical Technology Llc Pen-based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and storage system
US6956562B1 (en) * 2000-05-16 2005-10-18 Palmsource,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handheld computer by entering commands onto a displayed feature of the handheld computer
US7913185B1 (en) * 2001-10-25 2011-03-22 Adobe Systems Incorporated Graphical insertion of JavaScript pop-up menus
US6938221B2 (en) * 2001-11-30 2005-08-30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stylus-based user input
EP1639439A2 (en) * 2003-06-13 2006-03-29 The University Of Lancaster User interface
US7324691B2 (en) 2003-09-24 2008-01-29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hape recognition of hand-drawn objects
US20050084082A1 (en) 2003-10-15 2005-04-21 Microsoft Corporation Designs, interfaces, and policies for systems that enhance communication and minimize disruption by encoding preferences and situations
US7298904B2 (en) * 2004-01-14 2007-1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ing handwritten character input for handwriting recognition
US8448083B1 (en) * 2004-04-16 2013-05-21 Apple Inc. Gesture control of multimedia editing applications
US20070016861A1 (en) 2005-07-15 2007-01-1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modular, context-aware active graphical user interface objects
US20070106931A1 (en) * 2005-11-08 2007-05-10 Nokia Corporation Active notes application
KR20070120368A (ko) 2006-06-19 2007-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인터페이스 기반의 메뉴 아이콘 제어방법 및 장치
TWI399671B (zh) * 2007-01-19 2013-06-21 Lg Electronics Inc 透過觸碰輸入裝置之資訊輸入
CN101477432B (zh) * 2008-01-04 2012-02-08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打开应用程序方法与功能图像显示方法
US8607161B2 (en) * 2008-05-09 2013-12-10 Blackberry Limited Configurable icon sizing and placement for wireless and other devices
KR101509245B1 (ko) * 2008-07-31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패턴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방법
KR101609162B1 (ko) * 2008-11-13 2016-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US8423916B2 (en) * 2008-11-20 2013-04-16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GB0823706D0 (en) * 2008-12-31 2009-02-04 Symbian Software Ltd Fast data entry
US20100281435A1 (en) * 2009-04-30 2010-11-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multimodal interaction using robust gesture processing
KR101071843B1 (ko) * 2009-06-12 2011-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40188A (ko) 2009-10-13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아이콘 표시 방법
CA2780765A1 (en) * 2009-11-13 2011-05-19 Google Inc. Live wallpaper
KR101722616B1 (ko) * 2009-12-24 2017-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10077231A (ko)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아이리버 사용자 맞춤 ui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방법
WO2011099808A2 (en) * 2010-02-12 2011-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20110202864A1 (en) * 2010-02-15 2011-08-18 Hirsch Michael B Apparatus and methods of receiving and acting on user-entered information
US20110258581A1 (en) * 2010-04-14 2011-10-20 Wei-Han Hu Method for adjusting size of an icon and related handheld device
CN101872285A (zh) 2010-06-13 2010-10-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桌面系统的方法及装置
KR101660746B1 (ko) * 2010-08-24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 설정 방법
JP5748436B2 (ja) 2010-09-10 2015-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2431870B1 (en) * 2010-09-17 2019-11-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021402B1 (en) * 2010-09-24 2015-04-28 Google Inc. Operation of mobile device interface using gestures
KR101728703B1 (ko) * 2010-11-24 2017-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배경 이미지 활용 방법
KR101172663B1 (ko) 2010-12-31 2012-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애플리케이션 그룹화 방법
KR101781852B1 (ko) * 2011-01-04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20216152A1 (en) * 2011-02-23 2012-08-23 Google Inc. Touch gestures for remote control operations
EP2523433B1 (en) * 2011-05-09 2015-11-25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n input to an electronic device
US8819576B2 (en) 2011-05-09 2014-08-26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n input to an electronic device
US20130036374A1 (en) * 2011-08-03 2013-02-07 Melamed Ofe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banner on a website
KR20130052753A (ko) * 2011-08-16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2298533B (zh) * 2011-09-20 2015-05-13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激活应用程序的方法及终端设备
US9619139B2 (en) * 2011-10-03 2017-04-11 Kyocera Corporatio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292195B2 (en) * 2011-12-29 2016-03-2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implementing restricted interactions for applications
CN102664991A (zh) 2012-03-29 2012-09-12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功能图标的设置方法
KR101315957B1 (ko) * 2012-05-21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29301B1 (ko) * 2012-08-20 2019-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필기 제스처 인식을 통한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50289B1 (ko) * 2012-08-30 2020-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KR102059800B1 (ko) * 2012-08-30 2019-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CN103019821B (zh) * 2012-12-07 2016-09-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应用的实现方法及终端
US20140165012A1 (en) * 2012-12-12 2014-06-12 Wenbo Shen Single - gesture device unlock and application launch
US20140320391A1 (en) * 2012-12-28 2014-10-30 Gaurav BAZAZ Methods for improvements in mobile electronic devices
CN103064691B (zh) * 2013-01-30 2016-04-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制作电子设备桌面图标的方法和装置
US8943092B2 (en) * 2013-03-04 2015-01-27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ink based contextual search
CN103150083B (zh) * 2013-03-14 2016-01-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自定义桌面图标的显示方法及装置
US9461882B1 (en) * 2013-04-02 2016-10-04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Gesture-based network configuration
KR102203885B1 (ko) * 2013-04-26 2021-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7443B1 (ko) * 2013-07-26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50049009A1 (en) * 2013-08-13 2015-02-19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wide handwritten notes
KR20150025214A (ko) * 2013-08-28 201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에 비주얼 객체를 중첩 표시하는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20150037209A (ko) * 2013-09-30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전자 장치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20150126494A (ko) * 2014-05-02 2015-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154555A1 (en) * 2014-12-02 2016-06-02 Lenovo (Singapore) Pte. Ltd. Initiating application and performing function based on input
US9530318B1 (en) * 2015-07-28 2016-12-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uchscreen-enabled electronic device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providing pilot handwriting interface for flight deck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4719A1 (en) 2010-10-13 2012-04-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93763B2 (en) 2019-07-04
EP3008559B1 (en) 2020-05-06
AU2014293763A1 (en) 2015-12-24
US11314371B2 (en) 2022-04-26
US10216350B2 (en) 2019-02-26
US20190121496A1 (en) 2019-04-25
RU2016106288A (ru) 2017-08-29
CN110069203B (zh) 2022-04-05
RU2018146477A3 (ko) 2019-09-09
EP3008559A1 (en) 2016-04-20
CN105453017B (zh) 2019-04-05
CN110069203A (zh) 2019-07-30
RU2677393C2 (ru) 2019-01-16
RU2018146477A (ru) 2019-02-18
RU2706951C2 (ru) 2019-11-22
RU2016106288A3 (ko) 2018-06-07
EP3008559A4 (en) 2017-05-03
US20150033164A1 (en) 2015-01-29
CN105453017A (zh) 2016-03-30
KR20150012889A (ko) 2015-02-04
WO2015012669A1 (en)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443B1 (ko)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U20132376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reset operation mode using voice recognition
KR10208018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잠금 해제 방법
CN104424359B (zh) 用于根据字段属性来提供内容的电子设备和方法
KR1020897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4836B1 (ko) 모바일 장치에서의 메뉴 표시 장치 및 방법
WO2019205065A1 (zh) 快速打开应用或应用功能的方法及终端
KR20150022599A (ko) 전자장치의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
EP27530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US10095324B2 (en) Method for handling pen multi-input event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091509B1 (ko) 문자 입력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JP2019510299A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
US11460971B2 (e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140258821A1 (en) Web pag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US100634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messages
KR20150000414A (ko) 미디어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CN114675897A (zh) 一种应用程序的启动方法及相关装置
KR20140109651A (ko)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10162508B2 (en) Content items stored in electronic devices
KR20150024009A (ko) 사용자 입력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17259B1 (ko) 전자토큰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402587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ower saving mode of terminal
KR20140108943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7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7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