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184B1 - Communication method in cellular network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method in cellular net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7184B1 KR102207184B1 KR1020140055724A KR20140055724A KR102207184B1 KR 102207184 B1 KR102207184 B1 KR 102207184B1 KR 1020140055724 A KR1020140055724 A KR 1020140055724A KR 20140055724 A KR20140055724 A KR 20140055724A KR 102207184 B1 KR102207184 B1 KR 1022071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de
- terminal
- control information
- base station
- component carri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간(Device-to-Device; D2D) 직접 통신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의 통신 방법은 제1 단말이 기지국에 대하여 제2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to-device (D2D) direct communication in a cellular network.
A communication method o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the steps of: by a first terminal transmitting a scheduling request for communication with a second terminal to a base station,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first terminal transmitting data to the second terminal through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steps. .
Description
본 발명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간(Device-to-Device; D2D) 직접 통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ethod in a cellular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to-device (D2D) direct communication in a cellular network.
일반적으로 단말간 직접 통신은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 인프라의 도움없이 단말기기가 서로 직접 통신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단말간 직접 통신으로 가장 잘 알려진 방식으로는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 방식이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인프라의 도움없이 수행되는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 방식은 과금이 없는 대신 비면허 대역에서 운용되고 상호 간섭을 고려하지 않아 일정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In general,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refers to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without the help of a network infrastructure such as a base station. The best known metho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s a Bluetooth or wireless LAN method. However, a Bluetooth or wireless LAN method performed without the help of a network infrastructur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re is no billing, but operates in an unlicensed band and does not take into account mutual interference, so that a certain quality of service cannot be guaranteed.
이에 최근에는, 모든 데이터를 기지국을 통해 전송함에 따르는 데이터의 고부하 현상에 대처하고, 저비용으로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의 단말간 직접 통신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의 단말간 직접 통신은 일반적인 단말간 직접 통신과는 달리 기지국이 단말간 직접 통신을 일부 또는 전체를 제어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introduction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on a cellular network has been discussed in order to cope with a high data load phenomenon due to transmission of all data through a base station and to increase data transmission efficiency at low cost. In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on a cellular network, a method of guaranteeing quality of service at a low cost by controlling part or all of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s considered, unlike general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종래기술에 의한 선행기술문헌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 기반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 셀룰러 기지국(eNodeB)이 단말간 직접 통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및 자원 할당 등을 수행하여 단말간 직접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단말간 직접 통신 방식을 제시하였다. In the prior art docu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controlling direct data transmission between terminals by performing scheduling and resource allocation require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by a cellular base station (eNodeB) on an LTE (Long Term Evolution)-based cellular network. The method was presented.
그러나, 종래기술의 방식은 데이터를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간에는 데이터 전송에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이하 PUSCH)을 사용한다. 상향링크 자원 할당(UL-Grant)을 위한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이하 PDCCH)이 PUSCH의 전송보다 네 서브프레임(subframe) 이전에 전송되므로, PUSCH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단말인 제1 단말은 PDCCH 복조 후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PUSCH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method,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is used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erminals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Since th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for UL resource allocation (UL-Grant) is transmitted four subframes prior to transmission of the PUSCH, the data transmission terminal using the
또한, 종래기술의 방식은 상기 PUSCH 전송 신호에 대한 ACK/NACK 응답을 데이터 수신 단말인 제2 단말이 제1 단말로 상향링크 물리 채널인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이하 PUCCH)을 통해 직접 전송하도록 하였다.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method, the second terminal, which is a data receiving terminal, sends an ACK/NACK response to the PUSCH transmission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and uses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which is an uplink physical channel. Directly sent through.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제1 단말에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UL-Grant)을 위한 PUCCH 수신 기능을 부가하여야 하고, 데이터가 PUSCH를 통해 전송되므로 제2 단말에는 PUSCH 수신 기능을 부가하여야 한다. However,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a PUCCH reception function for uplink resource allocation (UL-Grant) should be added to the first terminal, and since data is transmitted through a PUSCH, a PUSCH reception function should be added to the second terminal.
또한, 일반적인 LTE 시스템에서는 PUSCH에 대한 ACK/NACK응답은 하향링크 물리 채널인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PUSCH에 대한 ACK/NACK응답을 PUCCH를 통해 전송하려면 기존 시스템을 대폭 수정하여야 한다. In addition, in a general LTE system, since the ACK/NACK response to the PUSCH is transmitted through the downlink physical channel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the existing system is used to transmit the ACK/NACK response to the PUSCH through the PUCCH. It must be revised drastically.
아울러, 종래기술에 의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식은 기지국이 ACK/NACK 응답을 획득하지 않고 제1 단말이 직접 ACK/NACK 응답 정보를 획득하므로, 기지국에 의한 단말간 직접 통신의 전체적인 제어가 어렵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the base station does not obtain an ACK/NACK response and the first terminal directly obtains ACK/NACK response information, so it is difficult to control overall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by the base station.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변화 및 복잡도 증가를 최소화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를 활용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using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that minimizes changes and complexity of a general communication system.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의 통신 방법은 제1 단말이 기지국에 대하여 제2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communication method o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the steps of: by a first terminal transmitting a scheduling request for communication with a second terminal to a base station,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first terminal transmitting data to the second terminal through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step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소정의 전송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PDSCH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어정보가 포함된 서브프레임부터 상기 소정의 전송 타이밍 이후의 서브프레임에,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ommunication method over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timing, and transmitting the data through a PDSCH is performed by the first terminal. The data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a subframe including control information to a subframe after the predetermined transmission tim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송 타이밍은 4 서브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ommunication method over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transmission timing is characterized in that 4 subfram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단말로부터 ACK/NACK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ACK/NACK 응답을 복조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복조된 ACK/NACK 응답을 NACK 응답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통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재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재생성된 제어정보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ommunication method over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receiving an ACK/NACK response from the second terminal, the base station demodulating the ACK/NACK response, the If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e demodulated ACK/NACK response as a NACK response, re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using the regenerat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second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로부터 ACK/NACK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ACK/NACK 응답을 복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복조된 ACK/NACK 응답을 NACK 응답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PDSCH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communication method over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an ACK/NACK response from the second terminal, the first terminal demodulating the ACK/NACK response And, when the first terminal determines the demodulated ACK/NACK response as a NACK response,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PDSCH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To d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단말로부터 ACK/NACK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ACK/NACK 응답을 복조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복조된 ACK/NACK 응답을 NACK 응답으로 판정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통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재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재생성된 제어정보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ommunication method over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receiving an ACK/NACK response from the second terminal, the base station demodulating the ACK/NACK response, the Re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e demodulated ACK/NACK response as a NACK response, and the base station regenerates the regenerat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PDSCH의 채널품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채널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통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재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재생성된 제어정보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ommunication method o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receiv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of the PDSCH from the second terminal,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channel quality inform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the regenerat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1 단말 사이, 및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통신은 주 요소 캐리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통신은 보조 요소 캐리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ommunication method o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first terminal an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second terminal is performed using a primary element carrier,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characterized by using an auxiliary component carri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주 요소 캐리어의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보조 요소 캐리어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및 소정의 전송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communication method o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of the primary component carrier, and the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condary component carrie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information for specifying and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tim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요소 캐리어는 양면 요소 캐리어(paired component carrier)이고,상기 보조 요소 캐리어는 단면 요소 캐리어(unpaired component carri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ommunication method o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mponent carrier is a paired component carrier, and the auxiliary component carrier is an unpaired component carrier. To do.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존의 통신 규격 변화를 최소화면서 기지국 제어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 채널을 이용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단말 구현에 복잡성을 저감할 수 있고, 기지국에 의한 단말간 직접 통신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base station control terminals while minimizing changes in existing communication standards in a cellular system. In addition, by providing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using a downlink channel, the complexity of implementing a terminal can be reduced, and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can be controlled by a base station.
또한, 주 요소 캐리어 및 보조 요소 캐리어의 교차 스케줄링을 함으로써, 기지국(300)을 거치는 일반적인 LTE 시스템에 의한 통신과 본 발명에 의한 단말간 직접 통신을 병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데이터 트래픽의 급격한 증가에도 데이터의 적절한 송수신 분담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by performing cross-scheduling of the primary component carrier and the secondary component carrie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mbination of communication using a general LTE system passing through the
도 1은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및 단말간 직접 통신이 이루어지는 환경을 나타낸다.
도 2는 기지국을 통한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이 수행되는 요소 캐리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에 기반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에 기반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에 기반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이 수행되는 주 요소 캐리어 및 보조 요소 캐리어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이 수행되는 주 요소 캐리어 및 보조 요소 캐리어에 대한 캐리어 지시자의 일례를 나타낸다.1 shows an environment in which cellular network communication and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re performed.
2 shows a cellular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a base station.
3 shows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xample of a component carrier on which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5 shows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based on base station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based on base station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based on base station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primary component carrier and a secondary component carrier on which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n example of a carrier indicator for a primary component carrier and a secondary component carrier on which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사물 간 통신 방법의 각 단계는 일련번호를 붙여 설명되지만 일련번호의 순서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description, the same number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under these rules, contents described in other drawings may be cited and described. In addition, content that is determined to be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r is repeated may be omitted. In addition, although each step of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objects described below is described with a serial numb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the serial numbers.
도 1은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및 단말간 직접 통신이 이루어지는 환경을 나타낸다.1 shows an environment in which cellular network communication and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re performed.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통신 및 단말간 직접 통신은 기지국이 커버하는 셀, 제1 단말(100), 제2 단말(200), 및 기지국(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이 제2 단말(200)로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는 기지국을 통한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및 기지국을 통하지 않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기지국을 통한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방법을 설명하고,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을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1, network communication and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may include a cell covered by a base station, a
도 2는 기지국을 통한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방법을 나타낸다. 2 shows a cellular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a base sta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말(100)은 상향링크 채널을 통해 기지국(3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기지국(300)은 수신한 데이터를 다시 하향링크 채널로 제2 단말(200)로 전송한다. 제1 단말(100), 제2 단말(200), 및 기지국(300)의 통신 방법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2, the
S201 단계에서는 제1 단말(100)이 기지국(300)으로 상향링크 물리 채널인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이하 PUCCH)을 통해 상향링크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을 전송한다. In step S201, the
S202 단계에서 기지국(300)은 제1 단말(100)이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어서 기지국(300)은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UL-Grant)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결과(제어정보)를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이하 PDCCH)을 통해 전송한다. In step S202, the
S203 단계에서는, S202 단계에서 수신한 제어정보을 담은 서브프레임의 4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프레임에, 제1 단말(100)이 제어정보에 의하여 할당된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이하 PUSCH)을 통해 데이터를 기지국(300)으로 전송한다.In step S203, in subframes after 4 subframes of the subframe containing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202, the
S204 단계에서는 기지국(300)이 상기 PUSCH를 통하여 전송된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PUSCH의 서브프레임부터 4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프레임에, 하향링크 물리채널인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를 통해 제1 단말(100)로 전송한다.In step S204, the
S205 단계에서 기지국(300)은 제1 단말(100)이 전송한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면, 해당 데이터를 제2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후 기지국(300)은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DL-Grant)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결과(제어정보)를 PDCCH을 통해 제2 단말(200)로 전송함과 아울러, 제1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데이터를 상기 PDCCH의 제어정보가 지시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통해 전송한다. 이때 상기 PDCCH의 제어정보가 지시한 PDSCH는 상기 PDCCH가 포함된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In step S205, when all data transmitted by the
S206 단계에서 제2 단말(200)은 PDCCH를 통해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PDCCH의 제어정보가 지시하는 PDSCH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복원한다. 이후 제2 단말(200)은 상기 복원된 데이터의 ACK/NACK 정보를 기지국(300)으로 4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 물리 제어채널인 PUCCH을 통해 전송한다.In step S206,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을 나타낸다.3 shows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은 제1 단말(100)이 기지국(300)에 대하여 제2 단말(200)과의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301), 기지국(300)이 제1 단말(100)과 제2 단말(200) 간의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S302),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200)이 통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303), 제1 단말(100)이 상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제2 단말(200)에 대하여 데이터를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S304), 제2 단말(200)이 수신한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S305), 및 제2 단말(200)이 ACK/NACK 응답을 기지국(300) 및 제1 단말(100)로 전송하는 단계(S30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301 단계에서는 제1 단말(100)이 기지국(300)으로 제2 단말(200)과의 직접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요청(SR)을 PU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301, the
S302 단계에서 기지국(300)은 S301 단계에서 수신한 스케줄링 요청을 바탕으로 제1, 2 단말(100, 200)이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하기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스케줄링 결과(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DL-Grant)) 및 전송 타이밍에 관한 정보(k값)는 제어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전송 타이밍(k값)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PDCCH의 서브프레임 이후, 몇 번째 서브프레임에 PDSCH를 통해 데이터를 제2 단말(200)로 전송할지 나타내는 정보이다.In step S302, the
S303 단계에서는 기지국(300)이 S302 단계에서 생성된 제어정보를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300)은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DL-Grant) 및 전송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PDCCH를 통해 제1 단말(100) 및 2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303, the
S304 단계에서 제1 단말(100)은 전송 타이밍(k값)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PDCCH를 통하여 수신된 제어정보가 포함된 서브프레임부터 k번째 이후의 서브프레임에, PDSCH를 통해 데이터를 제2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304, the
S305 단계에서 제2 단말(200)은 상기 k번째 이후 서브프레임의 PDSCH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In step S305, the
S306 단계에서 제2 단말(200)은 데이터 복원 결과에 대한 ACK/NACK 응답을 상기 k번째 이후 서브프레임부터 4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에 포함된 PUCCH를 통해 기지국(300) 및 제1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306,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이 수행되는 요소 캐리어의 일례를 나타낸다.4 shows an example of a component carrier on which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이 수행되는 요소 캐리어(4100, 4200)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인 제1 단말(100)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인 제2 단말(200) 사이의 직접 통신에서는 하향링크 요소 캐리어(4100) 및 상향링크 요소 캐리어(4200)를 이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element carriers 4100 and 4200 on which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For example, in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하향링크 요소 캐리어(4100)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4110, 4120, 4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은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경우에는 하향링크 요소 캐리어(4100) 내 각 서브프레임에는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채널로서 PDCCH(4111)가 예로 들어져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 내에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의 경우에는 n+k번째 서브프레임(4120) 내에 PDSCH(4122)가 포함되어 있다. The downlink component carrier 4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frames (eg,
상향링크 요소 캐리어(4200)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42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은 예를 들어 ACK/NACK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경우에는 상향링크 요소 캐리어(4200) 내 n+k+4번째 서브프레임(4230)에 ACK/NACK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로서 PUCCH(4231)가 예로 들어져 있다. The uplink component carrier 4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frames (eg, subframe 4230). In addition, the subframe may include, for example, a channel through which ACK/NACK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the case of FIG. 4, a
이하에서는 도 4를 도 3의 S303~S306 단계와 연관지어서 설명한다.Hereinafter, FIG. 4 will b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teps S303 to S306 of FIG. 3.
S303 단계와 관련하여, 제1 단말(100)은 PDCCH(4111)를 통해 제어정보(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DL-Grant), 전송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를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송 타이밍(k값)은 PDCCH(4111)을 통해 수신한 제어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당해 PDCCH(4111)가 포함된 서브프레임(4110)보다 어느 정도 이후의 서브프레임에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경우 k값은 4로 설정되어 있다. 제1 단말(100)은 PDCCH(4111)에 포함된 제어정보 및 이에 포함된 k값(도 4의 경우 k=4)에 기초하여, PDCCH(4111)가 포함된 서브프레임(4110)부터 k(=4)번째 이후의 서브프레임(4120) 내 PDSCH(4122)를 통해 데이터를 제2 단말(200)로 전송한다. In connection with step S303,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식을 일반적인 LTE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전송 타이밍(k값)은 복호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4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자원 할당과 실제 전송까지의 전체 시간 지연을 줄이기 위해 k값은 4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When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general LTE system, the transmission timing (k value) is preferably set to 4 in consideration of the decoding delay time. However, in order to reduce the total time delay between resource allocation and actual transmission, the k value may be set to a value less than 4.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전송 타이밍에 관한 정보(k값)를 제어정보에 포함시켜서 전송하지 않고, PDCCH에 포함된 RNTI(Radio Network Tempoary Identities)가 전송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미리 정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은 미리 정의된 RNTI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transmission timing information (k value) may not be included in the control information and transmitted, but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ies (RNTIs) included in the PDCCH may be predefined to include the transmission timing information. Through thi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a predefined RNTI.
S304 단계와 관련하여, 제1 단말(100)은 n+k번째 서브프레임(4120)의 PDSCH(4122)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PDSCH(4122)를 통해 데이터를 제2 단말(200)로 전송함에 있어서는 PDSCH(4122)에 CRS(Cell Reference Signal)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CRS없이 데이터의 복조가 가능하도록 PDSCH(4122)를 통해 DM-RS(Demodulaion Reference Signal)를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connection with step S304, the
한편,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는 PDSCH는 기지국(300)에서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에도 사용되며, 자원 할당에 관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PDCCH와 PDCCH의 제어 정보가 지시하는 PDSCH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되다. 다시 말해, 제2 단말(200)은 전송 타이밍(k값)을 '0'으로 보고 기지국(300)으로부터 PDCCH를 통한 제어정보와 PDSCH를 통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에 있어서는 PDSCH(예를 들어 PDSCH(4122))를 통한 데이터가 기지국이 아닌 단말(예를 들어 제1 단말(100))에 의하여 전송되므로, 기지국(300)이 전송하는 PDCCH(를 통한 제어정보)보다 이후에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에서는 전송 타이밍(k값)을 k>0으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기지국(300)과 단말(예를 들어 제2 단말(200)) 사이에서는 PDCCH를 통한 제어정보와 PDSCH를 통한 데이터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되고, 단말간 직접 통신에서는 PDCCH를 통한 제어정보와 PDSCH를 통한 데이터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 의하여 전송된다.Meanwhile, in the existing LTE system, the PDSCH is also used for data transmission from the
S305 단계와 관련하여, 제2 단말(200)은 PDSCH(4122)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함께 수신한 DM-RS를 이용하여 복원한다. In connection with step S305, the
S306 단계와 관련하여, 제2 단말(200)은 데이터 복원 결과에 대한 ACK/NACK 응답을 n+k+4번째 서브 프레임(4230)에 포함된 PUCCH(4231)를 통해 기지국(300) 및 제1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PUCCH(4231)를 통해 전송되는 ACK/NACK 응답은 하향링크 요소 캐리어(4100)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요소 캐리어(4200)의 n+k+4번째 서브프레임(423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다른 요소 캐리어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될 수도 있다(이에 대하여는 후술). Regarding step S306,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단말(100)에서 제2 단말(200)로 데이터를 PDSCH를 통해 전송하고, PDSCH에 대한 ACK/NACK 응답은 PUCCH를 통해 전송되므로 전체적인 LTE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종래기술의 방식, 즉 제2 단말이 PUSCH에 대한 ACK/NACK 응답을 PUCCH를 통해 제1 단말로 직접 전송하는 방식은 시스템의 대폭적인 수정을 요한다. 일반적인 LTE 시스템에서 PUSCH에 대한 ACK/NACK 응답은 PHICH를 통해 전송되기 때문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PDCCH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부터 k번째 서브프레임 이후에 PDSCH를 통해 데이터가 제2 단말(200)로 전송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단말(100)이 PDCCH를 통해 제어정보를 수신한 후, PDSCH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k 서브프레임 동안의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하여는 제1 단말에 PDSCH의 전송 기능을 추가하여야 하나, 종래기술의 방식, 즉 PUSCH의 수신 기능을 추가하는 것보다는 구현에 복잡도가 낮은 이점이 있다.In addi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DSCH transmission function must be added to the first terminal, but the implementation is less complex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that is, adding a PUSCH reception function. There is an advantage.
한편, LTE Release 8과는 달리 LTE Release 10에서는 CRS 없이 PDSCH를 코히이런트하게 복조할 수 있도록 DM-RS를 포함하는 PDSCH 전송 방식을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코히어런트(coherent) 복조를 위해 기지국과 단말이 동시에 CRS를 전송하는 것은 회피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unlike LTE Release 8,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에 기반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을 나타낸다.5 shows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based on base station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에 기반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은 S501~S505의 단계와, 제2 단말(200)이 ACK/NACK 응답을 기지국(300)으로 전송하는 단계(S506), 기지국(300)이 ACK/NACK 응답을 복조하는 단계(S507), 기지국(300)이 상기 복조된 ACK/NACK 응답이 NACK 응답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 제1 단말(100)과 상기 제2 단말(200)이 통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재생성하는 단계(S508), 기지국(300)이 상기 재생성된 제어정보를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S509), 제1 단말(100)이 상기 재생성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제2 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S510), 제2 단말(200)이 수신한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S511), 및 제2 단말(200)이 ACK/NACK 응답을 기지국(300)으로 전송하는 단계(S5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S501~S505 단계는 도 3의 단계 S301~S305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5,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based on base station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S501 to S505, and in which the
S506 단계에서 제2 단말(200)은 데이터 복원 결과에 대한 ACK/NACK 응답을 상기 k번째 이후 서브프레임부터 4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에 포함된 PUCCH를 통해 기지국(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506, the
S507 단계에서는, 기지국(300)이 PUCCH를 통해 전송된 ACK/NACK 응답을 복조할 수 있다. In step S507, the
S508 단계에서는 S507 단계에서 복조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1 단말에서 제2 단말에 대한 데이터의 재전송이 필요하거나 종전 데이터를 계속 전송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의 재전송이 필요하거나 종전 데이터를 계속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즉, NACK 응답인 경우) 기지국(300)은 단말간 직접 통신을 하기 위한 스케줄링을 다시 수행하여 제어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100)에서 제2 단말(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는 경우(ACK 응답인 경우)에는 기지국(300)은 단말간 통신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In step S508, based on the result of demodulation in step S507,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terminal needs to retransmit data to the second terminal or whether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ransmitting the previous data. When retransmission of data is required or when there is a need to continue transmitting the previous data (ie, in the case of a NACK response), the
S509 단계에서는 S508 단계(즉, NACK 응답인 경우)에서 재생성된 제어정보를 PDCCH를 통해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정보는 마찬가지로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DL-Grant) 및 전송 타이밍(k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step S509, the control information regenerated in step S508 (ie, in the case of a NACK response) may be transmitted to the
S510 단계에서 제1 단말(100)은 S509 단계에서 수신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정보가 포함된 서브프레임부터 k번째 이후의 서브프레임에, PDSCH를 통해 데이터를 제2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PDSCH를 통하여는 DM-RS가 데이터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In step S510,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509, the
S511 단계에서 제2 단말(200)은 DM-RS를 이용하여 상기 k번째 이후 서브프레임의 PDSCH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In step S511, the
S512 단계에서 제2 단말(200)은 데이터 복원 결과에 대한 ACK/NACK 응답을 상기 k번째 이후 서브프레임부터 4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에 포함된 PUCCH를 통해 기지국(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512, the
한편,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S507~S512의 단계는, 기지국(300)에서 PUCCH를 통한 ACK/NACK 응답이 ACK 응답을 나타낼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teps S507 to S512 may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ACK/NACK response through the PUCCH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에 의하면, 도 3, 4에서 설명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의 이점에 더하여, 기지국(300)은 수신한 ACK/NACK 응답을 기초로 스케줄링을 다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300)이 제1, 2 단말(100, 200)간 직접 통신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of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described in FIGS. 3 and 4, the
즉, 종래기술의 방식, 즉 PUSCH에 대한 ACK/NACK 응답을 PUCCH를 통해 제1 단말(100)에만 전송하는 경우와는 달리, 기지국(300)으로 ACK/NACK 응답을 전송하므로, 기지국에 의한 통신의 전체적 제어가 가능해진다.In other words, unlike the case of transmitting the ACK/NACK response to the PUSCH only to the
한편, 도 5에 의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에 의하면, 종래기술의 방식과는 달리, 제1 단말(100)은 ACK/NACK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PUCCH 수신기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 단말간 직접 통신을 구현하기 더욱 용이해진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FIG. 5, unlike the method of the prior art,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에 기반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을 나타낸다.6 shows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based on base station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에 기반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은 S601~S605의 단계와, 제2 단말(200)이 ACK/NACK 응답을 제1 단말(100)로 전송하는 단계(S606), 제1 단말(100)이 ACK/NACK 응답을 복조하는 단계(S607), 제1 단말(100)이 상기 복조된 ACK/NACK 응답이 NACK 응답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 제2 단말(200)에 대하여 기 수신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PDSCH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S608), 제2 단말(200)이 수신한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S609), 및 제2 단말(200)이 ACK/NACK 응답을 제1 단말(100)로 전송하는 단계(S6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S601~S605단계는 도 3의 단계 S301~S305와 마찬가지이고, 단계 S611 및 S612는 단계 S607 및 S608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6,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based on base station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of S601 to S605, and the
S606 단계에서 제2 단말(200)은 데이터 복원 결과에 대한 ACK/NACK 응답을 상기 k번째 이후 서브프레임부터 4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에 포함된 PUCCH를 통해 제1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606, the
S607 단계에서는 제1 단말(100)이 S606 단계에서 PUCCH를 통하여 수신한 ACK/NACK 응답을 복조할 수 있다.In step S607, the
S608 단계에서 제1 단말(100)은 제2 단말(200)에 대한 데이터의 재전송이 필요하거나 종전 데이터를 계속 전송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데이터의 재전송이 필요하거나 종전 데이터를 계속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즉, NACK 응답으로 판단된 경우) 제1 단말(100)은 ACK/NACK 응답이 전송된 PUCCH의 서브프레임부터 k번째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프레임에, 상기 S603 단계에서 수신한 제어정보가 지시하는 PDSCH를 통해 데이터를 제2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는 경우(ACK 응답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통신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In step S608, the
S609 단계에서 제2 단말(200)은 예를 들어 DM-RS를 이용하여 S608 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복원한다. In step S609, the
이어서, S610 단계에서 제2 단말(200)은 데이터 복원 결과에 대한 ACK/NACK 응답을 상기 k번째 이후 서브프레임부터 4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에, PUCCH를 통해 제1 단말(100)로 전송한다.Subsequently, in step S610, the
한편,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S607~S610의 단계는, 예를 들어 단계 S611과 S612로 부분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말(100)이 PUCCH를 통한 ACK/NACK 응답을 ACK 응답으로 판단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teps of S607 to S610 are, for example, until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에 의하면, 도 3, 4에서 설명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의 이점에 더하여, 제1 단말(100)에서 ACK/NACK 응답을 복조하여 데이터 전송 여하를 판단하므로, 경우에 따라서 불필요할 수 있는 기지국(300)에 의한 제어정보 전송을 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of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described in FIGS. 3 and 4, the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에 기반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을 나타낸다.7 shows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based on base station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에 기반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은, S701~S706의 단계와, 기지국(300) 및 제1 단말(100)이 ACK/NACK 응답을 복조하는 단계(S707, S708), 제1 단말(100)이 상기 복조된 ACK/NACK 응답이 NACK 응답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 제2 단말(200)에 대하여 기 수신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PDSCH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S709), 제2 단말(200)이 수신한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S710), 제2 단말(200)이 ACK/NACK 응답을 기지국(300) 및 제1 단말(100)로 전송하는 단계(S711)와, S712~S717의 단계와, 기지국(300)이 상기 복조된 ACK/NACK 응답이 NACK 응답으로 판정된 횟수에 기초하여 제1 단말(100)과 제2 단말(200)이 통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재생성하는 단계(S718), 및 기지국(300)이 상기 재생성된 제어정보를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S719)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based on base station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S701 to S706, and the
다만, 단계 S701~S706은 도 3의 단계 S301~S306와 동일하고, 단계 S712~S714, S715는 단계 S707~S709, S711과 각각 동일하고, 단계 S716 및 S717은 단계 S707 및 S708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However, steps S701 to S706 are the same as steps S301 to S306 of FIG. 3, steps S712 to S714 and S715 are the same as steps S707 to S709 and S711, respectively, and steps S716 and S717 are the same as steps S707 and S708. Description is omitted.
S707 및 S708 단계에서 기지국(300) 및 제1 단말(100)은 각각 PUCCH를 통하여 수신한 ACK/NACK 응답을 복조할 수 있다.In steps S707 and S708, the
S709 단계에서 제1 단말(100)은 제2 단말(200)에 대한 데이터의 재전송이 필요하거나 종전 데이터를 계속 전송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데이터의 재전송이 필요하거나 종전 데이터를 계속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즉, NACK 응답으로 판단된 경우) 제1 단말(100)은 ACK/NACK 응답이 전송된 PUCCH의 서브프레임부터 k번째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프레임에, 상기 S703 단계에서 수신한 제어정보가 지시하는 PDSCH를 통해 데이터를 제2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는 경우(ACK 응답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통신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In step S709, the
S710 단계에서 제2 단말(200)은 예를 들어 DM-RS를 이용하여 S709 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복원한다. In step S710, the
S711 단계에서 제2 단말(200)은 데이터 복원 결과에 대한 ACK/NACK 응답을 상기 k번째 이후 서브프레임부터 4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 프레임에, PUCCH를 통해 기지국(300) 및 제1 단말(100)로 전송한다.In step S711, the
S712~S714, S715 단계에 있어서는 각각 S707~S709, S711 단계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In steps S712 to S714 and S715, the same operation as steps S707 to S709 and S711 is performed, respectively.
한편, S707~S711 단계(혹은 S712~S715 단계)는, S708 단계(혹은 S713 단계)에 있어서 제1 단말(100)이 복조한 ACK/NACK 응답을 NACK 응답으로 판단한 경우,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teps S707 to S711 (or steps S712 to S715) may be repeatedly performed when the ACK/NACK response demodulated by the
S716 및 S717 단계에 있어서는 각각 S707, S708 단계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In steps S716 and S717, the same operation as in steps S707 and S708 is performed, respectively.
이어서 S718 단계에서, 기지국(300)은 S707~S711 단계(혹은 S712~S715 단계)가 반복하여 수행됨에 따라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재스케줄링이 필요하면, 재차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새로운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DL-Grant)를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ubsequently, in step S718, when rescheduling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s required as steps S707 to S711 (or steps S712 to S715) are repeatedly performed, the
구체적으로, 기지국(300)이 재스케줄링을 필요한 경우는, 예를 들어 기지국(300)이 S707, S712, S716 등의 단계에서 복조한 ACK/NACK 응답 중에서 NACK 횟수가 소정의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일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또한 재스케줄링이 수행하는 경우의 다른 예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PDSCH의 채널 품질이 소정의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즉, 제2 단말(200)은 데이터가 전송되는 PDSCH의 채널 품질(예를 들어 수신신호대잡음비)를 측정하고, 이 채널품질 정보(예를 들어 CQI(Channel-Quality Indicator))를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채널의 상태 정보와 함께 통해 기지국(300)으로 전송할 수 있는데, 기지국(300)은 채널 품질이 소정의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되면 S718 단계의 재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a case where rescheduling is performed, there is a case where the channel quality of the PDSCH through which data is transmitted does not meet a predetermined standard. That is, the
S719 단계에서 기지국(300)은 S718 단계의 재스케줄링에 의하여 생성된, 새로운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DL-Grant)를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PDCCH를 통해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719,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에 의하면, 도 3, 4에서 설명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의 이점에 더하여, 제1 단말(100)과 제2 단말(200) 간의 통신 장해나 오류에 의하여 NACK 응답이 계속하여 반복되는 경우, 또는 채널 품질이 낮아서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에 기지국(300)측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의 재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어 단말간 직접 통신의 안정성, 제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of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described in FIGS. 3 and 4, communication obstacles or errors between the
아울러, 제1 단말(100)에서 ACK/NACK 응답을 복조하여 데이터 전송 여하를 판단하므로, 경우에 따라서 불필요할 수 있는 기지국(300)에 의한 제어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지국(300)도 ACK/NACK 응답을 복조하므로, 통신 장해등에 의하여 과도하게 반복적으로 제1 단말(100)이 데이터를 제2 단말(200)로 전송하는 경우 다시금 단말간 직접 통신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효과적인 기지국에 의한 단말간 직접 통신의 제어가 가능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이 수행되는 주 요소 캐리어 및 보조 요소 캐리어를 나타낸다.8 shows a primary component carrier and a secondary component carrier on which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이 수행되는 주 요소 캐리어(8100, 8200) 및 보조 요소 캐리어(8300)가 도시되어 있다. 주 요소 캐리어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동작을 위하여 주파수로써 하향링크 요소 캐리어(8100)와 상향링크 요소 캐리어(8200)로 분할한 양면 요소 캐리어(paired component carrier)일 수 있다. 또한, 보조 요소 캐리어(8300)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 동작을 위하여 서브프레임마다 하향링크과 상향링크를 시간으로 분할한 단면 요소 캐리어(unpaired component carrier)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주 요소 캐리어의 하향링크 요소 캐리어(8100)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8110, 8120, 8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 요소 캐리어(8100) 내 각 서브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채널로서 PDCCH가 예로 들어져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 내에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번째 서브프레임(8110) 내에 PDSCH(8122)가 포함될 수 있다. The
주 요소 캐리어의 상향링크 요소 캐리어(8200)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8210, 82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은 예를들어 ACK/NACK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경우에는 n+k+4번째 서브프레임(8230)에 ACK/NACK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로서 PUCCH(8231)가 예로 들어져 있다. The
보조 요소 캐리어(8300)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8310, 8320, 8330))을 포함할 수 있다.보조 요소 캐리어(8300)의 서브프레임 내에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k번째 서브프레임(8320) 내에 PDSCH(8322)가 포함될 수 있다. The
한편 도 8의 보조 요소 캐리어(8300)는 하향링크인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보조 요소 캐리어(8300)는 상향링크이어도 또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가 혼재한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요소 캐리어(8300)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 동작을 위한 단면 요소 캐리어뿐만 아니라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단면 요소 캐리어로 구현되어도 좋다.Meanwhile, although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요소 캐리어 및 보조 요소 캐리어를 이용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은, 기지국(300)이 단말들(100, 200)과 통신하는 데 사용하는 요소 캐리어와 단말간 직접 통신에 사용하는 요소 캐리어를 달리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300)과 제1, 2 단말(100, 200) 사이의 통신에는 주 요소 캐리어(8100, 8200)가 이용될 수 있고, 제1 단말(100)과 제2 단말(200) 사이의 직접 통신에는 보조 요소 캐리어(8300)가 이용될 수 있다.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using a primary component carrier and a secondary component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mponent carrier used by th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요소 캐리어 및 보조 요소 캐리어를 이용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은, 주 요소 캐리어(8100, 8200)로 송수신되는 제어정보로 보조 요소 캐리어(8300)의 PDSCH를 지시하고, 이 PDSCH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이른바 교차 캐리어 스케줄링(cross carrier scheduling) 방식을 포함한다. That is,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using a primary component carrier and an auxiliary component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the PDSCH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요소 캐리어 및 보조 요소 캐리어를 이용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을 도 8과, 도 3의 S303~S306 단계와 연관지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using a primary component carrier and a secondary component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teps S303 to S306 of FIG. 8 and FIG. 3.
S303 단계와 관련하여, 제1 단말(100)은 PDCCH(8111)를 통해 제어정보(PDSCH(8322)에 대한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DL-Grant) 및 전송 타이밍에 관한 정보(k값)를 포함함)를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PDCCH(8111)에 포함된 제어정보 및 이에 포함된 k값(도 8의 경우 k=4)에 기초하여, PDCCH(8111)가 포함된 서브프레임(8110)부터 k(=4)번째 이후의 서브프레임(8320)의 PDSCH(8322)를 통해 데이터를 제2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Regarding step S303, the
S304 단계와 관련하여, 제1 단말(100)은 n+k번째 서브프레임(8320)의 PDSCH(8322)를 통해 데이터를 제2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PDSCH(8322)를 통해 데이터를 제2 단말(200)로 전송함에 있어서는 CRS없이 데이터의 복조가 가능하도록 PDSCH(8322)를 통해 DM-RS를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connection with step S304, the
S305 단계와 관련하여, 제2 단말(200)은 PDSCH(8322)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함께 수신한 DM-RS을 이용하여 복원한다. In connection with step S305, the
S306 단계와 관련하여, 제2 단말(200)은 데이터 복원 결과에 대한 ACK/NACK 응답을, 주 요소 캐리어의 상향링크 요소 캐리어(8200) 내 n+k+4번째 서브 프레임(8230)에, PUCCH(8231)를 통해 기지국(300) 및 제1 단말(100)로 전송한다. Regarding step S306, the
한편, 기지국(300)에서 제2 단말(200)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PDCCH(8111)를 통해 전송되는 다른 제어정보(PDSCH(8122)에 대한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DL-Grant) 및 전송 타이밍에 관한 정보(k값)를 포함함)는 PDSCH(8122)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는 기지국(300)에서 제2 단말(200)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즉, 도 2의 S205 단계의 경우)이므로, 전송 타이밍(k값)은 '0'으로 설정된다. 이로써, 제2 단말(200)은 PDSCH(8122)를 지시하는 상기 다른 제어정보와, 상기 다른 데이터를 동일한 서브프레임(8110)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으므로, 단말간 직접 통신에 의한 PDSCH(8320)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에 의하면, 도 3, 4, 6, 7에서 설명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의 이점에 더하여, 주 요소 캐리어 및 보조 요소 캐리어의 교차 스케줄링을 함으로써, 기지국(300)을 거친 일반적인 LTE 시스템에 의한 통신과 본 발명에 의한 단말간 직접 통신을 병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데이터 트래픽의 급격한 증가에도 데이터의 적절한 송수신 분담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of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described in FIGS. 3, 4, 6, and 7, cross-scheduling a primary component carrier and a secondary component carrier, a base sta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mbination of communication by a general LTE system through 300 and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appropriately share data transmission/reception even with a rapid increase in data traffic.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이 수행되는 주 요소 캐리어 및 보조 요소 캐리어에 대한 캐리어 지시자의 일례를 나타낸다.9 shows an example of a carrier indicator for a primary component carrier and a secondary component carrier on which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시에는 교차 캐리어 스케줄링을 위하여, PDCCH의 제어정보에 포함된 캐리어 지시자를 이용할 수 있다. 캐리어 지시자는 3 비트로 구성되며 최대 8개의 서로 다른 요소 캐리어를 지시 또는 특정할 수 있다. In general, during carrier aggregation, a carrier indicator included in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PDCCH may be used for cross-carrier scheduling. The carrier indicator consists of 3 bits and can indicate or specify up to 8 different element carri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에 있어서, 주/보조 요소 캐리어(8100, 8200, 8300)의 특정 정보와 전송 타이밍(k값)에 관한 정보는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캐리어 지시자 (carrier indicator) 비트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지시자는 3bit 중 일부 비트를 요소 캐리어의 특정 정보로 사용하고, 잔부 비트는 전송 타이밍(k값)에 관한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In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information of the primary/
도 9(a)를 참조하면, 캐리어 지시자의 3 비트 가운데 좌측 1 비트는 전송 타이밍(k값)에 관한 정보로 사용하고, 나머지 2 비트는 요소 캐리어를 특정하는 정보로 사용한다. 즉 k=0 인 경우는 기지국에서 단말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를 나타내며, k=4인 경우는 단말간 직접 통신에 있어서 PDSCH를 통한 전송 타이밍(k값)이 4 서브프레임인 것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9(a), one bit on the left of the 3 bits of the carrier indicator is used as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timing (k value), and the remaining 2 bits are used as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component carrier. That is, when k=0 indicates a cas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when k=4 indicates that the transmission timing (k value) through the PDSCH is 4 subframes in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캐리어 지시자의 3 비트 가운데 좌측 2 비트는 전송 타이밍(k값)에 관한 정보로 사용하고, 나머지 1 비트는 요소 캐리어를 특정하는 정보로 사용한다. 즉 특정 가능한 요소 캐리어는 주 요소 캐리어 또는 보조 요소 캐리어 중 어느 한 요소 캐리어가 되나, 전송 타이밍(k값)은 0, 1, 2, 4의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자원 할당과 실제 전송까지의 전체 시간 지연을 저감을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9(b), the left 2 bits of the 3 bits of the carrier indicator are used as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timing (k value), and the remaining 1 bit is used as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component carrier. That is, the specific possible component carrier is either a primary component carrier or an auxiliary component carrier, but the transmission timing (k value) can have values of 0, 1, 2, and 4, so the total time between resource allocation and actual transmission. It can be used to reduce dela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refore,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of the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inventive idea.
100 : 제1 단말 200 : 제2 단말
300 : 기지국 4100 : 하향링크 요소 캐리어
4200 : 상향링크 요소 캐리어 4110, 4120, 4130, 4230 : 서브프레임
4111 : PDCCH 4122 : PDSCH
4231 : PUCCH 8100, 8200 : 주 요소 캐리어
8300 : 보조 요소 캐리어
8110, 8120, 8130. 8230, 8320 : 서브프레임
8111 : PDCCH 8122, 8322 : PDSCH
8231 : PUCCH100: first terminal 200: second terminal
300: base station 4100: downlink component carrier
4200:
4111: PDCCH 4122: PDSCH
4231:
8300: auxiliary element carrier
8110, 8120, 8130. 8230, 8320: subframe
8111:
8231: PUCCH
Claims (13)
기지국으로 제2 노드와의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노드에 대하여 데이터를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정보는 미리 설정된 전송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PDSCH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정보가 포함된 서브프레임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전송 타이밍 이후의 서브프레임에,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은 양면 요소 캐리어(paired component carrier)인 주 요소 캐리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통신은 단면 요소 캐리어(unpaired component carrier)인 보조 요소 캐리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A method of operating a first node belonging to a cellular network,
Transmitting a scheduling request for communication with a second node to a base station;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node from the base station; And
And transmitting data to the second node through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preset transmission timing,
Transmitting the data through the PDSCH,
The data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a subframe including the control information to a subframe after the preset transmission timing,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performed using a main component carrier that is a paired component carrier,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is performed using an auxiliary component carrier, which is an unpaired component carrier.
상기 미리 설정된 전송 타이밍은 4 서브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operating a first node, wherein the preset transmission timing is 4 subframes.
상기 제2 노드로부터 ACK/NACK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ACK/NACK 응답을 복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복조된 ACK/NACK 응답을 NACK 응답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제2 노드에 대하여 상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PDSCH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n ACK/NACK response from the second node;
Demodulating the ACK/NACK response; And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second node through a PDSCH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when the demodulated ACK/NACK response is determined as a NACK response.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주 요소 캐리어의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보조 요소 캐리어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전송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of the primary component carrier, and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auxiliary component carrier and information on the preset transmission tim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node.
제1 노드로부터 제2 노드와의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노드와의 통신을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제1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제1 노드가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통해 상기 제2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지시하며,
상기 제1 노드와의 통신은 양면 요소 캐리어(paired component carrier)인 주 요소 캐리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통신은 단면 요소 캐리어(unpaired component carrier)인 보조 요소 캐리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A method of operation of a base station belonging to a cellular network,
Receiving a scheduling request for communication with a second node from the first node; And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node to the first node,
The control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first node transmits data to the second node through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node is performed using a main component carrier that is a paired component carrier,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is performed using an auxiliary component carrier which is an unpaired component carrier.
상기 제2 노드로부터 ACK(acknowledge)/NACK(negative ACK)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ACK/NACK 응답을 복조하는 단계;
상기 복조된 ACK/NACK 응답을 NACK 응답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통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재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성한 제어정보를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8,
Receiving an acknowledgment (ACK)/negative ACK (NACK) response from the second node;
Demodulating the ACK/NACK response;
Re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when determining the demodulated ACK/NACK response as a NACK response; And
And transmitting the regenerat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상기 제어정보를 재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복조된 ACK/NACK 응답을 NACK 응답으로 판정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통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재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regenerating the control information,
And re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e demodulated ACK/NACK response as a NACK response.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PDSCH의 채널품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채널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통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재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성된 제어정보를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8,
Receiv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of the PDSCH from the second node;
Re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based on the channel quality information; And
The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the regenerat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주 요소 캐리어의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보조 요소 캐리어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전송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of the primary component carrier, and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auxiliary component carrier and information on a preset transmission timing. How the base station operat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5724A KR102207184B1 (en) | 2014-05-09 | 2014-05-09 | Communication method in cellular net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5724A KR102207184B1 (en) | 2014-05-09 | 2014-05-09 | Communication method in cellular networ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8388A KR20150128388A (en) | 2015-11-18 |
KR102207184B1 true KR102207184B1 (en) | 2021-01-25 |
Family
ID=5483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5724A Active KR102207184B1 (en) | 2014-05-09 | 2014-05-09 | Communication method in cellular networ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7184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19554B (en) * | 2011-03-23 | 2020-06-26 | Lg电子株式会社 | Retransmission method of dynamic subframe set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KR20130065373A (en) * | 2011-12-09 | 2013-06-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Method for device-to-device group communications and the apparatus using the method |
EP2866366B1 (en) * | 2012-04-26 | 2021-11-17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method using partial device control |
-
2014
- 2014-05-09 KR KR1020140055724A patent/KR102207184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8388A (en) | 2015-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138514B (en) | Method and terminal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eedback | |
US11018813B2 (en) |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 |
KR102624372B1 (en)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ment (HARQ-ACK) feedback techniques | |
CN107113156B (en) | A full-duplex transmission control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 |
EP2880943B1 (en) | Signaling and channel designs for d2d communications | |
TWI590614B (en)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confirmation processing technique for undesired downlink subframes (2) | |
KR101863203B1 (en) | Feedback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and device | |
CN106559878B (en) |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sending and acquiring method and device | |
KR102208133B1 (en) | Transmission delay according to transmission type and UE processing capability | |
EP4021125A1 (en) | Method for configuring sidelink resources in communication system | |
JP2013543355A (en) | Power control method and equipment of uplink physical control channel (PUCCH) This application was filed with the Chinese Patent Office on November 22, 2011, the application number is 201010554295.9, and the title of the invention is “uplink physical control Claims priority based on the Chinese patent application "Channel (PUCCH) power control method and equipment", the entire disclosure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 |
CN11295481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 |
US10356771B2 (en)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ownlink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CN103973413B (en) | Transmission information feedback method, equipment and system | |
WO2015016962A1 (en) | Terminal-to-terminal communication | |
WO2013162281A1 (en) |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
WO2015106554A1 (en) |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US9107214B2 (en) | Method of handl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respons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EP4044479A1 (en)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arq response in communication system | |
TW201342842A (en) | Method of handling HARQ feedback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 |
CN107733598B (en) |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 |
JP2020533902A5 (en) | ||
CN104767593A (en)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response messages, terminal and base station | |
CN11909517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 |
EP3637916A1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ssion feedback method, and related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4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5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