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6967B1 -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967B1
KR102206967B1 KR1020190039998A KR20190039998A KR102206967B1 KR 102206967 B1 KR102206967 B1 KR 102206967B1 KR 1020190039998 A KR1020190039998 A KR 1020190039998A KR 20190039998 A KR20190039998 A KR 20190039998A KR 102206967 B1 KR102206967 B1 KR 102206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wangchil
powder
hangover
malt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624A (ko
Inventor
정현오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황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황칠코리아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황칠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39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96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9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아스파라거스 및 헛개나무 열매를 동결건조 시킨 후 분쇄하여 제 2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1분말, 제2분말 및 꿀 분말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HANGOVER CURING AGENT COMPRISING DENDROPANAX MORBIFERA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는 황칠과 아스파라거스 및 헛개나무 열매를 이용하여 숙취해소 효능이 극대화됨과 동시에 엿기름을 이용하여 황칠의 추출수율과 감미를 개선시킬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에 관한 것이다.
숙취는 술을 마신 후에 나타나는 두통, 설사, 식욕부진, 오심, 구토, 오한, 식은땀을 뜻하여 객관적인 증상으로는 운동 능력 저하, 혈액적 변화 및 호르몬 변화 등이 있다. 통상 음주로 인하여 알코올이 체내에 흡수되면 알코올 분해효소(ADH)가 알코올을 분해하여 아세트알데히드를 생성하게 되고 아세트알데히드는 다시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ALDH)에 의해 최종적으로 아세트산과 물로 분해된 후 소변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알코올의 분해과정에서 알코올 분해효소(ADH)나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ALDH)의 활성화가 억제되는 환경에서는 아세트알데히드의 독성작용으로 간세포와 뇌세포에 손상을 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숙취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예로 간 기능 개선과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 0787633호),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한방 생액제의 음료와 그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 2001-0050333호),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 제조 방법(한국등록특허 제 0718189호),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한국등록특허 제 1301094호),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1433188호) 등이 있다.
황칠나무는 한의학적으로 항당뇨, 고지혈증 저하, 간기능 개선 등의 다양한 효과가 밝혀지고 있다. 특히 항산화 활성 효능이 우수하다고 보고되면서 황칠나무 추출물은 독성 물질로 손상된 간 기능의 빠른 회복 이에 따른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 촉진과 같은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한국 공개특허 제 2014-0070470호), 황칠나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한국 등록특허 제 1534550호),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설물(한국공개특허 제 2015-0138068호)와 같은 숙취해소와 간 기능 개선을 위한 문헌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기재된 제조방법들에 의해 수득된 황칠 추출물은 그 단위 중량당 약리활성이 강하지 못하고, 인체에 흡수가 느리며, 부산물을 함유하여 식품의 재료로 사용할 경우 그 함유량의 제한이 있기 때문에 본래의 황칠이 가지는 유효성분을 모두 갖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조되는 황칠 추출물의 수율이 높지 않으므로, 제조공정의 상승 및 소비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황칠 고유의 쓴향과 쓴맛이 복용자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황칠에 다른 첨가물을 부가함으로써, 숙취해소 효능이 극대화됨과 동시에 황칠의 추출수율과 맛과 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숙취해소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특허문헌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34550호 (2015.07.01.) [특허문헌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0211호 (2015.01.30.)
본 발명은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신속히 낮추고, 혈중 알데히드의 생성 또는 증가를 억제시켜 숙취해소에 현저한 효과를 보이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취 및 간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는 재료들을 소정의 배합비로 혼합함으로써, 숙취 증상을 완화시키고,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보일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미성 분말재료가 포함됨으로써, 식감과 향미를 증진 시킬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의 모든 부분에 함유된 유익한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나무의 유효성분 중 그 단위 중량당 약리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 추출액을 소정의 농도로 농축하여, 분말 제조시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취 해소제로 제조되는 황칠의 추출수율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경제적 이용가치를 높일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파라거스분말과 헛개나무 열매분말이 적절하게 혼합될 수 있는 최적 배합비를 제안하여, 원재료 고유의 풍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취에 이로운 성분 파괴 및 손실을 최소화하여, 숙취해소에 대한 유효성분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취해소제를 물, 술 내지 액상의 음료에 용해하여 음용 하거나 각종 식품첨가제에 활용되어, 숙취해소에 우수한 효과를 발현시키거나, 그 자체로 기호도가 우수한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 될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숙취해소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칠나무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 1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아스파라거스 및 헛개나무 열매를 동결건조 시킨 후 분쇄하여 제 2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1분말, 제2분말 및 꿀 분말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는 제 1분말 5~20중량%, 제2 분말 50~70중량%, 꿀 분말15~35중량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 1분말은 황칠나무에 정제수와 엿기름을 혼합한 후 열수 추출하여 황칠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a1); 상기 황칠 추출액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수득하고 분말화는 단계(a2);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황칠나무는 황칠나무의 수피, 잎, 가지, 줄기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 1분말은 5~40브릭스(brix) 농도의 황칠추출액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칠나무 10~15중량부 및 엿기름 0.5~5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 2분말은 아스파라거스 분말 및 헛개나무 열매 분말이: 0.5 내지 1:1 중량비율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결건조는 영하 10~30℃ 온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제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본 발명은 숙취개선에 효과가 있는 하나이상의 재료를 분말로 제조하고 상기 하나이상의 재료들이 서로 혼합하여 복합적 상승효과를 생성함으로써, 숙취증상의 개선 및 해소가 더욱 증진된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나무, 아스파라거스 및 헛개나무 열매의 분말 제조에 있어서, 상기 원료들이 제1분말 및 제2분말 공정단계로 구분하여 제조됨으로써, 혈중 알코올 농도 및 혈중 알데히드 농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는 재료들을 소정의 배합비로 혼합함으로써, 숙취 증상을 완화 및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보이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미성 분말재료가 포함됨으로써, 식감과 향미를 증진 시킬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나무의 수피, 잎, 가지, 줄기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재료를 선택하여 제조함으로써, 황칠나무의 모든 부분에 함유된 유익한 성분을 섭취 할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엿기름을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종래기술대비 제조수율을 개선시키고, 황칠나무의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되어 숙취해소에 현저한 효과를 가지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 추출액을 소정의 농도로 농축시킴으로써, 과립 및 분말제조 시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고, 황칠 특유의 쓴맛과 쓴향에 대한 거부감이 개선된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엿기름과 정제수가 첨가량을 설정된 중량부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하여 첨가함으로써, 황칠의 추출수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황칠을 포함한 숙취해소제의 경제적 이용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파라거스분말과 헛개나무 열매분말이 설정된 중량비율로 배함됨으로써, 원재료 고유의 풍미를 제공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파라거스 및 헛개나무 열매를 동결건조하여 분쇄함으로써, 숙취해소에 대한 유효성분 함유량이 증가되고, 원재료가 갖는 특유 맛과 향에 의하여 거부감을 갖는 사람에게도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도록 가공된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함으로써, 숙취해소제를 물, 술 내지 액상의 음료에 용해하여 음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는 각종 식품첨가제로 활용되어 숙취해소에 우수한 효과를 발현시키거나, 그 자체로 기호도가 우수한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 될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인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2은 본 발명인 엿기름름 첨가 유무에 따른 황칠 고형분 회수율 비교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3은 본 발명인 시험예4의 혈중 알코올 농도에 대한 비교 그래프이다.
도4은 본 발명에 시험예5의 혈중 알데히드 농도에 대한 비교 그래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황칠나무, 아스파라거스 및 헛개나무 열매의 분말 제조에 있어서, 상기 원료들을 제1분말 및 제2분말 공정단계로 구분하여 제조함으로써, 혈중 알코올 농도 및 혈중 알데히드 농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황칠나무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 1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아스파라거스 및 헛개나무 열매를 동결건조 시킨 후 분쇄하여 제 2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1분말, 제2분말 및 꿀 분말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분말은 황칠나무에 정제수와 엿기름을 혼합한 후 열수 추출하여 황칠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a1); 상기 황칠 추출액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수득하고 분말화는 단계(a2);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황칠 추출액은 80~100℃ 조건에서 2~4시간 열수 수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황칠나무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황칠 추출액을 수득한다. 상기 추출조건이 기재된 온도범위 미만일 경우, 추출시간이 길어지고, 황칠나무의 유용성분이 물에 용출되는 양이 적어, 장시간 가열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추출조건이 기재된 온도범위를 초과할 경우, 황칠나무의 유효성분이 파괴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기재된 범위 값에서 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처럼, 황칠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가열온도조건을 조정함으로써, 황칠나무의 유용성분 파괴를 억제하고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방법에 따라서, 교반추출장치를 이용하여 가열과 교반을 동시에 함으로써, 추출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황칠나무는 황칠나무의 수피, 잎, 가지, 줄기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재료를 세척, 건조 및 분쇄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황칠나무의 줄기 내지 잎일 수 있다. 황칠나무의 줄기 또는 잎에는 황칠나무가 가지고 있는 정유성분, 단백질, 비타민C, 수용성 타닌 및 아직 밝혀지지 않은 많은 휘발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단위 중량당 약리성분이 우수한 황칠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세척은 정제수를 이용하여 황칠나무의 표면에 분사하거나 1~3시간동안 침지하여 불순물을 제거한다.
상기 건조는 황칠의 수분함량이 15중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 과정은 세척된 황칠을 대량으로 보관 시 곰팡이가 생기거나 유효성분이 변질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수행하며 고품질의 황칠 추출물을 생산하고, 황칠나무의 안전한 보관 및 유통을 위해 상기 범위 값으로 수분함량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방법으로는 자연건조, 동결건조 및 급속건조를 진행할 수 있으며, 황칠의 수피 내지 가지에 유효성분이 스며들어 추출이 곤란해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급속 건조기를 이용하여 50~80℃에서 7~9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온도 60℃조건으로, 8시간동안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방법을 통해, 건조 과정에서 황칠의 유효성분이 수피 및 가지로 스며들지 않아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후, 분쇄기를 통해 건조된 황칠을 분쇄하고, 분쇄된 황칠에 엿기름을 첨가한다.
황칠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원료 투입 대비 높은 수율을 수득하기 어려워 제조공정비용의 상승을 야기하였고, 이는 황칠의 다양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식용 또는 음용으로 이용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는 황칠의 제조수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기 위하여 엿기름을 혼합한다.
본 발명에 첨가되는 엿기름은 수요자의 기호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혼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칠나무 10~15중량부 및 엿기름 0.5~5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칠나무 10~15중량부 및 엿기름 3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위 값을 초과하여 엿기름을 혼합할 시 황칠 고유의 향과 맛에 이질감이 부여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값 미만으로 엿기름을 혼합할 시 황칠의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황칠나무가 상기 범위 값을 초과하여 혼합될 시 황칠 특유의 쓴향 및 쓴맛에 의해 기호도를 저하시키며, 상기 범위 값 미만으로 황칠나무가 혼합될 시 황칠나무의 이로운 성분이 온전하게 추출되지 않을 수 있는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지정된 범위 값으로 엿기름과 황칠나무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엿기름과 황칠나무가 설정된 중량으로 조절되어 혼합됨으로써, 황칠나무의 추출수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황칠을 포함한 숙취해소제의 경제적 이용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황칠나무에 엿기름을 혼합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였으나, 황칠나무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엿기름을 첨가하여 황칠 추출액을 제조하여도 무방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황칠나무와 혼합되는 엿기름은 당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소정의 공전조건들을 거침으로써, 최적의 맛을 발현 시킬 수 있다. 공정단계는 다음과 같다. 상기 엿기름이 수분을 함유하도록 침치한 후, 수분이 함유된 맥아가 1.0~1.5cm의 크기로 발아될 때까지 20~24℃의 온도조건을 유지하면서 상기 엿기름에 물을 연속해서 분무하는 배양단계(a1);를 포함한다. 상기의 과정에 있어서, 상기 엿기름에 발아된 싹의 크기에 따라 엿기름의 당도가 결정되며, 가장 최적의 당도를 결정짓는 싹의 크기는 상기 언급된 1.0~1.5cm정도이다. 싹이 발아된 엿기름을 건조하기에 앞서, 상기 엿기름을 얼렸다 건조시키면 당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므로, 함수율이 5~10%가 될 때까지 엿기름을 동결시킨 후, 냉풍 건조시키는 건조단계(a2);를 거치며, 상기 엿기름의 함수율이 하한치 미만일 시, 당도의 저하를 유발하거나 미생물에 대한 원료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고, 함수율이 상한치 이상일 시, 엿기름의 분쇄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의 범위 값에서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아울러, 엿기름의 당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건조기의 최초 설정 온도를 -5~0℃로 설정하고, 12~24시간 동안 동결시킨 후, 60℃이하의 냉풍건조 또는 일광 건조시킨다. 엿기름을 동결한 후 건조함에 따라, 아밀라아제의 효소력이 증진되어 환원당을 높이게 된다. 즉, 엿기름의 당도를 상승시킨다. 또한, 60℃이하의 냉풍건조 또는 일광 건조됨으로써, 엿기름의 유효성분 손실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건조된 엿기름은 보리피를 제거하고, 20~70 매쉬(mesh)의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단계(a3);를 거침으로써, 엿기름을 완성하게 된다. 엿기름이 상기 기재된 공정단계를 거침으로써, 황칠 특유의 쓴향과 쓴맛에 대한 거부감을 제거시킬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엿기름을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종래기술대비 맛, 향 및 제조수율 개선시키고, 황칠나무의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되어 숙취해소에 현저한 효과를 가지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황칠추출액의 추출 브릭스(brix)에에 따라 추출시간에 변동을 주며, 본 발명의 상기 제 1분말은 5~40브릭스(brix) 농도의 황칠추출액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0브릭스(brix) 농도로 농축된 황칠추출액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5브릭스(brix)농도 이하의 황칠추출액은 체내에서 약리활성을 충분히 발현하기가 어렵고, 40 브릭스(brix)농도의 이상의 황칠추출액은 농도가 너무 진해서 건조가 잘 되지않고 겔화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기재된 농도범위로 농축된 제조된 황칠추출액을 사용하는 것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고, 황칠 특유의 쓴맛과 쓴향에 대한 거부감이 개선된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농축은 황칠 추출액을 60~80℃에서 4~5시간 농축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농도 범위로 농축하는 경우, 적당한 고형체을 유지하여, 과립시키거나 분말화 하는 경우 적당한 크기의 입자로 과립되거나 분말화되어 양질의 황칠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 내에서 농축함으로써 유효성분의 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아스파라거스 및 헛개나무 열매를 동결건조 시킨 후 분쇄하여 제 2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분말로 제조되는 헛개나무 열매의 열매는 갈색이며, 은은한 향기와 단맛이 있어 식용이 가능하다. 열매는 주정중독, 소변 불리, 구토에 효과가 있고 과경은 건위, 자양보혈에 효과가 있다. 또한, 헛개나무 열매는 술을 썩히는 작용이 있고, 생즙은 술독을 풀고 구역질을 멈추게 하므로 숙취 제거와 알코올 분해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과음 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황달, 지방간, 간경화증, 위장병 및 대장염 등의 간 기능 보호에 효능이 뛰어나다. 이외에, 헛개나무의 과병과 줄기는 단맛과 향을 내어 식용, 과주(果酒) 및 약용으로 주독(酒毒)을 제거하는데 사용되어왔으며 특히 과병은 사포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용자의 수요에 따라 헛개나무 열매와 함께 혼합되어 제 2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아스파라거스는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며, 함유량은 콩나물의 1,000배에 이른다. 상기 아스파라긴산은 알코올 분해를 촉진하여 간을 보호하므로 숙취해소에 탁월한 효능을 지닌다.
상기 헛개나무 열매 및 아스파라거스는 세척 후 건조되어, 파쇄기, 분쇄기 및 제트밀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제 2분말로 제조된다. 이때 건조는 동결건조, 열풍건조 및 자연건조 모두 가능하나, 가장 바람직한 건조는 동결건조이다. 상기 동결건조는 영하 10~30℃ 온도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잔존수분 3~5%로 건조되도록 한다. 영하10℃를 초과할 경우, 원료 조직 내의 얼음 알갱이가 커져 조직이 손상되고 조직 내의 성분이 외부로 흘러나와 소실될 우려가 있다. 또한, 영하 30℃ 미만의 온도에서 동결될 경우, 원료 조직 내의 얼음 알갱이가 너무 작아져서 건조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재된 온도범위로 동결건조하는 것이 적절하다. 아스파라거스 및 헛개나무 열매를 동결건조하여 분쇄함으로써, 숙취해소에 대한 유효성분의 변화와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종래제품 대비 숙취해소에 대한 유효성분 함유량이 증가되고, 동결건조에 의해 수분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제품의 장기보관이 가능하며, 조직파괴 없이 고운입자로 제조되기 때문에 섭취에 용이하다. 또한, 원재료가 갖는 특유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도록 가공된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2분말은 아스파라거스 분말 및 헛개나무 열매 분말이: 0.5 내지 1:1중량비율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스파라거스 분말의 함유량이 상기 기재된 범위 값 미만일 시, 숙취해소에 대한 약리활성이 저해될 수 있고, 아스파라거스 분말의 함유량이 상기 기재된 범위 값을 초과할 시, 헛개나무 열매의 풍미를 해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아스파라거스분말과 헛개나무 열매분말이 설정된 중량비율로 적절하게 배함됨으로써, 소비자가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에 포함된 아스파라거스 및 헛개나무 열매 고유의 풍미를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1분말, 제2분말 및 꿀 분말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는 제 1분말 5~20중량%, 제 2분말 50~70중량%, 꿀 분말15~35중량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한다. 본 발명은 숙취개선에 효과가 있는 하나이상의 재료를 분말로 제조하고 상기 하나이상의 재료들이 서로 혼합하여 복합적 상승효과를 생성함으로써, 음주 후 숙취증상을 개선 및 해소가 더욱 증진된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는 재료들을 소정의 배합비로 혼합함으로써, 숙취 증상을 완화 및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보일 수 있고, 꿀 분말과 같은 감미성 분말재료가 포함됨으로써, 식감과 향미가 증진된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함으로써, 숙취해소제를 물, 술 내지 액상의 음료에 용해하여 음용 할 수 있고, 각종 식품첨가제로 활용되어 숙취해소에 우수한 효과를 발현시키거나, 그 자체로 기호도가 우수한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 될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시험예1. 본 발명에 따른 황칠 추출액의 제조.
1) 엿기름 첨가 유무에 따른 황칠 추출액 제조
엿기름을 이용한 황칠 추출액의 제조 및 수율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엿기름을 이용한 황칠 추출액을 하기의 표1과 같이 제조하였다. 한편, 종래의 기술로 제조된 엿기름을 첨가하지 않은 황칠추출액은 표2의 비교예1과 같이 제조하였다.
구분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1 세척 황칠나무의 잎을 세척한 후, 3cm로 절단
2 건조 및 분쇄 세척된 황칠을 60℃조건으로 8시간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5중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킨 후 분쇄
3 엿기름 및 정제수 첨가 분쇄된 황칠 200kg에 엿기름5kg을 혼합한 후, 1500ℓ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혼합 분쇄된 황칠 200kg에 엿기름10kg을 혼합한 후, 1500ℓ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혼합 분쇄된 황칠 200kg에 엿기름20kg을 혼합한 후, 1500ℓ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혼합 분쇄된 황칠 200kg에 엿기름30kg을 혼합한 후, 1500ℓ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혼합
4 열수수출 상기 혼합물을 80~100℃에서 2~4시간 열수수출
5 추출액 수득 상기 열수수출액을 감압농축하여 황칠 추출액의 농도가 40브릭스(brix)가 되도록 제조
구분 비교예1
1 세척 황칠나무의 잎을 세척한 후, 3cm로 절단
2 건조 및 분쇄 세척된 황칠을 60℃조건으로 8시간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5중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킨 후 분쇄
3 정제수 첨가 분쇄된 황칠 200kg 대비 1500ℓ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혼합 (엿기름 첨가하지 않음)
4 열수수출 상기 혼합물을 80~100℃에서 2~4시간 열수수출
5 추출액 수득 상기 열수수출액을 감압농축하여 황칠 추출액의 농도가 40브릭스(brix)가 되도록 제조
2) 엿기름 첨가 유무에 따른 황칠추출액 수율 비교
상기 언급된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및 비교예1에 대한 실험결과를 하기의 표3에 나타내었다.
구분 황칠원료투입량 엿기름 투입량 생산량 수율
(황칠원료 투입대비)
추출액 농도
제조예1 200kg 5kg 150kg 75% 40브릭스(brix)
제조예2 200kg 10kg 160kg 80% 40브릭스(brix)
제조예3 200kg 20kg 146kg 73% 40브릭스(brix)
제조예4 200kg 30kg 124kg 62% 40브릭스(brix)
비교예1 200kg 60kg 30% 40브릭스(brix)
실험결과에 따르면 엿기름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에1에 비해, 제조예1 내지 제조예4의 수율이 현저하게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약 2배 이상)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황칠에 엿기름을 첨가하여 황칠 추출물을 제조함으로써, 양질의 제품을 높은 수율로 수득할 수 있는 황칠 추출액을 제공할 수 있고, 제조된 황칠 추출액을 이용해 황칠을 포함한 숙취해소제의 경제적 이용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시험예2. 엿기름 첨가 유무에 따른 황칠 고형분 회수율 비교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및 비교예1의 방법으로 제조된 황칠 추출액을 여과하여 분말로 제조되는 고형분 회수율을 측정하였다. 고형분 회수율은 황칠원료 투입 중량 대비 생산되는 고형분양으로서 도 2에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 도 2에서, 고형분 회수율은 종래 추출 방법에서는 25%에 머물렀으나 본 발명의 엿기름을 이용한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에서는 65~75% 정도로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황칠 100g을 이용하여 열수추출 시에는 25g의 고형분이 추출되는 것이나, 본 발명인 엿기름을 이용한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65~75g의 고형분이 추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 시험예3. 본 발명에 따른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제조
1)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
<실시예1>
1-1 제 1분말 제조
상기 제조예2의 황칠추출액을 여과하여 얻은 고형물을 분말화하여 제 1 분말 수득하였다.
1-2. 제 2분말 제조
아스파라거스 및 헛개나무 열매를 영하 10~30℃동결건조 시킨 후 분쇄하여 제 2분말을 제조하였다.
1-3. 혼합물 제조
제1분말, 제2분말 및 꿀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 1분말 5~20중량%, 제2 분말 50~70중량%, 꿀 분말15~35중량 %로 상기 분말들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균질화함으로써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에2>
1분말 제조단계에 있어서, 비교예1(엿기름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황칠추출액)을 여과하여 얻은 고형물을 분말화하여 제 1분말을 수득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에3>
제 2분말 제조단계에 있어서, 상기 아스파라거스 및 헛개나무 열매를 동결건조 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에4>
황칠, 아스파라거스 및 헛개나무 열매의 분말 제조에 있어서, 상기 원료들을 제 1분말 및 제 2분말 공정단계로 구분하지 않고, 하기 표와같이 일괄적으로 열수수출하여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조하였다.
구분 비교예4
1 세척 황칠나무의 잎, 아스파라거스, 헛개나무열매를 세척
2 건조 및 분쇄 세척된 원료를 60℃조건으로 8시간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5중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킨 후 분쇄
3 엿기름 및 정제수
첨가
분쇄된 원료 200kg 대비 엿기름 10kg과 정제수 1500ℓ를 첨가하여 혼합
4 열수수출 상기 혼합물을 80~100℃에서 2~4시간 열수수출
5 추출액 수득 상기 열수수출액을 감압농축하여 추출액의 농도가 40브릭스(brix)가 되도록 제조
6 고형분
수득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수득한 후, 분말로 제조
■ 시험예4. 본 발명에 따른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혈중 알코올에 대한 효과 측정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숙취해소 효과를 위한 검증 지표로 혈중 알코올 농도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에 ICR male mice(7주령)를 일정한 온도(23±1℃)와 습도(50±5%)하에서 흰쥐용 일반 고형사료(AIN-93G)로 1주간 적응시킨 후 실험군당 8마리씩 임의배치 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0.9% 생리식염수 투여), 실시예1 투여군, 비교예2 투여군, 비교예3 투여군 및 비교예4 투여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동물을 18시간 절식시킨 후 각 시험물질을 10 ml/kg b.w.의 용량으로 경구투여 하였고, 30분 뒤 40% 알코올을 3 g/kg b.w.의 용량으로 각각 투여하고 1시간 및 3시간째에는 안와에서, 5시간째에는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혈액은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고, 분리한 혈청은 분석 전까지 -70℃로 설정되어 있는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 혈청시료의 알코올 농도 분석은 키트(r-biopharm, Roche)를 이용하였고, 상기 키트의 제조사의 지시에 따른 전처리 방법에 따라 처리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Spectra Max M2, Molecular Device,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실시예1의 투여군의 경우 알코올 섭취 1시간 후 혈중 알코올 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2배 이상 감소한 결과를 보였으며, 엿기름을 이용하지 않고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조한 비교예2와 제 1분말 및 제 2분말 공정단계로 구분하지 않고, 혼합원료들을 일괄적으로 열수수출하여 제조된 비교예4에 비해서도 유의적으로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아스파라거스 및 헛개나무 열매를 동결건조 하지 않은 비교예3은 알코올 분해효과가 저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는 엿기름과 탁월한 시너지 효과로 알코올 수치를 현저히 감소시키며, 분말제조에 있어서, 원료들을 제 1분말 및 제 2분말로 공정단계를 구분하여 제조하고, 상기 제 2분말의 원료들은 동결건조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혈중 알코올 농도 및 혈중 알코올 분해효과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시험예5. 본 발명에 따른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에 대한 효과 측정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숙취해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험예5에서와 동일한 실험조건에서 얻은 혈청시료의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분석은 키트(Megazyme, 엠알텍)를 이용하였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Spectra Max M2, Molecular Device,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군 간 유의성 검정은 ANOVA test 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p<0.0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차 알코올 흡수가 억제되어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또한 실시예 1투여군이 알코올 섭취 1시간 후 대조군에 비해 약 35% 감소한 결과를 보였으며, 엿기름을 이용하지 않고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조한 비교예2에 비해서도 유의적으로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3시간째이후에 경우 실시예1 투여군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통계적으로 약 52%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는 엿기름과 탁월한 시너지 효과로 알코올 수치를 현저히 감소시키며, 분말제조에 있어서, 원료들을 제 1분말 및 제 2분말로 공정단계를 구분하여 제조하고, 상기 제 2분말의 원료들은 동결건조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시험예6. 본 발명에 따른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숙취해소 효과에 대한 임상실험
본 발명에 따른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숙취해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건강한 20세 이상 성인 남녀 15명을 대상으로 임상조사를 수행하였다. 실험 대상자에게 소주 200ml를 20분 동안 섭취하도록 하고, 10분 경과 실시예 1, 비교예2, 비교예3 및 비교예4로 제조된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4g을 100ml의 물과 함께 섭취하도록 하였다. 대조군은 생수를 이용하였으며, 1일 1실험군씩 조사하여 총5일 동안 시험하였다. 음주 직후와 60분 후에 각각 음주 측정기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고, 이때 혈중 알코올 농도는 음주 직후의 알코올 농도를 100%로 환산하여 잔존하는 알코올 농도를 %로 표시하였다.
또한 별도의 설문조사를 통해 숙취제거 효과에 대해 9점 척도(효과가 높을수록 9점과 가깝게)로 표시하게 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엿기름으로 이용해 추출되지 않은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비교예2 보다 실시예 1을섭취하였을 때, 60분 후 혈중 알코올 잔존율이 최대 67.2%까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고, 설문을 통해 확인한 결과에서도 비교예2, 비교예3 및 비교예4에 비해 숙취해소체감효과가 현저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군 혈중 알코올 잔존율 숙취제거효과
음주 직후 1시간 후
대조군 100% 84.4% 2.5
실시예1 100% 67.2% 8.3
비교예2 100% 79.5% 5.4
비교예3 100% 72.3% 7.1
비교예4 100% 75.6% 5.7
■ 시험예7. 본 발명에 따른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관능평가
1) 실험방법
관능평가는 그 취지를 주지시킨 남녀 30명의 요원을 상대로 실시하였다. 평가 항목은, 향(황칠 특이취 저감 정도), 맛(황칠 쓴맛 저감 정도) 및 종합적 기호도를 5점 척도법(5점: 매우 우수하다, 4점: 우수하다, 3점: 보통이다, 2점: 나쁘다, 1점: 매우 나쁘다)에 따라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1, 비교예2, 비교예3 및 비교예4의 방법으로 제조된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관능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2) 실험결과
결과를 평균값과 표준편차로 하여 아래의 표6에 나타내었다.
구분 기호도
실시예1 4.3±0.6 4.0±0.5 4.2±0.4
비교예2 2.7±0.5 2.8±0.4 2.6±0.9
비교예3 3.5±0.4 3.6±0.1 3.5±0.5
비교예4 3.3±0.5 3.8±0.4 3.6±0.7
상기 표6에 기재된 실험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조한 실시예1는 비교에2, 비교예3 및 비교예4에 비해 맛, 향, 기호도가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1는 엿기름을 첨가하지 않고 숙취해소제를 제조한 비교에2에 비 감미와 기호도가 현저하게 증진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황칠의 쓴맛을 감소시켜 식용 시 거부감을 제거하고, 황칠의 고유한 효능은 섭취 할 수 있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황칠나무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 1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아스파라거스 및 헛개나무 열매를 영하 10~30℃의 온도에서 동결건조 시킨 후 분쇄하여 제 2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1분말, 제2분말 및 꿀 분말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혼합물은 제 1분말 5~20 중량%, 제 2분말 50~70 중량%, 꿀 분말 15~35중량 %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분말은 황칠나무에 정제수와 엿기름을 혼합한 후 열수 추출하여 황칠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a1); 상기 황칠 추출액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수득하고 분말화 하는 단계(a2);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는 황칠나무의 수피, 잎, 가지, 줄기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말은 5~40브릭스(brix) 농도의 황칠추출액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칠나무 10~15중량부 및 엿기름 0.5~5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분말은 아스파라거스 분말 및 헛개나무 열매 분말이: 0.5 내지 1:1 중량비율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 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KR1020190039998A 2019-04-05 2019-04-05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2206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998A KR102206967B1 (ko) 2019-04-05 2019-04-05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998A KR102206967B1 (ko) 2019-04-05 2019-04-05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624A KR20200117624A (ko) 2020-10-14
KR102206967B1 true KR102206967B1 (ko) 2021-01-25

Family

ID=7284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998A Active KR102206967B1 (ko) 2019-04-05 2019-04-05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9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793B1 (ko) * 2021-11-16 2022-12-09 이양현 황칠 기반의 식물 혼합 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음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072B1 (ko) * 2010-03-22 2010-10-18 정철화 황칠나무 발효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845704B1 (ko) * 2016-10-27 2018-04-06 대한민국 키누레닉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124A (ko) * 2013-06-28 2015-01-07 주식회사 원천 건강 식품과 그 제조 방법
KR101490211B1 (ko) 2013-11-15 2015-02-06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534550B1 (ko) 2013-11-15 2015-07-09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황칠나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072B1 (ko) * 2010-03-22 2010-10-18 정철화 황칠나무 발효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845704B1 (ko) * 2016-10-27 2018-04-06 대한민국 키누레닉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624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8911B (zh) 养颜排毒茶
KR102257307B1 (ko) 니파야자 꽃봉오리를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기능성 차
KR101140322B1 (ko) 홍삼, 당귀, 천궁, 황기, 대추, 백출, 작약, 감초, 계피 및 숙지황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223088A (zh) 一种葡萄籽多酚复合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101615199B1 (ko)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식품첨가제
KR101539864B1 (ko) 숙취해소 음료
KR20150056721A (ko) 황칠나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81151B1 (ko) 동아를 이용한 막걸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82556A (ko) 배 및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대추차의 제조방법
KR102694308B1 (ko) 기능성 곡물 환 제조 방법
KR100994177B1 (ko) 발효 숙성 흑산수유 및 그의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206967B1 (ko)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755728B1 (ko) 천식 개선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3654A (ko) 홍시 퓨레로 제조된 음료 조성물 또는 감 껍질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259600B1 (ko) 발아현미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59270A (ko) 상황버섯을 포함하는 과립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629922B1 (ko) 금화규를 이용한 조청 제조방법
KR102491108B1 (ko) 홍삼 조청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홍삼 조청
KR102268219B1 (ko) 생강, 무, 도라지 및 솔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액상차 조성물
KR102152361B1 (ko) 숙취해소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4294B1 (ko) 민들레와 엉겅퀴 뿌리를 이용한 액상 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50554B1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794709B1 (ko) 생약제 숙취해소 환 및 그 제조방법
KR102822344B1 (ko) 못난이 사과를 포함하는 차 조성물
KR20200137842A (ko) 대추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